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717B1 -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 Google Patents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717B1
KR102223717B1 KR1020210002594A KR20210002594A KR102223717B1 KR 102223717 B1 KR102223717 B1 KR 102223717B1 KR 1020210002594 A KR1020210002594 A KR 1020210002594A KR 20210002594 A KR20210002594 A KR 20210002594A KR 102223717 B1 KR102223717 B1 KR 10222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rbal
chronic obstructive
obstructive pulm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오성내츄럴바이오
김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내츄럴바이오, 김성기 filed Critical (주)오성내츄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0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8Scrophularia (fig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생약 성분을 이용한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한방 약침액 또는 주사제 형태로 제공이 가능한 새로운 COPD 완화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The crude drugs composition of decreation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hamacopuncture injection of oriental medicinie containing the same and Injec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생약 성분을 이용한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음용하던 한방 의학인 침술에 적용하여 약침의 약침액 성분으로 사용하거나, 주사로 직접 주사하거나 또는 흡입하여 천식 완화 및/또는 치료가 가능한 새로운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기관지염이 오래됐거나 감기나 폐렴 등으로 갑자기 기관지염이 심해졌거나, 오랜 기간 동안 담배를 피운 사람한테 잘 발생하는 만성기관지염이며, 임신 중의 흡연 역시 태아의 폐 성장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발생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그 외에 고령, 작업장과 주위 환경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대기오염, 어린 시절 호흡기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COPD은 서서히 진행하며, 처음에는 가벼운 호흡 곤란과 가래나 기침이 간혹 나타나지만 병이 점점 진행하면 호흡 곤란이 심해지며, 말기에는 심장 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COPD 상태에 따른 증상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으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기침, 기침 발작 후에 소량의 끈끈한 객담 배출,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점차 악화되는 호흡곤란, 천명음과 흉부 압박감 등이 있다.
경미한 COPD - 힘들게 일하거나 빨리 걸을 때 조금 숨이 차는 것을 느낌
- 기침을 많이 할 수도 있으며, 가끔은 기침할 때에 가래가 나오기도 함
보통 COPD - 힘들게 일하거나 빨리 걸을 때 종종 숨이 차는 것을 느낌- 기침을 좀 더 많이 할 수 있고, 이때 가래도 나옴
- 간단한 집안일을 하는 것도 호흡하기가 힘들 수 있음
중증 COPD - 기침을 안 하는 사람도 있고 훨씬 더 많이 하고 가래도 많이 나옴- 밤과 낮 어느 때고 숨이 차게 됨
- 감기나 폐렴에서 회복되는 데 몇 주가 걸릴 수도 있음
- 직장에 나가 일하거나 집안일을 하기 어렵게 됩니다.
- 계단을 오르거나 걷는 것도 어려우며, 쉽게 피곤해짐
COPD 치료를 위한 약물 요법으로는 흡입제, 먹는 약, 주사제, 호흡재활 치료, 산소 요법이 있으며, 외과적 치료로서, 중증COPD 환자에게 폐 이식 또는 폐 용적 축소술을 시행하기도 하는데, 최근 식물 등의 생약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예방, 치료용 성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647029호(2016.08.0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43237호(2013.12.31)
본 발명자들은 천연 생약 성분의 다양한 응용분야를 연구하던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 생약 성분의 최적 조성을 알게 되었고, 이를 천식 치료에 적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천연 생약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COPD 완화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이를 이용한 용도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OPD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포공용 등을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시킨 추출물을 증류시켜 수득한 진액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COPD 완화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포공용 등을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 및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는 3단계; 및 농축된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을 수득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COPD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이용한 약침 침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COPD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사제 또는 흡입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음용하여 소화기로 흡수시켜서 작용 되오던 기존 치료제와 달리, 한방 약침용 약침액, 주사용 주사제 또는 흡입제 형태로 직접 적용되는 바, 내성이 발생하지 않고 신속하게 COPD 개선 효과가 생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면서 기관지 폐포세척액 내 염증 