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7233A1 -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233A1
WO2021107233A1 PCT/KR2019/016781 KR2019016781W WO2021107233A1 WO 2021107233 A1 WO2021107233 A1 WO 2021107233A1 KR 2019016781 W KR2019016781 W KR 2019016781W WO 2021107233 A1 WO2021107233 A1 WO 20211072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natural
weight
activit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67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 친구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 친구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 친구들
Publication of WO20211072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233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mixing and processing slugs, roe deer chaeri mushroom, horseradish fruit, and rice to remove hangover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It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nd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orean society drinking is an important medium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at relieves mental and physical tension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is widely practiced as a means of community gathering.
  • a hangover refers to an unpleasant experience that appears physically or mentally after taking alcoholic beverages and a phenomenon that causes a decrease in mental and physical work ability. A hangover can usually occur over a period of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 the main symptoms of a hangover include headache, muscle pain, nausea, vomiting, dizziness, poor concentration, dry mouth, fatigue, satiety, hyperexcitability, agitation and depression, and sweating. etc.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discomfor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ay also be accompanied. Weakness and cognitive decline may be important symptoms of alcohol-induced hangovers.
  • a hangover occurs when acetaldehyde, which is broken down during the body's metabolism of alcohol, acts harmfully to the human body. Alcohol is oxidized to acetaldehyde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in the liver, and then decomposed into acetic acid and hydrogen by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nd excreted through urine.
  • ADH alcohol dehydrogenase
  • ADH aldehyde dehydrogenase
  • herbal medicine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functional chemicals such as curcumin, natural substances derived from non-plants such as pufferfish and yellow pollack, and functional water such as mineral water. .
  • functional chemicals such as curcumin
  • natural substances derived from non-plants such as pufferfish and yellow pollack
  • functional water such as mineral water.
  • heotgae tree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arrowroot, ginseng/red ginseng, alder, dermis, and sagebrush.
  •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a hangover relieving effect containing a complex herbal extract of palm cactus, alder tree, hollyhock tree, and brown root which has an alcohol decomposition effect and a liver protection effect and is easy to take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or has no side effects due to natural raw materials, and as a par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having hangover removal activity as well as antidiabe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y
  • a multifunctional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ntaining fruit and rice as the main ingredients was develop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superior to that of conventional commercial products, lea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natural complex having hangover removal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y by mixing and processing slugs, roe deer burdock mushroom, fern fruit, and rice.
  •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raw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method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composition manufacturing step (S100) for prepar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slugs, roe deer burdock mushroom, hutgae fruit, and rice (S100) ); and a processing step (S200) of processing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nto any one formulation of pills, liquids, and granules.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preparation step (S100) is characterized by mixing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to 40% by weight of roe deer mushroom, 25 to 40% by weight of Heotgae fruit, and 5 to 15% by weight of rice.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manufacturing step (S100) is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to 40% by weight of roe deer mushroom, 25 to 40% by weight of Heotgae fruit, 5 to 15% by weight of rice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raw material mixture With respect to it, it is characterized by adding 1 to 200 parts by weight of any one of natural binders, organic acids, sweeten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into a formulation of any one of pills, liquids, and granules by processing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slugs, roe deer burdock mushroom, hutgae fruit, and ri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by a mixture of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to 40% by weight of roe deer mushroom, 25 to 40% by weight of Heotgae fruit, and 5 to 15% by weight of rice.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raw material mixture comprising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to 40% by weight of roe deer mushroom, 25 to 40% by weight of Heotgae fruit, and 5 to 15% by weight of rice, a natural b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1 to 200 parts by weight of any one of organic acids, sweeteners, and combinations thereof are added.
  • the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y one of a hangover removal activity, an antidiabetic activity, an antioxidant activity, an antibacterial activity,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ny one of total flavonoids, total polyphenols, and combinations thereof is increased.
  • the hangover removal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y are excellent compared to commercial produc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mixing and processing slugs, roe deer chaeri mushroom, horseradish fruit, and rice to remove hangover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It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nd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method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composition manufacturing step (S100) and the natural complex for prepar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slugs, roe deer burdock mushroom, hutgae fruit, and rice It includes a processing step (S200) of processing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into any one formulation of pills, liquids, and granules.
  • S100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composition manufacturing step
  • S200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into any one formulation of pills, liquids, and granules.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manufacturing step (S100) is a step of preparing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slugs, roe deer bursiformes, fern fruit, and rice,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egrets, 25 to 40% by weight, 25 to 40% by weight of hutgae fruit, and 5 to 15% by weight of rice can be mixed to prepare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 the main raw material (slugworm, roe deer burdock mushroom, horseradish fruit, rice) is a liquid and the liquid extract extracte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of any one of powdery, distilled water, alcohols, and combinations thereof prepared through a dry-pulverization process. Any one of dry powder may be used.
  • freeze-dried ones When using powdered main ingredients, it is preferable to use freeze-dried ones to minimize loss and denaturation of active ingredients.
  • slugs and roe deer may be used freeze-dried and pulverized, and as the hutgae fruit, an extract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a granulated product of the hutgae fruit extract may be used.
  • Rice may be in a powder form pulverized to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 to 300 ⁇ m using a roll mill, and in this case, the moisture content is preferably 10 to 15 wt%.
  • a main raw material comprising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to 40% by weight of roe deer mushroom, 25 to 40% by weight of Heotgae fruit, and 5 to 15% by weight of ric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1 to 200 parts by weight of any one of a natural binder, an organic acid, a sweetener, and a combination thereof is added to prepare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the natural binder serves as a binder for binding the raw materials, and may include any one of starch, organic calcium, collagen, agar, gelatin,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has a viscosity of 1,000 to 30,000 cP may be added to have
  • organic calcium is calcined at 650 to 1300 °C of any one or more raw materials of seaweed, corals and crustaceans, and then stirred and dried at 100 to 350 rpm for 5 to 25 minutes with an organic acid solution, calcined and organic acid treatment
  • organic acid solution calcined and organic acid treatment
  • An organic acid is added for pH control, preservation, and viscosity control, and the organic acid is any one of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salicylic acid, acetic acid, butyric acid, palmit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glycolic acid, sulfon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and preferably, any one of citric acid, mal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 Sweeteners are added to increase sugar content and taste, and most of the sweeteners have viscosity and serve as a natural binder, and at the same time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the elution of active ingredients and microorganism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 the sweetener may include any one of honey, grain syrup, maple syrup, coconut sugar, date palm, blackstrap molasses, stevia, agave syrup, sucanat, fructos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bacopa monnieri, collard green, centella asiatica, earth near, machihyun, squash, butternut squash, wormwood, guava leaf, noni, lotus root, sandalwood, spirulina, yam. And any one of the sub-additional natural raw materials in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added.
  • the ingredients and the mixing ratio of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added, but not added at once, but sequentially mixed and processed in a predetermined method
  • an alkali treatment step (S110) of alkali treatment of slugs, roe deer mushroom and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and alkali-treated raw materials, heotgae fruit including a mixing step (S120) of mixing the rice flour and the additive.
  • the alkali treatment step (S110) is a step of alkali treat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main raw material slugs, roe deer's mushroom and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 the alkali treatment Through the alkali treatment, the alkaloid component of the slugs and the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active ingredient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beta-glucan can be improved, and in the case of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the dissolution properties of active ingredients can be further improved by decomposing the fibers of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through alkali treatment, and phytol
  • the group is separated to form chlorophyllide, and the methyl ester bond is again hydrolyzed to form dark green chlorophyllin, thereby preventing browning and oxidation.
  • any one of a treatment method using an alkali solution, a treatment method using an alkaline natural product, and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any one of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ammon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sodium hydrogen carbo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alkaline solution is 1 to 15% (w/ v), the raw material is immersed in the alkali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25 to 85° C., and the reaction time is 10 to 120 minutes.
  • ultrason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hrough the ultrasonic treatment, fiber decomposi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of active ingredients can be further activated.
  • Sonication is performed for 5 to 20 minutes at an intensity of 20 kHz to 35 kHz,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above-described effect when it is performed at less than the ultrasonic intensity and the ultrasonic treatment time, and when it is performed in excess of the ultrasonic intensity and the ultrasonic treatment time Since denatu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occur, it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the above conditions.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manufacturing step (S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but alkali-treated raw materials, Heotgae fruit, and rice flour prior to mixing with the auxiliary additives.
  •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immersing in a chitosan solution, an alkali treatment step (S110) of alkali treatment of slugs, roe deer mushroom and sub-additive natural raw materials, and a chitosan solution of immersing the alkali-treated raw materials, heotgae fruit, and rice flour in a chitosan solution
  • an immersion treatment step (S115) and a mixing step (S120) of mixing the raw materials and sub-additives immersed in the chitosan solution includes an immersion treatment step (S115) and a mixing step (S120) of mixing the raw materials and sub-additives immersed in the chitosan solution.
  • the chitosan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chitosan-derived particles containing any one of chitin, chitosan, and derivatives thereof and a solvent, and in the chitosan solution immersion treatment step (S115), alkali-treated raw materials, Heotgae fruit, and rice flour are added to the chitosan solution.
  • the raw material and the active ingredient are adsorbed to the chitosan-derived particles, thereby improving the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preventing the loss and denatu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 the derivatives of chitin and chitosan include any one of glycol chitin, dihydroxypropyl chitin, phosphorylated chitin, N-carboxymethyl chitosan, glycol chitosan, N-dihydroxypropyl chitosan,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chitosan-derived particles may be used to have a thickness of 100 nm to 150 ⁇ m.
  •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s 2 to 4 may further include an aging step of aging the mixture at 30 to 40° C. for 48 to 96 hours after mixing the main raw material and sub-additives, Functionality, palatability and long-term storage stabilit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aging stage.
  • the processing step (S200) is a step of processing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nto any one formulation of pills, liquids, and granules.
  • the viscosity of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s controlled to 5,000 to 30,000 cP, and the moisture content is controlled to 5 to 15 wt%, and then it can be prepared in the shape of a ring using a ventilation machine.
