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799B1 -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799B1
KR102017799B1 KR1020190033024A KR20190033024A KR102017799B1 KR 102017799 B1 KR102017799 B1 KR 102017799B1 KR 1020190033024 A KR1020190033024 A KR 1020190033024A KR 20190033024 A KR20190033024 A KR 20190033024A KR 102017799 B1 KR102017799 B1 KR 102017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weight
parts
same
asth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김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기 filed Critical 김성기
Priority to KR102019003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799B1/ko
Priority to US17/607,164 priority patent/US11883458B2/en
Priority to PCT/KR2019/016793 priority patent/WO2020197036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61K36/8905Cyperus (flats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천식(Asthma) 완화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지황 등 여러 생약 성분 복합물을 이용한 천연 생약 성분의 천식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한방 약침액 또는 주사제 형태로 제공이 가능한 새로운 천식 완화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The crude drugs composition of decreation or treating bronchial asthma, phamacopuncture injection of oriental medicinie containing the same, Injection containing the same, Acupuncturing method of oriental medicini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생약 성분을 이용한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음용하던 천식 치료제와 달리, 한방 의학인 침술에 적용하여 약침의 약침액 성분으로 사용하거나, 주사로 직접 주사를 하여 천식 완화 및/또는 획기적인 치료가 가능한 새로운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식은 만성 알레르기성 호홉기 질환으로,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때때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병을 말하는데,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이런 증상들은 반복적으로, 발작적으로 나타나며, 공기가 흐르는 길인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 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막혀서 숨이 차게 된다.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발병하며, 대개의 경우 완치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난치성 만성 질환이다. 천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원인 물질과 악화 요인이 있다. 원인 물질을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알레르겐으로는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이나 비듬, 바퀴벌레, 식품, 약물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악화 요인으로는 감기, 담배연기와 실내오염, 대기오염, 식품첨가제, 운동 등 신체적 활동, 기후 변화, 황사, 스트레스 등이 있다.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기도 염증과 기도 과민증은 기침, 천명(喘鳴), 호홉 곤란, 가슴 답답함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알레르기 질환의 특징적인 염증 양상을 보이는데, 알레르겐을 감지하면 활성화된 점막 비만세포는 히스타민(기관지 수축과 염증반응), 류코트리엔(leukptrienes), 프로스타글란딘D2(기관지 수축제)와 같은 기도수축 매개체를 분비한다. 활성화된 호산구와 자연살해 T세포(TCR invariant natural killer T cell)가 증가하며, 기도상피세포에 손상을 주는 사이토카인(염증반응을 전반적으로 조절)과 케모카인(염증세포 동원) 등의 염증물질을 분비하여 증상이 유발된다. 평활근 세포의 비후(hypertrophy)와 과형성(hyperplasia)이 발생하는 것과 함께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와 같은 성장인자의 영향으로 기도 내 혈관이 증식되며 기도 벽의 두께가 증가한다.
천식은 만성적이고 재발이 많은 질환으로, 치료 방법으로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약제를 사용하는 약물요법과, 천식의 원인 물질을 찾아 원인 알레르겐 노출을 최소화하고 악화인자로부터 회피하는 회피 요법이 있다. 또한 원인 물질을 소량씩 주사하여 알레르기 체질을 개선하는 면역요법 등의 치료방법들이 있다.
그 중 약물요법에 사용하는 천식 치료 약물은 좁아진 기관지를 짧은 시간 내에 완화시키는 증상 완화제와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하여 천식발작을 예방하는 질병 조절제로 구분한다. 대표적인 증상 완화제로 베타2항진제(작용제), 테오필린(theophylline)으로 대표되는 잔틴(xanthine)계 약물, 부교감신경 차단제(anticholinergics; 항콜린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질병 조절제로는 부신피질스테로이드와 류코트리엔 조절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베타2 항진제와 같은 증상 완화제는 근본적인 천식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지 못하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이로 인한 신체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또한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 혈당 상승, 혈압 상승, 체중 증가, 기분 변화, 골다공증, 위궤양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또 전체 천식환자 중에서 약 5% 정도가 약에 대한 내성이 생가서 약물이 천식에 전혀 반응하지 않아 상당히 위험한 상태에 빠질 수가 있다.
