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799A -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799A
KR20090047799A KR1020070113837A KR20070113837A KR20090047799A KR 20090047799 A KR20090047799 A KR 20090047799A KR 1020070113837 A KR1020070113837 A KR 1020070113837A KR 20070113837 A KR20070113837 A KR 20070113837A KR 20090047799 A KR20090047799 A KR 2009004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sikhye
rice
sugar
bi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254B1 (ko
Inventor
강하영
이학주
조현진
박동근
이현용
권민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07011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2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이 가능한 수액에 함유되어 있는 당성분의 당도를 이용하여 이러한 수액을 식혜제조시 사용하는 대신 별도로 설탕을 따로 넣지 않고 식혜를 제조함으로써 설탕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각종 성인병 예방을 위한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혜는 종래 식혜 제조시 사용한 설탕 대신에 음용이 가능한 수액에 함유되어 있는 당성분의 당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설탕을 첨가하지 않고 식혜의 발효를 실시하여 설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고로쇠 수액, 우산고로쇠 수액, 식혜

Description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Sweet drink made from fermented rice comprising sa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이 가능한 수액에 함유되어 있는 당성분의 당도를 이용하여 이러한 수액을 식혜제조시 사용하는 대신 별도로 설탕을 따로 넣지 않고 식혜를 제조함으로써 설탕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각종 성인병 예방을 위한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른 봄 유동하는 나무내의 수액은 겨우내 잠자고 있던 나무의 세포조직 구석구석까지 영양분을 공급하여 활동을 개시하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하지만 나무의 입장에서 보면 일종의 자명종 역할을 수액이 한다.
나무가 지하에서 빨아올린 천연 여과 정제수인 수액은 나무가 잎이나 꽃을 피우는데 필수적인 영양분을 가지고 있어서 세포조직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뿌리세포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수된 수액은 지하수와는 다른 조성의 미네랄을 가득 함 유하고 있는 물이다.
수액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생체수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어 인체에 가장 이상적인 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전승적으로는 변비, 이뇨, 통풍, 류머티스, 항괴혈병, 관절염, 위장병, 편도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여러 종류의 수액이 생산, 판매되고 있으나 모든 수액을 전부 마실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마실 수 있는 수액을 생산하는 수종은 총 16 종 정도이다.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만주고로쇠, 좁은단풍 등 5종과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자작나무, 박달나무, 물박달나무, 거제수나무, 사스래나무 등 5종, 그리고 왕대, 솜대, 맹종죽 등 대나무 3종과 다래나무, 가래나무, 층층나무 등이 마실 수 있는 수액을 낸다.
수액은 삼국시대부터 음용되어 왔다는 기록은 있으나, 채취기간이 짧고 성분변질이 쉬워 한시적인 단순음용 자원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지금까지도 이른 봄철 수액채취 지역에서 주로 음용하여 소비되고 있으나, 점차 수액간장과 같은 가공식품으로 용도를 넓혀가고 있다.
식혜는 예날부터 가정에서 즐겨 마시는 음료의 하나로서 단술 또는 감주 등으로 불리었다.
식혜는 쌀로 고두밥을 만든 후 엿기름 물을 고두밥에 넣고 고온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당화시킨 후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음료의 일종이다.
식혜는 고두밥을 엿기름 물에 넣고 당화시킨 후에 다시 설탕을 첨가하기 때문에 단맛이 나서 단맛을 좋아하는 어린아이나 고령자들이 선호하는 음료이다.
그러나 식혜에는 고두밥의 당화물에 다시 설탕을 첨가하고 있어 당 성분이 많아 비만형 사람, 당뇨병 환자에게 좋지 않은 음료일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 성분으로 추정되는 설탕을 함유하고 있어 성인병 예방 및 치료 차원에서는 좋지 않은 음료이다.
이러한 식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삼, 마 등 한약재 추출액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강조하거나 향의 변화를 가져오는 등의 식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수액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고로쇠 수액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액의 하나인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선행기술로서 한국특허출원 제2000-0020244에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음료에 관한 내용이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2001-0013249에 고로쇠나무의 수액을 주로 하는 간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이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2003-0090225에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혼합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이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2004-0015242에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김치 숙성방법에 관한 내용이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2005-0001213에 고로쇠 수액을 첨가한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아이스크림에 관한 내용이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2006-0022999에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한과 및 그 제조법에 관한 내용이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2006-0023004에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냉면 육수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과 같이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과는 기술적 구성이 서로 다른 발명들이다.
