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30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304A
KR20100019304A KR1020090012667A KR20090012667A KR20100019304A KR 20100019304 A KR20100019304 A KR 20100019304A KR 1020090012667 A KR1020090012667 A KR 1020090012667A KR 20090012667 A KR20090012667 A KR 20090012667A KR 20100019304 A KR20100019304 A KR 2010001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oxidant
resin container
refrigerator
pressur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329B1 (ko
Inventor
아쯔꼬 후나야마
도시에 다까사끼
유우꼬 아까기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A23L3/3427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in which an absorbent is placed or used
    • A23L3/3436Oxygen absorb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creating a vacuum in a stor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냉장고에 있어서, 식품 수납 공간의 증대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하면서 감압 저장실에 수납한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를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냉장고는 냉장고 내에 형성되는 저장실에 항산화제를 내부에 구비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를 배치한다. 이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는 식품의 수납 시에 밀폐되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로 감압되는 감압 저장실(24)의 내부에 배치된다. 항산화제로서 대기압 상태보다 낮은 압력 상태 하에서 항산화 성분이 많이 방출되는 항산화제가 사용된다.
냉장고, 감압 저장실,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 수지 용기, 항산화제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냉장고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64620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냉장고는 냉장고 내의 냉기가 순환되는 공간에 개방된 저장실에 대기압 상태 하에서 휘발하는 항산화제를 내부에 구비한 항산화 방출 유닛을 배치하고, 이 항산화제의 항산화 성분을 저장실로 방출하여 저장실 내의 야채 등의 식품을 덮음으로써,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되어 산화되고 분해되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종래의 냉장고로서, 일본 특허 제4015687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냉장고는 식품의 수납 시에 밀폐되어 0.7기압의 저압이 되는 저압실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저압실의 압력을 0.7기압까지 저하시킴으로써, 저압실 내의 산소 농도를 낮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저압실에 수납한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되는 것을 억제하여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의 방지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6462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4015687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의 냉장고에서는, 저장실에 수납되는 식품은 대기압 상태 하에 있어서 산소 농도가 높은 상태로 보존되므로,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항산화제로부터 다량의 항산화 성분을 방출시킬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 냉장고에서는 냉장고 내의 냉기가 순환되는 공간에 개방된 저장실에 항산화 방출 유닛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순환되는 냉기 전체의 산소가 식품 중의 영양 성분과 결합되는 것을 방지해야만 해, 이 점으로부터도 항산화제로부터 다량의 항산화 성분을 방출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에 의해, 항산화 방출 유닛의 대형화가 필요해져, 식품 수납 공간의 감소 및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 문헌 2의 냉장고에서는, 저압실의 압력을 내리는 것에 의해서만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를 방지하고 있으므로,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의 유효한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저압실의 압력을 매우 낮은 압력까지 저하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로 인해, 감압 장치의 대형화 및 저압실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압 강도의 증대가 필요해져, 식품 수납 공간의 감소 및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 수납 공간의 증대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하면서 감압 저장실에 수납한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를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내에 형성되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로 감압되는 저장실 내에 항산화제를 갖는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항산화제는 대기압 상태보다도 낮은 압력 상태 하에서 항산화 성분이 많이 방출되고, 상기 항산화제는 펄프와 바인더에 혼합되어 입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산화제로서 비타민 C, 비타민 E 및 효소 처리 루틴 중 어느 하나의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자연 식품에 함유되는 산화 방지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브산 또는 토코페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펄프는 상기 항산화제에 대해 50% 이상 100% 이하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 또는 메틸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항산화제에 대해 5% 이상 50% 