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31B1 -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31B1
KR101324431B1 KR1020130054121A KR20130054121A KR101324431B1 KR 101324431 B1 KR101324431 B1 KR 101324431B1 KR 1020130054121 A KR1020130054121 A KR 1020130054121A KR 20130054121 A KR20130054121 A KR 20130054121A KR 101324431 B1 KR101324431 B1 KR 10132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composition
hang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상
서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3005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홍삼 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 추출액, 오리나무 추출물, 상엽 추출물, 및 아그리모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알려진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비하여 두통 또는 두중감 및 위장관 불쾌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는 기대하기 힘들었던 집중력 저하, 무력감, 갈증, 발한 등 숙취로 인한 다른 증상들에 대해서도 우수한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이나 숙취해소용 음료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EFFECTIVE FOR REMOV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뇌의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일시적으로 기분을 좋게 하고 괴로움을 잊을 수 있으며, 사교 수단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는 신체적, 정신적 현상으로 그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함, 두통, 근육통 등이 있다(Swift R et al., Alcohol Health Res World 1998;22:54-60).
최근 사회의 다양화 및 경제 성장과 더불어 현대인의 알코올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어 과음과 관련된 숙취나 알코올 중독과 같은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An SW et al., J Medicinal Crop Sci 1999;7:263-268). 아울러, 이는 사회적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상의 위험이 두드러지기에 숙취해소를 위한 기능성 음료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기존에 다양한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개발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4807호는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알코올의 과다 섭취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 위장 기능 개선 효과, 두통 감소 효과 등 숙취해소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107호는 노루궁뎅이버섯, 은이버섯 추출물에 허브, 당귀, 감초로부터 추출한 그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숙취해소 효과가 뛰어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외 다른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C, 셀레늄이 알코올의 섭취로 합성되는 부산물들을 중화시켜주고 알코올의 파괴적인 효과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고 보고되었다(Sprince H et al., Agents Actions 1975;5(2):164-73 및 Marotta et al., Hepatogastroenterology 2001;48(38):511-7). Verster JC와 Penning R의 리뷰 연구에 따르면, 클로메싸이아졸(chlomethiazole), KSS formula, 허브추출물, 지중해 식물인 아티쵸크(artichoke)의 숙취 해소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었다(JC. Vester et al, Current Drug Abuse Revies 2010;3:103-109). 많은 성분들이 의미 있는 효과를 보여주지는 못했으며,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숙취 증상의 일부분에서만 성공적인 개선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두통 또는 두중감, 위장관 불쾌감 등에 대한 숙취해소 효과만이 알려져 있을 뿐이고, 숙취로 인한 다른 증상들, 예컨대 갈증, 발한, 무력감 등에 대해서는 체감 해소 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숙취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들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체감 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48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107호
Swift R et al., Alcohol Health Res World 1998;22:54-60 An SW et al., J Medicinal Crop Sci 1999;7:263-268 Sprince H et al., Agents Actions 1975;5(2):164-73 Marotta et al., Hepatogastroenterology 2001;48(38):511-7 JC. Vester et al, Current Drug Abuse Revies 2010;3:103-1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 33, No. 2, PP. 244-248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알려진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비해서, 두통 또는 두중감, 위장관 불쾌감, 집중력 저하 또는 무력감, 갈증, 발한 등과 같은 숙취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들에 대하여, 부가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더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 오리나무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및 상엽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 칡추출물, 오리나무추출물, 상엽추출물, 헛개나무추출물, 울금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L-아스파라긴, 오미자추출물, 쌀추출물, 배아추출물 및 벌꿀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종래 알려진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비하여 두통 또는 두중감 및 위장관 불쾌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는 기대하기 힘들었던 집중력 저하, 무력감, 갈증, 발한 등 숙취로 인한 다른 증상들에 대해서도 우수한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이나 숙취해소용 음료로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종래의 알려진 모든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컫는 ‘엑기스 분말’ 및 ‘농축 분말’은 추출물을 농축한 후에 파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홍삼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 오리나무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및 상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홍삼, 미배아대두발효물, 오리나무, 아그리모니 및 상엽 등의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거나, 시판되는 추출물 자체를 직접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추출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C1-C4의 알코올, n-헥산, 다이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추출물은 음건하여 세절한 원료에 원료의 부피의 2 내지 20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10 내지 100℃에서 1시간 내지 20일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0일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함으로써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각각의 추출물을 숙취 해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100 중량부)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부 내지 99.900 중량부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숙취가 일으키는 증상의 예방,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증상의 발현 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홍삼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100 내지 1.9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00 내지 1.8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100 내지 2.5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200 내지 2.4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00 내지 