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981A -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 Google Patents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981A
KR20090050981A KR1020080113328A KR20080113328A KR20090050981A KR 20090050981 A KR20090050981 A KR 20090050981A KR 1020080113328 A KR1020080113328 A KR 1020080113328A KR 20080113328 A KR20080113328 A KR 20080113328A KR 20090050981 A KR20090050981 A KR 20090050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s
culture
liquid spawn
cultivation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카와이
가쯔히코 쿠사카베
아키히코 키타
이쿠노신 카토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10Mycorrhiza; Mycorrhizal associ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대규모 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된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균상 배양물 및 해당 배양물을 사용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액체 종균을 접종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로서, 재배용 배지상부의 균좌에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및 해당 배양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재배에 있어서 어린 자실체의 형성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대규모 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된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땅찌만가닥 버섯, 균상재배, 액체 종균, 접종 부위, 비접종 부위, 균좌

Description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MUSHROOM BED CULTURE OF LYOPHYLLUM SHIMEJI}
본 발명은 땅찌만가닥 버섯(Lyophyllum shimeji)의 균상재배에 사용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땅찌만가닥 버섯은 10월 중엽에 졸참나무 임 또는 졸참나무ㆍ적송 혼생림의 지상에 발생하는 버섯으로, 「향기는 송이버섯, 맛은 만가닥버섯」이라고 불리고 있는 바와 같이, 송이버섯과 함께 일본에서의 식용버섯 가운데서 최고급 버섯으로 취급되고 있다. 최근,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검은비늘버섯, 만년버섯, 잎새버섯 등의 식용버섯은 주로 톱밥과 쌀겨ㆍ밀기울 등의 영양원을 혼합한 배양기를 사용해서 인공적으로 재배를 실시하는 균상 재배방법이 확립되어, 1년을 통해서 계절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버섯을 수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땅찌만가닥 버섯도 매우 맛 좋은 버섯이기 때문에, 인공적으로 재배하는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지만, 전술한 팽이버섯 등이 목재 노후균인 것에 대해, 땅찌만가닥 버섯은 균근균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균상재배는 곤란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 땅찌만가닥 버섯의 인공적인 균상재배에 시가현 삼림센터의 오오타씨가 처음으로 성공하였다. 특허문헌 1에서는 맥류를 사용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비특허문헌 1에서는 맥류를 사용한 배지에서의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의 발생실험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피트모스를 기재로 하고, 전분 등을 첨가한 배양기를 사용하는 균근균의 균사 배양방법이 개시되고 있고, 동 발명자들은 비특허문헌 2에서 피트모스를 기재로 하고, 전분 등을 첨가한 배양기에서의 땅찌만가닥 버섯의 자실체 발생실험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발명자들의 방법에서는 배지에 사용하는 맥류가 비싸기 때문에 배지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또, 특허문헌 2의 발명자들의 방법은 발생한 자실체의 수량이 낮기 때문에, 아직 상업생산레벨에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최근, 땅찌만가닥 버섯의 상업재배를 목적으로 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이 여러 가지로 개시되어 오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수수아과 식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용 배양기 및 해당 배양기를 사용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에서는 적어도 옥수수분과 활엽수의 톱밥을 함유하는 혼합배지를 조제하고, 그 혼합배지에 수 습윤상태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사를 접종하고, 30℃ 이하의 온도에서 배양하는 것에 의해,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서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수 습윤상태에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사를 접종하고, 배양하는 것에 의해 자실체를 발생 가능한 배지에 대해서, 분쇄한 굴껍데기를 첨가 혼합하며, 또한, 배지의 pH가 7을 넘지 않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서는 배지로서 옥수수 및 톱밥을 함유하는 배지에 소량의 맥류 및/또는 쌀류를 첨가 혼합하여 조제한 혼합배지를 사용하고, 그 혼합배지에 수 습윤상태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을 접종 배양한 후,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그 실시예에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70일간 배양한 후에, 온도를 15℃로 내리고 자실체 원기가 형성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또 피트(토탄)로 배지표면을 덮는 것에 의해, 자실체 형성율을 상승시키고 있다. 또 비특허문헌 1에서는 22℃의 배양공정에서 균사가 만연시켰을 때, 피트를 배지 상에 두께가 1㎝가 되도록 첨가하고, 그 후, 추가로 2주간 배양하고, 배양종료 후 15℃의 발생실로 이동시키고, 자실체를 발생시키고 있다.
