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142A -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142A
KR20090068142A KR1020080129035A KR20080129035A KR20090068142A KR 20090068142 A KR20090068142 A KR 20090068142A KR 1020080129035 A KR1020080129035 A KR 1020080129035A KR 20080129035 A KR20080129035 A KR 20080129035A KR 20090068142 A KR20090068142 A KR 2009006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unting base
bed
moun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775B1 (ko
Inventor
요다 히토미츠
아사가미 히테아츠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30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94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30286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9495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벽체의 내부에 설치된 기둥에 대하여 영유아용 침대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영유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20)와, 벽체(1)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침대 본체(20)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한다. 이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를 벽체(1)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를 상기 장착베이스에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 위치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 볼트가 삽입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공을 형성하였다.
영유아용 침대, 고정구조, 커버, 장착베이스, 장착공

Description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 {Baby bed and fixation structure therefor}
본 발명은 영유아를 눕히기 위한 영유아용 침대와, 영유아용 침대를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백화점과 같은 상업시설, 또는 공공시설 등의 세면실이나 화장실에서 영유아의 기저귀 교환을 하기 위한 영유아용 침대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영유아용 침대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524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는 영유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이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장착베이스에는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공에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켜 벽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모든 벽체가 영유아용 침대의 설치를 전제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벽체에 따라서는 강성이 낮아 영유아용 침대나 영유아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벽체를 보강하기 위하여 벽체의 내부에 보강판을 배치하는 개수공사를 한 다음, 이 벽체 내부의 보강판에 장착베이스를 고정시켰다.
또한 종래의 영유아용 침대에는 수지성의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는 침대 본체나 장착베이스를 덮음으로써 회전부분에 사용자가 닿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기능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침대 본체나 장착베이스를 동일 재질의 커버로 덮음으로써 외관상의 일체감을 높여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영유아용 침대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출입하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린이의 장난의 대상이 되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에 대해 고정 볼트로 고정하고 있는 경우, 이 고정 볼트가 장난에 의해 헐거워지면, 영유아용 침대의 안정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분을 커버로 덮음으로써 고정부분에 대한 장난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벽체의 내부에 보강판을 배치할 경우, 신규 구조체의 경우에는 비교적 시공이 용이하지만, 기존 구조체의 경우에는 개수공사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과 노동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벽체에 따라서는 그 내부에 고강성의 기둥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그 기둥에 영유아용 침대를 고정할 수 있다면, 보강판의 배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구조의 경우에는 영유아용 침대를 기둥에 고정시키기가 곤란했다. 즉, 세면실이나 화장실에는 벽체나 기둥과 같은 구조물이나, 세면대 등의 각종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물이나 기구의 방해에 의 해 벽체 내부의 기둥에 대응된 위치에 영유아용 침대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의 영유아용 침대에서는 침대 본체나 장착베이스를 커버로 덮은 후, 이 커버를 침대 본체나 장착베이스에 나사로 고정하고 있으나, 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고정나사를 풀어 커버를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부분이 노출되어 장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설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를 상기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상기 장착베이스에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 방향을 따르는 복수 위치의 어느 한 위치에 상기 고정수단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장착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장착공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위치를 달리하며 복수 세트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축을 가진 장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본체의 상기 측부를, 영유아를 올려놓기 위해 상기 침대본체에 설치된 안치부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부의 측방에 개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공간부에 상기 장착베이스의 상기 장착공을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는, 영유아용 침대를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로서, 상기 설치면은 상기 영유아용 침대와 마주보는 주면부와, 상기 주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영유아용 침대와는 반대쪽에 배치된 한 쌍의 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영유아용 침대는,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상기 설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를 상기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상기 장착베이스에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기둥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수단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장착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와, 상기 침대 본체 또는 상기 장착베이스의 일부를 덮는 복수의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커버 중 일부의 커버를 소정의 고정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상기 복수의 커버 중 상기 일부의 커버를 제외한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의 제 1 부분을 덮는 제 1 커버와, 상기 장착베이스의 제 2 부분을 덮는 제 2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장착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커버의 고정부를 상기 제 1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는, 상기 장착베이스의 중앙부를 덮는 제 1 커버와, 상기 장착베이스의 측방부를 덮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커버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 1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청구항 6 또는 7 항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1 커버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침대 본체를 닫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침대 본체로 덮인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청구항 6~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고정 레그와, 상기 고정 레그의 일부를 덮는 제 3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커버를 상기 고정 레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상기 제 3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는, 청구항 6~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유아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영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부품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위, 