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788A -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 Google Patents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788A
KR20100106788A KR1020090024974A KR20090024974A KR20100106788A KR 20100106788 A KR20100106788 A KR 20100106788A KR 1020090024974 A KR1020090024974 A KR 1020090024974A KR 20090024974 A KR20090024974 A KR 20090024974A KR 20100106788 A KR20100106788 A KR 2010010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eight parts
powder
intes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475B1 (ko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최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훈 filed Critical 최재훈
Priority to KR102009002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47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1∼40중량부, 백두구 1∼20중량부, 초두구 1∼20중량부, 건강 1∼20중량부, 산사 1∼30중량부, 백출 1∼20중량부, 빈랑 1∼20중량부, 오약 1∼20중량부, 신곡 1∼20중량부, 후박 1∼20중량부, 백작약 1∼20중량부, 사인 1∼20중량부, 필발 1∼20중량부 및 감초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분말 100중량부와 발효된 콩 분말 10∼300중량부로 구성된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장효과가 있는 전통 한약재와 유산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건강 기능식품으로써 소화기 전반에 모든 질환에 유효하며, 특히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에 관련된 모든 질환과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유효한 효과가 있다.
정장제, 한약, 유산균, 콩, 소화기

Description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Herb medicine powder for medicines for relieving intestinal disorders and pi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방 한약재의 합리적인 조합과 발효물질을 혼합하여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에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거나, 특히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유효(특효)하며 제반 피부병 등에도 근원적인 치료 효과를 갖는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인스턴트 음식물, 운동부족 등으로 건강한 대변을 보는 사람이 많지 않다. 특히, 담실체질(태음인)은 대장기능의 약화, 과음, 또는 전 병력(청소년 시절 심한 세균성, 아메바성 이질 등) 등으로 하루에 대변을 3∼5회 정도를 보고, 변기 내 물에 풀어지는 대변을 보며, 하루에도 10여 회 방귀, 대변 색깔도 왔다갔다(푸르고, 검은 대변 등)하는 질환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 관련 질환에 대하여 한약재로 치료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한약재는 인체의 강장 작용이나 기타 병원을 방지하고, 치료하는 전통약재이며, 각 약재의 특징에 따라 본초학에 의해 다양하게 배합 조제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변비에 대한 한방 치료에 있어서, 대황, 건강을 주 약재로 혼합하여 제조하고 이를 복용하는 변비 치료에 효과적인 한방 건강보조식품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애기똥풀, 오징어뼈, 구기자, 산사, 황기, 현지초, 음양곽, 대추, 느릅나무 껍질이 혼합된 한약 주 부재에서 한약액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한약재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배양액을 혼합하여 배양, 숙성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한약 주부재에 인삼, 영지, 고삼, 결명자, 사인, 석창포, 목향, 측백엽, 창출, 이질풀, 나복자, 솔잎, 명아주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한약 보조부재를 혼합시키는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발효음료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효음료는 위, 대장에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거나,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한약재의 열수 추출액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는 약리분말과 청국장 분말을 혼합시킨 한약분말의 제조방법과 상기 한약분말을 환으로 뭉친 한약분말의 환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한약재들은 장 기능의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어서 소화기에 관련된 질환, 특히 과민성 대장증후군 등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2007-0082296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10-0465261호