비특허문헌 2에서는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배양기에 접종한 후에, 23℃에서 배양기를 배양ㆍ숙성시키고 있다. 이어서, 16℃의 발생실에서 발생 조작을 실시하고, 그 13∼15일 후에 자실체 원기의 형성을 인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병 재배방법으로서 배지조제, 입병, 살균, 접종, 배양, 싹 띄움, 생육, 수확의 각 공정이 개시되고 있다. 배양 후의 싹 띄움 공정에 있어서 자실체 원기를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그 실시예에서는 싹 띄움 공정을 적옥토 피 복하에서 수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그 실시예에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60일간 배양한 후에, 녹소토로 배지상면을 피복하고 있다. 추가로 7일간 배양한 후에, 15℃의 발생실로 이동하고, 자실체의 발생을 촉진하고 있다.
특허문헌 5에서는 그 실시예에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70일간 재배한 후에, 15℃의 발생실에 이동하고 있다. 이어서, 작은 자실체가 나타났을 때에 캡을 제거하고, 자실체의 우산이 열릴 때까지 성장시킨 단계에서 수확하고 있다.
특허문헌 6에서는 그 실시예에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55일간 배양 후, 녹소토로 배지상면을 피복하고, 추가로 10일간 배양한 후, 15℃의 발생실로 이동해서 자실체의 발생을 촉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H07-115844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H06-15369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06752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47917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7585호
(특허문헌 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4044호
(비특허문헌 1) 일본균학회보, 제39권, 제13∼20쪽, 1998년
(비특허문헌 2) 일본균학회보, 제35권, 제192∼195쪽, 1994년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을 바탕으로 땅찌만가닥 버섯의 상업재배를 개시하고 있지만, 대규모 상업재배 시에는 생산의 안정화가 필요하게 되고, 가 일층의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현상을 감안하여, 대규모 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균상 배양물 및 해당 인공 배양물을 사용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땅찌만가닥 버섯 균상재배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가지 인자별로 재배연구를 실시하고, 대규모 상업재배에 대한 영향을 예의검토해 왔다. 액체 종균을 사용한 버섯의 재배에 있어서, 통상, 액체 종균을 재배용 배지 상부에 접종할 때, 싹(어린 자실체)을 해당 배지상부 전체에 형성시키는 관점에서, 액체 종균을 해당 배지 상부의 전면에 접종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은 상업재배에 적합한 접종방법에 대해서 예의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액체 종균을 재배용 배지 상부에 접종할 때에 비접종 부위를 만드는 것에 의해, 종래와 비교해서 싹(어린 자실체)의 형성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액체 종균을 접종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로서, 재배용 배지 상부의 균좌에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형태로서는 병 재배용의 균상 배양물이 예시된다. 또, 바람직한 형태는 액체 종균 접종부위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도넛상 원형 또는 도넛상 타원형이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는 액체 종균 접종부위에 대해서 0.05∼5 ㎖/㎠의 액체 종균을 접종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또, 재배용 배지 상부의 균좌에 있어서의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의 면적비율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1:15 ∼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인공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재배를 위한 재배용 배지 상부의 균좌에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액체 종균의 접종방법도 제공된다. 해당 접종방법에 있어서,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재배 병에 압축하여 넣은 재배용 배지에로의 접종이 바람직하다. 또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액체 종균 접종부위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도넛상 원형 또는 도넛상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또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액체 종균의 접종량은 액체 종균 접종부위에 대해서 0.05∼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균좌에 있어서의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의 면적비율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1:15 ∼∼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대규모 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및 해당 배양물을 사용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은 분류학상, Lyophyllum shimeji으로 분류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주에 대해서는, 인공재배 가능한 것을 선택할 수 있지만,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공지의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 예를 들면 Lyophyllum shimeji La 01-27(FERM BP-10960), Lyophyllum shimeji La 01-20(FERM BP-10959), Lyophyllum shimeji La 01-37(FERM P-17456), Lyophyllum shimeji La 01-45(FERM P-17457), Lyophyllum shimeji La 01-46(FERM P-17458) 및 재배에 적합한 이들의 변이주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균좌」는 재배용 배지 상부의 표면부위를 말하며, 액체 종균을 접종하는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을 접종하지 않는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은 액체 종균을 접종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로서, 재배용 배지 상부의 균좌에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을 사용해서 재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병 재배, 자루재배, 상자재배 등의 균상 재배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해당 배양물을 사용한 균상재배에 의해, 땅찌만가닥 버섯의 싹(어린 자실체) 형성율이 예상외로 향상하여, 대규모 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생산이 매우 안정적이다.
