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449B1 -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449B1
KR102482449B1 KR1020220044423A KR20220044423A KR102482449B1 KR 102482449 B1 KR102482449 B1 KR 102482449B1 KR 1020220044423 A KR1020220044423 A KR 1020220044423A KR 20220044423 A KR20220044423 A KR 20220044423A KR 102482449 B1 KR102482449 B1 KR 10248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weight
relieving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263A (ko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산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산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산하바이오
Priority to PCT/KR2022/00741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50443A1/ko
Publication of KR2022015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나무, 노니, 칡, 민들레, 강황, 여주 및 차조기 약용식물 복합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알콜 섭취 시 혈중 알콜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containing medicinal plan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헛개나무, 노니, 칡, 민들레, 강황, 여주 및 차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콜은 스트레스 해소나 사교 등을 목적으로 오랫동안 애용되어온 기호품으로 소량을 섭취하면 기분전환 및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나,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급성 알콜 숙취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체내에서 알콜은 알콜 가수분해효소인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해 간에서 산화되어 Acetaldehyde가 되고 다시 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산화되어 Acetic acid로 되며 일부는 뇨나 CO2로 배설된다고 보고되었다.
음주는 개인의 불안이나 스트레스가 완화하는 욕구충족이나 만족도를 떠나서 자기 자신의 건강을 해치거나 주변 사람에게 종종 나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질병, 사망 등과 같은 문제는 이제는 개인적 수준의 불행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비용이며, 이는 사회 전체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음주가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건강에서부터 사회발전이나 경제발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음주는 사회적 매개체로서 지위고하를 떠나 집단구성원 간의 유대감 증진과 통합에 기여하기도 한다. 전통주부터 가장 많이 소비되는 소주와 맥주 등의 주류 생산과 유통, 관광 및 유흥산업, 광고 마케팅 등 음주와 관련된 산업을 통해 새로운 고용이 창출되는 경제적 효과도 있다. 그러나 기분이 좋아지는 주량을 넘어서게 되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부정적 결과들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과음이나 폭음을 지속해서 하면 알콜 자체가 중독성을 가지는 물질이기 때문에 건강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음주는 각종 암,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알콜성 간경화를 포함하는 간질환, 고혈압 등, 60여 가지의 질환, 사고, 그리고 폭력 등의 직·간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주는 때로 폭력으로 이어져 경제와 사회발전에 장애가 되기도 하며, 근로현장에서의 음주는 업무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알콜은 섭취량에 따라 간 대사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콜 그 자체보다 산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아세트알데하이드와 NADH가 간세포에 손상 및 숙취를 유발하고, 과음하면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Malate-aspartate shuttle)에서 생성된 NAD+가 고갈되며 체내에 독성이 강한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가 축적되어 이것이 숙취에 이르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직접적인 방어대책의 하나로 숙취해소제의 출현을 들 수 있다. 숙취(Hangover)란 알콜음료를 복용한 후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나타나는 불쾌한 경험 및 심신의 작업 능력 감퇴를 초래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동의보감에 오래전부터 간 보호를 위해 쓰여 온 약재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들을 중심으로 숙취해소제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mb)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제거 및 과음 때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 경화증, 위장병 등의 간 기능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니(Morinda citrifolia)는 동의보감에 ‘해파극’으로 소개될 정도로 건강에 좋은 열매로 알려져 있다. 특히, 소화에 좋은 제로닌과 프로제로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항염 성분으로 알려진 스코폴레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갈화(Puerarialo bata)는 칡의 꽃을 건조한 것으로 음주 후 갈증, 두통, 구토, 정신혼란, 손발떨림 등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 민간요법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소재이다. 