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375A -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375A
KR20100008375A KR1020097026074A KR20097026074A KR20100008375A KR 20100008375 A KR20100008375 A KR 20100008375A KR 1020097026074 A KR1020097026074 A KR 1020097026074A KR 20097026074 A KR20097026074 A KR 20097026074A KR 20100008375 A KR20100008375 A KR 2010000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rotation
car
actuator
governor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393B1 (ko
Inventor
미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있아서는 조속기 쉬브와 회전체와의 사이에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로부터의 통전의 유무에 따라, 클러치 기구에 의한 회전의 전달·차단을 전환한다. 정류(整流)회로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방향이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직류발전기로부터 액츄에이터로 전류를 흘린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속기{ELEVATOR SPEED GOVERN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시의 정격(定格)속도가 하강시의 정격속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 이용되는 종래의 조속기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에 의해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와, 조속기 쉬브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회전체와의 사이에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는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시에는 조속기 쉬브로부터 회전체에 회전을 전달하고,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시에는 조속기 쉬브로부터 회전체로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 회전체에는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시에 주행속도의 초과를 검출하는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조속기 쉬브에는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시에 주행속도의 초과를 검출하는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2000-32724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속기에서는 클러치 기구를 어떻게 구동하는지 서술되지 않으며, 통상의 구동 방법으로는 외부로부터의 급전(給電)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다른 문턱값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를 감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칸에 접속된 조속기 로프가 감아 걸리고,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며,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 조속기 쉬브에 설치되고,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가 제1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1 속도검출기구, 조속기 쉬브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회전체, 회전체에 설치되고,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가 제1 문턱값보다 낮은 제2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2 속도검출기구, 조속기 쉬브와 회전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조속기 쉬브와 회전체와의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차단하는 클러치 기구,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 직류발전기로부터의 통전의 유무에 따라, 클러치 기구에 의한 회전의 전달·차단을 전환하는 액츄에이터 및 조속기 쉬브의 회전방향이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직류발전기로부터 액츄에이터에 전류를 흘리는 정류(整流)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칸에 접속된 조속기 로프가 감아 걸리고,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며,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 조속기 쉬브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위되는 조작부재와, 조작부재에 의해 조작되는 검출스위치를 가지는 속도검출기구,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 직류발전기로부터의 통전의 유무에 따라 조작부재와 검출스위치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조속기 쉬브의 회전방향이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직류발전기로부터 액츄에이터에 전류를 흘리는 정류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클러치판이 제2 클러치판으로부터 떼어 놓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속기 쉬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속기를 VI-VI선에 따라서 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상정지 작동기구가 동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검출스위치가 제2 위치로 변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는 승강로(3)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3)의 상부에는 기계실(4)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4) 내에는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를 승강시키는 권상기(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5)는 구동쉬브(6)와, 구동쉬브(6)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구동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본체(7)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5)의 근방에는 디플렉터(deflector) 쉬브(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쉬브(6) 및 디플렉터 쉬브(8)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메인로프(9)가 감아 걸려져 있다. 메인로프(9)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1)이 매달려 있다. 메인로프(9)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2)가 매달려 있다.
