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65731A1 -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65731A1
WO2012165731A1 PCT/KR2011/008374 KR2011008374W WO2012165731A1 WO 2012165731 A1 WO2012165731 A1 WO 2012165731A1 KR 2011008374 W KR2011008374 W KR 2011008374W WO 2012165731 A1 WO2012165731 A1 WO 20121657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ice
extract
rice bran
sleep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83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승목
한대석
김동수
백남인
진영호
한진규
성재영
김인호
이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5047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3650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566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51883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AU201136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1369552A1/en
Priority to EP11866924.1A priority patent/EP2716296B1/en
Priority to CA2837046A priority patent/CA2837046A1/en
Priority to JP2014512744A priority patent/JP6076335B2/ja
Priority to CN201180071169.0A priority patent/CN103561755A/zh
Publication of WO20121657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57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3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leaning, e.g. washing or pee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use of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a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and also allergic rhinitis comprising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to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 Sleep accounts for one-third of human life and is the most fundamental and essential physiological phenomenon that is very important for health and mental stability.
  • Chronic sleep deprivation and disabil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overall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hypertension, memory and learning, metabolic control and weight, immunity and cancer resistance, diabetes, safety accidents, and mood.
  • insomnia and 10% have chronic problems.
  • insomnia due to anxiety symptoms.
  • serotonin agonist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however, long-term use of such drugs has a severe problem of forming cognitive impairment, resistance, and dependency.
  • antihistamines and natural herbal products are used as non-prescription sleep aids in the United States.
  • antihistamines are representative ingredients of cold medicines as antagonists to histamine receptors. It's the only sleeping pill you can do.
  • Histamine [2- (4-imidazolyl) ethylamine] is one of the functional neurotransmitter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body, such as the gastrointestinal tract [Burks 1994 in Johnson LR ed., Physi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Raven Press, NY, pp. 211-242. Histamine is known as gastric acid secretion, intestinal motility [Leurs et al., Br J. Pharmacol. 1991, 102, pp 179-185], vasomotor reactions, enteroinflammatory reactions and allergic reactions [Raithel et al., Int. Arch. Allergy Immunol.
  • histamine mediates all its actions in both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peripheral regions through four families of histamine receptors, namely histamine H 1 , H 2 , H 3 and H 4 receptors.
  • Histamine receptors act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with H 1 , H 2 , H 3, and H 4 receptors, resulting in allergic and immune responses such as allergic rhin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vomiting, gastric and secretory It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duodenal ulcer or gastroesophageal reflux, sedative and sleep induction in the brain.
  • Rice is a valuable food resource, one of the world's three major grains, which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uses as staple food, and is a key national resource that cannot be replaced by other crops, especially in Asia.
  • Rice that has been stripped of rice husk, which is not the outer shell of rice, is called brown rice, and rice that has been polished with rice and stripped of rice bran and rice eyes is called rice.
  • rice bran is an excellent ingredient in terms of nutrition despite being a by-product of polished rice.
  • Rice bran (rice bran) contains about 95% of rice nutrients and contains high quality protein, dietary fiber, and various vitamins and minerals.
  • the efficacy of rice bran has been shown to be anti-cance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arteriosclerosis, cholesterol lowering, growth promotion, digestive function and immune strengthening.
  • the correlation between rice, rice bran or rice husk and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s, further allergic rhinitis,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diseases associated with excessive acid secretion, sleep, anxiety or depression have not been identified ye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which includes allergic rhin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it aims to discover the componen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that can replace the existing drug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pres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el use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allergic rhinitis comprising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allergic rhiniti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rice bran extract or rice bran powder;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method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provides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of diazepam, a drug used as a conventional sleep inducing agent, or improved sleep time, increased sleep duration, and increased nonram sleep, and is known a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 the sleep effect of maleate salt is completely inhibited by 2-pyridylethylamine dihydrochloride, which is a histamine receptor agonist, and the sleep effect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s suppressed, acting as a natural antihistamine. It is derived from rice, rice bran or rice husks and has no side effects that form cognitive impairment, tolerance or dependence even after prolonged use.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WE on the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 Figure 2 is a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It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WE on the sleep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 Control group (0.5% CMC-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RWE (50, 100, 250, 50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utes later.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EE on the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 Figure 4 is a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It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EE on the sleep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 Control (0.5% CMC-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REE (50, 100, 250, 50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utes later. .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HWE on the elevation of the mice administered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 Figure 6 is a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It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HWE on the sleep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 Control group (0.5% CMC-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HWE (50, 100, 250, 50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utes later.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HEE on the elevation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the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 Figure 8 is a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It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HEE on the sleep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 a control group (0.5% CMC-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HEE (50, 100, 250, 50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utes later. .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BWE on the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the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 Figure 10 is a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It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BWE on the sleep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 a control group (0.5% CMC-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BWE (50, 100, 250, 50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utes later.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BEE on the elevation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the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 Figure 12 is a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It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BEE on the sleep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 a control group (0.5% CMC-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BEE (50, 100, 250, 50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utes later.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BEE-Wax on the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and FIG. 14 is a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FIG. 15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BEE-Oil on the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the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and FIG. 16 is a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 *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 at p ⁇ 0.01 compared to the control (Dunnet's test).
  • CON is the control; DZP stands for diazepam.
  • CON represents the control group.
  • EtOH extract is ethyl acetate
  • n-BuOH is n-butanol
  • H2O represents distilled water.
  • FIG 2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BEE fraction on the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the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 Figure 22 is a pentobarbital sleeping dose (45 mg / kg, ip) It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BEE fraction on the sleep time of the mice administered.
  • Control group (0.5% CMC- 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BEE-H, BEE-B, BEE-W and BEE-E (50, 250 mg / kg) After 45 minutes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 CON is the control; DZP is diazepam; H is hexane extract; B is butanol extract; W is water extract; E stands for ethyl acetate extract.
  • FIG. 23 shows a process for separating a subfraction of n-hexane extract from BEE.
  • EtOAc is ethyl acetate; H2O represents distilled water.
  • FIG. 24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fraction obtained from BEE-H on the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the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 Figure 25 is a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fraction obtained from BEE-H on the sleep time of mice administered.
  • Control group (0.5% CMC- 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BEE-H sub fraction (5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utes later.
  • C is a control; D represents diazepam.
  • FIG. 2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subfractions obtained from BEE-H on elevation time of mice administered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kg, ip), and FIG. 27 is pentobarbital sleep dose (45 mg).
  • / kg, ip)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fraction obtained from BEE-H on the sleep time of mice administered.
  • a control group (0.5% CMC- saline 10 mL / kg), DZP (2 mg / kg) and BEE-H sub fraction (250 mg / kg)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nd pentobarbital was administered 45 min later.
  • C is a control; D represents diazepam.
  • FIG.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small fraction of n-hexane extract from BEE.
  • MeOH is methanol; EtOAc stands for ethyl acetate.
  • FIG.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small fraction of n-hexane extract.
  • EtOAc is ethyl acetate
  • CHCl 3 is chloroform
  • MeOH is methanol
  • H2O represents distilled water.
  • FIG.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small fraction of n-hexane extract.
  • EtOAc is ethyl acetate
  • CHCl 3 is chloroform
  • MeOH stands for methanol.
  • GPCR 3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BEE-H-2 fraction on the activity of G-Protein Coupled receptor (GPCR).
  • Figure 32 shows the elevation time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histamine receptor agonists (PD) to the rice water extract (RWE) and the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PMS) of Preparation Example 1
  • Figure 33 is the rice water of Preparation Example 1 It is a graph showing the sleep time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the histamine receptor agonist (PD) to the extract (RWE) and the antagonist (PMS) that acts on the histamine receptor.
  • Controls CON, 0.5% CMC-saline 10 mL / kg
  • RWE 500 mg / kg
  • PMS 70 mg / kg
  • *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 at p ⁇ 0.01 compared to the control (Dunnet's test).
  • Figure 34 shows the elevation time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histamine receptor agonists (PD) to the rice bran ethanol extract (BEE) and the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PMS) of Preparation Example 3
  • Figure 35 is bran ethanol of Preparation Example 3
  • Controls CON, 0.5% CMC-saline 10 mL / kg
  • BEE 500 mg / kg
  • PMS 70 mg / kg
  • FIG. 36 is a graph showing the elevation time of diazepam (DZP) and PM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histamine receptor agonist (PD)
  • Figure 37 is the sleep of diazepam (DZP) and PM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histamine receptor agonist (PD) It is a graph showing time.
  • the control group CON, 0.5% CMC-saline 10 mL / kg
  • DZP (2 mg / kg)
  • PMS 70 mg / kg
  • PD (20 mg / kg)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10 minutes prior to oral PMS.
  • *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 at p ⁇ 0.01 compared to the control (Dunnet's test).
