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52846A1 -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52846A1
WO2011052846A1 PCT/KR2009/007391 KR2009007391W WO2011052846A1 WO 2011052846 A1 WO2011052846 A1 WO 2011052846A1 KR 2009007391 W KR2009007391 W KR 2009007391W WO 2011052846 A1 WO2011052846 A1 WO 20110528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cer
group
bear
rhubarb
fo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3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판철호
송대근
이주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10528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28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native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ldo-keto reductase is present from prokaryotic to eukaryotic and is NAD (P) H dependent, catalyzing the reduction of various aldehydes and ketones to the corresponding alcohol in vivo.
  • Redox enzyme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biosynthesis, metabolism, and detoxification.
  • AKR is divided into 14 families from AKR1 to AKR14.
  • AKR uses aldehydes, prostaglandins, retinals, steroid hormones, etc. of sugars and lipids as endogenous substrates, and the substrate specificity of each enzyme is different.
  • AKR1B10 B10 of family 1 (AKR1B10) was first reported independently by two groups in 1998 (Cao et al., 1998, J. Biol. Chem . 273: 11429-11435; Hyndman and Flynn, 1998, Biochim. Biophys. Acta . 1399: 198-202), at the time called aldose reductase-like 1 (ALL1) or small intestine aldose reductase.
  • ALL1 or small intestine aldose reductase can be used for liver cancer (Cao et al., 1998, J. Biol. Chem . 273: 11429-11435), lung cancer (Fukumoto et al., 2005, Clin. Cancer Res .
  • AKR1B10 was reported to be expressed at low levels in the liver of normal subjects and was not confirmed in the lung. Meanwhile, in smokers, AKR1B10 overexpression was reported in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Li et al., 2008, Pathol. Res. Pract. 204: 295-304) ol. As such, AKR1B10, which is overexpressed in cancer cells, has emerged as a target for new cancer diagnosis and cancer treatment, and thus studies for clarifying the role of the enzyme are continuing.
  • AKR1B10 activity which is highly expressed in cancer cells, reduced retinal to retinol to reduce the retinoic acid concentration in the cell to inhibit cell differentiation.
  • AKR1B10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reductase to inactivate daunorubicin, an anticancer drug (Martin et al., 2006, Drug Metab. Dispos . 34: 464-470), and another prodrug anticancer drug.
  • An association with the resistance of cancer cells to cyclophosphamide has been reported (Bacolod et al., 2008, Curr. Cancer Drug Targets. 8: 172-179).
  • AKR1B10 overexpressed in cancer cells is thought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cancer cells by lowering the retinoic acid concentration in the cancer cells to promote cancer progression and inactivating anticancer agents having aldehyde and ketone groups as active moieties, and specific inhibitors of AKR1B10.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ancer treatments.
  • Anchovy ( Adenocaulon himalaicum ) grows in a rather humid place in the shade. Young shoots are used as herbs and are distributed in Korea, Japan, China, Himalayas, Amur, and Usuri.
  • Aralia cordata is native to Korea and is distributed in Japan, China and Russia.
  • the stems stretched straight up one by one and did not shake because of the wind. They were called poisonous, and when there was no wind, they moved alone. There is a record that it is good to fly in the river, but it is also called a vigor, but now it is used as a completely different medicine.
  • the eagle (Heracleum mollendorfii Hanc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Chinese larvae, is used as a poison.
  • Toxin has a peculiar smell, tastes a bit bitter, and warm.
  • Toxic is used for myalgia, arthritis, back pain, knee and lower limb pain caused by wind and humidity, and it is effective for skin itching, external fever, headache, etc. Pharmacological effects have been reported for sedation, hypnosis, analgesic, anti-inflammatory, hypotensive, anticonvulsion, anti-ulcer, sun allergy.
  • Astilboides tabularis also known as bone mound , grows under trees in deep mountain valleys. It is about 1m high.
  • the stem is large, long and stands straight.
  • Short spines The leaves on the roots have long petioles, and the leaves on the stems have short petioles and split about 7 edges. The larger one is about 75cm in diameter and has teeth.
  • the leaf veins split into palms are divided into two again.
  • Jaw leaves are membranous ( ⁇ : translucent like thin paper), petioles are 80 ⁇ 90cm long, 2cm in diameter.
  • Flowers bisexual and bloom in white in June ⁇ July. Calyx tube is shallow, divided into 5 branches, and the pieces are egg-shaped and pointed at the ends. Petals are long oval, 5 in number, 5 stamens, slightly longer than petals. There are two pistils. The ovary is in the middle and two rooms. The fruit is capsule.
  • Tobacco grass ( Carpesium abrotanoides ) grows in fields or foothills. Eat young shoots. In oriental medicine, the leaves are called Cheonmyeongjeong ( ⁇ ⁇ ⁇ ) and used as tapeworm remedies, and the juice of the leaves is used for boils and bruises. It is distributed in Korea (Gyeonggi, Yellow Sea, South Gyeongsang province), Japan, and China.
  • the forget-me-not ( Erigeron canadensis ) is also called hyacinth. Young leaves are edible and used as herbs in North America. Naturalized plant native to North America, it is distributed all over Korea and around the world.
  • Beetle anesthesia ( Gymnaster koraiensis ), also called separate anesthesia , grows in wetlands. Young shoots are eaten with herbs. It is a special species of Korea and is distributed in Jeollanam-do,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Chungcheongbuk-do, and Gyeonggi-do.
  •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is a species of chrysanthemum and bear, inhabiting 80 species worldwide and 8 species in Korea. It is perennial.
  • Lythrum salicaria is a dicotyledonous plant that is a perennial plant with the plated buddha. It grows in marshes. It is distributed in Korea, China, Africa, Europe, and North America.
  • Rheum undulatum is native to China's West and Qinghai provinces. It grows in the wetlands of the valley. Used as a medicine is a one-root root, when grown in the fourth year, the root weight is 3 ⁇ 5kg. After removing 6 ⁇ 7 years old root roots and burdock-shaped cup roots, they are sliced and dried as it is called rhubarb. In oriental medicine, it has been used as an anti-inflammatory laxative since BC and has been used in various prescriptions. Main components are anthraquinone derivatives, glycosides and tannins thereof.
  • Rhus trichocarpa grows on hillsides or foothills. Sap is used as medicine and wood is used as firewood. It is distributed in Korea, Japan, China,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Kuril Islands.
  • Briar Rosa multiflora
  • ⁇ ⁇ a medicine called Yeongsil ( ⁇ ⁇ ), which is effective for insomnia, forgetfulness, decreased sexual function, and edema, and is also used as a diuretic. It is distributed in Korea and Japan.
  •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12 native plants, in which the extract of 106 native plants of Korea was prepared and treated with recombinant AKR1B10 protein, the AKR1B10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by 50% or mor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express the inhibitor of 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which is currently emerging as a new target for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by overexpressing cancer cells and promoting cancer progression. It is found in native plants and provides the composition.
