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0462A1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0462A1
WO2020040462A1 PCT/KR2019/010137 KR2019010137W WO2020040462A1 WO 2020040462 A1 WO2020040462 A1 WO 2020040462A1 KR 2019010137 W KR2019010137 W KR 2019010137W WO 2020040462 A1 WO2020040462 A1 WO 20200404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xed extract
licorice
pogongyoung
fine dust
g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1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석
김선희
박찬영
박기문
이규홍
김동임
송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Publication of WO20200404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04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by using a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Particulate matter is a particulate complex contaminant of various sizes, compositions and sources.
  • Dust that is usually suspended in the air is called PM 10 .
  • Dust is called ultrafine dust (PM 2.5 ), and smaller than 0.1 ⁇ m is called ultrafine dust (PM 0.1 ).
  • the causes can be divided into artificial source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and those caus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itself such as yellow sand, volcanic ash, and forest fires.
  • the fine dust is very complex and diverse, and it is known that health risks vary according to the size, surface area,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articles.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fine dust decreases lung function and increases the rate of lung function decrease after prolonged exposure.
  • concentration of fine dust PM 10 increase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PD has been proved to be relevant.
  •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at fine dust PM 2.5 concentration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asthma incidence for long-term exposure.
  •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dusts such as fine dust, interstitial lung disease a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The need for a material that can alleviate respiratory and lung damage and inflammation caus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It is also expected to sur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as an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contain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Or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ood composition for treat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imals other than huma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r improve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as an active ingredient comprising a mixed extract compris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Is to provid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by orally administering the mixed extract to humans or animals other than huma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using a mixed extract includ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mixed extract may be a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in a weight ratio of 1: 0.5-2: 0.5-2: 0.5-2: 0.5-2: 0.5-2.
  • the mixed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wate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ethyl acetate, acetone, hexane, dichlorometh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mixed extract may further include 0.5-2 parts by weight and 0.5-2 parts by weight of dried root skin with respect to 1 weight of black bean.
  • the respiratory diseases include respiratory inflammatory lung disea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inusitis, allergic rhinitis,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cute bronchitis, emphysema, pneumonia, bronchial asthma, bronchiectasis, emphysema, pulmonary tuberculosis sequela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ystic fibrosis, otitis media and pulmonary fibrosis.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the mixed extract inhibits and prevents the presence of black particles in alveolar macrophage accumulation / alveolar filled with black pigment in lung tissue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interstitial tissues around the bronchioles, perivascular or alveolar, by the inflow of fine dust,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phagocytes, activate phagocytosis, and may have 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uma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using a mixed extract contain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imals except.
  •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s or lung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as an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contain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To provide.
  • the mixed extract may be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in a weight ratio of 1: 0.5-2: 0.5-2: 0.5-2: 0.5-2: 0.5-2.
  • the mixed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wate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ethyl acetate, acetone, hexane, dichlorometh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mixed extract may further include 0.5-2 parts by weight and 0.5-2 parts by weight of dried root skin with respect to 1 weight of black bean.
  • the respiratory diseases include respiratory inflammatory lung disea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inusitis, allergic rhinitis,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cute bronchitis, emphysema, pneumonia, bronchial asthma, bronchiectasis, emphysema, pulmonary tuberculosis sequela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ystic fibrosis, otitis media and pulmonary fibrosis.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the mixed extract inhibits and prevents the presence of black particles in alveolar macrophages accumulating alveolar macrophages / alveolar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peribronchial tract, perivascular or alveolar interstitial tissue by the inflow of fine dust,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phagocytes, activate phagocytosis, may have 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relieving respiratory or pulmonary inflammation caused by fine dust comprising a mixed extract contain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 the mixed extract may further include 0.5-2 parts by weight and 0.5-2 parts by weight of dried root skin with respect to 1 weight of black bea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use of a mixed extract compris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deficiency and licoric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d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eatment for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by orally administering a mixed extract includ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a deficiency and licorice to humans or animals other than humans.
  • a mixed extract includ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a deficiency and licorice to humans or animals other than huma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disease, respiratory or pulmonary inflammation-relieving composition
  • a respiratory disease, respiratory or pulmonary inflammation-relieving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as an active ingredient, inflammation of the respiratory system and lungs caus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It is a natural functional material with excellent st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can be used as a new material in medicine, food and feed additives.
  • Figure 2 shows a protocol for animal experiments in Experimental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H & E Hematoxylin & eosin
  • FIG. 4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 taken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f the microdust animal model (C57BL / 6).
  • FIG. 5 is stained with H & E to analyze macrophages in alveoli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f the microdust animal model (Balb / c).
  • FIG. 6 is a graph quantifying FIG. 5.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Example 8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ytotoxicity confirmation (MTT assay) for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9 is an optical micr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lls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absorbance in each group and analyzing the diesel dust content by substituting the absorbance in the calibration curve of FIG. 10.
  • ROS 1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f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using a mixed extract including black bean, pogongyoung, geumunhwa,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as an active ingredient.
  • Black bean black bean
  • Licorice antagonizes various polar and toxic drugs, is effective in treating drug poisoning by addictive drugs, and is effective in neutralizing and detoxifying effects on bacterial toxins.
  • Pogongyoung is a dandelion, which is used to loosen the poison, cut down the spears, squeeze the lumps, unpack the food, and get rid of the body.
  • Lonicerae flos is a flower of Indongcho, which is used for reading poison, blood clots, etc. and used to control colds and vomiting with antidote and anti-inflammatory drugs. It is used to brighten eyes, to treat headaches and nosebleeds, when the head is dizzy and painful due to fever, redness, soreness, and tears, and is used for diuresis, indigestion,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 Fine dust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dusts of size less than 0.1 ⁇ m, 0.1-2.5 ⁇ m and 2.5-10 ⁇ m. If the particle size is 10 ⁇ m or more, it is filtered by the nasopharyngeal pharynx. When the particle size is small, it is sucked deep into the lungs, and eosinophils, neutrophils, phagocytic cells, etc. are activated, and fine dust is removed by ciliary movement. Exposing the fine dust, the lung phagocytic cells are activated and IL-13 is secreted, which causes inflammation of the airways and alveoli.
  • Fine dust exacerbates pulmonary disease and increases lung infection by increasing airway inflammation and inflammation mediators in sensitive people, and fine dust or ultrafine dust stimulates phagocytic or epithelial cells, resulting in TNF- ⁇ , TGF- ⁇ 1, GM Increase CSF, PDGF, IL-6, IL-8, etc., and reactive oxygen species cause acute and chronic pulmonary inflammation.
  • IL-4 or IL-13 With acquired immunity, fine dust increases IL-4 or IL-13. When fine dust and allergens are given simultaneously, T cell mediated inflammation is further increased. Increases IL-4, IL-5, IL-13, GM-CSF, RANTES, MCP-3, MIP-1 and the like. Oxidative stresses such as reactive oxygen species are known to cause inflammation in the airways due to an imbalance in the reaction of oxidative antioxidant enzyme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diesel dust-derived animal model to cause symptoms similar to disease-causing mechanisms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Dispersion was made by ultrasonication and inhaled into the airways. As a result, the presence of black particles in the alveoli in the bronchoalveolar, and confirmed that th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the interstitial tissues around the bronchioles, vessels or alveoli increased. In addition, the survival rate of alveolar macrophages was decreased, and ROS was induced by the incr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is is very similar to the condition of the respiratory tract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it can be seen that reflects the pathological findings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sinusitis allergic rhinitis
  •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cute bronchitis, emphysema, pneumonia, bronchial asthma, bronchiectasis, emphysema, pulmonary tuberculosis sequelae
  •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cystic fibrosis, otitis media and pulmonary fibrosis may be induced, or inflammatory lung disease may develop in connection with the reduction of phagocytic function by diesel dust.
  • the pathological symptoms can be alleviated, improved, prevented or treate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nimal model induced by inhalation of the diesel dust.
  • Respiratory inflammatory lung disea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inusitis, allergic rhinitis,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cute bronchitis, emphysema, pneumonia, bronchial asthma, bronchiectasis, emphysema, pulmonary tuberculosis sequelae, acute respiratory syndrome (Iv)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sinusitis allergic rhinitis
  •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cute bronchitis, emphysema, pneumonia, bronchial asthma, bronchiectasis, emphysema, pulmonary tuberculosis sequelae, acute respiratory syndrome (Iv)
  • Iv acute respiratory syndrome
  • the diesel dust contain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nitro-substituted PAHs (nitro-PAHs), and pseudoaromatics.
  • 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nitro-PAHs nitro-substituted PAHs
  • pseudoaromatics The specific conten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Table 1 shows the mass fractions measured in PAH selected in SRM 2975
  • Table 2 shows the mass fractions of nitro-PAH in SRM 2975.
  •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n animal model in which diesel dust was inhaled in order to prepare a disease animal model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an excipient control group not exposed to diesel dust, and a diesel dust-administered group exposed to diesel dust.
  • the composition contains the components to alleviate the inflammation of the lungs and airway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and to reduce the inflammation of the lungs and bronchus induced by inhal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ealth functional foods or fine dust associated with respiratory disease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as a composition for.