지금까지의 기관지 천식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관한 기전이라면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가 자신이 삼십년 이상을 기관지천식을 연구하여 알아낸 가장 핵심적이고 비중이 큰 또 하나의 새로운 기전을 밝히자면 그것은 기관지평활근의 수축과 더하여 앞가슴 부위의 늑간근(肋間筋, intercostal muscles) 의 수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몸이 호흡을 할 때는 기관지 평활근과 가슴의 늑간근들이 늘어났다 줄어들었다의 신축작용을 하게 되는데 위의 근육들이 어떤 물리적인 반응에 의하여 병적으로 줄어들게 되면 호흡 곤란이 오게 되고 호흡근육 수축의 경중에 따라서 아주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게 된다.
이렇게 가슴의 늑간근과 기관지평활근의 수축이 일어나는 이유는 감기로 인한 기침때문이다. 흔히들 '기침하다 갈비뼈가 부러졌다', '금이 갔다' 는 소리들을 많이 하는데, 기침을 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고 금이 가고 기관지평활근과 늑간근이 병적으로 수축을 하는 이유는 바로 기침을 심하게 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공기가 나갔다 들어왔다 하게 되며, 그럴 때 호흡에 관계된 근육들이 찰나적으로 급격하게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해야 되는데 이 때 근육에 심한 압력이 가해져 근육이 병적으로 수축되어 버리는 것이다.
병적으로 수축된 호흡근육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세월이 흐를수록 점점 더 수축되고 굳어가며 마지막엔 숨을 쉬고 싶어도 공기가 들어오지도 나가지도 않는 상태가 되어 호흡을 전혀 못하게 되어 버리는 지경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 늑간근의 수축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 가슴이 답답하다.
- 가슴이 조이는 느낌이 든다.
- 흉부 압박감이 든다.
- 움직이면 호흡곤란이 심해진다.
- 감기가 들어 심한 기침 후 기관지에 염증이 없는데도 호흡 곤란이 온 사람들 등의 증상이 생긴다.
위의 이론을 주장하는 본 발명가는 호흡기 영구장애 2급에 해당한다. 어릴 때 늑막염을 앓았고 이십대에 심한 폐결핵, 기관지염, 천식, 기관지확장증, 기흉, 흉막협착증, 폐섬유화증, 폐기종,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을 30년 이상 가지고 살았고 호흡기능이 18% 까지 떨어졌던 사람인데 이 중에서 호흡 장애가 제일 괴로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0년 이상을 연구하여 알아낸 결론이다.