  • the method for forming into a ring uses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that is, a ventilation machine, etc., does not limit the size of the ring, that is, the diameter of the r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at the shape of the pill with edible gold foil after manufacturing.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may be provided by mixing it with any one solvent of distilled water, fruit juice, natural extract,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granular form can be prepared by drying and granulating using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a liquid phase using the same, and it can be prepared by applying any one of a spray drying method, a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a hot air drying method, and a combination thereof.
  • a spray drying method or a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may be used, and when the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is used, the device intake air amount is 5 to 15 m3/sec, the input pipe temperature is 80 to 150°C, the spray pressure is 10 to 50 bar, and the spray rate is It can be controlled from 1 to 10 kg/hr, and when using the spray drying method, the particle size is 10 to 500 ⁇ m by drying under an inlet temperature of 150 to 190 ° C, an outlet temperature of 80 to 110 ° C, and a supply amount of 6 to 10 L/h.
  • the processing step (S200) includes any one of mastic gum, xylitol, red wine, goat's milk, propoli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forming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nto any one of pills, liquids, and granules.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natural antioxidants. For a specific example, after the pill shape, the surface may be coated with a natural antioxidant or may be added together when preparing a liquid. By applying the natural antioxida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eservation as well as enhance the flavor.
  • a health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natural complex raw ma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slugs, roe deer burdock mushroom, hutgae fruit, and rice is prepared in any one of pills, liquids, and granules. processed in the form of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mixture of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to 40% by weight of roe deer mushroom, 25 to 40% by weight of Heotgae fruit, and 5 to 15% by weight of rice.
  • the main raw material (slugworm, roe deer burdock mushroom, horseradish fruit, rice) is a liquid and the liquid extract extracte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of any one of powdery, distilled water, alcohols, and combinations thereof prepared through a dry-pulverization process. Any one of dry powder may be used.
  • freeze-dried ones When using powdered main ingredients, it is preferable to use freeze-dried ones to minimize loss and denaturation of active ingredients.
  • slugs and roe deer may be used freeze-dried and pulverized, and as the hutgae fruit, an extract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a granulated product of the hutgae fruit extract may be used.
  • Rice may be in a powder form pulverized to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 to 300 ⁇ m using a roll mill, and in this case, the moisture content is preferably 10 to 15 wt%.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tains 25 to 40% by weight of slugs, 25 to 40% by weight of roe deer mushroom, 25 to 40% by weight of Heotgae fruit, and 5 to 15% by weight of rice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raw material mixture. In contrast, 1 to 200 parts by weight of any one of natural binders, organic acids, sweeteners, and combinations thereof is added.
  • the natural binder serves as a binder for binding the raw materials, and may include any one of starch, organic calcium, collagen, agar, gelatin,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has a viscosity of 1,000 to 30,000 cP may be added to have
  • organic calcium is calcined at 650 to 1300 °C of any one or more raw materials of seaweed, corals and crustaceans, and then stirred and dried at 100 to 350 rpm for 5 to 25 minutes with an organic acid solution, calcined and organic acid treatment
  • organic acid solution calcined and organic acid treatment
  • An organic acid is added for pH control, preservation, and viscosity control, and the organic acid is any one of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salicylic acid, acetic acid, butyric acid, palmit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glycolic acid, sulfon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and preferably, any one of citric acid, mal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 Sweeteners are added to increase sugar content and taste, and most of the sweeteners have viscosity and serve as a natural binder, and at the same time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the elution of active ingredients and microorganism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 the sweetener may include any one of honey, grain syrup, maple syrup, coconut sugar, date palm, blackstrap molasses, stevia, agave syrup, sucanat, fructos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bacopa monnieri, collard green, centella asiatica, earth near, machihyun, squash, butternut squash, wormwood, guava leaf, noni, lotus root, sandalwood, spirulina, yam. And any one of the sub-additional natural raw materials in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added.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dded in the composition and mixing ratio of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active ingredient is not added at once, but sequentially mixed and processed in a predetermined method. It is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with improved dissolu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btained by alkali-treating slugs, roe deer bursiformes, and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and mixing the alkalized raw material, wild kale fruit, rice flour, and supplementary additives.
  • Alkali treatment can increase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active ingredients of slugs, leucoma, and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which are main raw materials, and more specifically, alkaloid components of slugs through the alkali treatment and beta-glucan of roe deer mushroom, etc.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active ingredients such as polysaccharides, and in the case of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the dissolution properties of the active ingredients can be further improved by decomposing the fibers of the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through alkali treatment, and the phytol group is reduced. Chlorophyllide is formed, and the methyl ester bond is again hydrolyzed to form dark green chlorophyllin, thereby preventing browning and oxidation.
  • any one of a treatment method using an alkali solution, a treatment method using an alkaline natural product, and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any one of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ammon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sodium hydrogen carbo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alkaline solution is 1 to 15% (w/ v), the raw material is immersed in the alkali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25 to 85° C., and the reaction time is 10 to 120 minutes.
  • ultrason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hrough the ultrasonic treatment, fiber decomposi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of active ingredients can be further activated.
  • Sonication is performed for 5 to 20 minutes at an intensity of 20 kHz to 35 kHz,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above-described effect when it is performed at less than the ultrasonic intensity and the ultrasonic treatment time, and when it is performed in excess of the ultrasonic intensity and the ultrasonic treatment time Since denatu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occur, it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the above conditions.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but the alkali-treated raw material, Heotgae fruit, and rice flour are immersed in a chitosan solution prior to mixing with the additive.
  • the raw material immersed in the chitosan solution is obtained by alkali-treating slugs, roe deer oyster mushroom and supplementary natural raw materials, and immersing the alkali-treated raw materials, hutgae fruit, and rice flour in a chitosan solution, and the additive and It is prepared by mixing.
  • the chitosan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chitosan-derived particles containing any one of chitin, chitosan, and derivatives thereof and a solvent, and by immersing the alkali-treated raw material, hutgae fruit, and rice flour in the chitosan solution, the raw material and By adsorbing the active ingredien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reten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preventing the loss and denatu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 the derivatives of chitin and chitosan include any one of glycol chitin, dihydroxypropyl chitin, phosphorylated chitin, N-carboxymethyl chitosan, glycol chitosan, N-dihydroxypropyl chitosan,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chitosan-derived particles may be used to have a thickness of 100 nm to 150 ⁇ m.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s 2 to 4 may be aged for 48 to 96 hours at 30 to 40° C. after mixing the main raw material and auxiliary additives, and functional, palatability and long-term properties through aging treatment Storage stability may be enhanced.
  • the prepared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s processed into any one of pills, liquid, and granular formulations.
  • the viscosity of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is controlled to 5,000 to 30,000 cP, and the moisture content is controlled to 5 to 15 wt%.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ring using a ventilation machine.
  • the method for forming into a ring uses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that is, a ventilation machine, etc., does not limit the size of the ring, that is, the diameter of the r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at the shape of the pill with edible gold foil after manufacturing.
  •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may be provided by mixing it with any one solvent of distilled water, fruit juice, natural extract,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granular form can be prepared by drying and granulating using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a liquid phase using the same, and it can be prepared by applying any one of a spray drying method, a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a hot air drying method, and a combination thereof.
  • a spray drying method or a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may be used, and when the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is used, the device intake air amount is 5 to 15 m3/sec, the input pipe temperature is 80 to 150°C, the spray pressure is 10 to 50 bar, and the spray rate is It can be controlled from 1 to 10 kg/hr, and when using the spray drying method, the particle size is 10 to 500 ⁇ m by drying under an inlet temperature of 150 to 190 ° C, an outlet temperature of 80 to 110 ° C, and a supply amount of 6 to 10 L/h.
  • natural antioxidants containing any one of mastic gum, xylitol, red wine, goat's milk, propolis, and combinations thereof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 the surface may be coated with a natural antioxidant or may be added together when preparing a liquid. By applying the natural antioxida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eservation as well as enhance the flavor.
  • the Roeaceae mushroom was provided from Farm P, dried in the shade and then freeze-dried (Eyela, Japan) coarse powder was used.
  • the fruits of Heotgae tree were collected at G location in Chungcheongnam-do, dried, and then extracted with hot water at 100 °C for 10 hours with distilled water 10 times the weight of the sample using a hot plate.
  • the extract was filtered and concentrated using filter paper (WHATMAN 0.45 ⁇ m), and dried in a dryer to obtain a powder.
  • Rice flour was manufactured by purchasing non-glutinous rice from the domestic H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fter washing the rice three times, it was immersed in water about three times the weight of the rice (3 hours), and after removing the water, it was applied to the mill for the production of rice flour. In order to equaliz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ice flour, it was dried using a far-infrared dryer (SLD-1400S, CILIC Tech, Daegu, Korea) so that the final moisture content was 14 ⁇ 1%, and then sealed and stored as a sample.
  • SLD-1400S far-infrared dryer
  • Eukaryotic cells have a variety of alcohol metabolism pathways unlike prokaryotic cells, and in particular,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has an alcohol metabolism pathway similar to human cells. Therefore, evaluating alcohol toxicity changes using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can be used as another analytical method for hangover elimination.
  • yeast was inoculated so that the absorbance became 0.02 in YPD medium containing 4% ethanol, which showed 50% growth inhibition within 24 hours, and then the sample for evaluation of hangover removal was added so that the final 0.4%, 4, 8, 12 , and yeast growth after 24 hours were measured, respectively.
  • the alcohol absorbed into the body is finally converted into water and carbon dioxide by the sequential reaction of ADH and ALDH and detoxifi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angover removal ability by measuring the effect of the hangover remover on ADH and ALDH.
  • ADH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Blandino's method, and the NADH production rate at an absorbance of 450 nm was evaluated.
  • the reaction solu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assay kit manufacturer (Sigma Co.), and the standard curve was evaluated for the following mixture (Table 1).
  • Reagent uM 0 40 80 120 160 200 1 mM NADH 0ul 2ul 4ul 6ul 8ul 10ul ADH Assay Buffer 82ul 80ul 78ul 76ul 74ul 72ul Developer 8ul 2M Ethanol 10ul
  • Relative ADH activity (%) B/A ⁇ 100A : ⁇ Abs/min of control at 450nm
  • ALDH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Blandino's method, and the NADH production rate at an absorbance of 450 nm was evaluated.
