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594A - 피부 외용 첩부제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594A
KR20090112594A KR1020090035562A KR20090035562A KR20090112594A KR 20090112594 A KR20090112594 A KR 20090112594A KR 1020090035562 A KR1020090035562 A KR 1020090035562A KR 20090035562 A KR20090035562 A KR 20090035562A KR 20090112594 A KR20090112594 A KR 20090112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tch
skin external
external patch
dext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6579B1 (ko
Inventor
마꼬또 가네바꼬
고우 야나기모또
도루 와따나베
쇼이찌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마에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마에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수 시간 동안 환부에 부착할 수 있는 충분한 부착력을 갖고, 환부에 부착시키기 전에 고체(膏體, paste)끼리 접착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는 등의 사용성이 우수한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patch)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는, 첩부제의 고체 중에 약물 0.1 내지 10 중량%, 점착성 기제 0.1 내지 20 중량%, 가교제 0.001 내지 3.0 중량%, 물 15 내지 60 중량%, 점착 부여성 수지 2 내지 20 중량%, 점착 부여성 수지 용해제 0.4 내지 10 중량%, 흡유성 무기성 분말 0.1 내지 30 중량% 및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고, 고체의 두께가 100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 외용 첩부제, 흡유성 무기성 분말,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Description

피부 외용 첩부제 {EXTERNAL SKIN PATCH}
본 발명은 피부 외용 첩부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착력, 사용성이 우수한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 외용제로서 일반적으로 겔상 연고제, 크림제, 액제, 첩부제 등이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 중에서도 첩부제는 1회의 사용으로도 약물의 효과가 수 시간 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어깨 또는 등 등 평소에는 의복하에 가려지는 환부의 치료에 유효한 제제이다.
첩부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에멀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사용하고, 실질적으로 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고제, 플라스터제, 테이프제(비수형 점착제)와, 수용성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물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는 파프제(함수형 점착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비수형 점착제는 부착력이 강하고, 고체가 얇기(지지체와 점착제층을 합쳐도 1 ㎜ 이하이기) 때문에 유연성이 양호하다는 등의 이점을 갖고 있지만, 제제의 폐색성이 높아 피부에 대하여 자극성이 있거나, 소수성의 점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히 발한시에 피부로부터 박리된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함수형 점착제는 물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약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부착력이 비교적 약하거나 수분의 휘산에 의해 부착력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것, 및 고체가 두껍기(지지체와 점착제층을 합쳐서 1.5 ㎜ 이상이기) 때문에 유연성이 낮고, 대량의 발한시에는 땀을 지나치게 흡수하여 그의 무게로 인해 탈락되는 경우가 있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비수형 점착제와 함수형 점착제를 혼재시킨 신규 함수성 첩부제(특허 문헌 1 및 2)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신규 함수성 첩부제도 충분한 부착력을 갖고 있다고는 할 수 없으며, 고체의 흡수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특히 발한시에 박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었다. 또한, 환부에 부착시키기 전에 고체끼리 접착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첩부제의 부착력 증강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다양하게 검토되어 왔지만(특허 문헌 3 내지 8), 이들 방법도 부착력이 불충분하거나, 제조 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모두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6-14504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06-14505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05-13996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06-219941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08-295624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11-302160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평)08-175979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2878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수 시간 동안 환부에 부착할 수 있는 충분한 부착력을 갖고, 환부에 부착시키기 전에 고체끼리 접착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는 등의 사용성이 우수한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약물, 점착성 기제, 가교제, 물, 점착 부여성 수지 및 그의 용해제, 흡유성 무기성 분말을 필수로서 함유하는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에서 관찰되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검토를 행한 결과, 첩부제의 고체 중에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시키면 부착력이 향상되고, 환부에 부착시키기 전에 고체끼리 접착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첩부제의 고체 중에 약물 0.1 내지 10 중량%, 점착성 기제 0.1 내지 20 중량%, 가교제 0.001 내지 3.0 중량%, 물 15 내지 60 중량%, 점착 부여성 수지 2 내지 20 중량%, 점착 부여성 수지 용해제 0.4 내지 10 중량%, 흡유성 무기성 분말 0.1 내지 30 중량% 및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고, 고체의 두께가 100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는 피부에의 부착력이 향상되어 있기 때문에, 말려 올라가거나 탈락되는 등의 종래의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가 갖고 있었던 결점이 해소된 것이다. 