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952B1 - 유압식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유압식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952B1
KR101363952B1 KR1020127018140A KR20127018140A KR101363952B1 KR 101363952 B1 KR101363952 B1 KR 101363952B1 KR 1020127018140 A KR1020127018140 A KR 1020127018140A KR 20127018140 A KR20127018140 A KR 20127018140A KR 101363952 B1 KR101363952 B1 KR 10136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oil
lip
end wall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026A (ko
Inventor
에이코 미야사토
아키라 히로키
쥰야 카네코
요우지 타카쿠와
켄고 몬덴
마사유키 이시카와
마리코 켓소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2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 F16F9/363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the guide being mount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sealing, enabling lubrication of the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Abstract

로드의 외주에 부착된 오일막을 극한까지 제거함으로써 오일의 유출량의 저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와 로드 패킹 사이의 양호한 슬라이딩성의 확보와 상기 로드 패킹의 마모 방지를 가능하게 한 유압식 쇽업소버를 얻는다. 로드(11)의 외주와 로드측 끝벽(3)의 내주 사이에 개재되는 로드 패킹(20)에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부착된 오일막(7a)을 긁어 떨어뜨리기 위한 제 1 립(26)을 형성함과 아울러, 유지한 그리스를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공급하는 링 형상의 그리스 유지 부재(28)를 설치하고,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를 상기 제 1 립(26)보다 로드 선단근처의 위치에서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접촉시킨다.

Description

유압식 쇽업소버{HYDRAULIC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이동 물체를 정지시킬 때의 기계적 충격을 오일의 유동 저항을 이용해서 완충하는 유압식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의 쇽업소버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하우징의 피스톤실 내에 광유(鑛油) 등의 오일을 충전함과 아울러 제동용의 피스톤을 외주에 오일의 유통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에 연결한 로드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로드측 끝벽(슬리브)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시켜서 외부로 연장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로드의 선단에 이동 물체가 충돌해서 상기 피스톤이 변이할 때에 상기 유통 간극을 흐르는 오일의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이동 물체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 로드는 복귀 스프링에 의한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통상은 전진단인 초기 위치를 차지하고, 상기 이동 물체가 충돌하면 후퇴해서 완충 동작을 행한 뒤 상기 복귀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고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때, 상기 로드의 표면에는 피스톤실 내에 충전된 오일이 부착됨으로써 오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로드가 후퇴·전진을 반복함으로써 피스톤실 내의 오일이 상기 로드를 통해서 조금씩 외부로 유출되게 되고, 이 결과, 피스톤실 내의 오일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해서 쇽업소버로서의 완충 능력이 저하하여 수명이 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오일량의 감소에 의한 완충 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드의 외주와 로드측 끝벽의 내주 사이에 스크레이퍼를 설치하고, 이 스크레이퍼로 로드 외주에 부착된 오일막을 긁어 떨어뜨려서 상기 피스톤실 내에 되돌림으로써 유출량의 저감을 도모하면 좋다.