강황(Curcuma longa L. turmeric)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여러해살이뿌리 초본식물로 강황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수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으로 한약재, 향신료 및 식용으로 사용됐으며, 항산화, 항암성, 항돌연변이성, 항염증 및 항균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식용, 관상용, 약용 등으로 널리 쓰이며, 특히 약용으로서 간 보호, 항종양작용, 항산화작용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는 간질환 및 여성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전통적인 약재로 사용됐으며, 간, 췌장, 위장의 기능을 개선하고, 주로 이뇨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소엽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의 잎으로 발한, 지혈, 해열, 진통, 진정 및 피부질환에 사용되며, 식중독예방, 피로해소, 숙취해소 등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헛개나무 열매 23.7중량%, 노니 열매 23.3중량%, 칡 꽃봉오리 15.9중량%, 민들레 15.9중량%, 강황 뿌리줄기 15.9중량%, 여주 3.8중량% 및 차조기 잎 1.5중량%으로 이루어진 약용식물 복합물의 뛰어난 숙취 해소 효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9312호
본 발명은 숙취 해소에 효능을 발휘하는 새로운 소재를 발굴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개발하여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 23.7중량%, 노니 열매 23.3중량%, 칡 꽃봉오리 15.9중량%, 민들레 15.9중량%, 강황 뿌리줄기 15.9중량%, 여주 3.8중량% 및 차조기 잎 1.5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은 (a) 목재 칩을 물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공정; (b) 상기 탈수된 목재 칩을 70 내지 150℃에서 0.5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는 공정; (c) 상기 가열된 목재 칩과 수증기를 12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내지 40kgf/㎠의 압력에서 0.1 내지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연화하는 공정; (d) 상기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팽창시키는 공정; (e) 상기 팽창된 목재 칩을 50 내지 200℃에서 열수추출하는 공정; 및 (f) 상기 추출물을 분리, 정제 및 감압 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된 것이고, 상기 노니 열매, 칡 꽃봉오리, 민들레, 강황 뿌리줄기, 여주 및 차조기 잎 추출물은, (a) 각 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120℃에서 1차 추출한 후, 물을 첨가하여 105℃에서 2차 추출하는 공정; (b)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공정; (c) 상기 여과 및 농축물을 동결건조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된 것인,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LDH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액상, 정제, 캡슐, 환, 과립, 에멀젼, 젤리스틱, 수용액 및 현탁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노니, 칡, 민들레, 강황, 여주 및 차조기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현저한 알콜 분해능 및 숙취해소능을 발휘한다. 또한, 헛개나무, 노니, 칡, 민들레, 강황, 여주 및 차조기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이 첨가된 본 발명의 액상차 음료는 목 넘김이 부드러워지고, 신속한 알콜 분해능 및 숙취 해소능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의 최적 함량비 도출을 위한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지네이즈(Aldehyde dehydrogenase) 분해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음용에 따른 호흡 중 알콜 농도변화에 대해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음용에 따라 (a)흡연 여부와 (b)성별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호흡 중 알콜 농도의 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음주 직후부터 시간에 따른 호흡 중 알콜 농도에 대해 나타낸 도이다(a는 대조군, b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액상제), c 숙취해소용 조성물(환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 23.7중량%, 노니 열매 23.3중량%, 칡 꽃봉오리 15.9중량%, 민들레 15.9중량%, 강황 뿌리줄기 15.9중량%, 여주 3.8중량% 및 차조기 잎 1.5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은 (a) 목재 칩을 물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공정; (b) 상기 탈수된 목재 칩을 70 내지 150℃에서 0.5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는 공정; (c) 상기 가열된 목재 칩과 수증기를 12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내지 40kgf/㎠의 압력에서 0.1 내지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연화하는 공정; (d) 상기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팽창시키는 공정; (e) 상기 팽창된 목재 칩을 50 내지 200℃에서 열수추출하는 공정; 및 (f) 상기 추출물을 분리, 정제 및 감압 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된 것이고, 상기 노니 열매, 칡 꽃봉오리, 민들레, 강황 뿌리줄기, 여주 및 차조기 잎 추출물은, (a) 각 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120℃에서 1차 추출한 후, 물을 첨가하여 105℃에서 2차 추출하는 공정; (b)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공정; (c) 상기 여과 및 농축물을 동결건조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된 