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911A -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911A
KR20110126911A KR1020100046430A KR20100046430A KR20110126911A KR 20110126911 A KR20110126911 A KR 20110126911A KR 1020100046430 A KR1020100046430 A KR 1020100046430A KR 20100046430 A KR20100046430 A KR 20100046430A KR 20110126911 A KR20110126911 A KR 2011012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thyl acetate
extract
hexa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032B1 (ko
Inventor
노주원
강경수
판철호
김상민
이샛별
유지혜
정상훈
이은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0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s, fractions and gymnasterkoreayne B of Gymnaster koraiensis for the hepatoprotection}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질환은 모든 연령에서 발병 가능하며,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질환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감염, 약물 과다복용, 알코올 과다 섭취, 자가 면역 질환 및 대사성 질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간 손상(liver injury) 혹은 간 독성(liver toxicity)의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섭취, 약물 과다 복용에 의해 나타난다. 현재 약 1000여 종의 약물이 간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신약 개발단계에서 간 독성은 약물 승인이 거절되는 가장 주요한 원인이다(Girish and Pradhan, 2008, Fundamental & Clinical Pharmacology, 22:623-632; Negi et al ., 2008, Medicinal Research Reviews, 28: 746-772).
현대의학에서도 여전히 간질환의 치료 방법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례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나 인터페론(interferon)을 이용한 치료의 경우 그 효용성이 일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부작용과 비용이 매우 비싼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천연물 특히 식물을 이용한 간 보호(hepatoprotection) 방법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때 대부분 여러 가지 성분이 복합되어 있는 추출물 형태로 이용하는데, 활성성분을 화학합성법에 의해 만들 때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이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으며, 여러 가지 복합 성분이 효능의 시너지 효과(synergistic effect)를 나타내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간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약초로 만든 약(herbal medicine)을 이용하는 방법은 특히 동양에서 오랜 전통이 있다. 현재 시판되는 식물유래 간 보호 소재로는 헛개나무, 밀크씨슬(Silybum marinum), 감초 뿌리 등을 들 수 있다(Girish and Pradhan, 2008, Fundamental & Clinical Pharmacology, 22:623-632).
벌개미취는 국화과 개미취 속(자원 속)에 속하는 낙엽성 여러해살이 풀이다. 학명(Gymnaster koraiensis , Aster koraiensis Nakai)에서 보듯이 한국 특산식물로서 영명 역시 Korean daisy(Korean Starwort)라 불리며, 별개미취, 고려쑥부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기도 이남의 산과 들의 물기가 있는 곳에 분포하며, 특히 강원도에 많은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키는 50~60cm, 꽃대까지 칠 경우 1m 내외이고, 옆으로 벋는 뿌리줄기에서 원줄기가 곧게 자라고, 홈과 줄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두상화(頭狀花)는 연한 자주색, 연한 보라색이며 지름 4∼5 cm로서 줄기와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벌개미취는 인공적으로 대량번식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뛰어나며, 뿌리가 대단히 튼튼하고 성장이 왕성하여 노출된 절개 사면, 척박지 등에 식재하면 토양고정 능력이 뛰어나 토사유출 방지 효과가 크다. 그래서 현재 각 지방 자치 단체의 사방공사용 소재, 도로 주변의 화단 식재용 소재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벌개미취의 어린순은 나물로 하거나 국에 넣어 먹었으며, 뿌리는 자원(紫苑)이라 하여 생약으로 쓰이며 천식, 풍한, 해수, 천식, 소변 불통 등에 처방되는(이유미, 2003, 한국의 야생화, 다른세상, 319-323) 등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소재이다.
상기 벌개미취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다음과 같다.
벌개미취의 추출물은 체내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과 연관된 효소인 cholesterol acyltransferase(ACAT) 저해 효과(Hyun JJ, natural Product Sciences , 15(2), 110-113, 2009), 진해제(鎭咳劑)와 항균활성(Ahn, D. K.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Co., 607, 1998) 또한 백혈병을 일으키는 암세포인 L1210에 대한 강력한 세포독성에 관한 논문이 보고되었다(Bae KH,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01, 56-61, 199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45469호에서는 벌개미취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및 알도즈 환원 효소의 활성화로 기인 되는 당뇨합병증 즉, 당뇨성 망막 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의 방지 및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시하였다.
