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35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353A
KR20120019353A KR1020110013944A KR20110013944A KR20120019353A KR 20120019353 A KR20120019353 A KR 20120019353A KR 1020110013944 A KR1020110013944 A KR 1020110013944A KR 20110013944 A KR20110013944 A KR 20110013944A KR 20120019353 A KR20120019353 A KR 20120019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er member
lid member
food tra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벳짜꾸
마사노부 이시즈까
신따로오 구사노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8673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864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867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47346A/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creating a vacuum in a stor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조절 기능을 갖는 동시에, 수납 용적을 확대한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는 제1 외곽 부재와, 상기 제2 개구를 막는 제2 외곽 부재로 구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곽 부재의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 및 상기 제2 외곽 부재의 주연에 각각 대향하는 용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의 상기 용착부는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2 외곽 부재의 상기 용착부는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장고는, 감압 저장실을 구성하는 일체 성형 가공으로 만들어진 외곽 부재와 덮개 부재가 설치되고, 이 외곽 부재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와 함께 식품 트레이를 끌어내게 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냉장고는, 냉장고 안에 형성되는 저장실에 항산화제를 내부에 구비한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를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냉장고는, 감압실의 상면을 강화 유리, 하면을 철판으로 보강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감압실 덮개는 감압실의 좌우 외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전후로 왕복 운동하는 구성이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랙 기어와, 랙 기어와 맞물려서 연결된 좌우의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제4324635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공개제2010-38494호공보 [특허문헌3]일본특허공개제2009-036453호공보
여기서, 감압 저장실을 대형화, 즉 폭을 확대해서 내용적을 늘릴 수 있으면, 다양한 식품을 수납하기 쉬워져,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구성으로 단지 대형화하고자 하면, 구조상 감압 보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개구로부터 안쪽을 향할수록 감압실은 좁아져, 개구로부터 안쪽 면까지를 똑같은 단면적으로 할 수는 없어, 내용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감압 저장실을 감압했을 때에 항산화 성분을 방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는 감압 저장실 내부에 설치하므로, 식품을 수납하는 공간에 가능한 한 영향을 주지 않는 부위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에 닿으면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어, 물에 가능한 한 닿지 않는 부착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수지 일체 성형의 경우, 탈형 방향의 제약으로 인해 항산화 성분 방출 카세트를 상면에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다음에, 특허 문헌 3의 구성으로 폭을 확대하면, 강화 유리와 철판 모두 대형화되어 질량이 증대된다. 또한, 비용도 상승해서 가정용 냉장고의 양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의 구성에 있어서, 폭이 약 400㎜인 감압실의 경우, 무게는 약 7㎏이 된다. 그 폭을 1.5배로 확대한 것으로 하면, 약 10㎏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체 조절 기능을 갖는 동시에, 수납 용적을 확대한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본 출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는 제1 외곽 부재와, 상기 제2 개구를 막는 제2 외곽 부재로 구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곽 부재의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 및 상기 제2 외곽 부재의 주연에 각각 대향하는 용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의 상기 용착부는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2 외곽 부재의 상기 용착부는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 조절 기능을 갖는 동시에, 수납 용적을 확대한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 본체를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냉장실 도어와 감압실 덮개를 모두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진공 펌프와 감압실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감압실의 구성을 비스듬하게 앞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은 외곽 부재를 앞 상방으로부터 본 간략 사시 분해도.
도 8은 도 7의 C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9는 도 7의 K-K선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H-H선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J-J선 단면도.
도 12는 도 6을 C 방향으로부터 본 화살표도.
도 13은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F-F선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6의 A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6의 B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8은 피니언 기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20은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며, 감압실의 덮개 부재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감압실의 구성을 비스듬하게 앞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덮개 부재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12의 G-G선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압실을 구성하는 상하로 분할된 외곽 부재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압실을 구성하는 상하로 분할된 외곽 부재의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감압실을 구성하는 상하로 분할된 외곽 부재의 접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6은 도 19에 도시한 감압실의 덮개 부재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 주위의 개폐 핸들에 의한 덮개 부재의 로크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19에 도시한 감압실의 덮개 부재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 주위의 로크의 바로 앞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19에 도시한 감압실의 덮개 부재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 주위의 개폐 핸들에 의한 덮개 부재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를 감압실로부터 꺼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랙과 피니언 기어와의 맞물림과, 외곽 부재와 식품 트레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
도 31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의 개폐의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D-D 단면도.
도 32는 랙과 피니언 기어와의 맞물림을 설명하는 부분도.
도 33은 랙과 피니언 기어와의 맞물림을 설명하는 부분도.
도 34는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5는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6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7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8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9는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40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41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42는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43은 덮개 부재와 식품 트레이와의 제거 및 부착의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44는 접합부를 둥근 패킹으로 밀봉한 경우의 설명도.
도 45는 접합부를 용착에 의해 밀봉한 경우의 설명도.
도 46은 감압실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7은 감압실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8은 감압실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감압실의 측단면도.
도 50은 도 49의 외곽 부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의 냉장고 본체(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개념도이다.
<냉장고 본체(1)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냉장고 본체(1)는 최상부에 6℃ 전후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인 냉장실(2), 최하부에 6℃ 전후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인 야채실(6)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2)과 야채실(6) 사이에는, 이들의 양 실과 단열적으로 구획된 0℃ 이하의 냉동 온도대(예를 들어, 약 -20℃ 내지 -18℃의 온도대)의 냉동실인 제빙실(3), 급속 냉동실(4) 및 냉동실(5)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저장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부 단열 구획벽(31a), 하부 단열 구획벽(31b)에 의해 구획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2) 안에는 감압실(13)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압실(13)은 칠드실이며, 약 1℃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냉장실(2)은 전방측에, 좌우로 분할된 좌우 여닫이(소위 프렌치형)의 냉장실 도어(2a, 2b)를 구비하고 있다. 제빙실(3), 급속 냉동실(4), 냉동실(5), 야채실(6)은, 각각 인출식의 제빙실 도어(3a), 급속 냉동실 도어(4a), 냉동실 도어(5a), 야채실 도어(6a)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안과 밖은 내부 상자(10a)와 외부 상자(10b) 사이에 발포 단열재(발포 폴리우레탄)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 상자체(1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냉장고 안은, 상부 단열 구획벽(31a)에 의해 냉장실(2)과, 급속 냉동실(4) 및 제빙실(3)[도 1 참조, 도 2 중에서 제빙실(3)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구획되고, 하부 단열 구획벽(31b)에 의해, 냉동실(5)과 야채실(6)이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2a, 2b)의 고 내측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32)이 구비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또한, 냉장실(2)은 복수의 선반(37)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37)에 의해, 냉장실(2)은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저장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또한, 최하단의 저장 공간에는 감압실인 칠드실이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속 냉동실(4), 냉동실(5) 및 야채실(6)은, 각각의 저장실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와 일체로, 수납 용기(3b, 4b, 5b, 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실 도어(3a), 급속 냉동실 도어(4a), 냉동실 도어(5a) 및 야채실 도어(6a)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부에 손을 얹어 앞쪽으로 끌어냄으로써, 수납 용기(3b, 4b, 5b, 6b)를 끌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감압실(13)은 전방 개구를 개폐하는 감압실 덮개(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 도어(2a, 2b)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감압실 덮개(16)의 손잡이부(27)에 손을 얹어서 덮개 부재(16)를 앞쪽으로 끌어냄으로써, 감압실(13)의 수납 용기를 끌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냉장고 본체(1)에는, 상기 냉동 및 냉장을 행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이 압축기, 응축기, 캐필러리 튜브, 냉매의 기화열을 빼앗아 냉각원이 되는 증발기, 그리고 다시 압축기의 순으로 접속해서 구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냉각원이 되는 증발기는 제빙실(3), 급속 냉동실(4) 및 냉동실(5)의 후방에 설치되고, 송풍 팬에 의해 증발기의 냉기가 제빙실(3), 급속 냉동실(4) 및 냉동실(5)로 이송된다. 또한, 냉장 온도 이하가 되면 폐색하는 개폐 가능한 댐퍼 장치를 지나 냉장실(2) 및 야채실(6)의 각 저장실로 이송된다. 또, 냉기가 각 저장실로 송풍된 후, 다시 증발기에서 냉각되어 송풍되는 순환 구조로 되어 있다. 각 저장실은 다시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제어 장치에 의한 온도 제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다.