것인,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헛개나무, 노니, 칡, 민들레, 강황, 여주 및 차조기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이때 헛개나무는 헛개나무 열매, 노니는 노니 열매, 칡은 칡 꽃봉오리, 강황은 강황 뿌리줄기 및 차조기는 차조기 잎(자소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헛개나무, 노니, 칡, 민들레, 강황, 여주 및 차조기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고압폭쇄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콜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제조예 1> 구성 및 제조방법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 노니(Morinda citrifolia) 열매, 칡 꽃봉오리(Pueraria lobate, 갈화),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강황(Curcuma longa) 뿌리줄기, 여주(Momordica charantia) 및 차조기(Perilla frutescens) 잎(자소엽)은 대구 약령시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1.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
먼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하기 준비예 1-2의 다른 약용식물 추출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두 번째로,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은 헛개나무 목재를 벌채하여 수피를 제거하는 박피작업을 수행한 후, 칩 제조기로 잘라 목재 칩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목재 칩을 5 내지 20배 부피의 물에 담지시키고 10 내지 48시간 동안 함침 처리한 후 이를 탈수시켰으며, 탈수된 목재 칩을 7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된 목재 칩은 수증기와 함께 밀폐된 용기 내에 넣고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며 12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내지 40kgf/㎠의 압력에서 0.1 내지 1시간 동안 연화하였다. 그 후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목재 칩을 팽창시키고, 팽창된 목재 칩을 50 내지 200℃의 열수추출기에서 5 내지 20배 부피의 물에 넣어 0.1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공정에서 생성된 잔사와 여액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약리성분을 분리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여 잔사를 제거하였으며, 50℃에서 회전진공농축기(Rotavapor R-205, BUCHI, Postfach, Switzerland)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1-2.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의 제조
또한,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도 1 참조). 이때, 헛개나무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1에 의해 제조된 것을 동결건조 후의 다른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과 하기 표 1에 따라 23.7 중량%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다른 약용식물 추출과 동일하게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① 식품으로 적합한 원료를 구입 후 해당 창고에 보관한다. ② 입고된 원료를 각각 추출탱크에 투입 후 적정량의 정제수를 넣는다. ③ 1차 추출은 120℃로 가온하여 5시간 동안 추출한고, 저장조로 이송한다. ④ 2차 추출은 2차 추출을 위한 정제수를 가하고 105℃까지 가온하여 3시간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은 저장조로 이송 한다. ⑤ 여과 및 농축은 상기 2차 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추출물을 50℃에서 50Brix이상의 농축액을 제조한다. ⑥ 동결건조는 각각 2차 추출된 추출물을 -75℃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였으며,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은 하기 표 1의 배합비율에 따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구성 배합비율(중량%)
헛개나무 열매
또는 헛개나무 목질부
23.7
노니 열매 23.3
칡 꽃봉오리 15.9
민들레 15.9
강황 뿌리줄기 15.9
여주 3.8
차조기 잎(자소엽) 1.5
합계 100
1-3.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의 최적 함량비 도출
본 발명자는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하고자,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측정은 Acetaldehyde asay kit(Megazyme Co., Ltd., Wicklow,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2.1 mL(10 mg/mL)에 Sodium azide buffer(pH 9.0) 0.2 mL과 NAD+ 0.2 mL을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UV-Spectrophotometer의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을 A1,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 효소 0.05 mL을 가하여 3~4분간 반응시킨 후 UV-Spectrophotometer의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을 A2로 하여 ALDH의 활성은 ALDH(%)=ALDH(%)=(△sample(A2-A1)/△control(A2-A1)×10로 결과값을 계산하였다.
약용식물 복합물에 포함되는 헛개나무 열매 또는 헛개나무 목질부, 노니 열매, 칡 꽃봉오리, 민들레, 강황 뿌리줄기, 여주 및 차조기 잎의 최적의 함량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각 구성을 동일한 비율로 포함하는 실험예 1 및 실험예 2를 제조하고, 각 복합 추출물에서 구성별 숙취해소의 효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표 2와 같이 어느 한 가지 약용식물이 28 중량%, 그 외 약용식물이 12 중량%를 포함하도록 조성비 설정하여, 각각 실험예 2 내지 실험예 10을 제조하였다.