2.3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100 내지 1.9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0 내지 1.9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아그리모니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020 내지 1.99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0 내지 1.96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상엽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100 내지 1.9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00 내지 1.8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조성물은 칡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울금 추출물, L-아스파라긴, 오미자 추출물, 쌀추출물, 배아 추출물 및 벌꿀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칡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칡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100 내지 1.9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0 내지 1.8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100 내지 1.9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00 내지 1.8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울금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울금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020 내지 1.99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0 내지 1.96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L-아스파라긴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L-아스파라긴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020 내지 1.99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0 내지 1.96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010 내지 1.99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0 내지 1.98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쌀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쌀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200 내지 1.8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00 내지 1.5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배아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아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0.150 내지 1.9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50 내지 1.7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벌꿀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벌꿀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1.000 내지 3.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1.100 내지 2.9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0 내지 2.5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상기에 열거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숙취 해소 활성을 상승·보강할 수 있도록 숙취 해소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천연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홍삼 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 칡추출물, 오리나무추출물, 상엽추출물, 헛개나무추출물, 울금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L-아스파라긴, 오미자추출물, 쌀추출물, 배아추출물 및 벌꿀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의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구연산, 말산(사과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억제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구현예는 <제조예>에 개시된 조성물이다. 알코올 섭취 후 <제조예>의 조성물을 섭취하였을 때, 혈청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가 플라시보 섭취시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및 표 3 참조). 아울러, 숙취해소 평가 결과, <제조예>의 조성물을 섭취할 때, 플라시보 섭취시 보다 집중력 저하 및 목마름, 기억불가를 적게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4 참조).
또한, <제조예> 또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5>의 각 조성물의 숙취 해소 효과를 평가하였을 때, 본 발명의 <제조예>의 조성물이 기존에 숙취해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단독 추출물인 홍삼농축액(<비교예 21>의 조성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액(<비교예 22>의 조성물), 오리나무농축액(<비교예 23>의 조성물), 아그리모니농축분말(<비교예 24>의 조성물), 상엽농축액(<비교예 25>의 조성물)에 비해서, 숙취 해소 효과의 지표인 두통 또는 두중감, 위장관 불쾌감, 집중력 저하 또는 무력감, 갈증, 발한에 대하여 약 2배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농축액, 미배아대두발효추출액, 칡농축액, 오리나무농축액, 상엽농축액, 헛개나무추출농축액, 울금엑기스 분말, 아그리모니농축분말, L-아스파라긴, 오미자농축액, 쌀추출농축액, 배아추출농축액 및 벌꿀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대표적인 숙취 증상인 두통 또는 두중감, 위장관 불쾌감에 대하여 현저히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보이며, 다른 숙취 증상인 집중력 저하 또는 무력감, 갈증, 발한에 대해서도 숙취 해소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조성물을 숙취 해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홍삼농축액의 제조
홍삼농축액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며, 본 실험에서는 홍삼 1Kg에 물 10배수를 가하여 85±5℃에서 10±2 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저온에서 원심분리를 한 후 감압농축하여 홍삼농축액 120g을 얻었다.
< 실시예 2> 오미자 농축액의 제조
하기의 방법으로 오미자 농축액을 얻었다. 이물질을 제거한 오미자를 세척하여 일정량의 물에 넣어 0∼25℃의 온도조건하에서 12∼20시간 동안 수침하였고, 수침된 오미자를 착즙기를 통해 700-800 psi 압력으로 20∼40분 동안 압착하여 오미자즙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오미자즙을 7,000∼9,000(rpm×g)으로 1∼6℃에서 5∼15분간 원심분리하고, 원심분리된 오미자즙의 상등액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였다.
< 제조예 > 홍삼농축액, 미배아대두발효추출액 , 칡농축액 , 오리나무농축액, 상엽농축액 , 헛개나무추출농축액 , 울금엑기스 분말, 아그리모니농축분말 , L-아스파라긴, 오미자농축액, 쌀추출농축액 , 배아추출농축액 및 벌꿀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추출물들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홍삼농축액 0.100 내지 1.9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함량비로 혼합되었다: 미배아대두발효추출액(TOYO HAKKO CO.,LTD, 제품명: GMT-ALC-5L) 0.200 내지 2.400 중량부, 칡농축액(제조회사: 코시스, 제품명: 칡 농축액) 0.100 내지 1.900 중량부, 오리나무농축액(제조회사: 코시스, 제품명:오리나무농축액) 0.100 내지 1.950 중량부, 상엽농축액(제조회사: 코시스, 제품명: 상엽농축액) 0.100 내지 1.950 중량부, 헛개나무추출농축액(제조회사: (주)엠에스씨, 제품명: 헛개나무열매추출농축액) 0.100 내지 1.900 중량부, 울금엑기스 분말(제조회사: 두한바이오, 제품명: 울금엑기스 분말) 0.020 내지 1.990 중량부, 아그리모니농축분말(제조회사: (주)코시스, 제품명: 아그리모니농축분말) 0.020 내지 1.990 중량부, L-아스파라긴(제조회사: 이탈리아 Flamma S.P.A., 제품명: L-Asparagine Monohydrate F.) 0.020 내지 1.990 중량부,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오미자농축액 0.010 내지 1.990 중량부, 쌀추출농축액(제조회사: (주)MSC, 제품명: 쌀추출농축액) 0.200 내지 1.850 중량부, 배아추출농축액(제조회사: (주)건우에프피, 제품명: 배아추출농축액) 0.150 내지 1.900 중량부, 벌꿀 1.100 내지 2.900 중량부. 혼합 후에 정제수를 적량 첨가하여 100 ml이 되도록 하였다.
< 비교예 > 홍삼농축액, 미배아대두발효추출액 , 칡농축액 , 오리나무농축액, 엽농축액, 헛개나무추출농축액 , 울금엑기스 분말, 아그리모니농축분말 , L-아스파라긴, 오미자농축액, 쌀추출농축액 , 배아추출농축액 또는 벌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의 성분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아래의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였다.