이론이 아무리 그럴싸 해도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지만 이론에 부합하는 약초로 조성한 천식 개선 신물질을 연구하던 중 어느날 갑자기 호흡기능이 18% 에서도 절반 밑으로 확 떨어져 흡입제를 흡입해도 약에 대한 내성이 생겨 전혀 반응을 안 하고 숨이 멎을 뻔한 직전에 약초의 조합이 완성되어 신물질의 도움으로 기적적으로 살아나 지금은 흡입제를 안해도 호흡이 되고 위의 증상들도 따라서 없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가의 체험을 보면 현재 천식약에 대한 내성이 생겨서 고통 받고 있는 약 5%의 분들에게 큰 희망의 빛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자료에 의하면 천식은 후진국보다 선진국에서 보다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여기에 대한 확실한 증명은 없었지만 본 발명자가 생각한 원인은 바로 선진국일수록 풍요로운 경제혜택으로 인한 냉방문화가 발달해서 그런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냉방문화의 발달이란 버스를 타도 에어컨을 켜고 지하철을 타도 에어컨, 사무실과 학교에 가도 에어컨, 집에서도 에어컨을 켜고 살기 때문에 자주 감기에 걸려 기침을 많이 하게 되는데 그때문에 기관지평활근과 늑간근이 병적인 염증과 수축 상태에 빠지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668074호(2016.10.1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600323호(2016.02.29)
본 발명자는 천연 생약 성분의 천식 응용분야를 연구하던 중, 천식의 핵심적인 원인과 완화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 생약 성분의 최적 조성을 알게 되었고, 이를 천식 치료에 적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천연 생약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천신 완화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이를 이용한 용도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식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건지황 등을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시킨 추출물을 증류시켜 수득한 진액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천식 완화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건지황 등을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 및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는 3단계; 및 농축된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을 수득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이용한 약침 침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사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음용하여 소화기로 흡수되어 작용되오던 기존 천식 치료제와 달리, 한방 약침용 약침액 또는 주사용 주사제로 천식 유발 근육에 직접 또는 효과있는 혈자리에 적용되는 바, 독성과 부작용 및 내성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신속하게 천식 개선 효과가 생기며, 반복적으로 기도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정상적인 기도근육의 신축작용이 되도록 하여 천식을 뛰어나게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이하, "본 발명 조성물"로 칭함)은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 및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는 3단계; 및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을 수득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1단계의 생약 복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생약 복합물은 건지황, 향부자, 작약, 생강, 당귀, 홍화 및 감초를 포함한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건지황은 건조시킨 지황(Rehmannia glutinosa)이며, 키는 30㎝ 정도이며 줄기에는 짧은 털이 빽빽이 달린다. 오렌지색을 띠는 굵은 뿌리는 옆으로 뻗으며 자란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무리지어 달리고 줄기에 달리는 잎은 어긋난다. 잎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톱니들이 있으며 잎 뒷면의 맥이 튀어나와서 앞면의 맥이 있는 자리가 움푹 패인다. 늦은 가을에서 이듬해 싹트기 전에 걸쳐 뿌리를 캐서 그늘의 모래에 묻어둔 것을 생지황(生地黃)이라고 하고, 토양이 얼기 전에 캐서 움에 저장한 뒤 그늘에 말린 것을 건지황(乾地黃),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熟地黃)이라고 한다.