그러나, 상기 오일막은 한편으로 상기 로드측 끝벽에 설치된 로드 패킹과 상기 로드와의 슬라이딩을 위한 윤활유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오일막을 필요 이상으로 제거해 버리면 로드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해서 슬라이딩 특성이 나빠짐과 아울러 상기 로드 패킹이 마모되어 밀봉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 때문에, 필요량의 오일이 윤활유로서 유출되도록 구성하지 않을 수 없어 오일의 유출량 저감을 도모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오일량의 감소에 의한 쇽업소버의 완충 능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이 있어서 최대의 애로사항이 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25030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로드의 외주에 부착된 오일막을 극한까지 제거함으로써 오일의 유출량의 저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와 로드 패킹 사이의 양호한 슬라이딩성의 확보와 상기 로드 패킹의 마모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측 끝벽 및 로드측 끝벽을 갖는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 오일이 충전된 피스톤실을 갖고, 상기 피스톤실 내에 완충용의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실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에 로드의 기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로드측 끝벽을 관통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부로 도출되고, 상기 로드의 외주와 상기 로드측 끝벽의 내주 사이에 로드 패킹이 개재되는 유압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킹은 상기 로드의 외주에 부착된 오일막을 긁어 떨어뜨리기 위한 에지를 갖는 제 1 립(lip)과, 상기 로드의 외주에 공급하기 위한 그리스를 유지하는 링 형상의 그리스 유지 부재를 갖고,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립보다 로드 선단 근처의 위치에서 상기 로드의 외주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 패킹이 상기 제 1 립보다 로드 선단 근처의 위치에 밀봉용의 제 2 립을 갖고, 이들 제 1 립과 제 2 립 사이에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로드 패킹의 내주에 링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 내에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가 감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드를 미소한 슬라이딩 간극을 통해서 둘러싸는 슬리브가 상기 로드측 끝벽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실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로드가 상기 로드의 외주와 상기 로드측 끝벽 및 슬리브의 내주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 간극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 간극 내의 오일을 통해서 상기 로드 패킹에 작용하는 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래버린스(labyrinth)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래버린스는 상기 로드의 외주를 둘러싸는 복수의 둘레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둘레홈 내에 상기 오일보다 점도가 큰 고점도 오일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로드 패킹의 제 1 립에 의해 로드 외주의 오일막이 극한까지 긁어 떨어뜨려져도 상기 로드 패킹에 설치한 그리스 유지 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그리스에 의해 상기 로드 패킹과 상기 로드의 슬라이딩성이 양호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로드 패킹의 마모도 방지된다. 이 결과, 오일의 유출량을 극한까지 감소시켜서 쇽업소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로드와 로드 패킹의 양호한 슬라이딩성의 유지와 상기 로드 패킹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쇽업소버의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피스톤 및 로드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쇽업소버의 다른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피스톤 및 로드가 완충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쇽업소버의 제 2 실시형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쇽업소버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쇽업소버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1)을 갖고 있다. 이 실린더 하우징(1)은 축선(L)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헤드측 끝벽(2) 및 선단측에 위치하는 로드측 끝벽(3)과,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벽(4)을 갖고 있고, 상기 중간벽(4)과 상기 헤드측 끝벽(2) 사이에 피스톤실(5)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4)과 상기 로드측 끝벽(3) 사이에 어큐뮬레이터실(6)이 형성되고, 이들 피스톤실(5) 및 어큐뮬레이터실(6)의 내부에 오일(7)이 가압 상태로 충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실(5)과 어큐뮬레이터실(6)은 상기 중간벽(4)의 연통 구멍(4a)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실(5)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실(5)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완충용의 피스톤(10)이, 그 