혼합 비율(w/v%)
홍삼농축액
미배아대두
발효추출액
오리나무농축액 아그리모니
농축분말
상엽농축액
비교예 1 0.100 내지
1.900
0.200 내지
2.400
0.100 내지
1.950
0.020 내지
1.990
0.100 내지
1.950
비교예 2
-
0.200 내지
2.400
0.100 내지
1.950
0.020 내지
1.990
0.100 내지
1.950
비교예 3 0.100 내지
1.900

-
0.100 내지
1.950
0.020 내지
1.990
0.100 내지
1.950
비교예 4 0.100 내지
1.900
0.200 내지
2.400

-
0.020 내지
1.990
0.100 내지
1.950
비교예 5 0.100 내지
1.900
0.200 내지
2.400
0.100 내지
1.950

-
0.100 내지
1.950
비교예 6 0.100 내지
1.900
0.200 내지
2.400
0.100 내지
1.950
0.020 내지
1.990

-
비교예 7
-

-
0.100 내지
1.950
0.020 내지
1.990
0.100 내지
1.950
비교예 8 0.100 내지
1.900

-

-
0.020 내지
1.990
0.100 내지
1.950
비교예 9 0.100 내지
1.900
0.200 내지
2.400

-

-
0.100 내지
1.950
비교예 10 0.100 내지
1.900
0.200 내지
2.400
0.100 내지
1.950

-

-
비교예 11 0.100 내지
1.900
0.200 내지
2.400

-

-

-
비교예 12 0.100 내지
1.900

-
0.100 내지
1.950

-

-
비교예 13 0.100 내지
1.900

-

-
0.020 내지
1.990

-
비교예 14 0.100 내지
1.900

-

-

-
0.100 내지
1.950
비교예 15
-
0.200 내지
2.400
0.100 내지
1.950

-

-
비교예 16
-
0.200 내지
2.400

-
0.020 내지
1.990

-
비교예 17
-
0.200 내지
2.400

-

-
0.100 내지
1.950
비교예 18
-

-
0.100 내지
1.950
0.020 내지
1.990

-
비교예 19
-

-
0.100 내지
1.950

-
0.100 내지
1.950
비교예 20
-

-

-
0.020 내지
1.990
0.100 내지
1.950
비교예 21 0.100 내지
1.900

-

-

-

-
비교예 22
-
0.200 내지
2.400

-

-

-
비교예 23
-

-
0.100 내지
1.950

-

-
비교예 24
-

-

-
0.020 내지
1.990

-
비교예 25
-

-

-

-
0.100 내지
1.950
< 실험예 1> < 제조예 >의 조성물이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확인
인체에서 알코올 섭취시 <제조예>의 조성물의 복용이 혈청 알코올농도 증가를 억제시켜 알코올의 유해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무작위배정 교차시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는 실험 참여 3일 전부터 금주를 하고, 평상시 식생활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피험자는 실험 시작 12시간 전부터 금식시키고, 물만 공급하였다. 피험자는 실험시작 전 30분간 편안한 상태로 안정을 유지하도록 한 후 무작위로 "알코올 + <제조예>의 조성물"군 또는 "알코올 + 물"군으로 배정되어 실험에 참여하였다. 알코올 섭취는 40% 알코올 음료 100 ㎖을 마시도록 하였으며, 음주 후 3-5분 이내에 <제조예>의 조성물(또는 물)을 마시도록 하였다. 채혈은 음주 전(0분)과 음주 후 30, 45, 60, 90, 120, 180, 240 분 모두 8회 실시하였다. 1주 후 재방문시에도 처음(0주) 방문 전 및 방문 때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0주 방문시 섭취했던 시료와는 다른 시험제제를 섭취하고 알코올 대사 검사를 받았다. 마지막 방문시 (방문3)에는 추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실험예에서 얻어지는 모든 데이터는 Window용 SPSS package 18.