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3091A1 -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3091A1
WO2021133091A1 PCT/KR2020/019073 KR2020019073W WO2021133091A1 WO 2021133091 A1 WO2021133091 A1 WO 2021133091A1 KR 2020019073 W KR2020019073 W KR 2020019073W WO 2021133091 A1 WO2021133091 A1 WO 20211330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o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venting
honey 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90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우석훈
강문규
방채영
Original Assignee
(주)메이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802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4927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메이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080088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845725B/zh
Priority to US17/788,757 priority patent/US20230055551A1/en
Publication of WO20211330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30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honey ant odor.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defined as intrahepatic fat deposition in imaging or biopsy without significant alcohol intake, taking drugs that cause fatty liver, or liver disease due to other concomitant causes. These diseases include simple steatosis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While simple fatty liver has a relatively good prognosis,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s a disease that occurs in 10 to 20% of NAFLD patients. It shows inflammation accompanied by hepatocyte damage along with fat deposition in the liver, and cirrhosis in 9-25% of patients. It is a fatal disease in which 30-40% of these patients die from complications of liver disease.
  • 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s the social cos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crease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develop a therapeutic agent, but until now, a therapeutic agen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r progression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has not been developed,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worldwide has not been developed. There are no approved treatments for sexual steatohepatitis, and only off-label drugs that can be selected as a suboptimal option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efficacy for patients exist. 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since various pathological ecology is involv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gener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lone do not show sufficient therapeutic efficacy in actual animal experiments and clinical trials, making it safer and possible to take for a long time.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reatment is growing.
  • Beehive lichen is a deciduous perennial grass belonging to the genus Anteateraceae (genus Resources) of the Asteraceae family.
  • Scientific name ( Gymnaster As seen in koraiensis, Aster koraiensis Nakai), it is also called Korean daisy (Korean Starwort) as a plant endemic to Korea, and is also called daisy (Korean Starwort). It is distributed in the moist areas of the mountains and fields south of Gyeonggi-do, and especially grows in many colonies in Gangwon-do. The height is 50 ⁇ 60cm, and the leaves are extended forward and pointed at the tip.
  • the leaf is 12 ⁇ 19cm long and 1.5 ⁇ 3cm wide, has small saw teeth on the edge of the leaf, and the leaf gets smaller as it rises upward. Flowers bloom from June to October, and the flowers in the upper part are light purple and light purple, and hang one at the end of a stem or branch. The fruit bears with the withered petals attached in November. The length is 4mm and the width is 1.3mm. It is oval and has no hairs.
  • the young shoots of beehive lice are eaten as herbs or put in soups, and the roots are used as herbal medicines because they are called resources, and they are prescribed for asthma, wind and cold, seawater, asthma, and urinary incontinence (Yumi Lee, 2003, Wildflowers in Korea, Another World, 319). -323), etc. It is a safe and harmless material to the human body.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7032 discloses that the extract of honey bee lice protects the liver against liver damage caused by acetaminophen or tert-butyl hydroperoxide or alcoholic liver damage caused by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It has been confirmed to be effectiv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24987 discloses a configuration for adding at least one of a honeysuckle odor extract or a sagittal bread extract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an extract of linseed ivy.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iscovering that beehive lichen extract has efficacy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by inhibiting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liver tissue as well as acting complexly on the improvement of hepatic lobular inflamm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ney ant odor extract ( Gymnaster koraiensis ) as an active ingredient, and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the honey ant odor extract may be an extract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C1-C4 lower alcohols, acetone, ethyl acetate and hexane.
  • the C1-C4 alcohol may be methanol or ethanol.
  • the extract of honey ant odor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the above-ground part including flowers of honey ant odor or extracting flowers of hummingbird odor.
  • beehive odor extract ( Gymnaster koraiensis ) as an active ingredient, and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the honey ant odor extract may be an extract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C1-C4 lower alcohols, acetone, ethyl acetate and hexane.
  • the C1-C4 alcohol may be methanol or ethanol.
  • the extract of honey ant odor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the above-ground part including flowers of honey ant odor or extracting flowers of hummingbird odo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ney ant odor extract ( Gymnaster koraiensis ) as an active ingredient, and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the whole plant may be used for the honey ant lice, and the above-ground parts including young shoots, leaves, stems, branches, flowers and fruits, or roots may be used as parts of the plant.