  • the mixed extract has a weight ratio of 1: 0.5-5: 0.5-5: 0.5-5: 0.5-5: 0.5-5, preferably 1: 0.5-2: 0.5 -2: 0.5-2: 0.5-2: 0.5-2: 0.5-2 are mixed in a weight ratio, More preferably, it is mixed in the weight ratio of 1: 0.5-1.5: 0.5-1.5: 0.5-1.5: 0.5-1.5.
  • the mixed extract when us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gyeolmyeongja and licorice alone, or except one or more than 1.5,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gyeolmyeongja and licorice together To 20 times lower efficacy.
  • the mixed extract further comprises a remnant and root skin
  • the mixed extract may further include 0.5-2 parts by weight and 0.5-2 parts by weight of root root with respect to 1 weight of dark bean, which is described later. As can be seen from the examples, at lower concentrations it can exhibit significantly better efficacy.
  • the mixed extract includ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is 20 to 100 °C, preferably 40 to 60 by mix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in a volume ratio of 1: 5 to 50, preferably 1: 15 to 25 Prepared by extraction at °C. If the volume ratio of the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gyeongjak and licorice, and the extraction solvent is out of the above range can be extracted in a small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contain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gyeolja and licorice have.
  • the extraction solvent of each mixed extract is wate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ethylene glycol, ethyl ether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extracting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extract extracted with water is preferably used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 the term 'extract' is used to refer to a mixed extract compris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deficiency and licorice, as well as crude extracts obtained by treating the extraction solvent as well as black bean, pogongyoung, gold silver, triticale, deficiency and licorice
  •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mixed extract can be prepared in powder form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vacuum distillation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 the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coins,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mix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adly formulated to administer the mixed extract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to the animal blackpo, pogongyoung, It also has the meaning of including processed products of a mixture of gold silver, triticale, deficiency and licorice, such as black bean, pogongyoung, gold silver, triticale, deficiency and licorice.
  • the term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it contains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the mixed extract includ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 the mixed extract comprising the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is used at a concentration of 10 to 1500 ⁇ g / ml, preferably 100 to 1000 ⁇ g / ml.
  • the deficiency and licorice is a natural product, so there is no side effect to the human body, even when administered in an excessive dose, the mixture containing black bean, pogeong, gold silver, triticale, deficiency and licorice
  •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the extract can b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elected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adjuvant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the adjuvant may include excipients, disintegrants, sweeteners, binders, coating agents, swelling agents, lubricants, Lubricants, flavo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ferably formulated in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described above for administration.
  • Formulation form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granules, powders, tablets, coated tablets, capsules, suppositories, solutions, syrups, juices, suspensions, emulsions, drops or injectable solutions.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combined with an oral,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carrier such as ethanol, glycerol, water and the like.
  • suitable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and coloring agents may also be included as mixed extracts.
  • Suitable bind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natural and synthetic gums such as starch, gelatin, glucose or beta-lactose, corn sweeteners, acacia, trackercance or sodium oleate, sodium stearate, magnesium stearate, sodium Benzoate, sodium acetate,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 Disintegr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arch, methyl cellulose, agar, bentonite, xanthan gum, and the like.
  • Acceptable pharmaceutical carriers in compositions formulated in liquid solutions are sterile and biocompatible, which includ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able solutions,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may be mixed and used, and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buffers and bacteriostatic agents may be added as necessary.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and lubricants may also be added in addition to formulate into injectable formulations, pills,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may be administered by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or the like, and preferably, oral administration. .
  • Suitable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age, weight, sex, morbidity, condition of food,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response to reaction, Usually an experienced physician can easily determine and prescribe a dosage effective for the desired treatment or prophylaxis.
  • the daily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10 g / kg.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unit dose form or formulated using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 or excipients or incorporated into multi-dose containers.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a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extract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ersant or stabilizer.
  • tween 80 is used as an excipi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imals other than huma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r improve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using a mixed extract contain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as an active ingredient. d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orall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to humans or animals other than human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ovel use of a mixed extract compris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or for veterinary medicine.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and prevents the presence of black particles in the alveolar macrophage accumulation / alveolar filled with black pigment in the lung tissue and th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the interstitial tissues around the bronchioles, perivascular or alveolar, by the inflow of fine dust,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alveolar macrophages, activate phagocytosis, may have 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piratory inflammatory lung disease, chronic obstructive lu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inusitis, Allergic Rhinitis,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cute Bronchitis, Emphysema, Pneumonia, Bronchial Asthma, Bronchodilator, Emphysema, Pulmonary Tuberculosis, Acute Respiratory Syndrome, Cystic Fibrosis It may also be useful for improving,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otitis media and pulmonary fibrosis.
  • COPD chronic obstructive lu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Sinusitis Sinusitis
  • Allergic Rhinitis Allergic Rhinitis
  •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cute Bronchitis, Emphysema, Pneumonia, Bronchial Asthma, Bronchodilator, Emphysema, Pulmonary Tube
  • the mixed extract may further comprise stalks and roots of roots, and for details, the descrip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ll be referred to.
  • the 'medicine', 'veterin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veterinary medicine' is suitabl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tc., in addition to mixed extracts containing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riticale, lichen and licorice as an active ingredient.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arrier' is a compound that facilitates the addition of the compound into cells or tissues.
  • the 'diluent' is a compound that not only stabilizes the biologically active form of the compound of interest, but also is diluted in water to dissolve the compound.
  • th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need not be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lactose, glucose, sugar,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 the amount of the medicament, veterin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veterinary medica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age, sex, and weight of the patient or animal to be treated, and above all, the condition of the individual to be treated, the specific category or type of disease to be treated, and administration. It will depend on the route, the nature of the therapeutic agent used.
  • the medicament, veterin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veterinary medicament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rate of excretion, the age and weight of the patient or the animal to be treated, the sex and conditi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etc. It is preferred to administer 0.1 to 1,000 mg / kg, preferably 1 to 500 mg / kg, more preferably 5 to 250 mg / kg, and most preferably 10 to 100 mg / kg per day.
  • the unit dosage form thus formulated may be administered several times at regular time intervals as needed.
  • the medicament, veterin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veterinary medicament may be administered separately as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 the medicament, veterin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veterinary medicament can be formulated into oral dosage forms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troch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it may be formulated using conventional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surfactants, and the like.
  • veterin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formulation of the medicine, veterin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veterinary medicine,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method of treating the wound is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to humans or animals other than humans, especially mammals, for example, damage to the lungs, airways, and bronchus by inhalation of normal or fine dust, or respiratory diseases.
  • the composition is orally administered to the subject to be treated.
  • Dosage, administration method,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for the treatment may refer to the dosage, administration method,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dicament, anim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veterinary medici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inhalation of fine dust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mixed extract further comprises a remnant and root skin
  • the mixed extract may further include 0.5-2 parts by weight and 0.5-2 parts by weight of root root with respect to 1 weight of dark bean, which is described later. As can be seen from the examples, at lower concentrations it can exhibit significantly better efficacy.
  •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d as a functional food, or added to various foods.
  • Foods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confectionery, diet bars, dairy products, meat, chocolates, pizzas, ramen noodles, other noodles, gums, ice creams,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mixed extracts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riticale, lichen and licorice as active ingredients, but also components commonly added to foods,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Contain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s.
  • examples of the above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and the like; And sugar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xylitol, sorbitol,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harin, aspartame,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with a drink and a beverage, citric acid, liquid fructose, sugar, glucose, acetic acid, malic acid, fruit juice, and juice in addition to the mixed extracts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riticale, larch and lico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plant extracts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the mixed extracts of the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 Health functional food is a food prepared by adding mixed extracts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riticale, lichen and licorice to food materials such as beverages, teas, spices, gums, confectionery, or encapsulated, powdered, suspension, etc. Ingesting it means that it has a specific effect on health, but unlike general medicin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are no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a long-term use of the drug as a raw material.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obtained is very useful because it can be consumed on a daily basis.
  • the amount of the black bean, pogongyoung, geumgeunhwa, tritical herb, ginseng and licorice mixed extract in such a dietary supplement cannot be defined uniformly depending on the type of dietary supplement, but does not impair the original taste of the dietary supplemen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d in the range, and it is the range of 0.01-50 weight% normally with respect to the target foodstuff, Preferably it is 0.1-20 weight%.
  • a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pill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it is usually added in the range of 0.1 to 100% by weight, preferably 0.5 to 80% by weight.
  • the dietary supp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pills, tablets, capsules or beverag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a mixed extract comprising black beans,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or food for relieving respiratory or lung inflammation induced from fine dust.
  • a mixed extract comprising black beans,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or food for relieving respiratory or lung inflammation induced from fine dust.
  • the mixed extracts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respiratory or lung inflammation caused by fine dus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and fine dus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an effective amount of a mixture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riticale, lame and licorice.
  • a method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and fine dus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an effective amount of a mixture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riticale, lame and licorice.
  • mammal refers to a mammal that is the subject of treatment, observation or experimentation, preferably human.