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ins,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모든 측정치들은 평균±표준오차(mean±S.E.)로 표시하였다. 분석 전 모든 변수에 대해 정규분포를 이루는지 확인하였으며, 정규분포를 이루지 않는 경우 log 값으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검정시 통계처리 결과 p<0.05 일 때를 유의하다고 간주하였고, p<0.1 일 때를 경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혈청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paired t-test 및 wilcoxon signed ranks test 검정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에서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를 이용한 다중비교를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혈청 알코올 농도는 동일한 대상자에서 <제조예>의 조성물을 섭취하였을 때와 플라시보를 섭취하였을 때의 혈청 알코올 농도값을 paired t-test 및 wilcoxon signed ranks test 검정하였다. 또한,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동일한 대상자에서 <제조예>의 조성물을 섭취하였을 때와 플라시보를 섭취하였을 때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paired t-test 및 wilcoxon signed ranks test 로 검정하였다.
<1-1> 혈청 알코올 농도 확인
혈청 알코올 농도를 시간대별로 측정하기 위해 채혈 즉시 냉장 원심분리하여 상층 혈장(plasma)을 밀폐 튜브에 담아 -7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검체 분석은 Enzymatic assay로 Ethanol Gen.2(Roche, Swizerland) 시약을 사용하여 Integra 800(Roche, Swizerland) 장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청 알코올 농도는 <제조예>의 조성물 섭취시 30분대에서 41.76±2.98 mg/dL로 플라시보 섭취시 55.40±3.50 mg/dL 보다 유의적(-24.6%)으로 낮았고 (p=0.002)(표 2), 45분 및 60분대에서도 <제조예>의 조성물 섭취시 각각 42.32±2.67 mg/dL, 39.72±2.78 mg/dL로 플라시보 섭취시 50.32±2.81 mg/dL, 46.84±2.86 mg/dL보다 유의적(각각 -15.9%, -15.2%)으로 낮았다(45분대: p=0.016, 60분대: p=0.009). 90분대에서는 <제조예>의 조성물 섭취시 36.88±2.25 mg/dL로 플라시보 섭취시 40.96±2.19 mg/dL 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p=0.083). 혈청 알코올 반응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은 <제조예>의 조성물 섭취시 105.12±8.03 mg/dLⅹhr로 플라시보 섭취시 121.68±7.84 mg/dLⅹhr 보다 유의적(-13.6%)으로 낮았다(p=0.042).
시간에 따른 혈청 알코올 농도
  시험 (n=25) 플라시보 (n=25) P1 P2
30분 41.76 ± 2.98 55.40 ±3.50 0.002 0.002
45분 42.32 ± 2.67 50.32 ± 2.81 0.016 0.019
60분 39.72 ± 2.78 46.84 ± 2.86 0.009 0.009
90분 36.88 ± 2.25 40.96 ± 2.19 0.083 0.106
120분 30.64 ± 2.66 33.44 ± 2.71 0.229 0.252
180분 17.60 ± 2.74 19.80 ± 2.73 0.287 0.287
240분 9.84 ± 2.59 10.20 ± 2.64 0.816 0.607
혈청 알코올
반응면적
(mg/dL X hr)