이하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의 감압 시의 압력을 0.80 내지 0.95기압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은, 상기 항산화제와, 상기 항산화제를 수납한 수지 용기 본체와 수지 용기 덮개를 갖는 수지 용기와, 상기 수지 용기의 내 부의 항산화 성분을 그 외부로 유도하여 방출하는 종이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용기 본체의 주연부 및 상기 수지 용기 덮개의 주연부를 그 일부에 상기 종이를 개재하고 포개어 당해 양 주연부를 접합하고, 상기 끼움 지지된 상기 종이의 부분만을 통해 상기 항산화 성분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용기 덮개는 상기 수지 용기 본체측의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종이는 상기 수지 용기 덮개의 오목부 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당해 수지 용기의 외부에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는 항산화제를 내부에 구비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에 있어서, 밀폐되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로 감압되는 감압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항산화제는 대기압 상태보다도 낮은 압력 상태 하에서 항산화 성분이 많이 방출되고, 상기 항산화제는 펄프와 바인더에 혼합되어 입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항산화제를 수납한 수지 용기 본체와 수지 용기 덮개를 갖는 수지 용기와, 상기 수지 용기의 내부의 항산화 성분을 그 외부로 유도하여 방출하는 종이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용기 본체의 주연부 및 상기 수지 용기 덮개의 주연부를 그 일부에 상기 종이를 개재하고 포개어 당해 양 주연부를 접합하고, 그 내부 공간을 끼움 지지된 상기 종이의 부분만을 통해 상기 항산화 성분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식품 수납 공간의 증대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하면서 감압 저장실에 수납한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를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냉장고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냉장고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중앙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실의 최하단 공간 부분의 단면 사시도이다.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 및 도어(6 내지 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는 강판제의 외부 케이스(11)와 수지제의 내부 케이스(12) 사이에, 우레탄 발포 단열재(13) 및 진공 단열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구성되고, 위에서부터 냉장실(2), 냉동실(3, 4), 야채실(5)의 순으로 복수의 저장실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최상단에 냉장실(2)이, 최하단에 야채실(5)이, 각각 구획되어 배치되어 있고, 냉장실(2)과 야채실(5) 사이에는 이들의 양쪽 저장실과 단열적으로 구획된 냉동실(3, 4)이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2) 및 야채실(5)은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고, 냉동실(3, 4)은 0℃ 이하의 냉동 온도대(예를 들어, 약 -20℃ 내지 -18℃의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이들 저장실(2 내지 5)은 구획벽(33, 34, 3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의 전방면에는 저장실(2 내지 5)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어(6 내지 10)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6)는 냉장실(2)의 전방면 개구부 를 폐색하는 도어, 냉동실 도어(8)는 냉동실(3)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어, 냉동실 도어(9)는 냉동실(4)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어, 야채실 도어(10)는 야채실(5)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어이다. 냉장실 도어(6)는 여닫이 도어식인 양쪽 여닫이의 도어로 구성되고, 냉동실 도어(8), 냉동실 도어(9), 야채실 도어(10)는 인출식 도어에 의해 구성되고, 인출 도어와 함께 저장실 내의 용기가 인출된다.
냉장고 본체(1)에는 냉동 사이클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14), 응축기(도시하지 않음), 모세관 튜브(도시하지 않음) 및 증발기(15), 그리고 다시 압축기(14)의 순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14) 및 응축기는 냉장고 본체(1)의 배면 하부에 설치된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15)는 냉동실(3, 4)의 후방에 설치된 냉각기실에 설치되고, 이 냉각기실에 있어서의 증발기(15)의 상방에 송풍 팬(16)이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15)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송풍 팬(16)에 의해 냉장실(2), 냉동실(3, 4) 및 야채실(5)의 각 저장실로 보내진다. 구체적으로는, 송풍 팬(16)에 의해 보내지는 냉기는 개폐 가능한 댐퍼 장치를 통해, 그 일부가 냉장실(2) 및 야채실(5)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로 보내지고, 다른 일부가 냉동실(3, 4)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로 보내진다.
송풍 팬(16)에 의해 냉장실(2), 냉동실(3, 4) 및 야채실(5)의 각 저장실로 보내지는 냉기는 각 저장실을 냉각한 후, 냉기 복귀 통로를 통해 냉각기실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는 냉기의 순환 구조를 갖고 있어, 각 저 장실(2 내지 5)을 적절한 온도로 유지한다.
냉장실(2) 내에는 투명한 수지판으로 구성되는 복수단의 선반(17 내지 20)이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최하단의 선반(20)은 내부 케이스(12)의 배면 및 양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그 하방 공간인 최하단 공간(21)을 상방 공간과 구획하고 있다. 또한, 각 냉장실 도어(6)의 내측에는 복수단의 도어 포켓(25 내지 27)이 설치되고, 이들 도어 포켓(25 내지 27)은 냉장실 도어(6)가 폐쇄된 상태로 냉장실(2)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2)의 배면에는 송풍 팬(16)으로부터 공급된 냉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면 패널(30)이 설치되어 있다.