이하, 일례로서 병 재배에 의한 본 발명의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그 방법은 배지조제, 입병, 살균, 접종, 배양, 원기형성, 싹 띄움(어린 자실체의 형성 및 육성), 필요에 따라서 싹(어린 자실체)의 선별, 어린 자실체로부터 성숙 자실체에로의 생육, 성숙 자실체의 수확 등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이것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설명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지조제」는 균상재배에 사용하는 각종 기재를 계량, 교반하고, 물을 첨가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재배에 적합한 수 습윤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수분조정할 때까지의 공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용 배양기에 한정은 없고,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지만, 옥수수류와 톱밥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톱밥으로서는 활엽수 유래 혹은 침엽수 유래의 양쪽의 톱밥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하게는 침엽수 유래의 톱밥, 예를 들면 삼나무 유래의 톱밥(삼나무 톱밥)이 예시된다. 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옥수수류로서는 옥수수의 열매를 함유하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옥수수의 열매의 신선물, 열매의 건조물, 분쇄물, 압편물, 가열 압편물이 예시된다.
옥수수류와 침엽수 유래의 톱밥의 혼합비율을, 예로서 가열 압편 옥수수와 삼나무 유래의 톱밥(삼나무 톱밥)의 경우로 설명한다. 옥수수류와 침엽수 유래의 톱밥의 혼합비율은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 가능한 비율이라면 된다. 고수량을 실현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가열 압편 옥수수 함량의 하한은 그 건조 중량비로 균상 재배용 배양기 중의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40% 미만이 되면 수득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수량이 현저하게 내려가 바람직하지 않다. 또 가열 압편 옥수수는 흡수성이 낮기 때문에, 균상 재배용 배양기 중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면 균상 재배용 배양기의 수분 보유력이 내려가, 배양병 하부에 물이 체류하게 되므로, 균 스프레딩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즉, 가열 압편 옥수수 함량의 상한은 그 건조 중량비로 균상 재배용 배양기 중의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7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
또, 균상 재배용 배양기의 수분함량에 대해서도, 가열 압편 옥수수와 삼나무 톱밥의 경우로 설명한다. 균상 재배용 배양기의 수분함량은 당업자의 상식에 따라서, 배양병 하부에 물이 체류하지 않을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함량은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68 중량% 이하, 적합하게는 66 중량% 이하이다. 단, 수분함량이 64 중량%을 넘는 경우에는, 배지 중의 공극이 감소하여 균 스프레딩 불량이 일어날 경우가 있어서, 수득되는 자실체의 수량 및 품질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분함량은, 64중량%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분함량이 지나치게 낮아도 배지의 건조 등의 영향에 의해, 균 스프레딩 불량이나 자실체의 기형, 발생 불량이 발생한다. 즉, 수분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으로 조정된다. 이들의 수분함량에 대해서는 수분 조정한 배지 성상을 보고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입병」은 균상 재배용 배양기를 병에 채우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400∼2300㎖ 용량의 병 재배에 사용하는 내열성 광구배양병에, 조제한 균상 재배용 배양기, 예를 들면 1100㎖병의 경우에는 550∼900g, 바람직하게는 600∼850g, 더 바람직하게는 650∼750g 압축하여 넣고, 또 압축하여 넣은 균상 재배용 배양기에 구경 1∼3㎝ 정도의 구멍을 1 내지 복수 개 뚫고, 마개로 막는 공정을 말한다. 균좌 중심부에 구경 1.5∼2.0㎝, 그 주위에 구경 1㎝의 4개의 구멍을 뚫음으로써, 더 바람직하게 땅찌만가닥 버섯의 배양이 가능하다.
「살균」은 배지 중의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공정이라면 좋다. 통상 증기에 의한 상압 살균에서는 98∼100℃, 4∼12시간, 고압살균에서는 101∼125℃, 바람직하게는 118℃, 30∼90분간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배지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재배용 배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접종」은 살균 후 방냉시킨 배지에 종균을 이식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균으로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사를 액체 배양지에서 배양한 액체 종균이 사용된다. 통상, 액체 종균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배지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글루코오스, 펩톤, 효모엑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KH2PO4, MgSO4/7H2O 등을 첨가한 PGY 액체 배양지 혹은 1/2 PGY 액체 배양지나, 글루코오스, 효모엑스를 주성분 하는 GY 배지, 1/2GY 배지 등이 예시된다. 해당 배지에 땅찌만가닥 버섯 균사를 접종하고, 예를 들면 25℃, 10∼15일간 배양한 것을 액체 종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액체 종균의 배양은 플라스크나 jar fermenter 등을 사용해서 실시할 수 있 다. 대규모인 재배를 실시하기 위한 액체 종균을 배양하는 경우에는 보다 용량이 크고 배양일수를 단축할 수 있는 관점에서, jar fermenter가 바람직하다. 재배용 배지에로의 종균접종에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종균의 균체 농도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건조 균체 농도로 0.1∼10g/ℓ, 적합하게는 1∼7g/ℓ, 특히 적합하게는 2∼5g/ℓ 이 예시된다.
