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24305A1 -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24305A1
WO2023224305A1 PCT/KR2023/006317 KR2023006317W WO2023224305A1 WO 2023224305 A1 WO2023224305 A1 WO 2023224305A1 KR 2023006317 W KR2023006317 W KR 2023006317W WO 2023224305 A1 WO2023224305 A1 WO 20232243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joint pain
preventing
composition
arthriti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63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윤미
김동선
손은정
육흥주
성윤영
김영숙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4180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61341A/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32243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243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은 연골기질 분해효소(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관절염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체중부하율을 증가시키고, 염증유발인자(TNF-α, IL-6, IL-1β, 5-LOX, COX-2, PGE2 및 LTB4)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MMP-2, MMP-9)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결과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한국한의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과제번호: 1711100504, 1711175250).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관절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이 성별에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에는 위염, 대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동맥경화, 암 또는 퇴행성 질환 등이 포함된다. 그 중 현재까지 관절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약제나 치료법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관절염은 노화, 기계적 손상, 면역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관절 내에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지칭한다.
상기한 관절염 중에서,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칭해지기도 하는 관절염의 일종으로서, 윤활 관절에서 연골과 주위골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서 생기는 관절염을 말한다. 즉,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점차적인 소실과 더불어 연골 하방에 위치한 뼈의 비대, 관절 가장자리 부위의 골 생성 및 비특이적인 활막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은 노화나 과도한 물리적 압박(예를 들어, 비만, 외상 등)에 의해서 연골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골관절염은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슬)관절, 엉덩이 (고)관절 등에 심한 통증과 운동 장애를 나타내며,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관절의 변형까지 초래하게 된다.
또한, 통풍성 관절염은 관절 내 공간과 조직에 요산이 침착되면서 발생하는 염증으로, 혈액 내에 요산(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purine)이라는 물질을 인체가 대사하고 남은 산물)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염(요산이 혈액, 체액, 관절액 내에서는 요산염의 형태 존재함)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는 질병이다. 이러한 현상은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여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재발성 발작을 일으킨다.
한편,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은 앵초과(Primulaceae)에 속하는 다육질의 2년생 초본류로서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남해안지역의 햇빛이 잘드는 해안가의 바위틈이나 사면에서 잘 자란다. 잎은 호생하고 두터운 육질이며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핀다. 보통 9월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채파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해안가에 자생하기 때문에 내염성이 크며, 작은 분재화분에 심어 초본 분재로 이용하거나 실내정원, 암석원, 노지정원 등에 식재하여 이용할 수 있는 관상가치가 높은 자생식물이다.
관절염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380970호에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항혈액암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6770호에는 '천연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이 연골기질 분해효소(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관절염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체중부하율을 증가시키고, 염증유발인자(TNF-α, IL-6, IL-1β, 5-LOX, COX-2, PGE2 및 LTB4)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MMP-2, MMP-9)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은 연골기질 분해효소(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관절염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체중부하율을 증가시키고, 염증유발인자(TNF-α, IL-6, IL-1β, 5-LOX, COX-2, PGE2 및 LTB4)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MMP-2, MMP-9)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MMP-1의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IL-1β은 IL-1β(10ng/㎖) 단독 처리군이며, IL-1β+갯까치수염은 IL-1β(10ng/㎖) 및 갯까치수염 추출물(10㎍/㎖) 처리군이다.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 대비 IL-1β 처리군의 MMP-1 함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다. *은 IL-1β 처리군 대비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10㎍/㎖) 처리군의 MMP-1 함량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다.
도 2는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갯까치수염 추출물에 의한 체중부하율 변화를 21일 동안 확인한 결과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MIA는 MIA로 유도한 골관절염 유도군이며, MIA+GLM은 양성대조군으로, MIA(monosodium iodoacetate) 및 GLM(green lipped mussel) 투여군이고, MIA+갯까치수염은 MIA 및 200㎎/㎏의 갯까치수염 추출물 투여군이다.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골관절염 유도군의 체중부하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 ***, ****은 골관절염 유도군 대비 MIA+GLM 또는 MIA+갯까치수염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부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01이며, ****은 p<0.0001이다.
