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190A -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 Google Patents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190A
KR20100030190A KR1020080089005A KR20080089005A KR20100030190A KR 20100030190 A KR20100030190 A KR 20100030190A KR 1020080089005 A KR1020080089005 A KR 1020080089005A KR 20080089005 A KR20080089005 A KR 20080089005A KR 20100030190 A KR20100030190 A KR 2010003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ver
document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446B1 (ko
Inventor
원정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446B1/ko
Priority to US12/502,578 priority patent/US8326204B2/en
Publication of KR2010003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89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2Mechanical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55Detecting an interruption of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777Inhibiting, e.g. a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2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volving at least two planes of transport form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B65H2301/3122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2Rotar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7Identification of state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17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 G03G2215/0018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 G03G2215/0019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either moving or at rest
    • G03G2215/00198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either moving or at rest where one single scanning surface is us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324Document property detectors
    • G03G2215/00329Document size detectors
    • G03G2215/00333Document size detectors detecting feeding of docu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잼 된 원고를 손상 없이 취출할 수 있는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를 개시한다. 개시된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원고를 스캐닝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수용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스캐닝부 사이의 원고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 및 상기 원고의 위치를 함께 감지 가능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AUTO DOCUMENT FEEDER AND SCAN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잼 된 원고를 손상 없이 취출할 수 있는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스캐너는 원고 상의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와, 적재대 상에 적재된 복수의 원고를 순서대로 자동으로 상기 스캐닝부로 공급하여 고속으로 스캐닝이 가능하게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상기 원고가 상기 스캐닝부로 공급되고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접촉방식의 감지부를 갖는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캐닝부로 통하는 원고이송경로 상에 상기 원고에 접촉 및 비접촉 시 각각 서로 다른 위치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 원고가 상기 레버를 통과하는 도중에 잼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원고를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원고를 취출하는 경우, 상기 레버도 상기 원고의 취출방향을 따라서 딸려 올라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원고가 찢어지는 등의 상기 원고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잼된 원고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장치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 외에 별도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잼된 원고를 손상없이 취출할 수 있는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스캐닝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수용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스캐닝부 사이의 원고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 및 상기 원고의 위치를 함께 감지 가능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원고이송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원고에 접촉 및 접촉 해제됨에 따라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류위치 및 상기 하류위치보다 상류의 상류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레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하류위치 및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와; 상기 레버 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방회동 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장치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방 회동 시 상기 레버와 상기 커버 모두에 접촉하는 접촉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의 폐쇄 회동 시 상기 레버와 상기 커버로부터 접촉해제 되는 접촉 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연동부재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피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접촉위치 및 상기 접촉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를 상기 접촉해제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를 상기 상류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 및 상기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기초로 상기 원고의 위치 및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가 상기 상류위치에서 상기 하류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이송부가 정지상태(OFF)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상류위치에서 상기 하류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이송부가 구동상태(ON)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상기 레버를 통과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가 소정시간 내에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상기 레버를 통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가 소정시간 내에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잼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잼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송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스캐닝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수용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와; 상기 원고이송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원고에 접촉 및 접촉 해제됨에 따라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류위치 및 상기 하류위치보다 상류의 상류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레버와;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방회동 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캐너에 있어서, 상술한 자동원고이송장치와;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자동원고이송장치의 커버를 개방한 후 잼 된 원고를 원고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취출하더라도 레버가 상기 취출되는 원고와의 마찰에 의해 딸려 올라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원고가 상기 레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센서로 원고의 위치 및 커버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220)와 상기 스캐닝부(220)를 수용하는 하부본체(210)를 포함하는 하부장치(200); 및 상기 스캐닝부(220)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100)는, 적재대(102) 상의 원고를 상기 스캐닝부(220)로 이송하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를 수용하는 장치본체(101); 상기 장치본체(101)에 힌지축(10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05); 및 상기 이송부(110)와 상기 스캐닝부(220) 사이의 원고이송경로(S)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 및 상기 원고의 위치를 함께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100)는 상기 하부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부(220)는 상기 원고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과; 상기 원고에 의해 반사된 광을 감지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CIS(Contact Imag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10)는 적재대(102) 상의 원고(D)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11)와; 상기 픽업된 원고(D)를 스캐닝부(220)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13, 115, 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롤러(113, 115, 117)의 배치 및 개수는 설계조건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20)는 레버(121); 연동부재(123); 및 센서(125)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12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고이송경로(S)를 통과하는 상기 원고(D)에 접촉 및 접촉 해제됨에 따라 상기 원고(D)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류위치(B) 및 상기 하류위치(B)보다 상류의 상류위치(A) 사이를 회동 가능하다. 상기 레버(121)는 상기 장치본체(10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레버(121)는 상기 원고(D)에 접촉하기 전에는 상기 상류위치(A)에 있다가, 상기 원고(D)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류위치(A)에서 상기 상류위치(A)보다 상기 원고(D)의 이송방향으로 하류의 하류위치(B)로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121)는 회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버(121)가 상기 원고(D)에 접촉 및 비접촉 시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만 하면 그 운동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레버(1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고이송경로(S)를 통과하는 상기 원고(D)에 접촉하는 접촉부(121a); 후술할 센서(125)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1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21a)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D)의 선단과 접촉 시 상기 원고(D)가 용이하게 상기 접촉부(121a)를 통과할 수 있도록 곡면형상의 곡면부(121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a1)는 상기 원고(D)와 접촉하더라도 그 형상으로 인해 상기 원고(D)에 손상을 거의 주지 않는다.