액체 종균은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형성하도록, 예를 들면 1100㎖의 광구 배양병 1병당, 예를 들면 그 약 5∼30㎖을 무균적으로 이식한다. 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액체 종균 접종부위는 상기 액체 종균을 접종한 영역, 즉 액체 종균을 직접 접종한 균좌 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는 상기 액체 종균을 접종하지 않는 부위 이외의 영역, 즉 액체 종균을 접종하지 않은 균좌 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액체 종균 접종부위의 형상으로서는 재배용 배지 상부의 균좌에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액체 종균 접종부위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재배용 배지 상부의 균좌 면적에 비해서 작은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혹은 다각형상의 형상이 예시된다. 액체 종균 접종부위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타원형, 더 적합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중앙부를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로 한 도넛상 원형이다. 또, 이들의 액체 종균 접종부위는 그 중심이 병 구경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것, 혹은 병 구경의 중심축과 어긋난 것 모두 일 수 있다. 또 액체 종균 접종부위는 병 가장자리부에 접촉할 수도 있다. 또 균좌에 있어서의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의 면적비율로서는 통상 의 종균접종과 비교해서 싹 형성율이 높아지면 좋다.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의 면적비율은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15∼5:1, 더 바람직하게는 1:5∼4:1, 더욱 바람직하게는 1:3∼3:1이다.
재배용 배지에 접종하는 액체 종균의 양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액체 종균 접종부위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5∼5.0 ㎖/㎠, 더 바람직하게는 0.1∼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0.75㎖이다.
또, 재배용 배지에 접종되는 균체의 양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액체 종균 접종부위에 대해서, 건조 중량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0.2∼10 mg/㎠, 더 바람직하게는 0.5∼6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mg/㎠이다.
또, 액체 종균의 접종 방법으로서는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공지의 액체 종균 접종기를 사용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원명세서에 있어서, 해당 접종공정 이후의 배양물을 본 발명의 배양물이라고 부른다.
「배양」은 종균을 접종한 배지를 배양하는 공정으로, 균사의 신장 및 만연, 숙성을 수행하게 한다. 통상, 종균을 접종한 균상 재배용 배양기에서 온도 20∼25℃, 습도 50∼80%에 있어서 균사를 만연시키고, 더욱 숙성시킨다. 배양공정은 배양기의 용량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고, 1100㎖ 병 재배의 경우에는 통상 80∼120일간, 바람직하게는 100일간 전후 이루어진다. 배양공정은 배양 전기공정 및 배양 후기공정으로 나누어서 공정 관리할 수도 있고, 균사의 신장이 성대한 배양후기에 있어서 약간 온도를 조금 낮게 해서 관리하면 좋다. 전기 배양공정은 75∼85일, 후기 배양공정은 25∼35일로 종료한다.
「원기형성」은 땅찌만가닥 버섯의 자실체 원기를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배양공정 종료 후에, 19∼22℃, 바람직하게는 20℃ 전후, 습도 60∼80%, 조도 1000럭스 이하의 조명의 환경하로 배양물을 이동하고, 병의 캡을 제거하고, 자실체 원기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원기형성 공정은 10∼20일간을 필요로 한다. 또 상기 배양 후기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적산조도 20 럭스시간 이상의 광조사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균좌에 자실체 원기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싹 띄움」은 자실체 원기로부터 싹(어린 자실체: 자실체 원기로부터 분화된 원기의 선단부에 회백색의 버섯갓이 형성되게 된 상태)을 형성시키는, 및/또는 싹(어린 자실체)의 성장을 촉진하는 공정이다. 싹 띄움 공정은 통상 10∼20℃, 바람직하게는 15℃ 전후, 습도 80%이상, 조도 1000 럭스 이하의 조명하에서 5∼15일간 실시한다.
싹 띄움 공정 중에는 가습에 의해 결로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젖음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균상면을 구멍이 있는 폴리시트나 골함석 등으로 덮거나, 또는 배양병을 반전해서 배양할 수도 있다. 또, 어린 자실체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복토재로 균상면을 복토할 수도 있다.
「어린 자실체에서 성숙 자실체에로의 생육」은 통상, 조도가 2000 럭스이하인 것 이외는 싹 띄움 공정과 거의 같은 조건으로 5∼15일간 실시하는 공정이다. 어린 자실체에서 성숙 자실체에로의 생육공정에서는 결로수에 의한 젖음 영향을 받기 어려우므로, 구멍이 있는 폴리시트나 골함석 등의 피복은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습도가 100%를 넘는 고가습 조건이란, 포화 수증기량 이상으로 가습을 실시하여, 물이 안개로서 떠도는 상태를 가리킨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고가습 상태를 수치화하기 위해서, 측정에 (주)사기노미야제작소 제품의 장치(상품명: 휴미아이100)를 사용한다. 그 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을 가열에 의해 낮추고, 습도센서로 검출한 후, 가열에 의한 저하분을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장치가 나타내는 수치는 100% 이하에서는 상대습도와 같지만, 100%을 넘으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수증기로 환산해서 포화 수증기량과의 비로 나타낸 수치가 된다. 또, 가습에는 초음파 가습기, 증기식 가습기, 분무식 가습기 등의 가습기를 사용할 수 있다.
