KR20100039658A -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658A
KR20100039658A KR1020080098713A KR20080098713A KR20100039658A KR 20100039658 A KR20100039658 A KR 20100039658A KR 1020080098713 A KR1020080098713 A KR 1020080098713A KR 20080098713 A KR20080098713 A KR 20080098713A KR 20100039658 A KR20100039658 A KR 2010003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yrup
weight
parts
molecular we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164B1 (ko
Inventor
김행영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9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164B1/ko
Priority to PCT/KR2009/004993 priority patent/WO2010041819A2/ko
Priority to EP09819326.1A priority patent/EP2336241B1/en
Priority to JP2011529988A priority patent/JP5419985B2/ja
Priority to CN200980140242.8A priority patent/CN102177206B/zh
Priority to ES09819326.1T priority patent/ES2497507T3/es
Priority to US13/121,890 priority patent/US8927625B2/en
Publication of KR2010003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 상온 경화형 개시제 및 고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시럽; 상기 수지 시럽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고분자량체가 반응성 단량체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수지 시럽 내에 상온 경화형 개시제 및 고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시키고, 숙성 과정 등을 통해 점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수지 시럽, 그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 수지 시럽, 상온 경화형 개시제, 고온 경화형 개시제, 프레스 성형, 인조대리석,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Description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Resin syrups, artificial marbles compri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지 시럽, 상기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방 상판이나 바닥재 등과 같은 각종 인테리어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인조대리석은 크게 무기계와 수지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수지계 인조대리석의 종류는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아크릴계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인조대리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미려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며, 탁월한 내열성을 가지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인조대리석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은 10만 내외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량체(ex.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경화 가능한 단량체(ex.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에 용해시키고, 무기 충전제와 같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수지 시럽)을 연속 방식인 캐스팅 공법에 적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이 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유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점도를 프레스 공법의 적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무기 충전제의 함량을 높일 경우, 점도 상승에 수반하여 흐름성이 매우 열악해져서 기포의 제거가 불가능하고, 성형된 제품의 강도 및 표면 품질도 매우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프레스 공법은 캐스팅 공법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일시에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제품의 변형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얇은 박막 제품의 성형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프레스 성형에 적용할 수 있다면, 아크릴계 수지 및 프레스 공법의 장점을 겸비하는 보다 우수한 물성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 시럽의 낮은 점도 문제 등을 해결하여, 프레스 성형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지 시럽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 상온 경화형 개시제 및 고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시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시럽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시럽을 숙성시키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숙성된 수지 시럽을 프레스 성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카복실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분자량체가 용해되어 있는 수지 시럽에 상온 경화형 개시제 및 고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시키고, 숙성 공정 등을 거쳐, 그 점도를 최적화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에 적용될 수 있는 수지 시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일시에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제품의 변형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박막 제품의 용이한 성형이 가능한 프레스 공법을 적용하여, 아크릴계 성형품(ex. 인조대리석)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 상온 경화형 개시제; 및
고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시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낮은 점도 및 수축성 문제로 인해 주로 캐스팅 공법에만 적용되어 왔던 아크릴계 수지 시럽을 프레스 공법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성형품을 일시에 제조할 수 있고, 제품의 내변형성(변형 방지 특성)이 탁월하며, 박막 제품의 용이한 성형이 가능한 프레스 공법을 적용하여, 아크릴계 성형품(ex. 인조대리석)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포함한다. 