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167A -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 Google Patents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67A
KR20190007167A KR1020170088202A KR20170088202A KR20190007167A KR 20190007167 A KR20190007167 A KR 20190007167A KR 1020170088202 A KR1020170088202 A KR 1020170088202A KR 20170088202 A KR20170088202 A KR 20170088202A KR 20190007167 A KR20190007167 A KR 20190007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anule
present
group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국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신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to KR102017008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167A/ko
Publication of KR2019000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Y10S514/86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를 투여한 정상 마우스 및 2형 당뇨모델 마우스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며, 인슐린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과립제는 당뇨의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GRANULE FORMULATION COMPRISING ASTER KORAIENSIS EXTRACT}
본 발명은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에 관한 것이다.
벌개미취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쑥부쟁이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및 경기도 등지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며 '코리안 데이지(Korea daisy)' 또는 '고려쑥부쟁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50 내지 60 cm에 이른다. 옆으로 뻗는 뿌리줄기에서는 원줄기가 곧게 자라고, 홈과 줄이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길이 12∼19cm, 나비 1.5∼3cm로서 딱딱하고 양 끝이 뾰족한데, 가장자리에 잔 톱니와 짧은 가시털이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줄 모양이 된다. 또한,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벌개미취의 꽃은 6 내지 10월에 피는데, 두화(頭花)는 연한 자줏빛이고 지름 4∼5cm로서 개미취보다 크며, 혀모양 또는 통모양으로 줄기와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린다. 총포는 공을 반으로 잘라놓은 모양이며 지름 약 8mm, 길이 약 13mm이다. 포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4줄로 늘어선다. 벌개미취의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바소꼴이고 11월에 익으며 길이 4mm, 지름 1.3mm 정도이고 털과 관모가 없다. 또한, 벌개미취의 잘 알려진 효능으로는 항당뇨 및 항이뇨 등이 있어 약재로도 쓰며, 벌개미취의 어린순은 나물로 만들어서 먹기도 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45469 호는 상기 벌개미취의 잎, 줄기, 뿌리 및 꽃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당뇨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절한 제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제가 정상 마우스 및 당뇨모델 마우스에서 항당뇨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45469 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는 정상 마우스 및 2형 당뇨모델 마우스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며, 인슐린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과립제는 당뇨의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정상 마우스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의 혈당강하 효과(a) 및 식후혈당증가곡선의 면적변화(b)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정상 마우스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의 인슐린 분비촉진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2형 당뇨모델 마우스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의 혈당강하 효과(a) 및 식후혈당증가곡선의 면적변화(b)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2형 당뇨모델 마우스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의 인슐린 분비촉진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를 제공한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벌개미취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벌개미취는 꽃, 잎, 줄기, 뿌리 및 순 등의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잎 또는 순일 수 있다. 상기 벌개미취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물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 15 내지 30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3 내지 5회, 구체적으로는 3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 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이후 분말 형태로의 제조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과립제는 제조된 벌개미취 추출물 분말을 과립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15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립제는 감미제, 보존제, 결합제, 착향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과립제의 감미제로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설탕, 수크랄로스,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말토덱스트린, 스테비아 추출물(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올리고당, 소르비톨(sorbitol), (결정)과당, 꿀, 엿기름, 물엿, 요리당, 식물성크림분말, L-글루타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구연산, 주석산, 주석산나트륨, 젖산 아디핀산, 푸마르산, 푸마르산나트륨, 감자 추출물(피로즐친), 감초 추출물(glycyrrhetenic acid), 타강카 추출물(monellin), 타우마틴(thaumatin), 아세설팜(acesulfame), 둘신, 시클라민산나트륨(cyclamate sodium)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미제는 결정과당 또는 식물성크림분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립제의 보존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자몽종자추출물, 올리브오일, 벤잘코늄염화물, 