또한, 환부에 붙이기 전에 첩부제의 고체끼리 접착된 경우에도, 간단히 박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다량으로 발한하는 여름철이나 옥외에서의 활동시에 사용하여도 충분한 부착력이 지속되기 때문에, 테이프 등으로 고정시킬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서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란, 덱스트린과 지방산으로 형성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덱스트린 부분은 전분을 분해시킨 말토스 또는 덱스트로스에 이르는 중간 단계 생성물의 총칭이며, 아밀로덱스트린(요오드 반응: 청남색, 비선광도: +190 내지 +195°, 분자량: >10000), 에리트로덱스트린(요오드 반응: 적색 내지 갈색, 비선광도: +194 내지 +196°, 분자량: 6200 내지 7000), 아크로덱스트린(요오드 반응: 담갈색, 비선광도: +192°, 분자량: 3700) 및 말토덱스트린(요오드 반응: 무색, 비선광도: +181 내지 +183°) 등을 들 수 있으며(제15개정 일본 약전 해설서), 이 중 의약품 첨가물 규격(이하, 약첨규라고도 함) "팔미트산 덱스트린" 확인 시험 2에 준하여,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용액이 보라색 내지 적갈색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상기 지방산 부분은 탄소수가 12 내지 22인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이 중 포화 지방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가는, 약첨 규 산가 시험법에 준하여, 95 % 에탄올/크실렌 혼액(1:1) 용해시에 38 이하(mgKOH/g)가 바람직하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팔미트산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덱스트린, 베헨산 덱스트린,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야자유 지방산 덱스트린 및 라우르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 팔미트산 덱스트린 및 미리스트산 덱스트린이 바람직하고, 팔미트산 덱스트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팔미트산 덱스트린은 레오펄(Rheopearl) KL2, 레오펄 KS2, 레오펄 TL2(치바 세이훈(Chiba Flour Milling Co., Ltd.) 제조), 팔미트산 덱스트린(닛코 케미칼즈(Nikko Chemicals, Co., Ltd.) 제조) 등의 시판품으로서, 미리스트산 덱스트린은 레오펄 MKL2(치바 세이훈 제조) 등의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이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장시간 동안 환부에 부착되는 데 충분한 점착력을 제공하면서, 고체끼리 접착되었을 때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적절한 점착력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고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물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장뇌, 멘톨, 고추 엑기스,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등의 국소 자극제, 아세트산토코페롤, 니코틴산토코페롤 등의 말초 혈류 개선제, 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로페니라민, 염산이소티펜딜 등의 항히스타민제, 당귀, 황벽나무, 치자나무, 아르니 카, 서양 칠엽수 등의 소염성 생약의 엑기스나 분말, 글리시르헤틴산, 인도메타신,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펠비낙, 록소프로펜, 디클로페낙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프레드니솔론, 하이드로코르티손, 덱사메사손,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등의 외용 스테로이드제, 크로타미톤 등의 진양제, 리도카인, 디부카인 등의 국소 마취제,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벤잘코늄 등의 살균 소독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가 바람직하고, 인도메타신이 특히 바람직하다. 약물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첩부제에서 약리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의 함유량일 수 있으며, 고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점착성 기제란 함수 상태에서 점착성을 나타내는 기제이며, 그의 예로서는 아크릴산을 중합한 것(폴리아크릴산), 아크릴산을 부분적으로 중화하여 중합한 것(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및 아크릴산을 완전히 중화하여 중합한 것(폴리아크릴산 완전 중화물)을 들 수 있고, 고체의 점착성을 높이기 위해 함유한다. 특히 아크릴산을 부분적으로 중화하여 중합한 것의 중화도로서는 70 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50 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화도가 10 몰% 이상인 것이 생산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줄리머(Julimer) AC-10L(닛본 준야꾸(Nihonjunyaku Co., Ltd.) 제조), 아쿠알릭(AQUALIC) HL(닛본 쇼꾸바이(Nippon Shokubai Co., Ltd.)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코메이트(Viscomate) NP-600, 비스코메이트 NP-700, 비스 코메이트 NP-800(쇼와 덴꼬(Showa Denko K.K.) 제조), 아론비스(Aronbis) 105X, 아론비스 106X(닛본 준야꾸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 완전 중화물(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론비스 S(닛본 준야꾸 제조), 폴리스타(Polystar) A-1060(닛본 유시(NOF Corporation) 제조), 비스코메이트 F-480SS(쇼와 덴꼬 제조), 아쿠알릭 FH(닛본 쇼꾸바이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및 폴리아크릴산 완전 중화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성 기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첩부제에서 필요한 점착력을 갖는 범위의 함유량일 수 있으며, 고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점착성 기제의 함유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고체가 응집되고,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체의 보형성이 저하되거나 피부에의 부착성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력의 관점에서, 점착성 기제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비율은 중량비로 1:0.005 내지 2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5 내지 2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교제로서는,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디히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나마그네슘 및 합성 규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디히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및/또는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이 바람 직하다. 