상 기 고분자량체에 포함되는 카복실기는 수지 시럽에 포함될 수 있는 증점제(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와 반응하여 전체 수지 시럽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복실기 및 증점제의 반응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점도 상승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고분자량체의 산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산가』란 고분자량체 내의 카복실기의 함량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고분자량체 1 g을 중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수산화 칼륨의 질량(mg)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산가가 14 이상인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가가 18 이상인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산가가 14 미만이면, 증점제와의 반응으로 인한 조성물의 증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가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3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는 통상적인 아크릴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는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량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만 내지 3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30만 미만이면, 증점 효과가 떨어져서, 수지 시럽의 흐름성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고, 300만을 초과하면, 증점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서, 혼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제거가 어려워지거나, 성형성이 지나치게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에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들 수 있고;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무수 말레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단량체 및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사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목적하는 고분자량체의 산가에 따라 적절한 단량체의 비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을 수행하는 방법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괴상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또는 유화 중합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는 본 발명의 수지 시럽 전체 100 중량부 내에 10 내지 4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시럽의 경화 물성 및/또는 수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 시럽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취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량체와 함께 상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상온 경화형 개시제」는 대략 20℃ 내지 50℃의 온도에서 경화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개시제를 의미하며, 상기 성 분은 수지 시럽의 숙성 및/또는 반경화 공정에 관여하여, 그 점도를 일정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상온 경화형 개시제의 종류는, 전술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수지 시럽의 상온 경화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예에는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및 벤조일 퍼옥시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상온 경화형 개시제는, 본 발명의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내에서,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 경화형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경화 또는 숙성 과정에서 경화 반응이 지나치게 과다하거나, 또는 미미하게 수행되어, 적정한 점도의 조절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또한, 상기 상온 경화형 개시제의 경화 반응을 보조할 수 있는 적절한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촉진제의 예에는 금속 수산화물(ex. 수산화 칼슘), 3급 아민류 및 금속염(ex. 코발트염)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촉진제가 수지 시럽에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촉진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경화 또는 숙성 과정에서 경화 반응이 지나치게 과다하거나, 또는 미미하게 수행되어, 적정한 점도의 조절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또한 고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고온 경화형 개시제」는 대략 1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일으키는 개시제로서, 상기 성분은 숙성 및/또는 반경화 공정이 종료된 수지 시럽이 프레스 성형 등의 공정에 적용될 때, 경화 효율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고온 경화형 개시제의 종류는, 전술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10 시간 반감기가 100℃ 이상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예에는 t-부틸퍼벤조에이트, t-부틸퍼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1,1-디-t-부틸퍼-2,2,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상온 경화형 개시제는, 본 발명의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내에서, 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고온 경화형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수지 시럽을 프레스 성형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경화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전술한 성분과 함께, 아크릴계 고분자량체에 포함되는 카복실기와 반응하여, 수지 시럽의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점제의 종류로는 각종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및 수산화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은 본 발명의 수 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보다 작으면, 증점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된 제품에 황변 및/또는 강도 저하 현상이 초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또한 상기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의 무기 충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기 충진제는 수지 시럽의 성형 시에 수축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 평활성을 개선하고, 경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기 충전제의 예로는 실리카,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 칼슘, 황산 바륨, 활석, 알루미나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충진제가 수지 성분과 화학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를 실란 커플링제 등으로 표면처리한 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또한, 제품의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의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가교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에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디메틸롤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2-디메틸롤프로판 디(메타)아 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에탄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메틸롤메탄 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물의 강도가 충분치 못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시럽의 경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단량체가 비등하거나 제품의 균열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또한 전술한 성분에 추가로 연쇄 이동제, 소포제, 안료, 염료, 커플링제, 내부 이형제, 자외선 안정제, 중합 금지제, 내수축제 및 칩(ex. 