  • the term “effective amount” means the amount of an active ingredient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induces a biological or medical response in a tissue system, animal or human, as thought by a researcher, veterinarian, doctor or other clinician, Amounts that induce alleviation of the symptoms of the disease or disorder.
  • the effective amount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for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effect. Therefore, the optimum dosage to be administered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one skilled in the art and includes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and other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the type of formulation, and the age, weight, general health of the patient.
  • the deficiency and licorice are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a day, 0.001 g / kg to 10 g / kg It is preferable to administer in a dose.
  •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as an active ingredient is oral, rectal, intravenous, intraarterial, intraperitoneal, intramuscular, intrasternal, Administration may be in conventional manner via the transdermal, topical, intraocular or intradermal route.
  • Black bean was ground and powdered as a sample. 20 times of 30% ethanol was added to each sample and extracted for 48 hours at 50 ° C. The obtained ethanol extract was filtered using filter paper,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xtract. The extract may be powdered by adding an excipient such as maltodextrin, lyophilization, or spray drying as necessary. In this experiment, an excipient of 0.05% tween 80 was added.
  • Licorice was pulverized and used as a sample. 20 times of 30% ethanol was added to each sample and extracted for 48 hours at 50 ° C. The obtained ethanol extract was filtered using filter paper,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xtract.
  • the extract may be powdered by adding an excipient such as maltodextrin, lyophilization, or spray drying as necessary. In this experiment, an excipient of 0.05% tween 80 was added.
  • Powdered and pulverized pogongyoung was used as a sample. 20 times of 30% ethanol was added to each sample and extracted for 48 hours at 50 ° C. The obtained ethanol extract was filtered using filter paper,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xtract.
  • the extract may be powdered by adding an excipient such as maltodextrin, lyophilization, or spray drying as necessary. In this experiment, an excipient of 0.05% tween 80 was added.
  • Gold and silver coins were pulverized and used as a sample. 20 times of 30% ethanol was added to each sample and extracted for 48 hours at 50 ° C. The obtained ethanol extract was filtered using filter paper,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xtract.
  • the extract may be powdered by adding an excipient such as maltodextrin, lyophilization, or spray drying as necessary. In this experiment, an excipient of 0.05% tween 80 was added.
  • What was crushed and powdered as a defect was used as a sample. 20 times of 30% ethanol was added to each sample and extracted for 48 hours at 50 ° C. The obtained ethanol extract was filtered using filter paper,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xtract. The extract may be powdered by adding an excipient such as maltodextrin, lyophilization, or spray drying as necessary. In this experiment, an excipient of 0.05% tween 80 was added.
  • Example 1 Preparation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coins,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and licorice mixture extract (TF-343)
  • Example 2 Preparation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coins, remnant, three hundred seconds, the deficiency, roots of root and licorice
  • fine dust animal model-1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first protocol.
  • 25 6-week-old female Balb / c of about 16.0 ⁇ 0.7 g and 6-week-old female C57BL / 6 mice (Oriental Bio, Seongnam, Gyeonggi-do) of about 16.4 ⁇ 0.8 g were purchased.
  • the animals were adapted to the environment, and then animals with appropriate weights without any clinical symptoms such as diseases or wounds were selected and used for the test.
  • the animal room environment accommodates 5 mice per cage in the environment of temperature 22 ⁇ 3 °C, humidity 50 ⁇ 20%, lighting cycle 12 hours / day, illumination intensity 150-300 Lux, ventilation frequency 10-20 times / hour.
  • Powder feeds (Lab Diet # 5053 PMI Nutrition International, USA) and water were supplied freely without restriction.
  • the diesel dust treatment group weighed a certain amount of diesel dust (DEP, SRM2975, NIST, Gaithersburg, MD), and added 0.05% tween 80 (Sigma-Aldrich, St. Louis, Mo.) physiological saline to obtain a final diesel of 2 mg / ml.
  •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400 mg / kg of the mixed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7 or Example 1 or Example 2 every day for 2 weeks from the 7th to the 20th day, and at the same time, on the 14th, 17th and 20th days, the diesel in the dust state was Dust was administered (5 in each group).
  • the protocol of the animal model is shown in FIG. All animal studies were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s (IACUC) review and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n animal testing.
  • IACUC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s
  • FIG. 3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 taken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f the microdust animal model (Balb / c), and FIG. 4 is a microdust animal.
  • the image was stained with H & E.
  • FIG. 5 is stained with H & E to analyze macrophages in alveolar samples taken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f the microdust animal model (Balb / c), and the quantification thereof is shown graphically in FIG. 6.
  • Diesel dust is mainly composed of fine particles (PM 2.5 ) derived from incomplete combustion of fuels, and organic components such as oxides and nitro compounds such as formaldehyde and nitro compounds that stimulate engine oils, unburned fuels and living bodies around them.
  • organic components such as oxides and nitro compounds such as formaldehyde and nitro compounds that stimulate engine oils, unburned fuels and living bodies around them.
  • the diesel dust when the diesel dust is inhaled, inflammation of the airways and lungs is induced and fibrosis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and microparticles penetrate deep into the alveoli, causing damage and inflammation not only in the airways but also in the alveoli. Is considered.
  • a mixed extract of the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three hundred seconds, gyeolmyeongja and licorice and in particular, using a mixed extract of black bean, pogongyoung, gold and silver, remnant, three hundred seconds, gyeolja, yugeunpi and licorice It is most preferable, and when used alone, or except one or m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inhibiting inflammation in the alveoli, airway induced by fine dust inhal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 Microdust animal model-2 was prepared according to a second protocol for analyzing the inhibitory effect of microdust.
  • 35 6-week-old female Balb / c weighing about 16.0 ⁇ 0.7 g were purchased. After 5 days of preliminary breeding, the animals were adapted to the environment, and then animals with appropriate weights without any clinical symptoms such as diseases or wounds were selected and used for the test.
  • the animal room environment accommodates 5 mice per cage in an environment set at a temperature of 22 ⁇ 3 °C, a humidity of 50 ⁇ 20%, an illumination cycle of 12 hours / day, an illuminance of 150-300 Lux, and a ventilation rate of 10-20 times / hour. Powder feeds (Lab Diet # 5053 PMI Nutrition International, USA) and water were supplied freely without restriction.
  • ultrasonic wave sonication bath, Branson 1800
  •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200, 400, 800 mg / kg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every three weeks from day 7 to day 27, and at the same time, the diesel dust solution was administered to the nasal cavity on the 21st, 24th and 27th days (each 5 per group).
  • Experimental group 2 was orally administered 200 mg / kg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2 daily for three weeks from day 7 to day 27, and at the same time, the diesel dust solution was administered to the nasal cavity on the 21st, 24th and 27th days (5 for each group). One by one).
  • the second protocol of the fine dust animal model-2 is shown in FIG. 2. All animal studies were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s (IACUC) review and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n animal testing.
  • IACUC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s
  • Lung histopath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animal models of each group prepared through the procedure of Experimental Example 3. To this end, animal models of each group were inhaled with isoflurane at 48 hours after the last diesel dust was inhaled into the airways, and lung tissue was collected. Formalin was injected into the collected lung tissue and fixed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soluti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by the Safety Evaluation Institute (Jeong-eup, Jeonbuk) and fabrication and staining of tissue slides. The degree of inflammation at the time of speculum was evaluated in five stages as no lesion (-), minimal ( ⁇ ), mild (+), moderate (++), marked (+++), are shown in Table 4 below.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FIG. 7 is a photograph stained with H & E in order to analyze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tissues collected from the excipient control group,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centration of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Example 3.
  • MH-S (CRL-2019. ATCC, Manassas, VA, USA) cells also known as alveolar macrophages, contain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and 1% penicillin-streptonycin RPMI 1640 (complete medium) medium containing the solution (PS, Gibco) was added thereto, and the culture was performed at 37 ° C. and 5% CO 2 .
  • FBS fetal bovine serum
  • PS penicillin-streptonycin RPMI 1640
  • 200 ⁇ l of MH-S cells were dispensed in 96 well plates so that the final concentration was 1 ⁇ 10 5 / well. After 24 hours, complete medium was removed, and 200 ⁇ l of serum free RPMI 1640 was replaced.
  • the experimental group added mixed extract (TF-343) (100, 200, 400 ⁇ g / ml) of Example 1 at various concentrations, After incubation at 5 ° C. and 5% CO 2 , the final solution was prepared by adding 2 mg / ml of diesel dust to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0.05% tween 80, followed by 20 minutes of sonication (SONICS vibra cell TM Ultrasonic Liquid Processors, SONICS & MATERIALS Inc.) was added in the form of dust, and then treated with 100 ⁇ g / ml of diesel dust (about 5 ⁇ l per well of 200 ⁇ l).
  • TF-343 mixed extract
  • the excipient group was prepared without treating diesel dust after mixing physiological saline (excipient-1) or physiological saline (excipient-2) containing 0.05% tween 80 instead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 Negative controls are MH-S cells cultured identical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out processing anything.