생지황은 양혈제(凉血劑)로, 약간 쓴 맛이 나는 건지황은 민울증(悶鬱症)에, 담홍색의 숙지황은 보혈제·강장제로 쓰는데, 이러한 모든 것들은 몸이 허약할 때, 특히 결핵에 걸려 몸이 약해졌을 때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뿌리줄기로 번식하며, 햇빛이 잘 들고 따뜻하고 배수가 잘 되는 기름진 토양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향부자(Cyperus rotundus)는 사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며, 밭둑이나 길가, 강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식물체 전체에서 향기가 나고 긴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군데군데 덩이줄기가 형성된다. 덩이줄기의 육질은 백색이며 향기가 있다. 한방에서 쓰이는 뿌리줄기인 향부자는 긴 달걀 모양 또는 방추형인데, 양쪽 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1~3.5cm, 지름이 약 1cm에 이르고 끝 부위에는 가끔 잔줄기가 있다. 겉은 암갈색이고 흔히 갈색의 질긴 털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부서진 면은 적황색을 나타내며, 광택을 띠고 방향(芳香)이 있다. 향부자는 봄·가을에 채취해 건조시킨 다음 불에 그슬려 털을 제거한다. 주로 간경·삼초경(三焦經)에 작용하지만, 폐경·담경에도 작용한다. 성질은 평(平)하거나 약간 차고 독이 없으며, 맵고 약간 쓰며 단맛이 있다. 향부자의 효능으로는 이기해울(理氣解鬱:기의 흐름을 순조롭게 해서 스트레스를 풀어줌)·조경지통(調經止通)이 있으며 기체(氣滯)로 인한 동통, 특히 월경통이나 월경불순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은 관상용 도는 약초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이며, 작약 뿌리를 진통제, 해열제, 이뇨제로 쓰이고 있으며, 주요성분으로 페오노시드(paeonoside), 페오니플로린(paeoniflori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페오닌(paeonine), 갈로타닌(gallotanin), 벤조산(benzoic acid),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등을 포함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생강(ginger)은 아시아 남동부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뿌리줄기가 향기롭고 톡 쏘는 맛이 있어 음식의 양념·향료나 약품 등에 쓰인다. 잎같이 생긴 줄기는 키가 1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집에서 나오는데, 길이가 15~30㎝이고 길쭉한 잎 2장이 수직으로 어긋나 있다. 꽃은 두께가 약 2.5㎝, 길이가 4~7.6㎝이며, 가장자리가 노랗기도 한 녹색의 포(苞)가 겹쳐져 있는데, 각각의 포가 1송이의 작은 황록색·자주색 꽃을 둘러싼다. 생강은 2% 정도의 정유(精油)를 함유하는데, 그 주성분은 진지베린(zingiberene)이며, 진제론(zingerone)은 얼얼한 맛을 낸다. 정유를 추출해 식품과 향수 제조에 이용한다. 향신료로서 생강은 약간 쓴맛이 나며 보통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요리, 소스, 피클, 진저 에일 등에 이용하며, 신선한 뿌리줄기인 풋생강은 요리할 때 쓴다. 생강은 껍질을 벗긴 뿌리줄기는 끓여서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일본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입맛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얇게 썰어 식사 중에 먹는다. 생강은 고창(鼓脹)과 복통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쓰이는 식물이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당귀(angelica gigas root)는 깊은 산속에서 자생하나 주로 재배되며, 줄기는 높이가 1~2m 정도이고 뿌리를 약물로 사용하는데 뿌리는 비후하며 유즙을 함유하고 향기가 강하다. 뿌리는 길이가 20~25㎝ 정도이고, 지름이 1~5㎝ 정도가 된다. 주성분은 정유, 자궁흥분성 성분, 자당, 비타민 E 등이다. 그 성질은 온하며 독이 없고, 신맛과 단맛이 나는데 약간 쓴맛이 돈다. 주로 심장·간·비장의 3경에 들어가 작용하는 성질이 강하다. 생리통에도 효과가 있으며, 백작약·연호삭·향부자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외에 무월경, 생리불순에도 효과가 있다. 동계·건망·불면·정신불안 등의 심혈허 증상에는 당귀로 보혈하고 진정시킨다. 비혈허로 인해 몸이 마르고 초췌해 보일 때에는 당귀로 양혈건비한다. 어지럽고 눈이 아물거리고 귀에서 소리가 나고 근육경련이 있을 때도 당귀를 써서 양혈·양간한다. 또한, 어혈에 사용하는데 타박, 염좌 등의 외상이나 혈관질환으로 인해 생긴 내출혈, 혈류정체, 종장, 통증에 대해서 혈액순환을 개선·진통시켜 치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홍화(Carthamus tinctorius L.)는 국화과 식물 잇꽃을 건조시킨 것으로서, 이집트 원산의 두해살이초본으로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모양이 엉겅퀴와 같으나 붉은 빛이 도는 황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을 적색염료로 사용하고 식품염색에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부인병, 통경약 등으로 사용한다. 어린 순을 식용하며 종자는 기름을 짠다. 홍화는 피의 순환을 촉진하고 경맥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며 어혈을 제거하고 통증을 완하시키는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 복합물 중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뿌리를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감초는 감미가 있는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 슈크로즈, 글루코즈, 리퀴리틴, 리코리시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은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염산 코데인, 초산 스트리키닌, 뱀독·복어독 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이 있어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글리시리진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어 혈압강하의 효과가 있으며, 담즙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진해작용 및 