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43855A1 -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43855A1
WO2023243855A1 PCT/KR2023/005887 KR2023005887W WO2023243855A1 WO 2023243855 A1 WO2023243855 A1 WO 2023243855A1 KR 2023005887 W KR2023005887 W KR 2023005887W WO 2023243855 A1 WO2023243855 A1 WO 20232438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bowel
extract
bowel disease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58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기선
황수걸
김형준
이강인
김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4041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72387A/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32438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438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health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hongsan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ehong Crataegus pinnatifida Bung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n extract of Dahongsans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rbal medi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hongsan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ehongsan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hongsan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Figure 1 shows the cell viability results confirmed by treating HCE cells (Human Primary Colonic Epithelial cells) with Daehongsansa extract (A) and Crataegus extract (B).
  • HCE cells Human Primary Colonic Epithelial cells
  • Daehongsansa extract A
  • Crataegus extract B
  • Figure 3 is a Western blot result confirming the change in protein expression level of cell necrosis marker according to treatment of Dahongsansa extract.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body weight changes after treating an animal model with 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Dahongsansa extract.
  •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of the control group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duc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001,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of the control group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duced group), and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of the control group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duced group), compared to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duced group.
  • the body weight of the group administered the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 Figure 5 is a photograph (A) confirming the intestinal length and a graph (B) showing the intestinal length after treating an animal model in which inflammatory bowel disease was induced with Dahongsansa extract.
  •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intestine length of the control group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duc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001, *, **** compared to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duced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 indicates that the long length of the Dahongsansa extract-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which was the Sansa extract-administered group, p ⁇ 0.0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ehong Crataegus pinnatifida Bung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Dahongshan Temple extrac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but is not limited to this:
  • step (3) Preparing an extract by dry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water, C 1 -C 4 low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water or 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method can be any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It is preferable to extract the extraction solvent by adding 1 to 20 times the weight of Dahongsansa.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20 to 100°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to 5 hours, and more preferably 2 to 4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reduced pressure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more preferably reduced pressur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aehongsansa extract is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the Daehong variety (variety protection application number 2010-10).
  • the improvement in intestinal function is preferably an improvement in irritable bowel syndrome
  •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intestinal lesions accompanying Behcet's disease, bleeding rectal ulcers, and ileal pouchitis.
  •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 intestinal lesions accompanying Behcet's disease bleeding rectal ulcers
  • ileal pouchitis a member selected from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intestinal lesions accompanying Behcet's disease, bleeding rectal ulcers, and ileal pouchitis.
  •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dosage form selected from powder, granule, pill, tablet, capsule, candy, syrup an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dding the Daehongsansa extract as is or mixing it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prepar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foods to which the Dahongsansa extract can be added include caramel, meat, sausages, bread, chocolate,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It may be in any form selected from tea, drink, alcoholic beverage, and vitamin complex, and includes all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That is,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type of foo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and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Additionally, it may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and vegetable drinks.
  • the abov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and the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dextrin, and cyclodextrin. Polysaccharide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are sugar alcohols.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not very important, but is preferably 0.01 to 0.04 g, more preferably 0.02 to 0.03 g, per 100 g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weeteners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and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hongsan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intestinal lesion accompanying Behçet's disease, bleeding rectal ulcer, and ileal pouchitis.
  • oligosaccharides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When formulated, it can be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Dahongshan Templ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and weight, degree of disease, drug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period, bu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Dahongsansh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0001 to 100 mg/kg per day, preferably at 0.001 to 10 mg/kg.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several times.
  •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bal medicine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hongsan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Dahongsan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veterina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excipients and diluent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veterina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 hydroxy benzoate, propyl 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ethanol, stearyl alcohol, liquid paraffin, sorbitan monostearate, Examples include polysorbate 60, methylparaben, propylparaben, and mineral oil.
  •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illers, anti-aggreg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spices, emulsifiers, preservatives, etc.
  •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apid and sustain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an animal. or may be formulated using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to provide sustained release, the dosage form being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olutions, syrups, aerosols, soft or hard gelatin capsules, It may be in the form of a suppository, sterile injectable solution, or sterile topical medication.
  • the effective amount of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imal.
  • both the Dahongsansa extrac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Sansa extract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normal colon cells up to 1600 ⁇ g/ml.