  • the diesel dust group was prepared by adding 2 mg / ml of diesel dust to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0.05% tween 80, preparing the solution by adding a sonicator for 20 minutes, and then incubating for 24 hours. Cells were prepared by treating 100 ⁇ g / ml of diesel dust (about 5 ⁇ l per well of 200 ⁇ l).
  •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ytotoxicity confirmation (MTT assay) for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shows the relative cell survival rate (%) when the negative control group cultured without processing anything to 100%.
  • Data bars represent means ⁇ SEM, and value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the GraphPad Prism 7.0 program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lif.) As the result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was analyzed by Dunnett's test, and the excipient-2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 P ⁇ 0.0001),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TF-343 treatment group (#### P ⁇ 0.0001) were compared.
  • MTT analysis showed that the cell viability was increased in the excipient-1 and the excipient-2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to a significant level (a decrease of about 27.2%).
  •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ix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F-343, Example 1
  • the cell viability was restored to the same level as the negative control, excipient group. That is, the cell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100% or more irrespectiv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 MH-S also known as alveolar macrophages
  • CRL-2019. ATCC, Manassas, VA, USA Macrophages phagocytosis activation in the cells was analyzed, and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iesel dust, and the amount of diesel dust remaining in the MH-S cells was quantified and compared.
  • MH-S (CRL-2019. ATCC, Manassas, VA, USA) cells known as alveolar macrophages, contain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and 1% penicillin.
  • RPMI 1640 (complete medium) medium containing -streptonycin solution (PS, Gibco) was added thereto and cultured at 37 ° C. and 5% CO 2 .
  • 200 ⁇ l of MH-S cells were dispensed in 96 well plates so that the final concentration was 1 ⁇ 10 5 / well. After 24 hours, complete medium was removed, and 200 ⁇ l of serum free RPMI 1640 was replaced.
  • the experimental group was added mixed extract (TF-343) (100, 200, 400 ⁇ g / ml) of Example 1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37 hours for 24 hours.
  • TF-343 mixed extract
  • the solution was prepared by adding 2 mg / ml of diesel dust to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0.05% tween 80, followed by 20 minutes of sonication (SONICS vibra cell TM Ultrasonic Liquid Processors). After the addition was made in a dust state, the cells were cultured for 24 hours to prepare 100 ⁇ g / ml diesel dust (about 5 ⁇ l per 200 ⁇ l well).
  • the excipient group was prepared without treating diesel dust after mixing physiological saline (excipient-1) or physiological saline (excipient-2) containing 0.05% tween 80 instead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 Negative controls are MH-S cells cultured identical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out processing anything.
  • the diesel dust treatment group prepared the solution by adding 2 mg / ml of diesel dust to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0.05% tween 80 and preparing the solution in 20 minutes by applying SONICS vibra cell TM Ultrasonic Liquid Processors. The cells cultured for 24 hours were treated with 100 ⁇ g / ml of diesel dust (about 5 ⁇ l per well of 200 ⁇ l).
  • the cells were recovered.
  • the recovered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PBS, and then photographed at 200 times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d MH-S cell line using an optical microscope in a state in which 100 ⁇ l of PBS was added and then divided (FIG. 9).
  • the absorbance of the diesel dust was measured with a absorbance 365 nm value (Figs. 10 and 11). Macrophage phagocytosis was quantified and inferred from the amount of intracellular diesel dust in each group through the measured absorbance.
  • FIG. 9 is an optical micr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lls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calibration curve analyzing the absorba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diesel dust
  • Figure 11 The absorbance in the group is measured, and substituted into the calibration curve of FIG. 10 to analyze the diesel dust content.
  • the calibration curve of FIG. 10 is for quantification of diesel dust, and was measured by diluting twice with a concentration of up to 200 ⁇ g / ml.
  • MH-S also known as alveolar macrophages
  • CRL-2019. ATCC, Manassas, VA, USA Macrophages phagocytosis activation in the cells was analyzed, and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iesel dust, and the amount of diesel dust remaining in the MH-S cells was quantified and compared.
  • MH-S (CRL-2019. ATCC, Manassas, VA, USA) cells known as alveolar macrophages, contain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and 1% penicillin.
  • RPMI 1640 (complete medium) medium containing -streptonycin solution (PS, Gibco) was added thereto and cultured at 37 ° C. and 5% CO 2 .
  • 200 ⁇ l of MH-S cells were dispensed in 96 well plates so that the final concentration was 1 ⁇ 10 5 / well. After 24 hours, complete medium was removed, and 200 ⁇ l of serum free RPMI 1640 was replaced.
  • the experimental group added mixed extract (TF-343) (100, 200, 400 ⁇ g / ml) of Example 1 at various concentrations. After incubation at 5 ° C. and 5% CO 2 , the final 2 mg / mL diesel dust was added to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0.05% tween 80 to prepare a solution. Thereafter, the cells cultured for 24 hours were treated with 100 ⁇ g / ml of diesel dust (about 5 ⁇ l per well of 200 ⁇ l).
  • the excipient group was prepared without treating diesel dust after mixing physiological saline (excipient-1) or physiological saline (excipient-2) containing 0.05% tween 80 instead of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 Negative controls are MH-S cells cultured identical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out processing anything.
  • the diesel dust treatment group was prepared by adding 2 mg / ml of diesel dust to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0.05% tween 80, preparing the solution by applying sonication for 20 minutes, and incubating for 24 hours. Cells were prepared by treating 100 ⁇ g / ml of diesel dust (about 5 ⁇ l per well of 200 ⁇ l).
  • Thermo 2 ', 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 RPMI 1640 medium 2 ', 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 each well 200 ⁇ l was dispensed into and then incubated at 37 ° C. and 5% CO 2 for 30 minutes.
  •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BS twice, and treated with 3.7% formalin solution prepared by mixing in complete medium for 15 minutes and fixed at 37 ° C. and 5% CO 2 .
  • 100 ⁇ l of PBS was dispensed, and DCFDA fluorescence was detected and quantified at an absorption wavelength of 495 nm and an emission wavelength of 529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 FIG. 1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f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 was analyzed by fluorescence compared to the cell survival rate (%), and the relative degree of reactive oxygen species when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100% was analyzed.
  • Data bars represent means ⁇ SEM and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negative controls as a result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using the GraphPad Prism 7.0 program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lif.).
  •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was analyzed by Dunnett's test, and the excipient-2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 P ⁇ 0.00001) were compared with the diesel dust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TF-343 treatment group (#P ⁇ 0.05).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 an airtight cloth to prepare a powder.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to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 the amount of the above ingredient is prepared per ampoule.
  • each component is added to the purified water to dissolve, the lemon flavor is added appropriately,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the purified water is added, the whole is adjusted to 100 g by adding purified water, and then filled in a brown bottle.
  • the solution is prepared by sterilization.
  • Vitamin Blend Extract Proper
  • Vitamin B6 0.5 mg
  •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ed extract is mixed and composed in a preferred embodiment with a relatively suitable component for granules
  •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nd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granulation method, Granules may be prepared and used in the manufacture of nutr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composition ratio is a composition that is relatively suitable for the preferred beverage in a preferred embodiment
  •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demand hierarchy, demand country, an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흡입에 의해 유도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기와 폐의 염증을 완화시켜주며, 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경제성이 있는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의약품, 식품 분야에서의 새로운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는 다양한 크기, 구성 그리고 발생원을 가지고 있는 입자상 복합 오염물질로,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으로 보통 직경 10 ㎛ 이하인 먼지를 미세먼지(PM10)라고 하고, 2.5 ㎛ 이하인 먼지는 초미세먼지(PM2.5)라 하며, 이보다 더 작은 0.1 ㎛ 이하를 극초미세먼지(PM0.1)라고 한다. 발생원인은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인위적인 발생원과 황사, 화산재 및 산불 등 자연환경 자체에 의한 발생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성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입자의 크기, 표면적 및 화학적 조성에 따라 건강의 위험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지 중의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과 관련성이 높고, 단기적으로 폐염증 반응 및 호흡기 증상의 악화와 약 사용 증가, 병원 입원 및 사망률 증가를 초래하며, 장기적으로는 하기도 증상 증가, 폐기능 감소,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의 악화 및 폐암을 증가시킨다.
최근 발표되는 미세먼지 관련 문헌들에서 미세먼지는 폐기능을 떨어뜨리고, 장기간 노출되면 폐기능 감소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하여 미세먼지 PM10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OPD 입원환자가 많아짐을 통해 관련성을 입증한 바 있다. 천식에 대해서는 미세먼지 PM2.5 농도에서 유의성있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장기적 노출에 대한 성인 천식 발생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미세먼지와 간질성 폐질환 그리고 특발성 폐섬유화증 등의 다양한 질환들에 대한 연관성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발된 호흡기와 폐 손상 및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소재에 대한 필요성 역시 급증할 것으로 여겨진다.