도 1의 B-B선 단면도를 도 3에 도시한다. 냉장실 도어(2a)는 지지축(S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2a)에는, 음료 등을 넣는 반투명한 수지 성형의 도어 포켓(32)이 내부측으로 돌출 설치된다. 냉장실 도어(2a)의 이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 및 가이드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 구획부(2a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구획부(2a2)는, 냉장실 도어(2a, 2b)의 폐색 시(도 1 참조)에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2a)를 따른 위치에서 냉장실 도어(2a, 2b) 사이로부터의 냉기 누출을 방지한다. 한편, 냉장실 도어(2a)의 개방 시에는 냉장실 도어(2a)의 두께 방향(2점 쇄선으로 나타냄)으로 요동하여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냉장실 도어(2b)는 지지축(S2)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음료 등을 넣는 반투명한 수지 성형의 도어 포켓(32)이 내부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기체 조절실인 감압실(13)의 구성>
도 3에 도시한 감압실(13)은, 진공 펌프(12)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어, 대기압보다도 낮은 기압, 일례로서 0.8 기압(80kPa) 등으로 감압되는 기체 조절실이다. 즉, 감압실(13)은 식품의 산화 방지, 야채류의 신선 유지 등에 특별한 공기 분위기를 양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13)에는 상면에 리브(14s)가 돌기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감압실(13)과 그 바로 위에 있는 선반(37)과의 사이는 적절한 간극을 마련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구성이다. 감압실(13)의 후방부에는 냉장실(2) 냉기의 흡기구(19)가 마련되고, 감압실(13) 주위의 공기를 흡인해서 냉기를 화살표와 같이 흐르게 함으로써 감압실(13)을 간접적으로 냉각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2b)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2b)의 도어 포켓(32)과 감압실(13)의 덮개 부재(16)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냉장실 도어(2a, 2b)를 모두 개방하고나서 감압실(13)의 덮개 부재(16)를 개방한 상태에서, 좌측 냉장실 도어(2a)를 폐쇄해서 좌측 냉장실 도어(2a)에 마련된 도어 포켓(32)이 덮개 부재(16)의 좌단부에 닿아, 덮개 부재(16)가 경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덮개 부재(16)는 원활하게 안쪽 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냉장실 도어(2a)가 폐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덮개 부재(16)의 단부에만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경사지지 않고 평행을 유지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감압실(13)의 구성을 비스듬하게 앞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감압실(13)은 전방면에 개구(14r)를 갖고(도 7 참조), 편평한 안쪽으로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상하로 2 분할된 외곽 부재(14)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여 개구(14r)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16)에 의해 외주벽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감압실(13)에 저장물을 넣고 꺼내기 위해, 개폐하는 덮개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곽 부재(14)의 외면에는, 단면 계수를 증가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보강 리브가 직선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강 리브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곽 부재(14)의 단면 계수를 증가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면 좋다.
또한, 감압실(13)은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단열 구획벽(31a) 위에 적재하는 구성 외에, 선반(37) 중 어느 하나에 적재하거나, 선반(37)이나 저장실의 상벽부[단열 상자체(10)의 상부]에 현수 수단(100)에 의해 현수하거나 해도 좋다(도 46 내지 도 48 참조). 즉, 감압실(13)의 용기는, 공지의 설치 방법이면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진공 펌프(12)와 감압실(13)과의 구성>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펌프(12)와 감압실(13)을 연결하는 튜브(14i, 14j)는, 접속부로부터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직선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13)의 폭을 넓혀 수납 공간을 넓게 활용하기 위해, 진공 펌프(12)는 감압실(13)의 안쪽에 설치하고 있다. 즉, 진공 펌프(12)의 일부와 감압실(13)의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랩하도록 배치한다. 이로써, 감압실(13)을 도시한 좌측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때, 감압실(13)의 내부를 감압하기 위해, 감압실(13)과 진공 펌프(12)는 구부린 형상(L자 형상)의 튜브(12a)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튜브(12a)는 감압실(13)의 흡입구(13a)를 연결하는 접속 길이와,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10㎜ 이상의 직선부를 갖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진공 펌프(12)와 연결하는 경우도, 접속 길이와 10㎜ 이상의 직선부를 갖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외곽 부재(14)의 개략 형상>
다음에,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외곽 부재(1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외곽 부재를 앞 상방으로부터 본 간략 사시도이다. 외곽 부재(14)는 하부 케이스[140(제1 외곽 부재)]와 상부 케이스[141(제2 외곽 부재)]를 접합부(142)에 있어서 서로 기밀을 유지해서 접합된 구성이며,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분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6의 C 방향 화살표도이다. 도 9는, 도 7의 K-K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도 8은 외곽 부재(14)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보강 리브를 삭제한 가상적인 외곽 부재(14)만의 개략도이다.
외곽 부재(14)의 하부 케이스(140)는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AS(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등을 사용해서 수지 성형되어 있다. 양 측면벽(140a, 140b), 저면벽(14c), 후면벽(140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40)는 전방면 개구(14r) 및 상면 개구(140e)를 형성하고 있다. 즉, 2면을 개구한 형상이다. 전방면 개구(14r)의 상부 변 또한 상면 개구(140e)의 전방측 변을 구성하는 연결부(140f)는, 좌우의 측면벽(140a, 140b)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면 개구(140e)의 전 주위에 걸쳐 이음매 없이 설치된 접합부(142)를 가지고 있다.
외곽 부재(14)의 상부 케이스(141)는,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AS(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등을 사용해서 수지 성형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41)는 상면벽(141e), 양 측면벽(141a, 141b), 후면벽(141d) 및 전 주위에 접합부(142)를 가진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41)는, 하부 케이스(140)의 상면 개구(140e)를 전체 면에 걸쳐 간극 없이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감압실(13)의 측면벽(14a)은 하부 케이스(140)의 측면벽(140a)과 상부 케이스(141)의 측면벽(141a)으로 분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측면벽(14b)은 하부 케이스(140)의 측면벽(140b)과 상부 케이스(141)의 측면벽(141b)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후면벽(14d)은 하부 케이스(140)의 후면벽(140d)과 상부 케이스(141)의 후면벽(141d)으로 각각 분할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의 좌측면벽(14a)의 외면 후방에는, 진공 펌프(12)와의 접속부인 삽입 관통 구멍의 펌프 접속부(14i)가 설치되어 있다.
감압실(13) 안을 진공 펌프(12)로 감압했을 때, 외곽 부재(14)에는 외부의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과의 차압에 의해, 그 전체 면에 균일하게 대기로부터의 하중이 가해진다. 감압실(13)의 내부가 저압이므로, 이 하중은 외곽 부재(14) 전체 면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찌부러뜨리는 방향으로 가해져, 그 크기는 예를 들어 외곽 부재(14)의 평면 치수가 폭 450㎜, 깊이 300㎜로 하고, 차압을 0.2 기압으로 하면 약 270㎏f(약 2700N)라고 하는 큰 하중이 된다.
그로 인해, 외곽 부재(14)의 양 측면벽(14a, 14b), 저면벽(14c), 후면벽(14d), 상면벽(14e)의 각각의 외면은, 단면 계수를 증가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외곽 부재(14)의 각 면은 평면이 아닌, 외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돔 형상의 대략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7에 개념적으로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의 외면벽은 깊이 방향으로도 좌우 방향으로도 외측으로 만곡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곽 부재(14)는, 개구(14r)가 높이 방향보다도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이다. 또한,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높이를 갖는 대략 원호 형상이다. 즉, 외곽 부재(14)는 편평하고 가로로 긴 개구(14r)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써, 저면벽(14c)과 상면벽(14e)은 다른 양 측면벽(14a, 14b), 후면벽(14d)과 비교해서 면적이 크다. 내부를 감압했을 때에 대기압과의 차압에 의해 생기는 하중은 면적에 비례하므로, 저면벽(14c)과 상면벽(14e)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특히 필요해진다. 이때의 하중은, 외측으로부터 외곽 부재(14)를 압축해서 찌부러뜨리는 방향의 하중이므로, 하중을 받는 면을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형상, 예를 들어 공 모양의 일부를 이룬 돔 형상의 구각으로서 강도를 높이고 있다.
도 8은, 도 7의 C 방향 화살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4r)는, 그 주위를 양 측면벽(14a, 14b), 저면벽(14c), 연결부(140f)를 따른 형상이다. 외곽 부재(14)의 어떠한 벽면도,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각 벽끼리의 코너부를 매끄러운 원호에 의해 접속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개구(14r)의 상하 변의 중앙 근방은 개구(14r)의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상면 개구 지지부(14f), 하면 개구 지지부(14g)로 하고 있다.
후술하는 덮개 부재(16)가 폐쇄되었을 때, 개구(14r)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볼록부인 패킹 접촉면(14k)에 덮개 부재(16)에 설치된 패킹(16p)이 압접되어, 밀폐 밀봉을 행한다. 즉, 덮개 부재(16)와 외곽 부재(14)의 개구(14r)와의 사이의 기체 이동을 억제하는 밀봉 부재로서, 패킹(16p)이 마련되어 있다.
