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870B1 -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870B1
KR101784870B1 KR1020160059900A KR20160059900A KR101784870B1 KR 101784870 B1 KR101784870 B1 KR 101784870B1 KR 1020160059900 A KR1020160059900 A KR 1020160059900A KR 20160059900 A KR20160059900 A KR 20160059900A KR 101784870 B1 KR101784870 B1 KR 10178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weight
medicinal
alcohol
beverag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학
고병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05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은 정제수 75중량%와,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 15중량%와, 감미료 및 조미료 10중량%로 구성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로서, 상기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은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가열 증류한 증류액 11.7중량%,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산사나무의 열매)를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 건조한 분말 3.15중량%, 소화효소제 및 비타민과 미네랄 0.1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감미료 및 조미료는 사과 농축산, 비타민C, 스테비오사이드, 구연산, 합성착향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수증기 증류장치에 담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 증류함으로써 방향성 정유 성분이 포함된 증류액을 얻는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와, 약용작물 중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를 추출기에 넣어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다시 회전 진공증발기에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약용 성분이 포함된 분말을 얻는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와, 상기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를 통해 얻어진 증류액에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를 통해 얻어진 분말을 투입하고 다시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효소제와 간 해독에 필요한 비타민 및 미네랄을 넣어 배합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을 얻는 원액 제조단계와, 상기 원액 제조단계를 통해 얻어진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에 감미료 및 조미료를 넣고 다시 정제수를 넣어 희석하여 제조하는 숙취 해소 조성물의 제조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는 약용작물 중 선택된 약용작물을 추출기에 넣고 50℃로 가열한 후 4시간 저온 추출하고 다시 11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나온 추출 원액을 거름종이에 거른 후 0.45㎛의 멤브레인 필터로 재여과 한 후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 진공증발기(Rotary vacumn evaporator)에서 농축하여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을 얻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제공하며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에 의한 뇌세포의 건강 유지에 효과가 있고, 알코올 과다 섭취로 인한 위장과 간장의 손상을 방지 및 보호하고, 음주 시 함께 섭취한 음식물들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지방질의 분해를 촉진시켜 음주 후 속이 더부룩한 불편감을 해소하며,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로 인해 음주 후의 두통, 메스꺼움, 입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beverage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빠르고 현저하게 감소시켜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뇌세포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위장과 간장의 손상을 방지하며, 음주 후의 더부룩함, 두통, 메스꺼움, 입 냄새 등의 불편감을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과 그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제활동과 그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하여 음주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사회활동의 영역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서 여성 음주자의 비율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통계에 의하면 성인의 62%가 음주를 하며 이중 42%는 1주에 3회 이하의 가벼운 음주를 즐기고 있고, 14%는 남성은 주당 7회, 여성은 14회의 음주를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4.8%는 매주 7~14회 이상의 과도한 음주를 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대인들이 사회활동을 하면서 가장 많이 시달리는 것이 업무 및 인간관계에서 오는 갈등과 불화인데 이러한 것을 원활히 해결해가는 중요한 매개체가 또한 술이므로 술은 사람들의 애환과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중요한 삶의 하나가 되어온 지 오래다.
하지만 과도한 음주로 인해 술의 주성분인 에탄올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신속히 분해되지 않는 경우 혈액을 통해 체내 전신을 돌면서 세포의 괴사를 유도하게 된다.
특히 뇌세포의 경우에는 그 독성으로 인하여 치명적인 손상을 얻게 되는데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알코올 분해 효소인 ADH와 ALDH의 양이 적어 아세트알데히드가 적절한 시기에 분해되지 않는다면 뇌세포를 크게 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알코올은 주요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는 달리 소화시킬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알코올은 세포로 이동하기 위한 운반체나 수용체를 요구하지 않고 단순 확산을 이용하여 매우 신속하게 위와 소장으로부터 흡수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알코올은 소장 상부 즉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상대적으로 빨리 흡수된다. 그 흡수 정도는 위장의 배출속도에 달려있다. 많은 양의 식사와 함께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과 함께 섭취하면 위 배출속도가 느려지는 반면, 위가 비었을 때 섭취한 알코올은 위와 소장으로부터 혈액으로 빠르게 흡수된다.