  • the half solu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assay kit manufacturer (Sigma Co.). After the pre-reaction at 37° C. for 5 minutes, the change in absorbance at 450 nm for 5 minutes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sample to which no sample was added was used as a control, and the ALDH activity of the sample was measured as relative activity to the control (Tables 4 and 5), and is expressed as follows.
  • Antioxidant activity is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anion scavenging activity [DSA], ABTS [2,2-az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cation scavenging activity [ASA], reducing power evaluation and It was evaluated by measuring nitrite scavenging activity [NSA], and vitamin C (Sigma Co.) was used as a control for activity evaluation, and DMSO was used as a solvent control.
  • DSA measurement 380 ⁇ l of 2 ⁇ 10 -4 M DPPH solution dissolved in 99.5% ethanol was added to 20 ⁇ l of samples diluted to various concentrations, mixed, and reacted at 37° C. for 30 minutes, followed by a microplate reader at 516 nm. (Asys Hitech, Expert 96, Asys Co, Austria) was used to measure the absorbance. DSA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absorbance of the sample addition and non-addition groups.
  • ASA ASA measurement: After mixing 5 ml of 7 mM ABTS (Sigma Co.) and 88 ml of 140 mM potassium persulfate, light was blocked at room temperature for 16 hours to form ABTS cations. It was diluted with ethanol to 1.5. After mixing 190 ⁇ l of the prepared diluted solution and 10 ⁇ l of the sample, the mixture was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6 minutes, absorbance was measured at 734 nm, and ASA (%)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 nitrite scavenging ability For the measurement of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sample solution was added to a nitrite solution (1 mM), and 0.1 N HCl was added thereto to adjust the pH to 1.2, and after reacting at 37°C for 1 hour, Griess reagent (Sigma Co.) was added and mixed. . After leaving at room temperature for 15 minutes,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0 nm to measure the amount of remaining nitrite. NSA (%)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the provided sample a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remover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tarch degrad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and the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 -amylase inhibitory activity was evaluated by quantifying the amount of undigested starch using the principle that starch develops a blue color in an iodine staining solution (I2+KI). First, 2.5 ⁇ l of samp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25 ⁇ l of ⁇ -amylase (0.25 U/ml) diluted with 50 mM phosphate buffer (pH 6.8) were mixed and preincubated at 37°C for 10 minutes, followed by 0.5% soluble starch (Samchun Chemicals Co.) ., Korea) was added and reacted at 37°C for 10 minutes.
  • I2+KI iodine staining solution
  • Inhibition rate (%) [1-(enzyme activity in the sample addition group/enzyme activity in the control group)] x 100.
  • ⁇ -amylase inhibitory activity was used by modifying the method of Lim et al. First, 2.5 ⁇ l of samp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25 ⁇ l of ⁇ -amylase (0.25 U/ml) diluted with 50 mM phosphate buffer (pH 6.8) were mixed and preincubated at 37°C for 10 minutes, followed by 0.5% soluble starch (Samchun Chemicals Co.) ., Korea) was added and reacted at 37°C for 10 minutes. Then, the reaction was stopped by heating at 100°C for 5 minutes, and 150 ⁇ l of DNS (3,5-dinitrosalicylic acid, Sigma Co., St.
  • DNS 1,5-dinitrosalicylic acid
  • Inhibition rate (%) [1-(enzyme activity in the sample-added group/enzyme activity in the control-added group)] x 100.
  • ⁇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o measure ⁇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2.5 ⁇ l of samp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25 ⁇ l of ⁇ -glucosidase (0.68 U/ml) diluted with 50 mM sodium acetate buffer (pH 5.6) were mixed and heated at 37°C. After preincubation for 10 minutes, 25 ⁇ l of a 1 mM pNPG (p-nitrophenol glucoside; Sigma Co., USA) solution was added and reacted at 60° C. for 10 minutes. Then, 25 ⁇ l of 1M NaOH was added to stop the reactio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05 nm to calculate the inhibition rate.
  • pNPG p-nitrophenol glucoside
  • Inhibition rate (%) [1-(enzyme activity in the sample addition group/enzyme activity in the control group)] ⁇ 100
  • the in-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provided sample a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remover was evalua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viously reported method.
  • the gram-positive bacteria for the antibacterial activity evaluation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Listeria monocytogenes KACC 10550, Bacillus subtilis KCTC to 1924, a gram-negative bacterium Escherichia coli KCTC 1682, Pseudomonas aeruginosa KACC 10186, Proteus vulgaris KCTC 2433, Fungi include Candida albicans KCTC 1940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F0 0233 were used.
  • each bacteria was inoculated in Nutrient broth (Difco Co., USA)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and then each strain was adjusted to OD600.1 to Nutrient agar (Difco Co., USA).
  • a sterile petri dish 90 ⁇ 15 mm, Green Cross Co., Ltd. Korea
  • 5 ⁇ l of each sample to sterile disc-paper (diameter 6.5 mm, Whatsman No. 2).
  • Chromaticity was measured using a Hunter Color Difference meter (Super color SP-80 Colormeter, Tokyo Denshoku Co., Japan), and the brightness (lightness, L ), redness (redness, a ), and yellowness (yellowness, b ) were measured. measured.
  • the chromaticity of the standard white board is the L value 92.44, a value of -0.06, the b value was defined as the reference 1.35, the measured three times per sample showed obtain an average color difference ( ⁇ 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Calculated.
  • each sample was extracted with methanol for 18 hours, and 4 mL of 90% diethylene glycol was added to 400 ⁇ l of the filtered extraction sample, 40 ⁇ l of 1N NaOH was added agai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20 nm after reaction at 37° C. for 1 hour.
  • rutin was used as a standard reagent. Reducing sugar was quantified by DNS method and total sugar was quantified by phenol-sulfuric acid method.
  • the pH, brix (water-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ity of the provided raw material powder and the complex natural powder made by mixing it and 4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agents were measured.
  • Table 6 shows the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labeling of 4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agents and the ingredients of the complex natural powder.
  • Table 7 shows the pH, brix, and acidity of the raw material powder and the complex natural powder made by mixing it and 4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agents.
  • the complex natural powder showed pH 6.4, brix 4.0, and acidity 1.02, indicating a sugar/acid ratio of about 3.9.
  • the acidity also varied from 0.41 to 0.91.
  • the sugar/acid ratio was 39-41 with an acidity of 0.41, which was similar, and the D*** product was 33.1, indicating a lower sugar/acid ratio than other products.
  • the highest acidity was confirmed in B**, with a sugar content of 14.8% and an acidity of 0.91%.
  • the sugar/acid ratio was the lowest at 16.2, and it was judged to be the best sensory.
  • Table 8 shows the chromaticity of the raw material powder and the composite natural powder made by mixing it.
  • the highest brightness was exhibited in the Rosaceae mushroom powder, and the highest redness in the Heotgae fruit powder, and the yellowness was the highest in the prepared complex natural powder.
  • the chromaticity of the finally prepared complex natural powder was 37.38, indicating that it was most affected by the chromaticity of the roe deer mushroom.
  • the chromaticity of the raw material powder, the complex natural powder made by mixing it, and the supernat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mplex natural powder supernatant) and 4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agents were measured by adding 10-fold distilled water and eluting at room temperature. (Table 9)
  • the manufactured complex natural powder showed the highest brightness
  • the slug powder showed the highest redness
  • the yellow slug powder also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yellowness.
  • the chromaticity of the supernatant (a state similar to the actual drinking solution) obtained by adding 10 times distilled water to the raw material powder and the complex natural powder made by mixing it was 71.61 ⁇ 75.46,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rejection.
  • the chromaticity of the 10-fold hydrous extract of the prepared complex natural powder and four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removers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brightness of the prepared complex natural powder was 20.89, the redness was -0.93, and the yellowness was 4.29. was 71.68.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the chromaticity was 75.74 to 80.14.
  • hot water extract was prepared, and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useful components of the hot water extract and 4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agents (Table 10).
  • the prepared hot water extract powder showed a high polyphenol content of 20.8 mg/g, a high flavonoid content of 4.8 mg/g, and a low reducing sugar content of 113 mg/g.
  • commercial hangover removers showed a total polyphenol content of 13.9 mg/g and a high reducing sugar content of 629 mg/g for B**.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pared hot water extract powder could be developed as a health-oriented beverage with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low sugar content. However,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sensory by correcting the recipe because the taste and aroma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ommercial products.
  • the ethanol concentration showing 50% growth inhibition in YPD medium using S. cerevisiae was determined.
  • the YPD medium containing 4% ethanol wa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hangover remover activity.
  • ADH-like activity was not recognized in both the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agent used in the experiment and the combined natural powder hangover in this study, but 15 minutes in the case of the combined natural powder hangover in this study (10% added) Thereaf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 activity was increased 1.2-fol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 there was a slight increase, and in the case of A**, there was little effect.
  • ALDH-like activity was not recognized in both the commercial hangover agent used in the experiment and the combined natural powder hangover in this study, but in the case of the combined natural powder hangover in this study (10% added) after 15 minutes , it was confirmed that the ALDH activity was increased by 1.1 fold. On the other hand, B*** and A** did not increase ALDH activity, but rather showed partial inhibition. This was judged to have affected the ALDH activity by various additives.
  • beta-amylase inhibitory activity was not recognized in all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drugs, and 5.5% of beta-amylase inhibitory activity was confirmed in the prepared hot water extract powder.
  •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12.6% in the prepared hot water extract powder, which wa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acarbose used in clinical practice,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uperior to that of commercial products.
  • the commercial product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500 against 10 types of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 antibacterial activity could not be confirmed at all ⁇ g/disc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the hot water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lower than that of ampicillin and miconazole, which are controls, but it was found that it h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could check
  • the main raw materials (slugworm, roe deer burdock mushroom, serrata fruit, and rice flour) we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10 times the weight of each sample was added with distilled water and extracted at 100° C. for 1 hour. After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wice After collecting the extract, filtering, and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to prepare a powder, hot water extract powder was prepared. Hot water slug extract powder and hot water extract powder of roe deer mushroom were prepared in a weight ratio of 1:1, added to 15% (w/v)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immersed at 35° C. for 30 minutes.