진통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소화기계통으로는 개에게 궤양을 일으키게 한 뒤 감초 달인 물을 복용시킨 결과 궤양억제 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방광결석에도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항암작용실험에서는 복수암·간암 등에 유의성 있는 억제작용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초는 한방에서 가장 용도가 많은 약재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1단계의 상기 생약 복합물 내 생약 성분 사용량은 건지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부자 90 ~ 130 중량부, 작약 80 ~ 110 중량부, 생강 80 ~ 110 중량부, 당귀 50 ~ 120 중량부, 홍화 50 ~ 85 중량부 및 감초 40 ~ 80 중량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지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부자 95 ~ 120 중량부, 작약 85 ~ 110 중량부, 생강 90 ~ 110 중량부, 당귀 75 ~ 110 중량부, 홍화 65 ~ 80 중량부 및 감초 50 ~ 8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지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부자 95 ~ 110 중량부, 작약 90 ~ 105 중량부, 생강 95 ~ 105 중량부, 당귀 85 ~ 110 중량부, 홍화 70 ~ 80 중량부 및 감초 60 ~ 8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2단계는 1단계의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25 ~ 30℃ 하에서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이때, 생약 복합물 1kg 당 추출용매 3.0 ~ 4.0 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생약 복합물 1kg 당 추출용매 3.1 ~ 3.3 L 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약 복합물 1kg 당 추출용매 3.15 ~ 3.25 L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추출용매 사용량이 3.0 L 미만을 사용하면 추출용매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3단계에서 증류시 추출용매가 너무 빨리 증발하여 유효 성분 추출이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4.0 L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증류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과 알코올 수용액을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물 및 50 ~ 70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 ~ 0.5 부피비로 포함하는 혼합용매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 60 ~ 65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0 ~ 0.35 부피비로 포함하는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생약 복합물 내 적정 약효를 추출하는 측면에서 좋다.
다음으로, 3단계는 생약 복합물과 추출용매를 혼합한 혼합용액을 가열하여 생약 복합물 내 유효 추출 성분을 추출하고, 용매를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가열 및 증류는 혼합용액의 부피가 하기 방정식 1을 만족하도록 수행하는 것이 좋다.
[방정식 1]
15%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20%, 바람직하게는 16.5%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20.0%
이때, 가열 온도는 75 ~ 90℃, 바람직하게는 80 ~ 85℃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 온도가 90℃를 초과하면 에탄올 성분이 너무 빨리 증발하여 충분하게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가열 온도가 75℃ 미만이면 오히려 유효 성분 추출이 잘 되지 않고, 증류를 통한 진액 제조 공정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4단계는 3단계에서 농축된 추출액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필터링하여 농축된 추출액으로부터 진액(또는 액기스)을 수득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한방 약침액 또는 주사액으로 적용하여, 경구가 아닌 피부를 통해 직접 투여함으로써, 기존 경구용 천식 치료 약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천식을 완화 및/또는 치료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한방 약침액 및/또는 주사액은 인체에 무해한 윤활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이용한 침술을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상기 조성물을 한방 약침액으로 사용하여, 한방 약침 주입기구에 상기 한방 약침액을 충전 후, 천식에 효과가 뛰어난 혈자리인 천돌에 생약조성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침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천식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제조
(1) 생약 복합물의 준비
건지황 100 중량부, 향부자 100 중량부, 작약 100 중량부, 생강100 중량부, 당귀100 중량부, 홍화 75 중량부 및 감초 75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였다.