중량%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4 실험예5 실험예6 실험예7 실험예8 실험예9 실험예10
헛개나무 열매 14.29 28 12 12 12 12 12 12
헛개나무 목질부 14.29 28
노니 열매 14.29 14.29 12 12 28 12 12 12 12 12
칡 꽃봉오리 14.29 14.29 12 12 12 28 12 12 12 12
민들레 14.29 14.29 12 12 12 12 28 12 12 12
강황 뿌리줄기 14.28 14.28 12 12 12 12 12 28 12 12
여주 14.28 14.28 12 12 12 12 12 12 28 12
차조기 잎(자소엽) 14.28 14.28 12 12 12 12 12 12 12 28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실험예 2 내지 실시예 10의 약용식물 복합 추출물 숙취해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아세트할데히드 분해효소(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2 내지 5가 실험예 1과 비교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실험예 2 및 4의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하는 경우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하게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약용식물 복합추출물에서 헛개나무(헛개나무 열매 또는 헛개나무 목질부) 또는 노니 열매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반대로 여주 또는 차조기 잎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오히려 숙취해소 효과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헛개나무(헛개나무 열매 또는 헛개나무 목질부)의 비율을 가장 많이 함유 시키고, 그 다음으로 아세트할데히드 분해효소 활성이 높은 노니를 많이 함유 시켰으며, 칡 꽃봉오리, 민들레 및 강황 뿌리줄기는 동일한 양으로 함유시키고, 여주와 차조기 잎(자소엽)의 함량을 소량 함유시켜 총 100 중량%가 되도록 배합하였다. 최적 배합비율은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4. 약용식물 추출물의 추출공정 온도 최적화
본 발명자는 헛개나무를 제외한 노니 열매, 칡 꽃봉오리, 민들레, 강황 뿌리줄기, 여주 및 차조기 잎의 추출공정에서 추출 횟수 및 온도 조건을 최적화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은 헛개나무를 제외한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마지막으로 다른 방식으로 추출된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을 혼합하여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및 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약용식물을 이용한 추출공정은 추출용매, 추출횟수, 추출 온도 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상이하게 되고, 이들의 조합에 따라 숙취해소 효과가 달라질 것이므로 추출공정 최적화는 필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추출 수율을 고려하여 3차 추출까지 진행하였으며, 1차 내지 3차 추출의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및 ALDH 활성을 비교 후 각 추출 시 최적 온도를 찾기위해 다음과 같이 여러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추출 횟수 1회 2회 3회
온도(℃) 100 1차 100/2차 100 1차 100/2차 100/3차 100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42.1±0.3 50.5±0.2 38.2±0.2
ALDH 활성 245±2 312±1 218±4
상기 표 3의 실험 결과와 같이 2회 추출 시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및 ALDH 활성이 가장 높았으므로 추출 횟수를 2회로 확정하고, 추출 온도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온도(℃) 1차 80 90 100 110 120 130 140
2차 100 100 100 100 100 100 100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49.2±0.2 49.3±0.4 50.5±0.1 48.2±0.2 48.1±0.3 45.8±0.1 44.2±0.5
ALDH 활성 242±4 211±2 312±1 284±5 382±2 322±3 122±2
상기 표 4의 실험 결과와 같이 1차 120℃ 및 2차 100℃에서 추출 시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및 ALDH 활성이 가장 높았으므로 1차 추출 온도를 120℃로 확정하고, 2차 추출 온도를 비교해 보았다.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17
온도(℃) 1차 120 120 120 120 120 120 120
2차 90 95 100 105 110 115 120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70.2±0.7 69.2±0.5 68.2±0.2 70.2±0.1 70.3±0.3 68.2±0.4 69.3±0.1
ALDH 활성 321±1 358±2 382±2 418±3 401±3 368±1 378±2
상기 표 5의 실험 결과와 같이 1차 120℃ 및 2차 105℃에서 추출 시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및 ALDH 활성이 가장 높았으므로 1차 추출 온도를 120℃ 및 2차 추출 온도를 105℃로 최종 확정하였다.
<실시예 1> 약용식물의 항산화능 측정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약용식물 추출물 각각 또는 복합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1-1.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u’s phenol 시약을 이용한 비색법(Singleton et al., 199)을 이용하였다. 시료(10 μL)에 증류수 90 μL를 혼합한 후, Folin-ciocalteu reagent를 10 μL를 가하고 5분간 방치한 다음 7%(w/v) Na2CO3 용액을 1 mL과 증류수 40 μL를 첨가해 혼합한 후 90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물질은 Galic acid(0-100 μg/mL)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약용식물 총 페놀성 화합물(mg/g)
헛개나무 열매 103.7±0.4
헛개나무 목질부 123.5±0.2
노니 열매 23.8±0.7
칡 꽃봉오리 97.8±0.6
민들레 88.8±0.1
강황 뿌리줄기 72.8±0.6
여주 76.2±0.5