외주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내주 사이에 오일(7)이 유통하는 간극(S)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1)[피스톤실(5)]의 축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피스톤(10)에 로드(11)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로드(11)의 기단부에 스프링 시트판(13)이 너트(14)에 의해 장착되고, 이 스프링 시트판(13)과 상기 헤드측 끝벽(2) 사이에 상기 피스톤(10)을 중간벽(4)에 접촉시키는 초기 위치(도 1의 위치)를 향해서 항상 바이어싱하는 복귀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0)은 중심을 관통하는 장착 구멍(10a) 내에 상기 로드(11)의 기단의 세경화된 장착부(11a)를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로드(11)에 플로팅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시트판(13)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로드(1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드(11)의 선단부는 상기 중간벽(4)과 슬리브(8)와 상기 로드측 끝벽(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해서 실린더 하우징(1)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11)의 선단에 제동 대상인 이동 물체가 충돌하여 상기 로드(11)에 밀어넣는 방향의 충격력(F)이 작용하면, 상기 로드(11)에 의해 밀린 피스톤(10)이 상기 피스톤실(5) 내를 도 2의 완충 위치로 이동하고, 그것에 따라 상기 피스톤(10)과 상기 헤드측 끝벽(2) 사이에 형성되는 헤드측 분실(5a) 내의 오일(7)이 상기 간극(S)을 통해서 상기 피스톤(10)과 중간벽(4) 사이에 형성되는 로드측 분실(5b) 내로 이동하고, 그 때의 상기 오일(7)의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이동 물체의 운동 에너지가 흡수되어서 완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 이동 물체에 의한 작용력이 제거되면 상기 피스톤(10) 및 로드(11)는 상기 복귀 스프링(12)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전진되어서 도 1의 초기 위치에 복귀하고, 그 때, 상기 로드측 분실(5b) 내의 오일(7)이 상기 간극(S)을 통해서 헤드측 분실(5a) 내로 이동한다. 이 경우 동시에, 상기 로드(11)와 피스톤(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P)을 통하여 로드측 분실(5b)의 오일(7)이 헤드측 분실(5a) 내로 이동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1)과 헤드측 끝벽(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측 끝벽(2)의 중앙부에 실린더 하우징(1) 내에 상기 오일(7)을 충전하기 위한 주입 구멍(15)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 구멍(15)은 충전한 오일(7)을 예압을 부여하기 위한 조압(調壓) 부재를 겸하는 플러그(16)에 의해 막혀 있다. 이 플러그(16)는 기단의 수나사부(16a)를 상기 주입 구멍(15)의 암나사부(15a)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이 주입 구멍(15) 내에 장착되어 있고, 이 플러그(16)를 회전시켜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 하우징(1) 내의 오일(7)을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로드측 끝벽(3)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1)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O링(17)을 개재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내부에 끼워져 있다. 이 로드측 끝벽(3)은 상기 로드(11)의 외주를 둘러싸서 상기 헤드측 끝벽(2) 쪽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상기 슬리브(8)를 일체로 갖고, 상기 로드측 끝벽(3) 및 슬리브(8)의 내주와 상기 로드(11)의 외주 사이에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소한 슬라이딩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드측 끝벽(3)의 내주에 형성된 오목 단차부(19)에는 상기 로드측 끝벽(3)의 내주와 상기 로드(11)의 외주 사이를 밀봉하는 링 형상의 로드 패킹(20)이 장착되고, 이들 로드측 끝벽(3)과 로드 패킹(20)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단부에 장착된 환상의 고정 부재(21)에 의해 장착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8)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하우징(1)의 축선(L)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드(11)를 위한 베어링 및 가이드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드(11)에 편하중이 작용해도 상기 로드(11)을 적절한 방향으로 전후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10)이 피스톤실(5)의 벽면에 접촉해서 이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의 완충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중간벽(4)은 상기 슬리브(8)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슬리브(8)와 별체로 형성해서 상기 슬리브(8)에 결합해도 좋다. 또는 실린더 하우징(1)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벽(4)을 독립된 부재로서 형성하고, 그것을 슬리브(8)의 선단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실린더 하우징(1)의 내부에 끼워도 좋다.
상기 어큐뮬레이터실(6)은 상기 슬리브(8)의 주위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실이며, 축선(L)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로드측 끝벽(3)과 중간벽(4)에 의하여 획정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실(6)의 외경은 상기 피스톤실(5)의 내경보다 큰 직경이다.
