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646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646A
KR20090104646A KR1020090010118A KR20090010118A KR20090104646A KR 20090104646 A KR20090104646 A KR 20090104646A KR 1020090010118 A KR1020090010118 A KR 1020090010118A KR 20090010118 A KR20090010118 A KR 20090010118A KR 20090104646 A KR20090104646 A KR 2009010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gate electrode
active layer
source electro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945B1 (ko
Inventor
히사오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10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80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 H01L29/81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with a Schottky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7Schottky barri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4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 H01L29/66462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01L29/7786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i.e. with wide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active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IS-like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03Nitride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게이트 전극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반도체 장치는, 기판(11)과, 기판(11) 상에 형성된 GaN 버퍼층(12)과, 이 버퍼층(12) 상에 형성된 언도프 AlGaN층(13)과, 이 언도프 AlGaN층(13)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언도프 AlGaN층(13)과 오믹 접합을 형성한 드레인 전극(16) 및 소스 전극(17)을 구비한다. 또한 드레인 전극(16)과 소스 전극(17) 사이에, 개구(19)를 갖는 절연막(20)이 형성되고, 절연막(20)의 표면 상에 금속막(21)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19)에, 언도프 AlGaN층(13)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한 게이트 전극(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게이트 전극(18)은 금속막(21)과 밀착되어 있다.
기판, GaN 버퍼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절연막, 게이트 전극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 출원 2008-092706(2008년 3월 31일)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고주파대에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GaN 등의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FET : Field Effect Transistor)는, 우수한 고주파 특성을 갖고 있고, 마이크로파대에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로서,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이 FET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구조이다. 즉, SiC 기판 상에 GaN 버퍼층이 형성되고, 이 GaN 버퍼층 상에는 능동층인 언도프 AlGaN층이 형성되어 있다. 언도프 AlGaN층 상에는, Ti/Al/Ni/Au로 이루어지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은 언도프 AlGaN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고 있다.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은 Ti/Al/Ni/Au를 적층하고, 리프트오프법에 의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또한,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는 Pt/Au 또는 Ni/Au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은 언도프 AlGaN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고 있다. 게이트 전극은 Pt/Au 또는 Ni/Au 를 적층하고, 리프트오프법에 의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GaN계의 층은 Pt나 Ni와의 반응성이 나쁜 반도체층이므로, 전술한 FET에서는 AlGaN층과 Pt 또는 AlGaN층과 Ni와의 밀착성은 그다지 양호하지 않다. 이 때문에, 게이트 전극을 리프트오프법으로 형성할 때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이 박리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2∼20Å/초 정도의 증착 속도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 기판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78189호 공보).
그러나, FET를 고성능으로 하기 위해 게이트 길이를 짧게 한 경우, AlGaN층과 게이트 전극과의 접합면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도, 충분한 밀착성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게이트 전극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과,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이 버퍼층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과, 이 능동층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이들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되고, 개구를 갖는 절연막과, 상기 개구에 형성되고, 능동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과, 절연막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과 밀착하는 금속막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a∼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SiC 기판(11) 상에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GaN 버퍼층(12)이 형성되고, GaN 버퍼층(12) 상에는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인 언도프 AlGaN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언도프 AlGaN층(13) 상에는, 각각 언도프 AlGaN층(13)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16), 소스 전극(17)이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드레인 전극(16), 소스 전극(17)은, 예를 들면 Ti/Al/Ni/Au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언도프 AlGaN층(13) 상에, 드레인 전극(16)과 소스 전극(17) 사이에 언도프 AlGaN층(13)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전극(18)은, 