음주를 통하여 흡수된 알코올의 효과는 음주 후 약 10분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40∼60분이면 최고 정점에 도달하게 되며, 알코올은 수분이 존재하는 모든 부위에서 아주 쉽게 세포막을 통과한다. 그러나 그만큼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을 손상시킨다.
알코올이 분해되는 세 가지 대사 경로를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 번째로 알코올은 몸속에 저장될 수 없기 때문에 탄수화물 같은 에너지원보다 우선적으로 연료로 대사된다. 알코올은 소량섭취 하였을 때 알코올 탈수소 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경로라고 하는 연계반응을 거쳐 대사된다. 즉, 알코올 탈수소 효소와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를 사용하여 중간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 후 다시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상기 아세틸CoA는 즉시 에너지로 대사되거나 지방산 합성에 이용된다. 또한 섭취한 알코올의 10~30%는 위벽세포에서 ADH 경로를 통해 주로 간에서 대사된다.
두 번째로 만약 알코올을 과량 섭취하여 ADH 대사경로가 모든 알코올을 대사시킬 수 없을 때 간은 침입자로 인식하여 마이크로솜 에탄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알코올대사를 지원한다. MEOS 경로는 ADH경로와 유사하지만 에너지를 소비한다. 알코올을 자주 섭취하면 MEOS 경로가 더 활성화되어 알코올을 효율적으로 대사시킨다. 이에 따라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게 되고 더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해야 같은 효과를 얻는다. MEOS 경로는 약물이나 기타물질들도 대사시킨다. 그러나 알코올을 우선적으로 대사시키기 때문에 지나친 음주 시에는 간에서 약물대사가 저하되어 약물에 의한 독성의 가능성이 커진다.
세 번째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카탈라아제로써 간과 기타 세포에서 일어나는 알코올대사의 부차적인 경로이다.
이 세 가지 대사경로(ADH, MEOS, catalase)를 통해 섭취한 알코올은 모두 대사되지만 아주 소량은 대사되지않고 폐,소변,땀으로 배설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섭취한 알콜의 90%를 처리하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ADH)경로에서 이용되는 효소의 합성능력이다.
그런데 이것은 성별, 인종, 연령에 따라 효소의 합성능력이 달라진다.
아시아계의 사람들은 첫 단계효소인 알코올 탈수소 효소(ADH)의 활성이 높아서 알코올을 빨리 전환 시키나 알코올의 완전분해를 유도하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어 얼굴이 붉어지고 어지러움을 느끼며 발한(sweat), 빈맥(rapid pulse), 피부 발열(skin flushing), 오심(nausea) 그리고 구토(vomiting), 과호흡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또한 여성은 남성에 비하여 알코올 탈수소 효소가 적게 합성되므로 30~35% 정도의 알코올이 대사되지않고 위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직접 들어간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몸 크기가 작고 체지방이 많은데, 수분을 따라 퍼지는 알코올의 특성상 수분을 많이 함유한 근육으로 이동되는 양이 적어서 알코올은 혈액으로 농축된다. 따라서 여성은 몸 크기가 비슷한 남성에 비하여 적은 양의 알코올에도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 밖에도 알코올 대사는 술의 알코올 함량, 일시적인 알코올 섭취량, 평소 습관적인 알코올섭취량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시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에 비해 규칙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은 MEOS 경로가 더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알코올 대사와 내성이 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알코올은 체중이 70kg이면서 간 기능이 정상인 사람은 시간당 5~7g의 알코올을 대사시킬 수 있다. 알코올 섭취량이 간 대사 능력을 초과하면 혈중 알코올농도가 상승하고 뇌와 중추신경계가 알코올에 노출됨에 따라 손상 증세가 나타난다.