이 어큐뮬레이터실(6)의 내부에는 로드(11)의 진퇴 이동에 수반되는 내부용적 변화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링 형상의 탄성 부재(22)가 실린더 하우징(1)의 축선(L)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22)는 신축 가능의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다공질재로서는 예를 들면 독립 기포를 갖는 니트릴 고무(NBR)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발포체가 사용된다. 이 탄성 부재(22)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실(6) 내에 상기 슬리브(8)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드(11)가 전진단의 위치를 차지하는 도 1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가압된 오일(7)의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에 있고, 그 수축에 의해 생기는 스페이스에 의해 상기 어큐뮬레이터실(6) 내에 리저버 탱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22)의 비압축시에 있어서의 축선(L) 방향 길이와 내경 및 외경은, 상기 어큐뮬레이터실(6)의 축선(L) 방향 길이와 내경 및 외경과 거의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약간 큰 정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탄성 부재(22)의 비압축시의 바람직한 크기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실(6) 전체를 거의 채우는 크기이며, 이 때 이 어큐뮬레이터실(6) 내에는 상기 리저버 탱크(23)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리저버 탱크(23)는 상기 중간벽(4)에 형성된 연통 구멍(4a)을 통해서 상기 피스톤실(5)과 서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실(5)과 리저버 탱크(23)의 내부에 봉입된 상기 오일(7)은 압축된 상기 탄성 부재(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 있다.
상기 리저버 탱크(23)는 상기 피스톤(10) 및 로드(11)가 전진단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후퇴를 시작해서 도 2의 완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헤드측 분실(5a)로부터 로드측 분실(5b)로 유동한 오일(7)의 일부, 즉 상기 로드측 분실(5b)에 진입한 로드(11)의 체적분에 상당하는 양의 오일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양 분실(5a, 5b)의 용적차를 흡수하는 것으로, 피스톤(10)의 위치에 따라 유입되는 오일량이 다르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 상기 리저버 탱크(23)의 용적도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10)이 밀려들어가서 완충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리저버 탱크(23) 내에 유입되는 오일(7)의 양은 점차로 많아지기 때문에 탄성 부재(22)의 압축량도 점차로 많아져서 상기 리저버 탱크(23)의 용적은 확대되고, 반대로 피스톤(10)이 완충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상기 리저버 탱크(23) 내의 오일(7)이 유출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22)는 신장되고, 리저버 탱크(23) 내의 용적은 축소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22)가 축선(L)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어큐뮬레이터실(6)의 일단측에 상기 리저버 탱크(23)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탄성 부재(22)는 오일(7)에 의해 축선(L) 방향으로도 지름 방향으로도 압축되기 때문에 반드시 이 예와 같이 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22)의 내주 또는 외주에 상기 리저버 탱크(23)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 패킹(20)은 합성 고무 재료 또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립형의 패킹이며,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접촉하는 2개의 밀봉용의 립(26, 27)을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이 중 제 1 립(26)은 다른쪽의 제 2 립(27)보다 로드(11)의 기단 근처의 위치[피스톤(10) 근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드(11)의 기단측을 향해서 뾰족한 에지(26a)를 갖고 있고, 이 에지(26a)로 상기 로드(11)가 완충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부착된 오일막(7a)를 긁어 떨어뜨려서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에 되돌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립(26)은 밀봉을 위한 기능과, 오일막(7a)를 긁어 떨어뜨리는 스크레이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립(27)은 상기 제 1 립(26)보다 로드(11)의 선단 근처의 위치에 선단을 상기 로드(11)의 선단 방향을 향해서 설치되고, 이 위치에서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로드(11)와 상기 로드측 끝벽(3) 사이를 밀봉 하고 있다.