  • ARR1B10 aldo-keto reductase 1B10
  • the present invention is Adenocaulon himalaicum, Aralia cordata , Astilboides tabularis , Aspenboides tabularis , Carpesium abrotanoides , Erigeron canadensis , Beetle odor ( Gymnaster koraiensis ), Any 1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gularia fischeri var.spiciformis Nakai, Lythrum salicaria , Oenothera biennis , Rheum undulatum , Rhus trichocarpa and Rosa multiflora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ldo-keto reductase 1B10 (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activity containing more than one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ldo-keto reductase 1B10 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 dietary supplement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cancer cont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feed additives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cancer cont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treated with AKR1B10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irulence, dog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It provides a method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AKR1B10 comprising the step of.
  •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a plant extract to a subject with canc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 method for preven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a plant extract to a subject.
  •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AKR1B10 activity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enom, dogwee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KR1B10 activity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enom, dogwee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the use used for manufacture of the composition for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prevents cancer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irulence, dog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Provided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prevents cancer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irulence, dog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irulence, dog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prevents cancer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enom, dogwee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Provided are uses for the production of feed additives for improvement.
  • Adenocaulon himalaicum of the present invention Aralia cordata , Astilboides tabularis , Carpesium abrotanoides , Erigeron canadensis , Gymnaster koraiensis , Ligularia fischeri var. Nakai, Lythrum salicaria , Oenothera biennis , Rheum undulatum , Rhus trichocarpa and Rosa multiflora extracts overexpressed in cancer cells Aldo-keto reductase 1B10 (Aldo-keto) When treated with reductase 1B10, AKR1B10) effectively reduced the activity of the enzym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plant (extinction value, poisonous activity) extract that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extract of the plant (sprout worm, sesame) extract that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plant (open air, tobacco grass) extract that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plant (Equipment, Forage) extract that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plant (beetle odor, bear odor) extract that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extracts of plants (one bear, hair iris) inhibiting rhAKR1B10 activity by more than 50%.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plant (evening primrose, rhubarb) extract that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extracts of plants (barberry, lacquer) which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C 50 value of the extract of the plant (brier, white matter) that inhibited rhAKR1B10 activity by 50% or more.
  • the present invention is Adenocaulon himalaicum , Aralia cordata , Astilboides tabularis , Carpesium abrotanoides , Echo ( Erigeron canadensis ), Beetle odor ( Gymnaster koraiensis ), Any 1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gularia fischeri var.spiciformis Nakai, Lythrum salicaria , Oenothera biennis , Rheum undulatum , Rhus trichocarpa and Rosa multiflora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KR1B10 activity containing more than one native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ors dried 106 kinds of native plants in Korea, pulverized them into appropriate sizes, put them in an extraction container, cooled by reflux by adding water, methanol, ethanol or an aqueous ethanol solution, and then filtering the extracts for each native plants by filtration with filter paper. Got it.
  • the enzyme activity was reduced by 50% or more as annihilation, poisonous, wormwood, scented, open-wind, tobacco grass, genus, forget-me-not, bee stink, bear odor Eighteen species of tiger, tiger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rhododendron, lacquer, brier and cypress were selected.
  • the native plant extract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inhibits the enzymatic activity of AKR1B10 overexpressed in cancer cells,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KR1B10 activity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 the native plan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water, C 1 ⁇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C 1 to C 4 alcohols are preferably ethanol or an ethanol aqueous solution, more preferably an ethanol aqueous solution.
  • the extraction method can be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such as cold needle, warm needle, heating using the solvent.
  • distilled water extraction is preferably subjected to a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at a high temperature
  • alcohol and ethyl acetate extr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and lyophilized to extract powdered herbal medicine Can be prepared.
  • the amount of native plants used for extraction is preferably 0.5 to 1 g / m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 the canc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ung cancer, liver cancer, stomach cancer, oral cancer, colon cancer, bladder cancer, prostate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cervical cancer, thyroid cancer, melanoma and hematologic cancer, preferably liver cancer, lung cancer, oral cancer and uterine cancer.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such.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t is preferable to select external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rectal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thoracic injection injection method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ly used excipients, disintegrants, sweeteners, lubricants, flavoring agents and the like.
  • the disintegrants include sodium starch glycolate, crospovidone, croscarmellose sodium, alginic acid, carboxymethyl cellulose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chitosan, guar gum,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and polyacryline Potassium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wherein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include starch, gelatinized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lactose, povidone, colloidal silicon dioxide, calcium hydrogen phosphate , Lactose, mannitol, syrup, gum arabic, pregelatinized starch, corn starch, powdered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opadry, sodium starch glycolate, carnauba lead, synthetic aluminum silicate, stearic acid, magnesium stearate, aluminum stearate, Calcium stearate, sucrose, dextrose, sorbitol, talc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cluded 0.1 to 9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oft capsules, pills and the like.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terile aqueous solution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suppositories, aerosols, etc.
  • an external sk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ream, gel, patch, spray, ointment, warning agent, lotion agent, linen agent, pasta agent or cataplasma agent may be prepared and used.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depends on the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rate of inactivation and excretion, the age, sex and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the desired effect, however, in the case of oral administration, it is generally advisable to administe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dult at 0.0001 to 100 mg / kg per day, preferably at 0.001 to 100 mg / kg, per kg of body weight per day. good.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treated with AKR1B10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It provides a method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AKR1B10 comprising the step of.
  •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a plant extract to a subject with canc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 method for preven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a plant extract to a subject.
  • the term "individual”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ll animals, such as humans, monkeys, dogs, goats, pigs or mice.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or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which means the type of cancer, the severity,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sensitivity to the drug, the administration of the subject.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excretion,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 dietary supplement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cancer containing.
  • the native plant extract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inhibits the enzymatic activity of AKR1B10 overexpressed in cancer cells, and thus can be usefully used for health food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ancer.
  • the canc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ung cancer, liver cancer, stomach cancer, oral cancer, colon cancer, bladder cancer, prostate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cervical cancer, thyroid cancer, melanoma and hematologic cancer, preferably liver cancer, lung cancer, oral cancer and uterine cancer.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such.
  • the dietary supplement may be used as it is,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or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blend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hygiene).
  • the health functional foods to which the substance may be added may be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and the like.
  • the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may include dairy products including butter, yogurt, cheese,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Lactobacillus preparations, fermented milk,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etc., preferably lactobacillus preparations and fermented milk It includes all dietary supplements in the usual sense.
  • the dietary supp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s,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dditional ingredients, as in the general dietary supplement.
  •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are glucose, monosaccharides such as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sweetening agent natural sweetening agents such as tau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ing agent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disa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usu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poisonous, open-winding,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ging, single surrogate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feed additives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cancer containing.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general feed components known in the art.
  • the feed additive may include grain flour, sugars, vitamins, amino acids, proteins, lipids, minerals, and the like.
  • grains and grain by-products may be used, such as rapeseed, cottonseed, soybean, bran, rice bran, skim, wheat, corn bran, malt, soybean skin, potato starch, sweet potato starch, corn starch, Coffee gourd, sake, jam, seaweed, tapioca, soybean meal, cottonseed gourd, mackerel gourd, vegetable gourd, flax gourd, corn gourd, corn gluten, wheat gluten, peanut gourd, palm gourd, sunflower seed gourd, alcohol gourd, corn gourd gourd , One or two or more of the pepper seed, Jang gourd and beer may be mixed.