숙취 증상은 음주를 마친 후 술이 깨면서 분해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가 혈액을 따라 돌면서 거의 하루 동안 지속 된다. 숙취의 현상들은 개인적인 성향과 상황 그리고 마신 알코올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달라진다. 대표적인 숙취 증상들로는 속쓰림,두통, 무기력, 자극에 대한 둔감성, 통증, 눈의 핏발, 갈증, 오심, 구토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는 콩나물, 북어, 녹두, 꿀물 등이 음주 후의 숙취 해소용 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종래의 공개된 특허내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0075호 및 공개특허 제1998-076168호에는 녹두를 활용한 간기능 보호 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 2002-0035813 호에는 지구자 나무, 매실, 오이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건강식품이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2002-0023770호에는 오리나무를 이용한 숙취 해소제, 공개특허 제2003-0062058호에는 당귀 추출물의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공개특허 제2003-0067079호에는 오리나무와 지구자(헛개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숙취해소 음료, 공개특허 제2003-0084666호에는 목초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공개특허 2003-0075099호에는 매생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 숙취 음료, 공개특허 제2004-0005545호에는 해조, 황태, 양파, 콩나물, 그리고 무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 등록특허 제 10-0422966호에는 헛개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 공개특허 제2003-0079289호에는 생강, 감초, 계피, 참옻, 참나무 열매씨 등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등의 많은 숙취해소 음료 및 식품들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헛개나무와 오리나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음식 재료와 약용작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제가 많이 시판되고 있으나 광고하는 바와는 다르게 실질적인 숙취 해소효과가 미미하고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가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까지도 술을 섭취한 후에 숙취 해소제를 섭취하는 사람들은 음주 인구의 10%도 되지 않는 게 현실이다.
특히 현재 숙취 해소용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대부분은 약용작물과 비타민, 미네랄 혹은 발효 공법을 통하여 영양성분을 희석하는 공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품들은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 물질이 조성물 중에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는 빠르면 빠를수록 그만큼 뇌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이러한 제조방법으로는 아세트알데히드를 빨리 분해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숙취 해소의 효과가 분명한 숙취 해소제의 개발을 위해서는 숙취의 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화학적으로 중화하거나 혹은 효소 합성을 촉진하는 원료를 천연물질에서 선정하여 이들 원료의 조성을 최적화한 후 제품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는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와 더불어 간장과 위장의 보호 효과와 음주 후의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한 숙취 해소 음료조성물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2966호, 2004년 3월 12일 공고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제공하며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에 의한 뇌세포의 건강 유지에 효과가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공에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알코올 과다 섭취로 인한 위장과 간장의 손상을 방지 및 보호하고, 음주 시 함께 섭취한 음식물들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지방질의 분해를 촉진시켜 음주 후 속이 더부룩한 불편감을 해소하며,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로 인해 음주 후의 두통, 메스꺼움, 입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은 정제수 75중량%와,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 15중량%와, 감미료 및 조미료 10중량%로 구성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로서, 상기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은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가열 증류한 증류액 11.7중량%,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산사나무의 열매)를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 건조한 분말 3.15중량%, 소화효소제 및 비타민과 미네랄 0.1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감미료 및 조미료는 사과 농축산, 비타민C, 스테비오사이드, 구연산, 합성착향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수증기 증류장치에 담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 증류함으로써 방향성 정유 성분이 포함된 증류액을 얻는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와, 약용작물 중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를 추출기에 넣어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다시 회전 진공증발기에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약용 성분이 포함된 분말을 얻는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와, 상기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를 통해 얻어진 증류액에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를 통해 얻어진 분말을 투입하고 다시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효소제와 간 해독에 필요한 비타민 및 미네랄을 넣어 배합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을 얻는 원액 제조단계와, 상기 원액 제조단계를 통해 얻어진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에 감미료 및 조미료를 넣고 다시 정제수를 넣어 희석하여 제조하는 숙취 해소 조성물의 제조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는 약용작물 중 선택된 약용작물을 추출기에 넣고 50℃로 가열한 후 4시간 저온 추출하고 다시 11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나온 추출 원액을 거름종이에 거른 후 0.45㎛의 멤브레인 필터로 재여과 한 후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 진공증발기(Rotary vacumn evaporator)에서 농축하여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을 얻게 되는 구성의 기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제공하며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에 의한 뇌세포의 건강 유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알코올 과다 섭취로 인한 위장과 간장의 손상을 방지 및 보호하고, 음주 시 함께 섭취한 음식물들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지방질의 분해를 촉진시켜 음주 후 속이 더부룩한 불편감을 해소하며,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로 인해 음주 후의 두통, 메스꺼움, 입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은 정제수 75중량%와,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 15중량%와, 감미료 및 조미료 10중량%로 구성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로서, 상기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은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가열 증류한 증류액 11.7중량%,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산사나무의 열매)를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 건조한 분말 3.15중량%, 소화효소제 및 비타민과 미네랄 0.1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갈근은 근육을 풀어주면서 열을 내리는 기전으로 감기·고열·두통·근육통·뒷목의 뻣뻣함 등을 치료한다. 양기(陽氣)를 끌어올리고 설사를 멈추게 할 때도 쓰이며, 체내의 진액을 보충해주고 갈증을 멎게 하고, 술독(酒毒)을 풀 때도 사용한다. 칡의 열매는 갈곡(葛穀)이라 하며 만성적인 설사에 효과가 있고, 칡꽃인 갈화(葛花)는 독특한 단맛이 있으며 술독을 풀어 주고 장을 튼튼하게 한다. 칡의 순을 말린 갈용(葛茸)은 아이들의 성장을 돕는데 쓰이기도 한다.