상기 합성 고무 재료로서는 니트릴 고무나 불소 고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합성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나 4불화 에틸렌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로드 패킹(20)은 다공질로 형성해서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함침 시킴으로써 자기 윤활성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 패킹(20)은 또한 그리스를 유지하는 링 형상의 그리스 유지 부재(28)를 갖고 있다. 이 그리스 유지 부재(28)는 상기 로드 패킹(20)과 별체로 형성된 것으로, 이 그리스 유지 부재(28)를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로드 패킹(20)의 내주에는 상기 제 1 립(26)과 제 2 립(27) 사이의 위치에 링 형상의 오목홈(29)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29) 내에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가 감합되어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의 내주가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신축 가능의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그리스가 함침되고 있고, 이 그리스를 상기 로드(11)와의 슬라이딩시에 상기 로드(11)의 외주면에 조금씩 공급하여 상기 로드(11)와 상기 로드 패킹(20)의 각 립(26, 27) 사이의 윤활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는 상기 탄성 부재(2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니트릴 고무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발포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이외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U자형, D자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유압식 쇽업소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쇽업소버가 비작동일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0)은 복귀 스프링(12)에 의해 밀려 중간벽(4)에 접촉한 초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어큐뮬레이터실(6) 내에는 압축된 상기 탄성 부재(22)에 의해 리저버 탱크(23)가 형성되고, 실린더 하우징(1) 내의 오일(7)이 상기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로드(11)에 이동 물체가 충돌하면 상기 로드(11)에 의해 피스톤(10)이 밀려 도 2의 완충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들 피스톤(10) 및 로드(11)의 이동에 따라 헤드측 분실(5a) 내의 오일(7)이 피스톤(10) 외주의 간극(S)을 통해서 로드측 분실(5b) 내로 유동하고, 그 때의 유동 저항에 의해 이동 물체의 운동 에너지가 흡수된다. 또한, 로드측 분실(5b)에 유입된 오일(7) 중 상기 로드측 분실(5b)에 진입한 로드(11)의 체적분에 상당하는 양의 오일은 상기 리저버 탱크(23) 내에 유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22)를 더욱 압축해서 상기 리저버 탱크(23)의 용적을 확대시킨다.
상기 로드(11)에 이동 물체에 의한 작용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피스톤(10) 및 로드(11)는 상기 복귀 스프링(12)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전진단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상기 리저버 탱크(23) 내의 오일(7)은 탄성 부재(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저버 탱크(23)로부터 압출되고, 로드측 분실(5b)을 통해서 헤드측 분실(5a)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피스톤(10)의 복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축되어 있었던 상기 탄성 부재(22)는 리저버 탱크(23)로부터의 오일(7)의 유출과 함께 복원되어 도 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가 된다.
상기 로드(11)가 도 2의 완충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로드 패킹(20)의 제 1 립(26)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에 진입한 로드 부분에 부착된 오일(7)은, 상기 로드(11)가 상기 완충 위치로부터 도 1의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 상기 제 1 립(26)의 에지(26a)에 의해 극한까지 긁어 떨어뜨려져서 이 로드 패킹(20)을 넘어서 외부로 반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실(5) 내의 오일량의 감소는 억제되고, 오일량의 감소에 의한 쇽업소버의 기능 저하를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그러나, 로드(11) 표면의 오일막(7a)을 완전하게 긁어 떨어뜨리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극히 미량의 오일(7)이 외부로 유출될 수는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장기간에 걸치는 상기 쇽업소버의 사용에 의해 오일량이 약간 감소하게 되지만, 그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16)를 단단히 조여서 피스톤실(5) 내의 오일(7)을 가압하면 된다. 단, 그러한 조작을 행하는 빈도는 종래의 쇽업소버에 비해서 매우 적다.
한편, 상기 로드(11)의 외주면에는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로부터 그리스가 조금씩 공급되고, 이 그리스에 의해 상기 로드(11)와 상기 로드 패킹(20)의 제 1 립(26) 및 제 2 립(27) 사이의 윤활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실(5) 내의 오일(7)의 일부에서 상기 윤활성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제 1 립(26)에 의해 로드 표면의 오일막(7a)을 극한까지 긁어 떨어뜨릴 수 있고, 오일막(7a)을 극한까지 긁어 떨어뜨려도 상기 그리스에 의해 로드 패킹(20)과 로드(11)의 슬라이딩성이 양호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로드 패킹(20)의 마모도 방지되게 된다.
