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230B1 -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230B1
KR101322230B1 KR1020110105902A KR20110105902A KR101322230B1 KR 101322230 B1 KR101322230 B1 KR 101322230B1 KR 1020110105902 A KR1020110105902 A KR 1020110105902A KR 20110105902 A KR20110105902 A KR 20110105902A KR 101322230 B1 KR101322230 B1 KR 10132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ap
hangover
weight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565A (ko
Inventor
강하영
박미진
이현용
최인규
정의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10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2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23L2/7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using membranes, e.g. osmosis, ultr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2Curcumin, turmer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포함하도록 하여 저장성과 숙취 해소 효능이 증진된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를 제공할 수 있어서 숙취 해소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유용한 숙취 해소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액의 새로운 소비처를 제공할 수 있어 수액 채취 농가 및/또는 지역사회에 경제적인 이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다래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The beverage comprising sap for curing hang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포함하도록 하여 저장성과 숙취 해소 효능이 증진된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다래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근래 들어 음주문화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과음과 빈번한 음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숙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약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는 에탄올 자체의 독성뿐 아니라, 체내 대사과정 중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전환된 후 이것이 뇌와 간을 포함한 소화기관에 유해한 물질로 작용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숙취는 에탄올 섭취 후 두통이나 속 쓰림 등으로 나타나므로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을 찾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고 이미 많은 약물들이 소개되어 있지만 현저하게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많지 않다.
술에 사용되는 알코올인 에탄올(ethanol)은 섭취 시 체내에 흡수되어 전신에 고루 분포되며, 대부분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소포제(endoplasmic reticulum) 내의 알코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 카타라제(catalase) 및 과산화효소(peroxidase) 등의 여러 효소들에 의해서 대사되고, 흡수된 알코올의 10% 미만은 대사되지 않은 채 신장이나 폐를 통하여 체외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음주 후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숙취 현상은 알코올 그 자체의 독성보다는 알코올(CH3CH2OH)이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CH3CHO)로 분해되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에 의해 아세트산(CH3COOH)으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아세트알데히드(CH3CHO)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알코올(CH3CH2OH)이 알콜분해효소류에 의해 분해되면서 먼저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는데 이때 전환된 아세트알데히드가 간세포와 뇌세포의 손상을 가져와 구토, 두통이 일어나고 심하면 오한이나 복통이 일어나 숙취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한편, 음료에 대한 기호성도 변화하여 단순히 청량감을 주는 콜라, 사이다의 탄산음료 소비는 점차 줄어들고, 차츰 천연물을 주원료로 하거나 또는 수분을 보충하기 위한 음료 제품의 판매량이 매년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질병 치료를 위한 약물의 본래 성분인 약리학적 성분을 살리면서도 기능성을 함유한 건강음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음료의 재료로서 야채류 및 한약재 등 천연성분을 주로 이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알코올 섭취 후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숙취 해소 음료의 개발 역시 활발히 진행 중이다.
수액(sap)이란 수목의 체내에 존재하는 액체를 총칭하는 것으로, 국내에서 수액이 음료로써 음용 되고 있는 수종은 단풍나무과의 고로쇠나무와 당단풍, 자작나무과의 자작나무, 거제수나무, 박달나무, 물박달나무, 사스래나무, 우산고로쇠나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종에서 연간 3,129㎘가 채취되고 총 채취량의 97%가 고로쇠나무 수액이다. 고로쇠나무 수액의 이명인 골리수(骨利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뼈에 이로운 나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는 속설이 있는 고로쇠나무의 수액이 다른 수액에 비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고로쇠나무를 비롯한 여러 가지 수액의 약리적 성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지 주성분이 자당이라는 사실과 다량의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 국내에 비해 수액에 대해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약리적 효과보다는 수액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를 위주로 하고 있으며, 일본은 자작나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과 캐나다는 사탕단풍나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특히 단풍나무과 식물의 수액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사탕단풍나무로부터 3∼4월 사이에 수액을 채취하여 메이플 시럽(maple syrup)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농가 소득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액에 대한 음용의 역사도 깊고 최근에는 수액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어 수액에 대한 산업화가 시도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연구가 많지 않다. 백운산, 지리산 지역에서는 30∼40여 년 전부터 수액채취가 이루어져 왔으나, 우산고로쇠나무가 자생하고 있는 울릉도 지역에서는 2002년도에 처음으로 수액 채취가 허가되어 최근에서야 수액채취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액에는 Ca, Mg, K, Na, Si, P, Mn, Mo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등의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고, 일반 식수와 비교할 때 칼슘은 약 40배, 마그네슘은 약 30배나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수액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음용할 수 있고, 수액 특유의 신선한 향과 약간의 당도가 있어 음용하는데 전혀 거부감이 없고 많은 양을 섭취하여도 배탈이 나지 않아 식수 대용으로도 먹을 수 있다.