105.12 ± 8.03

121.68 ± 7.84

0.042

0.051
데이터는 평균 SEM을 나타낸다. P1은 paired t-test로 시험하였고, P2는nonparametic paired t-test로 시험하였다.
<1-2> 호기중 알코올 농도 확인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각 시간대별로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기기(음주측정기(Lion alcolmeter SD-4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기화학적 분석원리로 두 개의 백금전극 감지기를 이용, 호흡중 알코올 농도 측정과 검출을 위한 흡입 시료 채취 시스템으로 호흡이 감지기로 전달될 때의 발생되는 작은 전압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숙취해소 음료 섭취시 30분대에서 0.0382±0.0026%로 플라시보 섭취시 0.0516±0.0031% 보다 유의적(-26.0%)으로 낮았고 (p=0.002)(표 3), 60분대에서도 숙취해소 음료 섭취시 0.0344±0.0021%로 플라시보 섭취시 0.0385±0.0018 %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p=0.057). 90분 이후 시간대에는 수치상으로는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호기중 알코올 농도가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호기중 알코올 반응면적은 숙취해소 음료 섭취시 0.0711±0.0057%ⅹhr로 플라시보 섭취시 0.0837±0.0056%보다 유의적(-15.1%)으로 낮았다 (p=0.049).
시간에 따른 호기중 알코올 농도
  시험 (n=25) 플라시보 (n=25) P1 P2
30분 0.0382 ± 0.0026 0.0516 ± 0.0031 0.002 0.005
60분 0.0344 ± 0.0021 0.0385 ± 0.0018 0.057 0.065
90분 0.0272 ± 0.0020 0.0290 ± 0.0018 0.345 0.353
120분 0.0187 ± 0.0020 0.0210 ± 0.0018 0.154 0.198
150분 0.0123 ± 0.0019 0.0143 ± 0.0017 0.254 0.321
180분 0.0079 ± 0.0015 0.0090 ± 0.0015 0.554 0.573
210분 0.0028 ± 0.0011 0.0036 ± 0.0012 0.551 0.688
240분 0.0014 ± 0.0008 0.0006 ± 0.0006 0.335 0.285
혈청 알코올
반응면적
(mg/dL X hr)

