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469B1 -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469B1
KR100845469B1 KR1020070023690A KR20070023690A KR100845469B1 KR 100845469 B1 KR100845469 B1 KR 100845469B1 KR 1020070023690 A KR1020070023690 A KR 1020070023690A KR 20070023690 A KR20070023690 A KR 20070023690A KR 100845469 B1 KR100845469 B1 KR 10084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rmal butanol
bee
extract
layer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숙
장대식
이윤미
김영숙
유정림
김주환
손은진
김정현
김찬식
김온순
정동호
김종민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2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469B1/ko
Priority to CA2703130A priority patent/CA2703130C/en
Priority to CN2008800152168A priority patent/CN101678061B/zh
Priority to PCT/KR2008/001292 priority patent/WO2008111763A1/en
Priority to EP08723329.2A priority patent/EP21318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벌개미취의 뿌리, 벌개미취의 꽃등을 건조, 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얻어지는 각각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은 당뇨합병증 유발 원인 인자 중의 하나인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s)의 생성억제 효능과 알도즈 환원효소(Aldose reductase:AR)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노화방지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벌개미취, 당뇨합병증, 노화방지, 계통분리

Description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Extract of Aster koraiensi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same}
도 1은 벌개미취 추출 및 계통분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아미노구아니딘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 산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물층 분획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당뇨합병증을 유발하는 중요 인자인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동시에 알도즈 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성인병 중의 하나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당뇨병 유병율이 7~8%에 달하며, 특히 합병증이 유발되기까지 전반적으로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당뇨병 환자들은 합병증의 고통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에 걸린 후 10~20년이 지나면 체내 거의 모든 기관이 손상을 받아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으로 나타난다. 특히, 만성 당뇨성 신증은 혈액 투석 치료 및 말기 신부전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당뇨성 백내장은 실명을 초래하고 결국엔 죽음에 이른다.
이러한 당뇨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전으로는 크게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nonenzymatic glycation of proein), 폴리올 경로(polyol pathway) 및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nonenzymatic glycation of protein)이란, 단백 질의 리신 잔기 등의 아미노산 그룹과 환원당이 효소 작용 없이 축합반응 즉 밀리아드 반응에 의한 것으로, 이 반응의 결과로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이 생성된다.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은 (1)단백질의 리신 잔기 등의 아미노산 그룹과 환원당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이 효소 작용 없이 친핵성 첨가 반응을 하여 초기 단계 산물인 쉬프염기(schiff base)를 형성하고, 상기 쉬프염기와 인접한 케토아민 어닥트(ketoamine adduct)가 서로 축합하여 가역적인 아마도리형의 조기당화산물이 생성되는 단계와 (2)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어 가역적인 아마도리(Amadori)형의 조기당화산물이 분해 되지 않고 재배열(rearrangement)되어 단백질과 교차결합(cross-linking)하여 비가역적인 최종당화산물이 생성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가역적인 아마도리형의 조기당화산물과 달리 최종당화산물은 비가역적인 반응 산물이므로, 일단 생성되면 혈당이 정상으로 회복되어도 분해 되지 않고 단백질 생존기간동안 조직에 축적되어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켜 조직 곳곳에서 합병증을 유발시킨다(Vinson, J. A. et al., 1996, J. Nutritinal Biochemistry 7: 559-663; Smith, P. R. et al., 1992, Eur . J. Biochem., 210: 729-739).
예를 들면, 포도당과 여러 종류의 단백질과 반응하여 생성된 최종당화산물 중 하나인 당화 알부민은 만성 당뇨성 신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당화 알부민은 당화가 진행되지 않은 정상 알부민에 비해 더 용이하게 신사구체 세포 내로 유입되고, 고농도의 포도당은 메산지움 세포를 자극하여 세포외 기 질(extracellular matrix)합성을 증가시킨다. 과도하게 유입된 당화 알부민과 증가된 세포외 기질로 인하여 신사구체의 섬유화가 야기된다. 이와 같은 기전으로 신사구체가 계속 손상 받게 되어 혈액투석 또는 장기이식 등의 극단적인 치료방법을 쓸 수밖에 없는 단계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만성 당뇨로 인하여 동맥벽에서는 콜라겐이, 신사구체에서는 기저막성 단백질이 최종당화산물과 결합되어 조직에 축적됨이 보고 된 바 있다(Brownlee, M., et al., 1986, Sciences, 232, 1629-1632).