(2) 진액 제조
증류수 및 62.5%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5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생약 복합물 1kg 당 상기 혼합용매 3.25L 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을 교반 및 80~82℃로 가열하여, 혼합용액의 부피가 하기 방정식 1-1을 만족할 때까지 가열 및 용액을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농축된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인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방정식 1-1]
17.5% ≤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18.0%
실시예 2 ~ 실시예 3 및 비교예 1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완화 및/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되, 생약 복합물 조성을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생약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건지황 향부자 작약 생강 당귀 홍화 감초
실시예1 100 100 100 100 100 75 75
실시예2 100 95 95 107 100 80 70
실시예3 100 105 100 95 85 70 80
비교예1 100 70 100 100 70 75 75
비교예2 100 100 70 100 100 40 75
제조예 1 : 주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조성물을 멸균 생리식염수(N/S)(Lot No.: 12062, 공급원: JW Pharmaceutical)와 혼합 및 35 부피% 농도로 희석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3 및 비교제조예 1 ~ 2 : 주사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되, 실시예 1 대신 실시예 2 ~ 3 및 비교제조예 1 ~ 2의 생약 조성물을 각각 사용하여 주사제를 각각 제조하여, 제조예 2 ~ 3 및 비교제조예 1 ~ 2를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예 1 : 백혈구, 호산구 및 세포감별계수 측정
BALB/c 마우스에서 오브알부민(ovalbumin)으로 천식(asthma)을 유발하고 투여하여 폐 기관지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중 총 백혈구 수(WBC), 호산구(Eosinophil) 및 세포감별계수(differential cell count, IgE)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사용된 마우스(BALB/c mouse, 공급원: Samtako Korea)는 천식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주령이 입수시 6주, 본 실험시 7 주된 암컷을 이용하였다. 입수 후 6일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 내에서 순화시키고, 매일1회 이상 관찰하였다. 순화기간에는 적색 유성 매직으로, 투여 및 관찰기간에는 흑색 유성 매직을 이용한 표식법을 사용하여 식별하였고, 사육상자에는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온도 23±3℃,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20회/hr, 조명시간 12 시간 및 조도 150 ~ 300 Lux로 유지되는 사육구역에서 사육하였다. 적량의 깔개를 담은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서 순화, 투여기간에 4마리 이하를 사육상자로 사육하였으며,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한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순위화하고, 각 군의 평균체중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였다.
천식 유발물질로는 냉장 보관된 오브알부민(OVA)(Catalog 번호: A5503, 공급원: Sigma Aldrich, Louis, MO, USA)을 사용하였으며, 면역 보조물질로 냉장 보관된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Alum)(Catalog 번호: 77161, 공급원: Thermo Fisher Scientific ln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양성 대조물질로 실온 보관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제조번호: 13099, 공급원: SAMNAM Pharm, 충남, 대한민국)을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천식 유발을 위한 복강주사제는 OVA 20 μg+, Alum 1 mg+, 멸균 생리식염수 500 μL/head로 주 2회로 2주간 주사하였다.
그리고, 천식이 유발된 마우스에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양성군은 덱사메타손을 주사하였고, 제조예 1 등은 하기 표 2와 같이 주 2회로 4주간 주사하였다. 그리고, 주사액량은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생약
조성물
종류
천식 유발된
마우스수
(성별)
주사액량(μL/g)
생리
식염수
DEX 생약
조성물
대조군 - 3(Female) 30 - -
양성군 - 3(Female) - 28 0
제조예1 실시예 1 3(Female) - - 30
제조예2 실시예2 3(Female) - - 30
제조예3 실시예3 3(Female) - - 30
비교제조예1 비교예1 3(Female) - - 30
비교제조예2 비교예2 3(Female) - - 30
그리고, 4주 후, 마우스 혈액으로부터 WBC(white blood cell), 호산구(Eosinophil) 및 IgE를 측정하였고, 그 평균값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WBC
(Х103 cells/㎕)
호산수
(Х102 cells/㎕)
IgE
(㎍/㎖)
대조군 61.20 2.32 59.53
양성군 39.83 1.41 23.45
제조예 1 40.51 1.63 29.77
제조예 2 41.65 1.69 32.50
제조예 3 43.89 1.85 32.06
비교제조예 1 52.71 1.97 48.04
비교제조예 2 51.86 2.12 45.41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대조군에 비해 양성군 및 제조예의 경우, WBC, 호산구 및 IgE가 크게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예 1 ~ 3의 경우, 양성군 보다는 WBC, 호산구 및 IgE 측정 수치가 다소 높지만, 대조군과 비교할 때 WBC, 호산구 및 IgE가 크게 낮아지는 결과를 통해, 천연 생약 성분의 천식 완화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제조예 1 ~ 2의 대조군에 비해 WBC, 호산구 및 IgE 측정 수치가 낮아졌지만, 양성군 및 제조예 1 ~ 3과 비교할 때, WBC, 호산구 및 IgE 감소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예 2 : 약침 시술을 통한 천식 완화 효과 측정
한방 약침용 약침액으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조성물의 희석 없이 준비하였다.