기계실(4) 내에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 및 조속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는 권상기(5)를 제어한다. 즉,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에 의해 제어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에는 엘리 베이터칸(1)의 하강시의 하강용 정격속도와,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의 상승용 정격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승용 정격속도는 하강용 정격속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조속기(11)는 엘리베이터칸(1)이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정지시킨다. 조속기(11)에는 조속기 로프(12)의 상단부가 감아 걸려져 있다. 조속기 로프(12)의 하단부는 승강로(3) 내의 하부에 설치된 텐션 쉬브(13)에 감아 걸려져 있다. 또, 조속기 로프(12)는 엘리베이터칸(1)에 탑재된 비상정지장치(14)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3)의 바닥부에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5) 및 균형추 완충기(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11)의 단면도이다. 지지대(21)에는 조속기 쉬브 지지부(21a)와 회전체 지지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 지지부(21a)에는 제1 및 제2 조속기 쉬브 베어링(22, 23)을 통하여 조속기 쉬브(2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의 외주부에는 조속기 로프(12)가 감아 걸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24)는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체 지지부(21b)에는 제1 및 제2 회전체 베어링(25, 26)을 통하여 원판 모양의 회전체(2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27)는 조속기 쉬브(24)와 동축(同軸)에 배치되고,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이 전달되어 조속기 쉬브(24)와 일체로 회전된다.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축과 회전체(27)의 회전축과의 사이에는 조속기 쉬브(24)와 회전체(27)와의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차단하는 클러치 기구(28)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8)는 조속기 쉬브(24)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1 클러치판(29)과, 회전체(27)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2 클러치판(30)을 가지고 있다. 제1 클러치판(29)은 제2 클러치판(30)에 대해서 접리 가능하다.
조속기 쉬브 지지부(21a)에는 복수의 클러치 가압스프링(31), 복수의 액츄에이터(32), 직류발전기(33) 및 복수의 정류회로(34)가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가압스프링(31)은 제1 클러치판(29)을 제2 클러치판(30)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액츄에이터(32)는 클러치 기구(28)에 의한 회전의 전달·차단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츄에이터(32)는 클러치 가압스프링(31)에 저항하여 제1 클러치판(29)을 제2 클러치판(30)으로부터 떼어 놓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또, 액츄에이터(32)로서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가지는 전자 액츄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직류발전기(33)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축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한다. 정류회로(34)는 직류발전기(33)와 액츄에이터(32)의 솔레노이드 코일과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정부(正負) 중 어느 한 전류만을 솔레노이드 코일에 통전한다. 즉, 정류회로(34)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방향이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직류발전기(33)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로 전류를 흘린다.
이 예에서는, 정류회로(34)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방향이 제1 방향일 때, 즉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 직류발전기(33)로부터 액츄에이터(32)로 전류를 흘린다. 또, 액츄에이터(32)는 직류발전기(33)로부터 전류가 흘려졌을 때에 클러치 기구(28)에 의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고, 직류발전기(33)로부터의 전류가 정류회로(34)에서 차단되었을 때에 클러치 기구(28)에 의해 회전을 전달시킨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클러치판(29)이 제2 클러치판(30)으로부터 떼어 놓아져 조속기 쉬브(24)만이 회전된다. 또,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시에는 제1 클러치판(29)이 제2 클러치판(30)에 결합되어 조속기 쉬브(24)와 함께 회전체(27)가 회전된다.
도 4는 도 2의 조속기 쉬브(24)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속기 쉬브(24)에는 도 2 및 도 3에서는 생략했지만, 제1 속도검출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속도검출기구(35)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상승속도)가 제1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제1 문턱값은 상승용 정격속도의 1.3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속도검출기구(35)는 한 쌍의 제1 플라이웨이트(flyweight)(36a, 36b), 제1 링크(37), 제1 평형스프링(38) 및 제1 검출스위치(39)를 가지고 있다. 제1 플라이웨이트(36a, 36b)는 조속기 쉬브(24)에 회동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제1 링크(37)는 제1 플라이웨이트(36a, 36b)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평형스프링(38)은 조속기 쉬브(24)와 제1 플라이웨이트(36a)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검출스위치(39)는 조속기 쉬브 지지부(21a)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플라 이웨이트(36a)에는 제1 검출스위치(39)를 조작하는 제1 조작핀(36c)이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이 때, 제1 플라이웨이트(36a, 36b)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에 대응한 원심력을 받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제1 플라이웨이트(36a, 36b)는 제1 평형스프링(38)에 거슬러 회동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제1 문턱값에 도달하면, 제1 조작핀(36c)에 의해 제1 검출스위치(39)가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5)의 모터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권상기(5)의 브레이크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정지된다.