본 발명은 식혜 제조시 설탕을 사용하지 않아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은 식혜 제조에 있어서, (1)쌀에 수액을 넣어 고두밥을 만드는 단계, (2)보리싹을 수액에 침지시켜 엿기름 추출액을 얻는 단계, (3)상기 (1)단계에서 얻은 고두밥에 (2)단계에서 얻은 엿기름 추출액의 상등액을 넣고 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혜는 종래 식혜 제조시 사용한 설탕 대신에 음용이 가능한 수액에 함유되어 있는 당성분의 당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설탕을 첨가하지 않고 식혜의 발효를 실시하여 설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수액은 골다공증 완화효과, 숙취제거, 내장기관의 노폐물 제거, 위장병과 신장병 예방, 이뇨작용 등의 효능이 있어, 이러한 효능을 지닌 수액을 식혜 제조에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수액이 지닌 우수한 효능의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지금까지 수액이 장기저장이 불가능하여 수액채취 현장 또는 구매자가 구입하여 수액 그 자체를 마시는 단순한 음용에 그쳤던 것을, 수액을 활용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하여 판매함으로써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여 수액의 활용범위를 다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수액 생산농가의 수입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혜에 있어서,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수액(sap)은 음용이 가능한 수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고로쇠 수액, 우산고로쇠 수액, 만주고로쇠 수액, 좁은단풍 수액, 단풍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박달나무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거제수나무 수액, 사스래나무 수액, 왕대 수액, 솜대 수액, 맹종죽 수액, 다래나무 수액, 가래나무 수액, 층층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는 식혜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고두밥 중량 대비 0.1∼10%의 함량으로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감초, 녹차, 자몽씨, 프로폴리스, 우롱차, 으름덩굴, 계피, 황련, 드릅나무, 느릅나무, 모자반, 알로에, 쑥, 누에, 뽕잎, 산마, 동충하초, 차가버섯, 상황버섯, 연자욱, 홍차, 홍삼, 인삼,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사상자, 토사자, 황기, 식이섬유, 무, 순무, 양파, 마늘, 다시마, 두릅, 둥글래순, 달맞이꽃순, 산뽕순, 삼백초, 칡순, 두충, 오가피, 달개비, 산죽, 화살나무, 돼지감자, 각시둘굴래, 함초, 백선피, 하늘타리뿌리, 까치콩, 스쿠알렌, 초란, 스피룰리나, 클로렐라, 알팔파, 미나리, 감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은 식혜 제조에 있어서, (1)쌀에 수액을 넣어 고두밥을 만드는 단계, (2)보리싹을 수액에 침지시켜 엿기름 추출액을 얻는 단계, (3)상기 (1)단계에서 얻은 고두밥에 (2)단계에서 얻은 엿기름 추출액의 상등액을 넣고 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고두밥 제조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쌀에 수액을 넣고 찌어서 고두밥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쌀 500g에 대하여 수액 500ml∼1ℓ를 넣고 찌어서 고두밥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고두밥을 만들 때 쌀은 찹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두밥을 만들 때 쌀은 멥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두밥을 만들 때 쌀은 찹쌀과 멥쌀이 혼합된 혼합 쌀을 사용할 수 있 다.
상기 고두밥을 만들 때 쌀은 찹쌀과 멥쌀이 1:9∼9: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쌀을 사용할 수 있다.