또는 상기 영유아용 침대를 설치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위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및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방향을 따르는 복수 위치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 수단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장착공을 형성하였으므로, 복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의 장착공을 선택하여 장착베이스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어 장애물의 유무나 그 위치에 따라 영유아용 침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에 장착할 수 있어 기둥에 장착할 수 없었던 종래의 상황하에서도, 영유아용 침대를 기둥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영유아용 침대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벽체의 내부에 보강판을 배치하는 공사가 불필요하게 되어 영유아용 침대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장착공을 복수 세트 배치하였으므로, 한 쌍의 장착공의 소정 간격을 기둥의 배치 간격에 맞추어 놓음으로써 임의의 세트의 장착공을 기둥에 맞게 용이하게 위치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장착공 각각을 장공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이 장공의 범위 내에서 영유아용 침대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영유아용 침대의 설치 위치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공간부를 통해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하측부에 방해받지 않고 영유아용 침대의 설치가 매우 용이 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커버를 설치하고, 이 복수의 커버들 중 일부의 커버를 소정의 고정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복수의 커버 중 일부의 커버를 제외한 커버로 덮음으로써, 상기 일부의 커버를 제외한 커버를 분리하지 않는 한, 상기 일부의 커버 고정부에 접촉할 수 없으므로 상기 일부의 커버가 장난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베이스에 대한 제 2 커버의 고정부를 제 1 커버로 덮고 있으므로, 제 2 커버의 고정부에 외부로부터 접촉할 수 없어 상기 제 2 커버가 장난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베이스에 대한 제 2 커버의 고정부를 제 1 커버로 덮고 있으므로, 장착베이스에 대한 제 2 커버의 고정부에 외부로부터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제 2 커버가 장난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 본체를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제 1 커버를 장착베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덮히므로 제 1 커버에 대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레그가 제 3 커버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고정 레그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에 대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커버를 고정 레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는, 제 3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부에 접촉할 수 없어 상기 고정 부에 대한 장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부품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위, 또는 영유아용 침대를 설치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위를 덮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 부위나 설치 부위에 대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어 영유아용 침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의 각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Ⅰ]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는 기본적 개념을 설명한 후, [Ⅱ] 각 실시형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Ⅲ] 마지막으로, 각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각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Ⅰ] 각 실시의 형태에 공통하는 기본적 개념
우선,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는 기본적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는, 영유아를 눕히기 위한 것이다.
이 영유아용 침대의 목적 중 하나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된 기둥에 대해 영유아용 침대를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에, 각 실시형태 1~3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의 특징 중 하나는, 개략적으로 침대 본체와 장착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 정 수단을 상기 장착베이스에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방향을 따라 존재하는 복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 수단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장착공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기둥의 상호 간격에 대응한 간격을 가진 한 쌍의 장착공을 장착베이스에 형성한다. 특히, 이러한 장착공을 서로 위치를 달리하며 복수 세트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고정 구조나 기구의 방해에 의해 벽체의 내부에 설치된 기둥에 대응한 위치에 영유아용 침대를 배치할 수 없었던 종래의 상황하에서도, 이러한 기구 등에 방해받지 않는 위치로 영유아용 침대를 이동시켜 배치한 후 이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영유아용 침대의 목적 중 다른 하나는, 커버가 부적절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영유아용 침대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형태 4 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는, 개략적으로는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이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와 이러한 침대 본체 또는 장착베이스 일부를 덮는 복수의 커버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 4 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의 특징 중 하나는, 개략적으로 복수의 커버를 설치하고, 이 복수의 커버 중 일부의 커버를 소정의 고정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복수의 커버 중 일부의 커버를 제외한 커버로 덮은 점에 있다. 예를 들면, 장착베이스의 중앙부를 덮는 제 1 커버와, 장착베이스의 측부를 덮는 제 2 커버를 설치한다. 그리고, 장착베이스의 측부에 대하여 제 2 커버를 나사 고정하고, 이 나사 고정 부분을 제 1 커버로 덮는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 1 커버를 분리하지 않는 한, 제 2 커버의 나사 고정 부분에 접촉할 수 없으므로 제 2 커버가 장난으로 인해 벗겨지지 않게 된다.
또한, 영유아용 침대의 설치 대상이 되는 설치면은 벽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벽체에 설치된 고정물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방향의 길이를 "폭", 연직방향의 길이를 "높이"로 칭한다.
[Ⅱ] 각 실시형태의 구체적 내용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형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
우선 실시형태 1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는, 한 쌍의 장착공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위치를 달리하며 복수 세트 형성한 형태이다.
도 1 및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와 함께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도 1에는 영유아용 침대의 닫힘 상태, 도 2에는 영유아용 침대의 열림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a)는 영유아용 침대의 담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b)는 영유아용 침대의 열림 상태(단 2점 쇄선은 닫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c)는 영유아용 침대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용 침대(10)는 설치 대상인 벽체(1)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벽체의 구성)
먼저, 영유아용 침대(10)의 설치 대상이 되는 벽체(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 한다. 이 벽체(1)는, 예를 들면 세면실의 일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합판이나 콘크리트로 형성된 벽면부(1a)와, 이 벽면부(1a)의 내부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 좌우 한 쌍의 금속제의 기둥(1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기둥(1b)은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이 기둥(1b)에 대하여 벽면부(1a)를 고정시킴으로써 벽체(1)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 한 쌍의 기둥(1b)의 상호 간격(이하 "기둥 간격(W)"로 칭함. 이 기둥 간격(W)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소정 간격에 대응함.)은, 예를 들면 건축에 사용되는 법령 또는 관용적인 길이의 단위에 준하여 결정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450㎝의 정수배 또는 일본의 척관법에 의한 1척(약30.3㎝)의 정수배로 되어있다.