  • Feed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ugars and complex carbohydrates such as water soluble and water insoluble 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s. More specifically as sugars that can be used are glucose, mannose, fructose, white sugar, maltose, cellobiose, lactose, trehalose, melibiose, raffinose, escreen, salicycin, amigdaline, mannitol, sorbitol, Sorbose, menthose and the like, and not only molasses and sucrose, but also oligosaccharides can be used in combination.
  • sugars and complex carbohydrates such as water soluble and water insoluble 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s. More specifically as sugars that can be used are glucose, mannose, fructose, white sugar, maltose, cellobiose, lactose, trehalose, melibiose, raffin
  • Any amino acid component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rgin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ne, threonine, tryptophan, valine, tyrosine, alanine, aspartic acid, sodium glutamate, glycine, proline, serine , Cysteine, and their analogs, and salts thereof.
  • Vitamins that can be optionally added to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iamine-HCl, riboflavin, pyridoxine-HCl, niacin, niacinamide, inositol, choline chloride, calcium pantothenate, biotin, folic acid, ascorbic acid, and vitamins A, B, K , D, E and the like.
  • vitamin A, vitamin B group and vitamin E can also be used as an antioxidant.
  • Fatty acid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oybean oil, rapeseed oil, corn oil, safflower oil, sunflower oil, rice oil, beefsteak vegetable oil, evening primrose oil, freeze oil, linseed oil, and the like, And oils such as fish oils such as bonito, mackerel and sardines, and triglycerides derived from various microorganisms.
  • oils such as fish oils such as bonito, mackerel and sardines, and triglycerides derived from various microorganisms.
  • calcium salts and magnesium salts of fatty acids may also be included as the metal salts of fatty acids obtained above.
  • a small amount of a known bioceramic material such as plagioclase, bentonite, and elvan can be added to double the antibacterial function.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with any pharmaceutical ingredient known in the art, and it is particular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lude artificial chemicals such as antibiotics, probiotics, sweeteners, antacids, anti-diabetic agents and the like.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shellfish as a calcium source, and a small amount of crab shell, turban shell and the like as mineral sources of iron, manganese, copper, zinc and molybdenum.
  •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AKR1B10 activity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enom, dogwee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AKR1B10 activity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enom, dogwee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the use used for manufacture of the composition for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prevents cancer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irulence, dog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Provided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prevents cancer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irulence, dog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irulence, dog win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prevents cancer of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chovy, venom, dogweed, tobacco grass, forget-me-not, bee stink,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dogwood and brier Provided are uses for the production of feed additives for improvement.
  • AKR1B10 gene Aldo-keto reductases1B10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1
  • the reading frame of the gene open reading frame, ORF, sequence
  • Pfu polymerase Pfu polymerase
  • His label was added to the N-terminus of AKR1B10 to purify the protein.
  • a forward primer (5'-gaagaacatatggccacgtttgtggagctc-3 ') described in SEQ ID NO: 3 and a reverse primer (5'-gaagaactcgagatattctgcatcgaagggatagtc-3') described in SEQ ID NO: 4 were used.
  • PCR reaction conditions are as follows.
  • the AKR1B10 gene was used as a template, and 94 ° C and 4 minutes were treated, and 94 ° C, 30 seconds, 58 ° C, 30 seconds, 72 ° C, and 4 minutes were repeated 25 times, followed by 72 ° C and 10 minutes.
  • Amplified PCR products and vectors were digested and purified with Nde I and Xho I restriction enzymes, respectively. About 100 ng of the vector and the sections to be inserted were added, and 1 unit of T4 ligase (Roche, Switzerland) was added and reacted at 16 ° C. for 16 hours. After the ligation reaction, E. coli BL21 (DE3) (Invitrogen, USA) was transformed and screened on LB agar plates containing 50 ⁇ g / ml of ampicillin (Sigma, USA) and cleaved with appropriate restriction enzymes. Plasmids containing the desired DNA fragments were obtained, and finally DNA sequencing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mutations in the genes. The prepared expression vector was named 'pET23b-AKR1B10'.
  • the transformant strain containing pET23b-AKR1B10 was incubated at 37 ° C. and 200 rpm in LB medium containing 50 ⁇ g / ml of ampicillin, and when 0.5 nm of absorbance reached 0.8, 0.5 mM IPTG was added to the recombinant human. Expression of AKR1B10 (rhAKR1B10) was induced. After further incubating for 4 hours at 30 ° C. and 200 rpm, E. coli cells were recovered and suspended in Buffer A (containing 20 mM Tris-Cl / pH 8.0, 0.5 M NaCl, 5 mM imidazole and 1 mM DTT).
  • Buffer A containing 20 mM Tris-Cl / pH 8.0, 0.5 M NaCl, 5 mM imidazole and 1 mM DTT.
  • rhAKR1B10 was subjected to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equilibrated with buffer D (100 mM potassium phosphate / pH 6.2, 0.5 M NaCl and 1 mM DTT). Purifi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urified rhAKR1B10 through 12% SDS-P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mon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35 kDa, and affinity for DL-glyceraldehyde (DL-glyceraldehyde, Sigma, USA) which is a substrate of rhAKR1B10. As a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the Lineweaver-Burk plot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K m value of 3.7 mM.
  • buffer D 100 mM potassium phosphate / pH 6.2, 0.5 M NaCl and 1 mM DTT
  • the purified protein was used in the following rhAKR1B10 inhibitor search experiment.
  • a total of 106 species of native plan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dried, pulverized, and then crushed to the appropriate size. Each native plant sample was collected from Pyeongchang, Gangwon-do. The extract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paper. Each extract was dissolved in DMSO at 20 mg / ml and used for activity measurement.
  • the present inventors measured the NADPH absorbance when the rhAKR1B10 protein prepared in Example 1 was reacted with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in Example 2 to determine whether the native plant extracts had an rhAKR1B10 inhibitory effect.
  • 200 ⁇ l each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0.1 M potassium phosphate / pH 7.0, 10 mM DL-glyceraldehyde, 0.16 mM NADPH and 1 ⁇ M rhAKR1B10) containing 10 ⁇ g / ml of the nativ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96-well microplate.
  • NADPH absorbance was measured at 1 minute intervals for 5 minutes at 340 nm using a microreader (Biorad, USA). Based on the change in absorbance during each 1 minute, the percentage of inhibition of rhAKR1B10 activity was calculated as in Equation 1 below.