도 5는 도 1의 조속기(1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조속기(11)을 VI-VI선에 따라서 본 정면도이다. 회전체(27)에는, 도 2 및 도 3에서는 생략했지만, 제2 속도검출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속도검출기구(40)는 회전체(27)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하강속도)가 제1 문턱값보다 낮은 제2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제2 문턱값은 하강용 정격속도의 1.3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속도검출기구(40)는 한 쌍의 제2 플라이웨이트(41a, 41b), 제2 링크(42), 제2 평형스프링(43) 및 제2 검출스위치(44)를 가지고 있다. 제2 플라이웨이트(41a, 41b)는 회전체(27)에 회동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제2 링크(42)는 제2 플라이웨이트(41a, 41b)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평형스프링(43)는 회전체(27)와 제2 플라이웨이트(41a)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검출스위치(44)는 회전체 지지부(21b)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플라이웨이트(41a)에는 제2 검출스위치(44)를 조작하는 제2 조작핀(41c)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27)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시에 주행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이 때, 제2 플라이웨이트(41a, 41b)는 회전체(27)의 회전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에 대응한 원심력을 받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제2 플라이웨이트(41a, 41b)는 제2 평형스프링(43)에 거슬러 회동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제2 문턱값에 도달하면, 제2 조작핀(41c)에 의해 제2 검출스위치(44)가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5)의 모터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권상기(5)의 브레이크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정지된다.
또, 조속기(11)에는 비상정지장치(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상정지 작동기구(제3 속도검출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정지 작동기구(45)는 트립(trip) 레버(46), 클로(claw)(47), 텐션 스프링(48), 래칫(ratchet)(49), 지지핀(50), 지지후크(51), 로프 그립 지지대(52), 가동측 로프 그립(53), 고정측 로프 그립(54) 및 로프 그립 스프링(55)를 가지고 있다.
트립 레버(46) 및 클로(47)는 각각 회전체(27)에 회동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텐션 스프링(48)은 회전체(27)와 클로(47)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래칫(49)의 톱니에 치합(齒合)하는 방향으로 클로(47)를 가압한다. 트립 레버(46)는 클로(47)에 걸어맞춤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클로(47)는 래칫(49)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보유지지되어 있다.
래칫(49)은 회전체(27)의 회전축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 래칫(49)은 통상은 회전체(27)가 회전되어도 정지되고 있고, 클로(47)가 치합함으로써 회전체(27)와 함께 회동된다.
지지핀(50)의 기단부는 래칫(49)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핀(50)의 선단부에는 지지후크(51)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지지후크(51)에는 로프 그립 지지대(52)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가동측 로프 그립(53)은 로프 그립 지지대(52)에 지지되어 있다. 로프 그립 지지대(52)가 지지후크(51)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측 로프 그립(53)은 조속기 로프(12)로부터 떨어져 있다. 고정측 로프 그립(54)은 지지대(21)상에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하강속도)가 제2 문턱값을 넘어 제3 문턱값(예를 들면, 하강용 정격속도의 1.4배 정도)에 도달하면, 제2 플라이웨이트(41a, 41b)가 더욱 회동되어, 트립 레버(46)의 클로(47)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트립 레버(46)의 클로(47)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텐션 스프링(48)에 의해 클로(47)가 회동되어 클로(47)가 래칫(49)의 톱니에 치합한다.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시에는, 회전체(27)는 도 6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클로(47)가 래칫(49)에 치합하면, 래칫(49)도 도 6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래칫(49)의 회전에 의해, 지지핀(50)의 지지후크(51)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이어서 지지후크(51)가 중력으로 회동되어 지지후크(51)의 로프 그립 지지대(52)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로프 그립 지지대(52)가 중력으로 아래로 움직이고, 가동측 로프 그립(53)과 고정측 로프 그림(54)와의 사이에 조속기 로프(12)가 끼워 지지되어 로프 그립 스프링(55)이 압축된다. 도 7은 도 6의 비상정지 작동기구(45)가 동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속기 로프(12)가 로프 그립(53, 54) 사이에 파지됨으로써, 조속기 로프(12)의 순환이동이 정지되어 비상정지장치(14)가 제동 동작한다.
