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887B1 -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887B1
KR102564887B1 KR1020200167345A KR20200167345A KR102564887B1 KR 102564887 B1 KR102564887 B1 KR 102564887B1 KR 1020200167345 A KR1020200167345 A KR 1020200167345A KR 20200167345 A KR20200167345 A KR 20200167345A KR 102564887 B1 KR102564887 B1 KR 10256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hours
preven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140A (ko
Inventor
구교창
서상완
Original Assignee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0016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8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황금 추출물 15~25중량%, 금은화 추출물 5~15중량%, 오가피 추출물 15~25중량%, 숙지황 추출물 15~25중량%, 오미자 추출물 15~25중량% 및 계피 추출물 5~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부작용이 없으면서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며,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
본 발명은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작용이 없으면서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의 호흡기는 물리 화학적인 자극에 대해 끊임없이 방어하고 있는 기관 중 하나로 자극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면 대부분의 자극물질은 코털에 걸려 호흡기로 들어오지 못하나 이를 통과한 미세한 자극물질은 점액으로 둘러싸이고, 기도 벽에 위치한 미세한 섬모의 운동에 의해 위로 또는 밖으로 내보내 지게 되는데, 바로 이것이 기침의 기본 작용원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침은 기도 점막 자극에 의해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방어기전으로, 지나친 자극에 의한 지속적인 기침이 유발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경감시키고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기침과 같은 원리로 외부에서 먼지나 자극물질 등이 유입되면 우리 몸의 기관지에서는 타액과 함께 근육운동을 해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것이 객담(가래) 형성의 원인이며 폐 등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서 짙은 화농성 객담이 생기게 된다.
결과적으로 찬 공기,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 외부 이물질, 대기 오염 물질,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과 같은 물리 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기침 및 가래가 발생되며 이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물리 화학적 요인으로 인해 후두, 기관, 기관지, 인두, 부비동, 횡격막 등의 기침 수용체를 자극하면 뇌의 연수 부위의 기침 중추에 자극이 전달되고 기침 반사가 일어난다. 이러한 자극성 기침 반사와 밀접히 관련있는 진해제의 기전은,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대별되며, 중추성 진해제의 기전은 연수의 해소 중추를 억제하여 기침을 조절하는 약물로서 코데인(codeine), 덱스트로메토르판(dextromethorphan), 노스캡핀(noscapine), 에페드린(ephedrine), 지페프롤(zipeprol) 등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종종 심혈관계 혈전반응이나 심근경색, 호흡억제, 진정작용,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말초성 진해제는 말초에 있는 신장 수용체(stretch receptor)에 작용하여 기침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중추성 진해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이러한 진해제의 개발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레보프로피진(levopropizine), 벤조나테이트(benzonatate), 벤조자인(benzozaine), 벤질알콜(benzyl alcohol) 등이 사용되고 있다.
둘째, 물리 화학적 요인으로 인해 부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면 기관지 평활근이 수축하고 따라서 기관지 경련이나 기관지 수축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베타 2 아고니스트(β2-adrenergic receptor agonist)는 베타 2 수용체를 자극하여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잔틴(xanthine) 유도체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의 억제에 의한 cAMP를 증가시키거나 기관지 평활근을 직접 이완시키는 역할을 하여 점액분비를 증대시키면서 점액을 용해시키며 섬모운동을 촉진시켜 진해, 거담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로는, 베타 2 아고니스트인 클렌부테롤(clenbuterol), 밤부테롤(bambuterol), 포르모테롤(formoterol) 등이 있고, 잔틴(xanthine) 유도체인, 테오필린(theophylline),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아세피필린(acepifylline), 바미필린(bamifylline) 등이 있다.