  • HCE Human Primary Colonic Epithelial cells per well were prepared in a 6-well plate. After 24 hours, the Dahongshansa extract extracted with 70% ethanol was treated with medium for 30 minutes, and STZ (20 ⁇ M of Smac, 10 ⁇ M of z-VAD, and 10 ng/ml of TNF ⁇ complex) was treated for 12 hours to incubate the cells. Necroptosis was induced. Afterwards, cell death values were quantified using FACS (Annexin V/PI staining, BD biosciences).
  • Example 5 Confirmation of changes in intestinal length according to treatment of Daehongshansa extract using a DS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imal model
  • mice C57BL/6-female mice (5 per group) were given 2.5% DSS (Dextran sulfate sodium) in a drinking container and allowed to drink voluntarily (the DSS drinking container was replaced with a new one every 2 days).
  • Dried Dahongshansa extract was dissolved in water and administered orally at a single concentration (400mg/kg/day) for 3 weeks, with DSS administered for the last week. After a total of 3 weeks, an autopsy was performed on the animal, and body weight and colon length were measu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거의 없고, 장보호 활성이 있으며, 세포괴사(necroptosis) 마커들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염증성 장질환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장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결과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또는 소속) 한국한의학연구원의 주요사업인 '정신신경질환(외로움, 불안, 우울) 및 관련질환에 한의치료의 뇌과학적 기전 연구'(과제번호: 1711175252, KSN2212010)를 통해 도출된 것이다.
사람의 장(腸)은 음식물 소화, 흡수, 배설의 기능 이외에도 전체 몸의 총 면역세포의 약 70%가 모여 있을 정도로 면역과 매우 밀접하고 중요한 관계를 갖고 있고 기계적 스트레스, 외부환경으로부터 오는 발암물질과 같은 화학적 스트레스, 장내 유해균 등으로부터 오는 생물학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손상을 받게 되어 장의 상피세포 손상, 줄기세포 생성, 점액질 물질 생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장 건강에 위협을 받게 된다. 서구화되고 부적절한 식습관으로 인해 염증성 장질환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 장 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당뇨병, 파킨슨 및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등 많은 대사질환도 궁극적으로 장 건강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장 건강과 성인병과의 연관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임상적으로 유사하면서도 조직학적 소견과 내시경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 서로 다른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두 가지 질환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IBD는 염증세포의 활성화가 중요한 병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면역계의 지속적이거나 부적절한 활성화는 만성 점막성 염증의 병리생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호중구, 대식세포, 림프구 및 비만세포의 침윤에 의해 결국 점막 파괴 및 궤양을 초래한다. 침윤되고 활성화된 호중구는 활성산소 또는 활성질소 종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이러한 활성종은 세포독성 물질로서 가교 단백질, 지질 및 핵산에 의해 세포성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고 상피성 기능장애 및 손상을 초래한다. 염증성 질환이 있으면 장관의 점막에서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이 분비된다. TNF-α는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대장 루멘과 대장 상피세포에서 높게 나타나며, 최근 연구에 의하면, TNF-α는 궤양성 대장염의 병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항-TNF-α 항체인 인플릭시맵(infliximab)은 종기의 치료뿐 아니라, 기존에 치료되지 않던 크론병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졌다. 현재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성을 차단하는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계통 약물 예를 들어, 설파살라진 등을 이용하거나 스테로이드류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산사는 생김새가 둥글고 붉으며, 흰색의 반점이 있다. 바깥면은 황갈색이나 회색을 띤 적갈색이며 많은 가는 주름이 있다. 한쪽에는 지름 5㎜의 오목하게 들어간 곳이 있고 그 주변에 가끔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과병 또는 자국이 남아 있다. 옆으로 자른 면에는 5실로 된 씨방이 있으며 각 방에는 1개의 씨가 들어있다. 씨는 공을 몇 개로 등분한 모양으로 길이 6~8mm이며 바깥면은 엷은 갈색이고 딱딱하며 질은 단단하다. 다른 이름으로 산사, 산리홍, 홍과, 북산사, 적과자, 산조홍, 홍과자, 양구자, 당구자, 모사, 산리과, 서사, 서사, 양구, 적실, 후사, 구자, 계매라고도 한다.