  • the main raw materials (slugworm, roe deer burdock mushroom, serrata fruit, and rice flour) we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10 times the weight of each sample was added with distilled water and extracted at 100° C. for 1 hour. After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wice After collecting the extract, filtering, and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to prepare a powder, hot water extract powder was prepared. Hot water slug extract powder and hot water extract powder of roe deer mushroom were prepared in a weight ratio of 1:1, added to 15% (w/v)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immersed at 35° C. for 30 minutes.
  • Alkali-treated slug powder, roe deer mushroom powder, hot water extract powder of Heotgae fruit, and rice flour were prepared to be 3:3:3:1 (w/w/w/w) and immersed in chitosan oligosaccharide solution.
  • 5 g of glutinous rice starch, 1 g of organic calcium, 1 g of citric acid, and 10 g of honey were added per 100 g of raw material immersed in chitosan oligosaccharide solution, and then aged at 38 ° C. for 96 hours to prepare a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 the hangover removal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rocessed product using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were confirmed.
  • Tables 16 to 18 show antidiabe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respectively.
  • Example 1 The natural composit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added to a pill machine to prepare a ring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7 mm,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ing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as a result, the pH was 5.6, 12 The brix and acidity were 0.79, and the sugar/acid ratio was 15.2, which was confirmed to be similar to or lower than that of a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 the color, aroma,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the manufactured pills were checked through a sensory test, and 14 people, 2 males and females each, from 20s to 70s were measured on a 10-point scale (10 points: very good). , 1 point: very ba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sory level was excellent at 9.2 points, 8.9 points, 9.4 points, 9.1 points, and 9.0 points, respectively, for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n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혼합 및 가공하여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향상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와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S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혼합 및 가공하여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향상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음주는 심신의 긴장을 풀고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매체이며, 공동체 규합의 수단으로 널리 행해지며, 여가시간에도 음주가 빠지지 않는다.
또한, 경제의 불안정성, 빈부격차에서 오는 사회적 소외감, 정신적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와 동시에 건강 및 숙취해소에 관한 관심이 점점 증대되면서 숙취해소제 시장은 그동안 꾸준히 매출이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인 닐슨 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숙취해소시장 매출규모는 수천억대에 육박했으며, 지난 20년간 추세를 살펴보았을 때 계속해서 증가될 것으로 관측한다.
숙취(hangover)란 알코올 음료를 복용한 후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나타나는 불쾌한 경험 및 심신의 작업 능력 감퇴를 초래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숙취는 통상 수 시간에서 며칠에 걸쳐서 나타날 수 있다.
숙취의 주요 증상으로는 두통, 근육통, 메슥거림, 구토, 현기증, 집중력 저하, 구갈, 피로감, 포만감, 과흥분증, 초조및 우울증상, 발한 등 이다. 등이 있다. 수면 패턴의 변화, 위장관 불쾌증상 등도 수반될 수 있다. 탈력감과 인지능력의 감소가 알코올에 의한 숙취의 중요한 증상일 수도 있다.
숙취는 알코올의 체내 대사과정 중 분해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인체에 유해하게 작용함으로써 나타난다.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고, 다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산과 수소로 분해된 뒤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숙취해소를 위한 음료 및 건강기능식품의 주성분을 살펴보면, 식물성 생약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커큐민과 같은 기능성 화학물질, 복어나 황태와 같은 식물 이외의 생물유래 천연물질, 광천수와 같은 기능성 물의 순이었다. 첨가되는 재료별로는 헛개나무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칡, 인삼·홍삼, 오리나무, 진피, 오가피 순이었다.
이와 관련한 특허문헌으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137549호에서 헛개나무 목질부, 열매 및 잎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별 분획물을 수득하고 이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능이 매우 우수한 목질부 열수 분획물, 잎 부탄올 분획물, 열매 부탄올 분획물, 목질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목질부 물 분획물을 선정하고, 이를 건조하여 혼합한 헛개나무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0608456호에서 알코올의 분해 작용 및 간장 보호 효과가 가지며 복용이 용이한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헛개나무 및 갈근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해소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시하고 있다.
종래 특허문헌은 공지의 효능을 갖는 생약제제를 단순히 이용하는데 목적을 두고있을 뿐이며, 건강식품에 적용시 감미료 등의 첨가제에 의해 유효성분의 발현 특성이 저하되고, 다양한 기능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천연원료유래로 부작용이 없으며, 숙취제거활성 뿐만 아니라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향상된 생리활성을 갖는 다기능성의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연구개발의 일환으로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기능성의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종래 시판제품에 비하여 월등히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혼합 및 가공하여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향상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와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주원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결합재, 유기산,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물을 1 내지 200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은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주원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결합재, 유기산,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물을 1 내지 200중량부 첨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은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생리활성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시판 제품에 비하여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향상된 생리활성 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혼합 및 가공하여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향상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와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S200)를 포함한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하여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주원료(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는 건조-분쇄공정을 통해 제조된 분말상, 증류수, 알코올류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액상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건조한 분말상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분말상의 주원료를 사용할 시, 유효성분의 소실 및 변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굼벵이, 노루궁뎅이는 동결건조 및 분쇄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헛개열매는 열수추출된 추출액 및 상기 헛개열매추출액을 과립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쌀은 롤밀장치를 이용하여 10 내지 300μm의 평균입도를 갖도록 분쇄된 분말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수분함량은 10 내지 15 wt%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에서는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주원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결합재, 유기산,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물을 1 내지 200중량부 첨가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천연 결합재는 원료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분, 유기칼슘, 콜라겐, 한천, 젤라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이 점도 1,000 내지 30,000 cP을 갖도록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유기칼슘은 해조류, 산호류 및 갑각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650 내지 1300℃에서 소성처리한 후 유기산수용액과 100 내지 350 rpm 에서 5분 내지 25분간 교반 및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데, 소성 및 유기산처리를 통해 다른 성분들과의 반응성 및 결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기산은 pH조절, 보존성, 점도제어를 위해 첨가되며,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사과산, 락트산, 살리실산, 아세트산, 부티르산, 팔미트산, 옥살산, 타타르산, 글리콜산, 설폰산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사과산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감미료는 당도 및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감미료의 대부분은 점성을 가져 천연결합재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발효공정시 유효성분의 용출 및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미료는 꿀, 조청, 메이플 시럽, 코코넛 당, 대추야자, 블랙스트랩 당밀, 스테비아, 아가베 시럽, 수카나트, 과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바코파 몬니에리, 콜라드그린, 병풀, 어스니어, 마치현, 후박, 버터넛 스쿼시, 개똥쑥, 구아바잎, 노니, 연자육, 백단향, 스피루리나, 참마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 천연원료를 첨가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배합비로 첨가하되, 한꺼번에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혼합 및 소정의 방법으로 가공처리함으로써 유효성분의 용출특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킨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및 부첨가 천연원료를 알칼리처리하는 알칼리처리단계(S110)와 알칼리처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 부첨가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120)를 포함한다.
알칼리처리단계(S110)는 주원료인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및 부첨가 천연원료가 갖는 유효성분의 용출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칼리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알칼리처리를 통해 굼벵이가 갖는 알칼로이드 성분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베타글루칸 등의 다당류 등의 유효성분 추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첨가 천연원료의 경우 알칼리처리를 통해 부첨가 천연원료의 섬유질을 분해하여 유효성분의 용출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파이톨기가 떨어져 나가 클로로필리드를 형성하고, 다시 메틸 에스테르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진한 녹색의 클로로필린을 형성하게 되면서 갈변 및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알칼리 처리는 알칼리 용액을 이용한 처리방법, 알칼리성 천연물을 이용한 처리방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알칼리 용액을 이용할 경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알칼리 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 용액의 농도는 1 내지 15%(w/v)를 사용하여, 알칼리 용액의 온도 25 내지 85℃, 반응시간은 10 내지 120분간 상기 원료를 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처리시, 초음파 처리를 동시 수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섬유질의 분해 및 유효성분의 용출특성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초음파 처리는 20kHz 내지 35 kHz 세기에서 5분 내지 20분간 수행되는데, 상기 초음파 세기 및 초음파 처리시간 미만으로 수행시에는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초음파 세기 및 초음파 처리시간을 초과하여 수행시에는 유효성분의 변성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되, 부첨가물과 혼합하기에 앞서 알칼리처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를 키토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및 부첨가 천연원료를 알칼리처리하는 알칼리처리단계(S110)와 알칼리 처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를 키토산 용액에 침지하는 키토산 용액 침지처리단계(S115)와 키토산 용액에 침지처리된 원료, 부첨가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120)를 포함한다.
키토산 용액은 키틴, 키토산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토산 유래입자와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키토산용액 침지 처리단계 (S115)에서는 알칼리 처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를 키토산 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키토산 유래입자에 상기 원료 및 유효성분을 흡착시켜 유효성분의 보유특성을 향상시키고, 유효성분의 소실 및 변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키틴 및 키토산의 유도체로는 글리콜키틴, 디히드록시프로필키틴, 인산화키틴, N-카르복시메틸키토산, 글리콜키토산, N-디히드록시프로필키토산, 키토산 올리고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키토산 유래입자는 100nm 내지 150 ㎛ 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단계는 주원료 및 부첨가물의 혼합 후, 혼합물을 30 내지 40 ℃ 에서 48 내지 96시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기능성, 기호성 및 장기저장 안정성이 증진될 수 있다.