이처럼 비효소적 단백질 당화반응에 의하여 기저막, 혈장 알부민, 수정체 단백질, 피브린, 콜라겐 등의 단백질에서 당화가 일어나며,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이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켜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의 만성 당뇨합병증을 유발시킨다.
또한, 고혈당 상태에서 최종당화산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지질대사에 이상이 일어나고 동시에 생성되는 유해한 산소 자유라디칼에 대한 방어시스템 기능이 저하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Yokozawa, T., et al, 2001, J. of Trad . Med., 18: 107-112). 이처럼 비효소적 당화반응과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작용 기전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폴리올 경로란 (1)알도스나 케토스로부터 알도스 환원효소(AR)작용에 의해 환원되어 솔비톨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솔비톨이 솔비톨 탈수소효소에 의해 산화 되어 과당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고혈당에 의하여 폴리올 경로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솔비톨과 과당이 과도하게 생성되고 조직에 축적되어 삼투압이 증가된다. 증가된 삼투압으로 인하여 수분이 인입되어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으로 진행된다(당뇨병학, 김응진 외, 대한 당뇨병학회, 고려의학, 483쪽; Soulis-Liparota, T., et al., 1995, Diabetologia, 38: 357-394).
최종당화산물이 사람의 미세혈관 내피세포에서 폴리올 경로의 주효소인 알도스 환원효소(AR)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보고 된 바 있다(Nakamura, N., et al., 2000, Free Radic Biol . Med., 29: 17-25). 정상상태에서는 알도스 환원효소가 포도당에 대하여 친화력이 매우 낮지만, 고농도의 포도당에서는 알도스 환원효소가 활성화되어 과도하게 포도당을 솔비톨로 환원시키고, 이 솔비톨이 솔비톨 탈수소효소에 의해 과당으로 전환된다. 이 과당은 포도당에 비하여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의 속도가 약 10배 정도 빠르다. 따라서 고농도의 과당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결국은 최종당화산물의 형성을 가속화시킨다.
이와 같이 비효소적 당화반응, 폴리올 경로 및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작용 기전들이 서로 연관되어 당뇨합병증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당뇨합병증의 발병을 지연하거나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최종당화산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동시에 알도즈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이 밝혀졌다(Brownlee, M., et al., 1988, N. Engl . Med ., 318, 1315-1321).
일단 당뇨병이 발생되어 혈당이 금방 떨어지지 않으면 당뇨합병증 예방제를 복용하여 당뇨합병증을 예방하여야 한다. 현재, 단백질 당화 억제제로 유일한 합성제제인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은 친핵성 히드라진(hydrazine)으로 아마도리 산물과 결합하여 단백질과의 교차결합을 방지함으로써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합병증으로 진전되는 것을 지연 또는 방지한다(Brownlee, M., et al., 1986, Sciences, 232, 1629-1632; Edelstein, D. et al., 1992, Diabetes, 41, 26-29). 아미노구아니딘은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유망한 합성 의약품으로 제 3상 임상실험까지 진행되었으나, 장기간 투여 시 독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어 보다 안전한 약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이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알도즈 환원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당뇨합병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당뇨합병증 유발 원인 중의 하나인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알도즈 환원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얻어지는 각각의 분획물을 제공하는 목적 이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벌개미취의 뿌리와 벌개미취의 꽃을 각각 건조, 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각각 계통분리하여 계통분획 층인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과 물 층의 분획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성분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벌개미취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 50 ~ 60㎝이며, 비교적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관상용으로 정원에서 식재되고 있다(윤세영, 원색한국자원식물도감, 아카데미 서적, 508쪽). 그러나 지금까지 벌개미취의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 효능뿐만 아니라 그 어떠한 효능연구 보고나 성분에 대한 연구가 보고 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상기 추출물들의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과 물 층의 분획물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벌개미취의 뿌리와 벌개미취의 꽃을 건조, 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다.
그 제조방법과 효능 검증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벌개미취 추출액 제조방법
1) 추출단계
먼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를 세절한다. 상기 절단된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의 5배 ~ 10배(w/v)량의 메틸알콜, 에틸알콜 또는 그 알콜 수용액 중 어느 하나를 가하여 상온에서 2-5회 연속 추출한다.
2) 농축단계
상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상태에서 농축한다. 이때, 구성성분의 분해 및 가수분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농축 시 온도를 40-45℃ 이하로 유지한다.