상기 애엽은 국화과의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ant.), 쑥(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또는 산쑥(A. montana Pamp.)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를 말하는 것으로서, 약리작용으로 지혈작용, 억균작용, 기관지 평활근 이완작용, 진해거담작용, 수면작용, 자궁흥분유도작용, 과민성 쇼크 보호작용 등이 있다.
상기 쇠비름은 ‘쇠’와 ‘비름’의 합성어로서, 전국의 낮은 산과 들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 혹은 반그늘의 언덕이나 편평한 곳에서 자란다.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인도는 물론이고, 유럽에서도 옛날부터 식용했으며, 지금도 꽃이 피기 전에 줄기와 잎을 삶아서 나물로 무치거나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다. 약재로 이용된 역사도 오래다.
상기 감초의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FISCH.이다. 뿌리는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감미가 있는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슈크로즈·글루코즈·리퀴리틴·리코리시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은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염산 코데인, 초산 스트리키닌, 뱀독·복어독 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이 있어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글리시리진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어 혈압강하의 효과가 있으며, 담즙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진해작용·진통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소화기계통으로는 개에게 궤양을 일으키게 한 뒤 감초 달인 물을 복용시킨 결과 궤양억제작용이 나타났다. 또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방광결석에도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항암작용실험에서는 복수암·간암 등에 유의성 있는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임상적으로는 환자가 물변을 보고 소화가 안 되고, 식욕이 없으며 복부에 팽만감을 느낄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위와 십이지장 궤양에 1∼3주간 복용시킨 결과 통증이 없어지거나 감소하고, 대변을 정상적으로 볼 수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위장의 경련으로 복통이 심하고 입이 마르며 설사를 할 때에도 통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으며, 전염성 간염에 감초 달인 물을 15∼20㎎씩 복용시킨 결과 13일이 지나자 황달이 없어지고 간종대(肝腫大)가 감소하였으며 통증이 없어진다. 일반염증에도 효력이 있어서 인후염·구내염·유방염 등의 초기 증상에 좋은 치료효과를 낸다. 피부의 습진과 얼굴에 여드름이 심할 때는 금은화(金銀花)와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상기 엉겅퀴는 가시나물이라고도 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독성물질을 배출하는데 좋으며, 실리마린 성분이 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해주어 간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좋다.
상기 가시오갈피는 가시오갈피나무 또는 가시오가피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야산에서 자라는 지리산 오갈피, 섬오갈피, 가시오갈피 등과 재배종인 참오갈피가 있다. 근피는 옛날부터 오갈피라 하여 한방에서 약재로 쓰인다. 간장, 보간신, 지통, 거풍습, 활혈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근피를 달인 물에 밥과 누룩을 혼합하여 오갈피술로 이용해 왔는데 허리 아픈데 잘 듣는 것으로 전래되어 왔다. 열매에는 천연색소로 고운 안토치안이 풍부하여 술, 넥타, 주스, 잼, 젤리 등의 가능성이 있는 식품이다. 또한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고유한 풍미가 있다. 참오갈피는 심은 지 2년째부터 첫 수확을 보기 시작하여 80년 가량이나 계속해서 수확이 가능한 경제작물이기도 하다. 야산이나 개간지 유휴지 등의 토양이용에 좋은 것이다. 최근 소련에서 가시오갈피 나무가 인삼보다 좋고 산삼에 버금가는 좋은 성분을 지니고 있다.