  • the honey ant od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extract the above-ground part including the flower of the honey ant odor or extract the flower of the honey ant odor, and more preferably the flower of the honey ant odor.
  • the flower extract of honey ant chrysanthemum had an anti-inflammatory effect on mesenchymal cells 3 times better than the extracts of leaves, stems and branches of the above-ground part not including flowers, for example, of honey ant lichen.
  • 'above-ground part including flowers of honey ant lichen' refers to 'including all flowers, leaves, stems and branches of honey ant lichen'.
  • the honey ant odor extract is an extract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C1-C4 lower alcohol, acetone, ethyl acetate and hexane.
  • the C1-C4 lower alcohol may be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or the lik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oney ant odor extract is an extract extracted with methanol or ethanol.
  • the solvent may be extracted by adding 2 to 100 times the weight of the dry weight of honey ants, preferably 2 to 50 times the weight, more preferably 5 to 30 times the weight of the dry weight.
  •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honey ant odor extract is a method using an extraction device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or adsorption including XAD and HP-20
  • an extraction device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or adsorption including XAD and HP-20
  •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in the art such as a method using a resin, may be used, and extraction under reflux or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with heating is prefera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number of the honey ant odor extract is 1 to 5 time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repeat extraction 3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extracted 1 to 5 times by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10°C to 100°C,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at 50°C to 100°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n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hour to 12 hours, and more preferably 2 hours to 8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method for preparing an extract of honeysuckl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omprising the steps of: 1) obtaining a dried product of honeysuckle; 2) adding ethanol to the dried material, extracting under reflux, and then filtering to obtain an ethanol extract; and 3) concentrating the ethanol extract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honey ant odor extract.
  • Fat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which is a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when orally administered the extract obtained from the above preparation method to an animal test model in whic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was induced by autonomous ingestion of a high-fat diet.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inflammation in the liver lobules, as well as inhibiting the balloon degeneration of hepatocytes. In addition, indices such as AST and ALT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a result of hematological evaluation.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oral dosage forms such as jellie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have.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in the honey ant odor extract. ) or lactose, gelatin, etc.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in the honey ant odor extract.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y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 may be used, and systemic or local administration is possible, but systemic administration is more preferable,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is most preferable.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for a desirable effec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0001 to 1 g/kg per day, preferably 0.001 to 200 mg/kg.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ype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 foods to which the above substances can be added include drinks, meat, sausage, bread, biscuits, rice cakes,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vitamin complexes, dairy products, and dairy products and includes all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ordinary sense.
  • the honey ant od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foo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ts use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amount of the extract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added to 0.1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 the abov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extract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a conventional beverage.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tac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about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ney ant od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ants and thicken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the honey ant od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natural fruit juice and pulp for the production of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lthough the proportion of these additives is not so important, i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r fraction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oney ants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can prevent, improve or treat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by inhibiting the accumulation of fat in liver tissue, as well as treating hepatic lobular inflammation and suppressing balloon degeneration. can have an effect.
  • Example 1 is a high-fat diet model in a normal group (normal), a control group (control), Example 1 (MJAK) administration group, Example 2 (MJAK-F) administration group, Example 3 (MJAK-L) administration group,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NAFLD activity score for the 4 (MJAK-S)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Silymarin, Pioglitazone).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steatosis for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the Example 1 to Example 4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the high-fat diet feeding model.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lobular inflammation for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Examples 1 to 4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the high-fat diet feeding model.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ballooning evaluation for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the Examples 1 to 4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the high-fat diet feeding model.
  • FIG. 7 is a diagram evaluating AST and ALT values for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the Example 1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the high fat diet feeding model.
  • Example 2 the above-ground part containing the flower of honey ant odor was prepared by separating the flower part of honey ant odor and the remaining above-ground part not containing the flower of hummingbird into leaves, stem and branch parts of honey ant odor. After washing in water and drying to a moisture content of 9.2% or less, 1 kg each was prepared by shredding, and extra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obtain 32.3 g of a flower extract of honey ant lichen in Example 2 (or ' MJAK-F'), and 170.2 g of extracts of leaves, stems and branches of honeysuckle lice were obtained as Example 3 (or 'MJAK-L').