0.0711 ± 0.0057

0.0837 ± 0.0056

0.049

0.058
<1-3> 숙취 해소 평가
숙취 관련 설문조사 분석결과, 숙취해소 음료 섭취시 평상시 음주시보다 피곤함과 목마름, 위통(복통)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표 4), 플라시보 섭취시 보다 집중력 저하 및 목마름, 기억불가를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의 조성물 섭취시 플라시보 섭취시 평상시 음주시
두통 1.04 ± 0.20 1.08 ± 0.22 1.32 ± 0.24
울렁거림 0.56 ± 0.17 0.88 ± 0.18 1.00 ± 0.16
구토 0.36 ± 0.18 0.68 ± 0.17 0.76 ± 0.21
피곤함 1.28 ± 0.17b 1.68 ± 0.22ab 1.88 ± 0.23a
집중력 저하 0.96 ± 0.18b 1.56 ± 0.22a 1.48 ± 0.23ab
목마름 1.32 ± 0.16 1.92 ± 0.22ab 2.12 ± 0.20ab
무력감 0.48 ± 0.15 0.92 ± 0.20 0.92 ± 0.18
민감함 0.40 ± 0.14 0.52 ± 0.17 0.48 ± 0.15
불면 0.04 ± 0.04 0.28 ± 0.12 0.16 ± 0.07
발한 0.44 ± 0.19 0.52 ± 0.18 0.48 ± 0.20
불안함 0.16 ± 0.09 0.16 ± 0.09 0.08 ± 0.06
우울함 0.08 ± 0.08 0.16 ± 0.09 0.00 ± 0.00
떨림 0.28 ± 0.12 0.28 ± 0.11 0.44 ± 0.44
어지러움 0.76 ± 0.18 1.12 ± 0.20 1.20 ± 0.22
위통(복통) 0.40 ± 0.17b 0.64 ± 0.18ab 1.12 ± 0.27a
설사 0.36 ± 0.13 0.60 ± 0.19 0.76 ± 0.22
관절통 0.16 ± 0.09 0.36 ± 0.15 0.40 ± 0.17
기억불가 0.08 ± 0.06b 0.64 ± 0.19a 0.48 ± 0.16ab
4=매우 심함, 3=약간 심함, 2=보통, 1=약간 있음, 0=전혀 없음
a: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b: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ab: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
< 실험예 2> < 제조예 > 및 < 비교예 >의 각 조성물의 숙취 해소 효과 평가
<제조예> 또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5>의 각 조성물의 숙취 해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270명을 대상으로 하고, 각각 10 명씩 27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피험자는 실험 시작 12시간 전부터 금식시키고, 물만 공급하였다. 각 실험자들에게 40% 알코올 음료 100 ㎖을 섭취하도록 하고, 음주 후 3-5분 이내에 물, <제조예>의 조성물 또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5>의 각각의 조성물을 100 ㎖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 물 용액만 투여한 군을 따로 설정하였다. 음주 다음날 임상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두통 또는 두중감, 위장관 불쾌감, 집중력 저하 또는 무력감, 갈증, 떨림, 발한, 불면, 불안함의 항목에 대해 효과 없음을 최소치 1로 하고, 효과 높음을 최대치 5로 하여 5단계(1-5)의 스케일(scale)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하기 표 2에서 각 항목에 대한 수치는 실험대상자가 기재한 1 내지 5의 수치에 대한 평균값이다. 조사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종류
설문조사 평균값
두통 또는 두중감 해소 효과 위장관 불쾌감 해소 효과 집중력 저하 또는 무력감 해소 효과 갈증
해소
효과
떨림
해소
효과
불면
해소 효과
발한
해소 효과
불안함
해소
효과