상기 센서(1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21b)를 사이에 두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125a)와; 상기 발광부(125a)의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125b)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121)는 상기 원고(D)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위치(A)에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연장부(121b)는 상기 발광부(125a)의 광이 상기 수광부(125b)에 도달하지 않도록 상기 광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수광부(125b)는 광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수광부(125b)의 수광신호는 오프(OFF)가 된다.
반대로, 상기 레버(121)는 상기 원고(D)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하류위치(B)에 있게 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125a)의 광이 상기 수광 부(125b)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광부(125b)의 수광신호는 온(ON)이 된다.
이상에서, 상기 레버(121)가 상류위치(A) 및 하류위치(B)에 있는 경우 각각 상기 수광신호가 OFF 및 ON되도록 상기 센서(125)를 배치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레버(121)가 상류위치(A) 및 하류위치(B)에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125a)의 광이 상기 수광부(125b)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 및 차단하도록 상기 센서(125)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연동부재(12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5)의 개폐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레버(121)를 상기 하류위치(B) 및 상기 상류위치(A)로 이동시킨다.
도 2는 상기 커버(105)가 상기 장치본체(101)를 폐쇄하도록 폐쇄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장치본체(101)를 생략한 개략 측면 사시도이다.
상기 연동부재(123)는 상기 커버(105)의 개방 회동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21)와 상기 커버(105) 모두에 접촉하는 접촉위치(E)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105)의 폐쇄 회동 시 상기 레버(121)와 상기 커버(105)로부터 접촉해제 되는 접촉 해제위치(F)간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재(123)는 상기 접촉위치(E) 및 상기 접촉해제위치(F) 간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연동부재(12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장치본체(101)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부재(123)는 직선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5)가 개방회동 하는 경우, 상기 커버(105)의 일단부(105a)가 상기 연동부재(123)의 일단을 밀면서 상기 연동부재(123)를 상기 접촉해제위치(E)에서 상기 접촉위치(F)로 이동시킨다. 상기 연동부재(123)는 상기 접촉위치(F)로 이동하면서 그 타단이 상기 레버(121)에 접촉되면서 상기 레버(121)를 상기 하류위치(B)로 이동시킨다.
도 5는 원고(K)가 상기 레버(1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잼 된 경우, 상기 잼된 원고(K)를 취출하기 위해 상기 커버(105)를 개방 회동시켰을 때 상기 스캐너(1)의 개략 측면도이다.
상기 레버(121)는 상기 연동부재(123)에 의해 상기 하류위치(B)에서 상기 상류위치(A)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버(105)의 자중(W)에 의해서 상기 커버(105)의 상기 일단부(105a)가 계속해서 상기 연동부재(123)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동부재(123)에 접촉된 상기 레버(121)도 상기 상류위치(A)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잼된 원고(K)를 원고이송방향의 반대방향(H)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레버(121)가 상기 반대방향(H)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원고(K)의 취출 과정에서 상기 레버(121)에 의해 상기 원고(K)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100)는 상기 연동부재(123)가 상기 커버(105)가 폐쇄 회동하는 경우 상기 연동부재(123)를 상기 접촉해제위치(도 2의 E)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제1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탄성부재(150)의 일단은 상기 연동부재(123)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장치본체(101)에 연결되며, 그 탄성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부재(123)를 상기 접촉위치(F)에서 상기 접촉해제위치(도 2의 E)로 미는 방향(F)으로 작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150) 대신에 상기 커버(105)와 상기 연동부재(123) 간에 링크(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105)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부재(123)가 상기 접촉위치(도 4의 F) 및 상기 접촉해제위치(도 2의 E)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1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21)를 상기 상류위치(A)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60)는 그 일단이 상기 레버(121)의 돌출부(121c)에 연결되고 타단은 장치본체(10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121)의 상기 접촉부(121a)가 상기 원고(D)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하류위치(B)에 있다가 상기 원고(D)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다시 상기 상류위치(A)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부재(160) 없이도 중력, 상기 레버(121)의 소제 자체의 탄성복원력, 기타 다른 구성에 의해서 상기 레버(121)가 상기 하류위치(B)에서 상기 상류위치(A)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121)는 상기 연동부재(123)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레버(121)의 외주면에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피작동부(121d)를 더 포함한다. 직 선 운동하는 상기 연동부재(123)로부터 보다 큰 상기 레버(121)의 회전모멘트를 얻기 위해, 상기 피작동부(121d)는 상기 연동부재(123)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캐너(1)는 상기 이송부(110)를 구동하는 구동부(160)와; 상기 스캐닝부(220) 및 상기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100)만을 제어하도록 된 경우에는 상기 스캐닝부(220)는 상기 스캐너(1)에 의해 별도로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60)는 하나이상의 전기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원고 스캔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원고가 상기 스캐닝부(220)로 이송되게 하고, 상기 스캐닝부(220)로 하여금 상기 이송된 원고를 스캐닝하게 한다.