미세먼지는 종래 세균이나 일시적인 중독 다른 구성의 기도 유입에 대한 호흡기 및 폐 손상과 달리 인체 면역력으로 퇴치할 수 없고, 미세먼지가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면 강제로 배출할 방법도 없으며, 이러한 손상으로 언제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으므로, 미세먼지로 인해 유도된 기도와 폐의 손상을 예방, 완화,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도된 호흡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그동안 대부분의 호흡기 질환 치료제는 단일 성분의 합성 의약품으로, 미세먼지의 경우 종래 성분들이 지역적, 계절적, 시기적, 기후 환경적인 영향에 따라 달라지므로, 다양한 병리기전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정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만큼, 미세먼지로 인해 유도된 기도, 기관지 및 폐의 손상에 특화된 치료제 개발 및 연구가 중요한 하나의 과제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인간을 제외한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혼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가 1 : 0.5-2 : 0.5-2 : 0.5-2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 흑두 1 중량에 대하여 잔대 0.5~2 중량부와 유근피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하기도 감염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및 폐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미세먼지 유입에 의해 폐 조직에서 검은 색소가 차있는 폐포 대식세포 축척/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및 세기관지 주위, 혈관주위 또는 폐포 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 및 예방하고, 폐포 대식세포의 생존률을 높이며, 식균 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인간을 제외한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또는 폐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가 1 : 0.5-2 : 0.5-2 : 0.5-2 : 0.5-2 : 0.5-2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 흑두 1 중량에 대하여 잔대 0.5~2 중량부와 유근피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하기도 감염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및 폐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미세먼지 유입에 의해 폐조직에서 검은 색소가 차있는 폐포 대식세포 축척/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및 세기관지주위, 혈관주위 또는 폐포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 및 예방하고, 폐포 대식세포의 생존률을 높이며, 식균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호흡기 또는 폐 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 흑두 1 중량에 대하여 잔대 0.5~2 중량부와 유근피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질환, 호흡기 또는 폐 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기와 폐의 염증을 완화시켜주며, 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경제성이 있는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의약품, 식품 및 사료첨가제 분야에서의 새로운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에서의 동물실험을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에서의 동물실험을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미세먼지 동물모델(Balb/c)의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으로부터 채취한 폐조직의 혈관주위 염증세포침윤을 분석하기 위해, Hematoxylin & eosin(H&E)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4는 미세먼지 동물모델(C57BL/6)의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으로부터 채취한 폐조직의 혈관주위 염증세포침윤을 분석하기 위해, H&E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5는 미세먼지 동물모델(Balb/c)의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으로부터 채취한 폐포에서의 대식세포를 분석하기 위해 H&E로 염색한 것이다.
도 6은 도 5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3에서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실시예 1의 농도별) 및 양성 대조군으로부터 채취한 폐조직의 혈관주위 염증세포침윤을 분석하기 위해, H&E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확인(MTT assay)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디젤분진 양에 따른 흡광도를 분석한 검량선이다.
도 11은 각 군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도 10의 검량선에 대입하여 디젤분진 함량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삼백초는 중국 본초학 등에서 태독 제거나 피부병 치료에 넓게 애용되어 왔으며, 이뇨작용 및 항균과 관련한 해독작용이 있다. 흑두(검은콩)은 동의보감 등에 따르면 해독, 활혈(活血), 황달, 부종, 풍비, 이뇨 등에 효과가 있다. 감초는 여러 가지 극성 및 독성약물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고, 중독성 약물에 의한 약물중독치료에 효과적이며, 세균독소에 대한 중화작용 및 해독 작용에 효능이 있다. 포공영은 민들레로, 열독을 풀고 악창을 삭히며 멍울을 헤치고 식독을 풀며 체기를 없애는데 사용된다.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초의 꽃이며 열독, 혈리 등에 쓰며 해독제와 소염제로 감기나 구토 등을 다스리는데 쓰인다. 결명자는 눈이 밝아지게 하는 차로, 두통과 코피를 다스리고, 간열로 머리가 어지럽고 아플 때, 눈이 붉어지고 아프고 눈물이 날 때 이용하며, 이뇨, 소화불량, 위장병 등에 이용된다.
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0.1 μm 이하, 0.1-2.5 μm, 2.5-10 μm인 분진으로 나뉠 수 있다. 입자의 크기가 10 μm 이상인 경우에는 코나 후인두에서 걸러지며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폐 내에 깊숙이 흡입되어 호산구나, 호중구, 탐식세포 등이 작동되고 섬모운동에 의해서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미세먼지를 노출하면 폐탐식세포가 작동하고 IL-13 등이 분비되어 기도와 페포에 염증을 일으키며 기도상피세포에 미세먼지를 노출하고 단백분석을 보면 미세먼지노출로 산화스트레스가 증가하여 방어기전, 세포활성화, 세포구조와 연관된 단백이 증가하며. 미세먼지노출에 의해 특히 탐식세포 migration-inhibitory factor 인자가 상피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고 폐기관지페포세척액, 폐포에서 단백이 증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미세먼지는 예민한 사람에서 기도염증과 염증매개인자를 증가시켜 폐질환을 악화시키고 폐감염을 증가시키고,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탐식세포나 상피세포를 자극하여 TNF-α, TGF-β1, GM-CSF, PDGF, IL-6, IL-8 등을 증가시키고, 반응성 산소종이 급성 및 만성 폐염증을 일으킨다. 후천면역으로 미세먼지는 IL-4나 IL-13을 증가시킨다. 미세먼지와 알러젠을 동시에 줄 때 T세포 매개 염증을 더 증가시킨다. IL-4, IL-5, IL-13, GM-CSF, RANTES, MCP-3, MIP-1 등을 증가시킨다. 활성산소종 등 산화스트레스는 산화항산화 효소의 반응균형이 불균형되면서 기도에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로부터 유도된 상술한 작용등을 완화하기 위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질병 유발 기전과 유사한 증상이 야기되는 미세먼지 유도 동물모델을 제조하고자, 디젤분진을 초음파로 분산하여 기도 내로 흡입시켜 제작하였다. 그 결과 기관지페포에서 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세기관지주위, 혈관주의 또는 폐포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포 대식세포의 생존률이 저하하고, 활성산소종이 증가하여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의 병태와 매우 흡사함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미세먼지로 인해 호흡기질환이 발생한 환자의 병리 소견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디젤분진의 흡입을 통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는 폐와 기도 조직의 손상과 기능저하가 관여되어 있는 것으로, 작은 입자의 디젤분진이 폐포에 침착하거나, 폐의 모세혈관으로 투과로 인하여 호흡기 염증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하기도 감염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및 폐섬유증과 같은 호흡기 질환들이 유도되어 지거나, 혹은 디젤분진에 의한 식균세포의 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염증성 페 질환이 발병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젤분진의 흡입을 통해 유도된 동물모델에 대하여 상기 병리학적 증상들을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투여를 통해 완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이 호흡기 염증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하기도 감염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및 폐섬유증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도 개선,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디젤분진은 그 구체적인 함량이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nitro-substituted PAHs (nitro-PAHs) 및 유사방향족이 포함되어있으며, 구체적인 함량은 다음의 표 1 및 2와 같다. 표 1은 SRM 2975에서 선택된 PAH에서 측정된 질량 분율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SRM 2975에서 nitro-PAH의 질량 분율을 나타낸 것이다.