이 결과, 오일(7)의 유출량을 극한까지 감소시켜서 오일량의 감소에 의한 쇽업소버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로드(11)와 로드 패킹(20)의 양호한 슬라이딩성의 유지와, 상기 로드 패킹(20)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쇽업소버의 제 2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쇽업소버는 로드 패킹(20)의 내구성 및 밀봉성의 향상을 위해서 보다 유효한 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즉, 이 쇽업소버는 로드(11)의 외주에 상기 로드(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둘레홈(33a)으로 이루어지는 래버린스(33)를 갖고, 이 래버린스(33)로 상기 로드(11)의 외주와 상기 로드측 끝벽(3) 및 슬리브(8)의 내주 사이의 슬라이딩 간극(G) 내를 흐르는 오일(7)의 흐름을 제어하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로드 패킹(20)에 상기 오일에 의한 과대한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피스톤(10) 및 로드(11)가 완충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 피스톤실(5)에 있어서의 로드측 분실(5b) 내의 오일(7)은 상기 피스톤(10)에 의해 가압되어 리저버 탱크(23) 내에 유입되는 것 이외에,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를 흘러서 상기 로드 패킹(20)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상기 로드 패킹(2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립(26)은 상기 오일(7)에 의한 과대한 압력을 받아서 빠르게 마모되고, 오일막(7a)의 긁어 떨어뜨리기 기능과 밀봉 기능이 저하된다.
그러나, 이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로드(11)에 상술한 바와 같은 래버린스(3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를 흐르는 오일(7)의 유량이 이 래버린스(33)를 통과하는 동안에 제어되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립(26)에 작용하는 압력이 저감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립(26)의 마모가 방지되어 로드 패킹(20)의 내구성과 밀봉성이 향상된다.
상기 로드(11)에 상기 래버린스(33)를 형성하는 장소는 상기 로드(11)가 초기 위치와 완충 위치 사이를 왕복 동작해도 모든 둘레홈(33a)이 상기 로드측 끝벽(3) 및 슬리브(8)의 내주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는 장소, 즉 항상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에 위치하는 장소인 것이 필요하다.
상기 래버린스(33)에 있어서의 각 둘레홈(33a) 내에는 상기 오일(7)보다 점도가 높은, 예를 들면 그리스와 같은 고점도 오일을 충전해 둘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의 오일(7)의 유량(압력)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한층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점도 오일은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와 같은 신축 가능의 다공질재에 함침시키고, 이 다공질재를 상기 둘레홈(33a) 내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래버린스 내에 충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의 상기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 부분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1 : 실린더 하우징 2 : 헤드측 끝벽
3 : 로드측 끝벽 5 : 피스톤실
7 : 오일 7a : 오일막
8 : 슬리브 10 : 피스톤
11 : 로드 20 : 로드 패킹
26 : 제 1 립 26a : 에지
27 : 제 2 립 28 : 그리스 유지 부재
29 : 오목홈 33 : 래버린스
33a : 둘레홈 L : 축선
G : 슬라이딩 간극

Claims (5)

  1. 헤드측 끝벽(2) 및 로드측 끝벽(3)을 갖는 실린더 하우징(1)의 내부에 오일(7)이 충전된 피스톤실(5)을 갖고, 상기 피스톤실(5) 내에 완충용 피스톤(10)이 상기 피스톤실(5)의 축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10)에 로드(11)의 기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로드(11)의 선단부가 상기 로드측 끝벽(3)을 관통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외부로 도출되고, 상기 로드(11)의 외주와 상기 로드측 끝벽(3)의 내주 사이에 로드 패킹(20)이 개재되고, 상기 로드(11)의 선단에 충돌하는 이동 물체를 상기 로드(11) 및 상기 피스톤(10)의 이동에 따라 완충적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유압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킹(20)은 상기 로드측 끝벽(3)의 내주에 형성된 오목 단차부(19)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부착된 오일막(7a)을 긁어 떨어뜨리기 위한 에지(26a)를 갖는 제 1 립(26)과, 상기 제 1 립(26)보다 로드 선단쪽의 위치에 설치된 밀봉용 제 2 립(27)과,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공급하기 위한 그리스를 유지하는 링 형상의 그리스 유지 부재(28)를 갖고,
    상기 그리스 유지 부재(28)는 상기 로드 패킹(20)의 상기 오목 단차부(19) 내에 감합되어 있는 부분의 내주에 상기 제 1 립(26)과 제 2 립(27)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오목홈(29) 내에 감합되고, 상기 제 1 립(26)과 제 2 립(27)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로드(11)의 외주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쇽업소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1)를 미소한 슬라이딩 간극(G)을 개재하여 둘러싸는 슬리브(18)는 상기 로드측 끝벽(3)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실(5)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로드(11)는 상기 로드(11)의 외주와 상기 로드측 끝벽(3) 및 슬리브(18)의 내주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 간극(G) 내의 오일을 통해서 상기 로드 패킹(20)에 작용하는 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래버린스(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쇽업소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버린스(33)는 상기 로드(11)의 외주를 둘러싸는 복수의 둘레홈(3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둘레홈(33a) 내에 상기 오일(7)보다 점도가 큰 고점도 오일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쇽업소버.