(영유아용 침대의 구성)
이어서, 영유아용 침대(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영유아용 침대(10)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4는 침대 본체를 분리한 상태, 도 5는 도 4에서 추가로 센터 커버를 분리한 상태, 도 6은 도 5에서 추가로 축받이 커버를 분리한 상태, 도 7은 도 6에서 추가로 레그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4의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용 침대(10)는, 개략적으로 침대 본체(20), 장착베이스(30), 및 고정레그(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침대 본체(20)는, 영유아를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 안치부(21), 상측부(22), 및 하측부(23)를 수지로 상호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치부(21)는, 영유아의 체형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진 것으로서, 도 2의 열 림 상태에 있어서 상측이 되는 쪽의 평탄면에 영유아를 눕히고 기저귀 교환 등을 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측면에서의 상측부(22)와의 경계 근방 위치에는, 고정 벨트(24)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벨트(24)는 측면으로 눕힌 영유아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그 선단을 후술하는 착탈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측부(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안치부(21)의 상방에 위치하는 측부로서, 안치부(21)로부터 벽체(1)를 향해 연장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치부(21)와 벽체(1)와의 간극을 상방에서 덮음으로써 안치부(21)와 벽체(1)와의 일체감을 형성한다.
하측부(23)는, 도(1)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안치부(21)의 하방에 위치하는 측부로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측부에 대응한다. 이 하측부(23)에는, 하측부(23)를 관통하여 하측부(23)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회전축(23a)이 설치되어 있다(단, 회전축(23a)은 후술하는 도 8에만 나타내고,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함). 이 회전축(23a)은, 하측부(23)의 좌우 양측 각각에서, 장착베이스(30)의 후술하는 축받이(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구조에 의해 침대 본체(20)를 장착베이스(30)에 대하여 회전축(2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미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본체(20)를 벽체(1)를 따라 위치하도록 닫음으로써 스페이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하측부(23)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림 상태에서 상측이 되는 쪽의 측면에 고정 벨트(24)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착탈부가 설치 되어 있다. 여기서 하측부(23)는 안치부(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하측부(23)의 좌우 양측에는 영유아용 침대(10)의 정면을 향하여 개방된 개방공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공간부(25)의 의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장착베이스(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장착베이스(3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본체(20)의 하측부(23)를 벽체(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사각형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장착베이스의 정면도로서, (a)~(c)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장착베이스(30)는 안치부(21)와 거의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장착베이스(30)의 좌우의 거의 중앙 위치에 침대 본체(20)의 하측부(23)를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이 장착베이스(30)의 좌우의 측부(31, 32)가 하측부(23)에서 좌우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측부(31, 32)가 상술한 개방공간부(25)를 통해 정면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정면에 노출된 측부(31, 32)에는, 장착공(31a~31c, 32a~32c)이 형성됨과 아울러 축받이(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공들(31a~31c, 32a~32c)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축받이(33)는, 하측부(23)의 회전축(2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측부(23)의 각 측방에 각각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받이(33)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a)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공(3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33a)에 회전축(23a)의 단부를 삽입 통과시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축받이(33)에는 회전축(23a)에 대하여 소정 방향의 가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착베이스(30)는, 센터 커버(34) 및 축받이 커버(35)로 덮혀 있다. 센터 커버(34)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베이스(30) 중 축받이(33) 및 하부를 제외한 각 부를 외부에서 덮음으로써 안정성이나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축받이 커버(35)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나사(35b)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장난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의 범위의 제 1 커버에 대응한다. 이 센터 커버(34)는, 장착베이스(30)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장착베이스(30)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사각형의 정면 형상을 갖는 수지체이다. 이 센터 커버(34)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에는 장착베이스(30)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30a)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장착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센터 커버(34)를 장착베이스(30)에 안착시켜 이 센터 커버(34)의 장착공(34a)에 삽입 통과시킨 장착 나사(34b)를 장착베이스(30)의 장착공(30a)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센터 커버(34)를 장착베이스(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장착 나사(34b)는 도 1과 같이 침대 본체(20)를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장난의 대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축받이 커버(35)는, 축받이 커버(33)를 외부에서 덮음으로써 안전성이나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후술하는 레그 커버(45)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나사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장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제2 커버에 대응한다. 이 축받이 커버(35)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받이(33)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의 반원통체로 형성된 수지체이다. 