벤질알코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존제는 자몽종자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과립제의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꿀,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아가,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포비돈, 히프로멜로오스, 폴리메타크릴레이트히프로멜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과립제의 착향제는 제제에 향을 더하여 불쾌감을 상쇄시키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후르츠향, 오렌지향, 포도향, 레몬향, 라임향, 자몽향, 딸기향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향제는 포도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성분 외에, 기타 보조 첨가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전호화분 녹말(pregelatinized starch), 카복시메틸전분(carboxymethyl 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덱스트란(dextran), 세스바니아검(sesbania gum), 카라기닌(carrageenan), 인도검(india gum), 풀릴라란(fureellaran), 트라가칸트검(tragacanth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펙틴(pectin),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alginic acid) 및 거기에 소금, 한천(agar),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glyceryl monostearate),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monostearate), 가교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실리카(silica),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윤활용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비타민 C, 유당, 말토오스, D-만니톨, 양이온 교환 수지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과립제는 단위 제형당 0.5 내지 8 g, 구체적으로, 0.8 내지 5 g, 더욱 구체적으로, 1.2 내지 3 g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립제를 약학적 제제로서 제조하는 경우, 벌개미취 추출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제는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과립제는 단위 제형당 0.5 내지 8 g, 구체적으로, 0.8 내지 5 g, 더욱 구체적으로, 1.2 내지 3 g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말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제는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립제를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제조하는 경우,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추가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과립제의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립제를 제조하고, 이를 정상 마우스 및 2형 당뇨모델 마우스 군에 투여하였을 때, 상기 마우스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 수치가 감소되며,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는 당뇨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벌개미취 추출물 및 이의 분말 제조 방법
100 g의 벌개미취의 잎(학솔 식물원, 공주시 의당면 유계리)에, 이의 5배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5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뒤, 수득한 추출액을 100호체(355 ㎛)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60℃ 이하에서 고형분의 함량이 25%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여기에 100 g의 덱스트린(dextrin)을 넣고 분무건조기(rpm: 9000, 흡기온도: 170℃, 배기온도: 90℃)로 건조시켜 벌개미취 순 또는 잎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1> 과립제의 제조 <총 3 g >
벌개미취 분말 1.2 g (40%)
유 당 1.107 g (36.9%)
결정과당 0.45 g (15%)
식물성크림분말 0.15 g (5%)
포도향 0.09 g (3%)
자몽종자추출물 0.003 g (0.1%)
상기의 성분(원료)을 각각의 배합비율에 맞게 혼합기에 투입한 후, 20분간 80 rpm에서 처리하여 균질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연합기에 넣고 15분 동안 연합시킨 후 이를 다시 제립기에서 과립으로 제조하여 80℃ 이하에서 6시간 동안 건조시켜 정립사과하였다. 다음으로, 정립사과된 반제품을 선별기에서 선별 및 포장하여 본 발명의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벌개미취 추출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제 혈당강하 효과
먼저, 6주령의 정상 C57BL/6 마우스((주)코아텍, 경기)를 1주일간 순화시킨 후 실험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상기 마우스를 군당 5마리씩 무작위로 4군으로 나누고 두 군에 동물 체중(kg)당 250 및 500 mg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과립제를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 나머지 두 군에는 동량의 멸균증류수만을 경구투여하였다.
그리고 경구당부하검사인 OGTT(oral glucose tolerance test)를 수행하기 위해, 약물투여 30분 뒤 마우스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공복혈당(0 분)을 우선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DM)으로서는 체중(kg)당 2 g의 포도당을, 음성대조군(NOR)으로서 동량의 멸균증류수를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후 30, 60, 90, 120 및 180분 마다 혈당측정기(ACCU-CHEK®, Roche Diagnostics Corp., USA)를 사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기반으로 식후혈당증가곡선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구하였다. 또한, 혈중 인슐린 농도의 변화는 투여 후 30, 60, 90, 120 및 180분 마다 마우스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혈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마우스 인슐린 ELISA 키트(shbayagi,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포도당 투여군(DM)은 투여 30분 후에 혈당 수치가 가장 높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증류수 투여군(NOR)과 비교하여 모든 구간에서 혈당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벌개미취 추출물 과립제를 투여한 군은 투여 후 30 내지 120분 동안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 수치가 감소하였다(도 1a). AUC 결과 또한, 벌개미취 추출물 과립제를 투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 수치가 감소하여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다(도 1b).