0.86 0.73 0.67 0.73 0.67 0.70 0.53 0.46
제조예 4.16 4.06 4.33 4.26 3.53 3.96 4.23 4.03
비교예 1 2.46 2.57 2.67 3.06 2.83 2.36 2.40 2.46
비교예 2 2.10 2.16 2.26 2.06 2.23 2.03 2.26 2.20
비교예 3 1.96 2.26 2.23 2.20 1.93 1.80 1.86 2.16
비교예 4 1.93 1.86 1.96 1.80 2.06 2.20 1.96 1.73
비교예 5 1.63 1.70 1.83 2.10 1.53 1.46 1.96 2.06
비교예 6 2.26 1.93 1.96 1.86 1.76 1.66 1.73 1.70
비교예 7 2.03 1.93 1.86 2.06 2.20 1.96 2.16 1.93
비교예 8 1.63 1.96 1.53 1.76 1.66 1.73 1.93 1.70
비교예 9 1.93 2.16 1.87 1.36 1.53 1.96 1.90 1.53
비교예 10 1.47 2.33 1.76 2.26 1.93 2.16 1.93 1.70
비교예 11 1.86 2.16 1.93 2.06 1.96 1.93 1.80 1.73
비교예 12 2.03 1.87 1.77 1.36 1.60 2.10 1.66 1.86
비교예 13 1.87 1.47 1.36 2.03 1.53 1.66 1.77 1.93
비교예 14 2.26 1.93 1.96 2.06 1.83 2.16 1.96 1.80
비교예 15 1.53 2.23 1.33 1.90 1.26 1.87 1.53 2.33
비교예 16 1.77 1.40 1.60 1.26 1.47 1.53 1.40 1.87
비교예 17 1.96 2.06 2.16 2.10 2.03 1.86 1.73 1.70
비교예 18 2.10 2.03 1.93 1.83 1.96 1.80 1.53 1.96
비교예 19 2.17 2.20 1.90 2.07 2.33 2.23 1.70 1.66
비교예 20 2.03 1.87 1.77 1.87 1.80 1.53 1.86 2.03
비교예 21 1.77 1.53 1.47 1.36 1.53 1.66 1.50 1.40
비교예 22 1.33 1.30 1.40 1.26 1.60 1.40 1.36 1.13
비교예 23 1.40 1.36 1.43 1.53 1.00 1.30 1.17 1.06
비교예 24 1.23 1.17 1.06 0.93 0.86 0.90 1.00 1.13
비교예 25 1.23 1.30 1.40 1.26 1.43 1.06 1.00 1.17
그 결과, 상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 및 숙취 해소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삼농축액(<비교예 21>의 조성물) 단독의 경우, 숙취 증상인 두통 또는 두중감에 대하여, 1.77의 값을 나타내었고, 위장관 불쾌감 해소 효과에 대해서는 1.53의 값을 나타냈다. <제조예>의 조성물과 비교하였을 때, 각각 약 2.3 배 및 약 2.6 배 낮았다.
현재 시판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미배아대두발효추출액(<비교예 22>의 조성물) 단독의 경우, 두통 또는 두중감에 대하여, 1.33의 값을 나타내었고, 위장관 불쾌감 해소 효과에 대해서는 1.30의 값을 나타냈으며, 다른 숙취 증상에 대해서도 <제조예>의 조성물에 비해서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오리나무농축액(<비교예 23>의 조성물) 단독, 아그리모니농축분말(<비교예 24>의 조성물), 상엽농축액(<비교예 25>의 조성물) 단독의 경우에도, <제조예>의 조성물의 숙취 해소 효과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약 2.5배 이하의 값이었다.
요약하면, <제조예>의 조성물이 각각의 단독 조성물 및 이의 혼합물(<비교예 1>의 조성물)의 숙취 해소 효과보다도, 대표적인 숙취 증상인 두통 또는 두중감, 위장관 불쾌감에 대하여 현저히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보이며, 다른 숙취 증상인 집중력 저하 또는 무력감, 갈증, 발한에 대해서도 숙취 해소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Claims (6)

