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359A -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갖는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갖는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359A
KR20030012359A KR1020010046355A KR20010046355A KR20030012359A KR 20030012359 A KR20030012359 A KR 20030012359A KR 1020010046355 A KR1020010046355 A KR 1020010046355A KR 20010046355 A KR20010046355 A KR 20010046355A KR 20030012359 A KR20030012359 A KR 2003001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ornus
yang
dermis
y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925B1 (ko
Inventor
김종덕
김민용
Original Assignee
김종덕
김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덕, 김민용 filed Critical 김종덕
Priority to KR10-2001-004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9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45Clostri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3Lactobacillus acidophi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장내에서 유용한 세균을 성장을 촉진시켜 이들 유용세균들이 생산하는 유용물질에 의해 생체의 대사작용을 향상시켜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승마, 갈근, 녹차, 감초, 황기, 황금, 산수유, 현초, 황련, 오미자, 사간, 두충, 오배자, 백굴채, 고삼 및 산사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Functional natural substances compositions having an anti-oxidative effect and a promotion effect of the growth of useful enterobacteria}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장내 유용 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의 과정, 즉, 호흡과정 등의 에너지 생성과정, 외부 물질 유입에 의한 면역활동, 화학물질 등의 간에서의 무독화과정, 운동등의 산소량 증가 등에 의하여 자유 라디칼(유해산소)이 많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 자유라디칼이란 전자궤도에서 짝을 짓지 않고 있는 전자쌍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원자나 분자를 말하는데, 이 자유라디칼이 짝을 짓기 위해서는 생체의 어떠한 구성 성분으로부터 전자를 뺏어와서 짝을 이루지만 전자를 빼앗긴 구성성분은 산화되어 그 기능이 퇴화되거나 사멸하게됨으로써 그 조직은 점차 노화되거나 질병이 발생되는 등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 라디칼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이 자유라디칼을 제거할 목적으로 많은 항산화제(antioxidant)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노화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자유라디칼의 제거를 위해 생체에 투여되는 항산화제들은 장내세균의 제어에 대하여 언급이 없었으며, 이에 따른 생체에 필요한 유용한 균주들의 불균형에 의하여 생체는 기능의 저하에 따른 여러 가지의질병을 일으켜 왔다. 더구나, 제어되어진 유용세균들이 균형을 이루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 시간 동안에 생체는 유용세균이 제공하는 유용물질들은 공급받지 못하여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불균형을 이룬 유용세균들을 회복시킬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장내에서 유용한 세균을 성장을 촉진시켜 이들 유용세균들이 생산하는 유용물질에 의해 생체의 대사작용을 향상시켜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갖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 생약재들 중에서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승마, 갈근, 녹차, 감초, 황기, 황금, 산수유, 현초, 황련, 오미자, 사간, 두충, 오배자, 백굴채, 고삼 및 산사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항산화 효과와 장내 유용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를 동시에 가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장내에서 유용한 세균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용존산소 분석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p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o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비피도박테룸 아도레스센티스(Bifidobacterum adolescentis)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비피도박테룸 비피덤(Bifidobacterum bifidum)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l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비피도박테룸 인판티스(Bifidobacterum infantis)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o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클로스티리디움 부티리컴 (Clostridium butyricum)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은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승마, 갈근, 녹차, 감초, 황기, 황금, 산수유, 현초, 황련, 오미자, 사간, 두충, 오배자, 백굴채, 고삼 및 산사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내에 존재하는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여 자유 라디칼에 의한 노화 및 질병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장내 유용 세균의 성장을 촉진시켜 자유 라디칼의 제거시 생체내의 유용한 세균들도 같이 제거되어 생체내 대사장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해결한 기능성 조성물로서, 이를 약품, 차 등의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생약재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백작약(白芍藥)은 한국·일본·중국·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강작약이라고도 하는데, 뿌리를 진통·진경·부인병에 사용한다.