세포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이하, "본 발명 조성물"로 칭함)은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 및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는 3단계; 및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을 수득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1단계의 생약 복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생약 복합물은 포공영, 천화분, 맥문동, 갈근, 금은화, 연교, 황금, 길경, 현삼 및 감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약 복합물은 어성초 및/또는 동충하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포공용은 국화과의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또는 동속 식물의 전초를 말린 약재로서, 포공영은 꽃이 금비녀의 머리처럼 생겨서 금잠초(金簪草)라고도 하고 줄기가 하나만 있는 것이 정(丁)같이 생겼기 때문에 지정(地丁)이라고도 한다. 포공영은 열독을 내리고 종기를 삭히는 약으로 종창, 유방염, 인후염, 옹종(맹장염, 폐농양, 복막염)에 쓰고 안구충혈, 급성간염, 황달, 열로 인해 소변을 보지 못하는 증상에 사용되며, 약리작용으로 억균작용, 면역기능강화, 담즙분비작용, 간기능보호작용, 이뇨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천화분은 천과, 과라, 백약, 괄루근이라고도 불리며, 박과 식물인 하눌타리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하눌타리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산과 들판, 밭둑에서 자라는 식물로서, 가을에 뿌리를 캐 물에 씻어 겉껍질을 벗긴 다음 썰거나 쪼개어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폐경(肺經), 위경(胃經),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갈증을 가시게 하며 가래를 삭이고 유독한 물질을 없애며 부스럼을 치료하고 고름을 빼내는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약리적 실험에서 항암 작용을 나타내며 적리균을 비롯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맥문동(Broadleaf Liriope)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식물로서,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생김에서 따온 것이다.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는데 그 때문에 아파트나 빌딩의 그늘진 정원에 많이 심어져 있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흔히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된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50cm이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길이 30∼50cm, 나비 8∼12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 맥문동은 해열, 소염, 가래를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열이 나고 병을 앓고 난 기운이 없는 환자에게 원기회복의 위해 한의학적으로 처방되어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도 심장과 폐에 효능이 있는 약재라고 소개 되어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갈근(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Leguminosae) 칡속(Pueraria genus)에 속하는 칡의 뿌리를 지칭한다. 갈근은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이소플라보노이드 중 푸에라린(puerarin) 성분은 주사, 캡슐 및 정제의 형태로 임상에서 사용되는데, 푸에라린(puerarin) 성분만 처방하거나, 기존의 한의 처방에 puerarin 성분만 따로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puerarin 주사를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뇌혈관 질환, 당뇨 치료 등의 임상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갈근은 심혈관 질환 및 2형 당뇨의 치료에 사용했으며, 이외에도 해열,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금은화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를 말한다. 인동과 식물은 추운 겨울에도 쉽사리 시들지 않는데, 금은화란 이름은 처음 피는 꽃이 흰색이지만 점차 노랗게 변해지는 특징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금은화는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금은화는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있을 때 사용하며 염증에 좋아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독, 장기의 염증, 농을 배출하는 데에 효능이 있다. 또한 이질, 열독으로 인한 피부 조직 괴사, 유선염 등에 쓰인다.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후염, 편도선염, 기관지염, 결막염 및 부스럼,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인한 고열, 화농성 감염증 등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당개나리(Forsythia suspensa Vahl)의 건조시킨 열매를 말한다. 연교는 열매가 연꽃과 비슷하게 방(房)을 형성하고 있고 여러 풀 중에 길게 솟아나와(翹) 있어 얻은 이름이다. 연교의 약효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풍열(風熱)을 없애고, 종기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도록 하거나 뭉치거나 몰린 것을 풀어주는 소종산결(消腫散結)하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온열병 초기에 열을 내려서 고열과 정신이 혼몽한 것을 가라앉히거나 종기, 림프절염, 인후염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 지혈작용, 간치료작용, 해열, 진토, 이뇨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황금(Skullcap)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속썩은풀(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 또는 뿌리의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한방에서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하는 약용식물이다.