이 축받이 커버(35)에는 축받이(33)의 상변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3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장착공(3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안착시키고 이 축받이 커버(35)의 장착공(35a)에 삽입 통과시킨 장착 나사(35b)를 축받이(33)의 장착공(33b)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장착 나사(35b)는 도 4와 같이 센터 커버(34)를 장착베이스(30)에 고정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장난의 대상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고정 레그(4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 레그(40)는 영유아용 침대나 영유아의 하중을 바닥면에 전달함으로써 벽체(1)로의 하중을 경감시키는 보조 지지 구조체로서, 한 쌍의 지주(41), 상부판(42), 복수의 중간판(43), 및 하부판(4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주(41)는, 영유아용 침대나 영유아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하측부(23)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좌우에 배치된 것으로서, 연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부판(42)은, 한 쌍의 지주(41)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판으로서, 이 상판(42)에 장착베이스(30)를 고정시킴으로써, 영유아용 침대나 영유아의 하중을 고정 레그(40)로 전달할 수 있다. 중간판(43)은 한 쌍의 지주(41)의 상단이나 하단을 제외한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판으로서, 상호 균등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하부판(44)은 한 쌍의 지주(41)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판으로서, 이 하부판(44)을 바닥면에 앵커(46)로 고정함으로써 고정 레그(40)를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고정 레그(40)에는, 도 6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커버(45)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레그 커버(45)는 고정 레그(40)를 외부에서 덮음으로써 안전성이나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정레그(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46)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장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제 3 커버에 대응한다. 이 레그 커버(45)는 고정 레그(40)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의 상자형태를 갖는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레그 커버(45)의 고정 레그(40)와 마주보는 측면에는 복수의 걸림편(45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걸림편(45a)을 중간판(4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레그 커버(45)를 고정 레그(4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그 커버(45)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앵커(4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장난의 대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베이스(30)를 벽체(1)에 장착시켜 영유아용 침대(10)를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고정 레그(4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벽체에 대한 장착 구조의 상세)
이어서, 영유아용 침대(10)를 벽체(1)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베이스(30)에는 복수의 장착공(31a~31c, 32a~32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측부(23)에 대한 일측(여기서는 좌측)의 측부(31)에 형성된 장착공(31a~31c)과, 하측부(23)에 대한 타측(여기서는 우측)의 측부(32)에 형성된 장착공(32a~32c)과의 상호 간격은 상술한 기둥 간격(W)이 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착공(31a)과 장착공(32a)의 상호 간격, 장착공(31b)과 장착공(32b)의 상호 간격, 장착공(31c)과와 장착공(32c)의 상호 간격이 각각 기둥 간격(W)이 된다. 따라서, 장착베이스(30)를 벽면부(1a)와 맞닿도록 하고 고정 볼트를 장착공(31a~31c, 32a~32c)을 통해 벽면부(1a) 및 한 쌍의 기둥(1b)에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장착베이스(30)를 기둥(1b)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장착공들(31a~31c, 32a~32c)은 수평 방향(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소정 방향에 대응함)을 따라 서로 위치를 달리하며 배치되어 있다. 즉, 장착공(31a~31c)은 수평 방향으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장착공(32a ~ 32c)는 수평 방향으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복수 세트 중 임의의 한 세트의 장착공(31a~31c, 32a~32c)을 선택하여 장착베이스(30)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볼트를 장착공(31b, 32b)을 통해 기둥(1b)에 나사 결합시킬 뿐 아니라, 기둥(1b)을 향해 우측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31c, 32c)이 기둥(1b)의 정면 위치에 오도록, 또는 기둥(1b)를 향해 좌측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31a, 32a)이 기둥(1b)의 정면 위치에 오도록 장착베이스(3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1)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복수의 장착공들(31a~31c, 32a~32c) 각각은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축을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유아용 침대(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른 장착 위치 조정과 더불어, 장공의 횡폭 범위 내에서 장착 위치 조정을 수행할 수 있어, 영유아용 침대(10)의 장착 위치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복수의 장착공들(31a~31c, 32a~32c) 모두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부(23)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개방공간부(25)를 통해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즉, 하측부(23)의 폭은 기둥 간격(W)보다 좁게 결정되어 있어 기둥(1b)의 정면에 대응하는 개방공간부(25)는 하측부(23)가 존재하지 않아 영유아용 침대(10)의 정면측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개방 형상의 공간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장착공(31a~31c, 32a~32c)은 모두 이 개방공간부(25)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측부(23)에 방해받지 않고 영유아용 침대(10)의 정면측에서 장착공(31a~31c, 32a~32c)에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영유아용 침대(10)의 설치가 매우 용이해진다.
(실시의 형태 1의 효과)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복수 세트의 장착공(31a~31c, 32a~32c) 중 임의의 한 세트의 장착공(31a~31c, 32a~32c)을 선택하여 장착베이스(30)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의 유무나 그 위치에 따라 영유아용 침대(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에 장착할 수 있어, 기둥(1b)에 장착 불가능했던 종래의 상황하에서도 영유아용 침대(10)를 기둥(1b)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장착공(31a~31c, 32a~32c) 각각을 장공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이 장공의 횡폭 범위 내에서 영유아용 침대(10)의 장착 위치 조정을 수행할 수 있어 영유아용 침대(10)의 장착 위치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방공간부(25)를 통해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킬 수가 있으므로 하측 부(23)에 방해받지 않아 영유아용 침대(10)의 설치가 매우 용이해진다.