도 9는 도 7의 K-K 단면도이다. 즉, 외곽 부재(14)의 세로 방향의 단면을 도시하고, 내면의 높이 치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외곽 부재(14)의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는 ABS, AS 등을 사용하여 수지 성형된 일체 부품이다.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하부 케이스(140), 상부 케이스(141) 각각 외측 형상을 형성하는 외측 금형과, 내면을 형성하는 내측 금형으로 크게 나누어, 수지가 금형 안으로 사출되어 냉각된 후, 내측 금형을 빼내어 하부 케이스(140), 상부 케이스(141) 각각을 금형으로부터 꺼낸다.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의 부착 위치>
다음에, 도 9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항산화 비타민 카세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은 도 6의 H-H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41)의 돔 형상의 정상부 부근에는, 볼록 형상(141g)을 마련하고 있다. 이 볼록 형상(141g)의 공간에는,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인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18)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 형상(141g)은, 도 9,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41)의 돔 형상보다도, 더욱 외측에 설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식품 수납 공간을 방해하지 않고,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18)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18) 주변의 확대도이다.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18)는, 볼록 형상(141g)으로 내부 설치되어 있는 갈고리(141h, 141i)와 볼록 형상(141g)의 내벽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18)를 볼록 형상(141g)으로 마련함으로써, 식품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성분(18a)을, 수납한 식품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광범위하게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항산화 성분(18a)은 일례로서 수용성 비타민 C로 한다. 따라서,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18)는 감압실(13) 안이라도, 될 수 있는 한 수분이 모이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의 상부 케이스(141) 상면으로부터 다시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볼록 형상(141g) 안에,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18)를 설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저장품의 수납 공간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을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저장품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압실(13)의 폭을 확대해서 저장품의 수납량을 늘린 경우라도, 항산화 성분이 감압실(13) 안으로 상방으로부터 쏟아지므로, 저장품의 보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금형 빼냄 방향과 형상>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41)의 외측 금형은 화살표 AA 방향, 내측 금형은 화살표 AB 방향으로 빼내는 것으로 하면, 상면벽(141e)은 개구(14r)의 상단부보다도 더욱 상측으로 볼록해지는 형상, 예를 들어 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40)의 외측 금형은 화살표 BB 방향, 내측 금형은 화살표 BC 방향으로 빼내고, 또한 개구(14r)의 내측을 개구(14r) 측(화살표 BD 방향)으로 빼내는 측면 금형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측면 금형이 아닌 내측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M의 범위에 있어서, 저면벽(14c)은 개구(14r)의 하단부보다도 더욱 하측으로 볼록해지는 형상, 예를 들어 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부분적인 제2 오목부(14w)나 제1 오목부(14z), 혹은 하부 가이드 레일(14y)과 같은 돌기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하부 케이스(140)의 내측 금형은, 또한 후술하는 식품 트레이(17)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레일(14s)이 내측으로 볼록해지므로,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금형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면벽(141e) 및 저면벽(14c)을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돔 형상으로 하고, 또한 외곽 부재(14)의 내면 높이 ra를 개구(14r)의 치수 rh보다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개구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외곽 부재(14)의 내용적을 확대하고, 또한 강성을 높이는데 적합하다.
개구(14r)와 상면 개구(140e) 사이에는, 도 8과 같이, 하부 케이스(140)와 일체가 되는 연결부(140f)를 마련해서 개구(14r)와 상면 개구(140e)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구성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개구를 덮개 부재(16) 내지 상부 케이스(141)에 의해 폐색하여 기밀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분할면 형상>
다음에,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와의 접합부(142)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는, 개구(14r)의 상단부 근방의 연결부(140f)로부터 후면벽(14d)의 높이 방향의 중앙 근방을 향해 후방으로 내려가게 경사진 평면으로 하고, 그 분할면을 따라 접합부(142)를 마련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141)는, 돔 형상을 이룬 상면(141e), 측면(141a, 141b), 후방면(141d)으로 이루어지는 외곽 부재(14)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부분은 접합부(142)로부터 높이(141t)만큼 볼록해지는 형상이며, 주위에 배치되는 리브와 협업하여 감압 시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도를 얻는다.
여기서, 분할면을 도 9에 일점 쇄선(142b)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경사가 적어 수평에 가까운 면으로 하면, 접합부(142)로부터의 볼록량이 작아져서 상부 케이스(141)의 형상은 평면 형상에 가까우므로 강성은 작아지고 감압 시의 변형이 커진다.
또한, 도 9의 2점 쇄선(142c)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과 원호가 조합된 형상으로 한 경우, 상부 케이스(141)의 볼록량은 커져 강성은 얻기 쉬워지지만, 한편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원호의 반경 R에 서로 치수 오차가 있으면 원호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간극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상부 케이스(141)가 도 9의 도시한 우측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면, 경사진 분할면(142d)의 부분에 간극이 생기므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가 밀착되기 어렵다. 즉, 접합부(142)를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접합부 면의 형상, 치수,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의 서로 위치 관계에 고정밀도가 필요해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분할면(142a)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면을 개구(14r) 상면의 후방 근방으로부터, 후면벽(140d)의 대략 중앙부를 연결하는 평면이 되도록 후방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지게 한다. 본 구성에서는, 상부 케이스(141)가 박판 형상이 되지 않아, 두께(141t)를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분할면(142a)은 경사진 평면이므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해도 서로 밀착 상태에는 변화가 없다. 즉, 접합부(142)의 면은 서로 평면이므로 정밀도도 나오기 쉽고, 또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의 위치 관계의 정밀도가 낮아도 기밀을 유지하기 쉬운 구성이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상부 케이스(141), 하부 케이스(140) 모두 수지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외곽 부재(14)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곽 부재(14)는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의 관계를 반대로 하여, 분할면(142a)이 개구(14r)로부터 안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 형상으로 해도 좋다(도 49, 도 50 참조).
<밀봉 구성>
다음에, 접합부(142)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를 기밀을 유지해서 접합하는 구성에 대해, 도 9에 있어서의 Q부의 확대도인 도 23 내지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3의 (a)는 감압실(13) 안, 즉 외곽 부재(14)의 내부가 대기압인 상태, 도 23의 (b)는 감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 사이의 접합부(142)에는, 원형 단면으로 링 형상으로 성형된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부재로 형성된 둥근 패킹(146)을 끼우고, 하부 케이스(140)에 설치된 나사 보스(140g)와 상부 케이스(141)에 설치된 나사 보스(141g)와의 사이를 나사(143)에 의해 체결한 구성이다. 상부 케이스(141)의 나사 보스(141g)와 하부 케이스(140)의 나사 보스(140g)와의 사이는, 간극(144a)을 마련하여 느슨하게 끼워 맞추고 있으며, 나사(143)의 축 방향, 즉 도시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나사 보스(140g, 141g)는 분할면(142a)을 따라 대략 같은 간격으로, 예를 들어 전체 주위에 10 내지 15 부위 정도 마련된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대기압의 상태에서는, 둥근 패킹(146)은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 사이에 끼여 나사(143)의 체결력에 의해, 예를 들어 지름의 5% 정도를 찌부러뜨린 상태이며, 접합부(142)의 전체 주위에 걸쳐 밀착해서 기밀을 유지한다.
진공 펌프(12)를 구동하여 외곽 부재(14)의 내부를 감압하면,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에는 안과 밖의 차압을 0.2 기압으로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약 270㎏f(약 2700N)라고 하는 큰 하중이 가해져 압접된다. 이 하중은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에 끼인 둥근 패킹(146)에 가해져, 예를 들어 지름의 15% 정도를 찌부러뜨려, 안과 밖의 차압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의 높은 기밀을 유지한다. 둥근 패킹(146)이 찌부러져 변형된 만큼, 상부 케이스(141)는 하부 케이스(140)에 근접해서 간극(144a)은 감소해서 간극(144a')이 되고, 나사(143)의 헤드와 상부 케이스(141)의 보스(141g)와의 사이에는 간극(144b)이 발생한다.
도 24는 제2 실시예이며, 도 24의 (a)는 감압실(13) 안, 즉 외곽 부재(14)의 내부가 대기압인 상태, 도 24의 (b)는 감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와의 차이는, 둥근 패킹(146) 대신에, 그 횡단면의 외주 중앙이 내부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47a)를 가진 대략 사각 단면 형상으로 링 형상으로 성형된 패킹(147)을, 하부 케이스(140)로부터 볼록해지는 패킹 접촉부(140h)와의 사이에서 압박시킨다.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가 다소 기울어진 경우나, 접촉하는 면의 정밀도가 좋지 않은 경우라도, 오목부(147a) 안으로 유연하게 패킹(147)이 탄성 변형되어, 그 치우침을 흡수해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 사이를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진공 펌프(12)를 구동해서 외곽 부재(14)의 내부를 감압하면, 패킹(147)의 오목부(147a)는 찌부러지고, 둥근 패킹(146)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두께 15% 정도를 찌부러뜨려 안과 밖의 차압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의 기밀을 유지한다.
도 25의 (a)는, 제3 실시예이며, 패킹과 같은 기밀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진동 용착에 의해 일체화한 예이다. 상부 케이스(141)의 주위에는, 접합부(142)를 따라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한 리브인 용착부(148)를 마련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를 화살표 방향으로 압접하여 진동을 가하면, 마찰열에 의해 용착부(148)가 용해된다. 이로써,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가 일체적으로 용착되어 기밀을 얻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와 같은 패킹이나 나사가 불필요해 간단한 구성으로 저렴하게 외곽 부재(14)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합부(142)를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했으므로,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를 압접했을 때의 압접력의 분포가 똑같으며, 또한 진동을 가했을 때의 마찰열의 발생도 똑같으므로, 확실하게 용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또, 용착부(148)는 상부 케이스(141)가 아닌, 하부 케이스(140)에 마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 25의 (b)는 제4 실시예이며, 열 용착에 의해 일체화한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케이스(141)의 주위에 접합부(142)를 따라 전 주위에 걸쳐 설치한 리브인 용착부(149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40)에도 접합부(142)를 따라 전 주위에 용착부(149b)를 마련한다. 접합 방법은, 우선 용착부(149a, 149b) 사이에 고온의 열판이 접하는 일이 없도록, 근접하도록 배치하여 용착부(149a, 149b)를 용융한다. 그 후, 화살표 방향[용착부(149a, 149b)의 전 주위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접하여,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41)를 일체적으로 용착한다. 이로써, 기밀을 얻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제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와 같은 패킹이나 나사가 불필요해 간단한 구성으로 저렴하게 외곽 부재(14)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용착부(149a, 149b)를 균등하게 용융하기 위해서는, 평면도가 요구된다. 그래서, 용착부(149a)는 평면도를 높이기 위해 상부 케이스(141)의 경사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리브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140)의 개구부(14r)의 주위에 설치된 패킹 접촉면[14k(도 7 참조)]의 평면도도 필요해진다. 또한, 성형 시의 금형의 빼냄 방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하부 케이스(140)의 용착부(149b)는 경사면에 대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인 방향으로 리브를 설치하고 있다[도 25의 (b)의 확대도 참조]. 환언하면, 하부 케이스(140) 및 상부 케이스(141)의 각각의 주연에 대향하는 용착부(149b, 149a)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140)의 용착부(149b)는 경사면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된 형상이며, 상부 케이스(141)의 용착부(149a)는 경사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이로써, 용착부(149a, 149b)를 압접했을 때는, 용착부(149a, 149b)가 직선적이 아닌 각도를 가진 상태가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용착부(149a, 149b)가 서로 경사져서 접하므로, 용착 시의 위치가 다소 어긋났다고 해도, 리브 선단부 이외의 측부 등의 부분에서 접하여 용착된다. 따라서, 용착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실시예와 같이 진동시키는 일 없이 용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진동 폭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3 실시예보다도 공간을 절약하여 용착해서 밀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40)의 연결부(140f)는, 개구(14r)와 상면 개구(140e)에 끼인 가는 영역이므로 강도가 약하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용착부(148)를 지나 연결부(140f)는 상부 케이스(141)와 용착되어 일체가 된다. 따라서 연결부(140f)의 단일 부재보다도 강도가 올라가, 감압 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적합하다. 제4 실시예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용착부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 사이를 접착재,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계의 접착재에 의해 접착해서 외곽 부재(14)를 구성해도 좋다.