백출(白朮)은 산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다년초인 삽주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 소화관 및 피하조직에서 일어나는 수분대사(水分代謝)의 부전(不全)에 대하여 이뇨(利尿)·발한(發汗) 작용을 하며, 동통·위장염·부종에 효험이 있고 알려져 있다.
음양곽은 삼지구엽초라고도 하며, 두뇌활동을 돕고 건망증, 무기력증에 효과가 있다. 피로회복, 식욕부진, 히스테리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신과 양기를 보(補)하여 하여 정력을 증진시키는 생약재로도 알려져 있다.
석창포(石菖蒲)는 한국(중부지방 이남)·일본·중국·인도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통제·진정제·건위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목욕물에 넣어 사용하기도 한다.
진피(陳皮)는 온주밀감(溫州蜜柑)의 숙과피를 건조한 것으로 진귤피(陳橘皮)라고도 한다. 아직 덜 익은 파란 과피는 청귤피라고 하며, 황숙한 과피를 진피(진귤피)라고 한다. 진(陳)은 노숙(老熟)의 뜻을 가진다. 성분은 정유·헤스베리딘이다. 한의학에서는 채취 후 1년 정도 경과한 향기가 강한 것을 상품(上品)으로 취급하며, 방향고미건위제 외에, 진토(鎭吐)·진해·거담제로서 1일 5∼10g을 사용한다.
당귀는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진통·배농(排膿)·지혈·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복통·종기·타박상 및 부인병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구기자는 구기자 나무(Lycium chinense)의 열매를 말리것으로, 술을 담아 강장제로 쓴인다.
오가피(五加皮)는 한방에서 보약, 정신 및 육체적 피로와 병후 쇠약에 쓴다. 또, 하반신에 작용하는 강장제나 진통제, 관절류머티즘, 요통 등에도 쓰는 약재이다.
계피는 계수나무의 뿌리·줄기·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桂枝]를 말한다. 계피는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한다. 한편, 한방에서는 땀이 나게 하고 식은땀을 거두게 하는 이 약재를 계지탕·갈근탕(칡뿌리탕)에 배합하며, 특히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급성열병·노인병 등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괴화는 고혈압시 모세혈관의 저항력을 증강시켜 뇌혈관의 파열을 방지하는데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약재이다.
황백은 갈잎큰키나무, 황벽나무, 피나무 등의 나무 껍질을 말한다. 습열로 인한 황달과 이질, 대하 및 염증으로 인해 다리와 무릎이 붓고 아프며 무겁고 마비되는 증상에 유효하다. 또한, 종기, 습진, 화상 및 눈이 충혈되고 통증을 호소하는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자육(蓮子肉)은 연꽃의 열매를 말하는데, 기(氣)의 보충에도 아주 좋으며 피부 질환 퇴치와 미용, 내장 기능 강화, 마음의 안정과 정신력 강화,두뇌 기능 향상, 설사, 신체 허약 등에도 아주 좋다. 흔히 연자육이라고 하면 남성들의 강정에만 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으나, 연자육은 여성들의 강정 식품으로도 아주 효과적이다. 특히 심리적인 요인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생긴 여성들의 성욕 감퇴와 성기능 저하, 섹스 기피증, 방사에 대한 불안감, 불감증, 신기(驛氣) 쇠약 등 성적 장애에 아주 좋은 효능을 발휘하는 약재이다.
천문동은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연한 순을 식용하며 뿌리를 진해·이뇨·강장제로 사용한다.
상백피(桑白皮)는 뽕나무껍질로, 폐열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며 숨찬 증세를 낫게 하고 소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폐열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피가래, 붓는데, 고혈압 등에도 효능이 있다.
승마(升麻)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이 풀의 뿌리를 승마라고 하여 해열제와 해독제로 사용한다.
갈근은 칡뿌리의 껍질로서 한방에서는 발한·해열·완하제(緩下劑)로서 고열·두통·고혈압·심부전·설사·어깨가 결릴 때 등에 처방한다.