[실시형태 2 ]
이어서 실시형태 2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는, 장착베이스의 장착공의 변형예에 관한 형태이다. 또한 실시형태 2 의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시형태 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며, 실시형태 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 및/또는 명칭을 필요에 따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실시형태 2 에 따른 장착베이스의 정면도로서, (a)~(c)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장착베이스(50)는, 특별히 언급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실시형태 1의 장착베이스(30)와 동일하나, 그 좌우의 측부(51, 52) 각각에는 장착공(51a, 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51a, 52a)은 각각 수평 방향을 따라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형태 1의 복수의 장착공(31a~31c, 32a~32c)을 연결시킨 폭 및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장착공(51a, 52a)의 폭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고, 이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켜 기둥(1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장착베이스(50)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51a, 52a)의 좌우 거의 중앙 위치를 고정 위치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둥(1b)을 향하여 우측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51a, 52a)의 정면 우측에 근접한 위치가 고정 위치가 되도록, 또는 기둥(1b) 를 향하여 좌측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51a, 52a)의 정면 좌측에 근접한 위치가 고정 위치가 되도록 장착베이스(5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1)에 장착시킬 수 있다. 특히, 장착공(51a, 52a)을 가로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이 장착공(51a, 52a)의 횡폭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실시형태 1의 구조에 비해 위치 조정의 자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효과)
이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의하면, 가로로 길게 형성된 장착공(51a, 52a)의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여 장착베이스(50)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의 유무나 그 위치에 따라 영유아용 침대(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1)에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둥(1b)에 장착 불가능했던 종래의 상황하에 있어서도, 영유아용 침대(10)를 기둥(1b)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장착공(51a, 52a)의 횡폭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볼트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위치 조정의 자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3]
이어서, 실시형태 3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는, 장착베이스의 장착공을 연직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한 형태이다. 또한 실시형태 3의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시형태 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며, 실시형태 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 및/또는 명 칭을 필요에 따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벽체의 구성)
먼저, 영유아용 침대의 설치 대상이 되는 벽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닫힘 상태의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와 함께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벽체(2)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벽면부(2a)와, 이 벽면부(2a)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금속제 기둥(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한 쌍의 기둥(2b)들의 상호 간격을 기둥 간격(W)이라 칭한다.
(영유아용 침대의 구성)
이어서, 영유아용 침대(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형태 3 에 따른 장착베이스(60)의 정면도로서, (a)~(c)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장착베이스(60)는, 특별히 언급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실시형태 1의 장착베이스(30)와 동일하나, 그 좌우의 측부(61, 62) 각각에는 복수의 장착공(61a~61c, 62a~62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장착공(61a)과 장착공(62a)의 상호 간격, 장착공(61b)과 장착공(62b)의 상호 간격, 장착공(61c)과 장착공(62c)의 상호 간격이 각각 기둥 간격(W)이 된다.
특히 실시형태 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 간격(W)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장착공(61a~61c, 62a~62c)을, 연직 방향(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소정 방향에 대응함)을 따라 서로 위치를 달리하며 복수 세트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를 장착공(61b, 62b)을 통해 기둥(2b)에 나사 결합시킬 뿐 아니라, 기둥(2b)을 향하여 하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 우에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의 장착공(61c, 62c)이 기둥(2b)의 정면이 되는 위치에 오도록, 또는 기둥(2b)을 향하여 상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의 장착공(61a, 62a)이 기둥(2b)의 정면이 되는 위치에 오도록 장착베이스(60)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2)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복수의 장착공들(61a~61c, 62a~62c) 각각은 연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축을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유아용 침대(10)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른 장착 위치 조정과 더불어 장공의 종폭 범위 내에서 장착 위치 조정을 수행할 수 있어 영유아용 침대(10)의 설치 위치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3의 효과)
이와 같이 실시형태 3 에 의하면, 복수 세트의 장착공(61a~61c, 62a~62c) 중 임의의 한 세트의 장착공(61a~61c, 62a~62c)을 선택하여 장착베이스(60)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의 유무나 그 위치에 따라 영유아용 침대(10)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2)에 장착시킬 수 있어, 기둥(2b)에 장착 불가능했던 종래의 상황하에 있어서도 영유아용 침대(10)를 기둥(2b)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장착공(61a~61c, 62a~62c) 각각을 장공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이 장공의 종폭 범위 내에서 영유아용 침대(10)의 장착 위치 조정을 수행할 수 있어 영유아용 침대 10의 장착 위치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4 ]
이어서, 실시형태 4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는 침대 본체 및 장착베이스를 커버로 덮은 형태이다. 또한 실시형태 4의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시형태(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며 실시형태(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 및/또는 명칭을 필요에 따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커버의 상세한 구조)