벌개미취의 뿌리 및 벌개미취의 꽃 역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한다.
2. 벌개미취 추출액 계통분리 단계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르말 헥산 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노르말 부탄올 층, 물 층으로 계통분리를 하여 각각의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 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노르말 부탄올 층, 물 층의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3.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능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이들 각각 추출물의 계통분획 층인 헥산 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과 물 층의 분획물을 시험관내 실험에서,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의 당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14일간 배양하였을 때,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50% 억제 농도가 각각 IC50 값이 18.74 μg/ml(잎과 줄기 추출물), 38.75 μg/ml(뿌리 추출물), 35.36 μg/ml(꽃 추출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 억제 효능
본 발명의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이들 각각 추출물의 계통분획 층인 헥산 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과 물 층의 분획물을 시험관내 실험에서 알도즈 환원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의 50% 억제 농도가 0.40 μg/ml(잎과 줄기 추출물), 3.77 μg/ml(뿌리 추출물), 2.07 μg/ml(꽃 추출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 층 분획물은 1.34 μg/ml, 부탄올 층은 0.47 μg/ml, 물층은 2.15 μg/ml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 층 분획물은 0.41 μg/ml, 부탄올 층은 0.86 μg/ml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 층 분획물은 1.39 μg/ml, 부탄올 층은 3.63 μg/ml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각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 및 물 층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투여 시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 될 수 있는데,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각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 및 물 층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기능성 식품 또는 노화방지 및 지연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최종 제품의 상품성과 소비자 기호도에 따라 다른 식품소재를 첨가할 수 있다.
최종당화산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지질대사에 이상이 일어나고, 동시에 생성되는 유해 산소 자유라디칼에 대한 방어시스템 기능이 저하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다고 보고한 바 있고, 한편, 산화적 스트레스는 안정한 상태로 체내에 존재하던 산소가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 반응과 같은 환경적 및 생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반응성이 큰 활성산소로 전환되어 인체의 세포구성 성분인 단백질, 지질 및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되는 것으로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 비율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벌개미취 추출 및 계통분리
2004년 9월 전북 무주에서 벌개미취를 잎, 줄기, 뿌리, 꽃을 각각 채집하여 동정한 후, 잎과 줄기, 뿌리, 꽃을 각각 분리하여 세절한 후 80 % 에탄올에 넣고, 추출용기에서 상온에서 7일씩 3회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들을 감압농축하여 잎과 줄기 추출물, 뿌리 추출물, 꽃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구성성분의 분해 및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워터베이스(water bath)를 40-45 ℃로 유지하였다. 감압농축으로 에틸알콜을 완전히 제거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수분을 완전히 건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된 잎과 줄기 추출물, 뿌리 추출물, 꽃 추출물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층으로 계통분리한 후, 각각의 층들의 분획물을 얻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능분석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과 각 분획층의 분획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각 분획층의 분획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각 분획층의 분획물의 시험관내에서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능분석으로 단백질원(原)으로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이하 BSA라고 한다: 미국 시그마 제품)을 택하였다. BSA을 10 ㎎/㎖의 농도가 되도록 50 mM 인산 완충 용액(phosphate buffer; pH 7.4)에 가하여 제조하였다. 당원(原)으로는 0.2 M 과당과 0.2 M 글루코스가 혼합된 액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BSA 용액에 과당과 글루코스 혼합액을 가하였다.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각 추출물의 헥산 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 및 물 층의 분획물을 시료군으로 하여 증류수에 용해한 후, 이를 상기 BSA 와 당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37℃에서 14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0.02% 소디움아자이드(sodium azide)를 항 박테리아제로서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BSA와 당 혼합액을 배양한 것이며, 시험군과 대조군의 공시험군(blank)은 각각 조제한 후 배양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효능의 우수함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인 양성 대조군으로서 아미노구아니딘을 사용하였다. 모든 배양액은 4 개씩 준비하여 최대한 오차를 피하였다. 14일 후 배양액에서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의 함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최종당화산물은 형광, 갈색을 띠고 있으며 교차결합을 할 수 있는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세포막 수용체가 인지할 수 있는 배위자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최종당화산물의 양을 spectrofluorometer(Excitation: 350nm, Emission: 450nm)로 측정하여 그 생성 억제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은 5 ㎍/㎖, 10 ㎍/㎖, 25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1에 기재한 방법으로 37℃에서 14일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꽃 추출물들은 10 ㎍/㎖, 25 ㎍/㎖, 50 ㎍/㎖의 농도로 각각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1에 기재한 방법으로 37℃에서 14일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14일 후 배양액에서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의 양을 spectrofluorometer (Excitation: 350nm, Emission: 450nm)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생성억제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된다.