생약 복합물 중 길경은 초롱꽃과의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의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만든 약재로서, 길경은 폐에 작용하여 해수와 가래가 많고 호흡이 불편한 증상을 치료하며, 폐를 맑게 하고 답답한 가슴을 풀어주며 뱃속의 찬 기운을 풀어주어 기침을 멈추고 담을 없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방에서 소변을 잘 보지 못하여 전신부종이 있고 소변양이 적을 때도 사용하며, 인후통,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코막힘, 천식, 기관지염증, 흉막염, 두통, 오한, 편도선염 등에 사용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 거담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개선균억제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생약 복합물 중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 MIQ)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꽃은 길이 8-9월에 황색으로 피며 근연식물로는 큰개현삼, 토현삼, 섬현삼 등이 있으며, 뿌리는 비대한 것이 여러 개 달려 있는데 이를 약재로 이용한다. 약효는 해열작용과 더불어 혈당강하, 혈압강하의 효과가 있으며, 인후염, 임파선염, 종기 등에 많이 응용되며, 항균작용이 뛰어나 피부질환에도 응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뿌리를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감초는 감미가 있는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 슈크로즈, 글루코즈, 리퀴리틴, 리코리시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은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염산 코데인, 초산 스트리키닌, 뱀독·복어독 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이 있어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글리시리진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어 혈압강하의 효과가 있으며, 담즙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진해작용 및 진통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소화기계통으로는 개에게 궤양을 일으키게 한 뒤 감초 달인 물을 복용시킨 결과 궤양억제 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방광결석에도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항암작용실험에서는 복수암·간암 등에 유의성 있는 억제작용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초는 한방에서 가장 용도가 많은 약재 중 하나이다.
생약 복합물 중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약모밀‘이라는 약초이며 잎에서 비린내가 난다고 해서 어성초라고 이름 붙여졌다. 잡초와 같은 왕성한 번식력을 자랑하는 어성초는 나쁜 피, 즉 어혈을 풀어주고, 살균효과가 뛰어나 아토피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로 차로 만들어 식용한다. 최근 탈모에 좋다하여 비누, 샴푸로 만들거나 팩으로도 나와 유용하게 쓰인다.
생약 복합물 중 동충하초(vegetable worms)는 자낭균류 맥각균목 동충하초과의 소형 버섯류로서, 하초동충이라고도 한다. 보통 버섯들과는 달리 곤충의 영양분을 먹고 자라 겨울엔 죽은 곤충의 몸에 기생하지만 여름이 되면 버섯으로 피어나며, 넓은 의미에서는 곤충에 기생하는 모든 종류의 버섯을 말한다. 이러한 동충하초는 항암 효과, 면역 증강, 신장 이식 후 면역반응 억제, 혈당 강하 효과 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1단계의 상기 생약 복합물 내 생약 성분 사용량은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화분 90 ~ 130 중량부, 맥문동 50 ~ 70 중량부, 갈근 50 ~ 70 중량부, 금은화 80 ~ 110 중량부, 연교 80 ~ 110 중량부, 황금 50 ~ 70 중량부, 길경 50 ~ 70 중량부, 현삼 50 ~ 70 중량부 및 감초 30 ~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화분 95 ~ 120 중량부, 맥문동 55 ~ 70 중량부, 갈근 50 ~ 65 중량부, 금은화 85 ~ 105 중량부, 연교 80 ~ 100 중량부, 황금 55 ~ 70 중량부, 길경 55 ~ 70 중량부, 현삼 50 ~ 65 중량부 및 감초 30 ~ 45 중량부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화분 95 ~ 120 중량부, 맥문동 55 ~ 62 중량부, 갈근 50 ~ 60 중량부, 금은화 90 ~ 105 중량부, 연교 85 ~ 100 중량부, 황금 60 ~ 70 중량부, 길경 55 ~ 65 중량부, 현삼 50 ~ 60 중량부 및 감초 30 ~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생약 복합물은 어성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성초 80 ~ 11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90 ~ 11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1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생약 복합물은 동충하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동충하초 1 ~ 2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2단계는 1단계의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25 ~ 30℃ 하에서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이때, 생약 복합물 1kg 당 추출용매 0.50 ~ 1 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생약 복합물 1kg 당 추출용매 0.55 ~ 0.80 L 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약 복합물 1kg 당 추출용매 0.60 ~ 0.70 L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추출용매 사용량이 0.5 L를 미만을 사용하면 추출용매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3단계에서 증류시 추출용매가 너무 빨리 증발하여 유효 성분 추출이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1L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증류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과 알코올 수용액을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물 및 50 ~ 70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 ~ 0.5 부피비로 포함하는 혼합용매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 60 ~ 65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0 ~ 0.35 부피비로 포함하는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생약 복합물 내 적정 약효를 추출하는 측면에서 좋다.
다음으로, 3단계는 생약 복합물과 추출용매를 혼합한 혼합용액을 가열하여 생약 복합물 내 유효 추출 성분을 추출하고, 용매를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가열 및 증류는 혼합용액의 부피가 하기 방정식 1을 만족하도록 수행하는 것이 좋다.