차조기 잎(자소엽) 81.8±0.5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 138.9±1.0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 162.4±0.3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헛개나무 열매 103.7±0.4 mg/g, 헛개나무 목질부 123.5±0.2mg/g, 노니 열매 23.8±0.7 mg/g, 칡 꽃봉오리 97.8±0.6 mg/g, 민들레 88.8±0.1 mg/g, 강황 뿌리줄기 72.8±0.6 mg/g, 여주 76.2±0.5 mg/g, 차조기 잎(자소엽) 81.8±0.5 mg/g,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138.9±1.0 mg/g 및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162.4±0.3 mg/g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162.4±0.3 mg/g로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시료 1 mL에 증류수 4 mL를 넣은 후 5%(w/v) NaNO2 0.3 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10%(w/v) AlCl3 0.3 mL를 첨가하여 균일화시킨 후 6분간 반응시켰다. 1N NaOH 2 mL씩을 첨가한 후 증류수 2.4 mL씩을 추가해 잘 혼합한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는 Quercetin(0-100 μg/mL)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약용식물 총 플라보노이드(mg/g)
헛개나무 열매 17.6±0.3
헛개나무 목질부 25.4±0.1
노니 열매 9.2±0.4
칡 꽃봉오리 26.6±0.2
민들레 13.2±0.5
강황 뿌리줄기 15.8±0.7
여주 14.0±0.6
차조기 잎(자소엽) 19.7±0.5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 35.4±0.7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 43.2±0.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헛개나무 열매 17.6±0.3 mg/g, 헛개나무 목질부 25.4±0.1 mg/g, 노니 열매 9.2±0.4 mg/g, 칡 꽃봉오리 26.6±0.2 mg/g, 민들레 13.2±0.5 mg/g, 강황 뿌리줄기 15.8±0.7 mg/g, 여주 14.0±0.6 mg/g, 차조기 잎(자소엽) 19.7±0.5 mg/g,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35.4±0.7 mg/g 및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43.2±0.4 mg/g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 및 각각의 약용식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보다 높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7).
1-3.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lois(Blois, 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시료 10 μL에 0.2 mM DPPH reagent 190 μL를 혼합하여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을 유도한 후 517 nm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As/Ac)×10으로 나타내었고, As에 실험군과 Ac에 대조군의 흡광도 값을 각각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약용식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헛개나무 열매 42.0±0.5
헛개나무 목질부 58.4±0.2
노니 열매 51.9±0.1
칡 꽃봉오리 42.5±0.4
민들레 42.0±0.5
강황 뿌리줄기 41.2±0.6
여주 41.4±0.4
차조기 잎(자소엽) 48.9±0.3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 60.1±0.4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 71.2±0.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헛개나무 열매 42.0±0.5%, 헛개나무 목질부 58.4±0.2%, 노니 열매 51.9±0.1%, 칡 꽃봉오리 42.5±0.4%, 민들레 42.0±0.5%, 강황 뿌리줄기 41.2±0.6%, 여주 41.4±0.4%, 차조기 잎(자소엽) 48.9±0.3%,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60.1±0.4% 및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71.2±0.1%로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8).
<실시예 2>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 측정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측정은 Acetaldehyde asay kit(Megazyme Co., Ltd., Wicklow,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2.1 mL(10 mg/mL)에 Sodium azide buffer(pH 9.0) 0.2 mL과 NAD+ 0.2 mL을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UV-Spectrophotometer의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을 A1,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 효소 0.05 mL을 가하여 3~4분간 반응시킨 후 UV-Spectrophotometer의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을 A2로 하여 ALDH의 활성은 ALDH(%)=(△sample(A2-A1)/△control(A2-A1)×10로 결과값을 계산하였다.
약용식물인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 목질부, 노니 열매, 칡 꽃봉오리, 민들레, 강황 뿌리줄기, 여주 및 차조기 잎(자소엽) 복합 추출물의 알콜 분해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숙취의 원인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에 대한 활성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구(증류수)의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의 활성은 10±0%로 나타났고, 헛개나무 열매 96±2%, 헛개나무 목질부 121±1%, 노니 열매 25±3%, 칡 꽃봉오리 11±1%, 민들레 82±2%, 강황 뿌리줄기 92±3%, 여주 52±6%, 차조기 잎(자소엽) 59±3%,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290±9% 및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는 418±2%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에서 가장 높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 제거 및 숙취해소에 본 발명 헛개나무 목질부를 포함한 약용식물 복합물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도 3).