또한,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은 암 예방 지표효소인 퀴논 리덕타제의 활성을 유도하여 암을 예방 활성에 대하여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에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간 보호 활성에 관한 보고는 전혀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 자생하는 산채류 식물을 대상으로 간 보호 활성을 탐색하였으며, 그 중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인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가 간 보호 활성이 있음을 발견하여 이러한 조성물들이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 손상에 대해 보호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간 손상 특히 알코올성 간 손상, 약물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하여 보호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어린순 및 성체)의 산화적 스트레스(t-BH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개미취 분획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의 약물(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개미취 분획물의 약물(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는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벌개미취는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개미취는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어린순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 추출시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벌개미취 건조 중량의 2 내지 30배로 함이 바람직하고, 20배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 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의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7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일 내지 7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벌개미취 분획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물에 현탁 시킨 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벌개미취 분획물은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벌개미취의 건조물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에탄올을 넣고 용액을 끓이며 환류 추출한 후, 일정시간 방치한 다음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 적으로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또는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리한 단일화합물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시판되는 것을 이용하거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벌개미취 분획물로부터 분리하거나, 유기화학적 합성법으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써 하기의 단계 1 내지 3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벌개미취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물에 현탁 시킨 후, 유출 용매로 헥산/초산에틸(10:1(v/v)), 헥산/초산에틸(5:1(v/v)), 헥산/초산에틸(2:1(v/v)), 헥산/초산에틸(1:1(v/v)), 초산에틸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벌개미취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분획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1은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알코올은 C1~C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넣고 용액을 끓이며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벌개미취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수회 이상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을 일정시간 방치한 다음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헥산/초산에틸, 초산에틸 및 메탄올로 분획하여 벌개미취 분획물을 얻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을 물에 현탁 시킨 후 유출 용매로 헥산/초산에틸(10:1(v/v)), 헥산/초산에틸(5:1(v/v)), 헥산/초산에틸(2:1(v/v)), 헥산/초산에틸(1:1(v/v)), 초산에틸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의 에탄올 추출물 5.8g을 C-18 역상 수지로 충진 된 감압 컬럼 크로마트그래피를 이용하여 6개의 분획물로 나누었으며, 용리 조건은 헥산/초산에틸(10:1(v/v)) 400 mL로 시작하여 헥산/초산에틸(5:1(v/v)) 400 mL, 헥산/초산에틸(2:1(v/v)) 400 mL, 헥산/초산에틸(1:1(v/v)) 400 mL, 초산에틸 400 mL 및 메탄올 400 mL를 유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벌개미취 분획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은 65% 아세토니트릴/물을 유출용매로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단계 2로부터 얻은 분획물들 중 헥산/초산에틸(5:1) 분획 및 헥산/초산에틸(2:1) 분획을 합하여 400 mg의 분획물 중 200mg을 상기 단계 3에 적용하여 4종의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라세미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산 수용액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하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 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의 간 보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를 이용하였다. 다양한 간 독성 유발물질을 처리하여 간 손상을 유발시키면 간세포의 사멸이 일어나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함으로써 이러한 간세포의 사멸효과가 얼마나 보호되는지 측정하였다.
먼저, 강력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tert-butyl hydroperoxide(t-BHP)에 의해 유도된 간세포 사멸효과에 대한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t-BHP를 200 μM 농도로 24 시간 처리 시 세포는 약 40-50% 정도만이 생존할 수 있었는데,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을 두 시간 정도 전처리할 경우에는 이러한 간세포가 50-85% 정도로 명백히 보호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추출물의 경우 성체보다는 어린순이 효과가 더 강력하게 나타났으며, 분획물의 경우 n-헥산, n-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약간의 세포사멸 효과가 있어서 10㎍/mL의 저 농도에서만 보호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물 분획물은 60-85%로 강력한 간 보호 활성을 나타냈다(도 1-2 참조).
두 번째로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아세트아미노펜을 40m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 시 간암세포(HepG2)는 오직 30% 정도만 생존할 수 있었는데,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24 시간 전처리 시 50% 이상 세포 사멸효과가 명백히 감소함을 확인했다(도 3-4 참조).