이러한 조속기(11)에서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33)를 조속기 쉬브 지지부(21a)에 설치하고, 클러치 기구(28)에 의한 회전의 전달·차단을 전환하는 액츄에이터(32)와 직류발전기(33)와의 사이에 정류회로(34)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만 직류발전기(33)로부터의 전류를 액츄에이터(32)에 통전하며, 제1 클러치판(29)을 제2 클러치판(30)으로부터 떼어 놓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즉 정전시에서도),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다른 문턱값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를 감시할 수 있다.
또, 어떠한 원인으로 제1 클러치판(29)이 제2 클러치판(30)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방향에 관계없이, 제1 문턱값보다 낮은 제2 문턱값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정지시키게 되므로, 페일-세이프(fail- safe)의 기능이 확보되어 있어 고장시의 신뢰성도 높다.
또한, 제1 문턱값은 상승용 정격속도에 근거하여 설정되고, 제3 문턱값은 하강용 정격속도에 근거하여 설정되므로, 제1 및 제3 문턱값은 어느 쪽이 커도 좋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지지대(61)에는 조속기 쉬브 지지부(61a)와 회전체 지지부(61b)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 지지부(61a)에는 조속기 쉬브(2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의 외주부에는 조속기 로프(12)가 감아 걸려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24)는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조속기 쉬브(24)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속도검출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축에는 제1 베벨기어(62)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체 지지부(61b)에는 제1 및 제2 연직축(63, 64)이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있다. 회전체인 제2 연직축(64)은 제1 연직축(63)의 위쪽에 제1 연직축(63)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연직축(63)의 하단부에는 제1 베벨기어(62)와 치합하는 제2 베벨기어(65)가 고정되어 있다.
제1 연직축(63)과 제2 연직축(64)과의 사이에는 제1 연직축(63)과 제2 연직축(64)과의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차단하는 클러치 기구(28)가 설치되어 있다. 클 러치 기구(28)는 제1 연직축(63)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1 클러치판(29)과, 제2 연직축(64)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 클러치판(30)을 가지고 있다. 제1 클러치판(29)은 제2 클러치판(30)에 대해서 접리(接離) 가능하다.
회전체 지지부(61b)에는 복수의 클러치 가압스프링(31), 복수의 액츄에이터(32), 직류발전기(33) 및 복수의 정류회로(34)가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가압스프링(31)은 제1 클러치판(29)을 제2 클러치판(30)에 결합할 방향으로 가압한다.
액츄에이터(32)는 클러치 기구(28)에 의한 회전의 전달·차단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츄에이터(32)는 클러치 가압스프링(31)에 저항하여 제1 클러치판(29)을 제2 클러치판(30)으로부터 떼어 놓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또, 액츄에이터(32)로서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가지는 전자 액츄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직류발전기(33)는 제1 연직축(63)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연직축(63)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한다. 정류회로(34)는 직류발전기(33)와 액츄에이터(32)의 솔레노이드 코일과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정부 중 어느 한 전류만을 솔레노이드 코일에 통전한다. 즉, 정류회로(34)는 제1 연직축(63)의 회전방향, 즉 조속기 쉬브(24)의 회전방향이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직류발전기(33)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로 전류를 흘린다.
이 예에서는, 정류회로(34)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방향이 제1 방향일 때, 즉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 직류발전기(33)로부터 액츄에이터(32)로 전류를 흘린다. 또, 액츄에이터(32)는 직류발전기(33)로부터 전류가 흘려졌을 때에 클러치 기구(28)에 의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고, 직류발전기(33)로부터의 전류가 정류회 로(34)에서 차단되었을 때에 클러치 기구(28)에 의해 회전을 전달시킨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는 제1 클러치판(29)이 제2 클러치판(30)으로부터 떼어 놓여져, 조속기 쉬브(24) 및 제1 연직축(63)은 회전되지만, 제2 연직축(64)은 회전되지 않는다. 또,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시에는 제1 클러치판(29)이 제2 클러치판(30)에 결합되어 조속기 쉬브(24) 및 제1 연직축(63)과 함께 제2 연직축(64)이 회전된다.