2. 엿기름 제조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엿기름은 보리싹을 수액에 침지시키추출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엿기름은 보리싹을 수액에 침지시키되, 보리싹 50g에 대하여 500ml∼1ℓ의 수액에 침지시키고 24∼48시간 동안 추출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상기 1단계의 고두밥 제조 및 2단계의 엿기름 제조시 수액(sap)은 음용이 가능한 수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음용이 가능한 수액은 고로쇠 수액, 우산고로쇠 수액, 만주고로쇠 수액, 좁은단풍 수액, 단풍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박달나무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거제수나무 수액, 사스래나무 수액, 왕대 수액, 솜대 수액, 맹종죽 수액, 다래나무 수액, 가래나무 수액, 층층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3. 당화 공정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고두밥에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엿기름 추출액을 첨가한 후 당화시킬 수 있다.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고두밥 500g에 대하여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엿기름 추출액의 상등액 500ml∼1ℓ을 넣고 당화시켜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당화는 60∼80℃에서 밥알이 떠오를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당화는 60∼80℃에서 10∼48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쌀에 수액을 넣어 고두밥을 만들기 전에 세척한 쌀을 수액에 침지시켜 수액에 침지시킨 쌀로 고두밥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수액은 쌀이 잠길 정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쌀을 수액에 넣고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으로 지은 고두밥에 제조한 수액에서 추출한 엿기름 추출액을 첨가한 후 당화하여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함에 있어서, 식혜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으로 지은 고두밥에 제조한 수액에서 추출한 엿기름 추출액을 첨가한 후 당화하여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함에 있어서, 식혜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기능성 성분을 수액으로 지은 고두밥에 수액에서 추출한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당화전에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고두밥 중량 대비 0.1∼10%의 함량을 수액으로 지은 고 두밥에 수액에서 추출한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당화전에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감초, 녹차, 자몽씨, 프로폴리스, 우롱차, 으름덩굴, 계피, 황련, 드릅나무, 느릅나무, 모자반, 알로에, 쑥, 누에, 뽕잎, 산마, 동충하초, 차가버섯, 상황버섯, 연자욱, 홍차, 홍삼, 인삼,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사상자, 토사자, 황기, 식이섬유, 무, 순무, 양파, 마늘, 다시마, 두릅, 둥글래순, 달맞이꽃순, 산뽕순, 삼백초, 칡순, 두충, 오가피, 달개비, 산죽, 화살나무, 돼지감자, 각시둘굴래, 함초, 백선피, 하늘타리뿌리, 까치콩, 스쿠알렌, 초란, 스피룰리나, 클로렐라, 알팔파, 미나리, 감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분말, 추출액, 착즙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하여 수액으로 지은 고두밥에 수액에서 추출한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당화전에 추가로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의 분말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의 추출액은 기능성 성분을 기능성 성분 중량 대비 3∼10배의 정제수에 넣고 90∼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가 10∼25%가 될 때까지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의 착즙액은 착즙기를 이용하여 착즙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시 식혜 제조시 사용하는 성분, 함량, 식혜 제조 조건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식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식혜 제조
하기 1) 내지 3)단계에 의해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하였다(도 1 참조).
1) 쌀을 세척한 다음 쌀 500g에 600ml의 고로쇠 수액을 넣고 증자하여 고두밥을 지었다.
2) 제조 하루 전에 50g의 보리싹을 1ℓ의 고로쇠 수액에 넣고 하루동안 추출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얻었다.
3) 상기 1)에서 지은 고두밥 500g에 대하여 상기 2)에서 얻은 엿기름 추출액의 상등액 500ml을 넣고 65℃에서 10시간 동안 당화시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우산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식혜 제조
고로쇠 수액 대신 우산고로쇠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기능성 성분 포함하는 수액 식혜 제조
기능성 성분으로써 고두밥 중량 대비 3%의 뽕잎 추출액을 수액으로 지은 고두밥에 수액에서 추출한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당화전에 추가로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일반 식혜 제조
쌀을 세척한 다음 쌀 500g에 600ml의 정제수를 넣고 증자하여 고두밥을 지었다.
제조 하루 전에 50g의 보리싹을 1ℓ의 정제수에 넣고 하루동안 추출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지은 고두밥 500g에 대하여 엿기름 추출액의 상등액 500ml 및 설탕 200g을 넣고 65℃에서 10시간 동안 당화시켜 일반 식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혜에 대한 점도 및 당도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 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일반식혜에 대해 점도, pH 및 당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1) 당도 측정 : 식혜의 상등액을 취하여 도 2의 당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점도 측정 : 식혜의 상등액을 취하여 도 3의 점도계(visc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pH 측정 : 식혜의 상등액을 취하여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혜에 대한 점도, pH 및 당도 결과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점도(cP) 1.6 1.5 1.7
pH 6.34 6.32 6.45
당도 (brix) 수액 당도 3.5 4.0 -
식혜 당도 11.5 16.5 13.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점도 측정결과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일반식혜를 비교하였을 때 점도와 pH 값이 크게 차이는 나지 않았다.
당도 측정결과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는 일반식혜와 비교하여 조금 낮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는 일반식혜 보다 높은 당도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는 설탕을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식혜와 비교하여 거의 유사하거나 높은 당도 값을 나타내어 설탕 첨가 없이 수액 자체만 가지고 식혜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혜에 대한 관능검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일반식혜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요원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전공 재학생 30명이었으며, 이들은 훈련 과정을 통하여 평가할 특성에 대한 식별력과 특성, 맛에 대한 안정된 판단 기준을 확립한 후 관능검사에 임하도록 훈련하였다. 식혜를 검사하기 10분 전에 냉장고에서 꺼내어 충분히 교반한 후, 20ml 흰 종이컵에 담고 시료의 균질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회용 숟가락으로 저어 가면서 음미하도록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색깔, 풍미, 청량감, 밥알의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등 총 5가지를 평가하였다.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표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혜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5.8 6.5 5.2
풍미 5.9 6.5 5.5
청량감 5.7 7.0 4.9
밥알의 조직감 5.8 5.9 5.4
기호도 6.2 7.2 5.6
평 균 5.9 6.6 5.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처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혜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가 모든 관능평가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으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도 일반식혜보다 높은 평가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우산고로쇠와 고로쇠 수액식혜의 가장 큰 장점은 청량감과 기호도이다.