<용착부 리브 형상>
다음에, 전술한 용착부(148, 149a, 149b)의 형상에 대해, 도 25를 이용하여 다시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감압실(13)은, 진공 펌프(12)에 의해 튜브(12a)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어,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으로 감압된다. 그로 인해, 용착부(148, 149a, 149b)에는 상부 케이스(141), 하부 케이스(142)가 감압 시의 대기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는 영향으로 인장 응력이 발생한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착부(148)에 변형이 더해지면, 용착부(148)의 외측에 큰 인장 응력이 발생한다.
도 25의 (c)는, 도 25의 (b)의 하부 케이스(140)를 D 방향으로부터 본 화살표도이다. 감압 시의 응력 집중을 개선하기 위해, 도 25의 (c)의 사선부와 같이, 용착 리브(149b)는 2개 이상 배치하고 있다. 또한, 용착 리브(149b) 사이는 용착 리브 폭의 2배 이상 넓게 한다. 이로써, 용착부(149)에 가해지는 응력을, 도 25의 (a)에 도시한 용착 리브(148)보다 대폭으로 감소(반감 이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착 리브(149b) 사이를 보조 리브(149A)로 연결하여, 상부 케이스(141)의 용착 리브(149a)에도 동일한 위치에 보조 리브(149A)를 설치하여 서로를 용착시킨다. 이로써, 인장 응력을 다시 분산해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리브(149A)는 인장 응력이 높아지는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더욱 분산시킬 수 있다.
이 효과에 의해, 용착부를 공간을 절약하여 마련하는 동시에, 용착 강도를 높일 수 있어, 감압실(13)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4와 도 45를 이용하여, 접합부(142)를 둥근 패킹(146) 등의 유연한 부재로 밀봉한 경우(도 44)와, 용착에 의해 밀봉한 경우(도 45)의 외곽 부재의 강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4 및 도 45는, 도 10의 (a)와 같은 개략 단면도이며, 실선이 대기압 시, 파선이 감압되어 변형되었을 때의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의 개략 형상을 나타낸다.
내부가 감압되면, 외곽 부재(14)의 모든 면이 대기압 p에 의한 하중을 받아, 내측으로 찌부러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그 변형은 면적이 큰 상면과 하면이 특히 크다.
도 44에서는, 둥근 패킹(146)이 찌부러져 압축력을 받는다. 그러나 둥근 패킹(146)은 유연하므로, 각도 θ 방향으로의 모멘트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접합부(142)에서의 θ 방향의 회전 휨을 억지할 수 없어,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의 휨량 δ1은 커진다.
한편, 도 45에 있어서는, 접합부(142)가 용착부(149a, 149b)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접합부(142)에서는 θ 방향의 회전 휨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의 부품 단일 부재에서의 강성이 동등하더라도, 감압 시의 휨량 δ2는 외곽 부재(14)로서 조립한 경우에 δ2 < δ1이 된다. 즉, 용착에 의해 접합한 경우의 쪽이, 패킹을 개재한 경우보다도 강성이 높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용착에 의해 접합해도 마찬가지이다. 이 효과에 의해, 외곽 부재(14)의 강성을 향상해서 감압 시의 휨량을 줄일 수 있다.
<재료>
또한, 외곽 부재(14)의 재료로서는, 내부를 감압했을 때의 차압에 의한 하중에 견디는 강도를 얻는 동시에, 감압 시의 휨량을 줄여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압축하지 않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섬유 형상의 보강 충전재로서, 유리 섬유나 카본 섬유를 혼입해서 보강한 ABS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로써, 굽힘 강도가 크고, 또한 영률(탄성 계수)도 커져 외곽 부재(14)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7, 도 8, 도 9, 도 11, 도 1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의 개구(14r)의 내측에 있어서는, 상면벽(14e)으로부터 내측으로 볼록해지는 상면 개구 지지부(14f), 저면벽(14c)으로부터 내측으로 볼록해지는 하면 개구 지지부(14g)를, 전방 개구(14r)의 후면측에 설치하고 있다. 개구(14r)의 테두리에는 패킹 접촉면(14k)을 가지고, 상면 개구 지지부(14f)는 경사면(14m)과, 하면 개구 지지부(14g)는 경사면(14n)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덮개 부재(16)와 개구(14r)의 관계>
다음에, 덮개 부재(16)와 개구(14r)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도 13은, 덮개 부재(16)가 폐쇄되어, 덮개 부재(16)에 설치된 후술하는 보강 지지부[H(1점 쇄선으로 도시함)]가 외곽 부재(14)의 상면 개구 지지부(14f), 하면 개구 지지부(14g)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면 개구 지지부(14f), 하면 개구 지지부(14g)와의 간격, 즉 개구(14r)의 높이 방향의 치수는 보강 지지부(H)의 높이 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이로써, 보강 지지부(H)가 원활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감압실(13) 안을 감압하여, 외곽 부재(14)의 외면에 대기압의 차압에 의한 하중이 더해지면, 외곽 부재(14)는 압축되어 상기 간극은 없어진다. 그렇게 하면, 상면 개구 지지부(14f), 하면 개구 지지부(14g)는 보강 지지부(H)의 상하에 각각 접촉한다. 이로써, 그 이상으로 압축되는 일은 없으므로 개구(14r)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접촉부에 있어서는, 외곽 부재(14)는 외측으로부터 대기압에 의해 압축되어 내측으로 휘면서 보강 지지부(H)와 접한다. 즉, 균일하게 접하는 일은 없으며, 보강 지지부(H)의 좌우 단부에 있어서 외곽 부재(14)에 접하고, 외곽 부재(14)와의 사이에서 반력(F1)이 생긴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면 개구 지지부(14f)의 폭을 대강 L2, 개구 지지부보다 외측의 개구(14r)의 폭을 대강 L1이라 한다. 그렇게 하면, L1과 L2는 대략 비슷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면 보강부(14f)의 범위와 상면벽(14e)의 범위에 가해지는 차압에 의한 하중은 각각 대략 비슷하게 균등해진다. 따라서, 특정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일이 없어, 상면 개구 지지부(14f)와 그 외측의 개구 범위에 생기는 응력은 거의 동등해져서, 반복 하중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긴 수명화와 고신뢰화가 도모된다.
저면벽(14c)과 하면 개구 지지부(14g)와의 폭에 대해서도, 같은 치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부재(14)의 형상에다가 또한 양 측면벽(14a, 14b), 저면벽(14c), 후면벽(14d), 상면벽(141e), 상면 개구 지지부(14f), 저면 개구 지지부(14g)의 각각의 외면에는, 단면 계수를 증가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보강 리브가 직선 형상, 격자 형상 등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차압에 의한 변형에 저항하는 강도를 한층 확보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40)의 측면벽(140a, 140b)의 내면측에는, 깊이 방향을 따른 돌기인 가이드 레일(14s, 14s)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식품 트레이(17)에 설치된 한 쌍의 돌기(17g, 17g)를 통하여 식품 트레이(17)의 후단부 측을 지지한다.
외곽 부재(14)를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하여, 수지에 의해 성형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를 접합부(142)에 의해 접합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외곽 부재(14)를 수지에 의해 성형하여 간소화해서 경량화하는 동시에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어, 내용적의 확대와 강성의 증가를 양립시킬 수 있다.
<감압실(13)의 전체 구성>
이하, 외곽 부재(14)를 구비한 감압실(13)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도 6에 도시한 감압실(13)의 C 방향 화살표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E-E 단면도이다. 도 16은,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를 외곽 부재(14)로부터 제거하여, 도 6의 A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은, 도 6의 B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식품 트레이(17)는 1점 쇄선으로 일부를 생략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외곽 부재(14) 안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5)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식품 트레이(인출 용기)>
외곽 부재(14) 안에 배치되는 식품 트레이[17(인출 용기)]는, AS 등의 투명한 수지 성형품이다.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벽(17a, 17b), 저면벽(17c), 후면벽(17d) 및 전면벽(17e)을 가지고 있다.