생성억제율(%)= 100-(시료군의 형광강도-시료 공시험군의 형광강도)/(대조군의 형광강도-대조군 공시험군의 형광강도)×100
[비교예 1] 아미노구아니딘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능
비교 대조군으로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유망한 합성 의약품아미노구아니딘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8.5 ㎍/㎖, 55.5 ㎍/㎖, 74.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1에 기재한 방법으로 37℃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14일 후 배양액에서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의 양을 spectrofluorometer (Excitation: 350nm, Emission: 450nm)로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19554713-pat00001
표 1 및 도2 내지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은 IC50값은 18.74 ㎍/㎖로, 이는 단일화합물인 양성대조군인 아미노구아니딘(72.12 ㎍/㎖)보다 3.8 배 정도 우수한 효능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뿌리 (38.75 ㎍/㎖)와 꽃 (35.36 ㎍/㎖) 추출물도 단일화합물인 아미노구아니딘 보다 약 2배 정도 효능이 우수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 억제 효능분석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각 추출물의 헥산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 및 물 층의 각각 분획물의 시험관내에서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 억제 효능분석하였다.
[실험방법]
Dufrane (1984) 방법으로 SD 랫트(Sprague-Dawley rat, 250-280g)의 안구로부터 천연상태의 aldose reductase를 얻기 위하여, 135 mM Na, K-phosphate buffer (pH 7.0)와 10 mM 2-mercaptoethanol을 적출한 렌즈와 함께 균질기(Homogenizer)와 Sonicater를 이용해 분쇄하였다. 14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0.2 ㎛의 filter에 여과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 과정은 모두 4℃에서 수행하였다. 효소(Enzyme)의 단백질원(原)으로 BSA을 이용하여 라우리(lowry)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135 mM Na, K-phosphate buffer (pH 7.0), 100 mM Lithium sulfate, 0.03 mM NADPH, 0.04 mM DL-glycealdehyde 와 100 ㎍/ml enzyme의 mixture를 0.1% DMSO에 녹인 후 각 농도로 희석한 sample 50 ㎕에 첨가하여 total volume이 1 ml 되도록 한 뒤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때 BLK는 0.04 mM DL-glycealdehyde를 첨가하지 않은 mixture를, STD는 135 mM Na, K-phosphate buffer (pH 7.0), 100 mM Lithium sulfate에 50 ㎕ NADP (0.2-5 μM)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Sample 0.3 ㎖의 0.5 N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뒤, 10 mM imidazole이 첨가된 6 M NaOH 1 ㎖을 가하여 60℃에서 10분간 반응시켜 NADP가 fluorescent product로 전환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sample은 triplicate로 수행하였다. 효능 정도는 Spectrofluorophotometric detector (Bio-TEK, Synergy HT, USA)를 이용하여 Ex. 360 nm, Em. 460 nm에서 측정하여, IC50 로 나타내었다.
1.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 억제 효능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은 0.1 ㎍/㎖, 0.25 ㎍/㎖, 0.5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은 0.5 ㎍/㎖, 5 ㎍/㎖, 1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들 1.0 ㎍/㎖, 2.5 ㎍/㎖, 5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의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 억제효능
비교대조군으로 우수한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제 중의 하나인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을 실험예 1의 실험방법으로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 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19554713-pat00002
표 2와 도 6 내지 도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은 IC50값은 0.40 ㎍/㎖로, 이는 단일화합물인 양성대조군인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4.50 ㎍/㎖)보다 약 10 배 정도 우수한 효능임을 알 수 있다. 꽃 (2.07 ㎍/㎖) 추출물은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보다 2배 이상 효능이 우수하였고, 또한 뿌리 (3.77 ㎍/㎖) 추출물은 단일화합물인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 보다 효능이 우수하였다.