녹차는 동맥경화 예방 효과와 알코올과 담배해독 해소작용이 있으며, 기억력과 판단력 증진에도 도움이 되고, 식중독의 해독, 환경 호르몬 억제, 당뇨병, 다이어트, 콜레스테롤 억제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감초는 한약재 뿐 아니라 제약회사, 식품 등 다양하게 많이 사용되고 있어 좋은 약에는 꼭 들어가는 중요한 재료인데, 해독 작용, 진경(鎭痙)작용, 거담 작용, 항염증·항알러지 작용, 위산분비억제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황기는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황금(黃芩)은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산수유는 산수유 나무의 과육(果肉)으로, 자양강장·강정·수렴 등의 효능이 있어 현기증·월경과다·자궁출혈 등에 사용한다.
현초는 일명 이질풀이라고도 하며, 지사제로 사용되고, 부인병, 이질, 복통에 사용된다.
황련(黃連)은 11월경에, 재식 5∼6년 된 황련·왜황련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말하는데, 건위·진정·소염·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위염·장염·복통·구토·이질·심계(心悸)·번열(煩熱)·정신불안·인후종통(咽喉腫痛)·토혈·코피·하혈·화상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오미자는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목 목련과의 낙엽 덩굴식물로 한방에서 자양(滋養)·강장·진해(鎭咳)·거담(祛痰)·지한(止汗) 등의 효력이 있어 해수·유정(遺精)·구갈(口渴)·도한(盜汗)·급성간염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오미자차를 만들어 마시며, 술도 담근다.
사간은 한방과 민간에서 소염, 진해, 편도선염, 진통, 폐렴, 해열, 각기 등에 대해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두충은 장미목 두충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보약·강장제로 쓰고, 대뇌를 튼튼하게 하며, 폐와 무릎앓이·음습증을 다스린다.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고혈압에 쓰고 차로도 복용한다.
오배자(五倍子)는 매미목[同翅目] 진딧물과의 오배자면충이 옻나무과의 붉나무(오배자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혹으로, 한방에서는 수렴(收斂)·지혈·해독·항균의 효력이 있어, 설사·탈항·위궤양·십이지장궤양·도한·유정(遺精)·혈변·혈뇨·구내염 등에 처방한다. 타닌 성분을 50∼60% 함유하고 있어 타닌제를 비롯하여 염모제(染毛劑)나 잉크의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백굴채는 애기똥풀(애기똥풀과) Chelidonium major L.의 전초를 말린 것으로, 이 생약의 성분은 그람양성균, 결핵균, 진균에 대한 발육억제효과를 가지며, 진통제, 진해작용, 이뇨, 해독의 효과가 있고, 급성 및 만성 위염, 위궤양에도 사용된다.
고삼(苦蔘)은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통·간염·황달·치질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산사자는 산사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 소화불량, 구토, 식체등에 유효하고, 부인의 산전산후의 병에도 유효하다. 산사자차의 경우 오래 마시면 기력이 좋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효능을 갖는 생약재들이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장내 유용 세균의 성장을 증식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로 조성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산화효과를 갖는 천연산물의 선별
항산화력을 가지는 천연산물의 선별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존산소 분석법(D.O. analysed method)을 사용하였고,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의 감소 곡선의 식을 구하고 이 그래프의 커브 아랫쪽 면적(AUC; Area Under Curve)을 구하여 항산화력의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베타 카로틴보다 항산화력이 강하거나 유사한 생약재를 선별하고,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번호 생약재 AUC 번호 생약재 AUC 번호 생약재 AUC
1 B H A 1656.80 12 황 련 682.05 23 고 삼 537.52
2 B H T 1516.58 13 백 출 665.05 24 당 귀 532.32
3 승 마 1045.24 14 진 피 658.23 25 괴 화 509.67
4 산 수 유 984.50 15 오 배 자 652.37 26 석 창 포 497.97