최하단 공간(21)에는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냉동실(3)의 제빙 접시에 제빙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빙수 탱크(22), 디저트 등의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케이스(23), 실내를 감압하여 식품 신선도 유지 및 장기 보존하기 위한 감압 저장실(24)이 설치되어 있다. 감압 저장실(24)은 냉장실(2)의 횡폭보다 좁은 횡폭을 갖고, 냉장실(2)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빙수 탱크(22) 및 수납 케이스(23)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의 냉장실 도어(6)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제빙수 탱크(22) 및 수납 케이스(23)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저장실(24)은 우측의 냉장실 도어(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의 냉장실 도어(6)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감압 저장실 덮개(50)를 개방하여, 감압 저장실(24)의 식품 트레이(60)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빙수 탱크(22) 및 수납 케이스(23)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6)의 최하단의 도어 포켓(27)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감압 저장 실(24)은 우측의 냉장실 도어(6)의 최하단의 도어 포켓(27)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증발기(15)에 의해 냉각되어 냉장실(2)로 보내진 냉기가 감압 저장실(24)의 주위를 통해 감압 저장실(24)의 내부를 간접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제빙수 탱크(22)의 후방에는 제빙수 펌프(28)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23)의 후방이고 또한 감압 저장실(24)의 후방부 측방의 공간에는 감압 저장실(24)을 감압하기 위한 감압 장치의 일례인 부압 펌프(29)가 배치되어 있다. 부압 펌프(29)는 감압 저장실(24)의 측면에 설치된 펌프 접속부에 도관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감압 저장실(24)은 식품 출입용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 형상의 감압 저장실 본체(40)와, 감압 저장실 본체(40)의 식품 출입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감압 저장실 덮개(50)와, 식품을 수납하고 감압 저장실 덮개(50)에 출입하는 식품 트레이(6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감압 저장실 본체(40)로 감압 저장실 덮개(50)의 식품 출입용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감압 저장실 본체(40)와 감압 저장실 덮개(50)로 둘러싸인 공간이 감압되는 저압 공간으로서 형성된다. 식품 트레이(60)는 감압 저장실 덮개(50)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감압 저장실 덮개(50)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감압 저장실(24)의 내부에는 항산화제(81)(도 4 참조)를 내부에 구비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야채, 물고기 등의 생선 식품을 보존하는 감압 저장실(24)에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항산화제(81)를 내포하는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트레이(60)의 배면벽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서 부착되어 있다. 항산화제(81)로서는, 대기압 상태보다 낮은 압력 상태 하에서 더욱 많은 항산화 성분이 방출되는 항산화제가 사용되어 있다. 즉,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에 내포된 항산화제(81)는 감압 저장실(24) 내를 감압함으로써,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 내부의 압력과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의 외부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해 항산화 성분이 방출된다.
식품 트레이(60)에 식품을 적재하여 감압 저장실 덮개(50)를 폐쇄함으로써, 감압 저장실(24)의 내부가 밀폐 상태로 되고, 도어 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부압 펌프(29)가 구동되어, 감압 저장실(24)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로 감압된다. 이에 의해 저장실(13) 내의 산소 농도가 저하되어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저장실(24)이 밀폐되어 감압된 상태로 된 후 항산화제(81)로부터 항산화 성분의 방출이 개시되는 동시에, 한정된 용적의 감압 저장실(24) 중에서 항산화 성분에 의한 식품 중의 영양 성분과 산소의 결합 방지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의 소형화, 부압 펌프(29)의 소형화 및 감압 저장실(24)의 하우징의 강도 저감을 가능하게 하여 식품 수납 공간의 증대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하면서 감압 저장실(24)에 수납한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의 산화 열화를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압 저장실 덮개(50)를 인출함으로써, 감압 저장실 덮개(50)의 일부에 설치된 압력 해제 밸브가 먼저 동작하여 감압 저장실(24)의 감압 상태가 해제되어 대기압의 상태로 되어 감압 저장실 덮개(5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단히 감압 저장실 덮개(50)를 개방하여 식품의 출입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의 단독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는 항산화 성분을 방출하는 항산화제(81)와, 이 항산화제(81)를 수납한 수지 용기(82)와, 이 수지 용기(82)의 내부의 항산화 성분을 그 외부로 유도하여 방출하는 종이(8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종이(85)는 부드러운 종이나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통기성을 갖고 있다.