이외에 생성된 점액을 용해시켜 점도를 감소시키고 기관지의 섬모 운동을 촉진함으로써 객담 배출을 촉진시키는 점액 용해제 또는 거담제 등이 있다. 기도 점액은 기도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즉, 외부에서 기도로 들어온 입자로부터 기도를 보호하고, 흡입공기의 습도를 유지하며, 흡입된 화학물질이나 가스 등을 점액의 단백질과 결합, 섬모 작용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가진다. 또한, 점액은 이뮤노글로블린 A(IgA), 라이소자임(lysozyme), 락토페린(lactoferrin) 등과 같은 면역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거담제는 식물 등을 이용하여 수천 년 동안 민간약 또는 경험처방으로 사용하여 왔고 화합물로는 카르보시스테인(carbocysteine),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시스테인 에틸에스테르 염산염 등과 같은 시스테인 유도체가 거담제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시스테인 유도체들이 거담제로 사용될 때 완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며 특히, N-아세틸 시스테인 및 시스테인 에틸에스테르 염산염은 모두 독성이 강하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물리, 화학적 안정성은 좋으면서 보다 적은 부작용과 독성, 우수한 거담효과를 갖는 거담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셋째, 물리 화학적 요인으로 인해 비만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 등이 방출하게 된다. 비만세포는 히스타민(histamine)이나 사이토카인(cytokine) 등과 같은 염증 매개물질을 함유하는 작은 사이토플라스믹 그라뉼(cytoplasmic granule)을 포함하고 있다. 알러지 유발인자(Allergen)에 노출되면 체내에서는 IgE라는 항체가 B 세포에서 생성되는데, 이것이 비만세포 표면에 부착된다. 이후 다시 알러지 유발인자에 노출되면 IgE가 부착된 비만세포에서는 강력한 염증 매개체인 히스타민을 비롯한 화학물질들이 방출되어 이에 의해 기도 내 분비물, 염증에 의한 삼출액, 흡입 이물, 세균 등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객담 형성으로 이어진다. 진해제로 널리 쓰이는 코데인 등의 기존 약물들은 호흡 및 기침에 대한 진정 작용이 뛰어나지만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발하여 히스타민을 유리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진해 거담제는 부작용과 독성 및 약물 자체의 화학적 불안정성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연물 유래의 진해거담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기도의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점막의 분비를 촉진시켜 거담작용을 발현함과 동시에 진해작용의 보조적 역할을 하는 사포닌(saponin), 알칼로이드(alkaloid) 등을 함유하는 식물에 관한 보고가 있기도 하지만, 그 성과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2222호(2016.10.04.)에는 한약재를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약재를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이 호흡기 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항염증 효과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KR 10-1662222 B1 2016.10.04.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15~25중량%, 금은화 추출물 5~15중량%, 오가피 추출물 15~25중량%, 숙지황 추출물 15~25중량%, 오미자 추출물 15~25중량% 및 계피 추출물 5~15중량%를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금 추출물은 황금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며,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금은화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며,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오가피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며, 상기 숙지황 추출물은 숙지황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며,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며, 상기 계피 추출물은 계피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황금 추출물 15~25중량%, 금은화 추출물 5~15중량%, 오가피 추출물 15~25중량%, 숙지황 추출물 15~25중량%, 오미자 추출물 15~25중량% 및 계피 추출물 5~1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면역력증강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면역력증강제는 홍삼농축액 30중량%, 당귀추출물 30중량%, 클로렐라 20중량% 및 소엽추출물 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홍삼농축액은 홍삼 100중량부에 감귤착즙액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80~85℃에서 20~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원심분리, 여과 및 감압농축하며, 상기 당귀추출물은 참당귀를 85% 메탄올로 1시간씩 3회 수욕상에서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며, 상기 소엽추출물은 소엽 100중량부에 100% 메탄올 500중량부를 가하여 12시간 동안 상온에 침지시킨 후 여과한다.