  1. 홍삼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 오리나무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및 상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들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은 0.100 내지 2.500 중량부, 상기 오리나무추출물은 0.05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아그리모니추출물은 0.010 내지 2.000 중량부 및 상기 상엽추출물은 0.0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칡추출물, 헛개나무추출물, 울금추출물, L-아스파라긴, 오미자추출물, 쌀추출물, 배아추출물 및 벌꿀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추출물들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홍삼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칡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헛개나무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울금추출물 0.01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L-아스파라긴 0.01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오미자추출물 0.005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쌀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배아추출물 0.050 내지 2.000 중량부 또는 상기 벌꿀 1.000 내지 3.0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5. 청구항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인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30054121A 2013-05-14 2013-05-14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2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21A KR101324431B1 (ko) 2013-05-14 2013-05-14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21A KR101324431B1 (ko) 2013-05-14 2013-05-14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431B1 true KR101324431B1 (ko) 2013-10-31

Family

ID=4963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121A KR101324431B1 (ko) 2013-05-14 2013-05-14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1791A (zh) * 2014-11-24 2015-02-18 金宝弟 保健中药
KR101819892B1 (ko) 2015-11-24 2018-01-19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뽕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울금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WO2019212202A1 (ko) * 2018-04-30 2019-11-07 동아제약 주식회사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WO2021107233A1 (ko) * 2019-11-29 2021-06-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 친구들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7419B1 (ko) 2021-12-16 2022-08-29 권호성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434A (ko) * 2006-02-28 2007-08-31 바이오코리아 주식회사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 바이러스성 간염 또는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0981188B1 (ko) * 2008-01-18 2010-09-10 김숙자 칡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3860A (ko) * 2008-02-19 2010-11-25 가부시키가이샤 리키드 디자인 시스템즈 반도체 칩 및 반도체 장치
KR101150885B1 (ko) * 2009-10-09 2012-05-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숙취해소용 홍삼, 용아초, 미배아대두 추출물 및 참기름 혼합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434A (ko) * 2006-02-28 2007-08-31 바이오코리아 주식회사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 바이러스성 간염 또는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0981188B1 (ko) * 2008-01-18 2010-09-10 김숙자 칡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3860A (ko) * 2008-02-19 2010-11-25 가부시키가이샤 리키드 디자인 시스템즈 반도체 칩 및 반도체 장치
KR101150885B1 (ko) * 2009-10-09 2012-05-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숙취해소용 홍삼, 용아초, 미배아대두 추출물 및 참기름 혼합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1791A (zh) * 2014-11-24 2015-02-18 金宝弟 保健中药
KR101819892B1 (ko) 2015-11-24 2018-01-19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뽕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울금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WO2019212202A1 (ko) * 2018-04-30 2019-11-07 동아제약 주식회사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WO2021107233A1 (ko) * 2019-11-29 2021-06-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 친구들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7419B1 (ko) 2021-12-16 2022-08-29 권호성 숙취해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43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34385B1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0626398B1 (ko) 흡연자 및 흡연경력자를 위한 항산화영양소 보충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160117034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532355B1 (ko) 배를 활용한 한약재 배합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5459643B2 (ja) 喫煙毒性解毒用組成物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JP5869253B2 (ja) 自律神経調節剤
KR10049652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KR101274099B1 (ko)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줄기새순 및 갈화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82449B1 (ko)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76127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482B1 (ko)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30155125A (ko) 녹각 영지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34200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15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00120997A (ko) 알콜성 치매 예방용 초코렛칩
KR20230059238A (ko)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0913365B1 (ko) 피로 회복제 조성물
KR20210023085A (ko) 알콜성 치매 예방용 농축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