Mass Fraction(a)(mg/kg)
2-Methylphenanthrene 2.22 ± 0.21
1-Methylphenanthrene 0.923 ± 0.057
Triphenylene 5.32 ± 0.24
Benzo[j]fluoranthene 0.819 ± 0.093
Benzo[a]fluoranthene 0.066 ± 0.007
Dibenz[a,h + a,c]anthracene 0.523 ± 0.047
Picene 0.902 ± 0.091
Dibenzo[a,e]pyrene 0.599 ± 0.024
Dibenzo[b,k]fluoranthene 2.54 ± 0.08
Mass Fraction(a)(mg/kg)
9-Nitrophenanthrene 0.466 ± 0.013
3-Nitrophenanthrene 0.190 ± 0.007
2-Nitrofluoranthene 0.231 ± 0.032
3-Nitrofluoranthene 3.80 ± 0.24
1-Nitropyrene 35.2 ± 2.2
7-Nitrobenz[a]anthracene 3.57 ± 0.32
6-Nitrochrysene 2.45 ± 0.33
상술한 함량을 비교하면, 디젤분진의 흡입에 의한 모델과, 중금속을 경구투여하거나 혹은 니코틴이나 다이옥신에 의한 독성으로 야기되는 모델은 전혀 다른 성분들로부터 기인된 상이한 기전이 작용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미세먼지와 유사한 성분을 갖는 디젤분진을 흡입시킴으로써,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병리증상과 가장 흡사한 병리증상이 유도시켰고, 이러한 모델을 기반으로, 수많은 실험을 통해 다양한 조성을 적용하고 분석한 결과, 상술한 병리증상을 완화하거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질환 동물모델을 제조하기 위해 디젤분진을 흡입시킨 동물모델을 제조하였고, 디젤분진에 노출시키지 않은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을 노출시킨 디젤분진 투여군,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후 디젤분진을 흡입시킨 실험군으로 구별하여 각 그룹 당 5마리씩 나누었고,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디젤분진을 흡입시킨 디젤분진 투여군이 부형제 대조군에 비해서 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세기관지주위, 혈관주의, 폐포사이 염증세포 침윤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한 바, 폐와 기관지의 손상이 전체적으로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2, 도 3).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후 디젤분진을 흡입시킨 실험군의 경우에는 유의성있게 폐 기관지 주위로의 염증세포 침윤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된 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폐, 기도의 염증을 완화하고, 이와 관련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폐와 기관지 염증 완화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가 1 : 0.5-5 : 0.5-5 : 0.5-5 : 0.5-5 : 0.5-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5-2 : 0.5-2 : 0.5-2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5-1.5 : 0.5-1.5 : 0.5-1.5 : 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삼백초를 기준으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폐와 기관지(호흡기) 손상과 염증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각 한약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 이상을 제외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1.5 내지 20배로 낮은 효능을 보인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잔대와 유근피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 흑두 1 중량에 대하여 잔대 0.5~2 중량부와 유근피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실험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더 낮은 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현저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추출용매와 1 :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 15 내지 2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에서 추출하여 제조한다. 상기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와, 추출용매의 부피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각 혼합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물로 추출된 추출물이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대한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은 광의로는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의 가공물, 예컨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의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 추출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k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형제로 tween 80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인간을 제외한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세먼지 유입에 의해 폐 조직에서 검은 색소가 차있는 폐포 대식세포 축척/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및 세기관지 주위, 혈관주위 또는 폐포 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 및 예방하고, 폐포 대식세포의 생존률을 높이며, 식균 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디젤분진의 흡입을 통해 유도된 동물모델에 대하여 상기 병리학적 증상들을 완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이 호흡기 염증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하기도 감염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및 폐섬유증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도 개선,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잔대와 유근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사항은 약학 조성물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상기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 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제형화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상처의 치료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정상 또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폐, 기도, 기관지가 손상되거나, 호흡기 질환이 유발된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잔대와 유근피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 흑두 1 중량에 대하여 잔대 0.5~2 중량부와 유근피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실험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더 낮은 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현저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호흡기 또는 폐 염증 완화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은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호흡기 또는 폐 염증의 완화시키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과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호흡기 또는 폐 염증 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 또는 완화시키는 방법에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비교예 1. 삼백초 추출물.
삼백초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에 20 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48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얻은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거른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흑두 추출물.
흑두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에 20 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48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얻은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거른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감초 추출물
감초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에 20 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48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얻은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거른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포공영 추출물.
포공영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에 20 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48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얻은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거른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금은화 추출물.
금은화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에 20 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48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얻은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거른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6. 결명자 추출물.
결명자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에 20 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48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얻은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거른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7. 삼백초, 포공영, 및 금은화 혼합 추출물 제조
삼백초, 포공영, 및 금은화(1:1:1의 중량비로 혼합)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때 추출과정에는 환류장치가 부착된 추출기를 사용하였다. 각 시료에 20 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48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얻은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거른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TF-343) 제조
시료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1:1:1:1:1:1의 중량비로 혼합)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모두 동일하게 하여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흑두, 포공영, 금은화, 잔대, 삼백초, 결명자, 유근피 및 감초 혼합 추출물 제조
시료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잔대, 삼백초, 결명자, 유근피 및 감초(1:1:1:1:1:1:1:1의 중량비로 혼합)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9와 모두 동일하게 하여 흑두, 포공영, 금은화, 잔대, 삼백초, 결명자, 유근피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0.05% tween 80의 부형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미세먼지 동물모델-1의 제조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억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미세먼지 동물모델-1을 제조하였다. 실험동물로 체중 약 16.0 ± 0.7 g의 6주령 암컷 Balb/c와 약 16.4 ± 0.8 g의 6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경기도 성남시 소재)를 각각 25마리를 구입하였다. 5일간의 예비사육으로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질병이나 상처 등의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고, 적절한 체중을 나타내는 동물들을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실 환경은 온도 22 ± 3 ℃, 습도 50 ± 20%, 조명주기 12 시간/일, 조도 150-300 Lux, 환기횟수 10~20 회/시간으로 설정된 환경에서 케이지당 5마리씩 수용하여, 마우스용 분말사료(Lab Diet #5053 PMI Nutrition International, USA)와 물을 제한 없이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디젤분진 투여군은 디젤분진(DEP, SRM2975, NIST, Gaithersburg, MD)을 일정량 칭량하고, 0.05% tween 80(Sigma-Aldrich, St. Louis, MO)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최종 2 ㎎/㎖ 농도의 디젤분진 용액을 준비한 후, 50 ㎕(100 ㎍ 농도)씩 20 분간 초음파(sonication bath, Branson 1800)로 분산시켜 분진상태로 만든 다음, 14일째, 17일째 및 20일째에 화상 점적 투여기(특허출원번호:10-0811588)를 이용하여, 기도내로 디젤분진을 직접 투여하였다(n=5). 실험군은 7일째부터 20일째까지 2 주간 매일 비교예 7 또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400 ㎎/㎏을 경구투여하였고, 동시에 14일째, 17일째 및 20일째는 기도로 분진상태의 디젤분진을 투여하였다(각 그룹당 5마리). 부형제 대조군은 디젤분진 투여군과 동일한 조건에 0.05% tween 80 생리식염수를 50 ㎕씩 기도비강으로 투여하여 제작하였다(n=5). 상기 동물모델의 프로토콜은 도 1에 나타내었다. 모든 동물시험은 안전성평가연구소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s, IACUC) 심의에서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고, 동물실험에 대한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예 2. 생체 내 혼합 추출물의 폐와 기도 손상 치료 효과 분석
실험예 1의 과정을 통해 제작된 각각의 동물모델(Balb/c과 C57BL/6)에 대한 그룹별 폐조직 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지막 디젤분진을 기도로 흡입시킨 후, 48시간째 아이소플루란으로 마취하여 희생시켰으며, 폐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폐조직에 포르말린을 주입하고, 10% 중성완충포르말린액에 고정시켰다. 병리조직학적 검사는 케이피앤티(충북 청주시 소재)에서 조직슬라이드 제작, 염색 및 검경을 수행하였다. 검경 시 염증수준의 정도는 no lesion(-), minimal(±), mild(+), moderate(++), marked(+++)으로 5 단계로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Mann PC, Vahle J, Keenan CM, Baker JF, Bradley AE, Goodman DG, et al. International harmonization of toxicologic pathology nomenclature: An overview and review of basic principles. Toxicol Pathol. 2012;40:7S-13S).
구분(n=5)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디젤분진+비교예 7의 혼합 추출물) 실험군(디젤분진+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실험군(디젤분진+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Balb/c C57BL/6 Balb/c C57BL/6 Balb/c C57BL/6 Balb/c C57BL/6 balb/c C57BL/6
Accumulation, black pigment-laden alveolar macrophage/ presence, black particles, alveolar lumen - - +++ +++ +++ ++ ++ + + +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peribronchiolar/perivascular /interstitial - - + + + + ± ± ± -
*) 평가 등급 : Grade: -: no lesion, ±: minimal, +: mild, ++: moderate, +++: marked
도 3은 미세먼지 동물모델(Balb/c)의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으로부터 채취한 폐조직의 혈관주위 염증세포침윤을 분석하기 위해, H&E로 염색한 사진이고, 도 4는 미세먼지 동물모델(C57BL/6)의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으로부터 채취한 폐조직의 혈관주위 염증세포침윤을 분석하기 위해, H&E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5는 미세먼지 동물모델(Balb/c)의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으로부터 채취한 폐포에서의 대식세포를 분석하기 위해 H&E로 염색한 것이고, 이를 정량화하여 도 6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우선 Balb/c 동물모델에서의 각 군에 대한 병리학적 분석결과, 디젤분진 투여군의 폐조직에서는 부형제 대조군에 비해 검은 색소가 차있는 폐포 대식세포의 축척이 증가하였으며, 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및 세기관지주위, 혈관주의 또는 폐포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금속을 경구투여한 동물모델과는 전혀 상이한 병리학적 기전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중금속을 경구투여한 경우, 중금속 축적으로 간이나 심혈관 등의 체내 장기들의 손상의 위험성이 높으나, 폐 손상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디젤분진은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서 유래한 미세입자(PM2.5)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엔진오일과 연소되지 않은 연료 및 생체에 자극을 주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산화물이나 니트로 화합물 등의 유기성분과 질산염 등이 부착된 것으로, 상기 디젤분진을 흡입하는 경우, 기도와 폐의 염증이 유발되고 기관지 상피세포에 섬유증을 일으키고, 미세입자가 폐포 내로 깊숙이 침투하여 기도 뿐만 아니라 폐포 내에도 손상과 염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군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이 투여된 것은, 폐 또는 폐포에서 발생한 병변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C57BL/6 마우스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에서도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이 미세먼지로 인해 유도되는 폐와 기도에서의 손상과 염증을 완화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험군에서 비교예 7의 혼합 추출물이 투여된 것은 디젤분진 투여군과 비교하여 미세먼지로 인해 유도된 폐와 기도에서의 손상과 염증이 크게 완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이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보다 1.5~3배 낮은 효능이라 여겨진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6의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단독 추출물이 투여된 경우에는 디젤분진 투여군보다 오히려 염증이 증가한 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폐와 기도에서의 손상과 염증 완화 또는 예방 효능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흑두, 포공영, 금은화, 잔대, 삼백초, 결명자, 유근피 및 감초를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 이상을 제외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폐포, 기도에서의 염증 억제 효과가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미세먼지 동물모델-2의 제조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억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미세먼지 동물모델-2를 제조하였다. 실험동물로 체중 약 16.0 ± 0.7 g의 6주령 암컷 Balb/c를 35마리 구입하였다. 5일간의 예비사육으로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질병이나 상처 등의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고, 적절한 체중을 나타내는 동물들을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실 환경은 온도 22 ± 3℃, 습도 50 ± 20%, 조명주기 12 시간/일, 조도 150-300 Lux, 환기횟수 10~20 회/시간으로 설정된 환경에서 케이지당 5마리씩 수용하여, 마우스용 분말사료(Lab Diet #5053 PMI Nutrition International, USA)와 물을 제한 없이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디젤분진(DEP, SRM2975, NIST, Gaithersburg, MD)을 일정량 칭량하고, 0.05% tween 80(Sigma-Aldrich, St. Louis, MO)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최종 2 ㎎/㎖ 농도의 디젤분진 용액을 준비한 후, 20 분간 초음파(sonication bath, Branson 1800)를 조사하여 분산시키고, 이를 50 ㎕(100 ㎍ 농도)씩 21일째, 24일째 및 27일째에 비강으로 투여하여 디젤분진 투여군을 제작하였다(n=5). 실험군은 7일째부터 27일째까지 3 주간 매일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200, 400, 800 ㎎/㎏을 경구투여하였고, 동시에 21일째, 24일째 및 27일째에는 비강으로 디젤분진 용액을 투여하였다(각 그룹 당 5마리씩). 부형제 대조군은 디젤분진 투여군과 동일한 조건에 0.05% tween 80 생리식염수를 50 ㎕씩 비강으로 투여하여 제작하였다(n=5). 실험군 2는 7일째부터 27일째까지 3 주간 매일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200 ㎎/㎏을 경구투여하였고, 동시에 21일째, 24일째 및 27일째에는 비강으로 디젤분진 용액을 투여하였다(각 그룹 당 5마리씩). 양성 대조군은 1 ㎎/㎏ 농도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200 ㎕씩 20일째, 23째 및 26일째에 비강으로 투여하되, 이와 동시에 디젤분진 용액을 50 ㎕(100 ㎍ 농도)씩 21일째, 24일째 및 27일째에 비강으로 투여하여 제작하였다(n=5).