식품 트레이(17)의 전면벽(17e)에는, 이후에 서술하는 보강 지지부(H)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17f)와, 보강 지지부(H)를 따라 전면벽(17e)과 오목부(17f)를 접속하는 중앙 측벽부(17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측벽부(17h) 및 측면벽(17a, 17b)에는, 식품 트레이(17)를 덮개 부재(16)에 부착하고, 덮개 부재(16)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기 위한 두 쌍의 부착 갈고리(17t1, 17t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벽(17a, 17b)의 후면벽(17d) 근방에는, 좌우 한 쌍의 돌기(17g, 17g)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f)의 덮개 부재(16) 측에는 볼록부인 스토퍼(17n)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두 쌍의 부착 갈고리(17t1, 17t2)는, 하부가 개구되어 한 변이 하방으로 연신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 부재(16)에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16g1, 16g2)에 결합한다. 이로써, 식품 트레이(17)를 덮개 부재(16)에 고정하여, 덮개 부재(16)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덮개 부재(16)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끌어내게 되는 식품 트레이(17) 안을 확인하여 식품 트레이(17) 안의 식품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식품 트레이(17)에는 상부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 갈고리(17t3)가 설치되고, 식품 트레이(17)에는 가이드 갈고리(17t3)에 대응하여 설치된 원주 형상의 돌기(16g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이 협업함으로써, 식품 트레이(17)를 덮개 부재(16)로부터 제거 및 부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이드 레일>
도 16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는 서로 일체적으로 개폐 동작되는 구성이다.
식품 트레이(17)의 저면벽(17c)에는 개폐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설치된 가이드 리브(17j, 17j)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곽 부재(14)의 저면벽(14c)의 개구(14r) 근방에는 가이드 리브(17j, 17j)를 적재하는 가이드 돌기(14t, 14t)가 설치되어 있다. 식품 트레이(17)의 저면의 후면측에는 단차인 스토퍼(17m)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7m)는 외곽 부재(14)의 저면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 레일(14y)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적재된다.
식품 트레이(17)의 개구(14r)에 근접한 측, 즉 덮개 부재(16) 측은 가이드 리브(17j)가 가이드 돌기(14t)에 적재되어, 식품 트레이(17)의 후면 근방에 설치된 돌기(17g, 17g)의 상면이 가이드 레일(14s, 14s)의 하측 변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 가이드 레일(14y)에는 단차인 스토퍼(14v)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를 일체적으로 개방하면, 완전 개방 위치에서 스토퍼(17m)가 스토퍼(14v)에 닿아, 그 이상으로는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이므로, 식품 트레이(17)는 덮개 부재(16)와 일체가 되어 전후 방향[도 13의 지면(紙面)의 좌우 방향, 도 15의 지면 연직 방향]으로 안내된다.
<저면 랙 피니언>
다음에, 식품 트레이(17)의 저면벽(17c)의 하면, 즉 외곽 부재(14)의 저면벽(14c)에 면한 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 기어인 랙(17k)이, 좌우 대칭으로 서로 거리를 유지해서 2열 설치되어 있다.
외곽 부재(14)의 저면벽(14c)에 개구(14r)에 평행하게 설치된 저면 오목부(14w)에는, 도 18에 도시한 피니언 기어(15)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5)는 서로 연결 축(15b)에 의해 결합하여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피니언 기어(15a)와, 피니언 기어(15a)의 외측으로 더욱 돌출된 지지축(15c)을 구비하고 있다.
외곽 부재(14)의 저면 오목부(14w)는, 상기 피니언 기어(15a)의 지름보다 큰 대략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저면 오목부(14w)의 좌우 양단부는 피니언 기어(15)의 지지축(15c)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지지 오목부(14x)로 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5)는, 단지 저면 오목부(14w)에 상방으로부터 떨어져 들어가게 되어 있을 뿐이므로, 식품 트레이(17)를 빼고나서 손가락으로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뺄 수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저면 오목부(14w)나 피니언 기어(15)가 더럽혀진 경우라도, 간단하게 제거해서 청소나 세정을 할 수 있다.
식품 트레이(17)가 외곽 부재(14) 안에 배치되면, 식품 트레이(17)에 설치된 랙(17k)과, 외곽 부재(14)의 저면 오목부(14w)의 내부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5a)는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랙(17k)은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가 개폐 이동하는 모든 범위에 걸쳐 피니언 기어(15a)와 맞물리는 것은 아니며,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의 완전 폐쇄된 위치로부터 거리(L1)의 범위에는 랙(17k)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 쌍의 랙(17k)은 식품 트레이(17)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한 쌍의 피니언 기어(15a)는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며, 식품 트레이(17)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랙과 피니언이 맞물림을 계속해서 연동하므로, 덮개 부재(16)는 개구(14r)에 대하여 항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구성이다. 즉, 덮개 부재(16)의 중앙부가 아닌 단부에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덮개 부재(16) 내지 식품 트레이(17)는 좌우로 경사지는 일이 없어, 평행을 유지한 채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덮개 부재(16) 및 식품 트레이(17)를 전후로 개폐 이동하기 위해 특별히 레일 부재 등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게다가 또한 피니언 기어를 저어널하기 위한 지지축 등의 부품도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간편한 구성으로 안정되게 덮개 부재(16) 및 식품 트레이(17)를 개폐 동작 가능하다.
<덮개 부재(16)의 구성>
덮개 부재(1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설치된 지지축(16s) 주위로 개폐 핸들(2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덮개 부재(16)에는, 도 16에 도시한 차압 배출 밸브(V)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개폐 핸들(26)을, 사용자가 잡아서 덮개 부재(16)의 개폐 조작 및 덮개 부재(16)의 폐색 시의 로크가 행해지는 동시에, 차압 배출 밸브(V)의 개폐가 행해진다.
또한, 감압실(13)이 진공 펌프(12)에 의해 감압된 경우, 감압실(13) 외부의 대기압과, 감압실(13) 내부의 감압된 압력과의 차압에 의해 덮개 부재(16)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진다. 이로써, 직접, 덮개 부재(16)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래서, 차압 배출 밸브(V)를 개방함으로써 덮개 부재(16)의 내외 공간을 삽입 통과시켜,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없애 차압에 의한 하중을 해소하고, 덮개 부재(16)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덮개 부재(16)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했을 때에, 외곽 부재(14)에 접촉하는 내주연부에 탄성재의 패킹(16p)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패킹(16p)이 외곽 부재(14)와 덮개 부재(16) 사이의 밀봉을 행하고 있다.
패킹(16p)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의 외주 중앙이 내부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6p1)를 가지고 링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패킹(16p)이, 외곽 부재(14)에 대하여 덮개 부재(16)가 다소 기울어져 폐쇄된 경우도, 오목부(16p1) 안으로 유연하게 패킹(16p)이 탄성 변형되어, 그 치우침을 흡수해 외곽 부재(14)와 덮개 부재(16) 사이를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패킹(16p)은 덮개 부재(16)에 설치하는 일 없이, 외곽 부재(14) 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는 좌우 단부(16h)가 불투명한 ABS 등의 수지로 성형되고, 중앙부(16c2)가 감압실(13) 안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AS 등의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덮개 부재(16)의 중앙부(16c2)의 양 측방부(16c1, 16c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덮개 부재(16)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에, 개폐 핸들(26)과 덮개 부재(16) 사이의 공간은 덮개 부재(16)의 양 측방부(16c1, 16c1)와, 개폐 핸들(26)의 봉체(27)의 회전 궤적과의 사이의 거리는, 소정치 이하, 예를 들어 7㎜ 이하로 한다. 즉, 덮개 부재(16)의 양 측방부(16c1, 16c1)는, 개폐 핸들(26)의 봉체(27)가 이동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을 대부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16)의 중앙부(16c2)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면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도록,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가 차지하는 공간이 있으며, 내부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의 중앙부(16c2)의 내부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전방면 개구의 상하 지지부인 보강 지지부(H)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는, 도 12에 있어서의 G-G 방향의 수평 단면도이다.