  • FIG. 38 is a graph showing the elevation time of diazepam (DZP) and PM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flumazenyl (FLU), a GABAA-benzodiazepine antagonist
  • FIG. 39 is a diazepam (DZP)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flumazenyl (FLU).
  • the control group CON, 0.5% CMC- saline 10 mL / kg
  • BEE 500 mg / kg
  • FLU (8 mg / kg)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10 minutes prior to oral administration of DZP, BEE.
  • *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 at p ⁇ 0.01 compared to the control (Dunnet's test).
  • agonist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teracts with histamine receptors, namely H 1 receptor, H 2 receptor, H 3 receptor, and H 4 receptor, thereby activating histamine receptor and physiological or pharmacological A substance that initiates a response characteristic, an "antagonist” competitively binds to the receptor at the same site as the agonist, but does not activate an intracellular response initiated by the active form of the receptor, thereby causing an intracellular response by the agonist Means that can suppress the material.
  •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to prepare natural compositions that are highly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elucidating that rice bran acts a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and in particular, prevents or treats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el use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allergic rhinitis comprising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allergic rhiniti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rice bran extract or rice bran powder;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method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 the improvement, prevention or treatment of a sleep disorder may mean a decrease in time of sleep, an increase in sleep duration, or an increase in non-sleep sleep.
  •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exhibited approximately the same or improved reduction in elevation and increased duration of sleep compared to diazepam, a medicament conventionally used as a sleeping pill, anti-anxiety or antidepressant.
  • pyrilamime maleate salt known a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 2-pyridylethylamine dihydrochloride a histamine receptor agonist
  •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s are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Gastroesophageal reflux; Sleep disorders; unrest; And it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pression, in particular useful a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ich is approved as a food, has no side effects, and has an excellent effect of inducing sleep and prolonging sleep so as to prevent or treat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It can be usefully used.
  • an experiment for anxiety or depression was not performed separately, but for example, components used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sleep disorders, such as diazepam, may be used to improve anxiety or depression by changing a dose. It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used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may be extracted using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of rice bran as an extraction solvent.
  • the kind of organic solvent used at this time and the mixing ratio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 the organic solvent may be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er alcohols, hexane,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diethyl ether.
  • the lower alcohol may be an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ormal-propanol, iso-propanol, normal-butanol, 1-pentanol, 2-butoxyethanol or ethylene glycol may be used as the lower alcohol.
  • Organic solvents include polar solvents such as acetic acid, dimethyl-formamide (DMFO) and dimethyl sulfoxide (DMSO), acetonitrile,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fluoroalkane, pentane, 2,2,4-trimethylpentane, and decane.
  • polar solvents such as acetic acid, dimethyl-formamide (DMFO) and dimethyl sulfoxide (DMSO), acetonitrile,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fluoroalkane, pentane, 2,2,4-trimethylpentane, and decane.
  • nonpolar solvents such as benzene, diethyl ether, diethyl sulfide, chloroform, dichloromethane, 1,2-dichloroethane, anneal, diethylamine, ether, carbon tetrachloride, and THF (Tetrahydrofuran).
  •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when extracting the rice, rice bran or chaff as an organic solvent,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is separated into the supernatant and the lower layer, the supernatant is the oil fraction of the rice bran extract, the lower layer Corresponds to a common solvent extract.
  • the lower layer is separated again by centrifugation or filter paper, it is divided into liquid and solid residues, which are wax fractions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Therefore,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the oil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the liquid fraction of rice bran extract, the wax fraction of rice bran extract.
  •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il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liquid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nd wax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t may include.
  •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may be a lower alcohol extract of rice bran, preferably an ethanol extract of rice, rice bran or chaff.
  •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may be a hexane extract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Hexane extract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s is commonly used as 'rice bran oil'.
  • the rice bran extract may be rice bran oil.
  • the term 'extract' also includes fractions that additionally fractionate the extract. That is,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s not only obtained by using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includes those obtained by additionally applying a purification process.
  • fractions obtained by passing the extract or fraction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etc. Fractions obtained through the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described above are also included in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may be a fraction of the organic solvent extract of the rice bran re-fractionated with a second organic solvent.
  • the organic solvent extract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is broadly defined as the oil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the liquid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nd the wax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ll are included, of which the term refers to the liquid fraction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 the fraction of the organic fraction of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re-fraction with a second organic solvent may mean a fraction of the liquid fraction of the rice bran extract with a second organic solvent.
  •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may be a fraction obtained by re-fractionation of the lower alcohol extract of rice, rice bran or chaff into a second organic solvent.
  •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may be a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re-fraction with hexane.
  • fractions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s containing large amounts of fat-soluble components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show very good surface induction and sleep prolonging effects.
  • extract as used herein referring to rice, rice bran or rice husk, as well as the crude extract obtained by treating the extraction solvent to rice bran, as well as processed products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may be prepared in powder form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aning broadly also includes a rice, rice bran or rice husk processed product, such as rice bran or rice husk powder formulated to administer the rice, rice bran or chaff itself to the animal. .
  • a rice, rice bran or rice husk processed product such as rice bran or rice husk powder formulated to administer the rice, rice bran or chaff itself to the animal.
  • the term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containing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 the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t least 0.001 mg / kg, preferably at least 0.1 mg / kg, more preferably at least 10 mg / kg,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100 mg / kg,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250 mg / kg, most preferably at least 0.1 g / kg.
  •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s a natural product, even if it is excessively administered, there is no side effect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using a pharmaceutically suitable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adjuvant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the adjuvant may include excipients, disintegrants, sweeteners, binders, coatings, swelling agents, lubricants, Lubricants, flavo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ferably formulated in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described above for administration.
  • Formulation form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granules, powders, tablets, coated tablets, capsules, suppositories, solutions, syrups, juices, suspensions, emulsions, drops or injectable solutions.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combined with an oral,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carrier such as ethanol, glycerol, water and the like.
  • suitable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and coloring agent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ixture.
  • Suitable bind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natural and synthetic gums such as starch, gelatin, glucose or beta-lactose, corn sweeteners, acacia, trackercance or sodium oleate, sodium stearate, magnesium stearate, sodium Benzoate, sodium acetate,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 Disintegr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arch, methyl cellulose, agar, bentonite, xanthan gum, and the like.
  • Acceptable pharmaceutical carriers in compositions formulated in liquid solutions are sterile and physiologically compatible, including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able solutions,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may be mixed and used, and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buffers and bacteriostatic agents may be added as necessary.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and lubricants may also be added in addition to formulate into injectable formulations, pills,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may be administered by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and preferably, oral administration. .
  • Suitable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age, weight, sex, morbidity, condition of food,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response to reaction, Usually a skilled practitioner can easily determine and prescribe a dosage effective for the desired treatment or prophylaxis.
  • the daily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10 g / kg.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 or excipient according to methods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an oil or an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extract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ersant or stabiliz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comprising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d as a functional food, or added to various foods.
  • examples of the food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include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confectionary, diet bars, dairy products, meat, chocolates, pizza, ramen noodles, other noodles, gums, ice creams,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rice bran extract or rice bran powder as an active ingredient, but also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food production, and include,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 agents. Include. Examples of the above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and the like; And sugar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xylitol, sorbitol,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 the citric acid, liquid fructose, sugar, glucose, acetic acid, malic acid, fruit juice, and various plant extrac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comprising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Health functional food is a food prepared by adding rice bran extract or rice bran powder to food materials such as beverages, teas, spices, gums, confectionery, or by encapsulating, powdering, and suspension. Means to bring, but unlike the general medicine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that can occur when taking a long-term use of the drug as a raw material.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obtained is very useful because it can be consumed on a daily basis.
  • the amount of the rice bran extract or the rice bran powder added in such a health functional food cannot be defined uniform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but may be ad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riginal taste of the food. It is usually in the range of 0.01 to 50% by weight, preferably 0.1 to 20% by weight.
  • a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pill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it is usually added in the range of 0.1 to 100% by weight, preferably 0.5 to 80% by weight.
  • the dietary supp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pills, tablets, capsules or beverages.
  • the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or food for the prevention, treatment or amelioration of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 rice bran extract or rice bran powder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 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treating or ameliorating sleep disorders, anxiety or depress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an effective amount of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 mammal refers to a mammal that is the subject of treatment, observation or experimentation, preferably human.
  • the term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of an active ingredient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induces a biological or medical response in a tissue system, animal or human, as contemplated by a researcher, veterinarian, doctor or other clinician, Amounts that induce alleviation of the symptoms of the disease or disord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ffective amount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for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effect. Therefore, the optimal dosage to be administered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one skilled in the art and includes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and other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the type of formulation, and the age, weight, general health of the patient.
  •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in the case of an adult, when the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is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a day, it is preferable to administer at a dose of 0.001 mg / kg to 10 g / kg.
  • the composition comprising rice, rice bran or chaf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dministered by oral, rectal, intravenous, intraarterial, intraperitoneal, intramuscular, intrasternal, transdermal, topical, intraocular or intradermal routes. It may be administered in a conventional manner.