상기 황금 추출물 15~25중량%, 금은화 추출물 5~15중량%, 오가피 추출물 15~25중량%, 숙지황 추출물 15~25중량%, 오미자 추출물 15~25중량% 및 계피 추출물 5~1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맛증진제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맛 증진제는 구기자추출액 50중량%, 맥문동추출액 35중량%, 스테비아추출액 10중량% 및 프락토올리고당 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구기자추출액은 구기자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5~10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며, 상기 맥문동추출액은 맥문동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105~110℃에서 5~7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며, 상기 스테비아추출액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정제수 600~70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에 여과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NO 생성 억제효과 및 세포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사이토카인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Mitogen에 의한 비장세포 증식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NK세포의 활성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기관지 천식 Mouse 모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OVA로 유도한 기관지 천식에서 기도과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OVA로 유도한 기관지 천식에서 폐조직의 조직학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15~25중량%, 금은화 추출물 5~15중량%, 오가피 추출물 15~25중량%, 숙지황 추출물 15~25중량%, 오미자 추출물 15~25중량% 및 계피 추출물 5~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황금 추출물은 황금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금(생약명: Scutellaria Root, 학명: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식물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폐, 담, 위, 대장 및 소장경에서 작용한다. 황금은 열을 식히고 습기를 말리며, 열을 태움으로써 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황금은 지혈 및 임산부의 태기를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은 습기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열병, 덥고 따듯하며 가슴이 답답하여 토하고 앓는 증상, 습한 열로 인해 흉부가 막혀 가득차고 답답한 반면, 아프지는 않은 증상, 황달, 폐에 열증이 생겨 기침이 나는 증상, 몸의 열이 높아 가슴에 열감과 갈증을 느끼는 증상, 혈액에 열이 높아 코피가 나는 증상, 종기 및 부스럼, 임산부의 복중 태아의 움직임이 불안한 증상, 자궁출혈, 혈뇨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금은화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이다. 인동덩굴은 줄기 또는 잎이 부착한 줄기를 인동이라 한다. 한국내에서는 전국 각지의 길섶, 산기슭, 개울가에 잘 자란다. 6, 7월경에 흰색의 꽃이 나중에 노란꽃이 된다고 하여 금은화라고 하며 초여름에 꽃봉오리가 맺혀 개화되기전 상태로 모아 그늘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꽃봉오리는 작은 막대모양을 한 꽃봉오리와 입술모양의 꽃이 섞여 있으며 길이는 15~35mm 정도이고, 위부분은 직경 약 3mm, 아래부분은 직경 약 1.5mm이다. 바깥면은 황백색 또는 녹백색이고 오래 저장한 것일수록 색은 진하다. 확대경으로 보면 연한 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은 녹색으로 끝이 5개로 갈라져 있고 갈라진 조각은 털이 있고 길이가 약 2mm이다. 수술은 5개로 황색이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에는 털이 없다. 맛은 담배하고 쓰며 특유한 냄새가 난다. 금은화의 주요 활성 물질에는 다양한 작용기를 가진 페놀성 화합물(phenolic compounds), 이리돌리스(iridoli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이 있다.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함유된 천연물질 중에서 생리활성과 함량이 우수한 물질로는 페놀성 화합물 중 chrologenic acid, 3,5-dicaffeoylquinic acid, 이리돌리스 중 swerosids와 (E)-aldosecologanin, 그리고 플라보노이드 중 luteolin-7-O-glucoside 등이 보고되어있다. 금은화는 몸의 열증을 제거하고 독성 물질의 작용을 없애는 약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종기, 매독, 임질, 치질, 맥관염 등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약리적으로는 이질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대장균, 백일해균, 디프테리아균, 결핵균, 포도구균, 용혈성 연쇄구균 등에 비교적 강력한 염증 억제 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및 혈액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키는 약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오가피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가피는 오갈피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아칸토파낙스 세실리플로루스(Acanthopanax sessiliflorus)로 식물 분류학적으로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 관목이며,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은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오가피에 함유된 리그난(lignan) 계통의 아칸토시드(acanthoside) B 및 D(eleutheroside E)는 강장, 당질 및 지방대사, 알코올 해독, 식욕 증진, 혈액 순환, 보온, 변비 개선 및 지방간에 유효하며, 아칸토시드 A와 C는 골수 조절, 백혈구 증가(면역, 저항력 향상), 알러지성 질환 개선, 암 치료 후 빠른 회복에 효과가 있다.