항산화제(81)는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기 전에 산화됨으로써, 식품 중의 영양 성분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항산화제는 매우 산화되기 쉬운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항산화제(81)는 비타민 C, 비타민 E 및 효소 처리 루틴 등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자연 식품에 함유되는 산화 방지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이나 토코페놀 등이 사용된다.
또한, 항산화제(8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프와 바인더에 혼합되고, 또한 입자 형상이다. 이 항산화제(81)는 삼방면 밀봉 포장의 주머니(86)에 수납되어 수지 용기(82)에 수납된다. 또한, 주머니(86)는, 그 형상은 주머니로 한정되지 않고, 항산화제(81)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의 것이면 된다. 또한, 항산화제(81)의 항산화 성분은 주머니(86)를 투과하여 방출되는 구성이다. 즉, 주머니(86)의 재질로서는, PET/PP 혼합 부직포 등이 좋다.
펄프는 수분을 흡수하는, 소위 흡습제의 역할을 한다. 펄프의 배합량이 적 으면 흡습량이 적어지고, 그로 인해 물에 녹기 쉬운 비타민 C가 용출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항산화 성분이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양이 적어져, 원하는 신선도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펄프는 항산화제에 대해 50% 이상 100% 이하의 비율로 배합된다.
수지 용기(82)는 항산화제(81)를 수납한 수지 용기 본체(83)와, 수지 용기 덮개(84)로 이루어져 있다. 수지 용기 본체(83)의 주연부와 수지 용기 덮개(84)의 주연부를 포개어, 당해 양 주연부를 종이(85)가 개재된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다.
수지 용기 덮개(84)는 표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84b)를 형성함으로써, 수지 용기 본체(83)측의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오목부(84c)가 형성되어 있다. 종이(85)는 수지 용기 덮개(84)의 오목부(84c) 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되고, 양 단부가 수지 용기(82)의 외부에 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용기(82) 내에 배치된 항산화제(81)로부터 방출되는 항산화 성분은 끼움 지지된 종이(85)의 부분만을 통해 수지 용기(82)의 외부 공간인 감압 저장실(24) 내로 방출된다. 따라서, 감압 저장실(24) 내로의 항산화 성분의 방출률은 종이(85)의 끼움 지지부의 단면적[바꾸어 말하면, 종이(85)의 두께 또는 폭], 끼움 지지부에 있어서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 중의 항산화제(81)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한 경우, 아스코르브산은 상온에서 고체이고, 통상 감압해도 기화되지 않는다. 그래서, 예의 연구의 결과, 아스코르브산과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혼합함으로써 항산화제를 유효하게 방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6은 아스코르브산 방출 하에서 3일간 보존했을 때의 시금치의 비타민 C 잔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 7은 아스코르브산 방출 하에서 3일간 보존했을 때의 다랑어의 K값을 측정한 결과를, 도 8은 아스코르브산 방출 하에서 3일간 보존했을 때의 쇠고기의 색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의 부호 101은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가 없는 경우, 부호 102는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 중의 항산화제(81)를 아스코르브산 분말과 흡착제와 우레탄을 혼련한 입자로 한 경우, 부호 103은 부호 102의 우레탄을 메틸셀룰로오스로 한 경우, 부호 104는 부호 102의 우레탄을 절반으로 한 경우, 부호 105는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 중의 항산화제(81)를 아스코르브산 분말로 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우레탄이나 메틸셀룰로오스는 아스코르브산 분말과 흡착제의 바인더로 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분말뿐인 경우(105)는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가 없는 경우(101)와 동등한 값으로, 항산화 작용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바인더에 우레탄을 활용한 경우(102)와 메틸셀룰로오스를 활용한 경우(103)는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가 없는 경우(101)보다 비타민 C가 많이 잔존하고, 신선도의 지표인 K값이 작고, 쇠고기의 색조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바인더에 우레탄을 활용한 경우(102)와 우레탄을 절반으로 한 경우(103)를 비교하면, 절반으로 한 경우(103)의 쪽이 항산화 작용은 작다. 