수액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생체수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어 인체에 가장 이상적인 물로서 체내 흡수에 용이하다. 또한 수액은 음용수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는 약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수액에는 이뇨, 변비, 위장병, 통풍, 류마티스, 관절염, 수창, 부창, 습진, 괴혈병, 신경통, 산후통 등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액은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많은 효능과 각종 천연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지만 그 저장성의 한계에 부딪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효능을 가지며 각종 천연무기물을 함유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076168호 및 특허공개 제1997-000075호에는 녹두를 첨가한 간 기능 보호 식품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181168호에는 오리나무와 마가목 추출물로 이루어진 숙취 해소용 천연차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4027호(공개번호 2001-76695호)에는 노근과 지구자 열매를 주재로 한 숙취 및 갈증해소용 음료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285205호에는 노근 추출물이 첨가된 갈증해소 및 숙취해소용 스포츠음료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27653호(공개번호 2001-69936호)에는 오가피, 당귀, 천궁, 진피, 감초 등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75048호에는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재료들 중 하나로 오가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본 발명과 대비시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또는 발명의 구성이 서로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은 기존 천연물 유래 숙취해소 음료 제조에 있어서 지적되었던 당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데 따른 맛의 저하, 인공 감미료 첨가로 인한 성인병이나 영양소 흡수 저해 현상, 느린 체내 흡수 속도, 수액 특유의 낮은 저장성을 극복할 수 있는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액을 초고압 처리에 의해 수액을 살균시켜 수액의 저장성 증진을 가능하게 하였고, 숙취 음료의 맛 향상을 위해 천연 당 성분(sucrose, glutose, fructose, maltose) 및 여러 가지 미네랄이 함유된 수액을 포함하도록 하여 부수적인 인공 감미료의 첨가 없이 맛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액에 함유된 미네랄과 이의 함량을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체내 흡수 속도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이때 수액에 함유된 미네랄의 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액을 나노 여과막을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킨 후 역삼투 반투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켜 2차 여과시의 여과비율(여과수/투입수)의 조절하여 미네랄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다래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는 당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데 따른 맛의 저하, 수액 특유의 낮은 저장성을 극복한 숙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는 기존의 당 성분으로 설탕 대신 수액을 이용하여 수액이 갖는 신선한 향과 당 성분(sucrose, glutose, fructose, maltose)에 의해 감미료인 설탕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고도 관능성, 기능성이 향상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설탕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각종 성인병 및 영양소 흡수 저해 예방할 수 있으며, 수액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미네랄 성분들의 전해질로서의 작용을 통해 체내 흡수 속도와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 숙취해소 음료 및 대조구의 시판 숙취 해소 음료에 대한 GST 활성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흰쥐에 알코올을 섭취시킨 후 증류수를 5mL/kg 투여한 대조군,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를 5mL/kg 투여한 군, 우산고로쇠 숙취음료를 5mL/kg으로 투여한 군, 시판 숙취해소음료(컨디션, CJ) 5mL/kg으로 투여한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PC)군의 5군에 대해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우산고로쇠 수액에 함유된 미네랄 농도 조성을 달리한 숙취음료의 알코올 저감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수액 90∼96중량%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강황 추출액은 세척후 이물질을 제거한 강황을 강황 중량 대비 10∼3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이 추출액을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20%가 되도록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강황 추출액은 세척후 이물질을 제거한 강황을 강황 중량 대비 2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이 