제2 연직축(64)에는 제2 속도검출기구(플라이볼(flyball) 조속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속도검출기구(60)는 제2 연직축(64)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하강속도)가 제1 문턱값보다 낮은 제2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제2 문턱값은 하강용 정격속도의 1.3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속도검출기구(60)는 상부 회전판(66), 복수의 지지암(67), 복수의 플라이볼(68), 하부 회전판(69), 복수의 링크(70), 제2 평형스프링(71), 종동판(72), 제2 검출스위치(73) 및 조작부재(74)를 가지고 있다.
상부 회전판(66)은 제2 연직축(64)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제2 연직축(64)과 일체로 회전된다. 각 지지암(67)의 기단부(상단부)는 상부 회전판(66)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지지암(67)의 선단부(하단부)에는 플라이볼(68)이 고정되어 있다. 하부 회전판(69)은 상부 회전판(66)의 아래쪽에서 제2 연직축(64)을 둘러싸고 있다.
링크(70)는 하부 회전판(69)과 지지암(67)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 회전판(69)은 상부 회전판(66)과 함께 회전된다. 또, 원심력에 의해 플라이볼(68)이 지지암(67)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울기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하부 회전판(69)은 위쪽으로 변위된다.
제2 평형스프링(71)은 압축 스프링이며, 상부 회전판(66)과 하부 회전판(69)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종동판(72)은 하부 회전판(69)의 아래쪽에서 제2 연직축(64)을 둘러싸고 있다. 종동판(72)은 하부 회전판(69)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에 추종(追從)하도록 하부 회전판(69)에 연결되어 있다. 또, 하부 회전판(69)의 회전은 종동판(72)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제2 검출스위치(73)는 회전체 지지부(61b)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74)는 종동판(72)에 고정되어 제2 검출스위치(73)를 조작한다.
제2 연직축(64)은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시에 주행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이 때, 플라이볼(68)은 제2 연직축(64)의 회전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에 대응한 원심력을 받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플라이볼(68)은 제2 평형스프링(71)에 거슬러 기울기 위쪽으로 변위되며, 이것에 수반하여 하부 회전판(69), 종동판(72) 및 조작부재(74)가 위쪽으로 변위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제2 문턱값에 도달하면, 조작부재(74)에 의해 제2 검출스위치(73)가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5)의 모터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권상기(5)의 브레이크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정지된다.
이러한 조속기에서는 제2 연직축(64)의 회전, 즉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33)를 회전체 지지부(61b)에 설치하고, 클러치 기구(28)에 의한 회전의 전달·차단을 전환하는 액츄에이터(32)와 직류발전기(33)와의 사이에 정류회로(34)를 설치하며,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만 직류발전기(33)로부터의 전류를 액츄에이터(32)에 통전하여, 제1 클러치판(29)을 제2 클러치판(30)으로부터 떼어 놓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다른 문턱값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를 감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지지대(61)에는 조속기 쉬브 지지부(61a)와 회전체 지지부(61b)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 지지부(61a)에는 조속기 쉬브(2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4)의 외주부에는 조속기 로프(12)가 감아 걸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24)는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축에는 제1 베벨기어(62)가 고정되고 있다. 회전체 지지부(61b)에는 연직축(75)이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있다. 연직축(75)의 하단부에는 제1 베벨기어(62)와 치합하는 제2 베벨기어(65)가 고정되어 있다.
연직축(75)에는 속도검출기구(플라이볼 조속기구)(76)가 설치되어 있다. 속도검출기구(76)는 연직축(75)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제1 및 제2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제1 문턱값은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의 문턱값이며, 상승용 정격속도의 1.3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2 문턱값은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의 문턱값이며, 하강용 정격속도의 1.3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문턱값은 제1 문턱값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속도검출기구(76)는 상부 회전판(66), 복수의 지지암(67), 복수의 플라이볼(68), 하부 회전판(69), 복수의 링크(70), 평형스프링(71), 종동판(72), 검출스위치(73) 및 조작부재(74)를 가지고 있다.