한편, 인슐린 수치는 포도당 투여군에서 투여 후 60분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벌개미취 추출물 과립제를 투여한 군은 인슐린 수치가 포도당 투여 후 90분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도 2).
< 실험예 2> 2형 당뇨모델 마우스에서의 혈당강하 효과 확인
60% 고지방 식이로 비만 및 당뇨가 유발된 17주령의 2형 당뇨모델 마우스(diet-induced obesity mouse(DIO), Jackson laboratory, USA)를 1주일간 순화시켰다. 이를 군당 8마리씩 무작위로 5군(정상 마우스 포함)으로 나눈 후 두 군에 각각 체중(kg)당 250 또는 500 mg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과립제를 4주간에 걸쳐 1일 1회 경구 투여한 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OGTT를 수행하였다. 이때, 음성대조군(NOR)은 포도당만을, 양성대조군(MET)은 포도당과 체중(kg)당 350 mg의 메토포르민을 함께 경구투여하였다. 한편, 정상마우스에는 동량의 멸균증류수를 경구투여하였다.
그 결과, 포도당 투여군은 투여 30분 후에 혈당 수치가 가장 높았다가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메토포르민을 투여한 군에서는 정상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혈당 수치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한편, 벌개미취 추출물 과립제를 투여한 군은 투여 후 30분 내지 120분 동안 혈당 수치를 감소시켰다(도 3a). AUC 결과 또한 벌개미취 추출물 과립제를 투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b).
한편, 인슐린 수치는 포도당 투여군에서 변화가 없었으나, 벌개미취 추출물 과립제를 투여한 군은 포도당 투여 후 90분까지 인슐린 수치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도 4).

Claims (8)

  1.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된, 과립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물을 용매로 추출된, 과립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제가 벌개미취 추출물 분말을 과립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15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는, 과립제.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제가 단위 제형당 1.2 내지 3 g의 벌개미취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과립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제가 감미제, 보존제, 결합제, 착향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과립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제가 경구로 투여되는, 과립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제가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인, 과립제.
KR1020170088202A 2017-07-12 2017-07-12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KR20190007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02A KR20190007167A (ko) 2017-07-12 2017-07-12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02A KR20190007167A (ko) 2017-07-12 2017-07-12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67A true KR20190007167A (ko) 2019-01-22

Family

ID=6532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02A KR20190007167A (ko) 2017-07-12 2017-07-12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1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69B1 (ko) 2007-03-09 2008-07-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69B1 (ko) 2007-03-09 2008-07-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SHARANGİ et al. Stevia: Medicinal Miracles and therapeutic magic
KR20220078140A (ko)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Sai et al.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of the leaves of Tinospora cordifolia and Sauropus androgynus in diabetic subjects
US1105874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stress diseases,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987554B1 (ko) 새싹보리의 풋내와 누에가루 및 꾸지뽕의 불쾌취를 제거한 항산화 또는 혈당강하 활성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누에가루 및 꾸지뽕잎 혼합차 제조방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7167A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
CN109464540A (zh) 一种缓解口腔及咽喉不适的喷雾剂及其制备方法
KR102206882B1 (ko) 고구마 줄기 또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569666B1 (en) Herbal preparation for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and neurologic disorders
KR102234860B1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7165A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제
KR20190007163A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제제
WO2006128335A1 (fr) Miel d&#39;echinacee et sa preparation orale
US2022040150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weet potato stem or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ear disease
KR20160133914A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KR102131044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5845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0123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8383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472333B (zh) 治療口腔念珠菌病之口服草本組成物
KR102313249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3354B1 (ko) 꼬리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180051077A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