KR1020127018140A 2010-01-14 2010-12-01 유압식 쇽업소버 KR101363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6026 2010-01-14
JP2010006026A JP5668289B2 (ja) 2010-01-14 2010-01-14 油圧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PCT/JP2010/071456 WO2011086780A1 (ja) 2010-01-14 2010-12-01 油圧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026A KR20120105026A (ko) 2012-09-24
KR101363952B1 true KR101363952B1 (ko) 2014-02-18

Family

ID=4430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140A KR101363952B1 (ko) 2010-01-14 2010-12-01 유압식 쇽업소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57583B2 (ko)
JP (1) JP5668289B2 (ko)
KR (1) KR101363952B1 (ko)
CN (1) CN102741582B (ko)
DE (1) DE112010005137B4 (ko)
RU (1) RU2549732C2 (ko)
TW (1) TWI449853B (ko)
WO (1) WO2011086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3008B2 (ja) 2012-06-21 2015-11-04 Smc株式会社 両ロッ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2151464B1 (ko) * 2013-06-28 2020-09-03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저발진·내분진 쇼크 업소버
USD754035S1 (en) * 2013-11-14 2016-04-19 Smc Corporation Shock absorber
GB2526828A (en) * 2014-06-03 2015-12-09 Lama D D Dekani Improvements in dampers
TWI568946B (zh) * 2016-03-02 2017-02-0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緩衝裝置
JP6511411B2 (ja) * 2016-03-23 2019-05-15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07387765A (zh) * 2017-08-25 2017-11-24 利辛县宝隆橡塑密封件有限责任公司 一种液压缸用密封圈
USD878250S1 (en) * 2019-10-10 2020-03-17 Jiali Huang Automotive hydraulic rod
US11572128B2 (en) * 2020-05-19 2023-02-07 Shimano Inc. Piston assembly for human-powered vehicle
TWI817133B (zh) * 2020-06-03 2023-10-01 美商聖高拜塑膠製品公司 動態金屬密封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5385U (ja) * 1981-12-23 1983-06-28 株式会社昭和製作所 フロントフオ−クのオイルシ−ル装置
JP2004011786A (ja) * 2002-06-07 2004-01-15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8393C (de) * 1949-07-02 1953-10-29 Hemscheidt Maschf Hermann Fuehrung und Dichtung des Kolbens und der Kolbenstange im Zylinder-gehaeuse, insbesondere bei hydraulischen Schwingungsdaempfern von Kraftfahrzeugen
FR1098669A (fr) * 1954-01-23 1955-08-17 Perfectionnements aux joints pour amortisseurs télescopiques ou analogues
US3621949A (en) * 1969-10-01 1971-11-23 Gen Motors Corp Modified rod guide for cut off shock absorber
US4185721A (en) * 1978-04-03 1980-01-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pringless seal for shock absorber
SU870812A2 (ru) * 1979-12-20 1981-10-07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уго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плотнение манжетного типа
JPS5895385A (ja) 1981-11-30 1983-06-06 株式会社 写研 文字発生方法
JPS58100884U (ja) * 1981-12-28 1983-07-08 株式会社昭和製作所 二輪車等のフロントフオ−クのシ−ル装置