  • the extracts of the native plants inhibited more than 50% of the enzyme activity of rhAKR1B10 by Adenocaulon himalaicum , Aralia cordata , Aster glehni , Aster scaber , more screens (Astilboides tabularis), snuffbox (Carpesium abrotanoides), horsetail (Equisetum hyemale), Glauber's salt (Erigeron canadensis), beolgaemichwi (Gymnaster koraiensis), Ligularia fischer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 handaeri Ligularia fischeri (Ligularia fischeri var 18 of spiciformis Nakai), hair Lythrum (Lythrum salicaria), evening primrose (Oenothera biennis), rhubarb (Rheum undulatum), dog sumac (Rhus tricho
  • IC 50 the concentration of plant extracts that inhibit rhAKR1B10 enzyme activity by 50% or more, inhibited rhAKR1B10 inhibition rate at 0.625, 1.25, 2.5, 5, 10 and 20 ⁇ g / ml of the plant extract.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 to 9.
  • IC 50 of anchovy, venom, wormwood, scampi, canopy, tobacco grass, genus, forget-me-not, bee stinger, bear odor, persimmon bear, hairy bud, evening primrose, rhubarb, echidna, lacquer, brier and white pear Were 3.45, 3.59, 3.47, 3.63, 5.13, 9.40, 9.87, 5.50, 6.28, 4.79, 2.94, 4.62, 7.01, 5.50, 1.96, 3.48, 9.98 and 3.79 ⁇ g / ml, respectively.
  • One or more native plant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0.48 ⁇ 1.28 mg
  • drinks were prepar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 Chewing gum was prepar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using the above composition and content.
  • At least one nativ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wheat flour, and the mixture was used to prepare bread, cake, cookies, crackers, and noodles to prepare health promoting food.
  •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native plant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prepared as follows.
  •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 the capsule was prepared by filling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feed additives with the following composition using at least one nativ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At least one nativ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0.1 to 10% by weight
  • Lipase 0.001 to 0.01% by weight
  • Vitamin E 0.01-0.1% by weight
  • Enzyme powder 1 to 10% by weight
  • Lactic acid bacteria 0.1 to 10% by weight
  • Bacillus culture medium 0.01 to 10% by weight
  • Glucose 20 to 90% by weight.
  •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ldo-keto reductase 1B10 (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inhibitors, cancer prevention or therapeutic agent, cancer prevention or improvement health food, or feed additive for cancer prevention or improvement Can be used.
  • aldo-keto reductase 1B10 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자생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암세포의 성장 촉진과 관련되는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에 처리하였을 때, 상기 효소의 활성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에 대한 연구가 30년 이상 심도 있게 이루어진 현재에도 평균수명의 증가,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잘못된 식생활습관 등의 생활환경 변화로 인하여 암 발생률은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0만 명 정도의 암 환자가 발생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사망의 주요원인 중 하나로 암을 꼽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암은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는 병으로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매년 10만 명 정도의 암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은 중년층의 질환으로서 새로운 임상예의 70% 이상이 60세 이상에서 진단되어 세계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암 발생률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일반적인 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 등이 있으며 항암제 치료는 모든 치료법에 병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항암제 치료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손상을 입혀 심각한 독성 및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신규 항암제 개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의 항암제 개발 연구는 암세포와 정상세포 사이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 생화학적 수식의 차이를 구명하여 신규 항암제 표적을 도출하고, 이 표적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함으로써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알도-케토 환원효소(Aldo-keto reductase, AKR)는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까지 두루 존재하며 생체 내의 다양한 알데히드(aldehyde) 및 케톤(ketone)의 해당 알콜로의 환원을 촉매하는 NAD(P)H 의존적 산화환원 효소로 생합성, 대사, 해독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KR은 AKR1에서 AKR14까지 14개 패밀리로 나누어지며, 사람에서는 패밀리 1, 6, 7의 총 13개의 AKR 효소들이 보고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AKR1A1, AKR1B1, AKR1B10, AKR1C1, AKR1C2, AKR1C3, AKR1C4, AKR1D1, AKR6A3, AKR6A5, AKR6A9, AKR7A2, AKR7A3으로 명명하고 있다. AKR은 내생적 기질로 당이나 지질의 알데히드, 프로스타글란딘, 레티날,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을 이용하며, 각 효소의 기질 특이성은 상이하다.
사람의 13개 AKR 효소들 가운데 패밀리 1의 B10(AKR1B10)은 1998년 두 그룹이 독립적으로 처음 보고하였으며(Cao et al., 1998, J. Biol. Chem. 273:11429-11435; Hyndman and Flynn, 1998, Biochim. Biophys. Acta. 1399:198-202), 당시에는 알도오즈 환원효소-유사 단백질 1(aldose reductase-like 1, ARL1) 또는 소장 알도오즈 환원효소(small intestine aldose reductase)로 불렸다. AKR1B10은 간암(Cao et al., 1998, J. Biol. Chem. 273:11429-11435), 폐암(Fukumoto et al., 2005, Clin. Cancer Res. 11:1776-1785), 구강암(Nagaraj et al., 2006, Toxicol. Lett. 165:182-194), 자궁암(Yoshitake et al., 2007, Int. J. Gynecol. Cancer. 17:1300-1306) 등에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AKR1B10은 정상인의 간에서는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고, 폐에서는 발현을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흡연자의 경우, 편평 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선암(adenocarcinoma)에서 AKR1B10 과발현이 보고되었다(Li et al., 2008, Pathol. Res. Pract. 204:295-304)ol. 와 같이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AKR1B10은 신규 암 진단과 암 치료의 표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상기 효소의 역할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암 치료의 표적 가능성은 siRNA를 이용한 AKR1B10의 발현 억제 연구에 의하여 가시화되었다. 즉, 직장암 세포에서 AKR1B10의 발현을 siRNA로 억제한 결과, 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Yan et al., 2007, Int. J. Cancer. 121:2301-2306). 이는 AKR1B10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저해제가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AKR1B10의 세포분열 촉진 효과 규명을 위한 연구에서는 암 세포에서 높게 발현된 AKR1B10 활성이 레티날(retinal)을 레티놀(retinol)로 환원시켜 세포 내의 레티노산(retinoic acid) 농도를 감소시켜 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킨 결과로 추정하고 있다(Gallego et al., 2006, Biochem. J. 399:101-109). 또한, AKR1B10은 항암제인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을 비활성화시키는 주된 환원효소로 동정되었으며(Martin et al., 2006, Drug Metab. Dispos. 34:464-470), 또 다른 전구약물(prodrug) 항암제인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에 대한 암세포의 저항성과의 관련이 보고되었다(Bacolod et al., 2008, Curr. Cancer Drug Targets. 8:172-179). 이와 같이 암세포에서 과발현된 AKR1B10은 암세포 내의 레티노산 농도를 낮추어 암의 진행을 촉진시키는 한편 활성 모이어티로 알데히드기 및 케톤기를 가지는 항암제를 비활성화시켜 암세포의 항암제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AKR1B10의 특이적 저해제는 암 치료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는 응달의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사용하며 한국 ·일본 ·중국 ·히말라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독활(Aralia cordata)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줄기가 곧게 위로 하나씩 뻗어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하여 독활(獨活)이라고 불렀으며 바람이 없을 때에는 홀로 움직인다하여 독요초(獨搖草)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강(羌)에서 나는 것이 좋은 것이어서 강활(羌活)이라 부르기도 하였다는 기록도 있지만 현재는 전혀 다른 약으로 구별하여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중치모당귀와 유사한 어수리(Heracleum mollendorfii Hance)를 독활로 사용하기도 한다. 독활은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듯하다. 독활은 풍한습(風寒濕)으로 인한 근육통, 관절염, 요통, 무릎과 하지 동통에 사용하고 조습작용이 있어 피부가려움증, 외감성 발열, 두통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은 진정, 최면, 진통, 항염증, 혈압강하, 항경련, 항궤양, 햇빛알러지 등에 효과가 보고되었다.