특허문헌 3: 한국 공개특허 제2008-0084161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오랜 전부터 소화기에 유용하다고 알려진 전통 한약재를 적절한 비율로 조합하여 정장 효과 및 장 기능의 활성을 높이고, 이와 함께 장내에 유산균을 직접 공급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기 전반에 관련된 질환에 유효하며, 특히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획기적인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등의 소화기에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거나, 특히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유효한 정장제용 한약 분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정장제용 한약 분말을 이용한 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장제용 한약 분말은 인삼 1∼40중량부, 백두구 1∼20중량부, 초두구 1∼20중량부, 건강 1∼20중량부, 산사 1∼30중량부, 백출 1∼20중량부, 빈랑 1∼20중량부, 오약 1∼20중량부, 신곡 1∼20중량부, 후박 1∼20중량부, 백작약 1∼20중량부, 사인 1∼20중량부, 필발 1∼20중량부 및 감초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분말 100중량부와 발효된 콩 분말 10∼300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정장제용 한약 분말을 이용한 환은 인삼 1∼40중량부, 백두구 1∼20중량부, 초두구 1∼20중량부, 건강 1∼20중량부, 산사 1∼30중량부, 백출 1∼20중량부, 빈랑 1∼20중량부, 오약 1∼20중량부, 신곡 1∼20중량부, 후박 1∼20중량부, 백작약 1∼20중량부, 사인 1∼20중량부, 필발 1∼20중량부 및 감초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분말 100중량부와 발효된 콩 분말 10∼300중량부로 구성된 한약 분말을 곡류 풀을 바인더로 하여 환 또는 과립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류 풀은 찹쌀 풀, 밀가루 풀 또는 맵쌀 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장효과가 있는 전통 한약재와 유산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건강 기능식품으로써 소화기 전반에 모든 질환에 유효하며, 특히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에 관련된 모든 질환과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유효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분말은 인삼, 백두구, 초두구, 건강, 산사, 백출, 빈랑, 오약, 신곡, 후박, 백작약, 사인, 필발 및 감초로 구성된 한약재 분말과 발효된 콩 분말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분말은 인체 내의 생명력의 강화와 소화기 내 점막보호, 소화기 내 적정 온도를 유지(소화기의 운동력을 강화)하여 소화기 전반의 질병의 치료하는 전통 한약재이며, 각 약재의 특성에 따라 배합/조제하여 최적정의 처방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발효된 콩 분말에 포함된 유산균 균사체(바실러스 석틸러스)는 인체를 이루는 기본 단백질을 비롯하여 피부 거칠음을 방지하는 칼슘 점막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비타민 A, B, B2, B3 등 B군이 체내에 생성되는 것을 도와주고, 식욕을 증대시키며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며 성인병을 예방하고 장내 균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각 성분을 살펴보면, 먼저 인삼은 오갈피 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뿌리를 사용하며, 건위, 강정 및 강장제로 널리 쓰인다. 상기 인삼의 사용량은 1∼4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소화기 전반의 근육(식도, 위, 소장, 대장의 근육) 운동력의 활성화(인삼은 장 근육의 운동력의 에너지를 만들어 준다)를 기대하기 어렵고, 40중량부를 초과하면 소화기내의 염증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백두구는 육두구 나무의 뿌리로서, 성질은 매우 따뜻하여 소화를 돕고, 위한(胃寒) 및 구토 등에 사용된다. 상기 백두구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장 점막세포의 생명력을 활성화와 장내 발효균이 증식할 수 있는 최적 온도를 유지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장 점막세포의 기능항 진으로 도리어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초두구는 생강과의 열대 식물로서, 남빛 꽃이 피며, 열매는 갸름한데 맛이 시고 향내가 난다. 이 열매를 한약재로 사용한다. 상기 초두구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장 점막세포의 생명력을 활성화와 장내 발효균이 증식할 수 있는 최적 온도를 유지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장 점막세포의 기능항진으로 도리어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건강은 말린 생강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써, 위한, 구토, 설사의 치료에 사용된다. 상기 건강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장 점막세포의 생명력을 활성화와 장내 발효균이 증식할 수 있는 최적 온도를 유지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매운맛의 자극으로 장 점막 손상과 장 점막세포의 기능항진으로 도리어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산사는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의 열매로서, 씨를 바른 아가위를 사용하며, 건위 및 소화제 따위로 사용된다. 