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015A - 유압식 쇼크 업소버 - Google Patents

유압식 쇼크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015A
KR20090123015A KR1020097022340A KR20097022340A KR20090123015A KR 20090123015 A KR20090123015 A KR 20090123015A KR 1020097022340 A KR1020097022340 A KR 1020097022340A KR 20097022340 A KR20097022340 A KR 20097022340A KR 20090123015 A KR20090123015 A KR 20090123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ston
chamber
rod
en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232B1 (ko
Inventor
에이코 미야사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03Dampers characterised by having pressure absorbing means other than gas, e.g. sponge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 서로 연통하는 피스톤실과 조정실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들 양쪽 실 내에 기름을 가압 상태로 충전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실 내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과 그 피스톤에 연결된 로드를 설치하며, 상기 조정실 내부에 탄성 부재를 상기 기름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하여 상기 조정실 내에 리저버 탱크를 형성한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로드의 이동에 의해 리저버 탱크 내로 출입하는 기름으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축시켜서 충격을 흡수한다.
유압 쇼크 업소버, 피스톤실, 조정실, 로드, 리저버 탱크

Description

유압식 쇼크 업소버{HYDRAULIC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이동 물체를 정지시킬 때의 충격을 기름의 유동 저항을 이용하여 완충하는 유압식 쇼크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 쇼크 업소버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인 일본 특허 공개 2006-25030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튜브의 피스톤실 내에 광유 등의 기름을 충전함과 아울러 제동용 피스톤을 외주에 기름의 유통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수용하여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로드를 실린더 튜브의 외부로 연장시킨 구성을 갖고 있 다. 그리고, 이 로드의 선단부에 이동 물체가 충돌하여 상기 피스톤이 변이될 때에 상기 유통 간극에 흐르는 기름의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이동 물체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 로드는 복귀 용수철에 의해 초기 위치를 향하여 항상 바이어싱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가 충돌하여 완충 위치로 후퇴된 후 상기 복귀 용수철의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에 의해 초기 위치로 전진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상기 로드의 표면에는 피스톤실 내에 충전된 기름이 부착됨으로써 유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후퇴·전진을 반복함으로써 피스톤실 내의 기름이 상기 로드를 통하여 조금씩 외부로 유출되게 되고, 이 결과 피스톤실 내의 기름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쇼크 업소버로서의 완충 능력이 저하되어 수명이 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름량의 감소에 의한 완충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쇼크 업소버를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면 좋다. 이것은 실린더 튜브(20)의 내부에 피스톤(21)과 기름(22)이 수용된 피스톤실(23)과는 별개로 상기 피스톤실(23)과 통하는 리저버 탱크(24)를 형성하고, 이 리저버 탱크(24) 내의 기름(22)을 가압 피스톤(25)을 통해서 스프링(26)으로 항상 가압하도록 한 것이며, 로드(27)에 의해 피스톤실(23) 내의 기름이 유실되어도 그 감소된 만큼의 기름이 이 리저버 탱크(24)로부터 보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실(23) 내의 기름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쇼크 업소버는 리저버 탱크(24) 내의 기름을 가압 피스톤(25)을 통해서 스프링(26)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므로 가압을 위한 구성이 복잡할뿐만 아니라, 이들 가압 피스톤(25) 및 스프링(26)을 배치하기 위한 넓은 배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쇼크 업소버의 축선 방향 길이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2006-250309호 공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프링이나 가압 피스톤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피스톤실 내의 기름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된 유압식 쇼크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는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제 1 단부벽과 제 2 단부벽을 가짐과 아울러, 이들 양 단부벽 사이에 중간벽을 갖는 실린더 튜브; 상기 중간벽과 제 1 단부벽 및 제 2 단부벽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간벽에 형성된 연통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피스톤실 및 조정실; 상기 피스톤실과 조정실 내부에 가압 상태로 봉입되어 있는 기름; 외부로부터의 조작으로 상기 기름을 가압하는 조압 부재(調壓 部材); 상기 피스톤실의 내부를 상기 피스톤실 내주와 피스톤 외주 사이에 기름이 유통되는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어 상기 중간벽과 조정실 및 제 2 단부벽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부로 도출되는 로드; 및 상기 조정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가 비작동 위치에 있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름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됨과 아울러, 압축에 의해 발생되는 스페이스에 의해 상기 조정실 내에 리저버 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로드의 작동에 따른 상기 리저버 탱크 내로의 기름 출입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탄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크기가 비압축시에 상기 조정실 전체를 채우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린더 튜브의 제 1 단부벽에 상기 피스톤실과 조정실에 기름을 충전하기 위한 주입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입 구멍을 폐색하는 플러그 겸용의 상기 조압 부재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압 부재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름이 가압된다.