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은 골병풍이라고도 불리며, 깊은 산 골짜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크고 길며 곧게 선다. 짧은 가시털이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짧으며 가장자리가 7개 정도로 갈라진다. 큰 것은 지름 75cm 정도이고 톱니가 있다.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 잎맥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턱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잎자루는 길이 80∼90cm, 지름 2cm 정도이다. 꽃은 양성화로 6∼7월에 흰색으로 피며 원추꽃차례로 빽빽이 달린다. 꽃받침통은 얕고 5갈래로 나누어지며 그 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5개이고 수술도 5개로서 꽃잎보다 약간 길다. 암술대는 2개이며 씨방은 중위(中位)이고 2실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은 들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한방에서 잎은 천명정(天名精)이라 하여 촌충 구제약으로 쓰고, 또 잎의 즙은 종기·타박상에 쓴다. 한국(경기·황해·경북 이남)·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망초(Erigeron canadensis)는 잔꽃풀이라고도 한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약재로 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한국 전지역과 전세계에 분포한다.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는 별개미취라고도 불리며, 습지에서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한 대리 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는 국화과 곰취속으로 전 세계에 80 종, 우리나라에 8 종이 서식하고 있다. 다년초이다.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은 쌍떡잎식물로 도금양목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습지에서 자란다. 한국, 중국,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은 남아메리카 칠레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며 물가·길가·빈터에서 자란다. 어린 잎은 소가 먹지만 다 자란 잎은 먹지 않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월견초(月見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감기로 열이 높고 인후염이 있을 때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종자를 월견자(月見子)라고 하여 고지혈증에 사용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대황(Rheum undulatum)은 원산지가 중국 서장·청해 지방이다.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란다. 약제로 쓰이는 것은 원뿌리인데 재배하여 4년째가 되면 뿌리의 무게가 3∼5kg이 된다. 6∼7년 경과한 원뿌리의 껍질과 우엉 모양을 한 잔뿌리들을 제거하여 그대로 또는 통째로 썰어서 말린 것을 대황이라 하는데, 이를 약용한다. 한방에서는 기원전부터 소염성의 하제(下劑)로 쓰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이다. 소량을 섭취하면 건위작용(健胃作用)을 나타내고, 다량의 경우는 완하제(緩下劑)로 상습 변비나 소화불량에 좋으며, 민간약으로는 화상에 쓰기도 한다. 약용할 때 달여서 복용하는데 생것을 쓰며 효력이 강하고, 익은 것을 쓰면 효력이 완만하며 숯으로 마른 것은 지혈력이 강하다.
개옻나무(Rhus trichocarpa)는 산허리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수액은 약으로 쓰고 나무는 땔감으로 이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쿠릴열도 남부 등지에 분포한다.
찔레(Rosa multiflora)는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영실(營實)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불면증·건망증·성 기능 감퇴·부종에 효과가 있고 이뇨제로도 쓴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국의 자생 식물 106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재조합 AKR1B10 단백질에 처리하였을 때, AKR1B10 효소활성이 50% 이상 억제되는 자생 식물 12종을 선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세포에서 특히 과발현되어 암 진행을 촉진시킴으로써 최근 암 진단 및 치료의 신규 표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의 저해제를 천연물, 특히 한국의 자생 식물에서 찾아 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AKR1B10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KR1B10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에 걸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 추출물을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에 처리하였을 때, 상기 효소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멸가치, 독활)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썸쑥부쟁이, 참취)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개병풍, 담배풀)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속새, 망초)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벌개미취, 곰취)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한대리곰취, 털부처꽃)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달맞이꽃, 대황)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개옻나무, 옻나무)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rhAKR1B10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식물(찔레, 측백)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의 자생 식물 106종을 각각 건조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후 추출용기에 넣고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환류 냉각한 다음,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각 자생 식물에 대한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한 AKR1B10에 처리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50% 이상 감소된 식물로서 멸가치, 독활, 섬쑥부쟁이, 참취, 개병풍, 담배풀, 속새, 망초, 벌개미취, 곰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옻나무, 찔레 및 측백의 18종을 선별하였다.
본 발명에서 선별한 자생 식물 추출물은 암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AKR1B10의 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생 식물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C1 ~ C4의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이다. 추출 방법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통상의 추출방법이 가능하다. 이때, 증류수 추출은 고온에서 열탕추출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코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은 상온에서 추출 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액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추출에 사용되는 자생 식물의 양은 0.5 ~ 1 g/㎖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구강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 바람직하게는 간암, 폐암, 구강암 및 자궁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키토산, 구아검,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라크릴린 칼륨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kg당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AKR1B10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KR1B10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에 걸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개체"는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암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선별한 자생 식물 추출물은 암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AKR1B10의 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구강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 바람직하게는 간암, 폐암, 구강암 및 자궁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위생)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의 형태 및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 기능 식품의 형태는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일 수 있고, 건강 기능 식품의 종류는 버터, 요구르트, 치즈를 포함한 유제품,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유산균 제제, 발효유,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제제 및 발효유이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기능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통상의 건강 기능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디사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사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료 첨가제는 곡물 가루, 당질,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지질, 광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는 곡물 및 곡물 부산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평지씨, 면실, 대두, 밀기울,미강,탈지강,맥강,옥수수겨,맥아근,대두피,감자 전분,고구마 전분,옥수수 전분,커피박,잠사,잠분,해조분,타피오카,대두박,면실박,임자박,채종박,아마박,호마박,옥수수글루텐,밀글루텐,낙화생박,야자박,해바라기씨박,주정박,옥수수배아박,고추씨박,장유박,맥주박 중에서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수용성 및 수불용성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당 및 복합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당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도당, 만노오스, 프룩토오스, 백당, 맥아당, 셀로비오스, 젖당, 트레할로오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오스, 에스크린, 살리신, 아미그달린, 만니톨, 솔비톨, 소르보스, 멘티토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당밀, 자당뿐만 아니라 올리고당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아미노산 성분에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이소로이신, 로이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티로신,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프롤린, 세린, 시스테인, 및 이들의 동족체, 및 이들의 염이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는 비타민에는 티아민· HCl, 리보플라빈, 피리독신·HCl, 니아신, 니아신아미드, 이노시톨, 염화콜린, 판토텐산칼슘, 바이오틴, 폴산, 아스코르브산, 및 비타민 A, B, K, D, E 등이 있다. 이 중, 특히 비타민 A, 비타민 B군 및 비타민 E는 항산화 물질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지방산은, 예를 들어, 대두유, 평지씨유, 옥수수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라이스유, 비프스테이크 식물유, 달맞이꽃유, 유리지치유, 아마인유 등의 식물유, 및 가다랭이, 고등어, 정어리 등의 어유 및 각종 미생물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유지를 가수 분해 처리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지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서 지방산의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는 사장석, 벤토나이트, 맥반석 등 공지의 바이오세라믹 물질이 소량 첨가되어 항균 기능 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약제 성분을 첨가할 수 있고, 특히 항생제, 생균제, 감미제, 제산제, 지사제 등의 인공적 화학약품을 포함시켜도 본 발명의 범주 안에 든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칼슘원으로서 패각류를, 철, 망간, 구리, 아연, 몰리브덴의 미네랄원으로서 게 껍질, 소라 껍질 등을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조합 인간 AKR1B10(rhAKR1B10) 발현 벡터 제조 및 rhAKR1B10 단백질 의 정제