마지막으로, 과도한 알코올 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간암세포(HepG2)에 제1상 해독효소 CYP2E1이 과 발현되는 형질전환 세포주를 제작하였는데, CYP2E1이 과 발현되는 세포주는 에탄올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알코올성 간 손상 실험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험결과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 모두 알코올에 의한 세포사멸효과를 억제함을 확인했다(도 5-6 참조).
상기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산화적 스트레스, 약물손상, 알코올성 손상에 의한 간세포 사멸효과를 명백히 억제하여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약물에 의한 간 손상, 알코올성 간 손상 모두에 명백한 간 보호 효과 또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여러 가지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을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 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나, 전신 투여가 더 바람직하며, 정맥 내 투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 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또는 간기능 개선용을 목적으로 벌개미취 추출물, 벌개미취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간 손상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약물에 의한 간 손상, 알코올성 간 손상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벌개미취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벌개미취는 4월 중순(어린순)과 8월 중순(성체)에 강원도 평창 등지에서 채집하였다. 건조된 벌개미취를 세절한 후 180 g에 2 L의 에탄올을 가하고 3시간 동안 가온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남은 잔사에 다시 2 L의 에탄올을 가하고 3시간 동안 가온 환류 추출하는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여 총 추출액 6 L를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 6 L를 35 ℃에서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 8.5 g을 수득하였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으며, 그 결과 n-헥산 분획물(0.94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74g), n-부탄올 분획물(1.86g) 및 물 분획물(2.2g)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추출물과 분획물은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인 후, 하기 실험에 이용했다.
< 실시예 2>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벌개미취의 에탄올 추출물 5.8g을 85g의 C-18 역상 수지로 충진 된 감압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여섯 개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용리 조건은 헥산과 초산에틸 및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헥산/초산에틸(10:1(v/v)) 400 mL로 시작하여 헥산/초산에틸(5:1(v/v)) 400 mL, 헥산/초산에틸(2:1(v/v)) 400 mL, 헥산/초산에틸(1:1(v/v)) 400 mL, 초산에틸 400 mL 및 메탄올 400 mL를 유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수득한 분획물들 중 헥산/초산에틸(5:1) 분획물 및 헥산/초산에틸(2:1) 분획물을 합하여 400 mg의 혼합 분획물을 제조하였고, 이 혼합 분획물 중 200mg으로 65% 아세토니트릴/물을 유출용매로 사용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컬럼 21 mm × 250 mm; 유속 10 mL/min) 주성분을 분리한 결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9mg)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들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NMR 분석 및 질량 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자량 및 분자식은 Agilent 1100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HPLC-ESI-MS)를 이용한 MS 측정을 통하여 결정하였으며, 핵자기공명기(Varian 500㎒ NMR)를 이용한 1H, 13C-NMR 스펙트럼(spectrum)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동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
미황색 액상 화합물;
분자식 C17H22O2; UV λmax 200, 237, 251, 266 nm; ESI-MS m/z 281 [M+Na]+;
1H NMR(500 MHz, CDCl3) δ 5.81(1H, ddt, J = 17.0, 10.5, 7.0 Hz, H-2), 5.62(1H, dtd, J = 10.0, 7.5, 1.0 Hz, H-8), 5.51(1H, ddt, J = 10.0, 8.5, 1.5 Hz, H-9), 5.19(1H, br d, J = 8.5 Hz, H-10), 5.01(1H, ddt, J = 17.0, 2.0, 2.0 Hz, H-1 trans ), 4.95(1H, ddt, J = 10.5, 2.0, 1.0 Hz, H-1 cis ), 3.19(1H, qd, J = 5.0, 2.0 Hz, H-16), 3.13(1H, d, J = 2.0 Hz, H-15), 2.12(2H, dtd, J = 7.0, 7.0, 1.0 Hz, H2-7), 2.05(2H, dt br t J =7.0, 7.0, 1.0 Hz, H2-3), 1.85(1H, br s, 10-OH), 1.37-1.42(4H, m, H2-4, H2-6), 1.31-1.35(2H, m, H2-5), 1.35(3H, d, J = 5.0 Hz, H-17).
< 실험예 1>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과 분획물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 tert -butyl hydroperoxide )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검증
본 발명의 벌개미취가 가지는 간 보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American Type of Cell Culture, ATCC)가 사용되었다. HepG2 세포주는 10% 우태혈청(FBS; fetal bovine serum)과 항생제(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유지했다. 96-웰 플레이트에 10,000 cell/well의 농도로 시딩(seeding)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이후 FBS가 제거된 DMEM배지에 각각 벌개미취 추출물 및 분획물(10-80μg/ml)을 함유시켜 2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실리마린(10μg/ml) 처리군도 설정하였다. 이후 생리완충용액(DPBS;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한 다음, FBS가 제거된 DMEM배지에 200μM t-BHP를 함유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간 손상 즉, 세포사멸을 유발했다. 배양 종료 후 MTT assay를 통해 간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는 도 1-2 및 표 1-2 에 나타냈다.
벌개미취 추출물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t - BHP )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구분 처리 농도(㎍/mL) 간 세포 생존율(%)