상기 숙지황 추출물은 숙지황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지황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 purpurea Makino 또는 R. glutinosa Liboschitz)의 뿌리를 가공한 것으로, 혈액 결핍 및 이에 따른 간과 심장의 영양 부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또한 간과 신장의 음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간과 심장의 영양 부족에 따라 등 통증, 어지럼증, 현기증, 이명, 청력감퇴, 주기적인 발열,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숙지황은 충을 보충하고, 뼈골을 채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장의 영양결핍에 따른 헛기침, 천명, 천식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에 속하는 넝굴성 식물인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껍질의 신맛, 과육의 단맛, 씨의 맵고 쓴맛, 전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짠맛 등 다섯 가지 맛이 배어난다고 해서 오미자라고 불린다. 오미자는 식용 및 약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오미자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는 디벤조[a,c]시클로옥타디엔(dibenzo[a,c]cyclooctadiene) 골격을 가진 약 30종류의 리그난이 포함되고, 대표적인 생리 활성 물질로는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디옥시시잔드린(deoxyschizandrin), 시잔드롤(schizandrol) 등이 있다. 오미자의 약리작용으로서 항산화, 항균, 항혈전, 항비만, 항염증, 항암, 간 보호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계피 추출물은 계피 1중량부에 70%(v/v) 에탄올 20중량부를 가하고 75~85℃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피(Cinnamomum verum)는 중국 남부 및 북 베트남에서 주로 많이 생산된다. 모양은 반관상, 반통상 또는 한쪽으로 말려 들어가 있는 관상의 껍질인데, 대부분 조각 형태로, 크기는 다양하다. 바깥 면은 짙은 적갈색이고 내면은 평탄하나 역시 적갈색이고 파절이 용이하다. 특이한 향이 있고 맛은 처음에 약간 달고 매우며 나중에는 점액성을 띄고 떫다. 성분은 시남 알데하이드가 주성분이며, 그 외에도 시나밀 아세테이트, 페닐프로필아세테이트, 계피산, 살리실알데하이드 등이 있으며, 디테르페노이드류로는 신제일라놀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정유(essential oil)로서 캠펜, 시네올, 유제놀 등이 있다. 계피는 다양한 효능과 향이 있어 한방 및 민간요법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차, 음료 또는 한약의 재료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알려진 약리작용으로는 혈압강화, 말초혈관 확장, 혈액순환이 있고, 한방에서는 감기, 진통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15~25중량%, 금은화 추출물 5~15중량%, 오가피 추출물 15~25중량%, 숙지황 추출물 15~25중량%, 오미자 추출물 15~25중량% 및 계피 추출물 5~1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면역력증강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면역력증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므로써 면역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면역력증강제는 홍삼농축액 30중량%, 당귀추출물 30중량%, 클로렐라 20중량% 및 소엽추출물 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홍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4~6년 근 수삼을 선별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증기에 쪄서 말린 것이다. 한의학적으로는,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고 약간 쓰며, 비, 폐, 심장으로 들어가 원기를 보충하고 진액을 만드는 등,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의 효과가 있는 대표적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홍삼은 증숙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유효 성분이 보다 농축되는데, 사포닌과 같은 인체에 유효한 생리활성 성분이 생성되어 소화흡수가 잘되고 면역체계 증진 및 기능강화에 도움을 준다.
상기 홍삼농축액은 홍삼 100중량부에 감귤착즙액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80~85℃에서 20~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원심분리, 여과 및 감압농축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당귀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안젤리카 기가스(Angelica gigas NAKAI), 안젤리카 시넨시스(A. sinensis DIELS), 안젤리카 아쿠틸로바(A. acutiloba KITAG.)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보혈화혈, 조경지통, 윤조활장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뿌리는 진정작용, 진경작용, 혈압내림작용 등이 있고, 뿌리정유의 수용액을 관절염에 쓰면 진통작용과 소염작용이 있다고 하며, 한방에서는 빈혈증, 부인병, 임산부의 산후 회복에 주로 쓰이며 이 밖에도 심한 기침, 부스럼 등에 쓰인다.
상기 당귀추출물은 참당귀를 85% 메탄올로 1시간씩 3회 수욕상에서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클로렐라(chlorella)는 담수, 해수, 공기, 토양 등 다양한 생태계에서 생존하며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햇빛으로부터 광합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무기물로부터 탄소원을 얻어 독립적으로 성장이 가능한 생물을 일컫는다. 클로렐라는 편모가 없어 운동력이 없고, 세포는 1개의 핵과 컵 모양의 엽록체로 이루어지며, 성장한 세포는 특이한 세포 분열을 통해 빠르게 증식하고, 보통 4개의 딸세포가 내생포자를 형성하고 있으며, 피레노이도사(Pyrenoidosa), 불가리스(Bulgaris), 엘립소이데아(Ellipsoidea) 등 현재 약 1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클로렐라는 5대 영양소를 비롯한 40여 가지의 영양소를 모두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광합성 능력도 우수하여 엽록소가 일반 채소류보다 10배나 많고, 현대인에게 결핍되어 있는 미네랄(mineral),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신체 영양의 균형을 맞추어 주고, 면역력 강화, 중금속 배출, 다이옥신 흡수 억제 등에 대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게다가, 클로렐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육류나 곡류 등의 과다섭취로 인한 산성 체질을 알칼리성 체질로 변화시켜 주어 체내의 이온 밸런스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유용한 기능을 한다.
