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900A -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900A
KR20090020900A KR1020070085537A KR20070085537A KR20090020900A KR 20090020900 A KR20090020900 A KR 20090020900A KR 1020070085537 A KR1020070085537 A KR 1020070085537A KR 20070085537 A KR20070085537 A KR 20070085537A KR 20090020900 A KR20090020900 A KR 2009002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extract
butanol
ethyl acetate
extract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숙
장대식
김영숙
손은진
김정현
김찬식
김온순
김종민
이윤미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0900A/ko
Publication of KR2009002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근 추출물과 이 추출물에서 계통분리하여 얻은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의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 효능에 관한 것으로 당뇨합병증 유발 원인 중의 하나인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칠아세테이트 층은 알도즈리덕테이즈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갈근추출물과 이 추출물에서 계통분리하여 얻은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항암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특징으로 한다.
갈근, 에칠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최종당화산물, 알도즈리덕테이즈, 당뇨합병증

Description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Compositions and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본 발명은 갈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갈근 추출물과 상기 갈근 추출물을 계통분리하여 얻어지는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의 분휙물 및 이를 이용한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노화방지 또는 지연 및 항암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성인병 중의 하나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당뇨병 유병률이 7 ~ 8%에 달하며, 특히 합병증이 유발되기까지 전반적으로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당뇨병 환자들은 합병증의 고통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에 걸린 후 10 ~ 20년이 지나면 체내 거의 모든 기관이 손상을 받아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으로 나타난다. 만성 당뇨성 신증은 혈액 투석 치료 및 말기 신부전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당뇨성 백내장은 실명을 초래하고 결국엔 죽음에 이른다.
이러한 당뇨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전으로는 크게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nonenzymatic glycation of proein), 폴리올 경로(polyol pathway) 및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nonenzymatic glycation of protein)이란, 단백질의 리신 잔기 등의 아미노산 그룹과 환원당이 효소 작용 없이 축합반응 즉 밀리아드 반응에 의한 것으로, 이 반응의 결과로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이 생성된다.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은 (1)단백질의 리신 잔기 등의 아미노산 그룹과 환원당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이 효소 작용 없이 친핵성 첨가 반응을 하여 초기 단계 산물인 쉬프염기(schiff base)를 형성하고, 상기 쉬프염기와 인접한 케토아민 어닥트(ketoamine adduct)가 서로 축합하여 가역적인 아마도리형의 조기당화산물이 생성되는 단계와 (2)고혈당 상태가 지속되어 가역적인 아마도리(Amadori)형의 조기당화산물이 분해되지 않고 재배열(rearrangement)되어 단백질과 교차결합(cross-linking)하여 비가역적인 최종당화산물이 생성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가역적인 아마도리형의 조기당화산물과 달리 최종당화산물은 비가역적인 반응 산물이므로, 일단 생성되면 혈당이 정상으로 회복되어도 분해되지 않고 단백질 생존기간 동안 조직에 축적되어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켜 조직 곳곳에서 합병증을 유발시킨다(Vinson, J. A. et al., 1996, J. Nutritinal Biochemistry 7: 559-663; Smith, P. R. et al., 1992, Eur . J. Biochem., 210: 729-739).
예를 들면, 포도당과 여러 종류의 단백질이 반응하여 생성된 최종당화산물 중 하나인 당화 알부민은 만성 당뇨성 신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당화 알부민은 당화가 진행되지 않은 정상 알부민에 비해 더 용이하게 신사구체 세포 내로 유입되고, 고농도의 포도당은 메산지움 세포를 자극하여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합성을 증가시킨다. 과도하게 유입된 당화 알부민과 증가된 세포외 기질로 인하여 신사구체의 섬유화가 야기된다. 이와 같은 기전으로 신사구체가 계속 손상 받게 되어 혈액투석 또는 장기이식 등의 극단적인 치료방법을 쓸 수밖에 없는 단계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만성 당뇨로 인하여 동맥벽에서는 콜라겐이, 신사구체에서는 기저막성 단백질이 최종당화산물과 결합되어 조직에 축적됨이 보고된바 있다(Brownlee, M., et al., 1986, Sciences, 232, 1629-1632).