<실시예 3> 관능실험
본 발명의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 열매, 노니(Morinda citrifolia) 열매, 칡 꽃봉오리(Pueraria lobate, 갈화),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강황(Curcuma longa) 뿌리줄기, 여주(Momordica charantia) 및 차조기(Perilla frutescens) 잎(자소엽)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알콜 분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알콜음료 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호흡용 알콜 측정기(DA-500, Datech Co., Korea)를 사용하여 호흡 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재료과학과 학생 중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고, 연구에 흥미가 있고 참여를 원하는 대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에 실시한 문헌을 참조하여 실험 방법을 응용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음주 전 식품 섭취 상태를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음주시작 2시간 전에 가벼운 식사를 하도록 하고, 오후 7시에 음주를 시작하였고, 임상실험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대조군 그룹에서는 음주 30분 전 물 20 mL를 각각 섭취하였고, 알콜 음료 섭취군 그룹에서는 조성물 음료를 각각 20 mL씩 음용하게 하였다. 각각의 시료 음용 30분 후 알콜(16.5%) 360 mL을 30분 안에 일정한 속도로 나누어 마시도록 하였으며, 소량의 안주를 일정량 제공하였다. 음주가 끝난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30분, 60분, 90분, 120분에 호흡 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모든 피실험자는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하였고, 물도 마실 수 없었으며, 화장실은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었으며, 각 평균값에 대한 검증은 SAS®version 9.1(SAS institute, Cary, NC, USA)를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 음료의 알콜 분해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콜 측정기를 이용한 호흡 중 알콜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숙취해소 음료의 음용에 따른 호흡 중 알콜 농도변화를 나타낸 결과로서, 알콜 섭취후 30분 경과하였을 때, 대조군에서는 0.084%,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는 0.059%로 대조군에 비해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낮은 알콜 농도를 나타냈다. 60분경과 후 대조군에서는 0.068%,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는 0.053%, 90분경과 후 대조군에서는 0.084%,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는 0.065%, 120분경과 후 대조군에서는 0.068%,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는 0.048%로 나타났다. 대조군 및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120분경과 시에도 알콜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았지만, 대조군에 비해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낮은 알콜 농도 및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 5a는 숙취해소 음료의 음용에 있어서 흡연 여부에 따른 호흡 중 알콜 농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알콜 섭취 후 30분 경과하였을 때, 비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47%로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낮은 알콜 농도를 나타냈으며, 60분경과 후 비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0%,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47%, 90분경과 후 비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0%,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0%, 120분경과 후 비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25%,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43%의 알콜 농도를 나타냈다. 알콜 농도 변화에 있어서 비흡연자 및 흡연자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20분경과 후,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 비해 비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낮은 알콜 농도를 나타내어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가 숙취해소 음료 섭취가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도 5b는 숙취해소음료의 음용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호흡 중 알콜 농도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알콜 섭취 후 30분 경과하였을 때,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73%,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0%로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 비해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낮은 알콜 농도를 나타냈으며, 60분경과 후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60%,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48%, 90분경과 후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90%,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0%, 120분경과 후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67%,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36%을 나타냈다.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알콜 농도 변화에 유의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알콜 농도가 안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90분 및 120분경과 시,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 비해 낮은 알콜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숙취해소 음료의 섭취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 임상시험
본 발명의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 열매, 노니(Morinda citrifolia) 열매, 칡 꽃봉오리(Pueraria lobate, 갈화),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강황(Curcuma longa) 뿌리줄기, 여주(Momordica charantia) 및 차조기(Perilla frutescens) 잎(자소엽)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알콜 분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기간은 2020년 1월 20일부터 2020년 2월 28일까지 호흡 중 알콜 농도측정 시험을 하였고, 숙취증상의 확인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본 시험은 경북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얻어(KNU-2019-0184-2) 실시하였다.
시험목적은 본 발명의 액상 및 환제의 숙취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시험을 통한 호흡 중 알콜 농도측정 및 숙취증상 확인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는 선정조건을 만족하고 제외조건에 해당사항이 없는 성인이었다.
피험자 선정조건으로는, (1)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인 만 20~35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2) 시험 목적, 내용에 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시험동의서에 서명한 자, (3) 시험 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자이었고, 제외조건은 (ㄱ)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경우, (ㄴ) 약물이나 알콜 중독자, (ㄷ) 현저한 영양장애자, (ㄹ) 그 외 연구 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경우를 적용하였다.
한편, 시험진행 중 피험자 중도탈락 기준으로는 (a) 개인 사정으로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 (b) 본 시료의 처치 후 심각한 이상 반응이 나타난 경우, (c) 지나친 음주, 흡연 등으로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친 경우, (d) 특별한 이유 없이 피험자가 처치방법이나 일정을 어긴 경우였으며, 최종 피험자자 곧, 유효한 분석대상 인원은 10명이었다.