상기 소엽(Perilla Leaf)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로서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의 잎이다.
상기 소엽추출물은 소엽 100중량부에 100% 메탄올 500중량부를 가하여 12시간 동안 상온에 침지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15~25중량%, 금은화 추출물 5~15중량%, 오가피 추출물 15~25중량%, 숙지황 추출물 15~25중량%, 오미자 추출물 15~25중량% 및 계피 추출물 5~1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맛증진제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맛증진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므로써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맛 증진제는 구기자추출액 50중량%, 맥문동추출액 35중량%, 스테비아추출액 10중량% 및 프락토올리고당 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구기자는 전통적으로 질병(간장, 신장, 혈압개선, 당뇨병 등)을 예방하고 원기(어지럼증, 신경성질환 등)를 회복시키는 효능으로 알려져 왔고, 주요 유효성분으로는 베타인(betaine)과 제아잔틴(zeaxanthi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피살리엔(physalien), 콜린(cholin) 등이 있으며,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베타인(betaine)과 제아잔틴(zeaxanthin)이다. 베타인(betaine)은 수용성으로 물을 용매로 하는 차나 탕에 존재하고, 제아잔틴(zeaxanthin)은 지용성으로 에탄올(ethanol)과 같은 유기용매에 추출되어 나오는 주요 기능성 성분이다. 구기자의 임상적 효능은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의 여러 본초문헌들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질환,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콜레스테롤 저감 효과도 보고된 바 있다.
상기 구기자추출액은 구기자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5~10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맥문동은 약재류로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보약재의 일부로 첨가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생맥산, 온경탕, 감초탕 등 보음약이 있다. 맥문동의 주요 약리 성분으로는 스테로이드계 사포닌인 오피오포제닌(ophiopogenine) A, B, 메틸오피오포고논(methylophiopogonone) A, B, 오피오포고나논(ophiopogonanone) A, 메틸오피오포기나논(methylophiopoginanone) A, B 등의 호모-아이소플라보노이드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β-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글루코시드, 올리고당 등의 다양한 다당류가 괴근에 약 60%이상 함유되어 있다. 맥문동 괴근에는 항암활성이 있으며 그 주요 성분이 스피케토사이드(spicatoside) A와 B의 구조를 가진 사포닌이다. 또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쥐에 맥문동 추출물 섭취량을 증가시키면 지질배설량을 증가시켜 지질이 감소되고, 기아 스트레스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켜 기아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상기 맥문동추출액은 맥문동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105~110℃에서 5~7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아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이다. 남아메리카의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등의 국경 산간지에 자생하고 있다. 잎은 피침형이고 가는 톱니가 있으며 굴곡이 있고 잎자루는 없으며 줄기에 마주나기로 붙는다. 줄기는 70-100 cm쯤 자라며 각 마디에는 잎이 달리고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돋는다. 월동 중 줄기의 기능은 상실되며 뿌리 가까이 있는 숨은 눈에서 새가지가 자라 매년 새로운 줄기를 이루게 된다. 뿌리는 원뿌리의 발달이 분명하지 않고 많은 곁뿌리와 막뿌리가 있으며, 생육 후기에는 굵은 뿌리가 발달해서 저장 기능을 가지게 된다. 꽃은 한 송이에 5-6개의 통상화가 모여서 피며, 자가불화합성의 성질을 보인다. 단일성 식물이므로 단일 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된다. 스테비아 잎에는 주요한 감미성분으로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전초 무게 대비 6-7% 함유하고 있는데, 그 함유율은 개체에 따라 차이가 크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는 감미도가 설탕의 250배이며, 비발암성 혹은 무칼로리의 당 대체 감미료로서 해산품, 피클 야채, 디저트, 음료와 과자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비만, 당뇨병,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 환자 및 충치 환자들에게 저혈당 감미료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 스테비아추출액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정제수 600~70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수득한다.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과 매우 유사한 감미질을 가지고 있으며 감미도가 설탕의 60%이고, 건강기능성까지 포함하고 있어 설탕 대체제로 주목 받고 있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을 기질로 하여 과당 전이효소를 사용하여 설탕에 과당이 1 내지 3개 결합된 성분의 혼합물을 말한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에 도움을 주고,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주는 정장작용의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황금 추출물 20중량%, 금은화 추출물 10중량%, 오가피 추출물 20중량%, 숙지황 추출물 20중량%, 오미자 추출물 20중량% 및 계피 추출물 10중량%를 혼합하여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황금추출물은 황금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황금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PVTFD20R, 일신랩(주),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였다.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금은화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금은화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PVTFD20R, 일신랩(주),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였다.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오가피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오가피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PVTFD20R, 일신랩(주),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였다.