어린 자실체의 성숙 자실체에로의 생육공정에 있어서, 전술한 싹 띄움 공정 후에, 균좌 중심부의 싹(어린 자실체) 이외의 싹, 즉 균좌의 외연(병 가장자리부)의 싹을 제거하고, 생육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병의 중심부에 정착(株化) 성숙 자실체를 얻을 수 있다. 또, 균좌 중심부의 싹 이외의 싹을 제거하는 경우, 병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기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들의 처리 후에 생육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정착 성숙 자실체로 생육할 수 있다.
또, 싹의 선별공정은 예를 들면 전술한 싹 띄움 공정이나, 어린 자실체에서 성숙 자실체에로의 생육공정의 초기(5일째까지)에, 균좌 상으로 돋아 나온 싹 중 자실체로 성장시키고 싶은 몇 개의 싹을 선발하고, 그 밖의 싹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싹의 선별공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독립된 상품가치가 높은 땅찌만가닥 버 섯 대형 자실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싹의 선별공정에 있어서는, 균좌의 외측 가장자리(병 가장자리부)의 싹 피킹(싹 제거)을 병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그 때 필요에 따라서 균좌 중앙부에 형성된 싹도 기계적으로 싹 피킹을 할 수 있다. 이들의 처리 후에 생육에 적합한 자실체(어린 자실체) 이외의 어린 자실체를 추가로 제거하고, 남겨진 어린 자실체를 선발 육종하는 것에 의해, 형상이 좋은 대형의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를 효율적으로 생육시킬 수 있다.
또, 꺽꽂이싹의 분리 및 이식공정은 예를 들면, 전술한 싹 띄움 공정에서 수득된 어린 자실체를 개별적으로 분리한 것을 꺽꽂이싹으로 하여, 자실체를 생육시키고 싶은 배지의 임의인 위치에 이식하는 공정이다. 꺽꽂이싹의 분리 및 이식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한 개 한 개가 독립된 상품가치가 높은 땅찌만가닥 버섯 대형 자실체를 얻을 수 있다. 꺽꽂이싹을 이식하는 배지로서는 꺽꽂이싹의 분리에 사용한 배지(꺽꽂이싹 분리후의 배지) 일 수도 있고, 또 해당 배지와는 별도로 제조한 버섯의 균사가 만연한 배지, 예를 들면 배양공정 중의 배지, 싹 띄움 공정 중의 배지일 수도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성숙 자실체를 얻을 수 있고, 수확을 실시해서 재배의 전체 공정을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병 재배방법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버섯의 균상재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병 재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해, 싹(어린 자실체) 형성율이 향상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및 해당 배양물을 사용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즉 균좌에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의외로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로부터도 싹(어린 자실체)형성이 이루어진다. 싹 형성은 균좌 전면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균좌 전면에 종균을 접종하였을 경우보다 싹 형성율은 높다. 본 발명에 의해 어린 자실체 형성율이 현저하게 안정되고, 또한 향상되기 때문에, 땅찌만가닥 버섯의 상업적 재배에 있어서 그 안정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균좌 중심부의 싹 수가 많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정착(株化) 땅찌만가닥 버섯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싹 피킹 공정을 조합시켜서 대형 땅찌만가닥 버섯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해 배지 균좌 표면, 특히 균좌 중심부에 다수의 싹이 발생함으로써, 자실체를 형성시키는데도 바람직한 부위인 균좌 중앙부 부근에 싹을 안정적으로 남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대형 땅찌만가닥 버섯의 육성에 적합한 배지 균좌 위치에서의, 우량의 싹의 육성, 선발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꺽꽂이싹 공정을 조합시켜서 대형 땅찌만가닥 버섯을 생산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우량의 꺽꽂이싹을 대량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들에 의해 수율이 향상하고, 또한, 안정된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의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의 범위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GY 액체 배양지(조성: 글루코오스 2.0%(w/v), 펩톤 0.2%(w/v), 효모엑스 0.2%(w/v), KH2PO4 0.05%(w/v), MgSO4ㆍ7H2O 0.05%(w/v) 100㎖에 Lyophyllum shimeji La 01-27주(FERM P-17455)에 균사를 접종하고, 25℃에서 7일간 진탕배양(1000rpm)하였다. 