추출액을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가 되도록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및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은 상기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다래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수액을 200∼500MPa의 압력으로 5∼45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수액을 300∼400MPa의 압력으로 5∼15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수액을 400MPa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인체에 흡수 속도가 빠른 숙취 해소 음료를 위해 미네랄 농도가 조절된 수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은 인체에 흡수 속도가 빠른 숙취 해소 음료를 위해 수액을 200∼500MPa의 압력으로 15∼45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300∼400MPa의 압력으로 5∼15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MPa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살균 전처리 후 미네랄 농도가 칼슘(Ca) 1100∼1300mg/L, 마그네슘(Mg) 250∼350mg/L, 칼륨(K) 450∼550mg/L, 나트륨(Na) 120∼180mg/L, 규소(Si) 120∼180mg/L, 인(P) 120∼180mg/L, 망간(Mn) 60∼80mg/L가 되도록 조절된 수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액의 미네랄 농도 조절은 살균 전처리한 수액을 나노 여과막을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킨 후 역삼투 반투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켜 2차 여과시의 여과비율(여과수/투입수)의 조절하여 미네랄 농도가 칼슘(Ca) 1100∼1300mg/L, 마그네슘(Mg) 250∼350mg/L, 칼륨(K) 450∼550mg/L, 나트륨(Na) 120∼180mg/L, 규소(Si) 120∼180mg/L, 인(P) 120∼180mg/L, 망간(Mn) 60∼80mg/L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2차 여과시 사용하는 역삼투 반투막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복합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 음료는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 이외에 기능성 향상을 위한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이 더 포함된 숙취 해소 음료는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기능성 성분 0.2∼1.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 열매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이 혼합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혼합 추출액의 함량이 10인 경우 상기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은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인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은 상기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음료의 제조에 사용된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는 이미 한약재료로서 익히 널리 사용되는 유용한 식물로서, 트리터펜(triterpene)계 사포닌,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리퀴리틴(Liqirition), 아스파라긴(Asparagin), 글루탐산(Glutamic acid), 포도당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산의 2-글루쿠론(glucuron)산 배당체로 감초의 감미 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약물중독, 식물중독, 체내대사물의 중독뿐만 아니라 세균 소독 등에 대한 다양한 해독작용이 있어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오리나무(Alus japonica STEUD)는 헛개나무와 함께 숙취를 없애고 알코올 중독을 풀며 간 기능을 좋게 하는 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나무이다. 오리나무는 자작나무과의 나무로, 유리목(楡里木) 또는 적양(赤陽)이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다조(茶條)라고 한다. 뿌리에서 공기 중에 있는 질소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고 또 땅을 기름지게 하므로 사방목으로 귀중하게 여겼다. 오리나무는 잎과 잔가지 껍질을 약으로 쓴다.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떫고 매우며,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술을 많이 마셔서 간이 나빠진 데는 오리나무 잔가지나 뿌리를 달여서 마시면 간기능이 회복된다.
강황(薑黃, Curcuma longa L.)은, 약용으로 쓰이는 뿌리 쪽에 여러 가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 성분은 컬큐민(Curcumin)이고 그 외에 α-구루구멘, 후라보노이드, 구루구몰, 캄파, 아스논, 다메론, 베타-에레몬, 시네오루, 파라-메티르돌 등의 정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주요 작용은 간 기능을 개선하고 담즙의 분비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의 효능은 알콜성 간염, 간경화, 지방간, 황달, 당뇨, 혈압, 갈증 해소, 대소변 기능 등에 좋은 작용을 하며, 특히 술독을 푸는 데 불가사의하다고 할 만큼 신비한 효력을 발휘한다. 헛개나무의 잎이나 줄기, 열매 등을 술독에 넣으면 술이 발효가 되지 않고 술의 알콜 성분이 없어지며 물이 되어버린다는 속설도 있다.