상기 숙지황 추출물은 숙지황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숙지황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PVTFD20R, 일신랩(주),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였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오미자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PVTFD20R, 일신랩(주),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였다.
상기 계피 추출물은 계피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피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PVTFD20R, 일신랩(주),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였다.
[실험예 1]
(1) 세포배양 및 분화유도
실험에 사용한 RAW 264.7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 (KCLB,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Dulbecco’s modified Eagel’s medium, DMEM (Thermo, Waltham, MA, USA)에 10% FBS (fetal bovine serum), 1% penicilin/streptomyci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고 유지하였다.
(2) 세포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대식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MTS assay를 수행 하였다. RAW 264.7를 96 well plate에 5×103 cells/well로 분주하였으며, 10% NBCS가 함유된 DMEM을 넣어 well당 최종 용적을 100 μL로 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별로(0, 100, 200, 300, 400, 500 μg/ml)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의 각각 세포 배양액 용량의 1/10배의 MTS 용해액을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배양한 후 ELISA 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pro, 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NO(nitric oxide) 농도 측정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를 여러농도 전처리한 뒤 LPS (500 ng/㎖)를 24시간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griess reagent system (Promega, Fitchburg, WI, USA)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RAW 264.7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2×105 cells/㎖ 농도가 되도록 분주한 뒤 37℃, 5%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추출물을 각각 100, 200, 300, 400 그리고 500 ㎍/㎖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배양액과 griess reagent를 1 : 1 비율로 혼합하여 넣고 1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 PRO (TECAN, Mannedorf, Switzerland)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에 대해서는 평균치 ± 표준편차(mean ± 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간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SPSS(18.0,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nc., Chicago, IL, USA)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동물실험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성이 있는 경우,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도 1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NO는 작은 분자량은 가지는 free radical (유리기)이며, 신경전달과 혈압을 조절할 수 있는 등 인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독성을 가지기 때문에 염증반응이 일어날 때 숙주방어기전에서 세포독성에 관여하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NO의 억제는 염증반응을 억제 할 수 있는 것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NO 생성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염증매개인자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TNF-α, IL-6, IL-1β에 대한 ELISA assay를 진행하였다. 추출물들을 각각 50, 100, 250 그리고 500 ㎍/㎖ 농도로 전처리 한 뒤 LPS를 500 ng/㎖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배양액 내의 TNF-α 및 인터루킨-6의 분비량은 ELISA kit (BD Bioscience,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capture antibody (anti-mouse TNF-α 및 인터루킨-6)를 각각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coating시켰다. 이를 washing buffer (0.05% Tween-20이 포함된 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한 후 10% FBS가 함유된 PBS으로 1시간 동안 blocking한 뒤 washing buffer로 세척하였다. 각 microplate에는 산화질소(II)를 측정하였던 것과 동일한 세포배양액의 상층액을 100 μL씩 분주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washing buffer 로 세척하였다. 희석한 각각의 biotinylated anti-mouse TNF-α 및 인터루킨-6 detection antibody와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 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plate를 washing buffer로 세척한 후 tetramethylbenzidine (TMB) substrate solution을 첨가하여 암실에서 30분 동안 발색시킨 다음 1M 인산을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정지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의하면, TNF-α의 농도는 LPS 단독 처리군은 비처리군에 비교하여 979.06 ± 3.98 pg/㎖의 농도로 증가하였지만 500 ㎍/㎖의 OJ-E70을 처리하였을 때 650.17 ± 3.25 pg/㎖로 감소하였다.(A)
IL-6 ELISA assay에서 LPS 단독 처리군은 IL-6 생성이 1990.38 ± 10.79 pg/㎖로 증가되었지만 500 ㎍/㎖의 OJ-E70을 처리하였을 때 1804.13 ± 27.46 pg/㎖의 농도로 감소되었다.(B)
다음으로 IL-1β 생성을 확인해본 결과, LPS 단독 처리군은 생성량이 288.28 ± 14.84 pg/㎖으로 증가되었지만 500 ㎍/㎖의 AY-E70을 처리하였을 때 220.38 ± 3.67 pg/㎖의 농도로 감소되었다.(C)
결과를 종합하면 500 ng/㎖ LPS 처리에 의해 증가된 IL-6, IL-1β의 경우 감소된 정도가 미약했으나, TNF-α 의 생성은 500 ㎍/㎖ 농도의 AY-E70을 처리했을 때 눈에 보이게 감소되었다.