산사의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이과로서 둥글며 흰 반점이 있다. 한방에서는 건위, 소화, 수렴, 진통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유럽에서는 유럽 산사나무의 열매를 크라테거스(crataegus)라고도 칭하며, 강심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약리 성분으로는 카페산(caffe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코로솔릭 산(corosolic acid), 크라테골릭 산(crataegolic acid), 유스케픽 산(euscaphic acid), 하이페린(hyperin),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 프로카테추익 산(procatechuic acid), 피로갈롤(pyrogallol), 올레아놀 산(oleanolic acid), 우르솔릭 산(ursolic acid), 비텍신(vitexin) 등이 보고되어 있다.
산사 관련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349702호에 산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5-0079256호에는 어성초,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 및 산사자가 추가로 포함된 혼합물에 대한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거의 없고, 장보호 활성이 있으며, 세포괴사(necroptosis) 마커들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염증성 장질환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홍산사(Daehong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거의 없고, 장보호 활성이 있으며, 세포괴사(necroptosis) 마커들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염증성 장질환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HCE 세포(Human Primary Colonic Epithelial cell)에 대홍산사 추출물(A) 및 산사 추출물(B)을 처리하여 확인한 세포생존율 결과이다.
도 2는 대홍산사 추출물의 장세포 보호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은 정상 대조군 대비 세포괴사를 유도한 STZ(+)군의 아넥신 V/PI 양성 세포수(괴사 세포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 ***은 STZ(+)군 대비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아넥신 V/PI 양성 세포수(괴사 세포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1이고, ***은 p<0.001이다.
도 3은 대홍산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괴사 마커의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웨스턴블랏 결과이다.
도 4는 염증성 장질환이 유도된 동물모델에 대홍산사 추출물을 처리한 후, 체중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정상군 대비 대조군(염증성 장질환 유도군)의 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은 염증성 장질환 유도군 대비,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 또는 산사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5는 염증성 장질환이 유도된 동물모델에 대홍산사 추출물을 처리한 후, 장길이를 확인한 사진(A) 및 장길이를 나타낸 그래프(B)이다. ####은 정상군 대비 대조군(염증성 장질환 유도군)의 장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 ****은 염증성 장질환 유도군 대비,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 또는 산사 추출물 투여군의 장길이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001이다. $$은 비교군인 산사 추출물 투여군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 투여군의 장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본 발명은 대홍산사(Daehong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건조 대홍산사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액을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대홍산사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에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감압건조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은 대홍(Daehong) 품종(품종보호권 출원번호 제2010-10호)의 산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기능 개선은 바람직하게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개선이고,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바람직하게는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에 수반되는 장 병변, 출혈성 직장 궤양 및 회장 낭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이란, 다른 질환이나 해부학적인 이상은 없으나, 대장 근육의 과민해진 수축 운동으로 인한 기능 장애를 의미하며, 복통 또는 복부 불편감, 배변 장애 등을 동반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캐러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g에 대하여, 0.01~0.04g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3g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에 수반되는 장 병변, 출혈성 직장 궤양 및 회장 낭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대홍산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대홍산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1일 0.0001~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은 한약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건조된 약재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이거나, 이를 건조하여 획득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형에 대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액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에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유효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의 유효한 양은 동물의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또는 성별에 따른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수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대홍산사 추출물의 제조
건조 대홍산사 무게의 10배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84±2℃에서 3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이후, 획득한 대홍산사 추출물을 25㎛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이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세포 독성 확인
대홍산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Mitochondrial NADH-dehydrogenase)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1.0×104개의 HCE 세포(Human Primary Colonic Epithelial cell)를 96웰에 준비하였다. 24시간 지난 후,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한 대홍산사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및 48시간 더 배양하였다.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은 3번씩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홍산사 추출물 및 비교예의 산사 추출물(종래 품종) 둘 다 정상 대장 세포에서 1600㎍/㎖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 대홍산사 추출물의 장세포 보호활성 확인
웰당 2×106개의 HCE(Human Primary Colonic Epithelial)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준비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70% 에탄올로 추출한 대홍산사 추출물을 배지와 함께 30분 동안 처리하고, STZ(20μM의 Smac, 10μM의 z-VAD 및 10ng/㎖의 TNFα 복합물)을 1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괴사(necroptosis)를 유도하였다. 이후, FACS (Annexin V/PI staining, BD biosciences)를 이용하여 세포 사멸값을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STZ 처리군의 장세포는 70% 이상 세포가 사멸되었고, 대홍산사 추출물 및 STZ 처리한 군(STZ+대홍산사)은 대홍산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대장 상피세포의 세포괴사가 감소하였으므로, 대홍산사 추출물은 장세포 보호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도 2).