이 경우, 상기 주입 구멍은 상기 피스톤실로 개구되는 작은 직경의 감입 구멍부, 및 외부로 개방되는 큰 직경의 암나사 구멍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조압 부재는 상기 감입 구멍부에 시일 부재를 통해서 기밀하게 감입되는 작은 직경의 감압 돌기부, 및 상기 암나사 구멍부에 나사결합되는 큰 직경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조압 부재를 회전하여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름이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벽은 상기 로드를 따라 상기 중간벽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를 갖고, 이 슬리브의 외주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주 사이에 상기 조정실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슬리브의 외주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주 사이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에 상기 중간벽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이나 가압 피스톤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피스톤실 내의 기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된 유압식 쇼크 업소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쇼크 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의 리저버 탱크 내의 기름이 적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개량이 필요한 유압식 쇼크 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린더 튜브 2: 제 1 단부벽
3: 제 2 단부벽 3b: 슬리브
4: 피스톤실 5: 리저버 탱크
6: 피스톤 7: 로드
8: 탄성 부재 9: 주입 구멍
9a: 감입 구멍부 9b: 암나사 구멍부
10: 조압 부재 10a: 감입 돌기부
10b: 수나사부 12: 중간벽
12a: 연통부 13: 조정실
17: 시일 부재 18: 기름
L: 축선 S: 간극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쇼크 업소버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쇼크 업소버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튜브(1)를 갖고 있다. 이 실린더 튜브(1)는 축선(L) 방향의 기단(基端)측에 위치하는 제 1 단부벽(2),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벽(3), 및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벽(12)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튜브(1)의 내부에는 상기 중간벽(12)과 제 1 단부벽(2) 및 제 2 단부벽(3)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중간벽(12)의 연통부(12a)에서 서로 연통하는 피스톤실(4) 및 조정실(13), 이들 피스톤실(4) 및 조정실(13) 내에 가압 상태로 충전된 기름(18), 상기 피스톤실(4)의 내부를 축선(L) 방향으로 이동하는 완충용 피스 톤(6), 상기 피스톤(6)에 장착되어 선단부가 실린더 튜브(1)의 외부로 도출되는 로드(7), 및 상기 기름(18)을 항상 가압 상태로 하는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 튜브(1)와 제 1 단부벽(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부벽(2)의 중앙부에는 실린더 튜브(1) 내에 상기 기름(18)을 충전하기 위한 주입 구멍(9)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 구멍(9)은 충전된 기름(18)에 예압을 주기 위한 조압 부재(10)를 겸하는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상기 주입 구멍(9)은 상기 피스톤실(4)로 개구되는 작은 직경의 감입 구멍부(9a), 및 그 외측에 연결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큰 직경의 암나사 구멍부(9b)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조압 부재(10)는 상기 감입 구멍부(9a)에 시일 부재(17)를 통해서 기밀하게 감입되는 선단측의 작은 직경의 감입 돌기부(10a), 및 상기 암나사 구멍부(9b)와 나사결합하는 기단측의 큰 직경의 수나사부(10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조압 부재(10)를 회전하여 전진시킴으로써 실린더 튜브(1) 내의 기름(18)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부벽(3)은 실린더 튜브(1)와는 별개로 형성되며 O 링(15)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 튜브(1)의 내부에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이 제 2 단부벽(3)은 실린더 튜브(1)의 선단부를 폐쇄하는 폐색부(3a)와, 그 폐색부(3a)로부터 상기 로드(7)의 외주를 따라 실린더 튜브(1)의 내측을 향해서 신장되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3b)를 일체로 갖고 있다. 상기 폐색부(3a)의 외측 단부 내주부에 형성된 오목홈(3c)에는 상기 폐색부(3a)와 로드(7)의 외주 사이를 시일링하는 시일 부 재(16)가 장착되어 실린더 튜브(1)의 단부에 장착된 환상의 고정 부재(11)에 의해 이들 제 2 단부벽(3)과 시일 부재(16)가 장착 위치에 고정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3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튜브(1)의 축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로드(7)를 위한 베어링 및 가이드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드(7)에 편하중이 작용하여도 상기 로드(7)를 적절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피스톤(6)이 피스톤실(4)의 벽면에 접촉하여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의 완충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중간벽(12)은 상기 슬리브(3b)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중간벽(12)과 상기 제 1 단부벽(2) 사이에 상기 피스톤실(4)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중간벽(12)과 상기 제 2 단부벽(3)의 폐색부(3a) 사이에 조정실(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실(4)은 실린더 튜브(1)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조정실(13)은 실린더 튜브(1)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중간벽(12)은 슬리브(3b)와 별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3b)에 결합되어도 좋다. 또는, 실린더 튜브(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벽(12)을 독립된 부재로서 형성하여 그것을 슬리브(3b)의 선단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실린더 튜브(1)의 내부에 끼워서 부착하여도 좋다.