우선, 커버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센터 커버(34)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d)는 (a)의 화살표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축받이 커버(35)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레그 커버(45)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 C-C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커버의 상세한 구조-센터 커버(34))
센터 커버(34)는 장착베이스(30)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장착베이스(30)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사각형의 정면 형상을 갖는 수지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터 커버(34)는 정면판(340), 측면판(341), 리브(342), 및 장착공(34a)이 상호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정면판(340)은 센터 커버(34)의 기본 구조가 되는 부분으로서, 장착베이스(30)보다 약간 폭이 넓고 장착베이스(30)의 절반 정도 높이의 사각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다. 이 정면판(340)의 양단부에는 대략 삼각형상의 측단판(341)이 상기 정면판(340)과 거의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 커버(34)를 장착베이스(30)에 고정시킨 경우에 있어서 장착베이스(30) 측이 되는 면(이하 "배면"이라 칭함)에는 정면판(34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342)가 설치되어 있다(도 13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냄). 또한 정면판(340)의 복수 부위에는 장착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34a)은 그 장축 방향이 정면판(34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짐과 아울러 측단판(341)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공(34a)은 정면판(340)의 배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착공(34a)에 장착 나사(34b)를 삽입 통과시킨 경우, 이 장착 나사(34b)의 머리부가 정면판(340)의 표면상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커버의 상세한 구조-축받이 커버(35))
축받이 커버(35)는, 축받이(33)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의 반원통체로 형성된 수지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축받이 커버(35)는, 정면판(350), 측단판(351), 및 장착홀(35a)이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정면판(350)은 축받이 커버(35)의 기본구조가 되는 부분으로서, 축받이(33)보다 폭 및 높이가 크고, 축받이(33)을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는 곡면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정면판(350)의 양단부에는 정면판(350)과 거의 직교하도록 측단판(35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정면판(350) 및 측단판(351)에 의해 중공의 반원통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판(350)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측단판(351)의 일측에는 회전축(23a)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공(3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고정시켰을 경우에 있어서 정면판(350)의 상면이 되는 부분에는, 축받이(33)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33b)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장착공(35a)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의 상세한 구조-레그 커버-45)
레그 커버(45)는, 고정 레그(40)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의 상자 형태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그 커버(45)는 정면판(450), 측단판(451), 걸림편(45a), 및 리브(452)가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정면판(450)은, 레그 커버(45)의 기본 구조가 되는 부분으로서, 고정 레그(40)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또한 바닥면에서 장착베이스(30)의 높이까지 고정 레그(40)를 외부에서 둘러쌀 수 있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정면판(450)의 양단부에는 이 정면판(450)과 거의 직교하도록 대략 사각형상의 측단판(4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측단판(451)에는 레그 커버(45)를 고정 레그(40)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소정의 장착 나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측면 장착공(451a)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 장착공(451a)은 레그 커버(45)를 고정 레그(4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장착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축받이 커버(35)의 측단판(351)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레그 커버(45)를 고정 레그(40)에 고정시킨 경우에 있어서 고정 레그(40)측이 되는 면(이하 배면으로 칭함)에는 정면판(45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452)가 설치되어 있다(도 15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냄). 또한 고정 레그(40)의 중간판(43)의 위치에 맞추어 정면판(450)의 배면측에는 복수의 걸림편(45a)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의 상세한 구조-각 커버에 의한 장난 방지)
이 커버들을 상호 조립함으로써 각 커버의 고정부가 다른 커버에 의해 덮여지므로 이러한 고정부에 대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레그(40)는 레그 커버(45)의 정면판(450) 및 측단판(451)에 의해 외부에서 둘러싸여 있어 고정 레그(40)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46)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지 않다. 또한 침대 본체(20)를 장착베이스(30)에 장착함으로써, 레그 커버(45)를 고정 레그(40)로부터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레그 커버(45)의 측면 장착공(451a)은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장착시킴으로써 축받이 커버(35)의 측단판(351)에 의해 덮여진다.
또한, 축받이(33)는,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장착시킴으로써 축받이 커버(35)의 정면판(350) 및 측단판(351)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또한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나사(35b)를 삽입 통과시키는 장착공(35a)은 센터 커버(34)를 장착베이스(30)에 장착시킴으로써 센터 커버(34)의 정면판(340) 및 측단판(341)에 의해 둘러싸인다. 센터 커버(34)를 장착베이스(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나사(34b)를 삽입 통과시키는 장착공(34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센터 커버(34)의 정면판(340)의 배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착공(34a)에 장착 나사(34b)를 삽입 통과시킨 경우에도 장착 나사(34b)의 머리부가 정면판(340)의 표면상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침대 본체(20)를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침대 본체(20)에 의해 센터 커버(34)의 정면판(340)이 외부에서 둘러싸이게 되므로 센터 커버(34)를 장착베이 스(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나사(34b)를 삽입 통과시키는 장착공(34a)이 덮인다.