4-1. 연구대상자 정보
임상 시험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10명은 모두 시험규정을 준수하여 종료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체질량 지수 등 신체이력에 대해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들의 임상적 특징으로는 평균연령이 만 25.7±2.6세이며, 20대 9명, 30대 1명으로 구성되었다. 키는 158∼178 cm(평균 169.0±5.4 cm), 몸무게는 58∼90kg(평균 70.1±1.3 kg)이었으며, BMI(체질량 지수)는 평균 24.5±3.5로 정상범위(18.5∼20.0)보다 약간 높았다(표 9).
Age (years) Height (cm) Weight (kg) BMI 2)
25.7 ± 2.61) 169.0 ± 5.4 70.1 ± 11.3 24.5 ± 3.5
(18.5 - 22.0)3)
1) Mean ± S.D.2) Body Mass Index3) Normal range
4-2. 호흡 중 알콜 농도 측정
연구대상자는 평균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고, 연구에 흥미가 있고 참여를 원하는 성인 10명(남자 7명, 여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박 등이 실시한 실험 방법을 응용하였다. 실험 중 식품섭취상태가 체내 알콜의 신체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알콜 음용 2시간 전에 가벼운 식사를 제공하였다. 측정시험은 총 3회에 걸쳐 실시했으며, 피험자는 음주 30분 전 1회 때는 물 10 mL를 음용(Control)하였고, 2회 때는 액상제(Drink) 1병을 음용하였으며, 3회 때는 환제(Tablet) 1포를 섭취하였다. 각각의 재료 섭취 30분 후, 알콜(16.9%) 360 mL를 30분 안에 일정한 속도로 나누어 마시도록 하였으며, 소량의 안주를 일정량 제공하였다. 음주가 끝난 후, 1회 때는 물 10 mL를 음용(Control)하였고, 2회 때는 액상제(Drink) 1병을 음용하였으며, 3회 때는 환제(Tablet) 1포를 섭취하였다. 음주가 끝난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에 시판되는 호흡용 알콜 측정기(DA-500, Datech Co. Korea)를 사용하여 호흡 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모든 연구대상자는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하였고, 물도 마실 수 없었으며, 화장실은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취침 후, 다음 날 숙취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알콜 측정기를 이용하여, 음주 직후(0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후, 호흡 중 알콜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 도 5이다. 무처리 시험군(Control)은 알콜 음용 60~180분, 액상제(Drink)는 알콜 음용 60~120분 사이에 알콜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알콜 섭취 후, 60분에서 90분 사이 높은 알콜 농도를 나타낸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액상제(Drink)는 알콜 음용 240분에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제(Tablet)는 알콜 음용 180분부터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제(Tablet)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알콜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액상제(Drink)에 비해 환제(Tablet)의 알콜 분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3. 숙취증상 확인 설문조사
설문지의 작성은 시험 후 자신의 증상 13가지에 대해서 본인이 느낀 숙취정도에 대해 거의 없음부터 매우 심한 정도까지 5단계로 점수화하였다. 5가지 점수는 다음과 같이 평가·산정하였다. (1)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다/거의 없음; (2)생활에 거의 지장이 없다/매우 약함; (3)생활에 지장은 없으나 평소의 신체 상태는 아니다/약간 심함; (4)생활에 다소 지장을 받는다/대체로 심함; (5)증상이 심해서 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는다/매우 심함.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는 기억소실(Memory loss), 구토(Vomiting), 두통(Headache), 어지러움(Dizziness), 갈증(Thirst), 복통(Abdominal pain), 설사(diarrhea), 기운없음(General weakness), 집중곤란(Distract), 수면곤란(Sleep disturbance), 졸음(Sleepiness), 우울감(Melancholy), 평소보다 땀이 많이 남(Sweat)의 13가지에 대하여 개인의 의견을 평가하였다.