상기 피스톤실(4) 내에는 상기 피스톤실(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기 피스톤(6)이 그 외주와 실린더 튜브(1) 내주 사이에 기름(18)이 유통되는 간극(S)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실린더 튜브(1)의 축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 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6)과 제 1 단부벽(2)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6)을 중간벽(12)에 접촉하는 초기 위치(도 1의 상반부의 위치)를 향해서 항상 바이어싱하는 복귀용 용수철(1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6)이 초기 위치로부터 도 1의 하반부에 나타낸 완충 위치를 향해서 이동될 때에는 상기 피스톤(6)과 상기 제 1 단부벽(2) 사이의 헤드측실 부분(4a)의 기름(18)이 상기 간극(S)을 통하여 피스톤(6)과 중간벽(12) 사이의 로드측실 부분(4b)으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6)이 상기 완충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돌아올 때에는 로드측실 부분(4b)의 기름(18)이 상기 간극(S)을 통하여 헤드측실 부분(4a)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동시에 상기 로드(7)와 피스톤(6) 사이에 형성된 간극(P)을 통하여 로드측실 부분(4b)의 기름(18)이 헤드측실 부분(4a)으로 이동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피스톤(6)에는 상기 로드(7)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이들 피스톤(6)과 로드(7)가 일체로 이루어져 실린더 튜브(1)의 축선(L)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드(7)는 상기 중간벽(12)과 제 2 단부벽(3)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 튜브(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어 이 선단부에 제동 대상인 이동 물체가 충돌한다. 그리고, 이동 물체에 의한 충격이 이 로드(7)에 가해진 경우 상기 로드(7)에 의해 상기 피스톤(6)이 밀려서 피스톤실(4) 내를 제 1 단부벽(2)측으로 후퇴하고, 이동 물체에 의한 작용력이 제거되면 이들 피스톤(6) 및 로드(7)는 상기 복귀 용수철(10)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전진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조정실(13)은 상기 로드(7)의 주위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실이며 상기 제 2 단부벽(3)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3b)의 외주와 상기 실린더 튜브(1)의 내주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실(13)의 외경은 상기 피스톤실(4)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실(13)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을 한 상기 탄성 부재(8)가 실린더 튜브(1)의 축선(L)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8)는 예를 들면, 독립 기포를 갖는 신축 가능한 발포체{예를 들면, 나이트릴 고무(NBR)로 이루어진 발포 고무나 합성 수지 발포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탄성 부재(8)는 상기 조정실(13) 내에 상기 슬리브(3b)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드(7)가 전진 단부의 위치를 점유하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가압된 기름(18)의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고, 그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스페이스에 의해 상기 조정실(13) 내에 리저버 탱크(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8)의 비압축시에 있어서의 축선(L) 방향 길이와 내경 및 외경은 상기 조정실(13)의 축선(L) 방향 길이와 내경 및 외경과 거의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약간 큰 정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탄성 부재(8)의 비압축시의 바람직한 크기는 상기 조정실(13) 전체를 거의 채우는 크기이며, 이때 이 조정실(13) 내에 상기 리저버 탱크(5)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8)가 제 2 단부벽(3)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 탄성 부재(8)는 반드시 이러한 위치를 점유한 다고 한정되지 않고 조정실(13)의 중앙부나 그 밖의 위치를 점유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 탱크(5)는 상기 중간벽(12)에 형성된 연통부(12a)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실(4)과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실(4)과 리저버 탱크(5)의 내부에 봉입된 상기 기름(18)은 압축된 상기 탄성 부재(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리저버 탱크(5)는 상기 피스톤(6) 및 로드(7)가 전진 단부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하여 완충 위치로 이동될 때에 헤드측실 부분(4a)으로부터 로드측실 부분(4b)으로 유동된 기름(18)의 일부, 즉 상기 로드측실 부분(4b)에 진입한 로드(7)의 체적만큼의 기름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양쪽 실 부분(4a,4b)의 용적차를 흡수하는 것이며, 피스톤(6)의 위치에 따라 유입되는 기름(18)량이 다르므로 그것에 따라 상기 리저버 탱크(5)의 용적도 변화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6)이 압입되어 완충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리저버 탱크(5) 내로 유입되는 기름의 양이 점차적으로 