이처럼 비효소적 단백질 당화반응에 의하여 기저막, 혈장 알부민, 수정체 단백질, 피브린, 콜라겐 등의 단백질에서 당화가 일어나며,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이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켜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의 만성 당뇨합병증을 유발시킨다.
또한, 고혈당 상태에서 최종당화산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지질대사 이상이 일어나고 동시에 생성되는 유해한 산소 자유라디칼에 대한 방어시스템 기능이 저하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다고 보고된바 있다(Yokozawa, T., et al, 2001, J. of Trad . Med., 18: 107-112). 이처럼 비효소적 당화반응과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작용 기전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폴리올 경로란 (1)알도스나 케토스로부터 알도스 환원효소(AR)작용에 의해 환원되어 솔비톨을 형성하는 단계 및 (2)솔비톨이 솔비톨 탈수소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과당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고혈당에 의하여 폴리올 경로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솔비톨과 과당이 과도하게 생성되고 조직에 축적되어 삼투압이 증가된다. 증가된 삼투압으로 인하여 수분이 인입되어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으로 진행된다(당뇨병학, 김응진 외, 대한 당뇨병학회, 고려의학, 483쪽; Soulis-Liparota, T., et al., 1995, Diabetologia, 38: 357-394).
최종당화산물이 사람의 미세혈관 내피세포에서 폴리올 경로의 주효소인 알도스 환원효소(AR)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보고된바 있다(Nakamura, N., et al., 2000, Free Radic Biol . Med., 29: 17-25). 정상상태에서는 알도스 환원효소가 포도당에 대하여 친화력이 매우 낮지만, 고농도의 포도당에서는 알도스 환원효소가 활성화되어 과도하게 포도당을 솔비톨로 환원시키고, 이 솔비톨이 솔비톨 탈수소효소에 의해 과당으로 전환된다. 이 과당은 포도당에 비하여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의 속도가 약 10배 정도 빠르다. 따라서 고농도의 과당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결국은 최종당화산물의 형성을 가속화시킨다.
이와 같이 비효소적 당화반응, 폴리올 경로 및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작용 기전들이 서로 연관되어 당뇨합병증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당뇨합병증의 발병을 지연하거나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최종당화산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이 밝혀졌다(Brownlee, M., et al., 1988, N. Engl . Med ., 318, 1315-1321).
현재, 단백질 당화 억제제로 합성제제인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은 친핵성 히드라진(hydrazine)으로 아마도리 산물과 결합하여 단백질과의 교차결합을 방지함으로써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합병증으로 진전되는 것을 지연 또는 방지한다(Brownlee, M., et al., 1986, Sciences, 232, 1629-1632; Edelstein, D. et al., 1992, Diabetes, 41, 26-29). 아미노구아니딘은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유망한 합성 의약품으로 제 3상 임상실험까지 진행되었으나, 장기간 투여 시 독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나타나 중단되었다. 그래서,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약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미 갈근에서 새로운 2-아릴벤조푸란 유도체인 푸에라리아푸란 및 쿠메스테롤,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분리하고 이들이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당뇨합병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또한 갈근과 다른 한약재와의 복합제제에 대한 발명도 완성하였다.