수지칩, 천연 소재 칩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수지 시럽은 적정한 고분자량체를 반응성 단량체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수지 시럽 역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의 종류로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단량체는 본 발명의 수지 시럽에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0 중량부보다 작으면, 수지 시럽의 점도가 높아져 취급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경화 물성 및 수축성 등의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수지 시럽은 그 점도가 500 cps 내지 20,000 cps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가 500 cps 미만이면, 프레스 공법으로의 적용 효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20,000 cps를 초과하면, 시럽의 취급이 어려워지거나, 탈포 효율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시럽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각각의 성분을 포함하여 점도가 최적화된 수지 시럽을 사용하여 프레스 공법을 통해 인조대리석을 제조함으로써, 아크릴계 수지 및 프레스 공법의 장점을 겸비하는 인조대리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조대리석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인조대리석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시럽을 숙성시키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숙성된 수지 시럽을 프레스 성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시럽을 프레스 성형에 적합한 점도를 갖도록, 숙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 수지 시럽을 숙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단계는, (1) 수지 시럽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 및 (2) 단계 (1)에 이어서 수지 시럽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은 수지 시럽의 숙성 전에 상기 시럽을 반경화(semi-curing)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반경화 공정을 진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시럽을 적절한 방법으로 밀봉 포장한 후, 숙성실 또는 오븐 내에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를 수행하는 방법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단계 (1)에 이어서 숙성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수지 시럽을 방치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 때 단계 (2)의 숙성 공정이 수행되는 시간은 수지 시럽의 점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2 시간 내지 50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조건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숙성 후에 조성물의 점도가 목적하는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일 조건에서 추가적인 숙성을 진행하거나, 또는 숙성 온도 등의 조건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를 통해 점도가 최적화된 수지 시럽을 프레스 공정에 적용하여 인조대리석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프레스 성형은 연속 방식의 캐스팅 공법에 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성형품을 일시에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제품의 변형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박막 제품의 성형도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 프레스 성형을 수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의 당업자는 목적하는 인조대리석에 따라 적절한 프레스 성형 조건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의 숙성을 거친 조성물을 계량한 후, 적절한 프레스 금형에 투입하여 성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프레스 성형은 90℃ 내지 110℃의 성형 온도 및 20 내지 50 psi/cm2의 성형 압력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은 프레스 공정을 거친 후에, 제품을 냉각하고 탈형함으로써 인조대리석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후 용도에 따라서 샌딩 및/또는 재단 공정과 같은 후처리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30만이고, 산가가 15인 카복실기 함유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25 중량부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75 중량부에 투입 용해시켜 수지 시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수산화 알루미늄 150 중량부, 아크릴계 수지칩 200 중량부, 노말 메르캅탄 0.5 중량부, 실리콘 소포제 0.1 중량부, 고분자 PMMA(중량평균분자량: 100만) 10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부 및 산화 마그네슘(MgO) 2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수지 시럽에 수산화칼슘 0.2 중량부, t-부틸말레익퍼옥사이드 0.5 중량부 및 t-부틸퍼벤조에이트 1.0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수지 시럽을 밀봉하여 50℃의 오븐에서 2 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이어서 상온에서 1일 동안 추가로 숙성시켰다. 그 후, 수지 시럽 적정량을 계량하여 프레스 금형에 투입하고, 100℃에서 15 분 동안 성형한 후, 냉각 및 탈형하여 인조대리석을 제조하였다.

Claims (18)

  1.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 상온 경화형 개시제; 및
    고온 경화형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시럽.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는 산가가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만 내지 300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4.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는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온 경화형 개시제는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및 벤조일 퍼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온 경화형 개시제는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7.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수산화물, 3급 아민류 및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8. 제 1 항에 있어서,
    고온 경화형 개시제는 t-부틸퍼벤조에이트, t-부틸퍼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1,1-디-t-부틸퍼-2,2,5-트리메틸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9. 제 1 항에 있어서,
    고온 경화형 개시제는 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10. 제 1 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증점제가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및 수산화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12.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충진제, 가교제, 연쇄 이동제, 소포제, 안료, 염료, 커플링제, 내부 이형제, 자외선 안정제, 중합 금지제, 내수축제 및 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13.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14. 제 1 항에 있어서,
    점도가 500 cps 내지 2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시럽.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지 시럽의 경화물을 포함하 는 인조대리석.