배양물 2㎖을 200㎖의 동 배지에 심어 계승하고, 7 일간 진탕배양(100rpm) 하였다. 또, 160ℓ의 동 배지가 들어 간 200ℓ 용량의 jar fermenter(코마쯔카와제작소 제품)에 배양물의 전량을 접종해서 6일간 교반배양(교반속도: 100rpm, 환기량 25ℓ/분)을 실시하고, 액체 종균(건조 균체 중량 약 4g/ℓ)을 조제하였다. 한편, 압편 옥수수(이이자카정맥사 제품)와 침엽수 톱밥의 삼나무 톱밥[(유)토모에물산 제품]을 건물 중량비로 2:1(압편 옥수수 : 침엽수톱밥)로 혼합하고, 배지의 수분이 최종적으로 62 중량%가 되도록 물을 첨가해서 충분하게 교반ㆍ혼합하였다. 1 로트 당 약 5000개의 폴리프로필렌제의 광구 배양병(1100㎖)에 혼합물을 각각 넣고(병 및 뚜껑을 포함시킨 중량합계 800g), 압축하였다. 압축물 표면의 중앙에 구경 2.0㎝의 구멍을 뚫고, 압축물 표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직경 4㎝의 원주위에 구경 1㎝로 각각 깊이가 10㎝ 정도의 4개의 구멍을 균등하게 뚫은 후에, 배양병에 캡을 하였다. 캡을 한 배양병에 118℃에서 30분간 고압증기 살균을 실시하고, 20℃까지 방냉하고, 균상 재배용 배양기(고형배지)로서 조제하였다. 이 고형배지에 상기의 액체 종균 약 12.5㎖을,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접종 부위가 병 구경의 중심축과 어긋나며, 또한 도넛상 원형이 되도록 접종하였다. 액체 종균을 접종한 고형배 지에 있어서, 온도 21℃, 습도 70∼75%의 조건하에서 80일간 균사를 배양하고, 배지 전체에 균사를 만연시켰다. 온도를 0.5℃ 낮추고, 추가로 적산조도 20럭스시간 이상으로 30일간 균사를 계속해서 배양하였다. 합계 110일간 배양을 실시함으로써, 자실체원기를 형성시켰다. 또, 도 1은 균좌에 액체 종균을 접종한 재배병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 중, A는 액체 종균 접종부위를, B 및 C는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나타낸다. 이어서, 캡을 제거하고, 재배병을 반전시킨 후에, 온도를 15℃, 가습을 휴미아이 100[(주)사기노미야제작소 제품]의 표시값으로 115∼120%가 되도록 제어한 발이실로 배양병을 이동시켰다. 5∼30 럭스의 조명하에서, 10일간, 자실체 원기를 어린 자실체로 육성하는 싹 띄움을 실시하였다. 그 후에 1로트 당 80개의 배양병을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배지표면의 자실체 원기로부터 생육한 싹(어린 자실체)의 수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동일한 측정을 10 로트에 대해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78791914-PAT00001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균좌에 많은 싹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싹의 발생장소도 균좌의 전면에 걸쳐 있었다.
비교예 1
액체 종균(건조 균체 중량 약 4g/ℓ) 25㎖을 균좌 전면에 접종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배양을 실시하고, 싹 띄움을 실시하였다. 그 후 1로트 당 80개의 배양병을 무작위로 추출하고, 배지표면의 자실체 원기로부터 생육한 싹(어린 자실체)의 수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동일한 측정을 10로트에 대해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78791914-PAT00002
표 2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해서 균좌에 발생한 싹의 수는 적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액체 종균(건조 균체 중량 4.4g/ℓ) 25㎖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고형배지의 균좌 중심부(병 구경의 중심부)에, 원상이며, 또한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의 비율이 1:15, 4:12, 8:8, 4:1, 4:0이 되도록, 각 시험구 당 12개의 접종을 실시하였다. 그 후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 싹 띄움을 실시하였다. 싹 띄움시킨 후에, 균좌 중심부의 싹 이외의 싹은 제거하고, 병을 정회전시켰다. 온도 15℃, 가습을 휴미아이 100[(주)사기노미야제작소 제품]의 표시값으로 105∼120%이 되도록 제어한 생육실로 배양물을 이동하고, 50∼100럭스의 조명 하, 10일간 생육시킴으로써 싹을 성숙 자실체까지 생육시켰다. 각 시험구에 있어서, 균좌 중심부로부터의 싹이 생육함으로써, 정착 성숙 자실체가 형성된 배양병의 개수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78791914-PAT00003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비접종 부위의 비율이 1:15∼4:1의 모든 시험구에 있어서, 균좌 중심부에 충분한 싹이 형성되어, 양호한 정착 성숙 자실체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정착 성숙 자실체의 양호한 형성은 4:12∼8:8의 시험구에 있어서는 현저하였다. 