갈근(葛根, Pueraria thunbergiana)은 술독으로 열이 나는 것과 술로 황달이 생겨 오줌이 붉고 잘 나가지 않는 것을 낫게 하고 갈근 생뿌리를 찢어서 즙을 내어 마시면 소갈, 온병, 상한으로 열이 몹시 나는 것에 효과가 있다. 또한, 예로부터 술 때문에 생긴 독을 비롯하여 여러 중독증에 해독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의 혼합액은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의 혼합액은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수액 90∼96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강황 추출액은 세척후 이물질을 제거한 강황을 강황 중량 대비 10∼3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이 추출액을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20%가 되도록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강황 추출액은 세척후 이물질을 제거한 강황을 강황 중량 대비 2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이 추출액을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가 되도록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및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은 상기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다래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수액을 200∼500MPa의 압력으로 5∼45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수액을 300∼400MPa의 압력으로 5∼15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수액을 400MPa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은 인체에 흡수 속도가 빠른 숙취 해소 음료를 위해 미네랄 농도가 조절된 수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은 인체에 흡수 속도가 빠른 숙취 해소 음료를 위해 수액을 200∼500MPa의 압력으로 15∼45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300∼400MPa의 압력으로 5∼15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MPa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살균 전처리 후 미네랄 농도가 칼슘(Ca) 1100∼1300mg/L, 마그네슘(Mg) 250∼350mg/L, 칼륨(K) 450∼550mg/L, 나트륨(Na) 120∼180mg/L, 규소(Si) 120∼180mg/L, 인(P) 120∼180mg/L, 망간(Mn) 60∼80mg/L가 되도록 조절된 수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수액의 미네랄 농도 조절은 살균 전처리한 수액을 나노 여과막을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킨 후 역삼투 반투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켜 2차 여과시의 여과비율(여과수/투입수)의 조절하여 미네랄 농도가 칼슘(Ca) 1100∼1300mg/L, 마그네슘(Mg) 250∼350mg/L, 칼륨(K) 450∼550mg/L, 나트륨(Na) 120∼180mg/L, 규소(Si) 120∼180mg/L, 인(P) 120∼180mg/L, 망간(Mn) 60∼80mg/L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2차 여과시 사용하는 역삼투 반투막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복합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혼합한 혼합액은 110∼130℃에서 10∼60초간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수액을 혼합한 혼합액은 120℃에서 30초간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 이외에 기능성 향상을 위한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이 더 포함된 숙취 해소 음료는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기능성 성분 0.2∼1.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 열매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이 혼합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혼합 추출액의 함량이 10인 경우 상기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은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인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은 상기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산고로쇠 수액 93중량%, 갈근 추출액1중량%, 강황 추출액 1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3중량%, 감초 추출액 1중량% 및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1중량%를 3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고, 이 혼합액을 120℃에서 30초간 살균하여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우산고로쇠 수액은 숙취 해소 음료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우산고로쇠 수액을 400MPa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강황 추출액은 세척후 이물질을 제거한 강황을 강황 중량 대비 2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이 추출액을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가 되도록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및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은 상기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증류수 93중량%, 갈근 추출액1중량%, 강황 추출액 1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3중량%, 감초 추출액 1중량% 및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1중량%를 3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고, 이 혼합액을 120℃에서 30초간 살균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및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은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대조구>
시중에서 시판되는 숙취해소 음료(한국야쿠르트, 닥터제로)를 대조구로 하였다.
<실험예 1> 초고압 살균 공정을 통한 수액의 저장성 실험
당, 유기산 및 pH의 변화의 확인을 통해 일반 수액과 초고압 살균 수액의 변질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초고압 살균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을 400MPa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초고압 살균 수액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우산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였다.
(1)당 분석
일반 수액과 초고압 살균 수액을 각각 필터(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HPLC를 이용하여 저장 기간(storing period)에 따른 당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HPLC는 Agilent사의 HP1100을 사용하였으며, 버퍼(buffer)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과 증류수를 75:25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칼럼(Column)은 Sugarpak column(300mm×6.5mm)을 사용하여 1ml/min의 유속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각 피크 검출에는 RI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당류 정량을 위한 표준물질로서 글루코오스(glucose), 프럭토오스(fructose), 수크로오스(sucrose)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농도를 계산하였다.