[방정식 1]
15%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20%, 바람직하게는 16.5%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20.0%
이때, 가열 온도는 75 ~ 90℃, 바람직하게는 80 ~ 85℃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 온도가 90℃를 초과하면 에탄올 성분이 너무 빨리 증발하여 충분하게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가열 온도가 75℃ 미만이면 오히려 유효 성분 추출이 잘 되지 않고, 증류를 통한 진액 제조 공정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3단계는 2단계에서 농축된 추출액을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필터링하여 농축된 추출액으로부터 진액(또는 액기스)을 수득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COPD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한방 약침액 또는 주사액으로 적용하여, 경구가 아닌 피부를 통해 직접 투여함으로써, 기존 경구용 COPD 치료 약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COPD를 완화 및/또는 치료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생약 조성물은 흡입제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방 약침액 및/또는 주사액은 인체에 무해한 윤활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COPD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이용한 침술을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상기 조성물을 한방 약침액으로 사용하여, 한방 약침에 상기 한방 약침액을 묻힌 후, 혈자리인 천돌에 침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COPD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제조
(1) 생약 복합물의 준비
포공영 100 중량부, 천화분 100 중량부, 맥문동 58 중량부, 갈근55 중량부, 금은화95 중량부, 연교 93 중량부, 황금 65 중량부, 길경 60 중량부, 현삼 57 중량부 및 감초 38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였다.
(2) 진액 제조
증류수 및 62.5%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5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생약 복합물 1kg 당 상기 혼합용매 0.625L 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을 교반 및 80~82℃로 가열하여, 혼합용액의 부피가 하기 방정식 1-1을 만족할 때까지 가열 및 용액을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농축된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인 COPD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방정식 1-1]
17.5% ≤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18.0%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액의 COPD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생약 복합물 준비시,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성초 97 중량부 및 동충하초 3.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생약 복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진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실시예 4 및 비교예 1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되, 생약 복합물 조성을 하기 표 2와 같이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생약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포공영 100 100 100 100 100 100
천화분 100 100 112 95 50 100
맥문동 58 58 53 56 30 58
갈근 55 55 60 52 55 80
금은화 95 95 90 97 95 95
연교 93 93 100 91 45 93
황금 65 65 70 60 65 65
길경 60 60 55 63 60 85
현삼 57 57 54 60 57 78
감초 38 38 40 37 38 38
어성초 - 97 90 92 - 97
동충하초 - 2.0 1.5 1.5 - 2.0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인간의 폐암점막세포인 H292 세포를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을 10% 첨가한 RPMI 배지(Gibco)에 5Ⅹ104 세포/㎖의 농도로 현탁하여 100 ㎕씩 96 웰-플레이트에 접종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2의 생약 조성물 각각을 0.2 μg/mL, 0.5 μg/mL, 1.0 μg/mL 및 2.5 μg/mL 및 5.0 μg/mL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지 90 ㎕에 CCK-8 용액(도진도 사)을 10 ㎕ 혼합하여 웰당 100 ㎕씩 첨가하였고, 최소 30분에서 최대 4시간까지 반응시킨 후, 570 nm에서 흡광도(OD570nm)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DMSO를 0.2% 처리한 음성대조군을 100%로 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음성대조군은 생약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것이다.
[수학식 1]
세포생존율(%) = (생약 조성물로 처리한 OD570nm 값)/(음성대조군의 OD570nm 값)Ⅹ100%
구분 농도 H292세포생존율
(%)
구분 농도 H292세포생존율
(%)
음성대조군 - 99.99 -
실시예 1 0.2 97.82 실시예4 0.2 98.09
0.5 99.25 0.5 99.75
1.0 101.21 1.0 101.90
2.5 103.33 2.5 103.88
5.0 103.05 5.0 105.54
실시예 2 0.2 98.31 비교예1 0.2 97.70
0.5 100.08 0.5 98.83
1.0 104.41 1.0 99.98
2.5 106.32 2.5 101.94
5.0 108.82 5.0 104.27
실시예 3 0.2 98.22 비교예2 0.2 95.31
0.5 99.87 0.5 99.90
1.0 103.50 1.0 98.82
2.5 104.83 2.5 97.39
5.0 106.18 5.0 90.30
상기 표 3의 세포독성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4의 경우, 세포 독성이 거의 없는 결과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농도 증가할수록 오히려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갈근, 길경 및 현삼을 과량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와 비교할 때 세포 독성이 있는 결과를 보였다.