한편,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를 가지지 않는(균좌 전체에 액체 종균을 접종하였다) 시험구(4:0)는 특히 균좌 중심부의 싹 형성이 다른 시험구와 비교해서 현저하게 뒤떨어져, 결과적으로 포기 형상의 자실체를 충분량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액체 종균(건조 균체 중량 4.4g/ℓ)을, PGY 액체 배양지에서 2배(건조 균체 중량 2.2g/ℓ) 또는 4배(건조 균체 중량 1.1g/ℓ)로 희석한 액체 종균 희석액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고형배지의 균좌 중심부에, 원상이며, 또한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의 면적비율이 8:8이 되도록 상기 액체 종균 원액을 50㎖, 25㎖, 12.5㎖, 2배 종균 희석액 12.5㎖, 또는 4배 종균 희석액 12.5㎖을 각각 12개씩 접종하였다. 그 후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 싹 띄움을 실시하였다. 싹 띄움시킨 후, 균좌 중심부의 싹 이외의 싹은 제거하고, 병을 정회전시켰다. 온도 15℃, 가습을 휴미아이 100[(주)사기노미야제작소 제품]의 표시값으로 105∼120%가 되도록 제어한 생육실로 배양물을 이동하고, 50∼100 럭스의 조명하, 10일간 생육시켜서, 싹을 성숙 자실체까지 생육시켰다. 각 시험구에 있어서, 균좌 중심부로부터의 싹이 생육함으로써, 정착 성숙 자실체가 형성된 배양병의 개수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78791914-PAT00004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액 12.5㎖구(2.2 mg/㎠), 2배 희석액 12.5㎖구(1.1 mg/㎠)에 있어서 균좌 중앙부의 싹의 형성이 가장 양호하고, 양호한 포기형상의 자실체가 안정되게 형성되었다. 또 상기 균체량보다도 많아지거나, 또는 적어지면 균좌 중앙부에 싹이 안정되게 형성되기 어려워져, 수득되는 포기형상의 자실체가 적어졌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싹 띄움을 실시하였다. 싹 띄움시킨 후, 병을 정회전시켰다. 해당 배지의 중앙부의 구멍 및 중앙을 중심으로 한 직경 4㎝의 원주위에 균등하게 뚫은 4개의 구멍의 각각에 있어서, 측면으로부터 개구부를 향해서 생육하고 있는 2, 3의 싹 이외의 싹을 스패출라에 의해 제거하였다. 온도 15℃, 가습을 휴미아이 100[(주)사기노미야제작소 제품]의 표시값으로 105∼120%가 되도록 제어한 생육실로 배양물을 이동하였다. 50∼100럭스의 조명하, 10일간 배양물을 배양하는 것에 의해, 싹을 성숙 자실체까지 생육시켰다. 그 사이, 구멍의 개구부로부터 1개의 자실체가 생육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싹을 제거하면서 생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앙부의 구멍으로부터 1개당 약 20∼30g의 중량을 가지는 대형의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가 수득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싹 띄움을 실시하였다. 싹 띄움시킨 후에, 수득된 싹(어린 자실체)을 제거하고, 제거한 어린 자실체로부터 길이가 5∼20mm의 꺽꽂이싹을 선발하였다. 자실체원기 및 어린 자실체를 제거한 원래의 고형배지에, 고체 배양지의 중앙으로부터 직경 4㎝의 원주위에 균등하게 뚫어져 있는 4개의 구멍에 꺽꽂이싹을 각 1개씩 이식하였다. 그 후에 온도 15℃, 가습을 휴미아이 100[(주)사기노미야제작소 제품]의 표시값으로 105∼120%가 되도록 제어한 생육실로 배양물을 이동하였다. 50∼100 럭스의 조명하, 10일간 배양물을 배양하는 것에 의해, 싹을 성숙 자실체까지 생육시켰다. 그 결과, 각 병당 약 70∼90g의 수량으로 대형의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가 수득되었다.
이상, 표 1,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싹(어린 자실체) 수의 약 4배의 싹(어린 자실체)이 균좌 상에 형성된 땅찌만가닥 버섯 배양물이 수득된다. 추가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의 면적비율을 고려하고, 또한 표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균체량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서 더욱 안정되게 정착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가 수득된다.
본 발명에 의해, 대규모 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및 해당 배양물을 사용하는 땅찌만 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해당 배양물을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에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싹(어린 자실체) 형성율이 높고, 안정된 땅찌만가닥 버섯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재배용 배지(배양기)를 위에서 보았을 경우의, 균좌에 있어서의 액체 종균 접종부위와 비접종 부위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 중 A가 도넛상 원형의 액체 종균 접종부위, B 및 C가 액체 종균 비접종 부위이다.

