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244Y1 -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 Google Patents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244Y1
KR960004244Y1 KR2019930011393U KR930011393U KR960004244Y1 KR 960004244 Y1 KR960004244 Y1 KR 960004244Y1 KR 2019930011393 U KR2019930011393 U KR 2019930011393U KR 930011393 U KR930011393 U KR 930011393U KR 960004244 Y1 KR960004244 Y1 KR 960004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ver
detection senso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938U (ko
Inventor
조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2019930011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244Y1/ko
Publication of KR950001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제1도는 종래의 중계커버의 개폐를 검지하는 검지센서를 작동시키는 기구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복사기의 중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의 일실시예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급지트레이
3 : 픽업롤러 4 : 중계롤러
5 : 중계커버 6 : 손잡이
7 : 캠축 8 : 캠
9 : 슬라이드 플레이트 9a : 섭동편
9b : 안내홈 10 : 본체측판
11 : 가이드축 12 : 검지센서
13 : 센서레버 14 : 스프링
본 고안은 복사기, 보통용지 팩시밀리, 레이져빔 프린터 등 화상형성장치 급지부의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급지방식의 급지기구에 사용되는 급지부의 중계커버개폐를 검지하는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의 급지방식에는 측면급지방식과 정면급지방식이 채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복사기 등의 소형화 및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외관의 간결화 추세로 측면급지방식보다 급지카세트가 복사기내에 장착되어 급지되는 정면급지방식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상기 급지카세트가 점유하는 공간이 한층 간결해졌다.
여기서, 종래의 정면방식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급지동작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사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급지트레이는 용지크기에 따라 다수의 급지트레이가 적층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설치되는 트레이의 단수에 따라 그 기기 몸체의 크기가 달라진다.
그리고, 급지개시신호에 의하여 픽업롤러 및 중계롤러를 거쳐 본체로 이송되어 복사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과정중에 급지트레이로부터 본체까지의 용지이송을 담당하는 중계부에서 상기 용지가 걸리거나 잼이 발생하게 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중계롤러 일측에 설치된 커버를 열고, 상기 용지를 제거한 후 다시 세트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의 일측하단에 구비된 축과 상기 축에 결합된 캠이 회동하면서 복사기 측판 일측에 구비된 센서를 밀어, 상기 커버가 완전히 세트되었는지의 신호를 복사기 본체측으로 보냄으로써, 상기 본체가 중계커버의 개폐상태를 인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급지트레이의 트레이단수가 3단 이상일 경우, 상기 커버를 회동시킬 수 있는 공간의 제약 및 관련부품과의 조립성 등의 요인으로 각각의 단에 구비된 별도의 커버 및 센서로서, 각단마다 검지해야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상기 센서의 추가로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가격의 상승요인이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다단트레이 각각의 중계커버 개폐시마다 구비된 단 하나의 센서에 의해 잼과 용지걸림 등을 기기본체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면급지를 위해 다수의 급지트레이가 기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급지트레이로부터 급지되는 용지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중계롤러 및 중계커버와, 상기 다수의 중계커버의 개폐여부를 검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본체 측판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커버개폐 검지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의 커버개폐검지센서를 작동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중계커버의 힌지축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중계커버와 동일하게 회동하는 다수의 캠; 상, 하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캠의 회동에 따라 섭동되는 소정크기의 섭동편을 상기 다수의 캠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시키며,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크기의 안내홈을 그 일측에 형성하여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개폐검지센서를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플레이트(slide plite);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복사기의 중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은 본체, 2는 급지트레이, 3은 픽업롤러, 4는 중계롤러, 5는 중계커버, 6은 손잡이, 7은 캠축, 8은 캠, 9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9a는 섭동편, 9b는 안내홈, 10은 본체측판, 11은 가이드축, 12는 검지센서, 13은 센서레버, 14는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중앙하단부에 다단급지트레이(2)가 장착된 중계부에는 각각의 픽업롤러(3)와 중계롤러(4)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계롤러(4) 일측에는 상기 급지트레이(2)로부터 본체(1)로의 급지경로상에 용지가이드 및 중계기능을 담당하며, 잼 및 용지걸림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개폐기능을 제공하는 중계커버(5)가 2단 급지트레이와 각 단트레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중계커버(5) 각각의 상단에 손잡이(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커버(5)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중계커버(5)의 개폐에 따라 그의 힌지축이 되어 동일하게 회동을 하는 캠축(7)과 그에 삽입, 고정되는 캠(8)이 각각의 중계커버(5)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커버(5)의 일측에 위치한 본체측판(10)에는 소정길이의 가이드축(11)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축(1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축(11)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홈(9b)을 일측에 형성한 슬라이드 플레이트(9)는 급지트레이(2)의 단에 맞게 형성되며, 상기 캠(8)이 회동함에 따라 그의 회동영역 내에 위치하여 섭동하는 섭동편(9a)을 각각의 캠(8)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측판(1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의 상단에 위치한 검지센서(12)와 그의 하단이 