  • ICR mice (18-22 g, male) and SD rats (200-250 g, male) were distributed by Coatech Co., Ltd. and Orient Bio Co., Ltd. Used. Animals were kept under conditions of temperature 23 ⁇ 1 °C, humidity 55 ⁇ 5%, light-dark cycle (light: 9 am to 9 pm), illuminance of 3000 Lux. Feed and water were freely fed. All animals were manag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laboratory animals by th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KFRI-IACUC).
  • EGE electroencephalogram
  • EMG Electromyogram
  • Rats were anesthetized with pentobarbital (50 mg / kg, i.p.) and the head fixed in a stereotaxic instrument. After dissection of the head subcutaneous connective tissue, a stainless-steel screw and a silver electrode line were inserted for EEG and EMG measurements. It was then fixed and sutured with dental cement. Disinfection of the surgical site and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were performed for 3 days to prevent inflammation due to surgery and a recovery period of 7 days was allowed.
  • CMC-saline solution used in the contro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p.o.) 4 days before the measurement, and then a recording device was connected to induce compliance with the experimental procedur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sample, it was stabilized for 5 minutes, followed by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electromyogram (EMG) for 6 hours from 10:00 to 16:00 using PAL-8200 series (Pinnacle Technology Inc, Oregon, USA). ] was measured. Sampling rates of EEG and EMG were set to 200 Hz (epoch time: 10 s), EEG set to 0.1-25 Hz, and EMG set filter areas of 10-100 Hz to record data.
  • EEG electroencephalogram
  • EMG electromyogram
  • Sleep structure analysis was performed by FFT (Fast Fourier transform) algorithm, SleepSign program (Ver. 3.0, Kissei Comtec, Nagono, Japan)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wake, REM sleep, rapid eye movement (theta band: 6-10 Hz), and nonrem sleep (NREM sleep, non-rapid eye movement, delta band: 0.65-4 Hz). It was. Elevation time was set to the time taken for 10 consecutive seconds of non remnant sleep in epoch units to appear more than 12 times.
  • FFT Fast Fourier transform
  • Rice water extract was prepared by adding 1 L of distilled water to 100 g of ground sample and heating it at 100 ° C. for 1 hour.
  • Rice ethanol extract was added 10 times (w / v) of 70% ethanol to the ground sample. The extract was prepared in a 50 ° C. incubator for 1 day and sonicated three times for 90 minutes per day. All extracts were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lyophilized, and powder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 the yield of water extract (RWE) of rice was 1.16 wt%, and the yield of ethanol extract (REE) of rice was 0.19 wt%.
  • Chaff water extract was prepared by adding 1 L of distilled water to 100 g of the ground sample and heating to 100 ° C. for 1 hour.
  • the chaff ethanol extract (HEE) was added 10 times (w / v) of 70% ethanol to the ground sample.
  • the extract was prepared in a 50 ° C. incubator for 1 day and sonicated three times for 90 minutes per day. All extracts were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lyophilized, and powder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 the yield of water extract (HWE) of rice husk was 5%, the yield of ethanol extract (HEE) of rice husk was 0.96%.
  • Rice bran water extract was prepared by adding 1 L of distilled water to 100 g of the ground sample and heating to 100 ° C. for 1 hour. Rice ethanol extract (BEE) was added 10 times (w / v) of 70% ethanol to the ground sample. Prepared by extraction for 1 day in a 50 °C incubator. All extracts were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lyophilized, and powder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The yield of water extract (BWE) of rice bran was 5.56%, and the yield of ethanol extract (BEE) of rice bran was 7.02%.
  • BEE had a lot of oils in the extraction process, and in addition to BEE, two separate fractions could be identified. These were named BEE-Wax and BEE-Oil.
  • rice bran ethanol extract BE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manufacturing process. The first rice bran extract is divided into the supernatant and the lower layer. The supernatant is the oil fraction (BEE-Oil) of the rice bran extract, and the lower layer corresponds to the general ethanol extract. When the lower layer is separated again by centrifugation or filter paper, it is divided into a liquid phase (liquid fraction of rice bran extract) and a solid residue, and the residue corresponds to a wax fraction of rice bran extract (BEE-Wax).
  • the water extract (RWE) and ethanol extract (REE) of Rice of Preparation Example 1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t concentrations of 50, 100, 250 and 500 mg / kg, and then pentobarbital (45 mg / kg, ip). Sleep induction effe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as can be seen in Figures 1 and 2, rice water extract (RWE) showed a dose-dependent decrease in elevation and increase in sleep duration at concentrations other than 50 mg / kg ( p ⁇ 0.01). appear.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s 3 and 4, the ethanol extract (REE) of rice also showed a dose-dependent decrease in elevation and sleep duration at concentrations other than 50 mg / kg. The increase in sleep duration was higher in rice ethanol extract (REE) than in rice water extract (RWE), and elevation time was similarly decreased in both rice water extract (RWE) and rice ethanol extract (REE). Indicated.
  • the water extract (HWE) and ethanol extract (HEE) of Chaff of Preparation Example 2 were orally administered (po) at a concentration of 50, 100, 250 and 500 mg / kg, followed by pentobarbital (45 mg / kg, ip). Sleep induction effe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as can be seen in Figures 5 and 6, the water extract (HWE) of the chaff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levation time, and sleep duration significantly at concentrations of 250 and 500 mg / k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 p ⁇ 0.01).
  • the ethanol extract (HEE) of rice husk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elevation ( p ⁇ 0.01) at concentrations other than 50 mg / kg, dose-dependent There was an increase in sleep duration ( p ⁇ 0.01).
  • the increase in sleep duration was higher in the ethanol extract (HEE) of the rice hull than the water extract of the rice hull (HWE), and the elevation time was similarly decreased in both the water extract (HWE) and the ethanol extract (HEE) of the rice hull. Indicated.
  • BEE-Wax at a concentration of 50, 100, 250, and 500 mg / kg and BEE-Oil at a concentration of 500 and 1,000 mg / kg to confirm the effects of enhancing sleep induction of BEE-Wax and BEE-Oil.
  • pentobarbital 45 mg / kg, ip
  • BEE-Wax was able to confirm the surprising results.
  • a dose-dependent decrease in elevation (p ⁇ 0.01) (FIG. 13) and an increase in sleep time ( p ⁇ 0.01) (FIG. 14) were shown, with decreased elevation and increased sleep time than BEE.
  • the BEE-Oil concentration of 1,000 mg / kg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elevation time ( p ⁇ 0.01) (Fig. 15) and an increase in sleep time ( p ⁇ 0.01) (Fig. 16).
  • the sleep induction effect is not greater than that of BEE and BEE-Wax, the sleep-promoting effect was also confirmed in BEE-Oil, and BEE-Wax is expected to have a great ripple effect in the future.
  • Elevation time and total sleep tim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BEE 500 mg / kg are shown in FIG. 17.
  • the average elevation time of the control group was 31.9 minutes and the elevation of BEE was reduced to 26.2 minutes by 5.7 minutes.
  • the total sleep time was 165.4 minutes for the control group and 83 minutes increased to 248.6 minutes when orally administered BEE 500 mg / kg.
  • the awakening, RAM and non-RAM time of the SD rats were analyzed and shown in FIG. 18.
  • the arousal decreased relatively
  • the non-rem of the control group was 153.8 minutes
  • the BEE 500 mg / kg non-rem increased by about 23 minutes to 234.8 minutes
  • most of the increase in total sleep time was non-rem. .
  • the ratio of arousal, nonremem and rem each hour during the measurement of EEG of rat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BEE 500 mg / kg is shown in FIG. 19.
  • the nonrem increased significantly for 3 hours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then decreased slightly and then increased again. This led to sleep as BEE was digested during the first 3 hours, and the overall non-rem ratio was greater than the control group at all times, indicating that the sleep effect continued for 6 hours. Although BEE did not significantly shorten sleep induction time, it seems that the duration of sleep was increased as the total sleep time increased.
  • BEE liquid fraction of rice bran ethanol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3 was separated and purified using four solvents of hexane, butanol, water and ethyl acetate in order to obtain a more accurate single sleep-inducing substance using BEE having a large amount of oils.
  • BEE-E ethyl acetate
  • BEE-W water
  • BEE-H hexane
  • BEE-B butanol
  • BEE-H and BEE-B butanol
  • BEE-B butanol
  • Pentobarbital after oral administration (po) at 50 mg / kg and 250 mg / kg concentrations to confirm the sleep-induced enhancement effect of BEE-H-1 to BEE-H-11, a subfraction of the BEE-H fraction (45 mg / kg, ip)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determine the changes in elevation and sleep time.
  • BEE-H-1 to BEE-H-12 A small fraction of BEE-H gave a total of 12 fractions (BEE-H-1 to BEE-H-12). In vivo activity test for these showed high activity in BEE-H-2, BEE-H-10 and BEE-H-11 fractions, among which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small fraction of BEE-H-2 Proceeded.