상기 헛개나무는 관절염과 술독을 푸는 데와 간 질환에 말린 것을 물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맛을 한결 돋운다. 본초강목에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
상기 오리나무는 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5리마다 심었다 하여 오리나무라 한다. 산기슭이나 논둑의 습지 근처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원산지는 한국이며 국외로는 일본, 타이완,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오리나무는 숙취와 알코올중독에 명약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산사는 산사나무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서 민간에서는 고기를 먹은 다음 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먹기도 하였다. 한방에서는 소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소화제, 정장제, 건위제로 이용한다.
이와 같이 숙취 해소에 유용한 약용작물을 통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와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와, 원액 제조단계 및 숙취 해소 조성물의 제조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는 약용작물 중 방향성 정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각 100g씩 400g을 수증기 증류장치에 담고 물 3리터를 첨가한 후 5시간 동안 가열 증류함으로써 방향성 정유 성분이 포함된 증류액 1500g 정도를 얻는다.
상기 수증기 증류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가 상기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 등과 물이 포함된 용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정유 성분이 포함된 수증기가 증발되며 증발된 수증기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수증기가 액화되는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증류액이 생성되는 장치이다.
상기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를 실시하여 정유 성분이 포함된 증류액을 추출한 다음에는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약용작물 중 간 기능향상과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산사나무 열매)를 추출기에 넣어 열수 추출(중탕)한다.
상기 열수 추출은 선택된 약용작물을 추출기에 넣고 50℃로 가열한 후 4시간 저온 추출하고 다시 11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액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상기 열수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원액은 거름종이(Whatman paper No.1)로 거르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TF-450, 60173, PALL Life Science)로 재여과 한 후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 진공증발기(Rotary vacumn evaporator)에서 농축하여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을 얻게 되며 이때 약 400~500g의 분말이 얻어진다.
그런 다음 상기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를 통해 얻어진 증류액 1500g에 상기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를 통해 얻어진 분말 400g을 투입하고 다시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효소제인 프로테아제 4g과 리파아제 3g 및 간 해독에 필요한 비타민인 비타민 B1, B2와 미네랄인 아연 1g을 넣어 배합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을 얻는 원액 제조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중 약 15중량%에 해당 되며, 이러한 원액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성분은 상기 원액의 총 중량인 15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약용작물인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가열 증류한 증류액이 11.7중량%에 해당되고,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산사나무의 열매)를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 건조한 분말은 3.15중량%에 해당되며, 소화효소제 및 비타민과 미네랄 0.15중량%에 해당된다.
그런 다음 상기 원액 제조단계를 통해 얻어진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에 감미료 및 조미료인 사과 농축산, 비타민C, 스테비오사이드, 구연산, 합성착향료를 첨가한 후 다시 정제수를 넣어 희석하는 숙취 해소 조성물의 제조단계를 거쳐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감미료 및 조미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중 약 10중량%에 해당 되며, 상기 사과 농축산은 9.45중량%, 비타민 C는 0.05중량%, 스테비오사이드는 0.05중량%, 구연산은 0.40중량%, 합성착향료는 0.05중량%에 각각 해당된다. 이러한 감미료 및 조미료를 구성하는 구성성분의 비율은 정제수와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의 성분비를 각각 75중량%와, 15중량%로 고정한 상태에서 맛과 향을 좌우하는 사과 농축산, 비타민C, 스테비오사이드, 구연산, 합성착향료의 성분비율을 달리하여 배합 제조하였다.
그 결과로 제조된 샘플1 내지 샘플5의 구성성분의 비율은 아래와 같다.