[실험예 3]
실험동물을 경추탈골하여 비장을 무균적으로 적출한 후 멸균 유리봉으로 가볍게 분쇄하여 유리시켰다. 분리된 세포현탁액은 RPMI 1640 medium (Hyclone, Logan, UT, USA)내에서 200 메시(mesh) 스테인리스 강 체(stainless steel sieve)에 통과시켜 세포를 유리시켰다. 분리된 세포 현탁액을 100 μm cell strainers (BD Falcon, Palo Alto, CA, USA)에 통과시켜 배양액으로 2번 세척하고,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red blood cell lysing buffer (Hybri-MaxTM, Sigma-Aldrich)에 5분간 처리하여 적혈구를 제거하였다. 적혈구가 제거된 비장세포는 다시 RPMI 1640 배양액에 분산시켜 trypan blue solution으로 염색한 후 혈구계수기(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24-well plate에 3.0×106 cell/mL로 분주하였다. 각 군당 mitogen으로 Con A(concanavalin A, 7.5 μg/mL) 및 지방질다당류(30 μg/mL)를 첨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세포증식능을 CCK-8 assay로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비활성화된 림프구(non-activated lymphocyte)의 경우, 각종 항원이나 mitogen, 사이토카인 등 여러 종류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단계에서 세포증식(proliferation)이 일어나게 되며 활성화정도는 mitogen-stimulated response에 의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새로운 면역 조절제를 탐색하는 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OJ의 투여가 비장세포의 증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비장으로부터 분리된 비장세포(splenocyte)에 T세포의 mitogen인 Con A와 B세포의 mitogen인 지방질다당류를 이용하여 림프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3 A와 같았다.
T 림프구 증식률의 경우,정상대조군(CON)에 비해 양성대조군(PC)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GHW)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 림프구의 증식능에서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GHW)을 100 mg/kg 및 200 mg/kg으로 투여한 모든 군에서 정상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3 B).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투여가 비장세포를 증식시키는 mitogen 활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외부의 항원에 노출 시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면역세포의 수를 증가시켜 외부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자연살해세포에 의해 파괴되는 종양세포 Yac-1세포로부터 유리되는 젖산 수소제거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Yac-1 (targetcell) 세포는 96-well U-bottom culture plate에 1×104 cell/well이 되도록 조정한 후 분리된 비장세포(effector cell)와 같이 배양하였으며 effector-to-target 세포 비가 10:1, 5:1, 2.5:1이 되도록 세포수를 조정하였다.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시킨 후 에 자연살해세포의 사멸능에 의해 표적세포로부터 유리되는 젖산 수소제거효소의 발생량을 EZ-LDH Cell Cytotoxicity Assay Kit (DoGen,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자연살해세포는 주로 혈액에 존재하며 내재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로 암 또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서 생체의 초기 면역방어에 매우 중요하다. 감염세포 혹은 암세포 등의 비자기(non-self) 세포를 살해하는 세포성 면역활성을 가지고 있어 표적물질과 접촉하게 되면 활성화되어 표적세포를 파괴하게 된다. 또한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이 체내에 들어와 복제를 위해 숙주세포로 들어가는 것을 막거나 침투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찾아 제거하기도 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의한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는 마우스의 비장으로부터 분리된 비장세포(splenocyte)와 자연살해세포에 민감한 세포로 알려진 Yac-1 세포를 함께 배양하여 Yac-1 세포의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200 mg/kg BW의 농도로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세포는 정상대조군(CON)에 비하여 effector 세포와 표적세포의 비율이 10:1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양성대조군 (PC)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YAC-1 세포에 대한 사멸 정도가 양성대조군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GHW, 200 mg/kg)의 투여군에서 각각 81.2, 63.1% 증진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4 참조)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NK세포의 활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비장세포에서 TNF-alpha와 IL-5의 생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할 수 있었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기관지 천식모델에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00 μg의 OVA과 1 mg Alum을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pH 7.4) 0.2 ml에 혼합하여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1차 전신 감작 후, 15일째에 동일한 방법으로 2차 감작을 통해 면역boosting을 유도 한 후, A를 생리식염수로 농도별로 희석하여 18일부터 24일까지 일주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5% OVA in PBS를 22, 23, 24일에 3일 연속 30분간 분무하여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을 유도하였다. 마지막 OVA을 분무한 뒤,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분석하였다(도 5 참조).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TNF-α와 IL-5의 발현에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기관지 천식 모델 적용하여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기도과민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군 (Normal)과 천식유발군 (ovalbumin,OVA)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처리군(GHW 0.05, 0.1, 0.5 g/kg 처리군)에 methacholine을 농도별로 노출시켜 그에 대한 기도저항값(Penh)을 조사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처리군(GHW)의 Penh 값은 0.5g/kg, 0.1 g/kg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유의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6]