JPS5983846A (ja) * 1982-11-01 1984-05-15 Yamaha Motor Co Ltd 油圧緩衝器
JPH0419255Y2 (ko) * 1984-09-19 1992-04-30
DE3616844C2 (de) * 1986-05-17 1995-05-24 Festo Kg Führungs- und Dichtungsanordnung für die Kolbenstange eines Kolben-Zylinder-Aggregats
JPH0224136A (ja) 1988-07-13 1990-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弾性体複合材料
JPH0518507Y2 (ko) * 1988-08-01 1993-05-17
DE3905777A1 (de) * 1989-02-24 1990-08-30 Boge Ag Dichtring
JP2006250309A (ja) 2005-03-14 2006-09-21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20090223762A1 (en) 2005-03-14 2009-09-10 Koganei Corporation Shock Absorber
JP4517373B2 (ja) * 2007-06-27 2010-08-04 Smc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DE102007030522A1 (de) * 2007-06-30 2009-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ichtring mit mindestens einer Dichtlippe und einer Abstreifeinrichtung
JP4972518B2 (ja) * 2007-10-24 2012-07-1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チェック構造
JP2009264488A (ja) * 2008-04-25 2009-11-12 Kayaba Ind Co Ltd フロントフォーク
JP5338841B2 (ja) * 2011-04-01 2013-11-13 Smc株式会社 油圧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5385U (ja) * 1981-12-23 1983-06-28 株式会社昭和製作所 フロントフオ−クのオイルシ−ル装置
JP2004011786A (ja) * 2002-06-07 2004-01-15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0005137B4 (de) 2016-05-19
US20130015027A1 (en) 2013-01-17
CN102741582B (zh) 2015-06-17
WO2011086780A1 (ja) 2011-07-21
RU2549732C2 (ru) 2015-04-27
US8857583B2 (en) 2014-10-14
CN102741582A (zh) 2012-10-17
DE112010005137T5 (de) 2012-10-25
JP2011144875A (ja) 2011-07-28
RU2012134614A (ru) 2014-02-20
TW201139888A (en) 2011-11-16
KR20120105026A (ko) 2012-09-24
JP5668289B2 (ja) 2015-02-12
TWI449853B (zh)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952B1 (ko) 유압식 쇽업소버
US6290235B1 (en) Sealing system for a reciprocating shaft
KR101145232B1 (ko) 유압식 쇼크 업소버
US5332234A (en) Sealing arrangement
US9677639B2 (en) Bi-directional shock absorbing device
CN201373105Y (zh) 金属弹簧加强密封件
US7703587B2 (en) Rod guide for monotube shock absorbers
JP5984101B2 (ja) 低発塵・耐粉塵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13185702A (ja) 摺動シール及び組合せ摺動シール
US6446944B1 (en) Suspension strut
JP5280109B2 (ja) サイドノック式液体繰出し装置
JP6355067B2 (ja) シール装置
JP6579503B1 (ja) 環状ダストシール
CN110709604B (zh) 具有用于保持冷却和液压密封的阀的液压活塞
CN109695716A (zh) 活塞和液压缸
US20160025220A1 (en) Actuation Rod Lubr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2298262A (zh) 缓冲装置、车钩组件、列车和轨道交通系统
US11118409B1 (en) Spring compensated lubrication system for sealed bearing earth boring bits
CN209067584U (zh) 一种高速往复运动油缸的防泄漏动密封结构
JP2000145860A (ja) ガススプリング
JP2018112232A (ja) 油圧緩衝器用密封装置
JP4921298B2 (ja) 単筒型緩衝器
JP2023074663A (ja) シリンダ装置
KR20020053719A (ko) 실린더 장치
RU2350798C1 (ru) Амортизатор эластомер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