상기 산사의 사용량은 1∼3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위의 소화기능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위산의 분비과다로 속 쓰림 또는 위궤양의 발병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백출은 삽주의 덩어리진 뿌리로서, 성질이 따뜻하고 비위를 도우며 소화불량, 구토, 설사 및 습증 따위에 사용된다. 상기 백출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위장, 소장, 대장 내의 수분대사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한 수분대사로 인하여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빈랑은 종려과의 상록교목으로서, 종자를 빈랑자라 하는데, 다량의 타닌과 알칼로이드 및 아레콜린 등을 함유하며, 조충구제, 설사, 피부병, 두통 등에 사용된다. 상기 빈랑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장내 부패균의 살균 또는 증식을 저해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장내 유산균의 증식까지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오약은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관목으로서, 그 뿌리를 말린 것을 복통, 토사 및 건위제로 사용한다. 상기 오약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기체(장의 운동력이 체한 것을 의미)로 인한 장 운동력을 회복하기 어렵고, 소화기 내의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소화기 내의 근육과 점막에 혈액순환을 높여 장의 적정온도 유지와 소화기 내의 운동력을 강화할 수 없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장 근육과 점막의 혈액순환의 과부하로 도리어 장의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신곡은 밀가루, 밀기울, 창이 즙, 야료(野蓼) 즙, 청호 즙, 행인니(杏仁泥), 붉은팥 따위를 섞어 발효시켜 만든 약재로서, 건제(健劑) 및 소화제로 사용된다. 상기 신곡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와 장내 발효균의 증식을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위산의 역류, 즉, 신물이 올라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후박은 녹나뭇과에 딸린 늘푸른큰키나무로서, 나무껍질을 염료나 약으로 사용한다. 상기 후박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소화기 내의 흥분된 자율신경을 안정시킬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소화기 내 자율신경의 흥분으로 소화액과 장액의 과다분비로 장점막세포의 손상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백작약은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산지에 나며 흰 꽃이 피는데, 뿌리가 진통, 해열 및 부인병에 약재로 사용된다. 상기 백작약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위나 장 근육의 긴장을 완화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백작약은 성질이 서늘(微凉)하므로 장내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사인은 생강과의 풀인 축사밀의 씨로서, 소화제 따위로 사용된다. 상기 사인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와 기체된 장 기능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임산부가 복용하면 유산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필발은 후춧과의 풀의 말린 열매로서, 맛이 맵고 열이 있는 약재로 속을 덥게 하고 흥분을 가라앉히는 데 사용된다. 상기 필발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기체(장의 운동력이 체한 것을 의미)로 인한 장 운동력을 회복하기 어렵고, 소화기 내의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소화기 내의 근육과 점막에 혈액순환을 높여 장의 적정온도 유지와 소화기 내의 운동력을 강화할 수 없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장 근육과 점막의 혈액순환의 과부하로 도리어 장의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감초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뿌리를 감초라 한다. 맛이 달며, 비위를 돕고 다른 약의 작용을 부드럽게 하므로 모든 처방에 널리 사용된다. 