증상(Symptoms) 임상시험
대조군
(Control)
액상제
(Drink)
환제
(Tablet)
기억소실(Memory loss) 1 1 1
구토(Vomiting) 1 1 1
두통(Headache) 2 1 1
어지러움(Dizziness) 2 2 1
갈증(Thirst) 3 2 2
복통(Abdominal pain) 2 1 1
설사(Diarrhea) 2 1 1
기운없음(General weakness) 2 1 1
집중곤란(Distract) 2 1 1
수면곤란(Sleep disturbance) 1 1 1
졸음(Sleepiness) 2 2 2
우울감(Melancholy) 1 1 1
땀이 많이 남(Sweat) 1 1 1
각 실험 종료 후, 피험자를 대상으로 음주 후 나타나는 증상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 7에 표시하였다. 숙취해소제 비섭취군(Control)에서 음주 다음 날, 두통(2), 어지러움(2), 갈증(3), 복통(2), 설사(2), 무력감(2), 집중 곤란(2), 졸음(2)이 대표적인 숙취 증상으로 나타났다. 액상제(Drink)에서는 어지러움(2), 갈증(2), 졸음(2)이 숙취 증상으로 나타났고, 두통, 복통, 설사, 기운 없음, 집중 곤란의 숙취 증상은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제(Tablet)는 갈증(2) 및 졸음(2)만이 숙취증상으로 나타났으며, 액상제(Drink)와 환제(Tablet)는 숙취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액상제(Drink)에 비해 환제(Tablet)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어떠한 이상반응도 관찰되지 않았다.
약용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액상제 및 환제의 숙취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주량이 소주 1병 이상인 만 20~35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하였다. 임상시험을 통한 호흡 중 알콜 농도측정 및 숙취증상 확인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액상제(1 시험군, drink) 및 환제(2 시험군, tablet) 모두에서 숙취증상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제(2 시험군, tablet)가 액상제(1 시험군, drink)와 비교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취급이 쉽고 간편한 환제의 개발은 매우 바람직한 숙취해소용 제품일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 23.7중량%, 노니 열매 23.3중량%, 칡 꽃봉오리 15.9중량%, 민들레 15.9중량%, 강황 뿌리줄기 15.9중량%, 여주 3.8중량% 및 차조기 잎 1.5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헛개나무 목질부 추출물은 (a) 목재 칩을 물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공정; (b) 상기 탈수된 목재 칩을 70 내지 150℃에서 0.5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는 공정; (c) 상기 가열된 목재 칩과 수증기를 12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내지 40kgf/㎠의 압력에서 0.1 내지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연화하는 공정; (d) 상기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팽창시키는 공정; (e) 상기 팽창된 목재 칩을 50 내지 200℃에서 열수추출하는 공정; 및 (f) 상기 추출물을 분리, 정제 및 감압 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된 것이고,
    상기 노니 열매, 칡 꽃봉오리, 민들레, 강황 뿌리줄기, 여주 및 차조기 잎 추출물은, (a) 각 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120℃로 가온하여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물을 첨가하여 105℃로 가온하여 3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공정; (b)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공정; (c) 상기 여과 및 농축물을 동결건조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된 것이며,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인,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액상, 정제, 캡슐, 환, 과립, 에멀젼, 젤리스틱, 수용액 및 현탁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20044423A 2021-05-25 2022-04-11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8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7412 WO2022250443A1 (ko) 2021-05-25 2022-05-25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7125 2021-05-25
KR1020210067125 2021-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263A KR20220159263A (ko) 2022-12-02
KR102482449B1 true KR102482449B1 (ko) 2022-12-29

Family

ID=8441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423A KR102482449B1 (ko) 2021-05-25 2022-04-11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312B1 (ko) 2008-05-28 2010-12-08 완도군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1322230B1 (ko) * 2011-10-17 2013-10-28 대한민국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6520B1 (ko) * 2016-08-30 2018-09-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숙취해소로 추천/선물 받은 주당화 솔직 후기.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9.07.06., [2021.06.15.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soulsoi/2215791704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263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4177B (zh) 一种具有提神清咽利喉作用的压片糖果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1623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4336230A (zh) 一种桑叶甜茶及其制备方法
KR20200032772A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32443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US10993468B2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2482449B1 (ko)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969460B1 (ko) 산겨릅나무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KR101470603B1 (ko)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2250443A1 (ko)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00048459A (ko)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KR100337472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엑기스를 함유한 건강식품음료조성물
FR3070261A1 (fr) Produit de combinaison pour soulager les symptomes lies aux infections des voies respiratoires superieures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10128676A (ko) 다이어트용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6003A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26628B1 (ko)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함유한 조성물
TWI819974B (zh) 金針花萃取物、其製造方法、含其之改善睡眠的口服組成物及其用於製備改善睡眠的口服組成物之用途
KR102203094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CN105875961A (zh) 润肺祛痰保健茶饮料
KR101450813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용 건강기능식품
CN106470694A (zh) 用于改善包括寒冷敏感性的全身症状的口服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