가교제의 시판품에는 합성 히드로탈사이트로서, 예를 들면 알카막(Alkamac)(교와 가가꾸 고교 제조), 디히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날(Glycinal) SG, 글리시날 PG(교와 가가꾸 고교 제조),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 S-100(교와 가가꾸 고교 제조),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이실린(Neusilin) UFL2(후지 가가꾸 고교(FUJI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이실린 A, 노이실린(후지 가가꾸 고교 제조), 네오알루민(NeoALUMIN) S(도미따 세이야꾸(Tomita Pharmaceutical Co., Ltd.) 제조)가, 수산화 알루미나마그네슘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날민(Sanalmin)(교와 가가꾸 고교 제조), 합성 규산알루미늄으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 규산알루미늄(교와 가가꾸 고교 제조, 도미따 세이야꾸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첩부제에서 고체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의 함유량일 수 있으며, 고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01 내지 1.5 중량%가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가교가 과잉이 되어 고체가 응집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교가 불충분해져 고체 잔존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의 물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함수성의 첩부제에서 필요로 되는 범위의 함유량일 수 있으며, 고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다. 물이 60 중량%를 초과한 경우, 고 체의 보형성 및 점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교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고, 부착시킨 후 박리시킬 때의 고체 잔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 부여성 수지는 비수용성의 수지이며, 그의 예로서는 에스테르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 로진 글리세린에스테르, 로진, 테르펜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에스테르검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성 수지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첩부제에서 함유하는 범위의 함유량일 수 있으며, 고체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2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부착력 향상 및 고체끼리 접착된 경우의 박리성 향상의 효과가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상 곤란하거나, 수분 함유량이 저하되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력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성 수지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비율은 중량비로 1:0.005 내지 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25 내지 2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 부여성 수지 용해제로서는, 우지, 돈지 등의 동물유, 올리브유, 참기름, 대두유 등의 식물유, 바셀린, 유동 파라핀 등의 광물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광물유 및/또는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용해제의 함유량은 제조시의 취급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최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체 중량에 대하여 0.4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체의 보형성을 약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흡유성 무기 분말로서는, 카올린, 탈크,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산화아연, 산화티탄, 규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카올린이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은 20 내지 400 v/w%의 흡유 능력을 갖는 것이며,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흡유성 무기 분말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첩부제에 함유되는 범위의 함유량일 수 있으며, 고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내지 15 중량%가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이면 실질적으로 배합하는 의미가 없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고체가 단단해져 유연성을 잃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에서 고체의 두께는 100 내지 1000 ㎛이다. 일반적으로 고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부착력은 증대되지만, 반대로 유연성은 저하되고, 부착시의 위화감이 증대되어 탈락하기 쉬워진다. 종래 공지된 함수성 성형 파프제는 그 자체의 부착력이 비교적 약하며, 어느 정도의 부착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착시의 탈락과 같은 문제점을 피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에 따르면, 고체를 얇게 하여도 충분한 부착력을 갖기 때문에,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고체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체를 얇게 하면 함유시킬 수 있는 약물량이 적어진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에서 고체의 두께는 100 내지 1000 ㎛가 되고, 100 내지 8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첩부제의 고체 중에는, 상기한 성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고체에 사용되는 첨가물을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첨가물로서는 경화 조정제, 용매, 흡수 촉진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화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에데트산이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경화 조정제의 함유량은, 고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 내지 2 중량%가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농)글리세린, D-소르비톨액,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마크로골, 디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2-에틸-1,3-헥산디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000 등의 다가 알코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벤질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등의 1가 알코올; 트리아세틴,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세박산디에틸, 트리이소옥탄산 등의 탄소수가 6 내지 12인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에스테르류; 크로타미톤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매의 함유량은 고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다.