5 현 초 941.58 16 두 충 640.47 27 갈 근 495.21
6 백 작 약 788.73 17 황 백 601.10 28 황 기 492.97
7 천 문 동 787.92 18 계 피 592.23 29 카 로 틴 485.28
8 음 양 곽 783.20 19 구 기 자 568.86 30 오 미 자 484.36
9 상 백 피 723.28 20 녹 차 557.93 31 감 초 450.27
10 연 자 육 695.86 21 오 가 피 555.90 32 황 금 429.41
11 백 굴 채 695.86 22 사 간 539.44 33 산 사 자 363.42
·BHA; t-부틸히드록시아니솔(tert-butylhydroxyanisol)·BHT; t-부틸히드록시톨루엔(tert-butylhydroxytoluene)
상기 표 1로부터, 상기 생약재들중 특히 승마(Cimicifugae Rhizoma), 산수유(Corini fructus), 현초(Geranii herba), 백작약(Paenoia japonica), 천문동(Asparagi tuber), 음양곽(Epimedii herba), 상백피(Mori cortex radicis), 연자육(Nelumbo nuclfera gaertner), 백굴채(Chelidonium majus L.), 황련(Coptidis Rhizoma),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 진피(Aurantti nobilis pericarpium), 오배자(Galla Rhois), 두충(Eucommiae cortex), 황백(Phellodendri cortex), 계피(Cinnamomi cortex), 구기자(Lycii fructus), 녹차(Theae folium), 오가피(Acanthodanacis cortex), 사간(Beiamcanda Chinensis), 고삼(Sophorae Radix), 당귀(Angelicae giantis radix), 괴화(Sophorae flos), 석창포(Acori graminei rhizoma), 갈근(Puerariae radix), 황기(Astragali radix)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는 종래 항산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베타카로틴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산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장내 유용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항산화 효과를 생약재들이 장내 유용 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지에 대해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비피도박테룸 아도레스센티스(Bifidobacterum adolescentis),비피도박테룸 비피덤(Bifidobacterum bifidum),비피도박테룸 인판티스(Bifidobacterum infantis),클로스티리디움 부티리컴 (Clostridium butyricum)을 시험세균으로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2-1.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에 대한 성장 촉진 시험
하기에서와 같이 1종의 생약재, 2종의 생약재, 3종의 생약재 및 4종의 생약재의 조합을 1종의 생약재의 첨가량은 배지 총량의 3%, 2종의 생약제 첨가량은 배지 총량의 6%, 3종의 생약제 첨가량은 배지 총량의 9% 및 4종의 생약제 첨가량은 배지 총량의 12%, 즉, 천연산물 1종류에 대하여 3%의 양으로 사용하였으며,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균주는배지총량의 0.1%의 농도로 접종한 후, 37℃에서 6 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시간에 따른 균주의 성장정도는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6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천연산물을 전혀 넣지 않고 실험한 것을 대조군으로하여 그 성장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2-1-1) 1종의 생약재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2-1-2) 2종의 생약재
석창포+계피, 석창포+괴화, 석창포+황기, 석창포+승마, 진피+갈근, 진피+계피, 진피+녹차, 갈근+계피
(2-1-3) 3종의 생약재
승마+계피+녹차, 승마+계피+감초, 승마+황기+진피, 승마+진피+녹차, 승마+계피+황금, 승마+석창포+진피
(2-1-4) 4종의 생약재
감초+녹차+황금+계피, 승마+감초+황금+계피, 승마+감초+석창포+녹차, 감초+황금+진피+계피
그 결과를 도2a 내지 도 2j에 나타내었다.
2-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에 대한 성장 촉진 시험
상기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생약재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시험하였다.