그리고, 천식 환자 10명을 상대로 상기 한방 약침액을 이용한 한방 약침을 침술을 수행하였으며, 침술은 한방 약침을 혈자리인 천돌에 시행하였다.
약침 침술은 1주에 2회 12주간 수행하였으며, 4주 마다 환자의 천식 완화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4주차 8주차 12주차
매우 완화 2 3 6
완화 3 5 4
약간 완화 4 2 0
변화없음 1 0 0
상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한방 약침액을 이용한 혈자리 주입 침술을 통해 천식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짧은 시간의 치료로도 천식을 상당히 개선시킴은 물론, 장기적으로 침술 치료시 천식을 치료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8)

  1. 건지황, 향부자, 작약, 생강, 당귀, 홍화 및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시킨 추출물을 증류시켜 수득한 진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생약 복합물은 건지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부자 90 ~ 130 중량부, 작약 80 ~ 110 중량부, 생강 80 ~ 110 중량부, 당귀 50 ~ 120 중량부, 홍화 50 ~ 85 중량부 및 감초 40 ~ 8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상기 생약 복합물 1kg 당 상기 추출용매 3.00 ~ 4.00 L 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50 ~ 70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0.2 ~ 0.5 부피비로 포함하여,
    상기 건지황, 향부자, 작약, 생강, 당귀, 홍화 및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생약 복합물을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하여 혼합용액의 부피가 방정식 '15% ≤ {(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가열 후 추출액 부피)/가열 전 혼합용액 부피*100%} ≤ 20%'을 만족할 때가지 증류시켜서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는 3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액을 필터링하여 진액을 수득하는 4단계;를 거쳐 제조되어, 약침액 또는 주사액의 원료로 사용되는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33024A 2019-03-22 2019-03-22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2017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4A KR102017799B1 (ko) 2019-03-22 2019-03-22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US17/607,164 US11883458B2 (en) 2019-03-22 2019-11-29 Herb medicine composition for alleviating or treating asthma, and oriental pharmacopuncture solution containing same and injection containing same
PCT/KR2019/016793 WO2020197036A1 (ko) 2019-03-22 2019-11-29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4A KR102017799B1 (ko) 2019-03-22 2019-03-22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799B1 true KR102017799B1 (ko) 2019-09-03

Family

ID=6795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24A KR102017799B1 (ko) 2019-03-22 2019-03-22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83458B2 (ko)
KR (1) KR102017799B1 (ko)
WO (1) WO202019703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036A1 (ko) * 2019-03-22 2020-10-01 김성기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KR102223717B1 (ko) * 2021-01-08 2021-03-08 (주)오성내츄럴바이오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KR20210152672A (ko) * 2020-06-09 2021-12-16 한동희 천식을 해소하는 천연복합물
KR20220126321A (ko) * 2021-03-08 2022-09-16 (주)오성내츄럴바이오 근골격계 염증 및 통증 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복합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243A (ko) * 2002-10-02 2003-01-23 김경렬 의이인, 상백피, 어성초, 길경, 생지황, 금은화, 삼백초, 생강, 진피, 적작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20090105314A (ko) * 2008-04-02 2009-10-07 샬롬산업(주)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한약재와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140315A (ko) * 2011-06-21 2012-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식 또는 아토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30084043A (ko) * 2012-01-16 2013-07-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수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67214B1 (ko) * 2011-11-18 2014-02-27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기관지 천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600323B1 (ko) 2014-03-28 