일반수액 및 초고압 수액의 당 함량 분석(unit : %)
Sample Storing period Glucose Fructose Sucrose Total
일반 수액 0 month 0.36 0.30 2.02 2.67
2 months 0.47 0.41 0.76 1.65
4 months 0.68 0.58 0.30 1.56
초고압 살균수액 0 month 0.36 0.30 2.02 2.67
2 months 0.34 0.28 1.98 2.60
4 months 0.31 0.26 1.92 2.49
(2) 유기산 분석 및 pH 측정
일반 수액과 초고압 살균 수액을 각각 필터(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당 분석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HPLC를 이용하여 저장 기간(storing period)에 따른 유기산 함량을 분석하고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동상은 0.01N H2SO4를 사용하였고 칼럼(column)은 Aminex HPX-87H column(300mm×7.8mm)을 사용하여 0.6ml/min 의 유속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피크 검출에는 RI 검출기를 사용하여 pyruv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ethanol, glycerol 등을 분석하였다.
pH 분석은 수액을 여과 없이 100rpm으로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pH meter(Orion. US/52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일반수액 및 초고압 살균 수액의 유기산(unit : mg/ml) 및 pH 측정
Sample Storing period Pyruvic acid Succinic acid EtOH Total pH
일반수액 0 month 0.73 0.35 0.00 1.08 6.51
2 months 1.81 0.44 0.86 3.11 4.64
4 months 3.22 0.51 0.23 3.96 4.12
초고압 살균 수액 0 month 0.73 0.35 0.00 1.08 6.51
2 months 0.75 0.38 0.11 1.24 6.39
4 months 0.81 0.41 0.16 1.38 6.10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에서처럼 일반 수액과 초고압 살균 수액에 대한 당 및 유기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 수액의 경우 저장 기간 동안 sucrose가 glucose와 fructose로 분해되고 수액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통한 해당작용이 일어나서 pyruvic acid를 생성하게 된다. 이어서 pyruvic acid가 lactic acid, succinic acid, ethanol로 발효가 진행되어 이에 따라 pH도 함께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해 초고압 살균 공정을 거친 수액은 일반 수액에 비하여 glucose, sucrose 및 fructose 함량이 저장 기간이 길어져도 거의 변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고, 유기산 및 pH도 비교적 변화 없이 일정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초고압 살균 공정에 의해 미생물이 살균되어 당의 변화가 거의 없어 저장성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숙취 해소 음료의 Alcohol dehydrogenase(ADH) 효소 활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 및 대조구의 시판 숙취 해소 음료에 대한 ADH 효소 활성 측정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nm에서 형성되는 NADH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도를 표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즉, 시험관에 알코올(ethanol) 0.2mL, NAD 0.4mL 및 각각의 숙취음료 1.0mL를 넣은 후 총 부피가 3mL이 되도록 0.05M Tris buffer를 넣었다. 각각의 숙취음료가 첨가된 시험관을 25℃의 욕조(water bath)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ADH를 0.04mL을 넣어 3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즉시 시험관을 얼음에 옮긴 후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340nm에서 A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숙취음료는 실시예 1의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 비교예의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 대조구의 시판 숙취 음료를 사용하였다.
체내의 알코올(ethanol)은 간이나 몸의 다른 기관과 부위로 운반되고 간으로 운반된 알코올(ethanol)은 Alcohol dehydrogenase(ADH)와 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산화되어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되고 일부는 소변을 통해 신장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폐를 통해 CO2로 배출하여 체내 알코올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숙취 해소 음료의 ADH 효소 활성에 대한 실험 결과 비교예에서 증류수,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및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로 만든 숙취해소 음료의 경우 64.11%의 활성을 보였고, 실시예 1에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가 비교예에서 제조한 숙취해소 음료보다 높은 ADH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해소 음료의 경우 대조구의 시판 숙취 해소 음료에 비해 더 높은 ADH 활성을 보였다.