제조예 1 : 주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조성물을 멸균 생리식염수(N/S)(Lot No.: 12062, 공급원: JW Pharmaceutical)와 혼합 및 35 부피% 농도로 희석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4 및 비교제조예 1 : 주사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되, 실시예 1 대신 실시예 2 ~ 4 및 비교제조예 1의 생약 조성물을 각각 사용하여 주사제를 각각 제조하여, 제조예 2 ~ 4 및 비교제조예 1를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예 2 : 기관지 폐포세척액 내 염증 세포수의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실험예 사용된 마우스(BALB/c mouse, 공급원: Samtako Korea)는 천식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주령이 입수시 6주, 본 실험시 7 주된 암컷을 이용하였다. 입수 후 6일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 내에서 순화시키고, 매일1회 이상 관찰하였다. 순화기간에는 적색 유성 매직으로, 투여 및 관찰기간에는 흑색 유성 매직을 이용한 표식법을 사용하여 식별하였고, 사육상자에는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온도 23±3℃,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20회/hr, 조명시간 12 시간 및 조도 150 ~ 300 Lux로 유지되는 사육구역에서 사육하였다. 적량의 깔개를 담은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서 순화, 투여 기간에 4마리 이하를 사육상자로 사육하였으며,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한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순위화하고, 각 군의 평균체중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였다.
COPD 유발물질로는 표준담배추출물로 유도하였으며, 마우스의 COPD 유발을 위한 복강주사제를 주 2회로 4주간 주사하였다.
그리고, COPD 유발된 마우스에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양성군은 덱사메타손을 주사하였고, 제조예 1 ~ 4 및 비교예 1은 하기 표 4와 같이 주 2회로 6주간 주사하였다. 그리고, 주사액량은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생약
조성물
종류
천식 유발된
마우스수
(성별)
주사액량(μL/g)
생리
식염수
DEX 생약
조성물
대조군 - 3(Female) 30 - -
양성군 - 3(Female) - 28 0
제조예1 실시예 1 3(Female) - - 30
제조예2 실시예 2 3(Female) - - 30
제조예3 실시예 3 3(Female) - - 30
제조예4 실시예 4 3(Female) - - 30
비교제조예2 비교예 2 3(Female) - - 30
그리고, 4주 후, 마우스 혈액 채혈 후 해부하여 폐포 세척액(BALF)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FBS-free/DMEM 배양액 1㎖을 넣은 주사기를 기관지 (trachea)에 주입시키고 끈으로 묶어 고정한 후 3회 순환시켜 분리하여 ACK (8.3 g NH4Cl, 1 g KHCO3 in 1L 탈염수(demineralized water) + 0.1 mM EDTA) 용액을 37 ℃에서 5분 동안 처리하여 적혈구를 용해시키고 다시 FBS-free/DMEM 배양액으로 세척한 후 0.04 % 트립판 블루로 염색한 후 총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구분 면역 세포 수
총 염증세포 수 저해율(%) 중성구
(neutrophil)
저해율(%)
대조군 21.23 - 0.41 -
양성군 109.37 - 218.30 -
제조예 1 37.87 71.5 82.74 62.1
제조예 2 28.65 73.8 74.66 65.8
제조예 3 28.37 74.1 70.95 67.5
제조예 4 29.09 73.4 79.02 63.8
비교제조예 1 47.47 56.6 129.02 40.9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대조군에 비해 양성군의 경우, 염증세포 수 및 중성구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예 1 ~ 4의 주사액으로 처방된 마우스의 경우, 70% 이상의 염증세포 저해율 및 60% 이상의 중성구 저해율 측정 결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천화분, 맥문동, 연교를 적게 사용한 비교제조예 1의 경우, 제조예 1과 비교할 때 총 염증세포 저해율 및 중성구 저해율 효과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2 : 약침 시술을 통한 COPD 완화 효과 측정
한방 약침용 약침액으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조성물의 희석 없이 준비하였다.
그리고, 경증 내지 보통 정도 증상의 COPD 환자 5명을 상대로 상기 한방 약침액을 이용한 한방 약침을 침술을 수행하였으며, 침술은 한방 약침을 혈자리인 천돌에 시행하였다.