2016-03-21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합다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8074B1 (ko) 2015-02-12 2016-10-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kr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799B1 (ko) 2019-03-22 2019-09-03 김성기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243A (ko) * 2002-10-02 2003-01-23 김경렬 의이인, 상백피, 어성초, 길경, 생지황, 금은화, 삼백초, 생강, 진피, 적작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20090105314A (ko) * 2008-04-02 2009-10-07 샬롬산업(주)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한약재와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140315A (ko) * 2011-06-21 2012-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식 또는 아토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67214B1 (ko) * 2011-11-18 2014-02-27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기관지 천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30084043A (ko) * 2012-01-16 2013-07-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수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00323B1 (ko) 2014-03-28 2016-03-21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합다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8074B1 (ko) 2015-02-12 2016-10-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kr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036A1 (ko) * 2019-03-22 2020-10-01 김성기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US11883458B2 (en) 2019-03-22 2024-01-30 Sung Ki Kim Herb medicine composition for alleviating or treating asthma, and oriental pharmacopuncture solution containing same and injection containing same
KR20210152672A (ko) * 2020-06-09 2021-12-16 한동희 천식을 해소하는 천연복합물
KR102419683B1 (ko) * 2020-06-09 2022-07-11 한동희 천식을 해소하는 천연복합물
KR102223717B1 (ko) * 2021-01-08 2021-03-08 (주)오성내츄럴바이오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KR20220126321A (ko) * 2021-03-08 2022-09-16 (주)오성내츄럴바이오 근골격계 염증 및 통증 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복합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KR102453914B1 (ko) 2021-03-08 2022-11-07 (주)오성내츄럴바이오 근골격계 염증 및 통증 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복합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3458B2 (en) 2024-01-30
WO2020197036A1 (ko) 2020-10-01
US20220249589A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799B1 (ko) 천식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4873446A (zh) 一种含肉桂油的牙膏
CN104489265A (zh) 一种治疗潮湿型鸡痘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063817A (zh) 治疗鼻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54967A (ko) 발 백선증 치료를 위한 한약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853346A (zh) 一种治疗唇炎的外用药膏
KR102209883B1 (ko) 비염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01249186A (zh) 一种兼治外伤、风湿痛、牙痛的中药油剂及其生产方法
CN104138541A (zh) 防治眼镜蛇呼吸系统疾病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CN103948728B (zh) 一种慢性鼻窦炎鼻内镜术后的药物组合物
CN105456957A (zh) 一种治疗狐臭的中药组合物
KR102223717B1 (ko) 만성폐쇄성 페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KR102453914B1 (ko) 근골격계 염증 및 통증 질환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복합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CN103816412B (zh) 一种治疗耳源性脑脓肿的中药
CN108992538A (zh) 一种治疗脱发的中药配方及制备方法
CN107496506A (zh) 一种治疗鼻窦炎、鼻息肉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497732A (zh) 一种小儿先天性泪道阻塞护理用泪道冲洗液
CN105617095A (zh) 一种用于小儿急性上呼吸道感染的口服液及制备方法
CN104436003A (zh) 治疗小儿荨麻疹的中药药浴及其制备方法
CN104784493A (zh) 一种治疗小儿皮炎湿疹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4127659A (zh) 一种用于治疗慢性咽炎的中药
CN115607646A (zh) 一种治疗复发性口腔溃疡和慢性咽喉炎的组合物及制备法
CN105343151A (zh) 一种用于治疗酒渣鼻的中药
CN108498643A (zh) 一种用于治疗鼻窦炎的中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