벌개미취 어린순 추출물
10 78.6±7.7
20 81.9±13.6
40 84.8±9.3
80 85.1±2.4

벌개미취 성체 추출물
10 49.2±11.9
20 61.2±11.9
40 73.9±7.0
80 81.5±9.5
t-BHP - 48.6±10.7
실리마린 - 36.3±11.6
대조군 - 100±7.2
벌개미취 분획물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구분 처리 농도(㎍/mL) 간 세포 생존율(%)

n-헥산
분획물
10 54.4±19.6
20 16.8±11.8
40 3.3±0.6
80 3.5±0.7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 64.5±5.0
20 82.0±3.9
40 71.8±8.2
80 43.7±5.7

부탄올
분획물
10 48.0±7.1
20 32.5±0.5
40 0.1±0.9
80 2.1±0.6


분획물
10 61.4±7.0
20 72.6±2.3
40 78.9±8.0
80 83.7±8.9
t-BHP - 44.4±10.1
실리마린 - 42.4±9.8
대조군 - 100±2.9
도 1 및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결과 간 손상을 위해 t-BHP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간세포 생존율이 48.6%에 지나지 않았으나, 벌개미취의 어린순 추출물과 성체 추출물을 투여한 후에는 간세포 생존율이 49.2-85.1% 정도로 상승함으로써 t-BH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벌개미취 어린순 추출물은 78.6-85.1%의 간세포 생존율을 나타냄으로써 벌개미취 성체 추출물 49.2-81.5% 보다 강력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했다.
또한 도 2 및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벌개미취의 분획물에 있어서, 에틸아세테이트, 물 분획물은 각각 43.7-82.0% 및 61.4-83.7%을 나타냄으로써 t-BH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하여 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간 손상에 대하여 간 보호 또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이 가지는 약물( 아세트아미노펜 )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검증
다음으로 본 발명에 조성물이 가지는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검증했다. 이때 약물은 아세트아미노펜을 이용했다. 96-웰 플레이트에 10,000 cell/well의 농도로 시딩(seeding)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이후 DMEM배지에 각각 벌개미취 추출물 및 분획물(5-40μg/ml),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5-40μM)를 함유시켜 24시간 동안 전처리했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설포라판(5μM) 처리군도 설정했다. 이후 생리완충용액(DPBS;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40mM 아세트아미노펜을 함유하는 DMEM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약물에 의한 간 손상 즉, 세포사멸을 유발했다. 배양 종료 후 MTT assay를 통해 간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3-4 및 표 3-4 에 나타냈다.
벌개미취 추출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단일화합물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가 가지는 약물( 아세트아미노펜 )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구분 처리 농도(㎍/mL) 간 세포 생존율(%)