도 3은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갯까치수염 추출물에 의한 염증유발인자(TNF-α, IL-6, IL-1β, 5-LOX, COX-2, PGE2 및 LTB4)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MIA는 MIA로 유도한 골관절염 유도군이며, MIA+GLM은 양성대조군으로, MIA(monosodium iodoacetate) 및 GLM(green lipped mussel) 투여군이고, MIA+갯까치수염은 MIA 및 200㎎/㎏의 갯까치수염 추출물 투여군이다. ###,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골관절염 유도군의 염증유발인자의 발현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01이며, ####은 p<0.0001이다. *, **, ***, ****은 골관절염 유도군 대비 MIA+GLM 투여군 또는 MIA+갯까치수염 추출물 투여군의 염증유발인자의 발현량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1이고, ***은 p<0.001이며, ****은 p<0.0001이다.
도 4는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갯까치수염 추출물에 의한 연골 퇴행 유발인자(MMP-2, MMP-9)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MIA는 MIA로 유도한 골관절염 유도군이며, MIA+GLM은 양성대조군으로, MIA(monosodium iodoacetate) 및 GLM(green lipped mussel) 투여군이고, MIA+갯까치수염은 MIA 및 200㎎/㎏의 갯까치수염 추출물 투여군이다. #,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골관절염 유도군의 연골 퇴행 유발인자의 발현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은 p<0.0001이다. *, ****은 골관절염 유도군 대비 MIA+GLM 투여군 또는 MIA+갯까치수염 추출물 투여군의 연골 퇴행 유발인자의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001이다.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갯까치수염은 갯까치수염의 어느 부위라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잎을 사용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관절염은 골관절염이고, 상기 관절통증은 골관절염에 의한 관절통증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유효성분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갯까치수염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갯까치수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갯까치수염의 추출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절염은 골관절염이고, 상기 관절통증은 골관절염에 의한 관절통증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2,0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30~500mg/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300mg/kg이며, 하루 1~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고,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한의학적 처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갯까치수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1kg의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잎에 대하여, 15ℓ의 70%(v/v) 에탄올을 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액을 45℃에서 감압 농축, 건조하여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연골 세포에서 항염증 효능 평가
인간 연골세포(SW1353)에서 갯까치수염 추출물 처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에 의해 활성화되는 연골기질 분해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세포 배양]
DMEM/F12(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Nutrient Mixture F-12)에 10% FBS(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인간 연골세포(SW1353)를 배양한 후, 10㎍/㎖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처리하고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IL-1β(10ng/㎖)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1) IL-1β가 매개하는 MMP-1의 발현 감소 효과 확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따른 MMPs의 발현 증가 및 활성화로 인해 연골조직을 구성하는 연골기질분자(extracellular matrix, ECM)가 분해되는데, 갯까치수염 추출물이 MMPs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ELISA 키트(R & D System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L-1β를 24시간 처리한 배양 상등액에서 MMP-1의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이 전처리된 세포에서는 IL-1β에 의한 MMP-1의 발현량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도 1).
실시예 3. MIA(monosodium iodoacetate)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갯까치수염 추출물이 체중부하에 미치는 효과 확인
갯까치수염 추출물이 MIA로 유도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의 체중부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7주령 SD 랫트의 오른쪽 뒷다리 관절강 내에 골관절염 유발물질인 MIA(0.9% saline으로 60㎎/㎖의 농도로 희석) 50㎕를 투여하여 골관절염을 유도한 후, 200㎎/㎏의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1일 1회 총 21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으며, 7일 간격으로 체중부하율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초록입홍합오일(green lipped mussel, GLM, 100㎎/㎏)을 경구투여하였다.