숙취해소 음료의 ADH 활성 결과
항목 ADH activity (%)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비교예 1) 64.11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실시예 1) 73.69
시판 숙취해소 음료(대조구) 71.96
<실험예 3> 간 해독 작용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 및 대조구의 시판 숙취 해소 음료에 대해 간의 중요 해독 기전 중의 하나인 GST(Glutathion-S-Transferase)의 활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Habig 등의 방법(Habig WH, Pabst MJ and Jakoby WB. 1974. Glutathion S-transferases: the first enzymatic step in mercapturic acid formation.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9: 7130-7139.)과 같이 조제된 반응시약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 및 대조구의 시판 숙취 해소 음료를 각각 1mL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기질로서 1-cholro-2,4-dinitrobenzene를 1mL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2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20% TCA를 1mL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3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뒤 하기의 식과 같이 각각의 숙취 음료에 대한 GST의 활성도를 계산하였다(Lee MK, Lee HA, Choi GP, Oh DH, Kim JD, Yu CY and Lee HY. 2003.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1): 5-12.).
Figure 112011080916257-pat00001

각각의 숙취 음료에 대한 GST의 활성 실험 결과, 간에 존재하는 중요한 해독 효소인 GST 효소 활성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가 27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대조구의 시판 숙취 해소 음료,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흰쥐에 대한 숙취 해소 효과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 및 대조구의 시판 숙취 해소 음료에 대해 숙취 해소 여부를 흰쥐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체중 80∼100g의 생후 4주령 Spraque-Dawley(SD) 수컷 흰쥐 48마리를 사용하여 2주일간 고형배합사료와 물로 예비 사육시킨 후 체중이 230∼240g에 도달했을 때 군을 재분리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숙취 음료의 알코올성 숙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동물실험은 시료를 1회 경구투여 하고, 30분이 경과한 다음 20% 에탄올(ethanol)(15mL/kg body wt.)을 경구 투여한 다음 증류수를 5mL/kg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를 5mL/kg 투여한 군, 우산고로쇠 숙취음료를 5mL/kg으로 투여한 군, 시판 숙취해소음료(컨디션, CJ) 5mL/kg으로 투여한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PC)군의 5군으로 군당 8마리씩 나누어 수행하였다.
이후 1시간, 3시간, 5시간 및 7시간 후에 각 군의 혈중 알콜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에 대한 사육실의 온도는 23±1℃, 습도 50±5%로 유지하였고, 12시간 명암주기를 유지하였다. 사육기간 동안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전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의 알코올 농도 저감효과가 뛰어난 점이 확인되며, 비교예에서 제조한 증류수 숙취 해소 음료의 경우 기존 시판 숙취해소음료(컨디션, CJ)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음료에 비하여 그 효과가 뛰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알코올과 숙취음료 투여 초기는 기존 시판 숙취해소음료(컨디션, CJ)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음료의 알코올 농도 저감효과가 비슷하였으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숙취음료의 경우 투여 3시간 이후부터 강력한 혈중 알코올 농도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도 2 참조).
본 실험결과를 통하여 기존의 천연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숙취 해소 음료에 비하여 실시예 1엣허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가 알코올 농도 저감효과가 증진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산고로쇠 수액에 함유된 미네랄의 전해질 역할로 인한 체내 흡수 속도 및 효능이 증진된 결과라 생각되며,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숙취 해소 음료가 기존의 숙취 해소 음료에 비하여 빠른 시간 내에 알코올 저감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체액과 비슷한 농도의 미네랄 농도를 조절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음료의 알코올 농도 저감 효과
상기 실험예 4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경우 기존의 천연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숙취 해소 음료와 비교시 알코올 농도 저감 시간이나 그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숙취 음료와 비교하였을 때, 알코올 투여 후 5시간이 지나는 시점에서 알코올 분해가 더 잘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알코올 투여 후 초기에는 그 효능이 크게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본 실험에서는 우산고로쇠 수액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 농도를 체액의 조성과 비슷하게 조절하여 그렇지 않은 숙취 음료와 비교하여 보았다.