벌개미취 추출물
5 79.2±7.1
10 109.3±10.8
20 55.0±3.8
40 21.9±7.9

짐나스테르-
코리아인 B
5 67.2±1.9
10 75.8±5.8
20 97.2±7.9
40 9.1±1.9
아세트아미노펜 - 33.5±2.9
설포라판 - 82.6±5.6
대조군 - 100±4.6
벌개미취 분획물이 가지는 약물( 아세트아미노펜 )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구분 처리 농도 (㎍/mL) 간 세포 생존율(%)

헥산
분획물
5 79.0±10.2
10 54.7±1.4
20 2.7±0.4
40 3.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95.9±10.7
10 79.3±8.5
20 20.0±2.5
40 3.2±0.9

부탄올
분획물
5 38.6±1.6
10 48.2±1.7
20 38.0±1.0
40 9.0±2.5


분획물
5 34.0±2.4
10 33.6±1.9
20 48.1±4.3
40 49.0±4.0
아세트아미노펜 - 26.9±1.1
설포라판 - 67.0±8.3
대조군 - 100±6.3
도 3 및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결과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간 손상을 위해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간세포 생존율이 33.5%에 지나지 않았으나, 벌개미취의 추출물은 5-20μg/ml 농도에서 55.0-79.2%로 상승함으로써 약물에 대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했으며,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도 5-20μM 농도에서 67.2-97.2%로 약물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하여 명백한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벌개미취 분획물에 있어서, 49.0-95.9%로 아세트아미노펜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및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간 보호 또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이 가지는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검증
본 발명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과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특별한 세포 시스템이 사용했다. 사람의 간암세포주(HepG2)에 CYP2E1유전자를 과 발현시킨 세포주를 본 연구팀에서 제작했다. 이러한 세포주를 사용 시 에탄올에 대한 감수성이 커지기 때문에 알코올성 간 손상 검증에 사용되기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형질 전환된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5000 cell/well의 농도로 시딩(seeding)하고 24시간 후에 에탄올 250-500 mM을 처리하여 간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추출물, 분획물(3.125 ~ 25.000 ㎍/㎖)과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20 μM)를 에탄올과 함께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했다. 배양 종료 후 MTT assay를 통해 간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5-6 및 표 5-6 에 나타냈다.
벌개미취 추출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단일화합물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가 가지는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구분 에탄올 처리유무 처리 농도(㎍/mL) 세포생존율(%)


벌개미취 추출물
+ 0 68±0.54
+ 3.125 86.76±12.96
+ 6.25 92.67±12.47
+ 12.5 100.47±13.48
+ 25 100.62±16.13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 - 122.40±20.99
control - - 100±0.69
벌개미취 분획물이 가지는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
구분 에탄올 처리유무 처리 농도 (㎍/mL) 간세포생존율(%)
+ 0 80.27±7.56
벌개미취 추출물 +

3.125
95.88±7.81
헥산 분획물 + 90.46±5.6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 87.72±2.93
부탄올 분획물 + 64.20±1.64
물 분획물 + 87.46±12.14
control - - 100±4.74
도 5및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위해 고농도의 에탄올을 처리하여 간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여 세포를 사멸시켜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화합물을 처리한 결과, 각각의 간 세포 생존율이 86.8% 이상으로써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및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벌개미취의 추출물과 분획물에 있어서, 간 세포 생존율이 87.5%이상으로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하여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우수하므로 간 보호용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벌개미취 분획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벌개미취 분획물 또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50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제조예2 : 건강식품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3: 건강 음료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4: 기타 건강식품의 제조
4-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0.48~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4-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76.76 %
벌개미취 분획물 0.24~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4-3. 캔디의 제조
설탕 50~60 %
물엿 39.26~49.66 %
벌개미취 분획물 0.24~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4-4. 밀가루 식품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5.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6.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 시켜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벌개미취 분획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현미 30 %
율무 15 %
보리 20 %
들깨 7 %
검정콩 7 %
검은깨 7 %
벌개미취 분획물 3 %
영지 0.5 %
지황 0.5 %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인 벌개미취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뚜렷한 간 보호 활성 즉, 더욱 자세하게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약물의 과용으로 인한 간 손상,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하여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벌개미취는 산나물로서 식용 가능한 소재로 부작용 면에서 안전한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가지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로써, 간 보호용 치료제, 예방제, 보조제로 개발될 수 있으며, 또한 건강기능 식품의 원료로써, 다양한 종류의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련 제약사 및 식품회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36)