뒷다리 체중부하는 발 무게 측정기(Incapacitance tester, Linton instrument Co., UK, Ser No. 01/45/2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테스터의 홀더 안에서 골관절염이 유발된 랫트는 통증으로 인해 MIA를 투여하지 않은 정상적인 발에 의지하여 서게 되므로, 양쪽 발의 무게가 균형을 잃어 정상적인 발의 무게 대비 MIA를 투여한 발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게 측정되었다. 발의 무게 측정 시 SD 랫트의 배가 기기의 센서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 발의 무게(g)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된 발의 무게를 이용하여, 체중부하율(%)을 하기 식 1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체중부하는 발로 지탱하여 누르는 힘으로, 정상적인 경우 양쪽 발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 한쪽 발의 체중부하율은 50%로 나타나지만, 골관절염 유발에 의해 통증이 심해질수록 골관절염 유발 뒷다리의 체중부하율(%)이 낮아진다.
[식 1]
체중부하율(%)=[골관절염 유발 뒷다리의 무게/(양발 뒷다리의 무게)]×100
그 결과, 정상 SD 랫트군에 비해 MIA를 투여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한 군의 체중부하율(%)은 기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비하여 양성대조군 또는 갯까치수염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부하율(%)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도 2).
실시예 4. MIA(monosodium iodoacetate)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갯까치수염 추출물이 염증유발인자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에 미치는 효과 확인
골관절염이 유발된 동물의 혈액과 관절에서 염증유발인자(TNF-α, IL-6, IL-1β, 5-LOX, COX-2, PGE2 및 LTB4)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MMP-2 및 MMP-9)의 발현량을 ELISA 기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MIA에 의해 골관절염이 유발된 경우, 염증유발인자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반면,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증가한 염증유발인자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들의 발현량이 감소하였다(도 3 및 도 4). 이를 통해 갯까치수염 추출물이 골관절염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및 관절 연골 손상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2)

  1.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골관절염이고, 상기 관절통증은 골관절염에 의한 관절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까치수염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골관절염이고, 상기 관절통증은 골관절염에 의한 관절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11.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12.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
PCT/KR2023/006317 2022-05-18 2023-05-10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2430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039 2022-05-18
KR20220061039 2022-05-18
KR10-2023-0041807 2023-03-30
KR1020230041807A KR20230161341A (ko) 2022-05-18 2023-03-30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305A1 true WO2023224305A1 (ko) 2023-11-23

Family

ID=8883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6317 WO2023224305A1 (ko) 2022-05-18 2023-05-10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2430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4378A (ja) * 2014-11-17 2016-05-26 株式会社ロッテ タイミンタチバナ抽出物を配合した口臭抑制組成物
KR20190115861A (ko) * 2018-04-04 2019-10-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갯까치수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및 e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4378A (ja) * 2014-11-17 2016-05-26 株式会社ロッテ タイミンタチバナ抽出物を配合した口臭抑制組成物
KR20190115861A (ko) * 2018-04-04 2019-10-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갯까치수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및 e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 Magpie beard (Wolf Tail Flower) herbal medicine", NAVER BLOG, 8 January 2015 (2015-01-08), XP093108747,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blog.naver.com/gytlr52/220234218790> *
JIN SO-YOUNG, KANG SU, LEE DONG WHA, YIM SOO JAE, YUN YEO HON, LEE BYUNG ILL, :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MMP-3 Nitrotyrosine and Apoptosis in Articular Cartilage of Human Osteoarthritis",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vol. 35, no. 4, 1 January 2001 (2001-01-01), pages 319 - 329, XP093108745 *
KO MA WO.: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Using the Extracts and Fermentation Products from Lysimachia mauritiana Lam", MASTER'S THESIS., JEJU UNIVERSITY SCHOOL, 1 August 2017 (2017-08-01), Jeju University School, XP09310874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6127B2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899555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24305A1 (ko)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66956A1 (ko)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20230161341A (ko)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034B1 (ko)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77327A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8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30161340A (ko) 고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9A (ko) 까마귀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0903A (ko) 노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재생, 관절염 및 관절염에 의한 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43855A1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561751B1 (ko) Blb301(블랙라즈베리 및 속단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080054A1 (ko) 석류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7A (ko) 좀가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5650A (ko) 담배풀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35675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generative arthritis comprising steamed ginger extract or 1-dehydro-6-gingerdione isolat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
KR20230105651A (ko) 조밥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078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