상기 스캐닝부(220)에 의해 스캐닝된 원고는 배출롤러(141, 143, 145, 147)에 의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배출롤러(141, 143, 145, 147) 중 구동롤러(141, 145)도 구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센서(125)의 감지결과 및 상기 이송부(110)의 작동상태를 기초로 상기 원고의 위치 및 상기 커버(105)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레버(121)가 상기 하류위치(B)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되고 상기 이송부(110)가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커버(105)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ON인 경우 상기 레버(121)가 상기 하류위치(B)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이송 부(110)의 정지여부는 상기 이송부(110)를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16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ON되면, 이는 상기 커버(105)가 개방되거나 상기 원고(D)가 상기 레버(121)가 배치된 위치를 통과하고 있음으로 인해서 비롯된 것이므로 그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는 상기 이송부(110)의 작동상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OFF에서 ON으로 변환되는 시점(t1)에서, 상기 구동부(16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원고(D)가 상기 레버(121)를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OFF에서 ON으로 변환되는 시점(t2)에서, 상기 구동부(160)에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110)는 구동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커버(105)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OFF에서 ON으로 변환되는 시점은 결국 상기 레버(121)가 상기 상류위치(A)에서 상기 하류위치(B)로 이동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구동부(160)의 전원이 ON/OFF 되는 것은 결국 상기 이송부(110)가 구동상태(ON) 및 정지상태(OFF)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OFF에서 ON으로 변환되는 시점(t3)에서 상기 구동부(16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t3에서는 상기 원고(D)가 상기 레버(121)에 접촉하여 상기 레버(121)를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시점(t3)에서부터 소정시간(△t) 내에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다시 OFF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레버(121)가 상기 하류위치(B)에서 상기 상류위치(A)로 복원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고가 상기 레버(121)에 접촉된 상태로 잼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에게 잼된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스캐너(1)가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미도시)에 상기 잼된 사실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스캐너(1)가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알람 또는 음성으로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미도시)는 LC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고(D)가 잼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이송부(110)가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시점(t3)에서부터 상기 소정시간(□t)만큼 경과된 시점(t5=t3+□t)에서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ON되어 있는 경우, 바로 그 시점(t5)에서 상기 이송부(1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점(t1)에서 상기 센서(125)의 수광신호가 다시 OFF상태로 전환되는 시점(t4) 사이의 시간간격(dT)이 상기 소정시간(□t)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고의 후단이 상기 레버(121)를 통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스캐너의 개략 측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스캐너의 레버가 원고에 접촉되기 전 및 접촉된 후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스캐너의 커버가 개방회동 하는 경우 그에 연동하여 이동하 는 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원고가 레버 위치에서 잼 된 상태에서의 도 1의 스캐너의 개략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스캐너의 개략 블록도,
도 7은, 시간에 따른 도 6의 스캐너의 센서의 감지신호 및 구동부의 동작상태의 일 예시도,
도 8은, 시간에 따른 도 6의 스캐너의 센서의 감지신호 및 구동부의 동작상태의 다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캐너 100: 자동원고이송장치
105: 커버 110: 이송부
120: 감지부 121: 레버
121a: 접촉부 121b: 연장부
121c: 돌출부 121d: 피작동부
123: 연동부재 125: 센서
150: 제1탄성부재 160: 제2탄성부재

Claims (17)

  1.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스캐닝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수용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스캐닝부 사이의 원고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 및 상기 원고의 위치를 함께 감지 가능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원고이송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원고에 접촉 및 접촉 해제됨에 따라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류위치 및 상기 하류위치보다 상류의 상류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레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하류위치 및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와;
    상기 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방회동 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장치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방 회동 시 상기 레버와 상기 커버 모두에 접촉하는 접촉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의 폐쇄 회동 시 상기 레버와 상기 커버로부터 접촉해제 되는 접촉 해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연동부재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피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접촉위치 및 상기 접촉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를 상기 접촉해제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상기 상류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 및 상기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기초로 상기 원고의 위치 및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상류위치에서 상기 하류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이송부가 정지상태(OFF)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상류위치에서 상기 하류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이송부가 구동상태(ON)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상기 레버를 통과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소정시간 내에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상기 레버를 통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소정시간 내에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잼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가 잼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송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6.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스캐닝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수용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와;