이와 같 이, 바인더의 사용량에는 최적량이 있고, 바인더와 항산화제의 배합비는 항산화제(1)에 대해 바인더가 0.05 이상, 0.5 이하의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인더는 항산화제에 대해 5% 이상 0.5%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항산화제(81)의 항산화 성분의 방출량과 감압량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항산화제(81)의 항산화 성분의 방출량과 감압량의 관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산화제(81)의 항산화 성분의 방출량과 감압량의 관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은, 밀폐 용기에 항산화제(81)를 내부에 구비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80)를 넣고, 부압 펌프에 의해 밀폐 용기 내의 공기를 흡출하여 밀폐 용기 내를 감압하여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때의 밀폐 용기 내의 항산화제(8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9에 있어서, 종축에 항산화제 농도, 횡축에 일정 감압이 되었을 때를 0분으로 했을 때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부호 28은 밀폐 용기 내를 0.7기압으로 유지한 경우, 부호 29는 밀폐 용기 내를 0.95기압으로 유지한 경우, 부호 30은 대기압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밀폐 용기 내가 대기압의 96인 경우, 항산화제의 밀폐 용기 내의 농도는 상승하지 않았던 것에 비해, 감압된 94, 95는 항산화제의 농도가 상승하는 동시에, 또한 0.95기압으로 유지한 95보다도 용기 내를 0.7기압으로 유지한 94의 쪽이 방출량이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감압함으로써 항산화제(81)를 밀폐 용기 내에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폐 용기의 감압 량으로 항산화제(81)의 항산화 성분의 방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밀폐 용기 내의 압력을 낮게 하면 할수록 밀폐 용기의 내압 구조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밀폐 용기의 비용이 증대된다. 따라서, 감압 시의 압력은 0.80 내지 0.9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중앙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실의 최하단 공간 부분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의 단독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6은 항산화제의 배합 성분의 차이에 의한 시금치의 비타민 C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항산화제의 배합 성분의 차이에 의한 다랑어의 K값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항산화제의 배합 성분의 차이에 의한 쇠고기의 색조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항산화제의 항산화 성분의 방출량과 감압량의 관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감압 저장실
50 : 감압 저장실 덮개
80 :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
81 : 항산화제
82 : 수지 용기
83 : 수지 용기 본체
84 : 수지 용기 덮개
85 : 종이

Claims (11)

  1. 냉장고 내에 형성되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로 감압되는 저장실 내에 항산화제를 갖는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항산화제는 대기압 상태보다도 낮은 압력 상태 하에서 항산화 성분이 많이 방출되고, 상기 항산화제는 펄프와 바인더에 혼합되어 입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로서 비타민 C, 비타민 E 및 효소 처리 루틴 중 어느 하나의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자연 식품에 함유되는 산화 방지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브산 또는 토코페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는 상기 항산화제에 대해 50% 이상 100% 이하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 또는 메틸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항산화제에 대해 5% 이상 50% 이하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감압 시의 압력을 0.80 내지 0.95기압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은 상기 항산화제와, 상기 항산화제를 수납한 수지 용기 본체와 수지 용기 덮개를 갖는 수지 용기와, 상기 수지 용기의 내부의 항산화 성분을 그 외부로 유도하여 방출하는 종이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용기 본체의 주연부 및 상기 수지 용기 덮개의 주연부를 그 일부에 상기 종이를 개재하고 포개어 당해 양 주연부를 접합하고, 상기 끼움 지지된 상기 종이의 부분만을 통해 상기 항산화 성분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 덮개는 상기 수지 용기 본체측의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종이는 상기 수지 용기 덮개의 오목부 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당해 수지 용기의 외부에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항산화제를 내부에 구비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에 있어서, 밀폐되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로 감압되는 감압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항산화제는 대기압 상태보다도 낮은 압력 상태 하에서 항산화 성분이 많이 방출되고, 상기 항산화제는 펄프와 바인더에 혼합되어 입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를 수납한 수지 용기 본체와 수지 용기 덮개를 갖는 수지 용기와, 상기 수지 용기의 내부의 항산화 성분을 그 외부로 유도하여 방출하는 종이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용기 본체의 주연부 및 상기 수지 용기 덮개의 주연부를 그 일부에 상기 종이를 개재하고 포개어 당해 양 주연부를 접합하고, 그 내부 공간을 끼움 지지된 상기 종이의 부분만을 통해 상기 항산화 성분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