예를 들면 Ni/Au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에서는 언도프 AlGaN층(13) 상에 절연막(20)이 형성되고, 절연막(20)에는 드레인 전극(16), 소스 전극(17) 및 게이트 전극(18)이 설치되는 개구(16A, 17A, 19)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0)은 질화실리콘, 예를 들면 SiN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8)이 형성되는 개 구(19)의 측벽 표면(20A) 상에는, Ti로 이루어지는 금속막(21)이 형성되어 있다. Ti는 절연막(20)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게이트 전극(18)과의 밀착성도 우수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서는 개구(19)의 측벽 표면(20A) 상에 Ni/Au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18)과의 밀착성이 좋은 Ti로 이루어지는 금속막(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게이트 전극(18)은 금속막(21)과 밀착되어, 게이트 전극(18)이 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18)을 형성할 때의 리프트오프 공정에서, 게이트 전극(18)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도 2a∼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으로서 예를 들면 SiC 기판이 이용된다. 기판(11) 상에, GaN 버퍼층(12), 언도프 AlGaN층(13)이 이 순으로 적층된다. 그 후, 언도프 AlGaN층(13)은 소스 전극(16), 드레인 전극(17), 게이트 전극(18)이 형성되는 영역(14)을 제외하고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GaN 버퍼층(12) 및 언도프 AlGaN층(13)의 표면 상에 절연막(20)이 형성되고, 또한 이 절연막(20) 상에 레지스트(23)가 형성된다. 그리고, 레지스트(23)에는 드레인 전극(16), 소스 전극(17)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22D, 22S)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 레지스트(23)를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절연막(20)이 에칭되고, 드레인 전극(16), 소스 전극(17)이 형성되는 영역에 개구(16A, 17A)가 형성된다. 개구(16A, 17A)에서는 언도프 AlGaN층(13)이 노출된다.
다음으로, Ti, Al, Ni 및 Au가 순으로 증착된다. 그리고, 레지스트(23)를 제거함으로써,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Ti/Al/Ni/Au로 이루어지는 드레인 전극(16), 소스 전극(17)이 형성된다. 드레인 전극(16), 소스 전극(17)은 언도프 AlGaN층(13)과 오믹 접합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24)가 전체면에 형성되고, 또한 레지스트(24)에는 게이트 전극(18)의 형성이 예정되어 있는 영역에 개구가 형성된다. 개구에서는 절연막(20)이 노출된다. 계속해서, RIE(Reactive Ion Etching)법으로 절연막(20)에 개구(25)가 형성된다. 개구(25)는 영역(14)의 밖으로까지 신장되어 있다. 개구(25)는 절연막(20)을 관통하지 않고, 개구(25)의 깊이는, 영역(14)에서는 언도프 AlGaN층(13)에 도달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레지스트(24)가 제거된다. 계속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Ti로 이루어지는 금속막(21)이 전체면 상에 증착된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막(21)의 에치백에 의해, 개구(25)에서 절연막(20)의 측벽 표면(20A) 상에만 금속막(21)이 남겨진다. 계속해서, 게이트 전극(18)이 형성되는 영역에 개구(26)를 갖는 레지스트(27)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레지스트(27)를 마스크로 하여 개구(25)의 하부에 있는 절연막(20)을 에칭하여 제거함으로써 게이트 전극 형성용의 개구(19)가 형성된다. 개구(19)에 의해, 언도프 AlGaN층(13)이 노출된다. 또한, 이 에칭에서는 금속막(21)은 에칭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Ni/Au(28)가 Ni와 Au를 순서대로 증착함으로써 전체면 상에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레지스트(27)를 제거함으로써,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Ni/Au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18)이 형성되고, 반도체 장치(1)가 제조된다. 게이트 전극(18)은 언도프 AlGaN층(13)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한다. 또한, 게이트 전극(18)은 금속막(21)과의 밀착성이 좋기 때문에, 게이트 전극(18)은 금속막(21)에 밀착되어 강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문에, 레지스트(27)를 제거할 때에 게이트 금속(18)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8)은 언도프 AlGaN층(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버퍼층(12) 상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에 실시되는 와이어 본딩 공정을 위해, 이 버퍼층(12)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9)의 폭은, 언도프 AlGaN층(13)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8)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가 설명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혹은 동등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붙여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1)에서는,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overhang portion : 18')가 절연막(20)의 표면(20B)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Ti로 이루어지는 금속막(21)은 절연막(20)의 개구(19)의 측벽 표면(20A) 상과,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18') 아래의 절연막(20)의 표면(20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속막(21)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보다도 넓은 면적 에서 게이트 전극(18)과 금속막(21)이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 때문에,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 게이트 전극(18)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18')는 게이트 전극(18)과 언도프 AlGaN층(13)이 접촉하는 영역의 중심선 B-B'에 대해 선대칭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1)에서는,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18')가, 게이트 전극(18)과 언도프 AlGaN층(13)이 접촉하는 영역의 중심선 B-B'에 대해 비대칭이다. 예를 들면, 드레인 전극(16)측의 돌출부(18')의 돌출 길이가, 소스 전극(17)측의 돌출부(18')의 돌출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Ti로 이루어지는 금속막(21)은 절연막(20)의 개구(19)의 측벽 표면(20A) 상과,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18') 아래의 절연막(20)의 표면(20B)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도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드 플레이트 효과에 의해, 게이트 전극(18) 끝에서의 전계의 집중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1)를 도 11에 도시한다. 