상 기 감초의 사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이면 기타 한약제의 약성을 조화롭게 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신장기능에 무리가 되어 부종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한약재들은 한방에서 오래전부터 알려진 건위, 정장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추출물의 형태가 아닌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데, 이는 약효의 성분만을 약효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약재 자체의 섬유질을 약효로 사용함이 목적이며, 대부분의 약재 자체의 각각의 독특한 향 자체를 약효로(만약 물로 끓여서 추출한다면 각 약재들의 독특한 향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 사용함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혼합분말은 상기한 각각의 약제들의 성질의 적절한 선택과 구성비율로서 장이 운동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만들어주는 인삼을 위시하여, 오약의 혈액 순환력의 활성화와 초두구, 필발, 건강 등 따듯하고 열한 성질이 약재가 장의 온도를 최 적정의 상태로 개선, 유지시키고 또한 콩을 발효시켜 생성된 유산균 균사체(바실러스 석틸러스)를 직접 장내 공급함으로써 장내 발효작용을 활성화시키고, 위장에서의 소화흡수를 도우며, 장에서의 흡수와 장의 운동력을 강화하여 장내 온도를 최적정의 상태로 만들어 주어 장내에서의 발효작용을 강하게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장내 발효균의 증식을 돕고, 또한 장내의 부패균의 증식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약분말은 전술한 전통 한약재의 분말과 콩을 발효시켜 건조한 콩 분말을 포함한다. 이들의 혼합비는 상기 한약재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콩 분말 10∼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1의 중량비이다. 상기 콩 분말의 첨가비가 10중량부 미만이면 유산균 균사체(바실러스 석틸러스)를 장내 공급량 의 부족으로 기대하는 바의 효과를 볼 수 없고, 300중량부를 초과하면 한약재의 분량부족(상기 한약재의 적절한 선택과 비율이 매우 중요함)으로 약효를 볼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시킨 콩에 함유된 유산균(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은 위나 대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메주분말, 청국장 분말 또는 나또 분말 등의 형태에 포함된 발효균인 유산균(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사체를 소화기에 유용한 전통 한약재들과 함께 소화기계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장내 내용물의 발효작용을 높여 소화 작용과 정장작용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의 점막을 보호하고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의 기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변을 하루에 2∼5회 보며, 풀어지는 대변, 즉, 설사성 대변, 대변 색이 푸르고, 검고 대변색이 제멋대로며, 방구를 자주 배출하며 냄새도 나쁜 상태 일반적으로 장 기능이 약한 환자인 경우(과민성대장 증후군)와 현재까지 어떠한 치료법으로도 개선되지 못한 경우의 환자들까지 근원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약 분말을 환, 과립, 캡슐, 또는 정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약리효과가 더욱 클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인삼 200g, 백두구 100g, 초두구 100g, 건강 100g, 산사 150g, 백출 100g, 빈랑 100g, 오약 100g, 신곡 100g, 후박 100g, 사인 100g, 백작약 100g, 필발 100g 및 감초 100g을 각각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였다.
한편, 물에 콩을 약 12시간 정도 침지시켜 불린 다음, 불린 콩을 약 2시간 정도 스팀 증자하고, 여기에 순수 분리된 유산균인 바실러스균(bacillus)을 접종한 후, 38∼40℃ 온도의 발효실에서 약 20시간 정도 발효시킨다. 이렇게 발효된 콩을 약 50℃ 정도의 건조실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발효 콩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한약재 분말 1550g과 발효 콩 분말 1550g에 찹쌀 풀 400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환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환을 과민성 대장증상이 있는 환자 50명에게 1일 3회 약 30∼40개씩(약 5g) 한 달간 복용시키면서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50명 중 40명이 복용 후 5∼7일 정도에 대변색이 황금색으로 변하였고, 50명 중 33명이 복용 후 2주 정도에 풀어지던 대변이 정상적인 굵기와 점도로 변하면서, 방구도 없어졌다. 또한, 4주 이상 복용한 50명 모두는 소화도 아주 잘되고, 거북하던 배의 상태가 호전됨을 임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한약재만 복용했을 때와 유산균만 복용했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획기적인 효과이다.

Claims (3)

  1. 인삼 1∼40중량부, 백두구 1∼20중량부, 초두구 1∼20중량부, 건강 1∼20중량부, 산사 1∼30중량부, 백출 1∼20중량부, 빈랑 1∼20중량부, 오약 1∼20중량부, 신곡 1∼20중량부, 후박 1∼20중량부, 백작약 1∼20중량부, 사인 1∼20중량부, 필발 1∼20중량부 및 감초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분말 100중량부와 발효된 콩 분말 10∼300중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장제용 한약 분말.
  2. 청구항 1에 따른 한약 분말을 곡류 풀을 바인더로 하여 환 또는 과립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장제용 한약 분말을 이용한 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곡류 풀은 찹쌀 풀, 밀가루 풀 또는 맵쌀 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장제용 한약 분말을 이용한 환.