  1.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4.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제1항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제5항의 벌개미취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9. 제7항의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벌개미취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물에 현탁 시킨 후, 유출 용매로 헥산/초산에틸(10:1(v/v)), 헥산/초산에틸(5:1(v/v)), 헥산/초산에틸(2:1(v/v)), 헥산/초산에틸(1:1(v/v)), 초산에틸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벌개미취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분획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10.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3.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제10항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제14항의 벌개미취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8. 제16항의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벌개미취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물에 현탁 시킨 후, 유출 용매로 헥산/초산에틸(10:1(v/v)), 헥산/초산에틸(5:1(v/v)), 헥산/초산에틸(2:1(v/v)), 헥산/초산에틸(1:1(v/v)), 초산에틸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벌개미취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분획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9.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2.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제19항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제23항의 벌개미취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7. 제25항의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벌개미취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물에 현탁 시킨 후, 유출 용매로 헥산/초산에틸(10:1(v/v)), 헥산/초산에틸(5:1(v/v)), 헥산/초산에틸(2:1(v/v)), 헥산/초산에틸(1:1(v/v)), 초산에틸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벌개미취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분획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8.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1.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제28항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제32항의 벌개미취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6. 제34항의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은 벌개미취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벌개미취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유출 용매로 헥산/초산에틸(10:1(v/v)), 헥산/초산에틸(5:1(v/v)), 헥산/초산에틸(2:1(v/v)), 헥산/초산에틸(1:1(v/v)), 초산에틸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벌개미취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분획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00046430A 2010-05-18 2010-05-18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87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430A KR101187032B1 (ko) 2010-05-18 2010-05-18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430A KR101187032B1 (ko) 2010-05-18 2010-05-18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911A true KR20110126911A (ko) 2011-11-24
KR101187032B1 KR101187032B1 (ko) 2012-09-28

Family

ID=4539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430A KR101187032B1 (ko) 2010-05-18 2010-05-18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494A (ko) * 2017-10-30 2017-1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미취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1133091A1 (ko) * 2019-12-24 2021-07-01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82096A (ko) * 2019-12-24 2021-07-02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999A1 (ko) * 2016-07-08 2018-01-11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13365A1 (ko) * 2017-07-11 2019-0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미취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535526B1 (ko) 2020-12-14 2023-05-24 대한민국 벌개미취에서 분리된 신규한 화합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494A (ko) * 2017-10-30 2017-1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미취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1133091A1 (ko) * 2019-12-24 2021-07-01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82096A (ko) * 2019-12-24 2021-07-02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032B1 (ko) 201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101187032B1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4987B1 (ko)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883992B1 (ko)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90842B1 (ko)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20130133338A (ko) 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10097463A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20060002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3526B1 (ko)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90129016A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CN106028795B (zh) 具有高含量异黄酮衍生物的豆叶或豆茎及其制备方法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20130070616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1112B1 (ko) 두메부추와 곤드레 추출복합물(comple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KR102617383B1 (ko) 석류, 마 및 둥굴레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7824718B2 (en) Extract of Dioscorea opposita thunb showing neuronal cell-protecting activity for treating memory loss
KR102016646B1 (ko) 겹삼잎국화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