이 반도체 장치(1)에서는, 절연막(20)의 개구(19)의 측벽 표면(20A) 상에는 금속막(21)이 형성되지 않고,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18') 아래에서, 절연막(20)의 표면(20B) 상에 금속막(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게이트 전극(18)이 금속막(21)과 밀착되어, 강고하게 고정된 게이트 전극(18)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프트오프에서, 레지스트를 제거할 때에 게이트 전극(18)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1)를 도 12에 도시한다. 이 반도체 장치(1) 에서는 절연막(20)의 개구(19)의 측벽 표면(20A) 상에는 금속막(21)이 형성되지 않고,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18') 아래에서, 절연막(20)의 표면(20B)에 금속막(21)이 형성되어 있다. 도10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전극(18)의 돌출부(18')는 게이트 전극(18)과 언도프 AlGaN층(13)이 접촉하는 영역의 중심선 B-B'에 대해 비대칭이다. 드레인 전극(16)측의 돌출부(18')의 돌출 길이가, 소스 전극(17)측의 돌출부(18')의 돌출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게이트 전극(18)이 금속막(21)과 밀착하여, 강고하게 고정된 게이트 전극(1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전극(18)의 재료로서 Ni/Au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게이트 전극(18)의 재료로서 Pt/Au를 사용한 경우도, Ni/Au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기판(11)은 SiC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사파이어 기판 등이어도 된다. 또한, GaN 버퍼층(12)은 불활성화된 버퍼층이어도 된다.
당업자들이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를 고려함으로써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들 또는 변형예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주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b는 도 1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2a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2b는 도 2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3b는 도 3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4b는 도 4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5b는 도 5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6b는 도 6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7a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7b는 도 7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8a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8b는 도 8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9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9b는 도 9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10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일점 쇄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장치
11 : 기판
12 : GaN 버퍼층
13 : AlGaN층
16 : 드레인 전극
17 : 소스 전극
18 : 게이트 전극
19 : 개구
20 : 절연막
21 : 금속막
23, 24 : 레지스트

Claims (11)

  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과,
    상기 능동층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에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절연막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밀착된 금속막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의 측벽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절연막 상에 돌출부(overhang portion)를 갖고, 상기 금속막이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연막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드레인 전극측 돌출부와 상기 소스 전극측 돌출부를 갖고, 상기 드레인 전극측 돌출부의 돌출 길이가, 상기 소스 전극측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능동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버퍼층 상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의 폭은, 상기 능동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Ni/Au 혹은 Pt/Au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과,
    상기 능동층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에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의 측벽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밀착된 금속막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과,
    상기 능동층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에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으로서, 상기 절연막 상에 돌출부를 갖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의 측벽 표면 상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연막 사이에서 상기 절연막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밀착된 금속막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과,
    상기 능동층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에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으로서, 상기 절연막 상에 소스 전극측 돌출부 및 상기 소스 전극측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도 긴 돌출 길이를 갖는 드레인 전극측 돌출부를 갖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의 측벽 표면 상에, 또한 상기 드레인 전극측 돌출부 및 상기 소스 전극측 돌출부와 상기 절연막 사이에 상기 절연막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밀착된 금속막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과,
    상기 능동층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에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으로서, 상기 절연막 상에 돌출부를 갖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연막 사이에서 상기 절연막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밀착된 금속막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GaN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능동층과,