  • BEE-H-1 A small fraction of BEE-H gave a total of 12 fractions (BEE-H-1 to BEE-H-12).
  • BEE-H-2, BEE-H-10 and BEE-H-11 fractions showed high activity results, among which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small fraction of BEE-H-10 Proceeded.
  • BEE-H-1 to BEE-H-12 A small fraction of BEE-H gave a total of 12 fractions (BEE-H-1 to BEE-H-12).
  • BEE-H-2, BEE-H-10, and BEE-H-11 fractions showed high activity results.
  • the second small fraction of BEE-H-11 was prepared. Proceeded.
  •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s sleep-inducing effects of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s are inhibited by histamine receptor agonists.
  • histamine receptor agonists the mechanism of action of rice bran ethanol extract using the antagonist (pyrilamine maleate salt, PMS) and agonist (2-pyridylethylamine dihydrochloride, PD) acting on the histamine receptor.
  • rice water extract (RWE) and rice bran ethanol extract (BEE) were 500 mg / kg and antagonist PMS were 70 mg / kg, respectively. 45 minutes prior to oral administration (hypnotic dosage 45 mg / kg), agonist PD received 20 mg / kg of BEE, PMS orally 10 minutes before oral administration for sleep latency and sleep duration. ) was measured.
  • diazepam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gonists PD
  • DZP diazepam
  • DZP a well-known GABAA-benzodiazepine active agonist
  • antagonist PMS was orally administered 70 mg / kg 45 minutes prior to pentobarbital administration (hypnotic dosage 45 mg / kg)
  • histamine receptor agonist PD 20 mg / kg or GABAA-benzodiazepine antagonist
  • Flumagzenyl (FLU) 8 mg / kg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10 minutes prior to oral administration of DZP, BEE and PMS to measure sleep latency and sleep duration.
  • PD a histamine receptor agonist
  • DZP elevation time or sleep period of diazepam
  • GABAA Flumazenyl a benzodiazepine antagonist
  • rice bran ethanol extract (BEE) has a sleep effect by antagonizing histamine receptors, not GABAA-benzodiazepine receptor binding.
  • rice, rice bran or rice hus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histamine as a sleep disorder; unrest; And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pression, as well as allergic rhin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thma; bronchitis; throw up; Stomach and duodenal ulcers; It will be useful as a natural medicine or food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mediated by histamine receptors such as gastroesophageal reflu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천연 항히스타민제로 사용되어,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수면유도제로 사용되는 의약인 디아제팜과 거의 동일한 수준 또는 향상된 입면시간의 감소 및 수면시간의 증가 효과가 있다.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내성 또는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없다.

Description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본 발명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고, 또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인간 수명의 1/3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생리현상으로 건강 유지 및 정신적 안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 및 장애는 심혈관 질환 및 고혈압, 기억과 학습, 대사조절 및 체중, 면역력 및 암 저항력, 당뇨병, 안전사고, 기분 등 전반적인 신체·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현재, 세계 인구의 30% 정도가 불면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10%는 만성적으로 겪고 있을 만큼 수면장애로 인한 문제가 최근 크게 대두되고 있다.
미국 국립수면협회(National Sleep Foundation USA, 2008)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50% 정도가 1주일에 1회 이상 불면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미국 국민의 50% 정도가 자신의 수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국내의 불면증 및 수면장애 유병률은 빠르게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가고 있는데 수면장애 진료 환자 수가 2001년 5만 1000명에서 2008년 22만 8000명으로 나타나 최근 8년간 4.5배 증가하였다(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국내의 경우 아직 수면에 대한 관심이 높지 못하며, 특히, 의학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거나 질환으로 생각하는 인식이 형성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반면, 통계에 의하면 성인의 약 15%가 불안증상에 의한 불면증 때문에 약물치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불면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긴장, 공포 등 다양하고, 치료 약물로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의 약물과 세로토닌 효능약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을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내성,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약리학적 부작용이나 의존성이 낮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와 천연허브제품이 비처방수면보조제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로서 감기약의 대표적 성분이며, 의사 처방 없이도 바로 구입해 섭취할 수 있는 유일한 수면제로 사용되고 있다.
히스타민[2-(4-이미다졸릴)에틸아민]은 신체, 예를 들면 위장관 전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작동성 신경전달물질중의 하나이다[Burks 1994 in Johnson L.R. ed., Physi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Raven Press, NY, pp. 211-242]. 히스타민은 위산 분비물, 장운동성[참조: Leurs et al., Br J. Pharmacol. 1991, 102, pp 179-185], 혈관운동계 반응, 장염증성 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참조: Raithel et al., Int. Arch. Allergy Immunol. 1995, 108, 127-133]과 같은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사건(pathophysiological event)을 조절한다[참조: Panul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84, 81, 2572-2576; Inagaki et al., J. Comp. Neurol 1988, 273, 283-300]. 현재까지 히스타민은 4가지 패밀리의 히스타민 수용체, 즉 히스타민 H1, H2, H3 및 H4 수용체를 통하여 중추신경계 및 말초 영역 모두에서 모든 그의 작용을 매개한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H1, H2, H3 및 H4 수용체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와 같은 알레르기 및 면역반응, 위산 분비와 관련하여 위 및 십이지장 궤양 또는 위식도 역류, 뇌에서 진정(sedative) 및 수면 유도와 관련되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한편 쌀은 세계 인구의 절반이 주식으로 사용하는 세계 3대 곡물 중 하나인 귀중한 식량자원이며, 특히 아시아권에서는 다른 작물과 대치될 수 없는 국가 핵심 자원이다. 벼의 겉껍질인 왕겨를 벗기고 도정하지 않은 상태의 쌀을 현미라고 하고, 현미를 정미하여 쌀겨와 쌀눈을 벗겨낸 상태의 쌀을 백미라고 한다. 특히, 쌀겨는 정백미의 부산물임에도 불구하고 영양에 관해서는 상당히 우수한 재료이다.
쌀겨(미강)는 쌀 영양분의 약 95%가 집결되어 있으며, 양질의 단백질과 식이섬유 및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다. 쌀겨의 효능으로는 항암, 항산화, 항염증, 항동맥경화, 콜레스테롤 저하, 성장촉진작용, 소화기능 촉진 및 면역강화 작용 등이 밝혀졌다. 그러나, 쌀, 쌀겨 또는 왕겨와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의 상관관계, 더 나아가 알레르기 비염,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 위산 분비 과다와 관련된 질환, 수면, 불안 또는 우울증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다.
본 발명은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어 온 기존의 약물들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성분을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치료상 유효량의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종래 수면유도제로 사용되는 의약인 디아제팜과 거의 동일한 수준 또는 향상된 입면시간의 감소 및 수면 지속시간의 증가, 논램 수면의 증가 효과를 제공하며, 종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 알려진 피릴아민 말리에이트염의 수면 효과가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인 2-피리딜에틸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는 것과 마찬가지 기작으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수면 효과가 억제되어, 천연 항히스타민제로서 작용하고, 천연물인 쌀, 쌀겨 또는 왕겨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내성 또는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없다.
도 1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RW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RW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RWE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의 약자이다.
도 3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RE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RE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REE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을 나타낸다.
도 5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HW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은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HW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HWE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의 약자이다.
도 7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HE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HE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HEE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을 나타낸다.
도 9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BW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0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BW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BWE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의 약자이다.
도 11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BE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2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BEE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BEE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을 나타낸다.
도 13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BEE-Wax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4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BEE-Wax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BEE-Wax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을 나타낸다.
도 15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BEE-Oil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6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BEE-Oil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BEE-Oil (50, 100, 250, 50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각 그래프는 평균값(± 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을 나타낸다.
도 17은 SD 래트에서 입면시간 및 총수면시간에 대한 BEE(500 mg/kg)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 SEM, n=8)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18은 SD 래트에서 수면 구조에 대한 BEE(500 mg/kg)의 효과를 나타낸다. CON은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19는 시간별 각성, 논렘수면 및 렘수면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은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20은 BEE(EtOH 추출물)의 분획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EtOAc는 에틸아세테이트; n-BuOH는 n-부탄올; H2O는 증류수를 나타낸다.
도 21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BEE 분획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2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BEE 분획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BEE-H, BEE-B, BEE-W 및 BEE-E (50, 250 mg/kg)를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 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ON은 대조군; DZP는 디아제팜; H는 헥산추출물; B는 부탄올 추출물; W는 물 추출물; E는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23은 BEE로부터 n-헥산 추출물의 서브분획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EtOAc는 에틸아세테이트; H2O는 증류수를 나타낸다.
도 24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BEE-H로부터 얻은 서브분획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5는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BEE-H로부터 얻은 서브분획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BEE-H 서브 분획(50 mg/kg)을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 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는 대조군; D는 디아제팜을 나타낸다.