많아지므로 탄성 부재(8)의 압축량도 점차적으로 많아져 상기 리저버 탱크(5)의 용적이 확대되고, 반대로 피스톤(6)이 완충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될 때에는 상기 리저버 탱크(5) 내의 기름이 유출되므로 탄성 부재(8)는 신장되어 리저버 탱크(5) 내의 용적은 축소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유압식 쇼크 업소버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쇼크 업소버가 비작동일 때, 도 1의 상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6)은 복귀 용수철(14)에 의해 밀려 중간벽(12)에 접촉된 초기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이때, 상기 조정실(13) 내에는 압축된 상기 탄성 부재(8)에 의해 리저버 탱크(5)가 형성 되고 실린더 튜브(1) 내의 기름(18)이 상기 탄성 부재(8)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 상태에서 로드(7)에 이동 물체가 충돌하면, 도 1의 하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드(7)에 의해 피스톤(6)이 밀려서 완충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들 피스톤(6) 및 로드(7)의 이동에 따라 헤드측실 부분(4a)의 기름(18)이 피스톤(6) 외주의 간극(S)을 통하여 로드측실 부분(4b)으로 유동되고, 그때의 유동 저항에 의해 이동 물체의 운동 에너지가 흡수된다. 또한, 로드측실 부분(4b)으로 유입된 기름(18) 중 상기 로드측실 부분(4b)으로 진입된 로드(7)의 체적에 해당하는 만큼의 기름은 상기 리저버 탱크(5) 내로 유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8)를 더욱 압축하여 상기 리저버 탱크(5)의 용적을 확대시킨다.
상기 로드(7)에 이동 물체에 의한 작용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피스톤(6) 및 로드(7)는 상기 복귀 용수철(14)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전진 단부인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리저버 탱크(5) 내의 기름은 탄성 부재(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저버 탱크(5)로부터 압출되어 로드측실 부분(4b)을 통하여 헤드측실 부분(4a)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피스톤(6)의 복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축되어 있었던 상기 탄성 부재(8)는 리저버 탱크(5)로부터의 기름 유출과 함께 복원되어 도 1의 상반부에 나타낸 초기 상태가 된다.
쇼크 업소버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로드(7)가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면 기름(18)이 상기 로드(7)의 표면에 부착되어 조금씩 외부로 유출되고 피스톤실(4) 내의 기름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간다. 그러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저버 탱크(5) 내의 기름(18)이 감소된 만큼 압출되어 피스톤실(4) 내로 보충된다. 이 결과, 상기 피스톤실(4) 내의 기름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실(4) 내의 기름량이 감소되어 리저버 탱크(5)의 용적이 감소되면 탄성 부재(8)의 수축도도 감소되어 기름의 가압력도 감소되지만, 그 상태로부터 상기 리저버 탱크(5)의 용적을 확대시켜서 탄성 부재(8)에 의한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싶을 때에는 상기 조정 부재(10)를 단단히 조여서 기름을 가압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여, 기름의 가압력으로 탄성 부재(8)를 압축시킴으로써 리저버 탱크(5)를 형성하고, 이 탄성 부재(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저버 탱크(5) 내의 기름을 피스톤실(4) 내의 기름이 감소된 만큼에 대응하여 압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압용 피스톤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면 사용하는 부품수가 적어져서 구성이 간단해지고, 쇼크 업소버의 축선(L) 방향 길이를 억제하여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을 한 상기 탄성 부재(8)가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체로 중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탄성 부재(8)는 유압 작용으로 용적 변화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의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유연하고 비통기성이 있는 소재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탄성 부재(8)는 조정실 내의 형상에 맞추어 판 형상의 발포체를 통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6)

  1.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제 1 단부벽과 제 2 단부벽을 가짐과 아울러, 이들 양 단부벽 사이에 중간벽을 갖는 실린더 튜브;
    상기 중간벽과 제 1 단부벽 및 제 2 단부벽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간벽에 형성된 연통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피스톤실 및 조정실;
    상기 피스톤실과 상기 조정실 내부에 가압 상태로 봉입되어 있는 기름;
    쇼크 업소버의 동작에 따른 기름량의 감소에 의해 저하되는 상기 기름의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으로 상기 기름을 가압하는 조압 부재;
    상기 피스톤실의 내부를 상기 피스톤실 내주와 피스톤 외주 사이에 기름이 유통되는 간극을 유지한 상태에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어 상기 중간벽과 조정실 및 제 2 단부벽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부로 도출되는 로드; 및