  • Example 4 the young shoots collected in April 2018 in Asan-si, Chungcheongnam-do were washed thoroughly in water,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9.2% or less, chopped and prepared 1 kg, extra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extra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121.6 g was obtained and used as Example 4 (or 'MJAK-S').
  • a 5-week-old male C57/BL6J mouse (Charles River Laboratories Japan Inc, Japan) was subjected to a temperature of 22 to 25 ° C, a relative humidity of 50 to 60%, a light/dark cycle of 12 hours, and an illumination intensity of 200 to 300 LUX. They were acclimatized for one week in a maintained animal testing facility. Two mice were reared in a polycarbonate box for mice, and general food (Daehan Biolink Co., Ltd., Republic of Korea) and drinking water were ad libitum for one week during the acclimatization period.
  • the normal group was given a general diet (Rodent Diet with 10% kcal fat, Republic of Korea),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honey ant odor extract of Examples 1 to 4 ,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silymarin or pioglitazone were fed a high-fat diet (60% kcal high fat diet, Research Diets Inc. NJ, USA) for 12 weeks.
  • a general diet Rodent Diet with 10% kcal fat, Republic of Korea
  •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honey ant odor extract of Examples 1 to 4
  • the positiv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silymarin or pioglitazone were fed a high-fat diet (60% kcal high fat diet, Research Diets Inc. NJ, USA) for 12 weeks.
  • silymarin and pioglitazone were administered at 200 mg/kg and 10 mg/kg,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reported toxicity and side effects.
  • the norm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0.5% CMC (carboxymethylcellulose) solution, once daily for 84 days, 84 times in the morning from the day of ingestion of the general diet,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0.5% CMC solution from the day of ingestion of the high-fat diet for 84 days.
  • CMC carboxymethylcellulose
  • Examples 1 to 4 administration group and positive control group were 125, 250 and 500 mg/kg of Example 1 in 0.5% CMC solution from the day they ingested a high-fat diet, and Examples 2 to 4 250 mg/kg, silymarin 200 mg/kg, and pioglitazone 10 mg/kg were added and each prepared when used, and administered orally, once daily for 84 days, for a total of 84 times.
  • H&E staining is a staining method that can generally confirm the entire specime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observe the change in cell size due to adipogenesis in liver tissue and fat globules generated between cells, and Oil-red O staining is used in liver tissue. This is to check the amount of fat produced.
  • the isolated liver tissue of the mouse was fixed in 4% paraformaldehyde solution at 4°C for 3 days, then transferred to 30% sucrose solution and stored at 4°C until oil-red O staining.
  • the tissue for H&E (Hematoxylin & Eosin) staining was fixed by immersion in 10% formalin.
  • the tissue for Oil-red O staining was frozen section with a thickness of 10 ⁇ m, fixed on a tissue slide, and then subjected to a dehydration process to perform Oil-red O staining, followed by a dehydration process and then encapsulated.
  • tissue for H&E staining fixed in 10% formalin was sectioned to a thickness of 5 ⁇ m, fixed on a tissue slide, and then stained in the order of hematoxylin solution and eosin solution, followed by dehydration. It was then sealed.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ctivity index (NAFLD activity score: NAS) was quantified and recorded based on the criteria in Table 2.
  • the activity index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evaluation scores for 1) steatosis, 2) lobular inflammation, 3) changes in hepatocyte ballooning, It is widely use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NAS NAFLD activity score
  • Item definition Score Steatosis Low- to medium-power evaluation of parenchymal involvement by steatosis ⁇ 5% 0 5-33%
  • Lobular Inflammation Overall assessment of all inflammatory foci no foci 0 ⁇ 2 foci per 200 ⁇ field One 2-4 foci per 200 ⁇ field 2 >4 foci per 200 ⁇ field 3 Ballooning None 0 Few balloon cells One Many cells/prominent ballooning 2
  • Example 1 As shown in FIG. 1 ,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dex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oncentration-dependen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dex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honey ant odorifera extract (MJAK) of Example 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r the group administered with silymarin or pioglitazone. In the case of the 500 mg/kg administration group of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dex of the normal group was lowered to or less.