AKR1B10 유전자(Aldo-keto reductases1B10 염기서열, 서열번호 1)를 21C 프론티어 인간 유전자 은행(21C Frontier Human Gene Bank, 한국, 생명공학연구원)에서 얻은 후, 상기 유전자의 해독틀(open reading frame, ORF, 서열번호 2)를 Pfu 폴리머라제(Stratagene, 미국)을 사용하여 PCR 증폭하여 pET23b(Invitrogen, 미국)벡터에 NdeI 및 XhoI 제한효소 부위로 삽입하였다. 이 때, 단백질의 정제를 위하여 AKR1B10의 N-말단에 His 표지가 첨가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AKR1B10 유전자의 PCR 증폭을 위하여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정방향 프라이머(5'-gaagaacatatggccacgtttgtggagctc-3')와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역방향 프라이머(5'-gaagaactcgagatattctgcatcgaagggatagtc-3')를 사용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AKR1B10 유전자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94℃, 4분 처리하고 94℃, 30초, 58℃, 30초, 72 ℃, 4분 과정을 25회 반복한 후 72 ℃, 10분간 연장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 및 벡터를 각각 NdeI및 XhoI 제한효소로 절단하고 정제하였다. 벡터 및 삽입할 절편을 약 100 ng씩 사용하여, Roche 사(스위스)의 T4 리가아제(ligase) 1 unit을 첨가하여 16℃에서 16시간 반응시켰다.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 후 대장균 BL21(DE3)(Invitrogen, 미국)에 형질전환하여 50 ㎍/ml의 암피실린(ampicillin, Sigma, 미국)이 함유된 LB 아가 플레이트에서 선별한 후 적절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원하는 DNA 절편이 든 플라스미드를 확보하였으며 DNA 시퀀싱(sequencing)을 통해 최종적으로 유전자의 변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현벡터를 'pET23b-AKR1B10'로 명명하였다.
상기에서 pET23b-AKR1B10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균주를 50 ㎍/ml의 암피실린이 함유된 LB 배지에서 37℃, 200 rpm으로 배양하여 600nm 흡광도가 0.8에 이르렀을 때 0.5 mM의 IPTG를 첨가하여 재조합 인간 AKR1B10( rhAKR1B10)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30℃, 200rpm으로 4시간 동안 더 배양한 후, 대장균 균체를 회수하여 완충용액 A(20 mM Tris-Cl/pH 8.0, 0.5 M NaCl, 5 mM imidazole 및 1 mM DTT 함유)에 현탁하여 초음파로 세포를 파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rhAKR1B10 조효소가 포함된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층액을 완충용액 A로 평형시킨 Ni-친화 컬럼(Ni-affinity column, TAKARA, 일본)에 주입하고, 완충용액 B(20 mM Tris-Cl/pH 8.0, 0.5 M NaCl, 20 mM imidazole 및 1 mM DTT 함유)로 세척한 후, 완충용액 C(100 mM potassium phosphate/pH 6.2, 0.5 M NaCl, 250 mM imidazole 및 1 mM DTT 함유)로 용출하여 rhAKR1B10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 과정에서 비특이적으로 응집된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완충용액 D(100 mM potassium phosphate/pH 6.2, 0.5 M NaCl 및 1 mM DTT )로 평형시킨 겔 삼투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rhAKR1B10를 정제하였다. 상기에서 정제한 rhAKR1B10을 12% SDS-PAGE를 통해 확인한 결과, 35 kDa 정도 분자량을 가진 단량체인 것을 확인하였고, rhAKR1B10의 기질인 DL-글리세르알데히드(DL-glyceraldehyde, Sigma, 미국)에 대한 친화도를 Lineweaver-Burk plot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3.7 mM의 Km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정제한 단백질을 하기 rhAKR1B10 저해제 탐색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자생 식물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자생 식물은 총 106종으로, 강원도 평창 일대에서 채집한 각 자생 식물 시료를 건조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각 자생 식물 시료를 넣고 용매(95% 에탄올 수용액)를 가하여 환류 냉각하였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각 추출물을 DMSO에 20 mg/ml로 녹여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시료 중량, 용매의 부피 및 상기 실험으로부터 최종 수득한 추출물의 중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번호 식물명 학명 건조중량(g) 용매 부피(L) 추출물량(g)
1 톱풀 Achillea alpina 20 0.5 2.83
2 우슬 Achyranthes japonica 10 0.5 1.75
3 진범 Aconitum pseudolaeve 44 1.2 3.91
4 창포 Acorus calamus 10 0.5 2.32
5 다래나무 Actinidia arguta 10 0.4 1.52
6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90 1.8 1.91
7 잔대 Adenophora triphylla 20 0.6 2.65
8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40 1.5 1.11
9 영양부추 Allium anisopodium 10 0.4 5.24
10 산마늘 Allium microdictyon 10 0.4 1.87
11 두메부추 Allium senescens 60 0.5 2.44
12 산오리나무 Alnus sibirica Fisch 20 0.5 2.08
13 비름 Amaranthus mangostanys 60 0.5 2.32
14 강활 Angelica koreana 10 0.3 0.60
15 묏미나리 Angelica miqueliana 20 0.7 3.01
16 독활 Aralia cordata 20 0.8 4.87
17 두릅 Aralia elata 20 0.5 4.10
18 참쑥 Artemisia dubia 10 0.3 0.82
19 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20 0.5 2.23
20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30 1.5 5.10
21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20 0.7 1.84
22 참취 Aster scaber 20 0.7 2.13
23 개미취 Aster tataricus 30 0.5 2.05
24 개병풍 Astilboides tabularis 10 0.7 1.23
25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10 0.4 1.54
26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10 0.4 1.80
27 삽주 Atractylodes ovata 30 0.9 1.03
28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20 0.5 4.02
29 섬초롱꽃 Campanula punctata 20 0.6 2.93
30 담배풀 Carpesium abrotanoides 10 0.4 0.85
31 엉겅퀴 Cirsium japonicum 35 1.5 3.75
32 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30 1 5.23
33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30 3 3.46
34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20 0.5 3.73
35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31 0.9 4.64
36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90 0.5 4.60
37 만삼 Codonopsis pilosula 10 0.5 1.49
38 까치고들빼기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11 0.9 0.41
39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 10 0.4 1.17
40 윤판나물 Disporum uniflorum 20 0.7 2.82
41 섬바디 Dystaenia takesimana 20 0.7 5.20
42 오갈피나무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20 0.7 3.00
43 속새 Equisetum hyemale 20 0.4 1.27
44 개망초 Erigeron annuus 526 1.5 4.22
45 망초 Erigeron canadensis 153 1.8 3.52
46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20 0.5 3.50
47 벌개미취 Gymnaster koraiensis 60 2.1 10.18
48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20 0.5 2.62
49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 20 0.5 0.94
50 비비추 Hosta longipes 30 0.8 6.14
51 옥잠화 Hosta plantaginea 20 0.5 4.79
52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21 2.7 1.32
53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24 0.9 2.86
54 물봉선 Impatiens textori 13 0.9 0.45
55 음나무 Kalopanax pictus 30 0.8 7.34
56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20 0.5 2.39
57 활량나물 Lathyrus humilis 39 1.5 3.36
58 곰취 Ligularia fischeri(Ledeb.) Turcz. 20 0.7 2.46
59 한대리곰취 Ligularia fischerivar. spiciformis Nakai 20 0.5 2.11
60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38 1.5 2.03
61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 10 0.4 0.33
62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10 0.3 2.21
63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10 0.3 2.21
64 털부처꽃 Lythrum salicaria 20 0.4 1.89
65 박하 Mentha arvensis 10 0.3 0.97
66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22 0.9 2.34
67 돌단풍 Mukdenia rossii 30 0.7 1.11
68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38 1.5 2.59
69 야산고비 Onoclea sensibilis 20 0.5 1.68
70 고비 Osmunda japonica 30 0.9 5.43
71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15 1.8 0.74
72 마타리 Patrinia scabiosaefolia 20 0.7 2.99
73 자소 Perilla frutescens 20 0.5 2.20
74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20 0.7 1.32
75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10 0.2 2.09
76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10 0.5 0.90