가공단계(S200)는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환제 제조시에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의 점도를 5,000 내지 30,000 cP로 제어하고, 수분량 5 내지 15wt% 로 제어한 후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환으로의 성형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 즉 제환기 등을 이용하며, 환의 크기, 즉 환의 직경을 제한하지 않으며, 또한, 환제 형상을 제조 후 식용금박으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상의 경우,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증류수, 과일쥬스, 천연추출액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용매와 혼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매와 혼합 후 열수추출되거나 발효공정을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과립상은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상을 이용하여 건조 및 과립화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분무건조법, 유동층과립제조법, 열풍건조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가공공정을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법 또는 유동층과립제조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동층 과립 제조방법을 이용시, 장치 흡입 공기량 5 ~ 15㎥/sec, 투입관 온도 80 ~ 150℃, 분무압력 10 ~ 50 bar, 분무속도 1 ~ 10 kg/hr 로 제어될 수 있으며, 분무건조법을 이용시, 150 내지 190 ℃의 입구온도, 80 내지 110 ℃의 출구온도 및 공급량 6 내지 10 L/h 하에서 건조하여 입경크기가 10 내지 500㎛의 평균입도를 갖는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가공단계(S200)는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함에 있어 매스틱검, 자일리톨, 레드와인, 산양유, 프로폴리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환제 형상 후 표면에 천연 항산화제로 코팅하거나 액상의 제조시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천연항산화제를 적용함으로써 보존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풍미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은 상술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한 것이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주원료(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는 건조-분쇄공정을 통해 제조된 분말상, 증류수, 알코올류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액상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건조한 분말상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분말상의 주원료를 사용할 시, 유효성분의 소실 및 변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굼벵이, 노루궁뎅이는 동결건조 및 분쇄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헛개열매는 열수추출된 추출액 및 상기 헛개열매추출액을 과립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쌀은 롤밀장치를 이용하여 10 내지 300μm의 평균입도를 갖도록 분쇄된 분말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수분함량은 10 내지 15 wt%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주원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결합재, 유기산,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물을 1 내지 200중량부 첨가한 것이다.
이때, 천연 결합재는 원료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분, 유기칼슘, 콜라겐, 한천, 젤라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이 점도 1,000 내지 30,000 cP을 갖도록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유기칼슘은 해조류, 산호류 및 갑각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650 내지 1300℃에서 소성처리한 후 유기산수용액과 100 내지 350 rpm 에서 5분 내지 25분간 교반 및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데, 소성 및 유기산처리를 통해 다른 성분들과의 반응성 및 결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기산은 pH조절, 보존성, 점도제어를 위해 첨가되며,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사과산, 락트산, 살리실산, 아세트산, 부티르산, 팔미트산, 옥살산, 타타르산, 글리콜산, 설폰산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사과산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감미료는 당도 및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감미료의 대부분은 점성을 가져 천연결합재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발효공정시 유효성분의 용출 및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미료는 꿀, 조청, 메이플 시럽, 코코넛 당, 대추야자, 블랙스트랩 당밀, 스테비아, 아가베 시럽, 수카나트, 과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바코파 몬니에리, 콜라드그린, 병풀, 어스니어, 마치현, 후박, 버터넛 스쿼시, 개똥쑥, 구아바잎, 노니, 연자육, 백단향, 스피루리나, 참마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 천연원료를 첨가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배합비로 첨가하되, 한꺼번에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혼합 및 소정의 방법으로 가공처리함으로써 유효성분의 용출특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킨 천연복합원료 조성물로서,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및 부첨가 천연원료를 알칼리처리하고, 알칼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 부첨가물을 혼합한 것이다.
알칼리처리는 주원료인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및 부첨가 천연원료가 갖는 유효성분의 용출특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알칼리처리를 통해 굼벵이가 갖는 알칼로이드 성분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베타글루칸 등의 다당류 등의 유효성분 추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첨가 천연원료의 경우 알칼리처리를 통해 부첨가 천연원료의 섬유질을 분해하여 유효성분의 용출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파이톨기가 떨어져 나가 클로로필리드를 형성하고, 다시 메틸 에스테르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진한 녹색의 클로로필린을 형성하게 되면서 갈변 및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알칼리 처리는 알칼리 용액을 이용한 처리방법, 알칼리성 천연물을 이용한 처리방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알칼리 용액을 이용할 경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알칼리 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 용액의 농도는 1 내지 15%(w/v)를 사용하여, 알칼리 용액의 온도 25 내지 85℃, 반응시간은 10 내지 120분간 상기 원료를 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처리시, 초음파 처리를 동시 수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섬유질의 분해 및 유효성분의 용출특성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초음파 처리는 20kHz 내지 35 kHz 세기에서 5분 내지 20분간 수행되는데, 상기 초음파 세기 및 초음파 처리시간 미만으로 수행시에는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초음파 세기 및 초음파 처리시간을 초과하여 수행시에는 유효성분의 변성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포함하되, 부첨가물과 혼합하기에 앞서 알칼리처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를 키토산 용액에 침지한 것을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및 부첨가 천연원료를 알칼리처리하고, 상기 알칼리 처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를 키토산 용액에 침지하여 키토산 용액에 침지처리된 원료를 수득하고, 부첨가물과 혼합하여 제조된다.
키토산 용액은 키틴, 키토산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토산 유래입자와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알칼리 처리된 원료, 헛개열매, 쌀가루를 키토산 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키토산 유래입자에 상기 원료 및 유효성분을 흡착시켜 유효성분의 보유특성을 향상시키고, 유효성분의 소실 및 변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키틴 및 키토산의 유도체로는 글리콜키틴, 디히드록시프로필키틴, 인산화키틴, N-카르복시메틸키토산, 글리콜키토산, N-디히드록시프로필키토산, 키토산 올리고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키토산 유래입자는 100nm 내지 150 ㎛ 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따른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주원료 및 부첨가물의 혼합 후, 혼합물을 30 내지 40 ℃ 에서 48 내지 96시간 숙성처리될 수 있으며, 숙성처리를 통해 기능성, 기호성 및 장기저장 안정성이 증진될 수 있다.
준비된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처리되는데, 환제 제조시에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의 점도를 5,000 내지 30,000 cP로 제어하고, 수분량 5 내지 15wt% 로 제어한 후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환으로의 성형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 즉 제환기 등을 이용하며, 환의 크기, 즉 환의 직경을 제한하지 않으며, 또한, 환제 형상을 제조 후 식용금박으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상의 경우,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증류수, 과일쥬스, 천연추출액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용매와 혼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매와 혼합 후 열수추출되거나 발효공정을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과립상은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상을 이용하여 건조 및 과립화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분무건조법, 유동층과립제조법, 열풍건조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가공공정을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법 또는 유동층과립제조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동층 과립 제조방법을 이용시, 장치 흡입 공기량 5 ~ 15㎥/sec, 투입관 온도 80 ~ 150℃, 분무압력 10 ~ 50 bar, 분무속도 1 ~ 10 kg/hr 로 제어될 수 있으며, 분무건조법을 이용시, 150 내지 190 ℃의 입구온도, 80 내지 110 ℃의 출구온도 및 공급량 6 내지 10 L/h 하에서 건조하여 입경크기가 10 내지 500㎛의 평균입도를 갖는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함에 있어 매스틱검, 자일리톨, 레드와인, 산양유, 프로폴리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환제 형상 후 표면에 천연 항산화제로 코팅하거나 액상의 제조시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천연항산화제를 적용함으로써 보존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풍미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재료 및 방법
1-1. 원료의 준비
흰점박이꽃무지의 3령 유충(굼벵이)을 경기도 소재지의 S 곤충나라로부터 확보한 후, 먹이원(사료)을 제거하고 3일 동안 절식상태로 배변을 유도하였다. 유충을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한 후 자연건조하여 물기를 제거한 다음 115℃, 0.9 kgf/㎠로 5분간 고온고압멸균하고 -80℃에서 24시간 이상 동결 후, 동결건조기(Eyela, Japan)에서 약 48∼6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충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고, -80℃에 보관하며 시료로 사용하였다.
노루궁뎅이 버섯은 P농장으로부터 제공받아 음건한 후 동결건조(Eyela, Japan)를 거친 분말을 사용하였다.
헛개나무의 열매는 충남 G 소재지에서 채집하여 건조시킨 뒤 시료 중량에 대해 각각 10배의 증류수로 10시간 동안 100 ℃에서 Hot Plate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0.45 μm)를 사용하여 여과 및 농축시키고,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쌀가루는 국내산 H 농업협동조합 멥쌀 일반미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제조하였다. 쌀을 3회 수세한 후 쌀 무게의 3배 정도 물에 수침(3시간)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쌀가루의 제조를 위해 제분기에 적용하였다. 쌀가루의 수분함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원적외선 건조기(SLD-1400S, CILIC Tech, Daegu, Korea)를 사용하여 최종 수분함량이 14±1%가 되도록 건조한 후 밀봉하여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열수추출분말의 제조
굼벵이, 노루궁뎅이 버섯, 헛개 열매, 쌀가루를 각각 3:3:3:1 (w/w/w/w)로 한 시료 무게에 대해 1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100℃에서 1시간 추출하였으며, 상기 과정을 2회 반복 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열수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1-3. 숙취 제거 활성
1) 진핵 효모세포를 위한 알코올 독성 감소 활성 평가
진핵세포는 원핵세포와 달리 다양한 알코올 대사경로를 가지며, 특히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는 인간 세포와 유사하게 알코올 대사 경로를 가진다. 따라서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알코올 독성 변화를 평가하는 것은 숙취 제거의 또 다른 분석 방법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모에 50% 의 독성을 나타내는 에탄올을 처리하면서, 개발된 굼벵이, 노루궁뎅이 버섯, 헛개 열매, 쌀가루, 열수추출분말 및 시판 숙취 제거제 4종을 각각 20mg/5ml (0.4%) 농도로 첨가한 이후의 효모의 세포 독성 회복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때 사용한 실험배지는 YPD (yeast extract 0.5%, polypeptone 0.5%, dextrose 1%)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ethanol 은 0, 2, 4, 6, 8 및 10% 농도를 사용하였다.
실제 실험은 24시간 이내에 50% 생육저해가 나타나는 4% 에탄올을 포함하는 YPD 배지에 효모를 흡광도 0.02가 되도록 접종한 후, 숙취 제거 평가용 시료를 최종 0.4% 가 되도록 첨가하고, 4, 8, 12, 및 24시간 경과후의 효모 생육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2) 알코올 대사관련 효소의 활성 평가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은 ADH 및 ALDH의 순차적 반응에 의해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되어 무독화된다. 따라서, 숙취제거제의 ADH 및 ALDH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숙취 제거능을 판단할 수 있다.