흡수 촉진제로서는 L-멘톨, 올레산,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촉진제로서 L-멘톨을 사용하는 경우, L-멘톨의 함유량은 고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내 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등의 페놀성 물질; 클로로부탄올, 페닐에틸 알코올 등의 중성 물질; 염화벤즈알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의 역성 비누; 비타민 E,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아세트산토코페롤, 갈산프로필, 2-머캅토벤즈이미다졸 등의 항산화제; 아스코르브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킬레이트제를 들 수 있다. 안정화제의 함유량은 고체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01 내지 0.5 중량%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고체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 내지 1 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의 점착력은, 예를 들면 의약품 제조 판매 지침에 기재되어 있는 점착력 시험(후술하는 시험예 1)으로 측정한 경우, 시험 결과가 표 1에 표시된 스틸 볼(steel ball)의 No.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No.5 이상이 바람직하다. No.4 미만이면 부착 중에 박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는, 지지체, 고체 및 라이너를 적층한 구조이다. 지지체로서는 면,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나일론, 폴리올레핀, 폴리에틸 렌, 비닐론, 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의 부직포 또는 직포를 들수있다. 라이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계 라이너, 셀룰로오스계 라이너 및 실리콘계 박리제를 표면에 코팅한 상기 라이너, 종이 시트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계 라이너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제조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제제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지지체의 부직포 또는 직포면과 라이너 사이에 고체를 전연(spreading)시켜 첩부제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시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인도메타신 1 중량부, 크로타미톤 2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3.5 중량부, 카르멜로스나트륨 3 중량부, 농글리세린 22 중량부, 카올린 3 중량부, 젤라틴 1 중량부, 디히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0.30 중량부 및 락트산 1.25 중량부를 정제수 35 중량부와 혼화하고, 이것에 경질 유동 파라핀 2.50 중량부에 가온 용해시킨 에스테르검 10 중량부, 팔미트산 덱스트린 2 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100 중량부로 하여, 교반기로 전질 균등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얻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제의 박리 라이너 필름 위에 전연 도포하여 폴리에스테르제의 신축성 직포로 피복한 후, 1매당 10 ㎝×7 ㎝로 재단하여 첩부제 1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팔미트산 덱스트린의 배합량을 2 중량부에서 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 2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팔미트산 덱스트린 2 중량부를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2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 3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팔미트산 덱스트린의 배합량을 2 중량부에서 0.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 4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팔미트산 덱스트린의 배합량을 2 중량부에서 1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 5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팔미트산 덱스트린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 6을 얻었다.
<시험예 1(점착력 시험)>
(i) 볼 점착력 시험
제조 후 2주 경과한 첩부제 1 내지 첩부제 6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높이 18 ㎝, 경사각 30°의 경사대를 준비하고, 각 첩부제를 5 ㎝×3 ㎝로 절단하여 경사면상의 위로부터 10 ㎝의 부분에 점착층면을 위로 하여 길이 5 ㎝가 되도록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고, 나머지 경사면을 첩부제와의 단차가 없어지도록 종이로 덮었다(도 1). 이어서, 표 1에 나타낸 일련의 스틸 볼을 호수가 낮은 순서대로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굴려, 첩부제의 점착면에서 10초간 정지한 스틸 볼 중 가장 큰 호수를 확인하였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하여, 확인한 스틸 볼의 호수의 평균값을 각 첩부제의 점착력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24715170-PAT00001