  • MJAK honey ant odorifera extract
  • Example 1 As shown in FIG. 2 ,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honey ant odorifera extract of Example 1 was much more effective in suppressing steatosis in the liv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silymarin-administered group, and the pioglitazone-administered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ample 1 administration group,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improvement effect on hepatic lob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the effect of inhibiting balloon degeneration was superior to that of the silymarin or pioglitazone administration group ( FIGS. 3 and 4 ).
  • the above-ground part extract including flowers of Example 1 (MJAK), the flower extract of Example 2 (MJAK-F), and the extract of the leaves, stems and branches of Example 3 (MJAK) -L), in the case of the group administered at 250 mg/kg each of the young shoot extract (MJAK-S) of Example 4,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dex was decreased, and the inhibition of steatosis in the liver tissue, hepatit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inhibiting inflammation, and inhibiting balloon degeneration.
  • the above-ground part extract including the flower of Example 1 or the flower extract of Example 2 is a fatty liver disease index than the extract of leaves, stems and branches of Example 3, or the young shoot extract of the honeysuckle of Example 4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nhibiting steatosis in liver tissue, balloon degeneration, and inflammation in hepatic lobules was up to 3 times more excellent (see FIGS.
  • Example 5 is an observation result of Oil-red O-stained slides, and it was confirmed that large fat globul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tissue in the liver tissue of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size of fat globules was concentration-dependent by administration of Example 1 by concentration. It was observed to decrease with a trend, and in the case of Example 500 mg/kg, it was the same as the liver tissue of the normal group.
  • FIG. 6 is an observation result of the H&E-stained slide, and it is observed that the size of the liver tissue cells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s and fat is generated between them, whereas the hypertrophy of the cells disappears by the administration of Example 1 by concentration and is generated between the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fat was significantly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mice After completion of the high-fat diet feeding test for C57/BL6J mice, the mice were fasted for 12 hours before sacrifice,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collateral aorta of C57/BL6J mice, and serum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to aspartate aminotransfer. It was used for enzyme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nalysis.
  • enzyme aspartate aminotransferase
  •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 AST and ALT of FIG. 7 are blood indicators indicating liver function, and among them, are used as indicators of liver cytotoxicity.
  • AST and ALT increased by about 1.7 times and ALT by about 6.7 tim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whereas the increase in AST and ALT concentrations by the administration of Example 1 (MJAK) by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as been restrained
  • the honey ant odoriferous extract has an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improving and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간 조직내 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간소엽 염증을 치료하고 풍선 변성을 억제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유의한 알콜 섭취, 지방간을 초래하는 약물의 복용, 동반된 다른 원인에 의한 간질환 등이 없으면서 영상검사나 조직검사에서 간 내 지방침착의 소견을 보이는 질환을 일컫는데, 여기에는 단순 지방간(simple steatosis)과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이 포함된다. 단순 지방간은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보이는 반면,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NAFLD 환자 중 10~20%에서 발병되는 질환으로서 간 내 지방침착과 함께 간세포 손상을 동반한 염증을 보이며 9~25%의 환자에서 간경변증이 진행되며 이중 30~40%는 간질환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비알콜성 지방간염에 의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치료제를 개발하려고 노력해왔으나, 현재까지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발생이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치료약제는 개발되지 않았고 전세계적으로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로서 승인된 치료제가 전무하며, 환자에게 안전성과 효능을 고려해 차선책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오프라벨 약물만 존재하는 상황이다. 또한,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경우, 다양한 병리 생태가 관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항산화, 항염증 효능만으로는 실제 동물 실험, 임상시험에서 충분한 치료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보다 안전하고 장기 복용이 가능하면서도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요구는 커지고 있다.