구비된 센서레버(13)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의 섭동편(9a)이 상기 캠(8)의 회동에 의해 상측으로 작동하여 상기 센서레버(13)를 밀어올리므로서 각 단트레이(2)에 설치된 중계커버(5)의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제4도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의 일실시예 작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지트레이(2)로부터 급지되어 본체(1)로 이송되는 용지가 중계부에서 걸리거나 잼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중계롤러(4) 일측에 위치한 중계커버(5)의 손잡이(6)를 당겨서 그 내부에 걸려 있는 용지를 제거한 후, 다시 세트시킨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중계커버(5)를 열 경우, 중계커버(5)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캠축(7)과 캠(8)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캠(8)의 회동영역만큼 슬라이드 플레이트(9)에 일체로 형성된 섭동편(9a)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섭동편(9a)의 이동은 상기 본체측판(10)에 상하로 구비된 가이드축(11)이 슬라이드 플레이트(9)에 형성된 소정길이의 안내홈(96)에 끼워져 그 안내홈(9b)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캠(8)이 회동하면 상기 섭동편(9a)이 구비된 슬라이드 플레이트(9)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측판(10) 상측에 구비된 센서레버(13)를 밀어올리므로서, 상기 검지센서(12)가 작동되어 각 단의 커버개폐여부를 본채(1)가 인지하게 되는 것이며, 용지를 제거한 후, 사용자가 상기 중계커버를 닫게 되면 상기 캠(8)이 역회동하면서, 상기 섭동편(9a)을 밀어 올리는 힘이 해지되므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가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되어 복원된다. 만약,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가 자중에 의한 하측이동에 있어서, 보다 신뢰성있는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의 하단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1)에 그 타측이 고정되는 스프링(14)을 더 부가구성하여 상기 스프링(14)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가 확실하게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정면급지방식의 2단 이상의 다단급지트레이가 내장된 중계부에 적용되어 설치된 다수의 중계커버의 개폐상태를 별도의 추가구성 없이 하나의 센서만으로 기기본체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면급지를 위해 다수의 급지트레이(2)가 기기 본체(1)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급지트레이(2)로부터 급지되는 용지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중계롤러(3) 및 중계커버(5)와, 상기 다수의 중계커버(5)의 개폐여부를 검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본체 측판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커버개폐 검지센서(2)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의 커버개폐검지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중계커버(5)의 힌지축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중계커버와 동일하게 회동하는 다수의 캠(8); 상, 하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캠(8)의 회동에 따라 섭동되는 소정크기의 섭동편(9a)을 상기 다수의 캠(8)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시키며, 상기 가이드축(11)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크기의 안내홈(9b)을 그 일측에 형성하여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개폐검지센서(12)를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플레이트(slide plite)(9);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를 지지하면서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1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KR2019930011393U 1993-06-25 1993-06-25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KR960004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393U KR960004244Y1 (ko) 1993-06-25 1993-06-25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393U KR960004244Y1 (ko) 1993-06-25 1993-06-25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938U KR950001938U (ko) 1995-01-04
KR960004244Y1 true KR960004244Y1 (ko) 1996-05-23

Family

ID=1935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393U KR960004244Y1 (ko) 1993-06-25 1993-06-25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2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938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561B2 (en) Sheet feeder with mechanism for protecting input and discharge openings and image rea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5278677A (en) Device for removing document jamming generated at a transmitter of a facsimile using a contact image sensor
US6206368B1 (en) Paper transport device with one roller pair
US9247086B2 (en) Document reader
KR960004244Y1 (ko) 커버개폐검지센서 작동기구
JP2783663B2 (ja) 大量給紙搬送装置のカバー開閉装置
JP4295646B2 (ja) 開閉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32608B2 (ja) 画像形成装置
JP4343505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114132B2 (ko)
JP2524109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原稿解除機構
JP3204830B2 (ja) 給紙装置の重送防止機構
KR200168094Y1 (ko)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KR970003657B1 (ko) 프린터의 연속용지 자동 적재장치
JP3139256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KR950000351Y1 (ko) 급지카세트의 저판 이동장치
JPH10226451A (ja) シート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443890Y2 (ko)
JPH0637419Y2 (ja) 複写機の誤操作防止機構
JP3350194B2 (ja) 給紙装置
JPH0561155U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原稿解除機構
JP569593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原稿情報読取装置
JP3365666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267390A (ja) 給紙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950006843Y1 (ko) 측면 급지방식 급지카세트의 저판 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