(ii) 프로브(probe) 점착력 시험
첩부제 1 및 첩부제 4 내지 6을 5×7 ㎝로 절단하고, 점착층면을 위로 하여 받침대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고, 점착층면 위에 직경 22 ㎜의 구멍이 뚫린 두께 1 ㎜의 실리콘판을 놓았다. 이 점착층면(실리콘판의 구멍 부분)에 직경 20 ㎜의 알루미늄제 프로브로 100 g/㎠의 하중을 1초간 부하하고(도 2), 10 ㎜/초의 속도로 프로브를 박리시킬 때의 최대 하중(g)을 텍스처 분석기(texture analyzer) TA-TAi(에코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Eko Instruments Co., Ltd.)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흡수성 시험)>
첩부제 1 내지 첩부제 6(10 ㎝×7 ㎝) 및 동일한 면적의 부직포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어서 0.5 % 염화나트륨 수용액 100 mL 중에 35 ℃에서 2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표면의 수분을 닦고 재차 중량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첩부제 1매당 흡수량(g)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흡수량(g)=(W3-W4)-(W1-W2)
W1: 각 첩부제의 침지 전의 중량(g)
W2: 부직포의 침지 전의 중량(g)
W3: 각 첩부제의 침지 후의 중량(g)
W4: 부직포의 침지 후의 중량(g)
<시험예 3(관능 시험)>
남성 20명에 대하여 발한한다는 조건(예를 들면 사우나 입욕, 골프 경기 등) 하에 첩부제 1 내지 첩부제 3 및 첩부제 6(10 ㎝×7 ㎝)을 1매씩 동시에 허리 및 팔꿈치에 3 시간 이상 부착시키고, 박리 직전의 평가를 VAS(Visual Analogue Scale)법[좌단을 0 ㎝(부착되지 않음), 우단을 10 ㎝(완전히 부착되어 있음)로 한 스케일 위에, 본인의 감각적인 위치를 기입하여 좌단으로부터의 길이를 측정]을 이 용하여 행하였다. 그 평균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고체간 접착성 시험)>
첩부제 1 내지 첩부제 6(10 ㎝×7 ㎝)에 대하여 긴 변측을 반으로 접어 고체 사이를 접합시키고, 2 ㎏의 하중을 1분간 부하하였다. 1분 경과 후, 접합된 고체 사이를 손으로 박리시켜 하기의 판단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판단 기준>
○: 박리성이 양호함(지지체의 변형없이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음)
×: 박리성이 악화됨(지지체가 변형될 정도로 박리시키기가 곤란함)
Figure 112009024715170-PAT00002
표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첩부제는 비교예의 첩부제에 비해 점착력이 향상되어 있다(시험예 1-(i), (ii)). 또한, 고체끼리 접착되었을 때에도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으며, 재사용 가능하다(시험예 4). 또한, 흡수력도 향상되어 있고(시험예 2), 발한시의 부착력도 우수하다는 것이 분명하다(시험예 3).
또한, 본원 발명의 첩부제에 대하여 래트에 의한 인도메타신 흡수 시험 및 약효 시험을 행한 바, 어떠한 첩부제도 유효 성분인 인도메타신이 피부 및 근육으로 빠르게 흡수되어, 강한 진통 작용이나 항염증 작용을 발휘하였기 때문에,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유효 성분의 약효 발현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 점착력 시험 (i)에서 사용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점착력 시험 (ii)에서 사용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laims (8)

  1. 첩부제(patch)의 고체(膏體, paste) 중에 약물 0.1 내지 10 중량%, 점착성 기제 0.1 내지 20 중량%, 가교제 0.001 내지 3.0 중량%, 물 15 내지 60 중량%, 점착 부여성 수지 2 내지 20 중량%, 점착 부여성 수지 용해제 0.4 내지 10 중량%, 흡유성 무기성 분말 0.1 내지 30 중량% 및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고, 고체의 두께가 100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팔미트산 덱스트린 및/또는 미리스트산 덱스트린인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인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기제가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및 폴리아크릴산 완전 중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디히드록시알루미 늄아미노아세테이트 및/또는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인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성 수지가 에스테르검인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제가 광물유 및/또는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인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유성 무기성 분말이 카올린인 함수성 피부 외용 첩부제.