도 26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입면시간에 대한 BEE-H로부터 얻은 서브분획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7은 펜토바비탈 수면용량(45 mg/kg, i.p.)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대한 BEE-H로부터 얻은 서브분획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및 BEE-H 서브 분획(250 mg/kg)을 경구투여(p.o.)하고 45분 후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였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 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C는 대조군; D는 디아제팜을 나타낸다.
도 28는 BEE로부터 n-헥산 추출물의 소분획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MeOH는 메탄올;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나타낸다.
도 29는 n-헥산 추출물의 소분획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 CHCl3는 클로로포름; MeOH는 메탄올; H2O는증류수를 나타낸다.
도30은 n-헥산 추출물의 소분획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 CHCl3는 클로로포름; MeOH는 메탄올을 나타낸다.
도 31은 BEE-H-2 분획이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제조예 1의 쌀 물 추출물(RWE)과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길항제(PMS)에 대한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PD) 투여에 따른 입면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3은 제조예 1의 쌀 물 추출물(RWE)과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길항제(PMS)에 대한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PD) 투여에 따른 수면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CON, 0.5% CMC-식염수 10 mL/kg), RWE(500 mg/kg), PMS(70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도 34는 제조예 3의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과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길항제(PMS)에 대한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PD) 투여에 따른 입면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5는 제조예 3의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과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길항제(PMS)에 대한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PD) 투여에 따른 수면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CON, 0.5% CMC-식염수 10 mL/kg), BEE(500 mg/kg), PMS(70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도 36은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PD) 투여 여부에 따른 디아제팜(DZP)과 PMS의 입면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7은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PD) 투여 여부에 따른 디아제팜(DZP)과 PMS의 수면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CON, 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PMS(70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고, PD(20 mg/kg)는 PMS 경구투여 10분 전에 미리 복강 주사하였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도 38은 GABAA-벤조다이아제핀 길항제인 플루마제닐(FLU) 투여 여부에 따른 디아제팜(DZP)과 PMS의 입면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9는 플루마제닐(FLU) 투여 여부에 따른 디아제팜(DZP)과 PMS의 수면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CON, 0.5% CMC-식염수 10 mL/kg), DZP(2 mg/kg), BEE(500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고, FLU(8 mg/kg)는 DZP, BEE 경구투여 10분 전에 미리 복강 주사하였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효능제”는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히스타민 수용체, 즉 H1 수용체, H2 수용체, H3 수용체 및 H4수용체와 상호작용하여, 히스타민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수용체의 생리학 또는 약리학적 반응 특성을 개시하는 물질이고, “길항제”는 효능제와 동일한 부위에서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되, 수용체의 활성 형태에 의해 개시되는 세포내 반응을 활성화시키 않으며, 이에 의해 효능제에 의한 세포내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높은 천연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쌀겨가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고, 특히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치료상 유효량의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면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라 함은 입면 시간의 감소, 수면 지속 시간의 증가 또는 논램 수면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이 종래에 수면제, 항불안제 또는 항우울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의약인 디아제팜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수준 또는 향상된 입면 시간의 감소 및 수면 지속 시간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며, 논램 수면시간을 증가시켜줌을 보여준다. 또한 종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 알려진 피릴아민 말리에이트염(pyrilamime maleate salt)의 수면 효과가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인 2-피리딜에틸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2-pyridylethylamine dihydrochloride)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는 것과 마찬가지 기작으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수면 효과가 억제되어, 천연 항히스타민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다. 종래의 수면제와는 달리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식품으로서 승인되어 있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서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입면 유도 효과 및 수면 연장 효과가 우수하므로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불안이나 우울증에 대한 실험은 별도로 수행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디아제팜과 같이, 수면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성분은 투여 용량을 변경함으로써 불안이나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겨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서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나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용매는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이 외에도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DMSO(dimethyl sulfoxide) 등의 극성 용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Tetrahydrofuran) 등의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쌀, 쌀겨 또는 왕겨를 유기용매로 추출할 경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상층액과 하층액으로 분리되는데, 상층액은 쌀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이며, 하층액은 일반적인 용매 추출물에 해당한다. 하층액을 다시 원심분리 또는 여과지를 통해 분리하면 액상과 고형 상태의 잔사로 나눠지는데 이 때의 잔사는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왁스 분획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 쌀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 쌀겨 추출물의 왁스 분획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 및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왁스 분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겨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의 헥산 추출물일 수 있다. 쌀, 쌀겨 또는 왕겨의 헥산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쌀겨유(rice bran oil)’로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쌀겨 추출물은 쌀겨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이나 분획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에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겨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2의 유기용매로 재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여기에서,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유기용매 추출물이라 함은 광의로는 앞서 설명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왁스 분획을 모두 포함하며, 협의로는 이 중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 구체예에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유기 추출물을 제2의 유기용매로 재분획한 분획물은 쌀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을 제2의 유기 용매로 재분획한 분획물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제2의 유기용매로 재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재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지용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분획물은 매우 우수한 입면 유도 및 수면 연장 효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쌀, 쌀겨 또는 왕겨를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쌀겨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광의로는 쌀, 쌀겨 또는 왕겨 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쌀, 쌀겨 또는 왕겨 가공물, 예컨대, 쌀겨 또는 왕겨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쌀, 쌀겨 또는 왕겨 가공물 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예를 들어, 0.001 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mg/kg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0 mg/k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g/kg 이상 포함된다.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 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은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kg 내지 10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실험 동물
ICR 마우스(18-22 g, 웅성) 및 SD 래트(200-250 g, 웅성)는 각각 (주)코아텍 및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분양받아 실험동물용 사육상자에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의 사육은 온도 23± 1℃, 습도 55± 5%, 명-암주기(명: 오전 9시-오후 9시), 조도 3000 Lux의 조건하에 이루어졌으며, 사료 및 음수는 자유 급여하였다. 모든 동물들은 한국식품연구원 동물관리위원회(KFRI-IACUC, Korea Food Research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실험동물 사용지침에 따라 관리하였다.
펜토바비탈 수면유도 실험(Pentobarbital-induced sleep test)
펜토바비탈 수면유도 실험은 오후 1시에서 5시 사이의 일정한 시간 내에 진행하였으며, 그룹 당 10 마리(n=10)의 마우스를 실험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는 0.5% CMC-식염수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펜토바비탈 투여 45분 전에 마우스에 경구투여(p.o.)하였다. 일반 대조군 실험군은 0.5% CMC-식염수 수용액을 10 mg/kg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디아제팜은 대표적인 수면제 중 하나로 추출물의 수면증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양성 대조군 약물로 사용하였다. 펜토바비탈((주)한림제약)은 실험 디자인에 따라 45 mg/kg(hypnotic dosage)의 농도로 복강주사(i.p.)를 통해 투여하였다. 펜토바비탈 처리 후 각각의 개체를 독립된 공간에 옮겨서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였다. 입면시간은 펜토바비탈을 복강주사한 후 정반사(righting reflex)를 1 분 이상 상실할 때까지의 경과시간으로 설정하였고, 수면시간은 다시 정반사를 회복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설정하였다. 펜토바비탈 투여 후 10분이 지나도 수면행동을 보이지 않은 마우스는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수면구조 분석
SD 래트(Sprague-Dawley Rat, 200-250 g)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및 근전도도(Electromyogram, EMG) 측정을 위해 전극 삽입 수술을 실시하였다. 래트를 펜토바비탈(50 mg/kg, i.p.)로 마취시키고 뇌정위기(stereotaxic instrument)에 두부를 고정시켰다. 두부 피하 결합조직을 절개한 후 EEG 및 EMG 측정을 위하여 스테인레스-스틸 스크루(stainless-steel screw)와 은 전극라인(silver electrode line)을 삽입하였다. 이후 치과용 시멘트로 고정시키고 봉합하였다. 수술부위의 소독 및 항생제 투여를 3일 동안 실시하여 수술로 인한 염증을 예방하였으며, 7일간 회복기간을 두었다. 측정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측정 4일 전부터 대조군에 사용하는 0.5% CMC-식염수 용액을 경구투여(p.o.)한 후 레코딩 장치를 연결하여 본 실험과정에 순응하도록 유도하였다. 시료 경구투여 후 5분간 안정화 시킨 다음 PAL-8200 series (Pinnacle Technology Inc, Oregon, USA)를 이용하여 10:00부터 16:00까지 6시간동안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EEG)] 및 근전도[electromyogram(EMG)]를 측정하였다. EEG 및 EMG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는 200 Hz로 설정하고(epoch time: 10 s), EEG는 0.1-25 Hz, EMG는 10-100 Hz의 필터 영역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수면구조 분석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 하였으며, SleepSign 프로그램(Ver. 3.0, Kissei Comtec, Nagono, Japan)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각성(wake), 렘수면(REM sleep, rapid eye movement, theta band: 6-10 Hz), 논렘수면(NREM sleep, non-rapid eye movement, delta band: 0.65-4 Hz)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입면시간은 10 초 epoch 단위의 논렘 수면이 12번 이상 연속적으로 나타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제조예 1: 쌀 추출물의 제조
쌀 물 추출물(RWE)은 분쇄 시료 100 g에 증류수 1 L를 넣어 1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제조하였으며, 쌀 에탄올 추출물(REE)은 분쇄 시료에 70% 에탄올을 10배(w/v) 가하여 50℃ 인큐베이터에서 1 일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였으며 하루에 90 분간 3번씩 초음파 처리하였다. 모든 추출물은 여과 및 감압농축을 거쳐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쌀의 물 추출물(RWE) 수율은 1.16 중량%이었고, 쌀의 에탄올 추출물(REE)의 수율은 0.19 중량%로 나타났다.