감미료 및 조미료를 구성하는 성분의 다른 배합 비율(중량%)
샘플1 샘플2 샘플3 샘플4 샘플5
스테비오사이드 0.05 9.45 3.45 5.00 3.00
사과 농축산 9.45 0.05 4.00 2.45 3.00
구연산 0.40 0.40 1.00 1.00 2.00
비타민C 0.05 0.05 1.00 2.00 1.95
합성착향료 0.05 0.05 0.05 0.05 0.05
이와 같이 제조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에 대한 맛과 향에 대한 기호를 조사하기 위하여 80명을 선정하였으며, 시음을 위하여 연령대를 30대 이전, 30~40대, 50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각 연령대별로 20명씩을 선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그룹은 음료 조성물이 담긴 5개의 샘플을 모두 각 20ml씩 시음한 후 설문지에 가장 선호하는 맛과 향을 1~5의 순위로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맛과 냄새에 대한 연령별 기호 조사
투입액 샘플1 샘플2 샘플3 샘플4 샘플5

30대 이전
5 3 1 2 4
냄새 5 4 1 2 3
30~40대
4 2 1 3 5
냄새 1 2 1 4 5
50대
3 2 1 2 5
냄새 3 1 2 3 5
60대 이상
3 1 2 4 5
냄새 1 2 3 4 5
위의 조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맛과 냄새에 대한 기호 조사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샘플2번 내지 샘플4번의 순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순위가 높고 음주량이 많은 20~40 대에서 가장 선호하는 샘플3번과 4번을 선정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에 대한 동물실험과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위에서 선정된 샘플3번과 샘플4번에 대한 알코올 분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동물 중 쥐를 이용한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 속도를 측정하였다. 특히 이 실험은 알코올 투입 전에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투여한 후 알코올의 분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를 위하여 체중 200~500g의 sprague-dawley(SD-rat)계 수컷 흰쥐 15마리를 5마리씩 3군으로 나누고 각각 1일간 절식(節食) 후 실험개시 30분 전에 두 개의 군에 상기 샘플3번과 4번의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2mg/kg을 각각 경구 투여하고 비교군에는 같은 양의 생수만 투여하여 30분 후 순수에탄올을 증류수에 40mg/ml의 농도로 희석시켜 1g/kg의 농도로 각각의 실험쥐들에게 경구투여하였다.
이와 같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들은 2시간 후에 폐로부터 0.7ml의 혈액을 채취한 후 4에서 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액을 디지털 에탄올 농도계(Atage PET-109,JAPAN)를 이용하여 혈액 내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에 나타내었다.
동물(쥐)에서의 알코올 분해 정도 측정실험
생쥐번호 에탄올 농도(% W/V)
샘플3 샘플4 비교군
1 0.34 0.47 1.11
2 0.43 0.60 1.31
3 0.35 0.55 1.08
4 0.42 0.67 1.23
5 0.36 0.48 1.13
위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샘플3번과 샘플4번의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투여한 쥐들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에서도 위 동물의 실험결과와 같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30대에서 50대의 초반의 중년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위 실험 대상자의 경우 주 평균 음주 횟수는 2회이며 1회 음주량은 소주 2병 정도였다.
실험은 매주 금요일에 실시하였으며 총 3회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실험 전 2일은 금주하였다. 기본 시료로 소주 1병(19.5도 360ml)과 기본 안주로 돼지고기 삼겹살 300g을 취식하였고 김치 50g과 오이 30g를 취식하게 하였다. 남자는 소주 1병을 30분 내에 섭취하게 하였으며, 시식 완료 시점부터 음주측정기를 이용하여 30분 간격으로 혈중 알콜농도(BAC%)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에 정리하였다. 비교군은 물 100ml를 섭취한 군과 타사제품 1개를 선정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인 샘플3번과 샘플4번은 음주가 완료 후 바로 120ml를 섭취하게 하였다.