상기 미세먼지 동물모델-2의 제2 프로토콜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모든 동물시험은 안전성평가연구소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s, IACUC) 심의에서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고, 동물실험에 대한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예 4. 농도에 따른 생체 내 혼합 추출물의 폐와 기도 손상 치료 효과 분석
실험예 3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각 군의 동물모델에 대하여 폐조직 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군의 동물모델은 마지막 디젤분진을 기도로 흡입시킨 후, 48시간째 아이소플루란으로 마취하여 희생시켰으며, 폐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폐조직에 포르말린을 주입하고, 10% 중성완충포르말린액에 고정시켰다. 병리조직학적 검사는 안전성평가연구소 (전북 정읍시 소재)에서 조직슬라이드 제작 및 염색을 하였으며, 케이피앤티(충북 청주시 소재)에서 검경을 수행하였다. 검경 시 염증수준의 정도는 no lesion (-), minimal (±), mild (+), moderate (++), marked (+++)으로 5단계로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n=5)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디젤분진+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실험군 2(디젤분진+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양성 대조군
200 400 800 200
Accumulation, black pigment-laden alveolar macrophage/ presence, black particles, alveolar lumen - ++ ++ + ± ± ±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peribronchiolar/perivascular /interstitial - ± ± - - - ±
*) 평가 등급 : Grade: -: no lesion, ±: minimal, +: mild, ++: moderate, +++: marked
도 7은 실험예 3에서 부형제 대조군, 디젤분진 투여군, 실험군(실시예 1의 농도별) 및 양성 대조군으로부터 채취한 폐조직의 혈관주위 염증세포침윤을 분석하기 위해, H&E로 염색한 사진이다.
표 4 및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리학적 분석 결과, 부형제 대조군에 비해 디젤분진 투여군의 폐조직에서 검은 색소가 차있는 폐포 대식세포 축척/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및 세기관지주위, 혈관주위 또는 폐포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에서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TF-343)이 200 mg/kg 또는 400 mg/kg 투여된 경우, 디젤분진 투여군의 병변과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실험군에서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TF-343)이 800 mg/kg 투여된 경우에는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2에서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이 200 mg/kg 투여된 경우에는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TF-343)이 800 mg/kg 투여되었을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세포에서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독성 개선 효과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로 알려진 MH-S(CRL-2019. ATCC, Manassas, VA, USA)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nycin solution(PS, Gibco)을 첨가한 RPMI 1640(complete medium) 배지를 넣어 37℃와 5% CO2 조건에서 배양시켰다. 디젤분진에 의한 세포독성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MH-S 세포를 최종 농도가 1x105 개/well이 되도록 96 well 플레이트에 200 ㎕씩 분주하였다. 이후 24 시간째에 complete medium을 제거하고, serum free RPMI 1640을 200 ㎕씩 교체했다.
실험군은 Serum free RPMI 1640 medium으로 배지를 교체하고 2 시간이 지난후,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TF-343)(100, 200, 400 ㎍/㎖)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37℃와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 ㎎/㎖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S vibra cellTM Ultrasonic Liquid Processors, SONICS & MATERIALS Inc.)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 ㎍/㎖를 처리하여(약 200 ㎕ well 당 5 ㎕씩) 제작하였다.
부형제군은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대신에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부형제-1) 또는 생리식염수(부형제-2)를 혼합한 후, 디젤분진을 처리하지 않고 제작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배양된 MH-S 세포이다. 디젤분진 투여군은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 ㎎/㎖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ator)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 ㎍/㎖를 처리하여(약 200 ㎕ well 당 5 ㎕씩) 제작하였다.
디젤분진을 처리하고 3 시간 뒤,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는 PBS로 2번 세척하고, 잔여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Gibco)를 제거한 후,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용액(1 ㎎ MTT/PBS ㎖) 200 ㎕를 첨가한 다음, 3시간 동안 37 ℃와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formazan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다음 MTT 용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DMSO) 100 ㎕를 첨가한 후, 흡광계(microplate readers,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확인(MTT assay)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도 8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배양시킨 음성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 막대(bar)는 means ± SEM을 나타내며, 값들은 세 번의 독립적 실험의 결과로서 GraphPad Prism 7.0 프로그램(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투여군간의 차이는 Dunnett's test로 분석하였으며, 부형제-2 투여군과 디젤분진 투여군(****P<0.0001), 디젤분진 투여군과 TF-343 처리군(####P<0.0001)을 비교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MTT분석 결과 음성대조군에 비해 부형제-1, 부형제-2에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으며, 디젤분진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수준(약 27.2% 감소)으로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TF-343, 실시예 1)이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음성 대조군, 부형제군과 동일한 수준으로 세포생존율이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농도에 상관없이 세포생존율이 100% 이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6의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 단독 추출물이 투여된 경우, 비교예 7의 복합 추출물이 투여된 경우 디젤분진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거나(부형제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약 25~35% 감소) 오히려 감소하여, 그래프에서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았으나, 세포 독성 개선 효능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미세먼지 노출 세포모델에서 혼합 추출물의 대식세포 식균능 향상 효과
미세먼지로 인해 유도된 염증과 관련된 면역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로 알려진 MH-S(CRL-2019. ATCC, Manassas, VA, USA) 세포에서의 대식세포 식균작용 활성화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는 세포에 디젤분진을 처리한 후, MH-S 세포내에서 잔존하는 디젤분진의 양을 정량하여 비교하였다.
우선,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로 알려진 MH-S(CRL-2019. ATCC, Manassas, VA, USA)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nycin solution(PS, Gibco)을 첨가한 RPMI 1640(complete medium) 배지를 넣어 37℃와 5% CO2 조건에서 배양시켰다. 디젤분진에 의한 세포독성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MH-S 세포를 최종 농도가 1x105 개/well이 되도록 96 well 플레이트에 200 ㎕씩 분주하였다. 이후 24 시간째에 complete medium을 제거하고, serum free RPMI 1640을 200 ㎕씩 교체했다.
실험군은 Serum free RPMI 1640 medium으로 배지를 교체하고 2 시간이 지난 후,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TF-343)(100, 200, 400 ㎍/㎖)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37℃와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 ㎎/㎖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S vibra cellTM Ultrasonic Liquid Processors)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 ㎍/㎖를 처리하여(약 200 ㎕ well 당 5 ㎕씩) 제작하였다.