  16.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지 시럽을 숙성시키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숙성된 수지 시럽을 프레스 성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1) 수지 시럽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 및 (2) 단계 (1)에 이어서 수지 시럽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프레스 성형은 90℃ 내지 110℃의 성형 온도 및 20 내지 50 psi/cm2의 성형 압력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98713A 2008-10-08 2008-10-08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13A KR101316164B1 (ko) 2008-10-08 2008-10-08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09/004993 WO2010041819A2 (ko) 2008-10-08 2009-09-04 수지 시럽, 수지 시럽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EP09819326.1A EP2336241B1 (en) 2008-10-08 2009-09-04 Resin syrup,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a hardened form of the resin syrup,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JP2011529988A JP5419985B2 (ja) 2008-10-08 2009-09-04 樹脂シロップ、この樹脂シロップの硬化物を含む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980140242.8A CN102177206B (zh) 2008-10-08 2009-09-04 树脂浆、含有硬化形式的树脂浆的人造大理石及其制造方法
ES09819326.1T ES2497507T3 (es) 2008-10-08 2009-09-04 Jarabe de resina, mármol artificial que contiene una forma endurecida del jarabe de resina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US13/121,890 US8927625B2 (en) 2008-10-08 2009-09-04 Resin syrup,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a hardened form of the resin syrup,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13A KR101316164B1 (ko) 2008-10-08 2008-10-08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658A true KR20100039658A (ko) 2010-04-16
KR101316164B1 KR101316164B1 (ko) 2013-10-08

Family

ID=4210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713A KR101316164B1 (ko) 2008-10-08 2008-10-08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27625B2 (ko)
EP (1) EP2336241B1 (ko)
JP (1) JP5419985B2 (ko)
KR (1) KR101316164B1 (ko)
CN (1) CN102177206B (ko)
ES (1) ES2497507T3 (ko)
WO (1) WO201004181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75A (ko) * 2015-04-27 2016-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 가능한 인조대리석 제조용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2026A (ja) * 2010-09-01 2012-03-15 Sekisui Plastics Co Ltd プレス成形体用重合体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0349B1 (ko) * 2010-10-19 2013-05-31 (주)엘지하우시스 펄이 함유된 패턴의 아크릴계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CN102675690A (zh) * 2012-05-14 2012-09-1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树脂固化剂、树脂模塑成型方法
EP2760323A1 (en) 2012-10-25 2014-08-06 Kohler Co. Engineered composite material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KR101889078B1 (ko) * 2016-06-22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6986578A (zh) * 2017-05-03 2017-07-28 珠海市盛西源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人造大理石的亚克力实体面材及其制备方法
FR3073855B1 (fr) * 2017-11-21 2020-12-18 Arkema France Composition liquide adaptee a des applications de composites thermoplastiques moulees a base de smc
CN109810442B (zh) * 2019-01-24 2021-06-08 广州秀珀化工涂料有限公司 Mma-乙烯基导盲砖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12578B1 (ko) * 2019-10-07 2021-10-15 (주) 웹스 인조대리석 제조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2968A (en) 1990-08-27 1993-09-07 Aristech Chemical Corporation Acrylic-filled thermoformable acrylic sheet
JP3139685B2 (ja) * 1991-07-30 2001-03-05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樹脂プリミックスおよびアクリル人工大理石の製造方法
JP3397857B2 (ja) * 1992-10-23 2003-04-2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人造石の製法
US5985972A (en) * 1993-11-26 1999-11-16 Aristech Acrylics Llc Acrylic sheet having uniform distribution of coloring and mineral filler before and after thermoforming
US5708066A (en) 1995-03-01 1998-01-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action curable composition and solid surface material