덮개 부재(16)의 보강 지지부(H)는, 도 16,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의 배면의 중앙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보강 지지부(H)는 내부측에 세워 설치하는 외주 상부 벽면(H1), 외주 하부 벽면(H2), 양 측벽면(H3)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 상부 벽면(H1), 외주 하부 벽면(H2)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hr)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16)의 보강 지지부(H)의 양측 벽면(H3)의 외면에는,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를 고정시키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16g1, 16g2, 16g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6g1, 16g2)에 식품 트레이(17)의 한 쌍의 부착 갈고리[17t1, 17t2(도 16, 도 17 참조)]를 결합시켜, 덮개 부재(16)의 개폐 동작에 식품 트레이(17)를 연동시켜서 외부로 끌어내어, 사용자가 식품 트레이(17) 안의 식품을 확인하기 쉽고, 꺼내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에는 진공 펌프(12)로 감압했을 때에 외부의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과의 차압에 의해 큰 하중이 가해진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를 폐쇄한 경우, 덮개 부재(16)의 내부측의 보강 지지부(H)가, 감압실(13) 안의 외곽 부재(14)의 상면 개구 지지부(14f) 및 하면 개구 지지부(14g)에 접촉하여, 감압실(13) 외부의 대기압과 감압실(13) 안의 저압과의 차압에 의해, 외곽 부재(14)의 상면벽(141e)과 상면 개구 지지부(14f)에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과, 외곽 부재(14)의 저면벽(14c)과 하면 개구 지지부(14g)에 하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차압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고, 이들의 하중에 의해 감압실(13)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의 중앙부(16c2)에는, 차압 배출 밸브(V)의 감압실(13) 안에 삽입 관통하는 차압 배출 구멍(16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16)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압 배출 밸브(V)를 개폐하는 탄성적 성질 및 유연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체(35t)를 갖는 밸브 개폐 부재(35)가, 지지축(35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 개폐 부재(35)가 회전하는 지지축(35s)과, 개폐 핸들(26)이 회전하는 지지축[16s(도 6, 도 13 참조)]은 동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폐 핸들(26)의 개폐 조작을, 밸브 개폐 부재(35)를 개재하여 밸브체(35t)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개폐 핸들(26)의 구성>
도 6, 도 13, 도 19, 도 2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은 알루미늄 봉으로 구성되는 봉체(27)와, 상기 봉체(27)의 좌우 양단부에 한쪽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금속으로 된 지지부(28, 29)와, 중앙부에 봉체(27)가 삽입 관통해서 핸들 조작에 이용되는 손잡이 조작부(36)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핸들(26)의 좌우 지지부(28, 29)는, 각각 중앙부가, 덮개 부재(16)의 좌우 지지축(16s, 16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가이드 롤러(28r, 29r)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은 덮개 부재(16)의 좌우 측부의 지지축(16s, 16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봉체(27)를 좌우 지지축(16s, 16s) 주위의 회전 궤적의 최하부에 위치시킨 경우가, 개폐 핸들(26)에 의해 덮개 부재(16)를 폐색해 로크한 상태이며, 한편,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체(27)를 좌우 지지축(16s, 16s) 주위의 회전 궤적의 상방에 위치시킨 경우가,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를 개방한 상태로 되어 있다.
개폐 핸들(26)의 좌우 지지부(28, 29)의 가이드 롤러(28r, 29r)는, 각각에 대응해 감압실(13) 양측부의 측면벽(14a, 14b)에 설치되는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 30)에 끼워 넣어,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가 행해진다.
도 26, 도 27, 도 28은, 도 19에 도시한 감압실(13)의 덮개 부재(16) 및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및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 주위의 개폐 핸들(26)을 로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26은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8은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7은 도 28의 로크 바로 앞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좌측의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는, 우측의 로크 안내 홈 부재(30)와 같은 구성이므로, 우측의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에 대해 설명하고, 좌측의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된 부재이며, 가이드 롤러(28r)를 측면에서 보아 곡선 형상의 내측벽 가이드(30a)에 접촉시켜서 안내하는 것이다.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는, 측면에서 보아 하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내측벽 가이드(30a)와 접하는 점을 교점(30a1)이라 한다. 이 교점(30a1)과 지지축(16s) 사이의 치수를 c라 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 바로 앞의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내측벽 가이드(30a)와 접하는 점을 교점(30a2)이라 한다. 이 교점(30a2)과 지지축(16s) 사이의 치수를 b라 한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 상태에 있어서의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내측벽 가이드(30a)와 접하는 점을 교점(30a3)이라 한다. 이 교점(30a3)과 지지축(16s) 사이의 치수를 a라 한다.
이 a, b, c 사이에는
b[로크 바로 앞의 상태(도 27)] > a[로크 상태(도 28)] > c[로크 개방 상태(도 26)]의 관계가 성립되는 곡선으로 연속하고, 측면에서 보아 도 26, 도 27, 도 28에 도시한 내측벽 가이드(30a)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개폐 핸들(26)에 의한 덮개 부재(16)의 로크 바로 앞의 상태는, 교점(30a2)과 지지축(16s) 사이의 치수 b가 가장 크다. 이로써,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8)의 가이드 롤러(28r)가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에 강하게 접촉하거나 또는 비틀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지지부(28)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 핸들(26)을 개폐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덮개 부재(16)가 로크되는 감촉을 부여한다. 즉, 클릭감을 부여한 후 로크하도록 내측벽 가이드(30a)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를 잡고, 도 27의 로크 바로 앞의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를 하방으로 밀어내려, 도 28에 도시한 로크 상태에 이른 경우,
b[로크 바로 앞의 상태(도 27)] > a[로크 상태(도 28)]의 관계로부터, 중립 상태의 지지부(28)의 가이드 롤러(28r)가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를 비트는, 즉 강하게 접촉하는 정도가 완화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개폐 핸들(26)의 로크로의 이행 조작에 있어서, 개폐 핸들(26)이 로크 바로 앞의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인입되는 감촉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16)를 열 때에는, 사용자가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를 잡고, 도 28의 로크 상태로부터, 도 27의 로크 바로 앞의 상태를 경유하여, 개폐 핸들(26)의 봉체(27)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도 26에 도시한 로크 개방 상태에 이른다. 이 경우, 교점(30a1)과 지지축(16s) 사이의 치수 c는, 로크 바로 앞의 상태(도 25 참조), 로크 상태(도 28 참조)에 비해 가장 작다. 이로써, 로크 바로 앞의 무거운 감촉의 부분을 일단 통과하지만, 도 27의 상태로부터 도 26의 개방 상태에 이르는 동안에는 지지부(28)의 가이드 롤러(28r)가 덮개 로크 안내 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에 접촉하는 일 없이, 완만한 감촉으로 개폐 핸들(26)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내측벽 가이드(30a)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핸들(26)에 있어서의 손잡이 조작부[36(도 13, 도 19 참조)]는, 사용자가 개폐 핸들(26)을 조작할 경우의 자루부의 기능과, 차압 배출 밸브(V)의 개폐를 안내하는 기능이 있다. 즉, 개폐 핸들(26)의 회전에 의한 개폐 조작을, 밸브 개폐 부재(35)를 통해서 밸브체(35t)의 개폐 밸브 동작에 연동시키고 있다. 도 13과 같이, 개폐 핸들(26)이 폐쇄되면 밸브체(35t)가 밸브 폐쇄되고, 도 19와 같이 개폐 핸들(26)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개방되면 밸브체(35t)가 개방된다.
밸브가 개방된 경우, 도 19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대기가 감압된 감압실(13) 안으로 침입해 차압이 해소되고, 덮개 부재(16)를 개방할 때의 덮개 부재(16)에 가해지는 차압에 의한 하중이 없어져, 원활하게 덮개 부재(16)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덮개 부재(16)가 폐쇄된 후,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조작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를지, 혹은 냉장실 도어(2a, 2b)가 폐쇄되어 도시하지 않은 도어 스위치가 온이 되는 등 후에, 진공 펌프(12)의 운전이 개시되어 감압실(13) 안의 공기가 흡인되어 감압이 개시된다.
감압이 개시되면, 덮개 부재(16)는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과의 차압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압박되고, 패킹(16p)은 핸들에 의해 로크되는 힘 이상의 압박으로 외곽 부재(14)에 대하여 압박된다. 패킹(16p)의 오목부(16p1)는 밀착해서 도 13에 도시한 상태가 되어,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과의 차압에 의한 큰 하중에 의해, 패킹(16p)이 찌부러져서 큰 면압을 발생하므로, 더욱 밀봉성이 양호해져 내부의 부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진공 펌프(12)를 구동해서 감압함으로써, 감압실(13)의 내부를 부압으로 하고, 또한 부압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를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곽 부재(14)를 서로 기밀을 유지해서 접합한 상하 2 분할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용적을 확대하는 동시에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의 개구(14r) 이외는 밀봉되어 있으므로, 덮개 부재(16)와 개구(14r)와의 사이만을 패킹(16p)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감압실(13) 전체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식품 트레이 제거>
식품 트레이(17)가 더럽혀졌을 때 등에는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를 제거해서 물 세척 등을 행한다. 다음에, 도 29 내지 도 31을 이용하여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의 부착 및 제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는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를 제거할 때의 D-D 단면도이다. 도 30은, 랙과 피니언 기어와의 맞물림과, 외곽 부재와 식품 트레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1은, 개폐의 도중 상태를 도시한 D-D 단면도이다.
우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를 완전 개방 위치로 하여, 그 상태에서 덮개 부재(16)의 전단부를 들어올려 경사지게 한다. 이때, 식품 트레이(17)의 저면에 설치된 스토퍼(17m)가 외곽 부재(14)의 저면에 설치된 스토퍼(14v)로부터 벗겨진다. 그대로 기울어져 앞(도 29에서는 도시한 좌측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는 일체가 되어서 빼낼 수 있다. 이 반대의 동작을 행하면 부착할 수 있어, 랙(17k)이 피니언 기어(15a)와 맞물려, 그대로 덮개 부재(16)를 안쪽 방향으로 끝까지 미는 것으로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동작 시에, 랙(17k)과 피니언 기어(15a)와의 맞물림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 30의 (a)는, 일단 빼낸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를 외곽 부재(14)에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0의 (b)는 한 쌍의 랙(17k)과 피니언 기어(15a)가, 예를 들어 좌우로 1 톱니 어긋난 상태에서 맞물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랙 또는 피니언 기어의 모듈을 1.5로 하면, 편차량은 톱니의 1피치 분이므로 약 4.7㎜이다. 이와 같이, 일단 어긋나게 맞물린 채 덮개 부재(16)를 도 30의 (b)와 같이 폐쇄하면, 덮개 부재(16)는 개구(14r)에 대하여 경사진 채 이동하므로, 만약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랙(14k)과 피니언 기어(15a)가 맞물린 상태로 하면, 덮개 부재(16)는 경사진 상태로 개구(14r)를 밀폐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17k)을 개폐의 전 범위에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 덮개 부재(16)를 완전히 폐쇄해서 패킹(16p)이 개구(14r)에 접촉한 상태에서, 랙(17k)은 피니언 기어(15a)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랙(17k)과 피니언 기어(15a)와의 맞물림에 관계없이, 덮개 부재(16)의 패킹(16p)은 완전 폐쇄 시에는 개구(14r)를 따라서 접하므로, 밀폐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30의 (c)에 있어서, 외곽 부재(14)의 개구(14r)로부터 피니언 기어(15a)까지의 거리를 Lp, 랙(17k)까지의 거리를 Lr이라 하면, (Lp < Lr)로 하면 좋다.