벌개미취는 국화과 개미취 속(자원 속)에 속하는 낙엽성 여러해살이 풀이다. 학명(Gymnaster koraiensis, Aster koraiensis Nakai)에서 보듯이 한국 특산식물로서 영명 역시 Korean daisy(Korean Starwort)라 불리며, 별개미취, 고려쑥부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기도 이남의 산과 들의 물기가 있는 곳에 분포하며, 특히 강원도에 많은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키는 50~60cm이고, 잎은 앞으로 길게 뻗어 나며 끝이 뾰족하다. 잎은 길이 12~19cm, 폭 1.5~3cm 가량이며 잎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고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진다. 꽃은 6월에서 10월까지 피며, 상층부의 꽃은 연한 자주색과 연한 보라색이며 줄기나 가지의 끝에 한 개씩 달린다. 열매는 11월에 시든 꽃잎을 붙인 채 결실하며 길이는 4mm, 너비가 1.3mm 정도로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벌개미취의 어린순은 나물로 하거나 국에 넣어 먹었으며, 뿌리는 자원(紫苑)이라 하여 생약으로 쓰이며 천식, 풍한, 해수, 천식, 소변 불통 등에 처방되는(이유미, 2003, 한국의 야생화, 다른세상, 319-323) 등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소재이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10-1187032호에는 벌개미취 추출물이 아세트아미노펜이나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tert-butyl hydroperoxide)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이나, 고농도의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하여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된 바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2024987호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사위질빵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벌개미취 추출물이 비알콜성 지방간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에 대한 직접적인 효능을 나타내는지에 대해서 상기 선행문헌은 물론 어떤 문헌에도 전혀 보고된 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 추출물이 간조직내 지방 축적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간소엽 염증에 대한 개선에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효능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Gymnaster koraiensi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벌개미취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를 추출한 것 또는 벌개미취의 꽃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벌개미취 추출물(Gymnaster koraiensi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벌개미취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를 추출한 것 또는 벌개미취의 꽃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Gymnaster koraiensi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벌개미취는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식물의 부분으로서 어린순, 잎, 줄기, 가지, 꽃, 열매를 포함한 지상부, 또는 뿌리를 이용할 수 있다.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로서,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를 추출한 것 또는 벌개미취의 꽃을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고, 벌개미취의 꽃을 추출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은 간소엽 세포에서의 염증 억제 효과가, 꽃을 포함하지 않는 지상부, 예컨대 벌개미취의 잎, 줄기 및 가지의 추출물 대비 3배 더 우수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는 ‘벌개미취의 꽃, 잎, 줄기 및 가지를 모두 포함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벌개미취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1~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일 수 있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벌개미취 건조 중량의 2 내지 100배의 중량을 가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배의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배의 중량을 가하여 추출한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 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의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100℃에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회 추출 시간은 1시간 내지 1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8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태양에 의하면,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벌개미취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벌개미취를 건조시킨 건조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건조물에 에탄올을 넣고 환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벌개미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또한, 감압 농축 후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분말 형태의 벌개미취 추출물을 수득할 수도 있다.
고지방식이를 자율섭취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염이 유발된 동물시험모델에 대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경구투여했을 때,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조직병리학적 특징인 간 조직내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물론, 간소엽 내 염증을 치료하고, 간세포의 풍선 변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혈액학적 평가 결과 AST 및 ALT 농도와 같은 지표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은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젤리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벌개미취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투여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나, 전신 투여가 더 바람직하며, 정맥 내 투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간 조직내 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간소엽 염증을 치료하고 풍선 변성을 억제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고지방 식이 급이 모델에서 정상군(normal), 대조군(control), 실시예 1(MJAK) 투여군, 실시예 2(MJAK-F) 투여군, 실시예 3(MJAK-L) 투여군, 실시예 4(MJAK-S) 투여군, 양성 대조군(Silymarin, Pioglitazone)에 대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활성지수(NAFLD activity scor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고지방 식이 급이 모델에서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투여군, 양성 대조군에 대한 지방증(steatosis)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고지방 식이 급이 모델에서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투여군, 양성 대조군에 대한 간소엽 염증(lobular inflammation)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고지방 식이 급이 모델에서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투여군, 양성 대조군에 대한 풍선병선(ballooning)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고지방 식이 급이 모델에서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 투여군, 양성 대조군의 마우스의 간조직에 대해 Oil-red O 염색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6은 고지방 식이 급이 모델에서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 투여군, 양성 대조군의 마우스의 간조직에 대해 H&E 염색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7은 고지방 식이 급이 모델에서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 투여군, 양성 대조군에 대한 AST 및 ALT 수치를 평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시험예 1] 벌개미취 추출물의 제조
1. 실시예 1의 벌개미취 추출물의 제조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꽃을 포함한 지상부는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2018년 8월에 채취한 것을 준비하였다.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수분 함량 9.2% 이하로 건조된 벌개미취를 세절한 후 1kg에 20L의 95% 에탄올을 가하고 4시간 동안 70℃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추출액을 여과 한 후 남은 잔사에 다시 20L의 95% 에탄올을 가하고 4시간 동안 70℃ 환류 추출하는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여 총 추출액 60 L를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 60L를 45~55℃에서 감압 농축하여 95% 에탄올 추출물 168.4g을 수득하였고 이를 실시예 1의 벌개미취 추출물(또는'MJAK'라 함)로 하였다.