상부 회전판(66)은 연직축(75)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연직축(75)과 일체로 회전된다. 각 지지암(67)의 기단부(상단부)는 상부 회전판(66)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지지암(67)의 선단부(하단부)에는 플라이볼(68)이 고정되어 있다. 하부 회전판(69)은 상부 회전판(66)의 아래쪽에서 연직축(75)을 둘러싸고 있다.
링크(70)는 하부 회전판(69)과 지지암(67)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 회전판(69)은 상부 회전판(66)과 함께 회전된다. 또, 원심력에 의해 플라이볼(68)이 지지암(67)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울기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하부 회전판(69)은 위쪽으로 변위된다.
평형스프링(71)은 압축 스프링이며, 상부 회전판(66)과 하부 회전판(69)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종동판(72)은 하부 회전판(69)의 아래쪽에서 연직축(75)을 둘러싸고 있다. 종동판(72)은 하부 회전판(69)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에 추종하도록 하부 회전판(69)에 연결되어 있다. 또, 하부 회전판(69)의 회전은 종동판(72)에 는 전달되지 않는다.
검출스위치(73)는 회전체 지지부(61b)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74)는 종동판(72)에 고정되어 검출스위치(73)를 조작한다.
연직축(75)은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이 때, 플라이볼(68)은 연직축(75)의 회전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에 대응한 원심력을 받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플라이볼(68)은 평형스프링(71)에 거슬러 기울기 위쪽으로 변위되며, 이것에 수반하여 하부 회전판(69), 종동판(72) 및 조작부재(74)가 위쪽으로 변위된다. 즉, 조작부재(74)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하로 변위된다.
회전체 지지부(61b)에는 검출스위치(73)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체(77)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스위치(73)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위치와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검출스위치(73)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라이볼(68)이 원심력에 의해 변위하고 있지 않으면, 검출스위치(73)의 조작편과 조작부재(74)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g1)이 확보되어 있다.
또, 검출스위치(73)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플라이볼(68)이 원심력에 의해 변위하고 있지 않으면, 검출스위치(73)의 조작편과 조작부재(74)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g2)(g2 > g1)이 확보되어 있다.
회전체 지지부(61b)에는 검출스위치(73)를 제1 위치로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78)과, 가압 스프링(78)에 저항하여 검출스위치(73)를 제2 위치로 변위시키는 액츄에이터(79)가 설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79)로서는 솔레노이드 코일 을 가지는 전자 액츄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조속기 쉬브 지지부(61a)에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80)가 설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79)는 직류발전기(80)로부터의 통전의 유무에 따라 검출스위치(73)의 초기위치(플라이볼(68)이 원심력에 의해 변위하고 있지 않을 때의 위치)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화시킨다.
액츄에이터(79)의 솔레노이드 코일과 직류발전기(80)와의 사이에는 정류회로(8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아 있다. 정류회로(81)는 정부 중 어느 한 전류만을 솔레노이드 코일에 통전한다. 즉, 정류회로(81)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방향이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직류발전기(80)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를 흘린다.
이 예에서는, 정류회로(81)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방향이 제1 방향일 때, 즉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 직류발전기(80)로부터 액츄에이터(79)로 전류를 흘린다. 또, 직류발전기(80)로부터 액츄에이터(79)로의 전류가 정류회로(81)에서 차단되었을 때, 검출스위치(73)는 조작부재(74)에 대해서 제1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직류발전기(80)로부터 액츄에이터(79)로 전류가 흘려졌을 때, 액츄에이터(79)에 의해, 제1 위치보다 조작부재(74)로부터 이격(離隔)된 제2 위치로 검출스위치(73)가 변위된다.