이에 이들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는 갈근 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도 효능이 당뇨합병증의 대표적인 치료재인 아미노구아니딘 보다 그 효능이우수하고, 장기간 투여시에도 안전한 갈근 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 의 당뇨합병증 예방 및 효능에 대한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당뇨합병증의 원인, 처방 및 치료법 등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를 하였으며, 본 발명은 당뇨합병증 유발 원인 중의 하나인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갈근 추출물과 계통분리하여 얻은 에칠아세테이트층과 부탄올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갈근 추출물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및 항암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갈근추출물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및 항암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갈근을 음건·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갈근추출물과 상기 갈근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되는 갈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휙물 및 부탄올층 분휙물을 유효성분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건강기능식 품, 항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항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갈근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이 당뇨합병증 유발 원인 중의 하나인 최종당화산물의 생성과 알도즈 리덕테이즈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 비율이 줄어들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의 방지 및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응용될 수 있으며, 최종당화산물이 인하여 발생되는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갈근을 상온에서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반복 추출한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갈근 추출물을 얻은 후, 이 추출물을 건조한 후 헥산(N-Hexane)층, 에칠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n-Butanol), 물 분획으로 계통분리한 것으로 갈근 추출물과 이들 분획들 중에서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 기능식품은 상기 갈근 추출물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갈근추출물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갈근(Puerariae Radix)은 콩과에 속한 다년생 등본(藤本)인 칡(Pueraria thunbergiana Benth. 또는 Pueraria lobota Ohwi)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그 약성은 감(甘), 신(辛), 평(平)하며 비(脾), 위(胃)로 들어가 해표(解表), 수진(透疹), 생진(生津), 지사(止瀉)의 효능을 나타낸다. 약리작용으로는 해열작용, 혈압강하작용, 기억력증강, 뇌혈류량 증가, 관상동맥 확장작용, 심장기능 개선, 항부정맥 작용 등이 보고되었고(김호철, 한약약리학, 집문당, 92-94, 2001), 발한(發汗), 해열(解熱), 진경약(鎭痙藥)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Kim, T.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Vol. II, p. 232).
갈근의 구성성분과 생리활성 성분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Kinjo J.-E. et al., 1987, Chem . Pharm . Bull. 35: 4846-4850; Ohshima Y. et al., 1988, Planta Med., 54: 250-254; Lee S.J. et al., 1994, Arch. Pharm . Res. 17: 31-35; Yasuda T. et al., 2005, Biol . Pharm . Bull. 28: 1224-1228). 하지만, 최종당화산물 형성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갈근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된 적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갈근 추출물의 제조 및 계통 분리
실험에 사용된 갈근[Pueraria lobata (Willd.) Ohwi 또는 Pueraria thunbergiana Benth.의 뿌리; Leguminosae]은 2005년 4월 대전시 유성구 전민동 일대에서 채집하였으며, 증거표본(no. KIOM-P041)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제제연구부의 식물표본실에 보관중이다.
채집된 갈근을 음건·세절한 갈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을 넣고, 추출용기에서 상온상태로 2~5회 추출한 후, 30~50℃에서 감압하여 농축시켜 갈근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의 갈근 추출물을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층으로 계통분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알콜은 메탄올 이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험예 1]
갈근 추출물과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의 시험관 내에서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능 실험
1. 갈근 추출물 및 계통분리
음건·세절한 갈근 4.9Kg을 메탄올 20ℓ에 넣고, 상온에서 3회 추출한 후, 40℃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탄올 추출물 665g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각각 헥산 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층, 물 층을 얻었다.
2. 실험방법
단백질원(原)으로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이하 BSA라고 한다: 미국 시그마 제품)을 택하였다. BSA을 10 ㎎/㎖의 농도가 되도록 50 mM 인산 완충 용액(phosphate buffer; pH 7.4)에 가하여 제조하였다. 당원(原)으로는 0.2 M 과당과 0.2 M 글루코스가 혼합된 액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BSA 용액에 과당과 글루코스 혼합액을 가하였다. 갈근 추출물과 모든 계통분획 층을 일정 농도로 조제하였다. 이를 상기 BSA 와 당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37℃에서 14, 28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0.02% 소디움아자이드(sodium azide)와 안티마이코틱스 (antimycotics)를 항 박테리아제 및 항진균제로서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BSA와 당 혼합액을 배양한 것이며, 시험군과 대조군의 공시험군(blank)은 각각 조제한 후 배양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효능의 우수함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인 양성 대조군으로서 아미노구아니딘을 사용하였다. 모든 배양액은 4 개씩 준비하여 최대한 오차를 피하였다. 14일, 28일 후 각각의 배양액에서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의 함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최종당화산물은 형광, 갈색을 띠고 있으며 교차결합을 할 수 있는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세포막 수용체가 인지할 수 있는 배위자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최종당화산물의 양을 Microplate reader(Excitation: 350nm, Emission: 450nm)로 측정하여 그 생성 억제 정도를 분석하였다(Vinson, J.A. et al., J. Nutr . Biochem ., 7: 659-663, 1996).