약침 침술은 1주에 2회 12주간 수행하였으며, 4주 마다 환자의 COPD 완화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4주차 8주차 12주차
매우 완화 0 1 1
완화 2 1 3
약간 완화 2 3 1
변화없음 1 0 0
상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한방 약침액을 이용한 한방 침술을 통해 COPD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기적으로 침술 치료시, COPD를 치료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0)

  1. 포공영, 천화분, 맥문동, 갈근, 금은화, 연교, 황금, 길경, 현삼 및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시킨 추출물을 증류시켜 수득한 진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복합물은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화분 90 ~ 130 중량부, 맥문동 50 ~ 70 중량부, 갈근 50 ~ 70 중량부, 금은화 80 ~ 110 중량부, 연교 80 ~ 110 중량부, 황금 50 ~ 70 중량부, 길경 50 ~ 70 중량부, 현삼 50 ~ 70 중량부 및 감초 30 ~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복합물은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성초 80 ~ 1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복합물은 포공영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동충하초 1 ~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생약 복합물 1kg 당 상기 추출용매 0.50 ~ 1.00 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50 ~ 70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 ~ 0.5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7. 포공영, 천화분, 맥문동, 갈근, 금은화, 연교, 황금, 길경, 현삼 및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하여 혼합용액의 부피가 하기 방정식 1을 만족할 때가지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는 3단계;
    농축된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을 수득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제조방법.
    [방정식 1]
    15%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20%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9.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사액.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만성폐쇄성 폐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흡입제.
KR1020210002594A 2021-01-08 2021-01-08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KR10222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594A KR102223717B1 (ko) 2021-01-08 2021-01-08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594A KR102223717B1 (ko) 2021-01-08 2021-01-08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717B1 true KR102223717B1 (ko) 2021-03-08

Family

ID=7518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594A KR102223717B1 (ko) 2021-01-08 2021-01-08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71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73A (ko) * 2000-01-03 2001-07-23 김형민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4854A (ko) * 2000-02-29 2001-09-06 문혜연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33133A (ko) *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43237A (ko) 2012-06-21 2013-12-31 환인제약 주식회사 천궁 및 후박의 혼합 생약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7029B1 (ko) 2014-04-17 2016-08-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1310B1 (ko) * 2016-12-26 2017-09-2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복합 제제
KR102017799B1 (ko) * 2019-03-22 2019-09-03 김성기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2058618B1 (ko) * 2018-08-24 2019-12-23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73A (ko) * 2000-01-03 2001-07-23 김형민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4854A (ko) * 2000-02-29 2001-09-06 문혜연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33133A (ko) *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43237A (ko) 2012-06-21 2013-12-31 환인제약 주식회사 천궁 및 후박의 혼합 생약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7029B1 (ko) 2014-04-17 2016-08-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1310B1 (ko) * 2016-12-26 2017-09-2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복합 제제
KR102058618B1 (ko) * 2018-08-24 2019-12-23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7799B1 (ko) * 2019-03-22 2019-09-03 김성기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rdyceps sinensis inhibits airway remodeling in ra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2018, 15(3), 2731-2738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6, 제37권 3호, 484-49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010B1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7799B1 (ko)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04383134A (zh) 一种治疗静脉抽血伤口感染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560372A (zh) 一种治疗鼻炎的中药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05106894A (zh) 一种治疗红剑鱼白头白嘴病的中草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579701B (zh) 复方蒲公英煎剂
CN101628108B (zh) 治疗外感风寒的中药颗粒剂及其制备方法
CN104306659B (zh) 一种治疗2型糖尿病的中药组合物
CN103961614B (zh) 用于治疗呼吸系统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764294B (zh) 一种祛痰止咳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23717B1 (ko)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KR20080006691A (ko) 인체내 축적된 유해성분 제거용 허브 추출물 및 그제조방법
CN105943963A (zh) 一种治疗猪肺炎的药物
CN108057115A (zh) 一种治疗上呼吸道炎症感染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050177A (zh) 一种用于治疗痤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561098A (zh) 一种治疗糜烂性脚气的药物
CN105327103A (zh) 一种治疗鼻炎、鼻窦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755143A (zh) 一种治疗湿疹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292784C (zh) 肝胆清胶囊
CN109568496B (zh)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的检测方法
CN102755519A (zh) 葛根葛花抗口腔溃疡颗粒及其制备方法
CN108143944A (zh) 一种治疗伤风的中药组合物
CN102068482A (zh) 紫景天总黄酮及其提取方法和药物用途
CN107397918B (zh) 一种治疗瘙痒的外用药物及其制备方法
CN100528129C (zh) 沙枣护发膏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