KR1020090012667A 2008-08-08 2009-02-17 냉장고 KR101050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4976 2008-08-08
JP2008204976A JP5011231B2 (ja) 2008-08-08 2008-08-0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304A true KR20100019304A (ko) 2010-02-18
KR101050329B1 KR101050329B1 (ko) 2011-07-19

Family

ID=4165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667A KR101050329B1 (ko) 2008-08-08 2009-02-1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11231B2 (ko)
KR (1) KR101050329B1 (ko)
CN (1) CN1016445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353A (ko) * 2010-08-24 2012-03-0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JP2012057884A (ja) * 2010-09-10 2012-03-2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及び冷蔵庫の製造方法
CN103418015B (zh) * 2012-05-14 2018-03-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除臭装置以及具有该除臭装置的冰箱
JP6211797B2 (ja) * 2012-05-14 2017-10-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臭剤を備えた除臭装置、および除臭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15040632A (ja) * 2013-08-20 2015-03-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223865B2 (ja) * 2014-03-05 2017-11-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190332B2 (ja) * 2014-07-16 2017-08-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978A (en) * 1976-02-17 1977-11-15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cooling pellets
JP3626934B2 (ja) * 1999-07-27 2005-03-09 松下冷機株式会社 抗菌装置および抗菌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1219977A (ja) 2000-02-08 2001-08-14 Kanae Co Ltd ガス徐放用包装体
KR100379487B1 (ko) * 2000-12-13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4036917A (ja) * 2002-06-28 2004-02-05 Toshiba Corp 冷蔵庫
JP3879608B2 (ja) * 2002-07-12 2007-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
JP3879634B2 (ja) * 2002-09-03 2007-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05049079A (ja) * 2003-07-31 2005-02-24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KR100745816B1 (ko) 2004-03-23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식품산화방지 키트
JP2006056912A (ja) * 2004-08-17 2006-03-02 Makku:Kk ビタミン機能性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40055A (ja) * 2006-03-08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2008082595A (ja) * 2006-09-27 2008-04-10 Tosei Electric Corp 冷蔵庫、及び低温・減圧保存方法
JP4015687B1 (ja) * 2007-06-22 2007-11-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329B1 (ko) 2011-07-19
CN101644522A (zh) 2010-02-10
JP2010038494A (ja) 2010-02-18
JP5011231B2 (ja) 2012-08-29
CN101644522B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329B1 (ko) 냉장고
JP5572599B2 (ja) 冷蔵庫
CN106766565B (zh) 冰箱
CN106705536B (zh) 冰箱
JP5384259B2 (ja) 冷蔵庫
CN106813441B (zh) 具备高氧储肉功能的冷藏冷冻装置
CN106705534B (zh) 具备高氧储肉功能的冷藏冷冻装置
KR101033383B1 (ko) 산화 억제 카세트 및 이것을 구비한 냉장고
KR100979609B1 (ko) 냉장고
JP5237908B2 (ja) 冷蔵庫
JP2543185B2 (ja) 冷蔵庫
JP2015040632A (ja) 冷蔵庫
JP2011027294A (ja) 冷蔵庫
JP2010101566A (ja) 冷蔵庫
JP5677913B2 (ja) 冷蔵庫
JP2014196894A (ja) 冷蔵庫
KR101118722B1 (ko) 냉장고 야채실의 독립된 온도제어를 위한 야채실 구조
JP5753743B2 (ja) 冷蔵庫
JP2574457B2 (ja) 冷蔵庫
CN106642914B (zh) 冷藏冷冻设备
JP2010266097A (ja) 冷蔵庫
CN106705538B (zh) 冰箱
KR20040083548A (ko) 냉장고의 씨에이 저장장치
JP2013050229A (ja) 冷蔵庫および冷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