KR1020090035562A 2008-04-23 2009-04-23 피부 외용 첩부제 KR101616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2727 2008-04-23
JP2008112727 2008-04-23
JPJP-P-2009-015638 2009-01-27
JP2009015638 2009-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94A true KR20090112594A (ko) 2009-10-28
KR101616579B1 KR101616579B1 (ko) 2016-04-28

Family

ID=4146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562A KR101616579B1 (ko) 2008-04-23 2009-04-23 피부 외용 첩부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97275B2 (ko)
JP (1) JP5346669B2 (ko)
KR (1) KR101616579B1 (ko)
CN (1) CN101564383B (ko)
HK (1) HK11356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689A (ko) * 2014-12-22 2017-08-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파프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1059037A1 (ja) * 2009-11-12 2013-04-04 学校法人日本大学 外用医薬組成物
JP5784829B2 (ja) 2011-06-30 2015-09-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油捕捉剤成分を含む吸収性構造体
CA2851870C (en) * 2012-02-29 2017-03-07 Hollister Incorporated Buffered adhesive compositions for skin-adhering medical products
KR101474210B1 (ko) * 2012-11-13 2014-12-17 주식회사 제닉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EP2853573A1 (en) 2013-09-25 2015-04-01 Nitto Denko Corporation Skin friendly adhesive
JP6430131B2 (ja) 2014-03-13 2018-11-28 日本ゼトック株式会社 靴下用ずれ防止剤
JP5821994B2 (ja) 2014-04-21 2015-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MA41266A (fr) * 2014-12-22 2017-10-3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Cataplasme
JP6613878B2 (ja) * 2015-12-25 2019-12-04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ポリマーゲル製剤
WO2017115838A1 (ja) * 2015-12-28 2017-07-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382834A (zh) * 2018-11-21 2021-09-10 绿色科技全球私人有限公司 使用糖脂肪酸酯的新型水性粘合剂
WO2021131032A1 (ja) * 2019-12-27 2021-07-01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5053A (ja) * 1992-11-06 1994-05-24 Maeda Yakuhin Kogyo Kk 使用性の改善された消炎鎮痛用皮膚外用貼付剤
KR20070089692A (ko) * 2004-12-28 2007-08-31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인도메타신 함유 첩부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7485B2 (ja) * 1989-08-09 1999-04-26 花王株式会社 油性化粧料
JPH05139961A (ja) 1991-11-12 1993-06-08 Nitto Denko Corp 医療用感圧性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製剤
JP2887548B2 (ja) 1992-11-06 1999-04-26 前田薬品工業株式会社 使用性の改善された含水性皮膚外用貼付剤
JPH06219941A (ja) 1993-01-25 1994-08-09 Nichiban Co Ltd 皮膚貼付用粘着組成物
JP3511412B2 (ja) 1994-12-21 2004-03-29 フェリック株式会社 貼付剤
JPH08295624A (ja) 1995-04-26 1996-11-12 Read Chem Kk プラスター基剤、その製造方法、該基剤を使用した外用貼 付剤
JP3676567B2 (ja) 1998-04-16 2005-07-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粘着剤組成物及び医療用貼付剤
JP4503108B2 (ja) 1998-10-20 2010-07-14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貼付剤
JP4870923B2 (ja) * 2004-04-20 2012-02-08 花王株式会社 固形粉末化粧料
JP5350575B2 (ja) * 2005-01-31 2013-11-27 久光製薬株式会社 シート状パック剤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5053A (ja) * 1992-11-06 1994-05-24 Maeda Yakuhin Kogyo Kk 使用性の改善された消炎鎮痛用皮膚外用貼付剤
KR20070089692A (ko) * 2004-12-28 2007-08-31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인도메타신 함유 첩부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689A (ko) * 2014-12-22 2017-08-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파프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95763A (ja) 2010-09-09
US8097275B2 (en) 2012-01-17
JP5346669B2 (ja) 2013-11-20
CN101564383A (zh) 2009-10-28
CN101564383B (zh) 2012-08-29
KR101616579B1 (ko) 2016-04-28
HK1135614A1 (en) 2010-06-11
US20100003312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2594A (ko) 피부 외용 첩부제
JP3962684B2 (ja) 改善された水分吸収能および接着性を有する経皮投与剤
KR100663163B1 (ko)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 제제
JP4398158B2 (ja) 貼付剤
JP6142379B2 (ja) 含水貼付剤
JP5015562B2 (ja) 貼付製剤
KR20010071049A (ko) 점착성 조성물 및, 각각 당해 조성물을 함유하는 투습성점착 테이프, 점착성 약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제제
TW201628604A (zh) 膏劑
KR101374436B1 (ko) 비소프롤롤 함유 접착 제제
KR101890011B1 (ko) 첩부제
JP5698018B2 (ja)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JP2007326844A (ja) 貼付剤
JP3193161B2 (ja) 経皮吸収性製剤
JP2887548B2 (ja) 使用性の改善された含水性皮膚外用貼付剤
JP6892567B1 (ja) テープ剤
JPH05310559A (ja) 投錨性を向上させた貼付剤
JPS62240613A (ja) 貼付剤
WO2021132501A1 (ja) テープ剤
TW202135830A (zh) 貼附劑
JPH10316825A (ja) 粘着性組成物
TW202202147A (zh) 貼附劑
JP2022131753A (ja) 非水系貼付剤
CA3236197A1 (en) Diclofenac-containing tts comprising dimethylpropyleneurea
EP2613772B1 (en) Low-dose transdermal patches with high drug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