ADH 의 활성 측정은 Blandino 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450nm에서의 NADH 생성속도를 평가하였다. 반응액은 Assay kit 제조사(Sigma Co.)의 지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표준곡선은 아래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표 1).
Reagent uM
0 40 80 120 160 200
1mM NADH 0ul 2ul 4ul 6ul 8ul 10ul
ADH Assay Buffer 82ul 80ul 78ul 76ul 74ul 72ul
Developer 8ul
2M Ethanol 10ul
이후 37℃에서 5분간 전반응 이후, 5분간 450nm에서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고, 시료의 ALDH 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상대활성으로 측정(표 2, 표 3)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내었다.
Reagent S 10ul TC 10ul
ADH Assay Buffer 72ul 82ul
Developer 8ul
2M Ethanol  10ul -
Sample 10ul
Reagent C TC 10ul S 10ul Blank
ADH Assay Buffer 82ul 82ul 72ul 92ul
Developer 8ul
2M Ethanol  10ul - 10ul -
Sample - 10ul 10ul -
상대 ADH 활성도 (%)= B/A × 100A : △ Abs/min of control at 450nm
B : △ Abs/min of sample at 450nm
ALDH 의 활성 측정은 Blandino 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450nm에서의 NADH 생성속도를 평가하였다. 반액은 Assay kit 제조사(Sigma Co.)의 지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후 37℃에서 5분간 전반응 이후, 5분간 450nm에서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고, 시료의 ALDH 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상대활성으로 측정(표 4, 표 5)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내었다.
Reagent uM
0 40 80 120 160 200
1mM NADH 0ul 2ul 4ul 6ul 8ul 10ul
ALDH Assay Buffer 43ul 41ul 39ul 37ul 35ul 33ul
ALDH Substrate Mix 2ul
Acetaldehyde 5ul
Reagent S 10ul TC 10ul PC 10ul SPC
ALDH Assay Buffer  33ul 38ul 23ul 33ul
ALDH Substrate Mix  2ul
Acetaldehyde  5ul - 5ul 5ul
Sample 10ul 10ul 10ul -
ALDH Positive Control - - 10ul 10ul
상대 ALDH 활성도 (%)= B/A × 100
A : △ Abs/min of control at 450nm
B : △ Abs/min of sample at 450nm
1-4. 항산화 활성
항산화 활성은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anion scavenging activity [DSA], ABTS [2,2-az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cation scavenging activity [ASA], 환원력 평가 및 nitrite scavenging activity [NSA] 측정으로 평가하였으며, 활성평가의 대조구로는 vitamin C (Sigma Co.)를, 용매 대조구로는 DMSO를 사용하였다.
먼저 DSA 측정의 경우, 다양한 농도로 희석한 시료 20 μl에 99.5% ethanol 에 용해시킨 2×10-4M DPPH용액 380 μl를 넣고 혼합하여 37℃ 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6 nm에서 microplate reader (Asys Hitech, Expert 96, Asys Co, Austri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SA는 시료 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ASA 측정의 경우, 7 mM ABTS (Sigma Co.) 5 ml와 140 mM potassium persulfate 88 ml를 섞은 후 상온에서 16시간 빛을 차단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켰으며, 이후 이 용액을 414 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ethanol로 희석하였다. 조제된 희석용액 190 μl와 시료 10 μl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ASA (%)를 결정하였다.
ASA (%) = [(C-S)/C] × 100,
C: DMSO 첨가시 흡광도, S: 시료 첨가시 흡광도.
환원력 평가의 경우 Oyaizu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Ethanol에 용해한 시료 2.5 ml에 0.2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6) 2.5ml와 10% potassium ferricyanide 2.5 ml를 첨가하고 50℃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10% trichloroacetic acid 2.5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등액은 증류수로 2배 희석한 후, 신선하게 조제된 0.1% ferric chloride 용액과 5:1 (v/v) 비율로 혼합하고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각각의 활성 평가는 각각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과 편차로 표시하였다.
Nitrite 소거능 측정의 경우, 아질산염 용액(1 mM)에 시료용액을 가하고 여기에 0.1 N HCl을 가해 pH 1.2로 조정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Griess reagent (Sigma Co.)를 가하고 혼합하였다. 이후 15분간 실온에서 방치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 nitrite 양을 측정하였다. NSA (%)는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NSA (%) = [1-(A-C)/B] ×100,
A: 1 mM nitrite 용액에 시료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B: 1 mM nitrite 용액의 흡광도, C: 시료의 흡광도.
1-5. 항당뇨 활성
제공시료 및 시판 숙취 제거제의 항당뇨 활성은 전분 분해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저해활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α-amylase 저해 활성: α-amylase 저해활성은 전분이 요오드 염색용액(I2+KI)에 청색으로 발색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미분해 전분의 양을 정량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다양한 농도의 시료 2.5 μl와 50 mM phosphate buffer (pH 6.8)로 희석한 α-amylase (0.25 U/ml) 25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preincubation 한 후, 0.5% soluble starch (Samchun Chemicals Co., Korea) 25 μl 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1N acetic acid 10 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으며, 반응액에 25 μl의 요오드 염색용액 (I2+KI)을 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발색하였다. 발색액은 96 well microplate reader (Sunrise-BAS/C, Tecan Co., USA)를 이용하여 6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실험은 3회 반복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다음의 식으로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각각의 효소활성은 unit로 환산하여 나타내었으며, α-amylase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를 IC50으로 계산하였다.
저해율(%)=[1-(시료 첨가구 효소활성/대조구 첨가구 효소활성)] ×100.
β-amylase 저해활성: β-amylase 저해활성은 Lim 등의 방법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다양한 농도의 시료 2.5 μl와 50 mM phosphate buffer (pH 6.8)로 희석한 β-amylase (0.25 U/ml) 25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preincubation 한 후, 0.5% soluble starch (Samchun Chemicals Co., Korea) 25 μl 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100℃에서 5분간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켰으며, 반응액에 150 μl의 DNS (3,5-dinitrosalicylic acid, Sigma Co., St. Louis, USA) 용액을 가하여 100℃에서 5분간 가열하여 발색한 후 상온에서 방냉하였다. 발색액은 96 well microplate reader (Sunrise-BAS/C , Tecan Co.,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실험은 3반복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다음의 식으로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각각의 효소활성은 unit로 환산하여 나타내었으며, β-amylase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를 IC50으로 계산하였다.
저해율(%) = [1-(시료 첨가구 효소활성/대조구 첨가구 효소활성)] ×100.
α-glucosidas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을 위해 다양한 농도의 시료 2.5 μl와 50 mM Sodium acetate buffer (pH 5.6)로 희석한 α-glucosidase (0.68 U/ml) 25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preincubation 한 후, 1 mM pNPG (p-nitrophenol glucoside; Sigma Co., USA) 용액 25 μl를 가하여 60℃에서 10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1M NaOH 25 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저해율(%) = [1-(시료 첨가구 효소활성/대조구 첨가구 효소활성)] ×100
1-6. 항균 활성
제공시료 및 시판 숙취 제거제의 in-vitro 항균 활성은 기존의 보고된 방법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항균 활성평가를 위한 그람 양성세균으로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Listeria monocytogenes KACC 10550, Bacillus subtilis KCTC 1924를, 그람 음성세균으로 Escherichia coli KCTC 1682, Pseudomonas aeruginosa KACC 10186, Proteus vulgaris KCTC 2433, 진균으로는 Candida albicans KCTC 1940및 Saccharomyces cerevisiae IF0 0233를 사용하였다. 항세균 활성 평가의 경우, Nutrient broth (Difco Co., USA)에 각각의 세균을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균주를 O.D.6000.1로 조정하여 Nutrient agar (Difco Co., USA) 배지를 포함하는 멸균 petri dish (90×15 mm, Green Cross Co., Ltd. Korea)에 100 μl 도말하고, 각각의 시료 5μl를 멸균 disc-paper (지름 6.5 mm, Whatsman No.2)에 가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진균 경우에는 Sabouraud dextrose (Difco Co. USA)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생육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구로는 항세균제인 ampicillin과 항진균제인 miconazole (Sigma Co., USA)을 각각 1 μg/disc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생육 저지환의 크기는 육안으로 생육이 나타나지 않는 부분의 지름을 mm 단위로 측정하였고, 3회 이상 평가 후 대표 결과로 나타내었다.
1-7. 기타 분석
1) 이화학적 분석
pH 및 brix 측정
pH는 시료 2g 을 50 ml 멸균 tube에 넣고, 18ml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30분간 실온에서 가용화하였으며, 이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pH와 brix를 측정하였으며, pH 측정은 320 pH meter (Mettler Toledo InLabR 413, UK)로 측정하였으며, brix 측정은 refractometer (Atago N-1E, Japan)을 이용하였다.
산도 측정
산도는 시료 2g 을 50 ml 멸균 tube에 넣고, 18ml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30분간 실온에서 가용화하였으며, 이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산도를 측정하였으며, 식품공전에서 정한 방법대로 phenolphthalein 지시약을 가하고 0.1 N NaOH로 적정하였으며, 결과는 acetic acid Eq. 로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색도는 Hunter Color Difference meter (Super color SP-80 Colormeter, Tokyo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lightness, L), 적색도(redness, a), 황색도(yellowness, b)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백판의 색도는 L값이 92.44, a값이 -0.06, b값이 1.35로 기준을 정하였으며, 시료당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색차(△E)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CTKR2019016781-appb-I000001
L: degree of lightness (white +100 ∼ 0 black),
a: degree of redness (red +100 ∼ -80 green),
b: degree of yellowness (yellow +70 ∼ -80 black)
E: overall color difference
2) 유용성분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2. 결과 및 고찰
2-1. 복합 천연분말 및 열수추출분말의 이화학적 특징
제공된 원료 분말과 이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 천연분말 및 시판 숙취제 4종의 pH와 brix(수용성 고형분 함량) 및 산도를 측정하였다.
시판 숙취제 4종의 표기사항에 따른 성분 및 복합 천연분말의 성분은 표 6과 같다.