77 꽈리 Physalis alkekengi 20 1.5 2.85
78 질경이 Plantago asiatica 10 0.5 1.56
79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90 2.4 10.91
80 누룩치 Pleurospermum camtschaticum 10 0.45 7.98
81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20 1.5 0.73
82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20 0.5 2.36
83 대황 Rheum undulatum 10 0.9 1.02
84 개옻나무 Rhus trichocarpa 39 0.9 8.94
85 옻나무 Rhus verniciflua 20 0.4 0.38
86 찔레 Rosa multiflora 18 0.9 0.86
87 소리쟁이 Rumex crispus 10 0.5 1.84
88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20 0.5 2.78
89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20 0.4 2.91
90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20 0.5 1.23
91 개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Turcz.) Baill 20 0.5 3.97
92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10 0.4 1.79
93 돌나물 Sedum sarmentosum 80 0.9 1.72
94 밀나물 Smilax riparia 28 0.9 2.53
95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aurea 20 0.4 3.10
96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30 0.5 2.92
97 컴프리 Symphytum officinale 20 0.5 2.37
98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42 1.8 3.15
99 수리취 Synurus deltoides 16 0.9 1.47
100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10 0.5 1.41
101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30 0.8 3.70
102 측백 Thuja orientalis 20 0.4 0.43
103 박새 Veratrum oxysepalum 30 0.4 1.37
104 나비나물 Vicia unijuga 20 0.3 3.11
105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10 0.2 0.75
106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40 1.5 3.71
<실시예 3> 자생 식물 추출물의 rhAKR1B10 활성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자생 식물 추출물들이 rhAKR1B10 억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rhAKR1B10 단백질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과 반응시켰을 때의 NADPH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 ㎍/ml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반응용액(0.1 M potassium phosphate/pH 7.0, 10 mM DL-glyceraldehyde, 0.16 mM NADPH 및 1μM rhAKR1B10 함유)을 96웰-마이크로 플레이트에 200 μl씩 분주한 뒤 마이크로리더기(Biorad, 미국)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5분간 1분 간격으로 NADPH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1분 동안의 흡광도 변화량을 토대로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rhAKR1B10 활성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09007391-appb-M000001
106종의 자생 식물 중에서 상기 자생 식물의 추출물이 rhAKR1B10의 효소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것은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섬쑥부쟁이(Aster glehni), 참취(Aster scaber),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속새(Equisetum hyemale),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곰취(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옻나무(Rhus verniciflua), 찔레(Rosa multiflora) 및 측백(Thuja orientalis)의 18종 이었다. 상기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번호 식물명 학명 rhAKR1B10억제율(%)*
1 톱풀 Achillea alpina 31.28
2 우슬 Achyranthes japonica 30.57
3 진범 Aconitum pseudolaeve 33.31
4 창포 Acorus calamus 40.90
5 다래나무 Actinidia arguta 29.75
6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43.09
7 잔대 Adenophora triphylla 26.82
8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23.25
9 영양부추 Allium anisopodium 19.95
10 산마늘 Allium microdictyon 14.97
11 두메부추 Allium senescens 30.44
12 산오리나무 Alnus sibirica Fisch 37.14
13 비름 Amaranthus mangostanys 21.05
14 강활 Angelica koreana 38.44
15 묏미나리 Angelica miqueliana 35.07
16 독활 Aralia cordata 56.78
17 두릅 Aralia elata 39.97
18 참쑥 Artemisia dubia 43.11
19 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38.42
20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15.34
21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57.44
22 참취 Aster scaber 58.07
23 개미취 Aster tataricus 48.76
24 개병풍 Astilboides tabularis 59.81
25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48.42
26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39.03
27 삽주 Atractylodes ovata 20.58
28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37.83
29 섬초롱꽃 Campanula punctata 27.50
30 담배풀 Carpesium abrotanoides 59.53
31 엉겅퀴 Cirsium japonicum 48.58
32 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38.14
33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27.23
34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12.84
35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36.05
36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12.71
37 만삼 Codonopsis pilosula 42.40
38 까치고들빼기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43.26
39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 27.30
40 윤판나물 Disporum uniflorum 31.95
41 섬바디 Dystaenia takesimana 33.57
42 오갈피나무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44.31
43 속새 Equisetum hyemale 63.12
44 개망초 Erigeron annuus 45.25
45 망초 Erigeron canadensis 63.77
46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39.06
47 벌개미취 Gymnaster koraiensis 56.87
48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43.47
49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 37.57
50 비비추 Hosta longipes 31.92
51 옥잠화 Hosta plantaginea 31.80
52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37.38
53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37.24
54 물봉선 Impatiens textori 44.53
55 음나무 Kalopanax pictus 41.80
56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31.63
57 활량나물 Lathyrus humilis 43.49
58 곰취 Ligularia fischeri(Ledeb.) Turcz. 55.52
59 한대리곰취 Ligularia fischerivar. spiciformis Nakai 72.22
60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37.56
61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 36.44
62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35.67
63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45.56
64 털부처꽃 Lythrum salicaria 62.98
65 박하 Mentha arvensis 35.79
66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37.86
67 돌단풍 Mukdenia rossii 42.25
68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71.22
69 야산고비 Onoclea sensibilis 34.52
70 고비 Osmunda japonica 15.13
71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36.89
72 마타리 Patrinia scabiosaefolia 40.21
73 자소 Perilla frutescens 47.90
74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22.06
75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20.37
76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34.15
77 꽈리 Physalis alkekengi 27.15
78 질경이 Plantago asiatica 30.18
79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32.65
80 누룩치 Pleurospermum camtschaticum 24.48
81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31.85
82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37.87
83 대황 Rheum undulatum 60.20
84 개옻나무 Rhus trichocarpa 80.86
85 옻나무 Rhus verniciflua 61.31
86 찔레 Rosa multiflora 68.97
87 소리쟁이 Rumex crispus 43.99
88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37.59
89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5.84
90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33.70
91 개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Turcz.) Baill 44.88
92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40.06
93 돌나물 Sedum sarmentosum 37.69
94 밀나물 Smilax riparia 45.54
95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aurea 44.34
96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40.23
97 컴프리 Symphytum officinale 46.56
98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38.07
99 수리취 Synurus deltoides 42.46
100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33.00
101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26.79
102 측백 Thuja orientalis 83.18
103 박새 Veratrum oxysepalum 46.96
104 나비나물 Vicia unijuga 39.86
105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48.71
106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38.86