(실시형태 4 의 효과)
이와 같이 실시형태 4 에 의하면, 복수의 커버를 설치하고, 이 복수의 커버들 중 일부의 커버를 소정의 고정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복수의 커버 중 일부의 커버를 제외한 커버로 덮고 있으므로 상기 일부의 커버를 제외한 커버를 분리하지 않는 한 상기 일부의 커버의 고정부에 접촉할 수 없어 상기 일부의 커버가 장난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받이(33)를 덮는 축받이 커버(35)의 장착공(35a)을 센터 커버(34)로 덮고 있으므로 축받이 커버(35)를 축받이(33)에 고정시키고 있는 장착 나사(35b)에 외부에서 접촉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따라서 축받이 커버(35)가 장난으로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대 본체(20)를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센터 커버 (34)를 장착베이스(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나사(34b)를 삽입 통과시키는 장착공(34a)이 덮여지므로 이 센터 커버(34)에 대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레그(40)를 레그 커버(45)로 덮고 있으므로, 고정 레그(40)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앵커(46)에 대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커버(45)를 고정 레그(40)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편(45a)은 레그 커버(45)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 걸림편(45a)에 접촉할 수 없어 걸림편(45a)에 대한 장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커버(45)를 고정 레그(40)에 고정시키는 장착 나사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측면 장착공(451a)은, 축받이 커버(35)의 측단판(351)에 의해 덮여지므로 이 레그 커버(45)에 대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Ⅲ] 각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수단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각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개변 및 개량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나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우선,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나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해, 상기에 기재되지 않은 과제를 해결하거나 상기에 기재되지 않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으며 또한 기재되어 있는 과제의 일부만을 해결하거나, 기재되어 있는 효과의 일부만을 얻을 수도 있다.
(각 실시 형태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상기 설명한 각 실시형태는, 임의의 조합으로 상호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장착베이스(30)에, 실시형태 1의 장착공(31a~31c, 32a~32c)과 더불어 실시형태 3 의 장착공(61a~61c, 62a~62c)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두 장착공들(31a~31c, 32a~32c), (61a~61c, 62a~62c)이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실시형태 1의 장착공(31a~31c, 32a~32c)의 상방 또는 하방에 실시형태 3 의 장착공(61a~61c, 62a~6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벽체의 기둥(1b)이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1의 장착공(31a~31c, 32a~32c)을 이용하여 고정을 수행하고, 벽체의 기둥(1b)이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3의 장착공(61a~61c, 62a~62c)을 이용하여 고정을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장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벽체에 영유아용 침대(10)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는, 테이블에 근접 배치된 시트 위에 설치되는 영유아용 침대에 적용할 수 있고, 안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오사용을 막을 수 있는 영유아용 침대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와 함께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영유아용 침대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영유아용 침대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에서 (a)는 영유아용 침대의 담힘 상태의 정면도, (b)는 영유아용 침대의 열림 상태(단 2점 쇄선은 닫힘 상태)의 측면도, (c)는 영유아용 침대의 열림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영유아용 침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침대 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추가로 센터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 에서 추가로 축받이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 에서 추가로 레그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4 의 화살표 A-A 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장착베이스의 정면도로서, (a) ~ (c)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실시형태(2)에 따른 장착베이스의 정면도로서, (a)~(c)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닫힘 상태의 영유아용 침대를 벽체와 함께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12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장착베이스의 정면도로서, (a)~(c)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 4 에 따른 센터 커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센터 커버의 정면도, (b)는 센터 커버의 평면도, (c)는 센터 커버의 측면도, (d)는 (a)의 화살표 B-B에 따른 단면도.
도 14에서 (a)는 축받이 커버의 정면도, (b)는 축받이 커버(35)의 측면도, (c)는 축받이 커버의 평면도.
도 15에서 (a)는 레그 커버의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 C-C 에 따른 단면도, (c)는 레그 커버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벽체 1a, 2a : 벽면부
1b, 2b : 기둥 10 : 영유아용 침대
20 : 침대 본체 21 : 안치부
22 : 상측부 23 : 하측부
23a : 회전축 24 : 고정 벨트
25 : 개방공간부 30, 50, 60 : 장착베이스
30a, 33b, 34a, 35a : 장착공
31, 32, 51, 52, 61, 62 : 측부
31a~31c, 32a~32c, 51a, 52a, 61a~61c, 62a~62c : 장착공
33 : 축받이 33a : 삽입공
34 : 센터 커버 34b, 35b : 장착 나사
35 : 축받이 커버 40 : 고정 레그
41 : 지주 42 : 상부판
43 : 중간판 44 : 하부판
45 : 레그 커버 45a : 걸림편
46 : 앵커 340, 350, 450 : 정면판
341, 351, 451 : 측단판 342, 452 : 리브
352 : 삽입공 451a : 측면 장착공
W : 기둥 간격

Claims (11)

  1.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설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를 상기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상기 장착베이스에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 위치의 어느 한 위치에 상기 고정 수단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장착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장착공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서로 위치를 달리하며 복수 세트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축을 갖는 장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본체의 상기 측부를, 영유아를 올려놓기 위해 상기 침대 본체에 설치된 안치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부의 측방에 개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공간부에 상기 장착베이스의 상기 장착공을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5. 영유아용 침대를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로서,
    상기 설치면은
    상기 영유아용 침대와 마주보는 주면부와,
    상기 주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영유아용 침대와는 반대쪽에 배치된 한 쌍의 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영유아용 침대는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상기 설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를 상기 설치면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상기 장착베이스에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기둥 각 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 수단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장착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 구조.