    유압 작용으로 체적이 변화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조정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가 비작동 위치에 있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름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됨과 아울러, 압축에 의해 발생되는 스페이스에 의해 상기 조정실 내에 리저버 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로드의 작동에 따른 상기 리저버 탱크 내로의 기름 출입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쇼크 업소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크기는 비압축시에 상기 조정실 전체를 채우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의 제 1 단부벽에는 상기 피스톤실과 조정실에 기름을 충전하기 위한 주입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주입 구멍을 폐색하는 플러그 겸용의 상기 조압 부재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압 부재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름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구멍은 상기 피스톤실로 개구되는 작은 직경의 감입 구멍부, 및 외부로 개방되는 큰 직경의 암나사 구멍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조압 부재는 상기 감입 구멍부에 시일 부재를 통해서 기밀하게 감입되는 작은 직경의 감입 돌기부, 및 상기 암나사 구멍부에 나사결합되는 큰 직경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조압 부재를 회전하여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름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벽은 상기 로드를 따라 상기 중간벽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원 통 형상의 슬리브를 갖고, 이 슬리브의 외주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주 사이에 상기 조정실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슬리브의 외주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주 사이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벽에 있어서의 슬리브의 선단부에 상기 중간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
KR1020097022340A 2007-05-14 2008-03-18 유압식 쇼크 업소버 KR101145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28181 2007-05-14
JP2007128181 2007-05-14
PCT/JP2008/055004 WO2008139780A1 (ja) 2007-05-14 2008-03-18 油圧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015A true KR20090123015A (ko) 2009-12-01
KR101145232B1 KR101145232B1 (ko) 2012-05-24

Family

ID=4000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340A KR101145232B1 (ko) 2007-05-14 2008-03-18 유압식 쇼크 업소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85326B2 (ko)
JP (1) JP5337990B2 (ko)
KR (1) KR101145232B1 (ko)
CN (1) CN101680504B (ko)
DE (1) DE112008001272B4 (ko)
RU (1) RU2413887C1 (ko)
TW (1) TWI363148B (ko)
WO (1) WO20081397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663A (ko) 2017-03-31 2019-11-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비수전해액계 2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전해액계 2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090193A1 (it) 2009-10-27 2011-04-28 Gimatic Spa Deceleratore idraulico
JP5338841B2 (ja) 2011-04-01 2013-11-13 Smc株式会社 油圧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TW201243184A (en) * 2011-04-29 2012-11-01 Zhi-Xian Liao Shock absorber featuring adjustable pressure
DE102011122219B4 (de) * 2011-12-23 2021-03-11 Grass Gmbh Dämpfungsein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JP5699992B2 (ja) 2012-06-21 2015-04-15 Smc株式会社 双方向緩衝装置
US10632805B1 (en) 2017-04-27 2020-04-28 Oshkosh Defense, Llc Suspension element systems and methods
US9303715B2 (en) 2013-03-10 2016-04-05 Oshkosh Defense, Llc Limiting system for a vehicle suspension component
US11199239B2 (en) 2013-03-10 2021-12-14 Oshkosh Defense, Llc Suspension element systems and methods
USD754035S1 (en) * 2013-11-14 2016-04-19 Smc Corporation Shock absorber
CN105723115B (zh) * 2013-11-26 2017-05-24 北京京西重工有限公司 用于可控型阻尼器的致动机构
US9416570B1 (en) * 2015-04-07 2016-08-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as strut rod system
WO2017083723A1 (en) * 2015-11-11 2017-05-18 Kyntec Corporation Hydraulic energy absorption device with a displaceable accumulator