제조예 2: 왕겨 추출물의 제조
왕겨 물 추출물(HWE)은 분쇄 시료 100 g에 증류수 1 L를 넣어 1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제조하였으며, 왕겨 에탄올 추출물(HEE)은 분쇄 시료에 70% 에탄올을 10배 (w/v) 가하여 50℃ 인큐베이터에서 1 일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였으며 하루에 90 분간 3번씩 초음파 처리하였다. 모든 추출물은 여과 및 감압농축을 거쳐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왕겨의 물 추출물(HWE) 수율은 5%, 왕겨의 에탄올 추출물(HEE) 수율은 0.96%로 나타났다.
제조예 3: 쌀겨 추출물의 제조
쌀겨 물 추출물(BWE)은 분쇄 시료 100 g에 증류수 1 L를 넣어 1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제조하였으며, 쌀겨에탄올 추출물(BEE)은 분쇄 시료에 70% 에탄올을 10배 (w/v) 가하여 50℃ 인큐베이터에서 1 일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모든 추출물은 여과 및 감압농축을 거쳐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쌀겨의 물 추출물(BWE) 수율은 5.56%, 쌀겨의 에탄올 추출물(BEE) 수율은 7.02%로 나타났다.
BEE는 추출과정에서 유지성분이 많아 BEE 외에 별도로 2가지의 분획물을 더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BEE-Wax와 BEE-Oil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은 제조과정 중 3가지로 구분되었다. 최초의 쌀겨 추출물은 상층액과 하층액으로 구분되는데 상층액은 쌀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BEE-Oil)이며, 하층액은 일반 에탄올 추출물에 해당된다. 하층액을 다시 원심분리 또는 여과지를 통해 분리하면 액상(쌀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과 고형 상태의 잔사로 나누어지는데 이때의 잔사는 쌀겨 추출물의 왁스 분획(BEE-Wax)에 해당된다.
실험예 1: 쌀 추출물을 이용한 펜토바비탈 수면 유도 실험
제조예 1의 쌀의 물 추출물(RWE) 및 에탄올 추출물(REE)을 50, 100, 250 및 50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p.o.)한 후 펜토바비탈 (45 mg/kg, i.p.)에 의한 수면유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쌀의 물 추출물(RWE)에서는 50 mg/kg을 제외한 농도에서 용량-의존적인 입면 시간 감소와 수면 지속 시간의 증가(p<0.01)가 나타났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쌀의 에탄올 추출물(REE)에서도 50 mg/kg을 제외한 농도에서 용량 의존적인 입면 시간의 감소와 수면 지속 시간의 증가가 나타났다. 쌀의 물 추출물(RWE)보다 쌀의 에탄올 추출물(REE)에서 수면 지속시간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으며, 입면시간은 쌀의 물 추출물(RWE)과 쌀의 에탄올 추출물(REE) 모두 비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왕겨 추출물을 이용한 펜토바비탈 수면 유도 실험
제조예 2의 왕겨의 물 추출물(HWE) 및 에탄올 추출물(HEE)을 50, 100, 250 및 50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p.o.)한 후 펜토바비탈 (45 mg/kg, i.p.)에 의한 수면유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왕겨의 물 추출물(HWE)에서는 유의적으로 입면 시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250과 500 mg/kg의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수면 지속시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1).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왕겨의 에탄올 추출물(HEE)에서는 50 mg/kg을 제외한 농도에서 유의한 입면 시간의 감소(p<0.01)가 나타났으며, 용량-의존적인 수면 지속 시간의 증가가 나타났다(p<0.01). 왕겨의 물 추출물(HWE)보다 왕겨의 에탄올 추출물(HEE)에서 수면 지속시간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으며, 입면시간은 왕겨의 물 추출물(HWE)과 왕겨의 에탄올 추출물(HEE) 모두 비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쌀겨 추출물을 이용한 펜토바비탈 수면 유도 실험
제조예 3의 쌀겨(BE)의 물 추출물(BWE) 및 에탄올 추출물(BEE)을 50, 100, 250 및 50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p.o.)한 후 펜토바비탈 (45 mg/kg, i.p.)에 의한 수면유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BWE에서 입면시간이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p<0.01)하였고(도 9), 양성 대조군인 DZP보다 감소한 입면시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BWE에서 50 mg/kg 및 100 mg/kg을 제외한 250 mg/kg 및 500 mg/kg의 농도에서 용량-의존적인 수면시간의 증가가 나타났다(도 10). BEE에서는 BWE와 마찬가지로 DZP보다 감소한 입면시간(도 11)과 250 mg/kg 및 500 mg/kg의 농도에서 용량-의존적인 수면시간의 증가를 보였다(도 12). 수면유도물질 BE는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차이 없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입면시간과 250 mg/kg과 500 mg/kg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수면시간을 보였다.
또한, BEE-Wax와 BEE-Oil의 수면유도 증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EE-Wax를 50, 100, 250 및 500 mg/kg의 농도로, BEE-Oil를 500 및 1,00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p.o.)한 후 펜토바비탈(45 mg/kg, i.p.)을 복강 주사하여 입면시간과 수면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BEE-Wax에서 놀라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용량-의존적인 입면시간의 감소(p<0.01)(도 13)와 수면시간의 증가(p<0.01)(도 14)를 나타냈으며, BEE보다도 감소된 입면시간과 증가된 수면시간을 보였다. 또한, BEE-Oil 1,000 mg/kg의 농도에서도 유의적인 입면시간의 감소(p<0.01)(도 15)와 수면시간의 증가(p<0.01)(도 16)를 나타내었다. BEE와 BEE-Wax보다는 수면유도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BEE-Oil에서도 수면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BEE-Wax는 향후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실험예 4: 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수면 구조 분석
BEE 500 mg/kg을 경구투여 후 입면 시간과 총 수면 시간을 도 17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의 평균 입면시간은 31.9분 이였으며 BEE의 입면시간은 26.2분으로 약 5.7분정도 단축되었다. 총 수면 시간에서는 대조군이 165.4분이었고 BEE 500 mg/kg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248.6분으로 약 83분이 증가하였다.
SD 래트의 각성, 렘 및 논렘 시간을 분석하여 도 18에 나타내었다. BEE 투여군에서 논렘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각성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의 논렘이 153.8분 이었고 BEE 500 mg/kg의 논렘이 234.8분으로 약 81분 증가하였고, 총 수면 시간의 증가량의 대부분은 논렘인 것으로 나타났다.
BEE 500 mg/kg을 경구투여한 후 래트의 뇌파를 측정하는 동안 매 시간별 각성, 논렘 및 렘의 비율을 도 19에 나타내었다. 경구투여 후 3시간 동안 논렘이 크게 증가 하였으며, 이후 약간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처음 3시간동안 BEE가 소화 되면서 수면을 유도하였고 전반적으로 모든 시간에서 논렘의 비율이 대조군 보다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면효과가 6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BEE는 수면유도시간이 크게 짧아지지는 않았으나 총 수면시간이 길어지면서 수면의 지속성을 증가 시켰다고 판단된다.
제조예 4: 쌀겨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 분획의 제조
유지성분이 많은 BEE를 이용하여 좀 더 정확한 단일 수면유도물질을 얻기 위하여 BEE(제조예 3의 쌀겨 에탄올 추출물의 액상 분획)를 헥산, 부탄올, 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4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정제 하였다(도 20)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 200 kg을 60% 주정 EtOH 수용액에 43 시간 함침하여 50℃에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하고, 잔여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더 추출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모두 합쳐 감압 농축하여 EtOH 추출물 수용액 20 L를 얻었고, 얻어진 EtOH 추출물에 7 L의 H2O을 더한 후 n-헥산(27 L × 2) / H2O(27 L)로 분배 추출하였고, H2O 분획을 다시 EtOAc(27 L × 2)로 분배 추출 후, H2O 분획을 다시 n-BuOH(25 L × 2)로 분배 추출하였다. 각층을 감압 농축하여, n-헥산 분획(BEE-H, 2176 g), EtOAc 분획(BEE-E, 1458 g)과 n-BuOH 분획(BEE-B, 1223 g) 및 H2O 분획(BEE-W, 6.74 kg)을 얻었다(도 20)
실험예 5: 쌀겨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 분획의 펜토바비탈 수면 유도 실험
BEE-H(헥산), BEE-B(부탄올), BEE-W(물) 및 BEE-E(에틸아세테이트)의 수면유도 증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50 mg/kg 및 250 mg/kg의 양으로 경구투여(p.o.)한 후 펜토바비탈(45 mg/kg, i.p.)을 복강 주사하여 입면시간과 수면시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도 21 및 도 22).