KR1020090024974A 2009-03-24 2009-03-24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KR10108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74A KR101087475B1 (ko) 2009-03-24 2009-03-24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74A KR101087475B1 (ko) 2009-03-24 2009-03-24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88A true KR20100106788A (ko) 2010-10-04
KR101087475B1 KR101087475B1 (ko) 2011-11-25

Family

ID=4312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74A KR101087475B1 (ko) 2009-03-24 2009-03-24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4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8722A (zh) * 2010-11-02 2011-12-21 河北以岭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乌药的增荧光薄层鉴别方法
WO2012064158A2 (ko) * 2010-11-12 2012-05-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한약재를 이용한 정장용 조성물
CN102579627A (zh) * 2012-03-12 2012-07-18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高效保肝解酒消积制剂及其制备工艺
CN103520050A (zh) * 2013-10-18 2014-01-22 柳州两面针股份有限公司 复方中药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保健品中的应用
WO2023243855A1 (ko) * 2022-06-15 2023-12-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13B1 (ko) * 2013-01-31 2015-05-1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소화촉진용 조성물
CN104524398A (zh) * 2014-11-10 2015-04-22 青岛祥翔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饮留胃肠证型胃肠病的中药
KR20190047814A (ko) 2017-10-30 2019-05-09 최경아 무와 무씨를 함유하는 환(丸) 형태의 천연소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99B1 (ko) 2005-04-28 2006-08-01 김기준 청국장을 함유한 패티
KR100877924B1 (ko) 2007-10-17 2009-01-14 윤감순 포도와 한약재료가 첨가된 청국장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8722A (zh) * 2010-11-02 2011-12-21 河北以岭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乌药的增荧光薄层鉴别方法
CN102288722B (zh) * 2010-11-02 2013-09-11 河北以岭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乌药的增荧光薄层鉴别方法
WO2012064158A2 (ko) * 2010-11-12 2012-05-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한약재를 이용한 정장용 조성물
WO2012064158A3 (ko) * 2010-11-12 2012-08-2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한약재를 이용한 정장용 조성물
CN102579627A (zh) * 2012-03-12 2012-07-18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高效保肝解酒消积制剂及其制备工艺
CN103520050A (zh) * 2013-10-18 2014-01-22 柳州两面针股份有限公司 复方中药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保健品中的应用
WO2023243855A1 (ko) * 2022-06-15 2023-12-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475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475B1 (ko)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KR20110073717A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92521A (ko) 백숙용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CN104799048A (zh) 一种增强黄沙鳖抗病能力的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56639A (ko) 선옥균과 한약재를 이용한 혈당과 혈압을 개선하는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31160B1 (ko)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생약재 조성물
CN102212449B (zh) 一种苦荞芽保健酒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12359A (ko)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갖는 기능성 조성물
CN104771567A (zh) 一种解酒药物组合物
CN103478821A (zh) 一种保健饮料及其生产工艺
CN103798435B (zh) 佛手桑叶枸杞茶及其制备方法
CN106860814B (zh) 一种改善女性尿频、尿失禁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90072206A (ko)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CN111758905A (zh) 一种祛湿健脾、排湿毒功效的养生食品
CN105497677A (zh) 一种促进胃病康复的中药组合物
CN104258224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支气管炎的五味子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20180008358A (ko)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
KR20090074475A (ko) 한방생약 관절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550032A (zh) 一种治疗胃酸倒流的中药组合物
KR20130035418A (ko) 유황 오리와 한약재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조성물
CN107468938A (zh) 一种芦笋茶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06620397A (zh) 一种防治口腔溃疡的颗粒及其制备方法
CN106615373A (zh) 一种具有治疗腹泻功效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5687710A (zh) 一种用于治疗甲状腺机能亢进症的中药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