실시예 4. 대홍산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괴사(necroptosis) 마커들의 발현량 변화 확인
웰당 2×106 개의 HCE(Human Primary Colonic Epithelial)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준비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70% 에탄올로 추출한 대홍산사 추출물을 배지와 함께 30분 동안 처리하고, STZ(20μM의 Smac, 10μM의 z-VAD 및 10ng/㎖의 TNFα 복합물)을 1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괴사(necroptosis)를 유도하였다. 이후,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여 세포괴사 마커들의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홍산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괴사 마커인 p-RIP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1), pRIP3(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3) 및 MLKL(mixed-lineage kinase domain-like pseudokinase)의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5. DSS로 유발된 염증성 장질환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대홍산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장 길이 변화 확인
C57BL/6-암컷 마우스(그룹당 5마리)에게, 2.5% DSS(Dextran sulfate sodium)를 음수통에 넣어 자발적으로 식음할 수 있도록 하였다(2일에 한번씩 새로운 DSS 음수통으로 교체하였다). 건조한 대홍산사 추출물을 물에 녹였으며, 단일 농도(400mg/kg/day)로 3주 동안 경구투여 하였으며, 마지막 1주일은 DSS와 함께 투여되었다. 총 3주 후, 동물 부검이 이루어졌으며, 체중 및 대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200mg/kg/day의 대홍산사 추출물을 3주 동안 경구 투여한 경우, DSS 투여에 의해 감소되었던 체중이 유의미하게 회복되었으며,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장길이 변화는 산사 추출물 투여군 및 대홍산사 추출물 둘 다 장질환 유도군에 비해 장 길이가 증가하였고, 특히 대홍산사 추출물 투여군이 산사 추출물 투여군의 장길이 증가보다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대홍산사(Daehong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홍산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능 개선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에 수반되는 장 병변, 출혈성 직장 궤양 및 회장 낭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
  10.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용 사료 첨가제.
  11.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PCT/KR2023/005887 2022-06-15 2023-04-28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232438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542 2022-06-15
KR20220072542 2022-06-15
KR1020230040411A KR20230172387A (ko) 2022-06-15 2023-03-28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023-0040411 2023-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855A1 true WO2023243855A1 (ko) 2023-12-21

Family

ID=8919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5887 WO2023243855A1 (ko) 2022-06-15 2023-04-28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4385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85886A (zh) * 2005-06-03 2005-10-26 余内逊 一种桑楂琥铬糖参王降糖助睡益肠夜酸乳制备方法
KR20100106788A (ko) * 2009-03-24 2010-10-04 최재훈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KR101738469B1 (ko) * 2015-11-30 2017-05-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산사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n-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85886A (zh) * 2005-06-03 2005-10-26 余内逊 一种桑楂琥铬糖参王降糖助睡益肠夜酸乳制备方法
KR20100106788A (ko) * 2009-03-24 2010-10-04 최재훈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KR101738469B1 (ko) * 2015-11-30 2017-05-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산사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n-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U FENG, ZHANG XUESONG, JI YONG: "Total Flavonoid Extract from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Improves Inflammatory Cytokines-Evoked Epithelial Barrier Deficit", MEDICAL SCIENCE MONITOR.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FOR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MEDICAL SCIENCE INTERNATIONAL LTD., vol. 26, 1 January 2020 (2020-01-01), pages e920170, XP093117836, ISSN: 1643-3750, DOI: 10.12659/MSM.920170 *
황수걸. 산사나무, 건국대학교 대학원. FEBRUARY 2022,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pages 1 - 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050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133738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2457802B1 (ko)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4054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WO2023243855A1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157A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8828A (ko) 금은화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6219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230172387A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3938A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WO2024106846A1 (ko) 나문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117770A1 (ko) 유색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649776B1 (ko) 백출 및 수영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00071492A (ko)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671544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588240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23204363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3021A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6926A (ko) 절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49280A1 (ko)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1334A1 (ko)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19317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xture extract of coptis rhizome and schizonepeta tenuifolia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240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