    상기 원고이송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원고에 접촉 및 접촉 해제됨에 따라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류위치 및 상기 하류위치보다 상류의 상류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레버와;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방회동 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하류위치에서 상기 상류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17. 스캐너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와;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KR1020080089005A 2008-09-09 2008-09-09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KR101299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005A KR101299446B1 (ko) 2008-09-09 2008-09-09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US12/502,578 US8326204B2 (en) 2008-09-09 2009-07-14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scan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005A KR101299446B1 (ko) 2008-09-09 2008-09-09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90A true KR20100030190A (ko) 2010-03-18
KR101299446B1 KR101299446B1 (ko) 2013-08-22

Family

ID=4179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005A KR101299446B1 (ko) 2008-09-09 2008-09-09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26204B2 (ko)
KR (1) KR101299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4911B2 (ja) * 2010-01-22 2014-05-2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05788B2 (ja) * 2010-03-24 2014-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41014B1 (ja) * 2010-06-30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849480B (zh) * 2011-06-28 2015-01-28 株式会社东芝 薄片处理装置、薄片输送路径打开方法以及消色装置
TWI473722B (zh) * 2012-06-19 2015-02-21 Cal Comp Prec Singapore Ltd 自動饋紙裝置及使用此自動饋紙裝置的媒體記錄設備
JP6044447B2 (ja) * 2013-05-09 2016-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6075318B2 (ja) 2014-03-28 2017-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28035B2 (ja) 2014-03-28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164239B1 (ko) 2014-05-30 2020-10-1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0652414B2 (en) * 2016-09-12 2020-05-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apparatus having an optical sensor
US11310383B2 (en) 2019-07-15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d position determinations based on scans of zon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850A (ja) * 1995-02-24 1996-11-05 Ricoh Co Ltd 原稿自動給紙装置
US5971388A (en) * 1995-02-24 1999-10-26 Ricoh Company, Ltd. Automatic original document feeding device which has different procedures for correcting paper jams depending on where the jam occurs
US5713569A (en) * 1996-06-24 1998-02-03 Hewlett-Packard Company Printer including an opening receiving a stack of printable media
US6185381B1 (en) * 1998-12-22 2001-02-06 Canon Kabushi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7202983B2 (en) * 2001-08-22 2007-04-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3797307B2 (ja) 2002-09-30 2006-07-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2005200129A (ja) 2004-01-14 2005-07-28 Brother Ind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84169A (ja) 2005-09-20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検出レバ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用紙検知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US7887205B1 (en) * 2007-06-29 2011-02-15 Genlyte Thomas Group Llc Rotatable emergency light with direct drive motor
US8018604B2 (en) * 2007-12-14 2011-09-13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senso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446B1 (ko) 2013-08-22
US8326204B2 (en) 2012-12-04
US20100061781A1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446B1 (ko)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US8950743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image rea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63318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自動原稿搬送装置
US9075376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139325B1 (ko) 화상처리장치 및 반송장치
JP2004299867A (ja) 原稿反転搬送装置
JP5966878B2 (ja) 画像読取装置
JP4211775B2 (ja) 原稿搬送装置
JP2003285966A (ja)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100561408B1 (ko) 스캐닝장치 및 그 기어손상방지방법
JP200813107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US7212317B2 (en) Original scanning apparatus
JP2007022706A (ja)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455025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753500B2 (ja) 原稿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複合機
JP4124754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1093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218938A (ja) 原稿給紙装置
JP3963725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複合機
JP2000094363A (ja) 綴じ部材除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
JP2008013357A (ja) 給紙装置
JP4250864B2 (ja) 用紙検出装置
JP4435643B2 (ja) シート材搬送装置、原稿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960004244Y1 (ko)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JPH09172512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