시험예 1의 표 1결과에서처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는 자체 당도가 높기 때문에 추가적인 당을 첨가하지 않아도 일반식혜와 같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그렇기 때문에 단맛을 내기 위해서 당을 넣지 않아도 된다는 점은 소비자가 건강에 좋은 음료를 선호하는 욕구도 맞춰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로서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시험예 1에서 식혜의 당도를 측정하는 당도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시험예 1에서 식혜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9)

  1. 식혜에 있어서,
    수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
  2. 제1항에 있어서, 수액은 고로쇠 수액, 우산고로쇠 수액, 만주고로쇠 수액, 좁은단풍 수액, 단풍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박달나무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거제수나무 수액, 사스래나무 수액, 왕대 수액, 솜대 수액, 맹종죽 수액, 다래나무 수액, 가래나무 수액, 층층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3. 식혜 제조에 있어서,
    (1)쌀에 수액을 넣어 고두밥을 만드는 단계,
    (2)보리싹을 수액에 침지시켜 엿기름 추출액을 얻는 단계,
    (3)상기 (1)단계에서 얻은 고두밥에 (2)단계에서 얻은 엿기름 추출액의 상등액을 넣고 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수액은 고로쇠 수액, 우산고로쇠 수액, 만주고로쇠 수액, 좁은단풍 수액, 단풍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박달나무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거제수나무 수액, 사스래나무 수액, 왕대 수액, 솜대 수액, 맹종죽 수액, 다래나무 수액, 가래나무 수액, 층층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쌀 500g에 대하여 수액 500ml∼1ℓ의 수액을 넣어 고두밥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보리싹을 수액에 침지시키되, 보리싹 50g에 대하여 500ml∼1ℓ의 수액에 침지시키고 24∼48시간 동안 추출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고두밥 500g에 대하여 엿기름 추출액의 상등액 500ml∼1ℓ을 넣고 당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당화는 60∼80℃에서 밥알이 떠오를 때 까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감초, 녹차, 자몽씨, 프로폴리스, 우롱차, 으름덩굴, 계피, 황련, 드릅나무, 느릅나무, 모자반, 알로에, 쑥, 누에, 뽕잎, 산마, 동충하초, 차가버섯, 상황버섯, 연자욱, 홍차, 홍삼, 인삼,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사상자, 토사자, 황기, 식이섬유, 무, 순무, 양파, 마늘, 다시마, 두릅, 둥글래순, 달맞이꽃순, 산뽕순, 삼백초, 칡순, 두충, 오가피, 달개비, 산죽, 화살나무, 돼지감자, 각시둘굴래, 함초, 백선피, 하늘타리뿌리, 까치콩, 스쿠알렌, 초란, 스피룰리나, 클로렐라, 알팔파, 미나리, 감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고두밥 중량 대비 0.1∼10%의 함량으로 당화전에 추가로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KR1020070113837A 2007-11-08 2007-11-08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37A KR100942254B1 (ko) 2007-11-08 2007-11-08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37A KR100942254B1 (ko) 2007-11-08 2007-11-08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99A true KR20090047799A (ko) 2009-05-13
KR100942254B1 KR100942254B1 (ko) 2010-02-17

Family

ID=4085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837A KR100942254B1 (ko) 2007-11-08 2007-11-08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254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69B1 (ko) * 2010-11-26 2013-10-2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방 약식혜 제조방법
KR101352655B1 (ko) * 2012-12-20 2014-01-17 경기도 침전 안정성이 우수한 아미노산 고함유 쌀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609711A (zh) * 2013-11-06 2014-03-05 烟台职业学院 一种黑五类养生饮料的生产方法
CN103750447A (zh) * 2013-12-19 2014-04-30 芜湖佳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金针菇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400293B1 (ko) * 2012-12-26 2014-05-28 시흥시 연 식혜 제조방법
CN105029601A (zh) * 2015-06-08 2015-11-11 李春燕 一种香橙风味胡柚果醋饮料及其制备工艺
CN105029585A (zh) * 2015-06-08 2015-11-11 李春燕 一种樱桃风味胡柚果醋饮料及其制备工艺
CN105029550A (zh) * 2015-06-08 2015-11-11 李春燕 一种菠萝风味胡柚果醋饮料及其制备工艺
CN105194251A (zh) * 2015-10-15 2015-12-30 李涛 一种防治骨质疏松的中药制剂及制法
CN105194309A (zh) * 2015-10-15 2015-12-30 李涛 治疗骨质疏松的外用膏剂及制备方法
CN105213749A (zh) * 2015-10-15 2016-01-06 李涛 用于治疗骨质疏松的制剂及制法