2. 계통분리하여 분획된 각층들의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 억제효능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헥산층의 분획물은 5.0 ㎍/㎖, 10.0 ㎍/㎖, 20.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의 분획물은 0.25 ㎍/㎖, 0.5 ㎍/㎖, 1.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노르말 부탄올층의 분획물은 0.25 ㎍/㎖, 0.5 ㎍/㎖, 1.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뿌리의 물층의 분획물은 20.0 ㎍/㎖, 30.0 ㎍/㎖, 40.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헥산층의 분획물은 10.0 ㎍/㎖, 20.0 ㎍/㎖, 30.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은 0.5 ㎍/㎖, 1.0 ㎍/㎖, 2.5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노르말 부탄올층의 분획물은 2.5 ㎍/㎖, 5.0 ㎍/㎖, 10.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물층의 분획물은 10.0 ㎍/㎖, 20.0 ㎍/㎖, 30.0 ㎍/㎖의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19554713-pat00003
표 3과 도 10 내지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노르말 부탄올층과 에칠아세테이트층, 물층 분획물의 IC50값은 각각 0.47 ㎍/㎖, 1.34 ㎍/㎖, 2.15 ㎍/㎖로 이는 표 2에 나타낸 단일화합물인 양성대조군인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4.50 ㎍/㎖)보다 9.6배, 3.4배, 2.1배 우수한 효능임을 알 수 있다.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과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의 IC50값은 각각 0.41 ㎍/㎖, 0.86 ㎍/㎖로 단일화합물인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 보다 11배, 5.2배 효능이 우수하였다.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과 노르말 부틴올층 분획물의 IC50값은 각각 1.39 ㎍/㎖, 3.63 ㎍/㎖로 단일화합물인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 보다 3.2배, 1.2배 효능이 우수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 및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각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물층의 분획물은 당뇨합병증 유발 원인 인자인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동시에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는데, 그 정도가 각각의 양성대조군인 아미노구아니딘 및 3,3-테트라메칠렌글루타릭산에 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과 각각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물층의 분획물은 최 종당화산물의 생성 및 알도즈 환원 효소의 활성화로 기인되는 당뇨합병증 즉,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알도즈 환원 효소 활성이 억제되는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 비율이 줄어들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의 방지 및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 응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을 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 추출물;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 또는 물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 추출물,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중 어느 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을 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리 또는 꽃 추출물;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 또는 물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 추출물,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중 어느 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13.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을 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 추출물;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 또는 물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 추출물,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중 어느 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을 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 추출물;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 또는 물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상기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 부탄올로 분획되는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에 있어서,
    상기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또는 뿌리 또는 꽃 추출물, 벌개미취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또는 물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뿌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벌개미취의 꽃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또는 노르말 부탄올층 분획물 중 어느 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70023690A 2007-03-09 2007-03-09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84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90A KR100845469B1 (ko) 2007-03-09 2007-03-09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A2703130A CA2703130C (en) 2007-03-09 2008-03-07 Extracts of aster koraiensi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CN2008800152168A CN101678061B (zh) 2007-03-09 2008-03-07 朝鲜紫菀提取物,以及含有该提取物的药物组合物和功能食品
PCT/KR2008/001292 WO2008111763A1 (en) 2007-03-09 2008-03-07 Extracts of aster koraiensi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EP08723329.2A EP2131850B1 (en) 2007-03-09 2008-03-07 Extracts of aster koraiensi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90A KR100845469B1 (ko) 2007-03-09 2007-03-09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469B1 true KR100845469B1 (ko) 2008-07-10

Family

ID=3975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690A KR100845469B1 (ko) 2007-03-09 2007-03-09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31850B1 (ko)
KR (1) KR100845469B1 (ko)
CN (1) CN101678061B (ko)
CA (1) CA2703130C (ko)
WO (1) WO2008111763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73B1 (ko) 2008-05-23 2010-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벌개미취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짐나스테르코리아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암 예방용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083832B1 (ko) 2010-01-26 2011-11-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91308B1 (ko) * 2011-02-18 2014-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17425B1 (ko) * 2014-05-20 2016-05-02 김승희 죽력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180006612A (ko) * 2016-07-08 2018-01-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5059B1 (ko) * 2016-01-13 2018-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미취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90007167A (ko)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한국신약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KR20190007163A (ko)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한국신약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제제
KR20190007165A (ko)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한국신약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제