구분 성분
B** 국산 헛개나무 열매 추출 농축액(1.30%)감초뿌리, 귤나무열매껍질, 타우린, 구연산 나트륨, 정제수합성항료 혼합물, 기타과당, 니코틴산, 설탕, 디아라린미강추출물, 사과산, 배아, 무수구연산, 대두 펩타이드황기, 컨디션농축액, 자라추출물, 창출뿌리 줄기효모추출물혼합물, 쌀, 복합허브추출물
C** 헛개나무 열매 추출농축액(1.40%)댕댕이나무 열매 농축액(1.15%),  구연산, 합성향료허브향, 타우린, 대두 펩타이드정제수, 인진쑥,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나트륨기타과당, 갈근, 효소처리스테비아, 말티톨 시럽감초, 알로에베라 겔 분말, 사과과즙, 대입둥글레펙틴, 사양벌꿀, 배초향, 비타민b1질산염이베아 복합 발효 추출액, 엉겅퀴, 비타민b2엠피3농축액,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D*** 헛개나무열매추출농축액 (1.50%)오이발효식초(3%) 배농축액, 혼합향료, 사과농축액(칠레산)홍삼농축액, 비타민b1질산염, 울금농축분말비타민b2, 정제수, 아미노라비릭스, 디엘-사과산기타과당, 글루타민, 니코틴산아미드타우린, 메티오닌, 복합 황금 추출물무수 구연산, 알라닌, 합성향료
A**** 혼합농축액(중국산정제수, 개암, 오리나무, 마가목 열매, 꿀, 대추, 생강, 박, 감초, 갈화, 프락토올리고당)정제수, 프락토올리고당
본 발명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 열매
표 7은 원료 분말과 이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 천연분말 및 시판 숙취제 4종의 pH, brix 및 산도를 보여준다.
구분 pH Brix Acidity 당/산
헛개열매 5.6 4.2 0.77 5.4
노루궁뎅이버섯 6.4 4.0 0.87 4.6
굼벵이 6.4 3.0 0.74 4.0
복합 천연분말 6.4 4.0 1.02 3.9
B** 3.8 14.8 0.91 16.2
C** 4.2 17 0.41 41.5
D*** 3.4 15.8 0.48 33.1
A**** 4.6 16 0.41 39.1
그 결과 복합 천연분말은 pH 6.4, brix 4.0, 산도 1.02를 나타내어 당/산 비는 약 3.9를 나타내었다. 한편 시판 4종 숙취 제거제의 경우, pH 3.4~4.6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brix는 14.8~17.0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도 역시 0.41~0.91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C** 및 A***의 경우 0.41의 산도로 당/산비는 39~41로 나타나 유사하였으며, D*** 제품의 경우 33.1로 다른 제품보다 낮은 당/산비를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산도는 B**에서 확인된 바, 당도 14.8%, 산도 0.91%로 당/산비는 16.2로 가장 낮았으며, 관능적으로는 가장 우수하리라 판단되었다.
원료 분말과 이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 천연분말의 색도를 측정하였다. 표 8은 원료 분말과 이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 천연분말의 색도를 보여준다.
구분 L a b DE
헛개열매 37.73±0.13 6.74±0.05 13.91±0.05 56.26±0.13
노루궁뎅이버섯 68.77±0.58 1.93±0.36 19.36±0.29 29.53±0.66
굼벵이 28.99±0.08 4.22±0.09 10.60±0.01 63.98±0.09
복합 천연분말 60.39±0.02 3.93±0.06 20.74±0.02 37.38±0.01
결과 노루궁뎅이버섯 분말에서 가장 높은 명도를, 헛개열매 분말에서 가장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으며, 황색도는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의 색도는 37.38로 나타나 노루궁뎅이 버섯의 색도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료 분말, 이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 천연분말에 10배 증류수를 가해 상온 용출한 상등액(이하, 복합 천연분말 상등액) 및 시판 숙취제 4종의 색도를 측정하였다.(표 9)
구분 L a b DE
헛개열매 17.20±0.00 -0.74±0.00 6.89±0.02 75.46±0.00
노루궁뎅이버섯 19.25±0.02 -1.36±0.00 6.40±0.04 73.40±0.02
굼벵이 19.47±0.11 -0.05±0.13 11.98±0.00 73.76±0.10
복합 천연분말 20.89±0.08 -0.93±0.07 4.29±0.01 71.61±0.08
B** 16.11±0.02 -0.32±0.16 4.19±0.05 75.74±0.02
C** 12.23±0.10 2.47±0.21 5.10±0.06 79.68±0.10
D*** 15.49±0.18 -1.30±0.19 5.37±0.19 76.41±0.18
A**** 11.74±0.00 0.64±0.11 5.24±0.00 80.14±0.00
결과,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에서 가장 높은 명도를, 굼벵이 분말에서 가장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으며, 황색도 역시 굼벵이 분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원료 분말과 이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 천연분말에 10배 증류수를 가해 상온 용출한 상등액(실제 음용액과 유사상태)의 색도는 71.61 ~ 75.46으로 나타났으며, 거부감이 없는 색도로 확인되었다.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의 10배 가수 추출액과 시판 4종의 숙취 제거제의 색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의 명도는 20.89, 적색도는 -0.93, 황색도는 4.29로 나타나, 최종적인 색도는 71.68로 나타났다. 반면 시판 제품의 경우 75.74~80.14의 색도를 나타내었다.
2-2. 열수추출분말의 유용성분 평가
복합 천연분말의 10배 가수 후 열수 추출액을 조제하고, 열수 추출액과 시판 숙취제 4종의 유용성분 분석으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평가하였다(표 10).
구분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sugar Reducing sugar
본 발명 20.8±0.1 4.8±0.8 250.3±4.2 113.0±3.1
B** 13.9±0.3 2.6±0.4 614.5±37.5 629.4±20.2
C** 1.8±2.3 2.8±0.7 768.2±4.9 502.2±29.2
D*** 4.8±1.5 2.2±0.3 1048.4±18.0 936.4±45.0
A**** 3.1±0.5 4.2±0.4 986.1±4.9 584.9±33.7
조제된 열수추출분말은 20.8 mg/g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4.8 mg/g의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113 mg/g의 낮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시판 숙취 제거제들은 B**의 경우 13.9 mg/g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629 mg/g 의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조된 열수추출분말은 다양한 생리활성과 낮은 당 함량으로 건강지향성 음료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판 제품에 비해 맛과 향은 부족하여 레시피 보정으로 관능성 향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2-3. 열수추출분말의 숙취 제거 활성
1) 진핵 효모세포를 위한 알코올 독성 감소 활성 평가
먼저 S. cerevisiae를 이용한 YPD 배지에서 50% 생육저해가 나타나는 에탄올 농도를 결정하였다. 예비 실험 결과 4% 에탄올을 포함하는 YPD 배지가 숙취 제거제 활성 평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4% 에탄올을 포함하는 YPD배지에 S. cerevisiae 효모를 흡광도 0.02가 되도록 접종한 후, 숙취 제거 평가용 시료를 최종 0.4% 되도록 첨가하고, 4, 8, 12, 및 24시간 경과후의 효모 생육도를 각각 측정하였다(표 11).
  OD 600 nm
0h 4h 8h 12h 24h
본발명 0% 0.02 0.02 0.085 0.27 0.95
0%+숙취해소 0.13 0.13 0.19 0.36 1
4% 0.015 0.015 0.015 0.02 0.32
4%+숙취해소 0.13 0.13 0.13 0.135 0.62
B** 0% 0.02 0.02 0.085 0.27 0.95
0%+숙취해소 0.045 0.06 0.125 0.37 1.15
4% 0.02 0.02 0.02 0.03 0.26
4%+숙취해소 0.05 0.058 0.058 0.07 0.52
A*** 0% 0.02 0.02 0.085 0.27 0.95
0%+숙취해소 0.06 0.07 0.1 0.28 1
4% 0.02 0.02 0.02 0.02 0.28
4%+숙취해소 0.06 0.06 0.06 0.07 0.39
C** 0% 0.02 - - 0.54 0.95
0%+숙취해소 0.14 - - 1 1
4% 0.02 - - 0.38 0.38
4%+숙취해소 0.12 - - 0.54 0.54
D*** 0% 0.02 - - 0.54 0.95
0%+숙취해소 0.1 - - 2 2
4% 0.02 - - 0.35 0.38
4%+숙취해소 0.08 - - 0.25 0.274
알코올 처리에 대한 독성 회복이 가장 우수한 것은 본 연구의 개발제품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B**, C**, A*** 으로 나타났으며, D***의 경우 알코올 독성 회복 효과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복합 천연분말 추출액은 알코올 독성에 대해 우수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시판 숙취제거제와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2) 알코올 대사관련 효소의 활성 평가
복합 천연분말 숙취제가 ADH 유사활성을 나타내는지, ADH 효소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 평가하였다. 먼저 NADH의 표준곡선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X=(Y+2.3809e-5)/2.42857e-3의 상관관계식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시판 숙취제와 본 연구의 복합 천연분말 숙취제의 경우, 모두 ADH-like activity (ADH 유사활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의 복합 천연분말 숙취제(10% 첨가)의 경우 15분 이후, ADH 활성을 1.2배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반면 B***의 경우 미미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A**의 경우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복합 천연분말 숙취제가 ALDH 유사활성을 나타내는지, ALDH 효소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 평가하였다. 먼저 NADH의 표준곡선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X=(Y+0.01621)/2.0996e-3의 상관관계식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시판 숙취제와 본 연구의 복합 천연분말 숙취제의 경우, 모두 ALDH-like activity (ALDH 유사활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의 복합 천연분말 숙취제(10% 첨가)의 경우 15분 이후, ALDH 활성을 1.1배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반면 B*** 및 A**의 경우 ALDH 활성을 증가시키지는 못하였으며, 오히려 부분적인 저해가 나타났다. 이은 다양한 첨가물에 의한 ALDH 활성에 영향을 준것으로 판단하였다.
2-4. 열수추출분말의 항산화 활성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의 10배 가수 열수 추출액과 4종 시판 숙취 제거제의 항산화 활성(표 12) 및 IC50 (표13)을 평가하였다.