<랙 길이>
또한, 랙(17k)을 설치하는 범위,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의 제거 방법에 대해, 도 31에 의해 설명한다. 피니언 기어(15)는, 외곽 부재(14)의 하부 케이스(140)에 설치된 저면 오목부(14w)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저면 오목부(14w)에, 예를 들어 외곽 부재(14)의 내벽에 결로한 물방울이 모여 동결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동결되면 피니언 기어(15)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랙(17k)이 피니언 기어(15a)와 맞물려 있으면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는 폐쇄된 채 열리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피니언 기어(15)가 회전하지 않아도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도 31에 의해 설명한다. 도 31에 있어서는, 도 30에 의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덮개 부재(16)의 완전 폐쇄 위치 근방에서는 랙(17k)은 피니언 기어(15a)와 맞물리지 않으므로, 피니언 기어(15)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랙(17k)의 톱니가 피니언 기어(15a)에 닿을 때까지는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는 일체적으로 개방된다.
그 상태에서, 보강 지지부(H)의 외주 상벽면(H1)과, 외곽 부재(14)의 상면 개구 지지부(14f)의 경사면(14m)과의 사이에는 간극(gap)이 생긴다. 그래서, 그 간극(gap)이 이의 맞물림 높이(hg)보다도 크다(gap > hg)고 하면, 피니언 기어(15a)가 회전하지 않아도 덮개 부재(16)를 들어올리면서 도시한 좌측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를 꺼낼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동결된 피니언 기어(15a)를 개구(14r)로부터 꺼내거나, 저면 오목부(14w)에 모인 얼음을 긁어내거나 할 수 있다.
도 31에 있어서, 덮개 부재(16)가 열리는 양은 도 30의 (c)의 표기에 따르면 (Lr - Lp)이므로, 이 상태에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은 gap(> hg)가 발생하는 위치 관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 맞물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가 폐쇄된 위치에서는, 랙(17k)은 피니언 기어(15a)와는 맞물리지 않고, 열리는 도중에서부터 맞물리는 구성이다. 따라서, 덮개 부재(16)를 열 때에 랙과 피니언 기어의 이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맞물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 구성에 대해 도 32와 도 33에 의해 설명한다.
도 32와 도 33은 랙과 피니언 기어(15a)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랙(17k)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의 개방 동작과 함께 도시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여 피니언 기어(15a)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 끝은, 톱니형을 플러스 방향으로 전위시키는 등 하여, 대략 뾰족해진 형상으로 한다.
도 32는 랙, 피니언 모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인벌류트 톱니형인 경우이고, 랙의 톱니형은 사다리꼴이 된다. 도 32의 (a)에 있어서는,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 각도가 θ1일 때, 랙(17k)의 선단부가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 끝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선단부 끼리의 접촉은 불안정하며, 피니언 기어는 랙(17k)에 밀리어 도시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맞물리지 않고 겉돌게 되어 인접한 톱니와 맞물릴 가능성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랙(17k)은 사다리꼴 톱니형이므로, 랙 톱니 선단부면(17k1)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맞물림이 잘못되어, 랙 톱니 선단부면(17k1)이 피니언 기어(15a)에 올라앉은 경우, 그 올라앉음량의 최대치는 피니언 기어(15a)의 외주 정점까지의 높이(d1)가 된다.
도 32의 (b)는,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 각도가 θ2(< θ1)인 경우이다. 이 경우, 랙(17k)과 피니언 기어(15a)는 접촉점(15d2)에서 접하고, 피니언 기어(15a)는 랙(17k)에 밀리어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15a)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을 시작한다.
도 32의 (c)는,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의 각도가 θ3(> θ1)인 경우이다. 이 경우, 랙(17k)과 피니언 기어(15a)는 접촉점(15d3)에서 접하고, 피니언 기어(15a)는 랙(17k)에 밀리어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15a)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을 시작한다.
도 33은, 본 실시예의 랙 형상의 맞물림이며, 랙 선단부의 사다리꼴 톱니형의 일부(17k0) 부분을 삭제하여, 피니언 기어(15a)와 최초에 접촉하는 톱니를 키가 낮은 삼각 형상 톱니(17k2)로 하고 있다.
도 33의 (a)에 있어서는,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 각도가 θ1'일 때에 랙(17k)의 삼각 형상 톱니(17k2)의 선단부가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 끝에 접촉한다. 이 경우도 선단부 끼리의 접촉이지만, 피니언 기어(15a)의 선단부도 삼각 형상 톱니(17k2)의 선단부도 뾰족해져 있으므로 올라앉지 않고 서로 릴리프하기 쉬워 원활하게 맞물린다.
삼각 형상 톱니(17k2)는 키가 낮으므로, 도 32의 (a)와 도 33의 (a)를 비교하면, 가령 삼각 형상 톱니(17k2)가 피니언 기어(15a)에 올라앉았다고 해도, 올라앉음량은 피니언 기어(15a)의 외주 정점까지의 높이 d2(< d1)로 작으므로, 원활하다.
도 33의 (b)는,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 각도가 θ2'(<θ1')인 경우이다. 이 경우, 삼각 형상 톱니(17k2)와 피니언 기어(15a)는 접촉점(15d2')에서 접하고, 피니언 기어(15a)는 삼각 형상 톱니(17k2)에 밀리어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15a)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을 시작한다.
도 33의 (c)는, 피니언 기어(15a)의 톱니의 각도가 θ3'(> θ1')인 경우이다. 이 경우, 삼각 형상 톱니(17k2)와 피니언 기어(15a)는 접촉점(15d3')에서 접하고, 피니언 기어(15a)는 삼각 형상 톱니(17k2)에 밀리어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15a)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을 시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식품 트레이(17)의 저면에 설치한 한 쌍의 랙(17k)과 외곽 부재(14)의 저면에 설치한 한 쌍의 피니언 기어(15a)를, 완전 폐쇄 시에는 맞물리지 않고, 개방되는 도중에서부터 맞물리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덮개 부재(16)를 폐쇄했을 때에는 랙과 피니언 기어는 맞물려 있지 않고, 덮개 부재(16)가 개구(14r)를 따라서 밀착되므로, 개구(14r)는 확실하게 밀폐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개폐 시에는 덮개 부재(16)가 평행을 유지해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5a)와 최초로 접촉하는 랙(17k)의 톱니를 키가 낮은 삼각 형상 톱니(17k2)로 함으로써 원활하게 맞물리어 개폐 동작이 원활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다가, 피니언 기어(15)가 동결된 경우라도,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식품 트레이와 덮개 부재의 제거 구성>
다음에, 식품 트레이(17)를 덮개 부재(16)로부터 제거하는 구성에 대해, 도 34 내지 도 43을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4는, 덮개 부재(16)가 식품 트레이(17)에 부착된 상태도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식품 트레이(17)로부터 덮개 부재(16)를 제거하는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8 내지 도 42는, 식품 트레이(17)에 덮개 부재(16)를 부착하는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3은, 덮개 부재(16)가 식품 트레이(17)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4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품 트레이(17)의 전면벽(17e)에는 보강 지지부(H)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17f)와, 보강 지지부(H)를 따라 전면벽(17e)과 오목부(17f)를 접속하는 중앙 측벽부(17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 도 16 및 도 1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측벽부(17h) 및 측면벽(17a, 17b)에는 식품 트레이(17)를 덮개 부재(16)에 부착하여, 덮개 부재(16)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기 위한 두 쌍의 부착 갈고리(17t1, 17t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두 쌍의 부착 갈고리(17t1, 17t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한 변이 하방으로 연신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 부재(16)에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16g1, 16g2)에 결합하여, 식품 트레이(17)를 덮개 부재(16)에 고정하고, 덮개 부재(16)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고 있다. 또한, 부착 갈고리(17t2)의 상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개구한 부착 갈고리(17t3)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기둥 형상의 돌기(16g3)가 부착 갈고리(17t3)의 저면(17t4)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U만큼 상방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16)의 중앙부(16c2)로부터는 걸림 리브(16j)가 식품 트레이(17)의 오목부(17f)를 향해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으며, 식품 트레이(17)의 오목부(17f)로부터는 스토퍼(17n)가 덮개 부재(16)를 향해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으며, 스토퍼(17n)의 상면은 걸림 리브(16j)의 하면과 끼워 맞추는 위치 관계이다. 걸림 리브(16j)와 스토퍼(17n)의 끼워 맞춤에 의해 덮개 부재(16)는 식품 트레이(17)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로크되므로,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는,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된다.