2. 실시예 2 내지 4의 벌개미취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채취한 벌개미취 꽃을 포함한 지상부를, 벌개미취의 꽃 부분과,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하지 않는 나머지 지상부로서 벌개미취의 잎, 줄기 및 가지 부분으로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수분 함량 9.2% 이하로 건조시킨 후 세절하여 각각 1kg씩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해서,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 32.3g을 수득하여 실시예 2(또는 ‘MJAK-F')로 하고, 벌개미취의 잎, 줄기 및 가지 추출물 170.2g을 수득하여 실시예 3(또는 ‘MJAK-L')으로 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2018년 4월에 채취한 어린순을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수분 함량 9.2% 이하로 건조시킨 후 세절하여 1kg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해서 벌개미취의 어린순 추출물 121.6g을 수득하여 실시예 4(또는 ‘MJAK-S')로 하였다.
[시험예 2] 고지방 식이(High-fat diet, HFD) 급이 비알콜성 지방간염 모델에서의 효능 평가
1. 시험 방법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 모델의 구축을 위해 5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 (Charles River Laboratories Japan Inc, Japan)를 온도 22~25℃, 상대습도 50~60%, 명암주기 12시간, 조도 200~300 LUX가 유지되는 동물시험시설에서 일주일간 순화시켰다. 마우스용 폴리카보네이트 상자에 2마리씩 사육하고, 순화기간인 1주일 동안 일반사료(Daehan Biolink Co., Ltd., Republic of Korea)와 음수는 자유식이 하였다.
순화 후 평균 체중이 유사하도록 군당 8마리씩 다음과 같이 군 분리하였으며, 정상군은 일반식이(Rodent Diet with 10% kcal fat, Republic of Korea)를 실시하였고, 대조군, 실시예 1 내지 4의 벌개미취 추출물 투여군, 및 양성대조군인 실리마린 또는 피오글리타존 투여군은 고지방식이(60% kcal high fat diet, Research Diets Inc. NJ, USA)를 12주간 자유식이 하였다.
고지방식이 급이 비알콜성 지방간염 모델에서의 시험군 구성 및 조건
시험군 조건
G1 정상군
(Normal)
일반식이 + 0.5% CMC
G2 대조군
(Control)
고지방식이 + 0.5% CMC
G3 실시예 1(MJAK) 저 고지방식이 + 0.5% CMC + MJAK 125mg/kg
G4 실시예 1(MJAK) 중 고지방식이 + 0.5% CMC + MJAK 250mg/kg
G5 실시예 1(MJAK) 고 고지방식이 + 0.5% CMC + MJAK 500mg/kg
G6 실시예 2(MJAK-F) 중 고지방식이 + 0.5% CMC + MJAK 250mg/kg
G7 실시예 3(MJAK-L) 중 고지방식이 + 0.5% CMC + MJAK 250mg/kg
G8 실시예 4(MJAK-S) 중 고지방식이 + 0.5% CMC + MJAK 250mg/kg
G9 양성
대조군
실리마린
(Silymarin)
고지방식이 + 0.5% CMC +
Silymarin 200mg/kg
G10 피오글리타존
(Pioglitazone)
고지방식이 + 0.5% CMC +
Pioglitazone 10mg/kg
양성대조군으로서 실리마린 및 피오글리타존은, 보고된 독성 및 부작용 용량 등을 참고하여 그 투여용량을 각각 200mg/kg 및 10mg/kg으로 설정하였다. 정상군은 일반식이를 섭취시킨 날부터 0.5% CMC(carboxymethylcellulose) 용액을 84일 동안 매일 오전 1회씩 총 84회 경구 투여하였고, 대조군은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날부터 0.5% CMC 용액을 84일 동안 매일 오전 1회씩 총 84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4 투여군 및 양성대조군은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날부터 0.5% CMC 용액에 실시예 1 125, 250 및 500mg/kg, 실시예 2 내지 4 250mg/kg, 실리마린 200mg/kg, 및 피오글리타존 10mg/kg을 넣어 각각 사용시 조제하여 84일간 매일 오전 1회씩 총 84회 경구 투여하였다.