CN105213793A (zh) * 2015-10-15 2016-01-06 李涛 主治骨质疏松的中药组合物及制法
KR101657405B1 (ko) * 2015-04-09 2016-09-13 김진식 우산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230B1 (ko) * 2011-10-17 2013-10-28 대한민국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8482A (ko) 2015-07-14 2017-01-24 김규석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고로쇠 잼의 제조방법
CN105901449A (zh) * 2016-04-23 2016-08-31 张瑞武 一种果醋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303015B1 (ko) 2020-12-04 2021-09-15 강연우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동태탕 육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23A (ko) * 1996-08-13 1998-05-25 오화석 감초식혜, 기능성 식혜 및 그 제조방법
KR100603791B1 (ko) * 2003-12-11 2006-07-24 김창섭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혼합음료 제조방법
KR20060066890A (ko) * 2004-12-14 2006-06-19 이정수 엿기름 티백 및 이를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69B1 (ko) * 2010-11-26 2013-10-2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방 약식혜 제조방법
KR101352655B1 (ko) * 2012-12-20 2014-01-17 경기도 침전 안정성이 우수한 아미노산 고함유 쌀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0293B1 (ko) * 2012-12-26 2014-05-28 시흥시 연 식혜 제조방법
CN103609711A (zh) * 2013-11-06 2014-03-05 烟台职业学院 一种黑五类养生饮料的生产方法
CN103750447A (zh) * 2013-12-19 2014-04-30 芜湖佳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金针菇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57405B1 (ko) * 2015-04-09 2016-09-13 김진식 우산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CN105029585A (zh) * 2015-06-08 2015-11-11 李春燕 一种樱桃风味胡柚果醋饮料及其制备工艺
CN105029550A (zh) * 2015-06-08 2015-11-11 李春燕 一种菠萝风味胡柚果醋饮料及其制备工艺
CN105029601A (zh) * 2015-06-08 2015-11-11 李春燕 一种香橙风味胡柚果醋饮料及其制备工艺
CN105194251A (zh) * 2015-10-15 2015-12-30 李涛 一种防治骨质疏松的中药制剂及制法
CN105194309A (zh) * 2015-10-15 2015-12-30 李涛 治疗骨质疏松的外用膏剂及制备方法
CN105213749A (zh) * 2015-10-15 2016-01-06 李涛 用于治疗骨质疏松的制剂及制法
CN105213793A (zh) * 2015-10-15 2016-01-06 李涛 主治骨质疏松的中药组合物及制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254B1 (ko)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254B1 (ko)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9286B1 (ko) 유자주의 제조방법
CN103891896A (zh) 一种贡菊枸杞茶
CN104630010A (zh)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20150001358U (ko)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조청의 제조방법
KR20110092010A (ko)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KR101676435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보관안정성이 확보된 장류
CN107475034B (zh) 一种耐贮存复合型果酒的制备方法
KR101781109B1 (ko) 유색 맥아를 이용한 유색 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조청
KR100538564B1 (ko)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양갱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0904255B1 (ko) 어성초와 삼백초를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음료
KR101788801B1 (ko) 복분자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고춧가루
KR101426030B1 (ko)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263776B1 (ko) 무화과 막걸리 제조방법
KR101216183B1 (ko) 매실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조성물
CN111134258A (zh) 一种减肥美容的藜麦青汁饮品及其制备方法
KR20160048362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와송과 꾸지뽕 혼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00074355A (ko)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CN104263598B (zh) 一种青梅酒的制备方法
KR101628347B1 (ko) 산수유 생과 퓨레를 이용한 산수유 잼
Mishra et al. Development of new product by mahua (Madhuca longifolia) flowers
KR102492573B1 (ko) 우동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11127B1 (ko) 주박을 이용한 단술로 제조된 곶감 모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곶감 모주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