    상기 능동층 상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오믹 접합을 형성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상기 개구에 형성되고, 상기 능동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게이트 전극으로서, 상기 절연막 상에 소스 전극측 돌출부 및 상기 소스 전극측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도 긴 돌출 길이를 갖는 드레인 전극측 돌출부를 갖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측 돌출부 및 상기 드레인 전극측 돌출부와 상기 절연막 사이에서, 상기 절연막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밀착된 금속막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90010118A 2008-03-31 2009-02-09 반도체 장치 KR101070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2706 2008-03-31
JP2008092706A JP2009246227A (ja) 2008-03-31 2008-03-31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46A true KR20090104646A (ko) 2009-10-06
KR101070945B1 KR101070945B1 (ko) 2011-10-06

Family

ID=4111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118A KR101070945B1 (ko) 2008-03-31 2009-02-09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29919B2 (ko)
JP (1) JP2009246227A (ko)
KR (1) KR101070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9102B2 (en) 2012-07-19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itride-based semiconduct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2029A1 (de) * 2014-02-18 2015-08-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bleiterbauelementen und Halbleiterbauelement
JP6356009B2 (ja) * 2014-08-25 2018-07-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20180061975A1 (en) * 2016-08-24 2018-03-01 Rohm Co., Lt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nitride semiconductor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1438A (ja) * 1990-08-02 1992-03-24 Nikko Kyodo Co Ltd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04223342A (ja) * 1990-12-26 1992-08-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ゲート電極とその製造方法
JPH05299638A (ja) 1992-04-21 1993-11-12 Toshiba Corp 化合物半導体装置における電極配線の形成方法
JP3629861B2 (ja) 1996-12-16 2005-03-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075245B2 (ja) * 1997-12-17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
JPH11265898A (ja) * 1998-03-18 1999-09-28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91348A (ja) * 1998-09-09 2000-03-31 Sanyo Electric Co Ltd 電界効果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481225B2 (ja) * 2000-11-21 2003-1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用機器
JP2004087587A (ja) * 2002-08-23 200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窒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7709A (ja) * 2003-01-22 200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0982B2 (ja) 2004-05-10 2008-01-09 ユーディナデバイ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250792A (ja) * 2006-03-15 2007-09-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半導体素子
JP5202877B2 (ja) * 2007-06-08 2013-06-05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9102B2 (en) 2012-07-19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itride-based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29919B2 (en) 2010-11-09
JP2009246227A (ja) 2009-10-22
KR101070945B1 (ko) 2011-10-06
US20090242943A1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4815B2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0157994B2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5487613B2 (ja)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98399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200936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45872B2 (ja) Mis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549300B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EP2293335B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JP5134378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0627903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199883B (zh) 具有经调整的栅极-源极距离的hemt晶体管及其制造方法
JP2014072391A (ja)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0945B1 (ko) 반도체 장치
TWI814831B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JP2019114581A (ja)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4663A (ja) 窒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66508B2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21500744A (ja) 低キャパシタンスフィールドプレート構造を有するトランジスタ
US989321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047055A (ja) トランジスタ
US8952422B2 (en)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107611A1 (en)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Ti adhesion layer under the gate electrode
JP2007088186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208379A (ja) 窒化物半導体装置
JP6699867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