본 실험을 위하여 우산고로쇠 수액을 나노 여과막을 통과시켜 1차적으로 여과시킨 후 역삼투압을 통해 역삼투 반투막으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복합막을 통과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여과시의 여과비율(여과수/투입수)의 조절을 통하여 수액에 함유된 미네랄 함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여 아래의 표와 같은 농도로 미네랄 농도를 조절하였다(표 4 참조).
표 4에 기재된 미네랄 농도가 조절된 우산고로쇠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미네랄 총 합계가 1950인 A 숙취 해소 음료, 미네랄 총 합계가 2520인 B 숙취 해소 음료, 미네랄 총 합계가 3100인 C 숙취 해소 음료를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숙취 해소 음료, 미네랄 총 합계가 1950인 A 숙취 해소 음료, 미네랄 총 합계가 2520인 B 숙취 해소 음료, 미네랄 총 합계가 3100인 C 숙취 해소 음료에 대해 흰쥐에 대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상기 실험예 4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우산고로쇠 수액에 함유된 미네랄 농도에 따른 알코올 농도 저감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미네랄 농도 조절 숙취해소 음료 제조 (단위 : mg)
항목 Ca Mg K Na Si P Mn 합계
"가" 500 60 300 30 70 10 5 975
A 1000 200 400 100 100 100 50 1950
B 1200 300 500 150 150 150 70 2520
C 1400 400 600 200 200 200 100 3100
*"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기존 우산고로쇠 숙취 해소 음료
A, B, C : 각각의 미네랄 농도가 조절된 우산고로쇠 숙취 해소 음료
상기 표 4와 같이 우산고로쇠 수액에 함유된 미네랄 농도 조성을 달리한 우산고로쇠 숙취 해소 음료의 알코올 저감 효과를 측정한 결과(도 3 참조) 미네랄 농도가 2520인 B 숙취 해소 음료가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고로쇠 수액 숙취 해소 음료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알코올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강력한 알코올 저감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우산고로쇠 수액 92.5중량%, 갈근 추출액 1중량%, 강황 추출액 1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3중량%, 감초 추출액 1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1중량% 및 노니 열매 추출액 0.5중량%를 3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고, 이 혼합액을 120℃에서 30초간 살균하여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우산고로쇠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을 400MPa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살균 전처리한 다음 나노 여과막을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킨 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복합막의 역삼투 반투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켜 2차 여과시의 여과비율(여과수/투입수)의 조절하여 미네랄 농도가 칼슘(Ca) 1200mg/L, 마그네슘(Mg) 300mg/L, 칼륨(K) 400mg/L, 나트륨(Na) 150mg/L, 규소(Si) 150mg/L, 인(P) 150mg/L, 망간(Mn) 70mg/L로 조절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강황 추출액은 세척후 이물질을 제거한 강황을 강황 중량 대비 2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이 추출액을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가 되도록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노니 열매 추출액은 상기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노니 열매 추출액 대신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은 실시예 2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노니 열매 추출액 0.5중량% 대신 노니 열매 추출액 0.25중량% 및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 0.25중량%가 혼합된 혼합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우산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은 실시예 2의 강황 추출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물박달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다래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자낙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물박달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다래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자낙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물박달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다래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자낙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물박달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다래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우산고로쇠 수액 대신 자낙나무 수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수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를 제공할 수 있어서 숙취 해소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유용한 숙취 해소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액의 새로운 소비처를 제공할 수 있어 수액 채취 농가 및/또는 지역사회에 경제적인 이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9)

  1.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200∼500MPa의 압력으로 15∼45분 동안 살균 전처리 후 미네랄 농도가 칼슘(Ca) 1100∼1300mg/L, 마그네슘(Mg) 250∼350mg/L, 칼륨(K) 450∼550mg/L, 나트륨(Na) 120∼180mg/L, 규소(Si) 120∼180mg/L, 인(P) 120∼180mg/L, 망간(Mn) 60∼80mg/L로 조절된 수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3. 제1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수액 90∼9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4. 제1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은 각각의 재료를 각각의 재료 중량 대비 10∼3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액을 얻은 후 각각의 추출액을 각각의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20%가 되도록 농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다래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8. 제1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 이외에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9. 제8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 0.2∼1.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10.