부형제군은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대신에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부형제-1) 또는 생리식염수(부형제-2)를 혼합한 후, 디젤분진을 처리하지 않고 제작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배양된 MH-S 세포이다. 디젤분진 투여군은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 ㎎/㎖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S vibra cellTM Ultrasonic Liquid Processors)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 ㎍/㎖를 처리하여(약 200 ㎕ well 당 5 ㎕씩) 제작하였다.
디젤분진을 처리하고 3 시간 뒤,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는 PBS로 2번 세척한 다음, PBS 100 ㎕를 첨가하여 분주한 상태에서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변화된 MH-S 세포주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기 위해, 200 배로 사진 촬영을 하였다(도 9). 사진 촬영 후, 흡광계로 디젤분진의 흡광도 365 ㎚ 값을 측정하였다(도 10, 11). 대식세포 식균능은 측정된 흡광도를 통해 각 군의 세포내 디젤분진의 양을 정량하고, 이로부터 유추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 10은 디젤분진 양에 따른 흡광도를 분석한 검량선이고, 도 11은 각 군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도 10의 검량선에 대입하여 디젤분진 함량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의 검량선은 디젤분진의 정량을 위한 것으로 최고 200 ㎍/㎖의 농도를 기준으로 2 배씩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 및 부형제군과 비교하였을 때, 디젤분진 투여군에서는 디젤분진에 의해 식균작용이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데이터 막대(bar)는 means ± SEM을 나타내며, 값들은 세 번의 독립적 실험의 결과로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GraphPad Prism 7.0 프로그램(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투여군간의 차이는 Dunnett's test로 분석하였으며, 부형제-2 투여군과 디젤분진 투여군(**P<0.01), 디젤분진 투여군과 TF-343 처리군(#P<0.05, ####P<0.0001)을 비교하였다.
반면 실험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이 투여될 경우 디젤분진에 대한 폐포 대식세포의 식균작용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단순히 디젤분진만 투여되었을 때보다 통계적으로 현저히 향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미세먼지 노출 세포모델에서 혼합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감소 효과
미세먼지로 인해 유도된 염증과 관련된 면역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로 알려진 MH-S(CRL-2019. ATCC, Manassas, VA, USA) 세포에서의 대식세포 식균작용 활성화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는 세포에 디젤분진을 처리한 후, MH-S 세포내에서 잔존하는 디젤분진의 양을 정량하여 비교하였다.
우선,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로 알려진 MH-S(CRL-2019. ATCC, Manassas, VA, USA)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nycin solution(PS, Gibco)을 첨가한 RPMI 1640(complete medium) 배지를 넣어 37 ℃와 5% CO2 조건에서 배양시켰다. 디젤분진에 의한 세포독성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MH-S 세포를 최종 농도가 1x105 개/well이 되도록 96 well 플레이트에 200 ㎕씩 분주하였다. 이후 24 시간째에 complete medium을 제거하고, serum free RPMI 1640을 200 ㎕씩 교체했다.
실험군은 Serum free RPMI 1640 medium으로 배지를 교체하고 2 시간이 지난후,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TF-343)(100, 200, 400 ㎍/㎖)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37 ℃와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 ㎎/㎖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ation)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 ㎍/㎖를 처리하여(약 200 ㎕ well 당 5 ㎕씩) 제작하였다.
부형제군은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대신에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부형제-1) 또는 생리식염수(부형제-2)를 혼합한 후, 디젤분진을 처리하지 않고 제작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배양된 MH-S 세포이다. 디젤분진 투여군은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 ㎎/㎖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ation)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 ㎍/㎖를 처리하여(약 200 ㎕ well 당 5 ㎕씩) 제작하였다.
디젤분진을 처리하고 3 시간 뒤, 세포를 회수하였다. 상기 각 군으로부터 활성산소종 측정을 위해 회수한 세포를 PBS로 2번 세척하고, RPMI 1640 medium에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DCFDA, Thermo)를 10 ㅅM 농도로 준비한 후, 이를 각 well에 200 ㎕씩 분주한 다음 30 분간 37℃와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세포를 다시금 PBS로 2번 세척하고, Complete medium에 혼합하여 제조한 3.7% formalin 용액을 15 분 동안 처리하여 37℃와 5% CO2 조건에서 고정하였다. PBS 100 ㎕ 분주하고, micro-plate reader기기로 흡수파장 495 ㎚, 방출파장 529 ㎚에서 DCFDA 형광발광을 검출 및 정량화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활성산소종(rreactive oxygen species; ROS)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활성산소종량(%)은 세포생존율(%) 대비 형광분석하였고, 음성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활성산소종의 정도를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 막대(bar)는 means ± SEM을 나타내며, 값들은 세 번의 독립적 실험의 결과로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GraphPad Prism 7.0 프로그램(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투여군간의 차이는 Dunnett's test로 분석하였으며, 부형제-2 투여군과 디젤분진 투여군(*****P<0.00001), 디젤분진 투여군과 TF-343 처리군(#P<0.05)을 비교하였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형제는 폐포 대식세포의 활성산소종 변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세먼지인 디젤분진이 분진상태로 투여된 경우, 활성산소종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약 300~400%). 한편 미세먼지의 흡입으로 유도된 활성산소종 생성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을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 완화 및 예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군).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 추출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 추출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 추출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5)

  1.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가 1 : 0.5-2 : 0.5-2 : 0.5-2 : 0.5-2 : 0.5-2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에 흑두 1 중량에 대하여 잔대 0.5~2 중량부와 유근피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하기도 감염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및 폐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미세먼지 유입에 의해 폐조직에서 검은 색소가 차있는 폐포 대식세포 축척/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및 세기관지주위, 혈관주위 또는 폐포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 및 예방하고, 폐포 대식세포의 생존률을 높이며, 식균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인간을 제외한 동물용 약학 조성물.
  8.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가 1 : 0.5-2 : 0.5-2 : 0.5-2 : 0.5-2 : 0.5-2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에 흑두 1 중량에 대하여 잔대 0.5~2 중량부와 유근피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하기도 감염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및 폐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미세먼지 유입에 의해 폐조직에서 검은 색소가 차있는 폐포 대식세포 축척/폐포 내 검은 입자 존재 및 세기관지주위, 혈관주위 또는 폐포사이 간질 조직의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 및 예방하고, 폐포 대식세포의 생존률을 높이며, 식균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4.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용도.
  15.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는 미세먼지 흡입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의 치료방법.
PCT/KR2019/010137 2018-08-24 2019-08-09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4046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8916 2018-08-24
KR10-2018-0098916 2018-08-24
KR10-2019-0019208 2019-02-19
KR1020190019208A KR102058618B1 (ko) 2018-08-24 2019-02-19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462A1 true WO2020040462A1 (ko) 2020-02-27

Family

ID=6905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137 WO2020040462A1 (ko) 2018-08-24 2019-08-09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8618B1 (ko)
WO (1) WO2020040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416B1 (ko) * 2019-07-10 2020-12-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로 유발된 호흡기 염증 개선용 복합제제
KR102124855B1 (ko) * 2020-02-13 2020-06-22 우영삼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있는 비타민 조성물
KR102172571B1 (ko) * 2020-06-18 2020-11-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유발 호흡기 염증 및 민감성 개선용 복합제제
KR102223717B1 (ko) * 2021-01-08 2021-03-08 (주)오성내츄럴바이오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WO2023043169A1 (ko) * 2021-09-14 2023-03-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0553A (ko) 2021-10-27 2023-05-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이처포스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884A (ko) * 2003-09-05 2005-03-11 김현석 니코틴 및 다이옥신 해독 작용을 가지는 생약제 추출물의조성물
KR20120133133A (ko) *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5001A (ko) * 2014-02-12 2015-08-20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80037693A (ko) * 2016-10-05 2018-04-13 어봉우 폐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884A (ko) * 2003-09-05 2005-03-11 김현석 니코틴 및 다이옥신 해독 작용을 가지는 생약제 추출물의조성물
KR20120133133A (ko) *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5001A (ko) * 2014-02-12 2015-08-20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80037693A (ko) * 2016-10-05 2018-04-13 어봉우 폐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HYE-JUNG ET AL: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anthocyanin crude extracts from black soybean",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55, no. 1, March 2010 (2010-03-01), pages 65 - 6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618B1 (ko)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0462A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35928A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항노화 조성물
WO2011052846A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160219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79931A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3019049A1 (ko)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및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WO2012165731A1 (ko)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WO2016060525A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0087577A2 (ko) 스페니쉬 오레가노 추출물, 여름세이보리 추출물 또는 카바크롤의 대사성 질환 치료를 위한 용도
WO2016032249A1 (ko) 모새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030336A1 (ko)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98084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styraxlignolide A or the aglycon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WO2020256464A1 (ko) 항염 활성을 갖는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의 알코올성 위염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5360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out comprising morinda citrifolia extract or scopoletin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WO2012115469A2 (ko) 항염증성의 경구 투여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9177428A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WO2013069934A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WO2015002430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6129902A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05816A2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90423A2 (en)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crude drug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and diabetic hyperlipidemia
WO2016204493A1 (en) A novel compound (ks 513)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y disease, inflammatory disease,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he use thereof
WO2021235637A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24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524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