제1 위치는 제2 문턱값에 대응하도록 미리 조정되어 있다. 또, 제2 위치는 제1 문턱값에 대응하도록 미리 조정되어 있다.
이러한 조속기에서는 조속기 쉬브(24)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 발전기(80)를 조속기 쉬브 지지부(61a)에 설치하고, 검출스위치(73)와 조작부재(74)와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79)와 직류발전기(80)와의 사이에 정류회로(81)를 설치하며,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에만 직류발전기(80)로부터의 전류를 액츄에이터(79)에 통전하여, 검출스위치(73)를 조작부재(74)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1)의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다른 문턱값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속도를 감시할 수 있다
또, 어떠한 원인으로 검출스위치(73)가 제1 위치로부터 움직일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방향에 관계없이, 제1 문턱값보다 낮은 제2 문턱값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정지시키게 되므로, 페일-세이프의 기능이 확보되어 있어 고장시의 신뢰성도 높다.
또한, 실시형태 3에서는 액츄에이터(79)에 의해 검출스위치(73)를 변위시켰지만, 검출스위치(73)와 조작부재(74)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면 되고, 조작부재(74)의 초기위치를 액츄에이터(79)로 변화시켜도 된다.
또, 실시형태 3에서는 비상정지 작동기구에 대해 나타내지 않았지만, 실시형태 3의 조속기에 비상정지 작동기구를 설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상승용 정격속도가 하강용 정격속도보다 높은 경우를 나타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강용 정격속도를 상승용 정격속도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칸에 접속된 조속기 로프가 감아 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에 수반하여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
    상기 조속기 쉬브에 설치되고,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가 제1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1 속도검출기구,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낮은 제2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2 속도검출기구,
    상기 조속기 쉬브와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속기 쉬브와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회전을 전달·차단하는 클러치 기구,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의 통전의 유무에 따라,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한 회전의 전달·차단을 전환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방향이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로 전류를 흘리는 정류(整流)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일 때, 상기 정류회로에 의해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로 전류가 흐르고,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로의 전류가 상기 정류회로에서 차단되었을 때,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이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전달되며,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로 전류가 흘려졌을 때,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한 회전의 전달이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차단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가 상기 제2 문턱값보다 높은 제3 문턱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는 비상정지 작동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4. 엘리베이터칸에 접속된 조속기 로프가 감아 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에 수반하여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위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조작되는 검출스위치를 가지는 속도검출기구,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발전기,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의 통전의 유무에 따라,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검출스위치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방향이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미리 결정된 방향일 때에만,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로 전류를 흘리는 정류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일 때, 상기 정류회로에 의해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류가 흐르고,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의 전류가 상기 정류회로에서 차단되었을 때, 상기 검출스위치는 상기 조작부재에 대해서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직류발전기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류가 흘려졌을 때,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조작부재로부터 이격(離隔)된 제2 위치로 상기 검출스위치가 변위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20097026074A 2007-08-09 2007-08-09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1033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5610 WO2009019780A1 (ja) 2007-08-09 2007-08-09 エレベータの調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75A true KR20100008375A (ko) 2010-01-25
KR101033393B1 KR101033393B1 (ko) 2011-05-09

Family

ID=4034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074A KR101033393B1 (ko) 2007-08-09 2007-08-09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81749B2 (ko)
EP (1) EP2177466A4 (ko)
JP (1) JP4975104B2 (ko)
KR (1) KR101033393B1 (ko)
CN (1) CN101678999B (ko)
WO (1) WO2009019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88B1 (ko) * 2006-10-18 2011-11-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CN102387977B (zh) * 2009-04-09 2014-01-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限速器
US20110109096A1 (en) * 2009-11-06 2011-05-12 Matthew Earley Fixed pitch wind (or water) turbine with centrifugal weight control (CWC)