생성억제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된다.
생성억제율(%)= 100-(시료군의 형광강도-시료 공시험군의 형광강도)/(대조군의 형광강도-대조군 공시험군의 형광강도)×100
3. 양성대조군 : 아미노구아니딘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 효능분석 실험
아미노구아니딘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일정 농도로 조제한 후 상기에 기재한 방법으로 37℃에서 14일 동안, 28일 동안 배양하였다. 14일, 28일 후 각각 배양액에서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의 양을 Microplate reader (Excitation: 350nm, Emission: 450nm)로 측정하였다.
4.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라 갈근 추출물과 계통분획 층을 상기 실험예를 따라 실험하여 시험관 내에서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1605818-PAT00001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갈근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활성능력은 각각 IC50값이 46.01 ㎍/㎖(14일), 46.17 ㎍/㎖(28일)이며, 이는 양성대조물질인 아미노구아니딘(IC50 값: 72.12 ㎍/㎖, 91.30 ㎍/㎖)보다 각각 1.6배, 2배 우수하다.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에칠아세테이트 층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활성능력은 각각 IC50값이 18.91 ㎍/㎖(14일), 21.81 ㎍/㎖(28일)이며, 이는 양성대조물질인 아미노구아니딘(IC50 값: 72.12 ㎍/㎖, 91.30 ㎍/㎖)보다 각각 3.8배, 4배 우수하다.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부탄올 층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활성능력은 각각 IC50값이 41.56 ㎍/㎖(14일), 45.80 ㎍/㎖(28일)이며, 이는 양성대조물질인 아미노구아니딘(IC50 값: 72.12 ㎍/㎖, 91.30 ㎍/㎖)보다 각각 1.7배, 2배 우수하다.
[실험예 2]
갈근 추출물과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의 알도즈 리덕테이즈 효능억제 실험
1. 갈근 추출물 및 계통분리
음건·세절한 갈근 4.9Kg을 메탄올 20ℓ에 넣고, 상온에서 3회 추출한 후, 40℃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탄올 추출물 665g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각각 헥산 층,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층, 물 층을 얻었다.
2. 실험방법
Sprague-Dawley rat (250-280g)의 안구로부터 aldose reductase를 얻기 위하여, 135 mM Na, K-phosphate buffer (pH 7.0)와 10 mM 2-mercaptoethanol을 적출한 렌즈와 함께 Homogenizer와 Sonicater를 이용해 분쇄하였다. 14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0.2 ㎛의 filter에 여과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 과정은 모두 4℃에서 수행하였다. Enzyme의 단백질은 Stanard로 Bovine Serum Albumin을 이용하여 lowry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135 mM Na, K-phosphate buffer (pH 7.0), 100 mM Lithium sulfate, 0.03 mM NADPH, 0.04 mM DL-glycealdehyde 와 100 ㎍/ml enzyme의 mixture를 0.1% DMSO에 녹인 후 각 농도로 희석한 sample 50 ㎕에 첨가하여 total volume이 1 ml 되도록 한 뒤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때 BLK는 0.04 mM DL-glycealdehyde를 첨가하지 않은 mixture를, STD는 135 mM Na, K-phosphate buffer (pH 7.0), 100 mM Lithium sulfate에 50 ㎕ NADP (0.2-5 μM)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Sample 0.3 ㎖의 0.5 N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뒤, 10 mM imidazole이 첨가된 6 M NaOH 1 ㎖을 가하여 60℃에서 10분간 반응시켜 NADP가 fluorescent product로 전환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sample은 triplicate로 수행하였다.