Claims (5)

  1. 액체 종균을 접종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로서, 재배용 배지 상부의 균좌에 액체 종균 접종부위 및 액체 종균 비접종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병 재배용의 균상 배양물인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체 종균 접종부위가 원형, 타원형, 도넛상 원형 또는 도넛상 타원형인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종균 접종부위에 대해서 0.05∼5 ㎖/㎠의 액체 종균을 접종시킨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로부터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KR1020080113328A 2007-11-15 2008-11-14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KR20090050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6895 2007-11-15
JPJP-P-2007-296895 2007-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981A true KR20090050981A (ko) 2009-05-20

Family

ID=4072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328A KR20090050981A (ko) 2007-11-15 2008-11-14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78508B2 (ko)
JP (1) JP5183429B2 (ko)
KR (1) KR20090050981A (ko)
CN (1) CN101690453A (ko)
TW (1) TW200926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1821A (zh) * 2015-06-01 2015-09-02 四川省农业科学院土壤肥料研究所 一种桑黄菌种及其培养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7872A (ja) * 2007-05-29 2009-01-29 Takara Bio Inc きのこの菌床栽培方法
JP2012055309A (ja) * 2010-08-11 2012-03-22 Takara Bio Inc きのこの液体種菌の製造方法
CN102197760A (zh) * 2011-03-29 2011-09-28 福建绿宝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蟹味菇的栽培方法
CN103004469B (zh) * 2012-12-14 2015-01-07 乐山市金口河区森宝野生植物开发有限公司 天麻培养方法、天麻酒及小口径容器培养天麻生产工艺
US10993386B1 (en) * 2019-01-25 2021-05-04 John D'Amico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ly growing mushrooms
JP2020130034A (ja) * 2019-02-19 2020-08-31 株式会社北研 キノコの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0080B2 (ja) 1992-11-25 1999-01-27 水石 藤本 菌根性茸類菌糸の培地
JPH084427B2 (ja) 1993-10-25 1996-01-24 滋賀県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及びそのための培地
JP4202541B2 (ja) 1998-08-06 2008-12-24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
JP2002247917A (ja) 2001-02-23 2002-09-03 Hiroshima Pref Gov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及び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用混合培地
JP2005027585A (ja) 2003-07-08 2005-02-03 Hiroshima Pref Gov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及び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用混合培地
JP4778756B2 (ja) * 2004-09-24 2011-09-21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JP4925169B2 (ja) 2005-07-26 2012-04-25 ヤマサ醤油株式会社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法及び培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1821A (zh) * 2015-06-01 2015-09-02 四川省农业科学院土壤肥料研究所 一种桑黄菌种及其培养方法
CN104871821B (zh) * 2015-06-01 2017-10-17 四川省农业科学院土壤肥料研究所 一种桑黄菌种及其培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6960A (en) 2009-07-01
US8278508B2 (en) 2012-10-02
JP5183429B2 (ja) 2013-04-17
JP2009136283A (ja) 2009-06-25
US20090148926A1 (en) 2009-06-11
CN101690453A (zh)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2897B2 (ja) きのこの菌床栽培方法
JP5270245B2 (ja) ホンシメジの菌床栽培方法
JP6624781B2 (ja) キクラゲの栽培方法
CN103907481B (zh) 一种羊肚菌优质菌种的生产方法
KR20090050981A (ko)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배양물
KR100483333B1 (ko) 발효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JP5551921B2 (ja) ホンシメジの菌床栽培方法
JP2005533118A (ja) 環境安全性農業サプリメント
KR100349579B1 (ko) 동충하초 재배방법
CN113412761A (zh) 一种工厂化茯苓栽培基质及茯苓栽培方法
KR100832352B1 (ko) 신균주 독청버섯아재비 및 이의 재배방법
US20060112618A1 (en) Method for cultivating mushroom
US7269923B2 (en) Method of preparing Tricholoma matsutake-infected young pine by coculturing aseptic pine seedlings and T. matsutake
JP3871425B2 (ja) ムキタケの栽培方法
JP3542945B2 (ja) ハタケ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
JP2683775B2 (ja) キノコ類の人工栽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人工培養基
JP2010131003A (ja) きのこの菌床栽培方法
JPS5839485B2 (ja) まいたけの栽培方法
JP3735267B2 (ja) ハタケシメジの栽培方法
KR101924315B1 (ko) 송이버섯 균사체 배양용 배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16267415A (zh) 一种利用竹片制备竹荪栽培培养基的方法
JP3057936B2 (ja) ハタケシメジの室内栽培法
JPH06125645A (ja) フラワータモギタケの通年栽培方法
CN109122027A (zh) 蚕虫草的培植方法
JPH03297327A (ja)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