  6.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와,
    상기 침대 본체 또는 상기 장착베이스의 일부를 덮는 복수의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커버 중 일부의 커버를 소정 고정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상기 복수의 커버 중 상기 일부의 커버를 제외한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7.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의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장착베이스의 제 1 부분을 덮는 제 1 커버와, 상기 장착베이스의 제 2 부분을 덮는 제 2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장착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커버의 고정부를, 상기 제 1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는, 상기 장착베이스의 중앙부를 덮는 제 1 커버와, 상기 장착베이스의 측방부을 덮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커버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 1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1 커버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침대 본체를 닫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침대 본체로 덮이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고정 레그와,
    상기 고정 레그의 일부를 덮는 제 3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커버를 상기 고정 레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상기 제 3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영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부품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위, 또는 상기 영유아용 침대를 설치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위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침대.
KR1020080129035A 2007-12-21 2008-12-18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 KR101523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0286 2007-12-21
JP2007330287A JP5219496B2 (ja) 2007-12-21 2007-12-21 乳幼児用ベッド
JPJP-P-2007-330287 2007-12-21
JP2007330286A JP5219495B2 (ja) 2007-12-21 2007-12-21 乳幼児用ベッド及び乳幼児用ベッドの固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142A true KR20090068142A (ko) 2009-06-25
KR101523775B1 KR101523775B1 (ko) 2015-05-28

Family

ID=4099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35A KR101523775B1 (ko) 2007-12-21 2008-12-18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523775B1 (ko)
CN (1) CN102687961B (ko)
HK (1) HK1130410A1 (ko)
TW (2) TWI4529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707A (ko) * 2015-09-30 2017-04-07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기저귀 교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2239A1 (de) 2018-02-20 2019-08-22 Wonderland Switzerland Ag Zusammenklappbarer Stubenwag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50Y2 (ko) * 1989-08-21 1993-04-22
JPH085645Y2 (ja) * 1992-12-24 1996-02-21 株式会社アビーロード おむつ交換用ベッド装置
JP2611143B2 (ja) * 1994-03-11 1997-05-21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ベッド
US5906015A (en) * 1997-08-07 1999-05-25 Koala Corporation Wall-mounted infant changing station
USD459131S1 (en) * 1999-02-26 2002-06-25 Koala Corporation Oval shaped diaper changing station
US6151737A (en) * 1999-05-06 2000-11-28 Avmor Ltd. Baby changing station
JP3688532B2 (ja) * 1999-10-29 2005-08-3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収納式幼児用ベッド
JP2002028058A (ja) * 2000-07-14 2002-01-29 Nichimen Corp 収納式ベビーベッド
JP3957991B2 (ja) * 2001-05-31 2007-08-1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収納式幼児用ベッドにおけるベッド回動構成体
JP4893979B2 (ja) * 2001-08-10 2012-03-07 コンビ株式会社 乳幼児用ベッド
JP4437254B2 (ja) * 2003-10-31 2010-03-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ル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おむつ交換台又は椅子
JP4184235B2 (ja) * 2003-11-12 2008-11-19 株式会社アビーロード おむつ交換用ベッド
JP2006329399A (ja) * 2005-05-30 2006-12-07 Nissei Metals Co Ltd 物品取り付け金具
JP5037192B2 (ja) * 2007-03-29 2012-09-26 コイト電工株式会社 起倒開閉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707A (ko) * 2015-09-30 2017-04-07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기저귀 교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8375B (zh) 2016-09-11
TW201442674A (zh) 2014-11-16
CN102687961A (zh) 2012-09-26
TWI452985B (zh) 2014-09-21
CN102687961B (zh) 2015-01-28
TW200934423A (en) 2009-08-16
KR101523775B1 (ko) 2015-05-28
HK1130410A1 (en)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9090C2 (ru) Защитно-маскировочный кожух для унитаза и унитаз с таким кожухом
DK2333174T3 (en) Drainage system for shower bath
KR20090068142A (ko) 영유아용 침대 및 영유아용 침대의 고정구조
CZ20013354A3 (cs) Způsob instalace vanového tělesa, ve vanovém drľáku uloľené vanové těleso a vanový drľák
JP5219495B2 (ja) 乳幼児用ベッド及び乳幼児用ベッドの固定構造
JP5219496B2 (ja) 乳幼児用ベッド
JPH0421341Y2 (ko)
JP4822627B2 (ja) 天井板固定枠を使用した天井構造
JP2008092972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317329Y1 (ko) 칸막이 문용 힌지
JP3589627B2 (ja) カウンターの取付構造
JP7010493B2 (ja) 浴槽支持台及び浴槽支持装置
JP2009127270A (ja) 簡易小便器
JP3649507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床パネルの設置構造
JP4362870B2 (ja) 手すり
KR102495765B1 (ko) 세면대 거치형 건식 구조물
JPH088186Y2 (ja) 手摺り取付構造
JP2000334175A (ja) 遊戯器具
JPH0746231Y2 (ja) 浴槽のエプロン取付構造
JP2004350915A (ja) ユニットバス
JPH0743218Y2 (ja) 浴室用排水器
JP3589628B2 (ja) カウンターの取付構造
FR2724403A1 (fr) Faux plancher pour local technique, salle informatique notamment
JP2001190366A (ja) 折り畳み式ベビーベット
JP2023033100A (ja) 仮設手す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