구분 항산화 활성(%)
DPPH음이온 소거능 ABTS양이온 소거능 Nitrite소거능 Reducing power Abs. 700 nm
B** 17.6±1.9 41.7±1.8 34.13±1.35 0.315±0.004
C** 6.3±1.4 26.5±2.9 37.47±4.73 0.138±0.005
D*** 11.4±0.5 35.9±1.4 21.86±5.99 0.672±0.047
A**** 9.1±1.6 52.5±5.5 25.58±0.89 0.150±0.006
본 발명 21.8±0.0 86.5±0.2 37.71±5.74 0.984±0.086
구분 IC50 (ug/ml)
DPPH음이온 소거능 ABTS양이온 소거능 Nitrite소거능
B** 987.1 132.2 332.3
C** 799.1 218.7 173.1
D*** 315.9 140.1 262.5
A**** 552.5 148.2 163.3
본 발명 196.4 93.7 157.4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천연원료의 열수 추출액의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이 시판 4종 숙취 제거제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복합 천연분말 추출액은 지나친 음주 등으로 나타날 수 있는 산화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2-5. 열수추출분말의 항당뇨 활성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의 10배 가수 열수 추출액과 시판 숙취제 4종의 항당뇨 활성을 평가하였다(표 14).
구분 Anti diabates activity (%)
b-amylase nhibition(%) a-glucosidase inhibition(%)
B** -7.3±5.7 1.6±0.5
C** -9.2±5.6 -3.0±3.9
D*** -0.4±0.9 3.6±3.3
A**** -0.9±0.4 9.7±0.9
본 발명 5.5±0.2 12.6±0.1
acarbose 62.7±0.9 73.9±0.2
그 결과, 모든 시판 숙취제에서 beta-amylase 저해활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제조된 열수추출분말에서 5.5%의 beta-amylase 저해활성이 확인되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제조된 열수추출분말에서 12.6%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acarbose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활성이나, 시판제품과 비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6. 열수추출분말의 항균 활성
제조된 복합 천연분말의 10배 가수 열수 추출액과 4종 시판 숙취 제거제의 항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표 15), 실험에 사용된 시판제품은 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및 진균 10종에 대해 500 ㎍/disc 농도에서 모두 항균 활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열수 추출액의 경우 대조구인 ampicillin 및 miconazole에 비해 항균 활성이 낮으나, 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및 진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Gram positive Gram negative Yeast
L.m S.e S.a B.s E.c P.a P.v S.t C.a S.c
B** - - - - - - - - - -
C** - - - - - - - - - -
D*** - - - - - - - - - -
A**** - - - - - - - - - -
본 발명 12 14 7 6 3 8 14 5 5 2
Amp (1ug/disc) 24 24 25 25 16 18 28 9 - -
Mic (1ug/disc) - - - - - - - - 12 7
3.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이용한 가공물
(실시예 1)
상술된 열수추출분말 100g 당 찹쌀전분 5g, 유기칼슘 1g, 구연산 1g, 꿀 10g을 첨가 및 150rpm에서 20분간 교반한 후 38 ℃ 에서 96시간 숙성시켜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주원료(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및 쌀가루)는 상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 무게에 대해 1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100℃에서 1시간 추출하였으며, 상기 과정을 2회 반복 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열수추출분말을 준비하였다. 굼벵이 열수추출분말과 노루궁뎅이버섯 열수추출분말 1:1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15%(w/v)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35 ℃에서 30분간 침지처리하였다. 알칼리처리된 굼벵이 분말 및 노루궁뎅이버섯 분말, 헛개 열매 열수추출분말, 쌀가루를 3:3:3:1 (w/w/w/w)가 되도록 준비하고, 상기 주원료 100g 당 찹쌀전분 5g, 유기칼슘 1g, 구연산 1g, 꿀 10g을 첨가한 후 38 ℃ 에서 96시간 숙성시켜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주원료(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및 쌀가루)는 상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 무게에 대해 1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100℃에서 1시간 추출하였으며, 상기 과정을 2회 반복 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열수추출분말을 준비하였다. 굼벵이 열수추출분말과 노루궁뎅이버섯 열수추출분말 1:1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15%(w/v)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35 ℃에서 30분간 침지처리하였다. 알칼리처리된 굼벵이 분말 및 노루궁뎅이버섯 분말, 헛개 열매 열수추출분말, 쌀가루를 3:3:3:1 (w/w/w/w)가 되도록 준비하고, 키토산 올리고당 용액에 침지처리하였다. 키토산 올리고당 용액에 침지처리된 원료 100g 당 찹쌀전분 5g, 유기칼슘 1g, 구연산 1g, 꿀 10g을 첨가한 후 38 ℃ 에서 96시간 숙성시켜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이용한 가공물의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2 및 3의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10% 첨가의 경우 15분 이후, ADH 활성이 각각 1.1배, 1.2배, 1,2배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ALDH 활성이 각각 1.1배, 1.1배, 1.2배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부첨가물의 첨가에도 숙취제거활성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6 내지 표 18은 각각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을 보여준다.
구분 Anti diabates activity (%)
b-amylase inhibition(%) a-glucosidase inhibition(%)
열수추출분말 5.5±0.2 12.6±0.1
실시예 1 5.4±0.3 11.5±0.3
실시예 2 5.8±0.1 13.2±0.2
실시예 3 6.3±0.2 15.7±0.1
구분 항산화 활성(%)
DPPH음이온 소거능 ABTS양이온 소거능 Nitrite소거능 Reducing power Abs. 700 nm
열수추출분말 21.8±0.0 86.5±1.8 37.71±5.74 0.984±0.086
실시예 1 19.3±0.1 39.2±0.8 32.12±2.13 0.821±0.013
실시예 2 24.1±0.0 45.1±1.1 29.71±3.74 0.912±0.016
실시예 3 27.2±0.0 49.1±0.3 39.11±2.42 0.881±0.067
구분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sugar Reducing sugar
열수추출분말 20.8±0.1 4.8±0.8 250.3±4.2 113.0±3.1
실시예 1 19.2±0.1 5.1±0.2 578.2±3.8 511.2±11.2
실시예 2 28.1±0.7 6.2±0.1 424.1±1.7 629.4±4.2
실시예 3 28.3±0.2 7.1±0.3 477.2±0.4 436.4±31.0
그 결과, 부첨가물을 첨가하여 가공시에도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이 열수추출분말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 및 3의 높은 기능성은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의 알칼리 처리, 키토산 용액 침지처리 및 숙성공정을 통해 기능성이 증가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기에 투입하여 약 7mm의 입경을 갖는 환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환의 이화학적은 특성은 상술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 pH는 5.6, 12 brix, 산도는 0.79로 당/산의 비는 15.2 로 시판 숙취제와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관능테스트를 통해 제조된 환의 색, 향, 맛, 식감 및 전체 기호도를 확인하였으며, 20 대에서 70 대까지의 남녀 각각 2 명씩 모두 14명을 대상으로 10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10점: 매우 좋음, 1점: 매우 나쁨). 그 결과, 색, 향, 맛, 식감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각각 9.2점, 8.9점, 9.4점, 9.1점 및 9.0점으로 관능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와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주원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결합재, 유기산,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물을 1 내지 200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4. 굼벵이, 노루궁뎅이버섯, 헛개열매, 쌀을 포함하는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을 환제, 액상, 과립상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한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복합원료 조성물은
    굼벵이 25 내지 40중량%, 노루궁뎅이버섯 25 내지 40중량%, 헛개열매 25 내지 40중량%, 쌀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주원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결합재, 유기산,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부첨가물을 1 내지 200중량부 첨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숙취제거활성, 항당뇨활성,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8. 제 4항에 있어서,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생리활성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PCT/KR2019/016781 2019-11-29 2019-11-29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072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99A KR102120144B1 (ko) 2019-11-29 2019-11-29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0156399 2019-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233A1 true WO2021107233A1 (ko) 2021-06-03

Family

ID=7108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6781 WO2021107233A1 (ko) 2019-11-29 2019-11-29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0144B1 (ko)
WO (1) WO2021107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839B1 (ko) 2021-05-06 2022-04-22 이희능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기관지 기능 개선용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
KR20230100127A (ko) * 2021-12-28 2023-07-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우팜 숙취해소와 간보호 효능을 가지는 발효헛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주원료로 제조한 음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486A (ko) * 2006-04-26 2007-10-31 충청북도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24431B1 (ko) * 2013-05-14 2013-10-3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70113809A (ko) * 2016-03-25 2017-10-13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간 보호용 음료조성물
KR20180013603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뉴트리플랜 천연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80019845A (ko) * 2016-08-17 2018-02-27 (주)보뚜슈퍼푸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456B1 (ko) 2004-09-03 2006-08-02 (주)네추럴에프앤피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40137549A (ko) 2013-05-23 2014-12-03 고려인삼과학(주)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가 우수한 헛개나무 추출방법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486A (ko) * 2006-04-26 2007-10-31 충청북도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24431B1 (ko) * 2013-05-14 2013-10-3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70113809A (ko) * 2016-03-25 2017-10-13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간 보호용 음료조성물
KR20180013603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뉴트리플랜 천연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80019845A (ko) * 2016-08-17 2018-02-27 (주)보뚜슈퍼푸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144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5970A1 (ko)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WO2020235928A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항노화 조성물
WO2021137677A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1107233A1 (ko)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83027A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0040462A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17933A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6013709A9 (ko) 석류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131823A1 (ko) 느타리와 팽이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 개발
WO2020171364A1 (ko) 님트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93663A1 (ko) 당 대사 조절용 효소 조성물
WO2017111211A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WO2020071667A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91310A1 (ko) 고상발효된 오미자 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균, 항염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0090498A2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WO2014189176A1 (ko) 체중 감소용 감태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13107A1 (ko) 전분함유 작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WO2020085826A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메이스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도되는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호용 조성물
WO2012093787A2 (ko) 플로로글루시놀, 플로로탄닌 또는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WO202213952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WO2012081831A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oranthus yadoriki sieb having monoamine oxidase-inhibiting activity
WO2009151236A2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thunb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ion disease
WO2012138146A2 (ko) 돌콩의 열처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5046743A1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136668A1 (ko) 돌외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544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5.09.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544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