효능 정도는 Spectrofluorophotometric detector (Bio-TEK, Synergy HT, USA)를 이용하여 Ex. 360 nm, Em. 460 nm에서 측정하여, IC50 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3.3-tetra methyleneglutaric acid (TMG)를 사용하였다.
3.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라 갈근 추출물을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실험하여 시험관 내에서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효능 농도 (㎍ /mL) 억제효능(%) 억제효능(IC50 값) (㎍/mL)
갈근추출물 20 36.5±7.29 35.34
30 40.87±6.23
40 56.56±3.21
헥산 층 40 49.73±7.66 >40
에칠아세테이트 층 2.5 39.44±3.73 4.39
5 53.76±2.03
10 80.28±1.86
부탄올 층 20 44.36±7.14 31.38
30 48.04±4.67
40 55.39±8.20
물 층 40 41.10±7.26 >40
TMG (Tetramethyleneglutaric acid) 3.72 39.34±4.17 4.50
4.66 55.74±3.25
5.59 60.33±1.39
따라서 본 표1과 2를 통해 갈근 추출물과 에칠아세테이트 층, 부탄올 층이 단일 합성물질에 비하여 효능이 우수함을 증명되었으며, 새로운 당뇨합병증 및 관련 질병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갈근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이 당뇨합병증 유발 원인 중의 하나인 최종당화산물의 생성과 알도즈 리덕테이즈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갈근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이 최종당화산물의 생성과 알도즈 리덕테이즈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어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 비율이 줄어들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의 방지 및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최종당화산물이 발암(carcinogenesis)을 유발함이 이미 보고되었는바(Tokuda, H., et al., 2005. Book of Abstract of 53rd GA Congress joint with SIF, P076).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갈근 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층과 부탄올 층이 항암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갈근의 추출 및 계통분리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9)

  1. 갈근을 음건·세절하여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갈근추출물.
  2. 제1항의 갈근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되는 갈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휙물.
  3. 제1항의 갈근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되는 갈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휙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 또는 지연용 건강기능식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70085537A 2007-08-24 2007-08-24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KR20090020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537A KR20090020900A (ko) 2007-08-24 2007-08-24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537A KR20090020900A (ko) 2007-08-24 2007-08-24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900A true KR20090020900A (ko) 2009-02-27

Family

ID=4068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537A KR20090020900A (ko) 2007-08-24 2007-08-24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09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469B1 (ko)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682697B1 (ko)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3243B1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35114B1 (ko) 티모사포닌 a―ⅲ가 함유된 조성물의 용도 및 이의제조방법
KR100997912B1 (ko)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73941B1 (ko) 소석적려를 이용한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기능성 식품
KR20090020900A (ko) 당뇨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KR100671793B1 (ko) 참소리쟁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550934B1 (ko) 후박추출물, 강후박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마그놀올 및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CN101884767B (zh) 防治糖尿病并发症及衰老的植物提取物组合物
KR101115505B1 (ko) 한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97632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EP268456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omplications of diabetes containing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276293B1 (ko) 현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26336B1 (ko) 고추나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Benkhedir et al. Beneficial effects of Rosmarinus officinalis and Thymus numidicus on key enzymes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Devi et al. Antidiabetic Potential of Euphorbia thymifolia Extract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in Rats via Inhibition of α-glucosidase and Restoration of β-cell
KR101366611B1 (ko) 밀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38895B1 (ko) 대황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40084907A (ko) 수수꽃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저해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78773A (ko)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73644B1 (ko) 마제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OMODAMIRO et al. REGULAR ARTICL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DIURET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LEAF OF CHRYSOPHYLLUM ALBIDUM G. IN WISTAR ABINO RATS
KR100645391B1 (ko) 참소리쟁이에서 분리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분리방법 및 그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211

Effective date: 201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