다음에, 식품 트레이(17)로부터 덮개 부재(16)를 제거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트레이(17)의 오목부(17f)의 중앙 상단부에 손가락을 걸어서 화살표 18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오목부(17f)는 변형되어, 스토퍼(17n)와 걸림 리브(16j)와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그러면, 덮개 부재(16)는 지지가 없어져, 원기둥 형상의 돌기(16g3)가 부착 갈고리(17t3)의 저면(17t4)에 접촉할 때까지 화살표 20과 같이 거리 U만큼 하강하고, 원기둥 형상의 돌기(16g1, 16g2)는 부착 갈고리(17t1, 17t2)로부터 벗겨진다. 여기서, 덮개 부재(16)는 돌기(16g3)가 부착 갈고리(17t3)의 저면(17t4)에 의해 지지되므로, 덮개 부재(16)는 식품 트레이(17)로부터 벗겨져 갑자기 낙하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를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덮개 부재(16)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16g3) 주위로 회전하고, 계속해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덮개 부재(16)를 식품 트레이(17)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다음에, 부착 순서의 일례에 대해 도 38 내지 도 43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의 패킹(16p)이 장착된 면을 하부로 향하게 한 대략 수평한 상태에서 식품 트레이(17)를 향해 하강시켜,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지지부(H)의 외주 상벽면(H1)을 식품 트레이(17)의 오목부(17f)의 상단부(17f1)에 걸친다. 여기서, 상단부(17f1)로부터 돌기(16g3)까지의 거리(r1)와, 부착 갈고리(17t3)로부터 상단부(17f1)까지의 치수 r2를 대략 비슷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도 40과 같이 계속해서 덮개 부재(16)를 상단부(17f1)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1과 같이 돌기(16g3)는 부착 갈고리(17t3)의 홈으로 도입된다. 부착 갈고리(17t3)의 상면 근방의 폭을 넓혀 두면, 돌기(16g3)가 도입될 때의 가이드가 되어 동작이 더욱 원활하여 적합하다.
다음에, 돌기(16g3)를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덮개 부재(16)를 연직이 될 때까지 회전시킨 상태가 도 42이다. 덮개 부재(16)는, 돌기(16g3)가 부착 갈고리(17t3)의 저면(17t4)에 적재된 상태이다. 다음에,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6)를 하방으로부터 화살표 21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돌기(16g1, 16g2)는 각각 부착 갈고리(17t1, 17t2)에 끼워 맞추어진다. 걸림 리브(16j)에 의해 스토퍼 경사면(17p)이 밀리게 되면, 오목부(17f)는 파선으로 나타낸 부호 17f'와 같이, 일단 휘어진 후, 탄성에 의해 복귀되고, 스토퍼(17n)의 상면은 걸림 리브(16j)의 하면과 끼워 맞추는 위치 관계가 된다. 이 도 43의 상태는 도 34와 동일하며, 덮개 부재(16)와 식품 트레이(17)는 서로 고정된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이므로, 식품 트레이(17)만을 간단하게 제거하거나, 재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식품 트레이(17)만을 물 세척하는 것이 용이한, 사용 편의성이 좋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곽 부재(14)를 상하 분할한 수지 성형품을 서로 기밀을 유지해서 밀폐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곽 부재의 내부가 개구로부터 테이퍼 형상에 한정되는 일 없이 내용적을 확대할 수 있고, 게다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돔 형상으로 함으로써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면을 개구(140r) 상면의 후방 근방으로부터, 후면벽(140d)의 외곽 부재(14)의 후면벽의 대략 중앙부를 연결하는 평면이 되도록 후방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지게 하면, 상부 케이스(141)가 박판 형상이 되지 않아 두께(141t)를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분할면(142a)은 경사진 평면이므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해도 서로 밀착 상태에는 변화가 없다. 즉, 접합부의 면은 서로 평면이므로 정밀도도 나오기 쉽고, 또한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0)의 위치 관계의 정밀도가 낮아도 기밀을 유지하기 쉬운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하면, 상부 케이스(141), 하부 케이스(140) 모두 수지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외곽 부재(14)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곽 부재(14)는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므로, 감압실(13)을 간략화하여 경량화하는 동시에, 저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기밀을 유지해서 밀폐할 때에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와의 접속부를 용착함으로써, 고무 패킹 등의 밀봉 부품이 불필요해, 신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더욱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한, 덮개 부재 및 식품 트레이를 서로 고정하여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고, 식품 트레이의 저면에 설치한 랙과 외곽 부재의 내측 저면에 설치한 오목부에 끼워 맞춘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로써, 덮개 부재(16) 및 식품 트레이(17)를 전후로 개폐 이동하기 위해 특별히 레일 부재 등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피니언 기어를 저어널하기 위해 지지 축 등의 부품도 설치할 필요는 없어, 간편한 구성으로 안정되게 덮개 부재(16) 및 식품 트레이(17)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개폐 동작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품 트레이(17)의 저면에 설치한 한 쌍의 랙(17k)과 외곽 부재(14)의 저면에 설치한 한 쌍의 피니언 기어(15a)를, 완전 폐쇄 시에는 맞물리지 않고, 개방하는 도중부터 맞물리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덮개 부재(16)를 폐쇄했을 때에는 랙과 피니언 기어는 맞물려 있지 않아, 덮개 부재(16)가 개구(14r)를 따라 밀착되므로, 개구(14r)는 확실하게 밀폐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개폐 시에 덮개 부재(16)가 평행을 유지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5a)와 처음에 접촉하는 랙(17k)의 톱니를 키가 낮은 삼각 형상 톱니(17k2)로 함으로써 원활하게 맞물려, 개폐 동작이 원활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 부재(16) 및 식품 트레이(17)를 폐쇄했을 때에는 랙과 피니언 기어는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피니언 기어(15)가 동결된 경우라도, 식품 트레이(17)와 덮개 부재(16)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하게 덮개 부재로부터 식품 트레이만을 제거하거나,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식품 트레이만을 물로 세척하는 것이 용이한, 사용 편의성이 좋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1 : 냉장고 본체
2 : 냉장실
3 : 제빙실
4 : 급속 냉동실
5 : 냉동실
6 : 야채실
12 : 진공 펌프(감압 수단)
13 : 감압실(저장실, 기체 조절실)
14 : 외곽 부재
15 : 피니언 기어
16 : 감압실 덮개(덮개 부재)
17 : 식품 트레이(인출 용기)
18 : 항산화 비타민 카세트(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
140 : 하부 케이스(제1 외곽 부재)
141 : 상부 케이스(제2 외곽 부재)

Claims (5)

  1.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는 제1 외곽 부재와, 상기 제2 개구를 막는 제2 외곽 부재로 구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곽 부재의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 및 상기 제2 외곽 부재의 주연에 각각 대향하는 용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의 상기 용착부는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2 외곽 부재의 상기 용착부는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곽 부재 및 상기 제2 외곽 부재의 각각의 상기 용착부는 돌출 형상을 복수 배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 형상 사이의 거리를 상기 돌출 형상의 폭의 2배 이상의 폭으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는 제1 외곽 부재와, 상기 제2 개구를 막는 제2 외곽 부재로 구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곽 부재의 상기 제2 개구의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의 상면에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볼록 형상부를 갖고, 상기 볼록 형상부에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안을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압 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실 안을 감압함으로써 상기 항산화 성분 방출 수단으로부터 항산화 성분이 방출되어 저장물에 상방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수단과 상기 저장실을 연결하는 튜브가 L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13944A 2010-08-24 2011-02-17 냉장고 KR20120019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6737A JP5386454B2 (ja) 2010-08-24 2010-08-24 冷蔵庫
JPJP-P-2010-186739 2010-08-24
JP2010186739A JP2012047346A (ja) 2010-08-24 2010-08-24 冷蔵庫
JPJP-P-2010-186737 2010-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53A true KR20120019353A (ko) 2012-03-06

Family

ID=4579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944A KR20120019353A (ko) 2010-08-24 2011-02-17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19353A (ko)
CN (1) CN1023747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051B1 (ko) * 2015-10-28 2017-03-14 이은천 백인박스용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0406B2 (ja) * 2010-09-17 2014-01-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212409169U (zh) * 2020-04-26 2021-01-26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358A (ja) * 2001-03-28 2002-10-0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3879634B2 (ja) * 2002-09-03 2007-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5002362B2 (ja) * 2007-08-02 2012-08-1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011231B2 (ja) * 2008-08-08 2012-08-2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051B1 (ko) * 2015-10-28 2017-03-14 이은천 백인박스용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4729A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1416B2 (ja) 冷蔵庫
KR102461474B1 (ko) 냉장고
WO2012117732A1 (ja) 冷蔵庫
KR102574740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20026950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JP2010038496A (ja) 冷蔵庫
KR101280767B1 (ko) 냉장고
KR101240161B1 (ko) 냉장고
KR20120019353A (ko) 냉장고
KR101320286B1 (ko) 냉장고
JP4969528B2 (ja) 冷蔵庫
JP5103320B2 (ja) 冷蔵庫
US20110011121A1 (en) Refrigerator having the partition member
JP5386454B2 (ja) 冷蔵庫
JP4324635B1 (ja) 冷蔵庫
KR101467271B1 (ko) 냉장고
JP2016205684A (ja) 冷蔵庫
JP2012047346A (ja) 冷蔵庫
JP5677560B2 (ja) 冷蔵庫
JP2013057472A (ja) 冷蔵庫
KR102377308B1 (ko) 냉장고
JP6039924B2 (ja) 冷蔵庫
JP5433734B2 (ja) 冷蔵庫
JP2019113202A (ja) 冷蔵庫
KR20160113802A (ko) 김치 저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