2. 조직병리학적 평가 방법 및 결과
(1) H&E 염색 슬라이드 및 Oil-red O 염색 슬라이드 제조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위해, 마우스를 희생하여, 간조직을 분리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H&E) 염색 슬라이드, 및 Oil-red O 염색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H&E 염색은 표본 전체를 개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염색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간 조직 내 지방 생성으로 인한 세포 크기의 변화와 세포 사이에 생성된 지방구를 관찰하기 위함이고, Oil-red O 염색은 간 조직 중에 생성된 지방량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마우스의 분리된 간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용액에 3일간 4℃에서 고정시킨 후, 30% 수크로스(sucrose) 용액으로 옮겨 담아 Oil-red O 염색을 하기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으며, H&E(Hematoxylin&Eosin)염색을 하기 위한 조직은 10% 포르말린에 담가 고정시켰다.
먼저, Oil-red O 염색용 조직은 10μm의 두께로 냉동절편 후 조직 슬라이드에 고정을 시킨 다음 탈수 과정을 거쳐 Oil-red O 염색을 실시하였고, 탈수 과정을 거친 후 봉입하였다.
또한, 10% 포르말린에 고정된 H&E 염색용 조직은 5μm의 두께로 절편 후 조직 슬라이드에 고정을 시킨 다음 헤마톡실린(hematoxylin)용액, 에오신(eosin)용액 순으로 염색을 진행한 다음 탈수 과정을 거친 후 봉입하였다.
(2) 조직병리학적 평가 결과
H&E 염색된 슬라이드를 현미경 하에서 검경하여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진행하고, 표 2의 기준에 근거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활성 지수(NAFLD activity score: NAS)를 수치화하여 기록하였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활성지수는 1) 지방증(steatosis), 2) 간소엽 내 염증 등의 병변(lobular inflammation), 3) 간세포의 풍선변성(ballooning)의 변화에 대한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되며,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중증도 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NAS ( NAFLD activity score) 평가기준
Item Definition Score
Steatosis Low- to medium-power evaluation of parenchymal involvement by steatosis
<5% 0
5~33% 1
>33~66% 2
>66% 3
Lobular
Inflammation
Overall assessment of all inflammatory foci
No foci 0
<2 foci per 200× field 1
2-4 foci per 200× field 2
>4 foci per 200× field 3
Ballooning None 0
Few balloon cells 1
Many cells/prominent ballooning 2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벌개미취 추출물(MJAK) 투여군은 대조군(control)이나, 실리마린 또는 피오글리타존 투여군 대비, 농도의존적으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지수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의 500mg/kg 투여군의 경우 정상군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지수 이하로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벌개미취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 실리마린 투여군 및 피오글리타존 투여군 대비, 간조직 내 지방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훨씬 우수하였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 1 투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간소엽 염증성 세포 침윤에 대한 개선 효과, 및 풍선 변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실리마린이나 피오글리타존 투여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및 도 4).