KR101928026B1 (ko) * 2017-11-17 2019-02-26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2076A (ko) * 2018-05-18 2019-11-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234494B1 (ko) * 2019-10-02 2021-03-31 대한민국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WO2021133091A1 (ko) * 2019-12-24 2021-07-01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82096A (ko) * 2019-12-24 2021-07-02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15279A (ko) * 2020-03-12 2021-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트리테르펜 사포닌 유도체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06503B (zh) * 2022-12-19 2023-03-31 北京花乡花木集团有限公司 一种紫菀的组织培养方法
CN115990170A (zh) * 2023-03-13 2023-04-21 中国药科大学 紫菀酮在制备糖尿病肾病防治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299A (ko) * 2003-11-19 2005-05-24 대한민국(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항균 및 항염 효능을 갖는 염료 및 그 염료가 염색된 화장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943B2 (ja) * 1990-10-11 2001-02-19 株式会社コーセー 美白剤
CN1242796C (zh) * 2003-03-13 2006-02-22 红桃开集团股份有限公司 复方紫苑止咳药及其制备工艺
CN100382798C (zh) * 2006-01-20 2008-04-23 深圳市生物谷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咖啡酰奎宁酸的药物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299A (ko) * 2003-11-19 2005-05-24 대한민국(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항균 및 항염 효능을 갖는 염료 및 그 염료가 염색된 화장지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73B1 (ko) 2008-05-23 2010-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벌개미취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짐나스테르코리아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암 예방용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083832B1 (ko) 2010-01-26 2011-11-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91308B1 (ko) * 2011-02-18 2014-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17425B1 (ko) * 2014-05-20 2016-05-02 김승희 죽력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865059B1 (ko) * 2016-01-13 2018-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미취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80006612A (ko) * 2016-07-08 2018-01-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7165A (ko)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한국신약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제
KR20190007163A (ko)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한국신약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제제
KR20190007167A (ko)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한국신약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KR101928026B1 (ko) * 2017-11-17 2019-02-26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98615A1 (ko) * 2017-11-17 2019-05-23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2076A (ko) * 2018-05-18 2019-11-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478583B1 (ko) 2018-05-18 2022-12-16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234494B1 (ko) * 2019-10-02 2021-03-31 대한민국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WO2021133091A1 (ko) * 2019-12-24 2021-07-01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82096A (ko) * 2019-12-24 2021-07-02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49272B1 (ko) 2019-12-24 2022-09-29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15279A (ko) * 2020-03-12 2021-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트리테르펜 사포닌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335690B1 (ko) 2020-03-12 2021-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트리테르펜 사포닌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8061B (zh) 2013-01-02
CN101678061A (zh) 2010-03-24
CA2703130A1 (en) 2008-09-18
WO2008111763A1 (en) 2008-09-18
CA2703130C (en) 2016-12-13
EP2131850A4 (en) 2011-06-15
EP2131850A1 (en) 2009-12-16
EP2131850B1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469B1 (ko)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ari et al. Antihyperglycemic effect of diosmin on hepatic key enzymes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 streptozotocin-nicotinamide-induced diabetic rats
Sharma et al. Antihyperglycemic,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tive potential of Prosopis cineraria bark
Kanchana et al. Evaluation of antihyperglycemic effect of sinapic acid in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in albino rats
KR101682697B1 (ko)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3243B1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4344352B (zh) 一种具有抗晚期糖基化终产物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Mahadeva Rao et al. Biochemical evaluation of antihyperglyc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inda citrifolia fruit extract studie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R100997912B1 (ko)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Manzanilla Valdez et al. Antidiabetic and hypotensive effect of Cnidoscolus aconitifolius (Mill) IM Johnst leaves extracts
KR100973941B1 (ko) 소석적려를 이용한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기능성 식품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71793B1 (ko) 참소리쟁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550934B1 (ko) 후박추출물, 강후박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마그놀올 및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KR100616068B1 (ko) 들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저해제
KR100626336B1 (ko) 고추나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090020900A (ko)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KR101115505B1 (ko) 한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76293B1 (ko) 현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8895B1 (ko) 대황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40084907A (ko) 수수꽃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저해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73644B1 (ko) 마제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37647B1 (ko) 까치박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Joanta et al. Hippophaea rhamnoides interferes with insulin release via L-type Ca2+ channel-mediated pathway in rat islet B-cells.
Aina et al. Continental J. Biomedical Sciences 4: 37-42, 2010 ISSN: 2141–419X© Wilolud Journals, 2010 http://www. wiloludjournal. com ANTIDIABETIC ACTIVITY OF DRIED LEAVES OF Aginanthus brunneus O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