실험결과, BEE-E(에틸아세테이트)에서는 유의적인 입면시간의 감소가 나타났지만, 수면시간 증가는 나타나지 않아 수면유도 증진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EE-W(물)에서는 250 mg/kg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입면시간의 감소(p<0.01)와 수면시간의 증가(p<0.01)를 보였지만, BEE-H(헥산)과 BEE-B(부탄올)보다는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BEE-H(헥산)과 BEE-B(부탄올)에서는 유의적인 입면시간의 감소(p<0.01)와 농도의존적인 수면시간의 증가(p<0.01)가 나타났으며, BEE-B(부탄올)보다는 BEE-H(헥산)에서 수면유도 증진효과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BEE-H(헥산)을 이용하여 좀 더 세부적인 분리정제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제조예 5: 쌀겨 에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의 서브분획의 제조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의 용매분획물의 in vivo 실험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해 n-헥산 분획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n-헥산 분획의 서브분획을 제조하였다. n-헥산 분획(BEE-H, 2176 g) 중 365 g에 대해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하 c.c.)를 진행하였는데 이때, 컬럼은 직경 13 cm에 높이 15 cm로 실리카겔 레진을 충진하였다. 용출용매는 n-헥산:EtOAc = 10:1의 비극성 용매로부터 점차 극성을 높여 n-헥산:EtOAc = 7:1 2:1의 비율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총 12개의 서브분획(BEE-H-1 ~ BEE-H-12)을 얻었다(도 23 참조)
실험예 6: BEE-H 분획의 서브분획에 대한 펜토바비탈 수면 유도 실험
BEE-H 분획의 서브분획인 BEE-H-1 내지 BEE-H-11의 수면유도 증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50 mg/kg 및 25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p.o.)한 후 펜토바비탈(45 mg/kg, i.p.)을 복강 주사하여 입면시간과 수면시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도 24 및 도 2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50 mg/kg의 농도에서는 BEE-헥산 추출물 2 획분에서만 유의적인 수면시간의 증가(p<0.01)를 보였으며, 입면시간은 BEE-헥산 추출물 2, 6, 10 및 11 획분 에서만 유의적인 감소(p<0.05)가 나타났다. 250 mg/kg의 농도에서는 도 26 및 도 2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BEE-헥산 추출물 1, 2, 4, 7, 10 및 11 획분에서 유의적인 수면시간의 증가(p<0.01)가 나타났으며, BEE-헥산 추출물. 9 및 10 획분을 제외한 모든 획분에서 유의적인 입면시간의 감소(p<0.05, p<0.01)가 나타났다. 11개 획분 중에서 BEE-헥산 추출물 2, 10 및 11의 획분에서 수면유도 연장효과가 많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제조예 6: BEE-H의 서브분획으로부터 소분획의 제조
(1) BEE-H-2 분획
BEE-H를 소분획한 결과 총 12개의 분획 (BEE-H-1~BEE-H-12)을 얻었다. 이들에 대해 in vivo 활성을 테스트 한 결과 BEE-H-2, BEE-H-10 및 BEE-H-11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BEE-H-2의 2차 소분획의 제조를 진행하였다. BEE-H-2(8.2 g)에 대하여 ODS c.c.(φ 4 × 7 cm, 아세톤:H2O = 1:1)를 실시하여 동일한 분획은 다시 모아 농축 후 5개의 분획(BEE-H-2-1~BEE-H-2-5)으로 나누었으며, SiO2와 ODS TLC로 물질을 확인하였다(도 28).
(2) BEE-H-10 분획
BEE-H를 소분획한 결과 총 12개의 분획 (BEE-H-1~BEE-H-12)을 얻었다. 이들에 대해 in vivo 활성을 테스트 한 결과 BEE-H-2, BEE-H-10, BEE-H-11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BEE-H-10의 2차 소분획의 제조를 진행하였다. BEE-H-10(9.5 g)에 대하여 SiO2 c.c.(φ 6 × 17 cm, n-hexane:EtOAc = 10:1 6:1 4:1 2:1 1:1 CHCl3:MeOH = 8:1 1:1)를 실시하여 23개의 분획(BEE-H-10-1~BEE-H10-23)으로 나누었으며, SiO2와 ODS TLC로 물질을 확인하였다(도 29 참조).
(3) BEE-H-11 분획
BEE-H를 소분획한 결과 총 12개의 분획 (BEE-H-1~BEE-H-12)을 얻었다. 이들에 대해 in vivo 활성을 테스트 한 결과 BEE-H-2, BEE-H-10, BEE-H-11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BEE-H-11의 2차 소분획의 제조를 진행하였다. BEE-H-11(810 mg)에 대하여 SiO2 c.c.(φ 5 × 10 cm, n-hexane:EtOAc = 10:1 5:1 3:1 1:1 CHCl3-MeOH = 8:1 5:1 1:1)를 실시하여 13개의 분획(BEE-H-11-1~BEE-H11-13)으로 나누었으며, SiO2와 ODS TLC로 물질을 확인하였다(도 30 참조).
실험예 7: BEE-H2 분획의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 활성 억제
BEE-H-2 분획이 GPCR의 활성을 억제하는 지 여부를 Millipore Corporation(미국)에 의뢰하여 GPCRProfiler™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7개의 GPCR 수용체(세로토닌 1A 수용체, 아데노신 1 수용체, 히스타민 1 수용체, 히스타민 2 수용체, 아세틸콜린2 수용체, 바소프레신 1A 수용체 및 뉴로펩타이드 Y2 수용체)에 50% 이상 억제 효과가 있었다(도 31 참조).
실험예 8: 쌀 또는 쌀겨 추출물의 수면 작용기작
제조예 1의 쌀 물 추출물(RWE)과 제조예 3의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의 수면 작용기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히스타민 수용체효능제인 2-피리딜에틸렌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쌀겨 에탄올 추출물의 수면유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의 수면유도효과는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에 의해 그 효과가 억제된다. 본 실험예에서는 이러한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길항제(pyrilamine maleate salt, PMS)와 효능제(2-pyridylethylamine dihydrochloride, PD)를 이용하여 쌀겨 에탄올 추출물의 작용기작을 밝혔다.
효능제 PD가 쌀 또는 쌀겨 추출물의 수면유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쌀 물 추출물(RWE) 및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은 각각500 mg/kg, 길항제 PMS는 70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고, 효능제 PD는 20 mg/kg을 BEE, PMS 경구투여 10분 전에 미리 복강 주사하여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32 내지 도 3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스타민 수용체의 길항제인 PMS의 수면효과는 잘 알려진 대로 효능제인 PD에 의해 완전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쌀 물 추출물(RWE) 및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에서도 PMS와 마찬가지로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인PD에 의해 그 효과가 억제되었다.
한편 효능제 PD가 대표적인 수면제 중의 하나인 다이아제팜은 잘 알려진 GABAA-벤조다이아제핀의 활성 효능제인 디아제팜(DZP)의 수면유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디아제팜(DZP)은 0.5 mg/kg, BEE 500 mg/kg, 길항제 PMS는 70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고,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인 PD 20 mg/kg 또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길항제인 플루마제닐(FLU) 8 mg/kg을 DZP, BEE, PMS 경구투여 10분 전에 미리 복강 주사하여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36 및 도 3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스타민 수용체 효능제인 PD는 디아제팜(DZP)의 입면시간이나 수면기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도 38 및 도 3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GABAA-벤조다이아제핀 길항제인 플루마제닐은 디아제팜의 수면 효과에는 영향을 주지만,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의 수면 효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에서 쌀겨 에탄올 추출물(BEE)은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이 아닌 히스타민 수용체에 길항 작용을 함으로써 수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히스타민 수용체 작용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은 사례가 드물기 때문에 본 발명의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항히스타민제로서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뿐만 아니라,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등의 히스타민 수용체에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천연물 의약 또는 식품으로 유용할 것이다.