기관지 천식 유발 마우스의 폐조직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VA 마지막 분무 24시간 후에 폐조직을 H&E 염색해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의하면, 정상군에서는 기도벽이 얇고 선명하며, 염증세포의 침윤이 보이지 않으나, 천식유발군(OVA)에서는 기도의 협착과 기도벽의 두께가 증가되어 있고 염증세포의 침착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0.5 g/kg군(GHW)에서는 기도의 협착과 기도벽의 두께가 천식유발군에 비해 감소하였는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0.1 g/kg 군(GHW)에서는 천식유발군에 비해 기도벽이 얇아지고, 손상된 폐포의 형태도 정상수준으로 돌아왔으며 염증성세포의 침윤 또한 정상군의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황금 추출물 20중량%, 금은화 추출물 10중량%, 오가피 추출물 20중량%, 숙지황 추출물 20중량%, 오미자 추출물 20중량% 및 계피 추출물 10중량%를 혼합하되,
    상기 황금추출물은 황금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황금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고,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금은화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금은화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고,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오가피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오가피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고,
    상기 숙지황 추출물은 숙지황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숙지황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고,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오미자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고,
    상기 계피 추출물은 계피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피 1㎏에 70%(v/v) 20ℓ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Freeze dry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수득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67345A 2020-12-03 2020-12-03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6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45A KR102564887B1 (ko) 2020-12-03 2020-12-03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45A KR102564887B1 (ko) 2020-12-03 2020-12-03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140A KR20220078140A (ko) 2022-06-10
KR102564887B1 true KR102564887B1 (ko) 2023-08-09

Family

ID=8198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345A KR102564887B1 (ko) 2020-12-03 2020-12-03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221A (ko) 2022-08-31 2024-03-12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아연염 및 사이클로-히스프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7435B1 (ko) 2022-09-26 2023-11-30 (주)한생플래닛 꾸지뽕 복합증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음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682A (ko) * 2012-01-26 2013-08-05 한국스포츠생명공학협회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KR101662222B1 (ko) 2014-12-04 2016-10-04 최철원 한약재를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140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Bhutya Ayurvedic Medicinal Plants of India (Vol. 1)
KR20020041639A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564887B1 (ko)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3013496A1 (zh) 一种清热降火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hursheed et 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on Adhatoda zeylanica (medic.): A review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7397098B (zh) 一种铁皮石斛叶饮品及其制备方法与应用
Moorthy et al. Hemidesmus indicus (L.) R. BR.: an overview
CN1965670A (zh) 一种荷叶鱼腥草饮料
US7399491B2 (en) Health promoting functional foods fortified with herbs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CN110151851A (zh) 一种以金银花甘草药对为基础的复合物及其应用
Soni et al.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profile of Bambusa arudinacea Retz
Divya et al. Ethno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medicinal plants used By Kani Tribes of Thachamalai hill, Kanyakumari, Tamilnadu, India
CN109464540A (zh) 一种缓解口腔及咽喉不适的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09248258A (zh) 一种口腔手术后护理用中草药含漱液
KR101758639B1 (ko) 인동등, 우방자 및 황금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CN102524490A (zh) 美人香体制品及其制备方法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8992559A (zh) 用于防治风热感冒及病毒性流感的兽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344434B (zh) 一种治疗肺结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