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200∼500MPa의 압력으로 15∼45분 동안 살균 전처리 후 나노 여과막을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킨 후 역삼투 반투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켜 2차 여과시의 여과비율(여과수/투입수)의 조절하여 미네랄 농도가 칼슘(Ca) 1100∼1300mg/L, 마그네슘(Mg) 250∼350mg/L, 칼륨(K) 450∼550mg/L, 나트륨(Na) 120∼180mg/L, 규소(Si) 120∼180mg/L, 인(P) 120∼180mg/L, 망간(Mn) 60∼80mg/L로 조절된 수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및 수액 90∼96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은 각각의 재료를 각각의 재료 중량 대비 10∼3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50%의 부피가 되도록 열수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액을 얻은 후 각각의 추출액을 각각의 최초 추출액 부피 대비 5∼20%가 되도록 농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수액은 우산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다래나무 수액, 자작나무 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역삼투 반투막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복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갈근 추출액, 감초 추출액,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및 수액을 혼합 시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액 0.5∼2.0중량%, 갈근 추출액 0.5∼2.0중량%, 감초 추출액 0.5∼2.0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액 2.0∼4.0중량%, 오리나무 뿌리 추출액 0.5∼2.0중량%, 기능성 성분으로서 노니 열매 추출액, 노간주나무 열매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0.2∼1.0중량% 및 잔부의 수액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10105902A 2011-10-17 2011-10-17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02A KR101322230B1 (ko) 2011-10-17 2011-10-17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02A KR101322230B1 (ko) 2011-10-17 2011-10-17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565A KR20130041565A (ko) 2013-04-25
KR101322230B1 true KR101322230B1 (ko) 2013-10-28

Family

ID=4844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02A KR101322230B1 (ko) 2011-10-17 2011-10-17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2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58A (ko) 2014-06-27 2016-01-07 심재홍 수액 채취장치와 그 방법
KR20200004941A (ko)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WO2022108343A1 (ko) * 2020-11-17 2022-05-27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21336A (ko) 2022-08-09 2024-02-19 심재홍 수액 채취장치의 냉각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2107A (zh) * 2013-11-25 2014-03-12 艾得客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拐枣深加工的制备方法
KR101649741B1 (ko) * 2015-05-15 2016-08-22 드림식품기계공업 주식회사 수액 농축장치
KR20200032460A (ko) * 2018-09-18 2020-03-26 보비씨엔이(주) 체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WO2022250443A1 (ko) * 2021-05-25 2022-12-01 (주)산하바이오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82449B1 (ko) * 2021-05-25 2022-12-29 (주)산하바이오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54B1 (ko) * 2007-11-08 2010-02-17 대한민국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80972A (ko)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KR101140325B1 (ko) * 2009-11-23 2012-05-02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54B1 (ko) * 2007-11-08 2010-02-17 대한민국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80972A (ko)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KR101140325B1 (ko) * 2009-11-23 2012-05-02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앙일보(2011.03.14.)에 게재된‘수액, 나무가 선물하는 미네랄 생명수'*
중앙일보(2011.03.14.)에 게재된'수액, 나무가 선물하는 미네랄 생명수'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58A (ko) 2014-06-27 2016-01-07 심재홍 수액 채취장치와 그 방법
KR20200004941A (ko)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WO2022108343A1 (ko) * 2020-11-17 2022-05-27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21336A (ko) 2022-08-09 2024-02-19 심재홍 수액 채취장치의 냉각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565A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230B1 (ko)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14712A (ko) 여주를 주원료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음료와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2716B1 (ko) 숙성노니원액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23860A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89652B1 (ko)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음료 제조방법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62133A (zh) 一种果糖刺梨汁饮料及其生产方法
KR20070105486A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84870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58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3361223A (zh) 复合保健果酒及其制作方法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588378B1 (ko)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60308B1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1024238B1 (ko) 천마를 주재료로 하는 자연발효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446528B1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4763A (ko) 죽순과 죽엽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512322B1 (ko) 변비에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사용한 기능성 음료
KR101322279B1 (ko)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90006702A (ko) 모과, 박하, 산수유 함유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음료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