DE19535158A1 (de) * 1995-09-22 1997-03-27 Schock & Co Gmbh Integrales plattenförmiges Baute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123419B2 (ja) * 1995-11-13 2001-01-09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人造大理石用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JP3443012B2 (ja) 1997-09-25 2003-09-0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メタ)アクリル系プレミックス、(メタ)アクリル系smc又はbmc、及び(メタ)アクリル系人工大理石の製造方法
CN1102548C (zh) * 1998-04-28 2003-03-05 三菱丽阳株式会社 丙烯酸酯类预混料、丙烯酸酯类人造大理石及其制备方法
DE19835805A1 (de) * 1998-08-07 2000-02-17 Roehm Gmbh Kunststofformkörper aus Gießharzen und anorganischen Füllstoffen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und thermischen Eigenschaften und verbesserter Flammfestigkeit
US6180040B1 (en) 1998-09-02 2001-01-30 Acushnet Company Method of forming a golf ball core
JP2000080114A (ja) 1998-09-03 2000-03-21 Nof Corp ラジカル重合型熱硬化性樹脂硬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硬化剤
JP2001038724A (ja) * 1999-08-02 2001-02-13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smc)、そのsmcを用いたアクリル系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20500A (ja) * 2000-02-08 2001-08-14 Japan U-Pica Co Ltd プレス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該プレス成形用樹脂組成物を用いた人工大理石成形物
US6822058B1 (en) * 2000-07-14 2004-11-23 The Sherwin-Williams Company Low-temperature in-mold coating composition
JP3880460B2 (ja) 2002-06-17 2007-02-14 三井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系樹脂およびその用途
JP2004352733A (ja) 2003-05-26 2004-12-16 Nof Corp ラジカル重合型熱硬化性樹脂用硬化剤及び硬化物
JP2011063685A (ja) * 2009-09-16 2011-03-31 Sekisui Chem Co Ltd 太陽電池用封止シート
JP2011068775A (ja) * 2009-09-25 2011-04-07 Sekisui Plastics Co Ltd ビニル系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及びビニル系重合体粒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75A (ko) * 2015-04-27 2016-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 가능한 인조대리석 제조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97507T3 (es) 2014-09-23
WO2010041819A3 (ko) 2010-06-24
CN102177206B (zh) 2014-07-30
KR101316164B1 (ko) 2013-10-08
US8927625B2 (en) 2015-01-06
US20110178228A1 (en) 2011-07-21
CN102177206A (zh) 2011-09-07
JP5419985B2 (ja) 2014-02-19
WO2010041819A2 (ko) 2010-04-15
EP2336241A4 (en) 2012-11-21
EP2336241B1 (en) 2014-06-11
EP2336241A2 (en) 2011-06-22
JP2012504678A (ja) 201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164B1 (ko)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96148A1 (en) Synthetic acrylic marble having pearl-containing pattern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8523202A (ja) 黄土を含んだ複合固体表面成形品
KR102207223B1 (ko) 고온 신율이 높은 인조 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1723406B1 (ko) 재활용 가능한 인조대리석 제조용 수지 조성물
US20230020653A1 (en) 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multistage polymers
KR101657453B1 (ko) 내스크래치성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0708983B1 (ko) 크랙무늬를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9990B1 (ko) 금속 광택을 갖는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JP2001220500A (ja) プレス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該プレス成形用樹脂組成物を用いた人工大理石成形物
KR102180948B1 (ko) 인조 대리석 칩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인조 대리석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KR102312578B1 (ko) 인조대리석 제조용 조성물
JP2016013997A (ja) 連鎖移動剤を含む歯科切削加工用コンポジットレジン材料組成物
JP3056695B2 (ja) 成形材料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4665343B2 (ja) 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294634A (ja) 型内被覆用組成物、型内被覆された樹脂成形品および該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4211003A (ja)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3469394B2 (ja) 架橋アルキルメタクリレート系重合体成形品
JPH09286889A (ja) 成形材料
JP2005081603A (ja) 透明アクリル系樹脂製品の成形方法
JPH10264182A (ja) 人工石の製法
JP2011208157A (ja) 成形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S63248813A (ja) オニツクス調物品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