성인 남성의 알코올 분해에 대한 임상실험
경과시간 비교군 샘플3 샘플4
물 섭취군 타사제품 섭취군
1 2 3 평균 1 2 3 평균 1 2 3 평균 1 2 3 평균
60분 0.147 0.149 0.143 0.146 0.121 0.128 0.131 0.127 0.082 0.091 0.083 0.085 0.078 0.072 0.073 0.074
90분 0.139 0.142 0.138 0.140 0.118 0.119 0.124 0.120 0.056 0.058 0.051 0.055 0.064 0.065 0.062 0.064
120
0.129 0.127 0.128 0.128 0.109 0.107 0.105 0.107 0.047 0.042 0.039 0.043 0.043 0.041 0.043 0.042
180분 0.123 0.118 0.119 0.120 0.108 0.107 0.101 0.105 0.028 0.037 0.024 0.030 0.023 0.019 0.021 0.021
위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인 샘플3번과 샘플4번이 비교군에 비해 초기 알코올 분해 능력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알코올 분해 능력 또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한국 산업안전공단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의 시간당 평균 하락률은 0.016%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제공하며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에 의해 뇌세포의 건강 유지에 효과가 있으며, 알코올 과다 섭취로 인한 위장과 간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용작물 및 원액에 포함된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효소에 의해 음주 시 함께 섭취한 음식물들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지방질의 분해를 촉진시켜 음주 후 속이 더부룩한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정제수 75중량%와,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 15중량%와, 감미료 및 조미료 10중량%로 구성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로서,
    상기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은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가열 증류한 증류액 11.7중량%,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산사나무의 열매)를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 건조한 분말 3.15중량%, 소화효소제 및 비타민과 미네랄 0.1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감미료 및 조미료는 사과 농축산, 비타민C, 스테비오사이드, 구연산, 합성착향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2. 솔잎, 갈화, 금은화, 감국을 수증기 증류장치에 담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 증류함으로써 방향성 정유 성분이 포함된 증류액을 얻는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와,
    약용작물 중 갈근(칡뿌리), 애엽(쑥잎), 쇠비름, 감초, 엉겅퀴,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오리나무, 산사를 추출기에 넣어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다시 회전 진공증발기에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약용 성분이 포함된 분말을 얻는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와,
    상기 방향성 정유 성분 증류단계를 통해 얻어진 증류액에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를 통해 얻어진 분말을 투입하고 다시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효소제와 간 해독에 필요한 비타민 및 미네랄을 넣어 배합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을 얻는 원액 제조단계;와,
    상기 원액 제조단계를 통해 얻어진 숙취 해소용 음료 원액에 감미료 및 조미료를 넣고 다시 정제수를 넣어 희석하여 제조하는 숙취 해소 조성물의 제조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약용작물 열수 추출단계는 약용작물 중 선택된 약용작물을 추출기에 넣고 50℃로 가열한 후 4시간 저온 추출하고 다시 11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나온 추출 원액을 거름종이에 거른 후 0.45㎛의 멤브레인 필터로 재여과 한 후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 진공증발기(Rotary vacumn evaporator)에서 농축하여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60059900A 2016-05-17 2016-05-17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900A KR101784870B1 (ko) 2016-05-17 2016-05-17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900A KR101784870B1 (ko) 2016-05-17 2016-05-17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870B1 true KR101784870B1 (ko) 2017-10-13

Family

ID=6013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900A KR101784870B1 (ko) 2016-05-17 2016-05-17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8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187A (ko) * 2017-11-29 2019-06-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3237B1 (ko) * 2020-04-28 2020-11-03 (주)네추럴에프앤피 숙취해소용 복합식물추출물 (nfp-adh003)
CN115211480A (zh) * 2022-06-22 2022-10-21 嘉应学院 一种复配茶固体饮料及其生产方法
CN115349582A (zh) * 2022-07-11 2022-11-18 王刚 一种具有解酒效果的冻梨饮料及生产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187A (ko) * 2017-11-29 2019-06-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9623B1 (ko) * 2017-11-29 2019-11-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3237B1 (ko) * 2020-04-28 2020-11-03 (주)네추럴에프앤피 숙취해소용 복합식물추출물 (nfp-adh003)
CN115211480A (zh) * 2022-06-22 2022-10-21 嘉应学院 一种复配茶固体饮料及其生产方法
CN115349582A (zh) * 2022-07-11 2022-11-18 王刚 一种具有解酒效果的冻梨饮料及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322230B1 (ko)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14712A (ko) 여주를 주원료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음료와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4870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JP6446162B1 (ja)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KR101768184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3946A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된장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195109B1 (ko)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38009B1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JP2005154411A (ja) 二日酔い防止・除去用組成物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0204B1 (ko)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2627108B1 (ko)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79289A (ko)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20130047158A (ko) 시래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