<실시예 4> rhAKR1B10 효소 활성을 50% 이상 저해하는 식물 추출물의 IC50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선별한 18종의 식물 중 rhAKR1B10 효소 활성을 50% 이상 저해하는 식물 추출물의 농도인 IC50은 식물 추출물의 0.625, 1.25, 2.5, 5, 10 및 20 ㎍/ml에서 rhAKR1B10 억제율을 측정하여 최소자승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멸가치, 독활, 섬쑥부쟁이, 참취, 개병풍, 담배풀, 속새, 망초, 벌개미취, 곰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옻나무, 찔레 및 측백 추출물의 IC50은 각각 3.45, 3.59, 3.47, 3.63, 5.13, 9.40, 9.87, 5.50, 6.28, 4.79, 2.94, 4.62, 7.01, 5.50, 1.96, 3.48, 9.98 및 3.79 ㎍/㎖이었다.
<제조예 1>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1-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48 ~ 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1-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 ~ 76.76 %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24 ~ 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1-3> 캔디의 제조
설탕 50 ~ 60 %
물엿 39.26 ~ 49.66 %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24 ~ 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1-4> 밀가루 식품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1-5>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산제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환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2-5> 과립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3> 사료첨가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을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1 ~ 1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 1 ~ 20% 중량부,
비타민 E: 0.01 ~ 0.1% 중량부,
효소 분말: 1 ~ 10% 중량부,
145유산균: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 20 ~ 90% 중량부.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억제제, 암 예방 또는 치료제,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또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95%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암세포의 AKR1B10 효소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항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 식품.
  9.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1.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AKR1B10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KR1B10의 활성 억제 방법.
  12.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에 걸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
  13.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방법.
  14.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
  15.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
  16.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
  17.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도.
PCT/KR2009/007391 2009-11-02 2009-12-10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05284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50A KR101135576B1 (ko) 2009-11-02 2009-11-02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9-0104950 2009-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2846A1 true WO2011052846A1 (ko) 2011-05-05

Family

ID=439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391 WO2011052846A1 (ko) 2009-11-02 2009-12-10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5576B1 (ko)
WO (1) WO20110528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6193A (zh) * 2011-07-23 2012-02-08 吉林大学 Akr1b10基因蛋白作为乳腺癌诊断标志物和药物靶标
CN114835780A (zh) * 2022-06-29 2022-08-02 中国农业大学 辣椒籽分离的寡肽medei及其在预防或治疗癌症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80B1 (ko) * 2011-12-28 2014-09-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삼나물 추출물 또는 아룬신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에폽토시스 유도제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37634B1 (ko) * 2012-03-21 2014-09-15 대한민국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23044B1 (ko) * 2012-07-09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702775B1 (ko) 2015-10-08 2017-02-06 보사모영농조합법인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9639B1 (ko) * 2017-01-18 2018-06-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병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022516A2 (ko) * 2017-07-28 2019-01-31 한남바이오 주식회사 셀레늄을 함유하는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6310B1 (ko) * 2017-11-21 2019-08-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7365B1 (ko) * 2017-12-14 2019-10-01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02156701B1 (ko) * 2018-03-29 2020-09-16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113140B1 (ko) 2018-05-10 2020-05-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및 도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1169B1 (ko) * 2018-06-22 2021-04-1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8761B1 (ko) * 2018-08-22 2019-05-15 (주)휴벳 반려동물용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5904B1 (ko) * 2019-06-18 2021-09-01 강원도 개병풍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9781B1 (ko) * 2019-10-17 2021-06-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기린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WO2022154602A1 (ko) * 2021-01-15 2022-07-21 주식회사 피프틴디그리즈 곰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KR20230044675A (ko) 2021-09-27 2023-04-0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찔레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18268A (ko) 2022-02-04 2023-08-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762B1 (ko) * 1996-10-29 1999-09-15 이승기 에모딘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100242240B1 (ko) * 1997-04-24 2000-03-02 박호군 담배풀로부터 신생혈관 유도현상을 억제하는 세스큐터핀 락톤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257448B1 (ko) *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829083B1 (ko) * 2006-07-28 2008-05-1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갖는 애기달맞이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026A (ko) * 2001-06-15 2005-03-07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이상으로부터발생하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080050794A (ko) * 2006-12-04 2008-06-10 장용훈 복합 생약 추출물(ms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99377B1 (ko) * 2007-06-27 2009-05-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762B1 (ko) * 1996-10-29 1999-09-15 이승기 에모딘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100242240B1 (ko) * 1997-04-24 2000-03-02 박호군 담배풀로부터 신생혈관 유도현상을 억제하는 세스큐터핀 락톤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257448B1 (ko) *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829083B1 (ko) * 2006-07-28 2008-05-1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갖는 애기달맞이 추출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6193A (zh) * 2011-07-23 2012-02-08 吉林大学 Akr1b10基因蛋白作为乳腺癌诊断标志物和药物靶标
CN114835780A (zh) * 2022-06-29 2022-08-02 中国农业大学 辣椒籽分离的寡肽medei及其在预防或治疗癌症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236A (ko) 2011-05-11
KR101135576B1 (ko) 201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2846A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WO2012033378A2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1612051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0566A2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6911A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282371B1 (ko) 자색고구마 추출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 생성 및 축적 저해용 조성물
KR101510673B1 (ko) 인삼 사포닌의 장내 세균 대사 억제용 조성물
KR20150026972A (ko)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83328A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73801A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96487B1 (ko)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078365B1 (ko)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4016B1 (ko) 포공영, 어성초, 금은화, 몰약, 위령선, 택사, 목통, 차전자, 유근피, 죽엽, 결명자, 당귀,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8970A (ko) 황금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110107783A (ko) 개옻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509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509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