WO2018173167A1 (ja) * 2017-03-22 2018-09-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ダンパ
US10557674B1 (en) * 2018-10-11 2020-02-11 Dimitrios Mantas Buffer assembly for firearms
USD878250S1 (en) * 2019-10-10 2020-03-17 Jiali Huang Automotive hydraulic rod
US20220025956A1 (en) * 2021-07-16 2022-01-27 Zf Friedrichshafen Ag Restriction for a vibration damp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0362A (en) * 1946-05-18 1951-10-09 Mercier Jean Telescopic shock absorbing strut
DE962484C (de) * 1952-09-08 1957-04-25 Wales Strippit Corp Fluessigkeitsfeder
DE1095058B (de) * 1958-04-22 1960-12-15 Dowty Rotol Ltd Fluessigkeitsfeder
FR2425018A1 (fr) * 1978-05-05 1979-11-30 Bourcier Carbon Christian Perfectionnement aux pistons pour amortisseurs
JPS5966044A (ja) 1982-10-06 1984-04-14 Hitachi Ltd 電子線偏向器
JPS5966044U (ja) * 1982-10-25 1984-05-02 三興油圧工業株式会社 シヨツクアブゾ−バ
JPS63308239A (ja) * 1987-06-10 1988-12-15 Sugatsune Ind Co Ltd 粘性流体を用いた制動力調整可能な多板式ダンパ−
US5074389A (en) * 1990-01-25 1991-12-24 Bobcat Engineering Corporation Peripherally valved, temperature-compensated shock absorber
JPH0454341A (ja) 1990-06-21 1992-02-21 Nissan Motor Co Ltd 排気管の支持構造
JP2561231Y2 (ja) * 1990-09-14 1998-01-28 株式会社コガネイ 緩衝器
JPH0544764A (ja) * 1991-04-09 1993-02-23 Fuji Seiki Co Ltd シヨツクアブソ−バ
US5598904A (en) * 1995-06-05 1997-02-04 Enidine, Inc. Adjustable energy absorption device
US5927448A (en) 1996-03-15 1999-07-27 Fuji Seiki Kabushiki Kaisha Shock absorber
JPH10311358A (ja) * 1997-05-07 1998-11-24 Ckd Corp 緩衝器
JP4410923B2 (ja) * 2000-10-04 2010-02-1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DE10261591B4 (de) * 2002-12-24 2017-02-09 Grass Gmbh Dämpfungsvorrichtung
DE102004032172A1 (de) * 2004-07-02 2006-01-19 Suspa Holding Gmbh Drehdämpfer
US7299907B2 (en) * 2005-01-24 2007-11-27 Ace Controls, Inc. Hydraulic shock absorber and method
JP2006220288A (ja) 2005-02-14 2006-08-24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6250309A (ja) 2005-03-14 2006-09-21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4517373B2 (ja) * 2007-06-27 2010-08-04 Smc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663A (ko) 2017-03-31 2019-11-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비수전해액계 2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전해액계 2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232B1 (ko) 2012-05-24
US20100140031A1 (en) 2010-06-10
CN101680504B (zh) 2011-12-28
US8485326B2 (en) 2013-07-16
TWI363148B (en) 2012-05-01
RU2413887C1 (ru) 2011-03-10
DE112008001272T5 (de) 2010-04-15
TW200914752A (en) 2009-04-01
JPWO2008139780A1 (ja) 2010-07-29
DE112008001272B4 (de) 2018-04-26
CN101680504A (zh) 2010-03-24
WO2008139780A1 (ja) 2008-11-20
JP5337990B2 (ja)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232B1 (ko) 유압식 쇼크 업소버
JP2575439B2 (ja) アキュムレータ
JP5803008B2 (ja) 両ロッ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8746661B2 (en) Hydro-pneumatic piston accumulator
KR101363952B1 (ko) 유압식 쇽업소버
US9677639B2 (en) Bi-directional shock absorbing device
JP4517858B2 (ja) 可動家具部分のためのダンパー
US6234505B1 (en) Front fork
JP4410923B2 (ja) 油圧緩衝器
JP5280109B2 (ja) サイドノック式液体繰出し装置
US3148869A (en) Hydraulic cushion device
JPWO2018163462A1 (ja) サスペンション
JP2007146947A (ja) 油圧緩衝器
KR100773590B1 (ko) 가스 스프링
JP2000145860A (ja) ガススプリング
JP200804571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7303593A (ja) リリーフ弁
JP4491371B2 (ja) 緩衝器
CN212377021U (zh) 一种液压油缸导向套缓冲装置
KR200308143Y1 (ko) 에어를 이용한 급속 완충장치 기능을 갖는 스트로크조절용 실린더
KR100797273B1 (ko) 작동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 유압실린더
KR20030007359A (ko) 에어를 이용한 급속 완충장치 기능을 갖는 스트로크조절용 실린더
KR20090029198A (ko) 가스 스프링의 윤활구조
KR20190109098A (ko) 페달 시뮬레이터
JP2006138360A (ja) 油圧緩衝器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