Claims (19)

  1.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는 입면 시간의 감소, 수면 지속 시간의 증가 또는 논램 수면의 증가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 및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왁스 분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쌀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은 쌀겨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2의 유기용매로 재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겨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제2의 유기용매로 재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겨의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재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 저해를 통한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은 입면 시간의 감소, 수면 지속 시간의 증가 또는 논램 수면의 증가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액상 분획 및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왁스 분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쌀겨 추출물의 오일 분획은 쌀겨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은 쌀, 쌀겨 또는 왕겨의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재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PCT/KR2011/008374 2011-05-27 2011-11-04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WO20121657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1369552A AU2011369552A1 (en) 2011-05-27 2011-11-04 Novel use of rice, rice bran or rice hull extract as an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EP11866924.1A EP2716296B1 (en) 2011-05-27 2011-11-04 Novel usage of rice bran, or rice hull extract as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CA2837046A CA2837046A1 (en) 2011-05-27 2011-11-04 Novel use of rice, rice bran or rice hull extract as a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JP2014512744A JP6076335B2 (ja) 2011-05-27 2011-11-04 ヒスタミン受容体活性阻害用の薬剤学的組成物、及び、睡眠障害、不安またはうつ病の予防または改善用食品組成物
CN201180071169.0A CN103561755A (zh) 2011-05-27 2011-11-04 稻米、米糠或稻壳提取物作为组胺受体拮抗剂的新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474 2011-05-27
KR1020110050472A KR101336411B1 (ko) 2011-05-27 2011-05-27 쌀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2011-0050472 2011-05-27
KR1020110050474A KR101336502B1 (ko) 2011-05-27 2011-05-27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20110056624A KR101351883B1 (ko) 2011-06-13 2011-06-13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2011-0056624 2011-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5731A1 true WO2012165731A1 (ko) 2012-12-06

Family

ID=4725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8374 WO2012165731A1 (ko) 2011-05-27 2011-11-04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30171280A1 (ko)
EP (1) EP2716296B1 (ko)
JP (1) JP6076335B2 (ko)
KR (1) KR101336411B1 (ko)
CN (1) CN103561755A (ko)
AU (1) AU2011369552A1 (ko)
CA (1) CA2837046A1 (ko)
WO (1) WO2012165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65941A1 (en) 2014-11-21 2016-06-16 Flipn'Sweet, LLC Sugar substitute compositions comprising digestion resistent soluble fiber
CN107184834A (zh) * 2017-05-22 2017-09-22 辽宁大学 含有稻壳黄酮的抗抑郁保健品
CN107156842A (zh) * 2017-05-22 2017-09-15 辽宁大学 含有稻壳黄酮的抗乳腺癌保健品
CN106983830A (zh) * 2017-05-22 2017-07-28 辽宁大学 含有米糠黄酮的抗抑郁保健品
WO2018229776A1 (en) 2017-06-15 2018-12-20 Better Than Sweet Ltd. Dairy-based sugar substitute
CN107259308B (zh) * 2017-06-23 2020-07-03 贺州学院 一种植物源鲜切荸荠黄化抑制剂及其制备和应用方法
KR101912814B1 (ko) 2018-08-31 2018-10-29 한국식품연구원 쌀겨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EP3869976A4 (en) * 2018-10-25 2022-08-10 HOFMEKLER, Ori NATURAL SWEETING FLAVOR COMPOSITION
CN109907319A (zh) * 2019-03-12 2019-06-21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米糠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保健食品中的应用
KR102422965B1 (ko) 2022-04-21 2022-07-2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감탕나무(Ilex integra Thunb.)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6392554A (zh) * 2023-04-23 2023-07-07 昆明理工大学 红米种皮活性成分在制备防治溃疡性结肠炎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436B2 (ja) * 1993-02-16 2005-08-03 株式会社創研 抗潰瘍剤
JP3015913B1 (ja) * 1998-10-16 2000-03-06 工業技術院長 生理活性米糠油の増収法
JP3416104B2 (ja) * 1999-12-20 2003-06-16 雪印食品株式会社 食品の抗酸化能を増強させる方法及び食品用の抗酸化能増強剤
JP2001240859A (ja) * 2000-02-28 2001-09-04 Snow Brand Food Co Ltd 肉から得られる抗酸化性物質及びその使用方法
CN1232539C (zh) * 2002-05-10 2005-12-21 刘云清 有机药物与倍他环糊精衍生物的配合物及其制备方法
AU2003256104A1 (en) * 2002-08-14 2004-03-03 Bionutrigen Co., Ltd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US20050249823A1 (en) * 2003-11-04 2005-11-10 Murphy Tanya K Methods for the prevention or amelioration of neuropsychiatric and related diseases
JP4411117B2 (ja) * 2004-03-25 2010-02-10 エスエス製薬株式会社 睡眠改善医薬組成物
JP4754384B2 (ja) * 2006-03-30 2011-08-24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録媒体およ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5118863B2 (ja) * 2006-03-31 2013-01-16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催眠用医薬組成物
JP5349290B2 (ja) * 2006-04-03 2013-11-20 オディディ,イサ 薬物送達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品、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8295380A (ja) * 2007-05-31 2008-12-11 Ikari Super Market:Kk ギャバ含有食品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05747B1 (ko) * 2007-07-13 2009-07-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의해유발된 위염 및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JP5380930B2 (ja) * 2007-07-24 2014-01-08 大正製薬株式会社 睡眠改善剤
KR100963339B1 (ko) * 2008-04-02 2010-06-14 다산엠앤에프(주) 쌀 프롤라민을 포함하는 항소화성궤양 조성물
CN101608156A (zh) * 2008-06-17 2009-12-23 王茂芝 一种养生保健酒
KR101041044B1 (ko) * 2008-09-10 2011-06-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01538519B (zh) * 2009-04-29 2012-10-03 湛江师范学院 纯天然双蛹保健米酒及其制备方法
CN101869237A (zh) * 2010-06-04 2010-10-27 刘小松 一种带有原花青素和花青素的米面淀粉食品
CN101884640B (zh) * 2010-07-01 2012-04-18 北京世纪博康医药科技有限公司 谷维素的用途
CN101912115B (zh) * 2010-08-04 2012-05-02 安徽燕之坊食品有限公司 一种改善睡眠的营养米及其加工方法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RKS: "Physi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1994, RAVEN PRESS, pages: 211 - 242
HYUN IM CHOI ET AL.: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5, no. 10, 2006, pages 1297 - 1303, XP053026450 *
INAGAKI ET AL., J. COMP. NEUROL., vol. 273, 1988, pages 283 - 300
KIM, H-M. ET AL.: "The evaluation of the antianaphylactic effect of Oryza Sativa L. subsp. Hsien ting in Rats", PHARMACOLOGICAL RESEARCH, vol. 40, no. 1, 1999, pages 31 - 36, XP009101721 *
LEE, S-H. ET AL.: "Inhibitory effect of DA-9201, an extract of Oryza sativa L., on airway inflammation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mouse asthma model",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 29, no. 6, 2006, pages 1148 - 1153, XP055135717 *
LEURS ET AL., BR. J. PHARMACOL., vol. 102, 1991, pages 179 - 185
PANUL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vol. 81, 1984, pages 2572 - 2576
PASSANI, M. B. ET AL.: "Histamine receptors in the CNS as target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vol. 32, no. 4, April 2011 (2011-04-01), pages 242 - 249, XP028196562 *
RAITHEL ET AL., INT. ARCH. ALLERGY IMMUNOL., vol. 108, 1995, pages 127 - 133
See also references of EP2716296A4
SUN PHIL CHOI ET AL.: "Inhibitory Activity of Pigmented Rice Bran Extract to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Basophilic Cell Line and Peritoneal Mast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 48, no. 4, 2005, pages 315 - 321, XP05302113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1755A (zh) 2014-02-05
KR101336411B1 (ko) 2013-12-04
EP2716296B1 (en) 2017-04-26
JP2014516052A (ja) 2014-07-07
EP2716296A1 (en) 2014-04-09
EP2716296A4 (en) 2014-10-29
JP6076335B2 (ja) 2017-02-08
AU2011369552A1 (en) 2013-12-12
CA2837046A1 (en) 2012-12-06
US20130171280A1 (en) 2013-07-04
US20150320823A1 (en) 2015-11-12
KR20120132652A (ko) 201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65731A1 (ko)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WO2010036052A2 (ko)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7014502A1 (ko) 해당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6153211A2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00340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36502B1 (ko)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WO2023136428A1 (ko) 효소처리된 아쉬아간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09061A1 (ko)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19103497A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57803A1 (ko) 패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또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208107A1 (ko) 플로로글루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수면 장애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gaba-a 수용체 벤조다이아제핀 결합 위치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용 조성물
WO2014069836A1 (ko) 폴리코사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WO2017111429A1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WO2013005956A2 (ko) 위장관 운동장애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식품 조성물
WO2019031655A1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69837A1 (ko) 감마오리자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KR101444098B1 (ko)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WO2019208914A1 (ko) 마치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303713B1 (ko) 백하수오, 구절초 또는 측백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43169A1 (ko)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1300A1 (ko) 로스팅된 감귤류 부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87679A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1883B1 (ko)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WO2022169254A1 (ko) 장내 미생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36526A1 (ko) 말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66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1274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837046

Country of ref document: C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369552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11104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66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66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