벌개미취의 부위에 따른 추출물의 효과와 관련하여, 실시예 1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 추출물(MJAK), 실시예 2의 꽃 추출물(MJAK-F), 실시예 3의 잎, 줄기 및 가지의 추출물(MJAK-L), 실시예 4의 어린순 추출물(MJAK-S)을 각 250mg/kg으로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지수가 감소하였고, 간조직 내 지방증 억제, 간소염 염증 억제, 및 풍선 변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의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은, 실시예 3의 벌개미취의 잎, 줄기 및 가지의 추출물 또는 실시예 4의 벌개미취의 어린순 추출물 보다 지방간질환 지수가 훨씬 더 감소하였고, 간조직 내 지방증, 풍선 변성, 및 간소엽 내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최대 3배 이상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도 5는, Oil-red O 염색 슬라이드 관찰 결과로서, 대조군의 간 조직에서 커다란 지방구가 조직 전반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농도별 실시예 1 투여에 의해 지방구의 크기가 농도 의존적인 경향으로 작아지는 것이 관찰되었고, 실시예 500mg/kg의 경우 정상군의 간 조직과 같았다.
또한, 도 6은 H&E 염색 슬라이드 관찰 결과로서, 대조군의 간 조직 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그 사이에 지방이 생성된 것이 관찰되는 반면, 농도별 실시예 1 투여에 의해 세포의 비대가 사라지고 세포 사이에 생성된 지방의 양이 현저히 적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임상병리학적 평가 결과
(1) AST 및 ALT 분석 방법
C57/BL6J 마우스에 대한 고지방식이 급이 시험을 종료하고 나서 마우스 희생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C57/BL6J 마우스의 부배대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로 혈청을 분리하여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alanine aminotransferase) 분석에 이용하였다.
(2) AST 및 ALT 분석 결과
도 7의 AST 및 ALT는 간 기능을 나타내는 혈액 지표로서 그 중 간 세포 독성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발된 대조군을 보면 정상군 대비 AST의 경우 약 1.7배, ALT의 경우 약 6.7배 증가한 반면, 농도별 실시예 1(MJAK) 투여에 의해 AST 및 ALT 농도의 증가가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 되었다.
위와 같은 비알콜성 지방간염 동물 모델에서의 효능 평가를 통해 벌개미취 추출물이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8)

  1. 벌개미취 추출물(Gymnaster koraiensi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1~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를 추출한 것 또는 벌개미취의 꽃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벌개미취 추출물(Gymnaster koraiensi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1~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벌개미취의 꽃을 포함한 지상부를 추출한 것 또는 벌개미취의 꽃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CT/KR2020/019073 2019-12-24 2020-12-24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13309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88399.7A CN114845725B (zh) 2019-12-24 2020-12-24 包含朝鲜紫菀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非酒精性脂肪性肝炎的药物组合物
US17/788,757 US20230055551A1 (en) 2019-12-24 2020-12-24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ontaining aster koraiensis nakai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99 2019-12-24
KR20190174499 2019-12-24
KR1020200180280A KR102449272B1 (ko) 2019-12-24 2020-12-21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80280 2020-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3091A1 true WO2021133091A1 (ko) 2021-07-01

Family

ID=7657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9073 WO2021133091A1 (ko) 2019-12-24 2020-12-24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55551A1 (ko)
CN (1) CN114845725B (ko)
WO (1) WO202113309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69B1 (ko) * 2007-03-09 2008-07-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10126911A (ko) * 2010-05-18 2011-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97080A (ko) * 2011-02-24 2012-09-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3847A (ko) * 2014-03-04 2015-09-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80325975A1 (en) * 2015-11-27 2018-11-15 Adabio Co., Ltd.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nafld/nas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69B1 (ko) * 2007-03-09 2008-07-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10126911A (ko) * 2010-05-18 2011-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97080A (ko) * 2011-02-24 2012-09-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3847A (ko) * 2014-03-04 2015-09-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80325975A1 (en) * 2015-11-27 2018-11-15 Adabio Co., Ltd.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nafld/na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55551A1 (en) 2023-02-23
CN114845725B (zh) 2023-09-26
CN114845725A (zh)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WO2015190760A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07088B1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1133091A1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2105816A2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066956A1 (ko)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3603B1 (ko)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Lomate et al. A review on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values of Aegle marmelos
KR102449272B1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57048B1 (ko) 생강, 병풀 및 모시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62887B1 (ko)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6935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3672B1 (ko)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64067A (ko) 초피 및 흑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3224305A1 (ko)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687B1 (ko)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에 도움을 주는 둥굴레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57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057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