CN102695666A (zh) * 2010-01-07 2012-09-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5577736B2 (ja) * 2010-02-18 201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5325904B2 (ja) * 2011-02-09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275799B (zh) * 2011-07-08 2013-01-16 中国矿业大学 一种矿用电梯
FI125623B (fi) * 2011-10-25 2015-12-31 Kone Corp Taittopyöräjärjestely, hissi ja menetelmä
FI20125046L (fi) * 2012-01-16 2013-07-17 Kone Corp Hissi
JP5850754B2 (ja) * 2012-01-24 2016-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調速機及びこの調速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CN107055249A (zh) * 2013-02-13 2017-08-1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US20160101965A1 (en) * 2013-06-07 2016-04-14 Juan José FERNÁNDEZ Elevator with low overhead and low pit
JP6014261B2 (ja) * 2013-08-02 2016-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EP2840053A1 (de) * 2013-08-20 2015-02-25 Inventio AG 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EP2840054B1 (de) * 2013-08-20 2018-01-03 Inventio AG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WO2015033462A1 (ja) * 2013-09-09 2015-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WO2015198384A1 (ja) * 2014-06-24 2015-12-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5870165B2 (ja) * 2014-07-08 2016-02-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機
US20170152126A1 (en) * 2014-07-23 2017-06-01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governor with independent threshold speeds
WO2016030570A1 (en) * 2014-08-29 2016-03-03 Kone Corporation An overspeed governor for an elevator
JP6295189B2 (ja) * 2014-11-28 2018-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JP6326600B2 (ja) * 2014-12-10 2018-05-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装置
MY190853A (en) * 2015-09-25 2022-05-12 Inventio Ag Surveillance device for a lift system
CN107021395B (zh) * 2016-01-04 2020-11-10 奥的斯电梯公司 具有自动复位的电梯超速调节器
JP6116731B2 (ja) * 2016-04-06 2017-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US10968077B2 (en) * 2018-07-19 2021-04-06 Otis Elevator Company Enhanced governor system for elevator
CN113003348B (zh) * 2021-02-23 2022-02-08 湖北特种设备检验检测研究院 一种电梯限速器和电梯安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994B2 (ko) * 1974-05-30 1981-12-09
JPS6013679B2 (ja) 1979-10-02 1985-04-09 三楽オーシヤン株式会社 発酵法によるビタミンb↓1↓2の製造法
JP2515491Y2 (ja) * 1989-06-06 1996-10-30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作業機のクラツチ自動投入装置
JP4118513B2 (ja) * 1998-02-26 2008-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機の検査・調整方法
JP2000007245A (ja) * 1998-06-22 2000-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調速機
JP4047462B2 (ja) * 1998-09-03 2008-02-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調速機
US6170614B1 (en) * 1998-12-29 2001-01-09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overspeed governor for elevators
JP4318003B2 (ja) * 1999-05-07 2009-08-1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スプレー冷却塔の制御装置
JP4306014B2 (ja) 1999-05-17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調速装置
DE20103158U1 (de) * 2001-02-22 2001-09-27 Müller, Wolfgang T., 78315 Radolfzell Mehrstufiger, positionsgesteuerter, reaktionsschnell und präzise auslösender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Aufzüge
JP4292205B2 (ja) * 2004-07-22 2009-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機
KR101080588B1 (ko) 2006-10-18 2011-11-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10067435A1 (ja) * 2008-12-11 2012-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9780A1 (ja) 2009-02-12
EP2177466A4 (en) 2014-01-15
JP4975104B2 (ja) 2012-07-11
EP2177466A1 (en) 2010-04-21
US8181749B2 (en) 2012-05-22
JPWO2009019780A1 (ja) 2010-10-28
KR101033393B1 (ko) 2011-05-09
CN101678999A (zh) 2010-03-24
US20110186385A1 (en) 2011-08-04
CN101678999B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9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1080588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US9505587B2 (en) Elevator with acceleration detection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JP2000327241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調速装置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2647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2086026A1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JP57742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154984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100869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829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70121148A1 (en) Elevator device
JP5082887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8116959B (zh) 调速器和电梯装置
JP575307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15198384A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1516852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