(2-2-1) 1종의 생약재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승마, 산수유, 녹차, 두충, 오배자, 고삼, 현초
(2-2-2) 2종의 생약재
백작약+산수유, 백작약+음양곽, 백작약+황련, 백작약+오미자, 오미자+감초, 오미자+녹차, 감초+녹차, 황련+오미자, 황련+감초, 황련+녹차, 현초+오미자, 현초+감초, 현초+녹차
(2-2-3) 3종의 생약재
산수유+녹차+황련, 산수유+녹차+오미자, 산수유+녹차+백출, 산수유+녹차+백작약, 산수유+녹차+현초, 산수유+녹차+황금, 산수유+황련+오미자, 산수유+황련+백출, 산수유+황련+백작약, 산수유+황련+현초, 산수유+황련+황금, 산수유+오미자+백출, 산수유+오미자+백작약, 산수유+오미자+현초, 산수유+백출+백작약
(2-2-4) 4종의 생약재
산수유+녹차+황련+백작약, 산수유+녹차+황련+오미자, 산수유+녹차+황련+백출, 산수유+황련+백작약+오미자, 산수유+녹차+백작약+황금, 산수유+녹차+황련+황금, 녹차+오미자+황련+백작약, 산수유+녹차+황련+현초, 산수유+오미자+백작약+녹차, 산수유+오미자+백작약+백출, 산수유+녹차+백작약+백출, 산수유+황련+백작약+황금, 산수유+백작약+현초+녹차, 산수유+백작약+현초+황련, 산수유+백작약+현초+오미자
그 결과를 도 3a 내지 도 3o에 나타내었다.
2-3. 비피도박테룸 아도레스센티스의 성장 촉진 시험
상기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생약재의 비피도박테륨 아도레스센티스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시험하였다.
(2-3-1) 1종의 생약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진피, 갈근, 당귀, 황금
(2-3-2) 2종의 생약재
백작약+황백, 백작약+상백피, 백작약+녹차, 백작약+황기, 백출+사간, 음양곽+당귀, 음약곽+괴화, 음양곽+황백, 백작약+백출, 백작약+음양곽, 백작약+당귀, 백작약+괴화, 백작약+사간, 백출+음양곽, 백출+당귀, 백출+괴화
(2-3-3) 3종의 생약재
녹차+사간+당귀, 녹차+사간+황기, 녹차+사간+상백피, 녹차+사간+백작약, 녹차+사간+과화, 녹차+사간+음양곽, 녹차+당귀+황기, 녹차+당귀+상백피, 녹차+상백피+백작약, 녹차+상백피+괴화, 녹차+황기+상백피, 녹차+백작약+음양곽, 사간+당귀+황기, 사간+당귀+상백피, 사간+당귀+백작약, 사간+당귀+괴화
(2-3-4) 4종의 생약재
사간+당귀+음양곽+백작약, 사간+당귀+음양곽+괴화, 사간+당귀+음양곽+녹차, 사간+당귀+음양곽+황기, 사간+당귀+음양곽+상백피, 당귀+음양곽+백작약+괴화, 당귀+음양곽+백작약+녹차, 당귀+음양곽+백작약+황기, 당귀+음양곽+백작약+상백피, 음양곽+백작약+괴화+녹차, 음양곽+백작약+괴화+황기, 음양곽+백작약+괴화+상백피, 백작약+괴화+녹차+황기, 백작약+괴화+녹차+상백피, 괴화+녹차+황기+상백피
그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o에 나타내었다.
2-4. 비피도박테룸 비피덤의 성장 촉진 시험
상기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생약재의 비피도박테룸 비피덤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시험하였다.
(2-4-1) 1종의 생약재
연자육, 산수유, 사간
(2-4-2) 2종의 생약재
연자육+산수유, 연자육+사간, 연자육+녹차
(2-4-3) 3종의 생약재
연자육+산수유+녹차, 연자육+산수유+사간, 연자육+녹차+사간, 산수유+녹차+사간
(2-4-4) 4종의 생약재
연자육+녹차+사간+산수유, 연자육+녹차+사간+감초, 녹차+사간+산수유+감초, 연자육+사간+산수유+감초, 연자육+녹차+산수유+감초
그 결과를 도 5a 내지 5e에 나타내었다.
2-5. 비피보박테륨 인판티스의 성장 촉진 시험
상기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생약재의 비피도박테룸 인판티스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시험하였다.
(2-5-1) 1종의 생약재
진피, 오가피, 승마, 산수유, 녹차, 두충, 오배자, 현초, 백굴채, 황기
(2-5-2) 2종의 생약재
음양곽+녹차, 음양곽+산사자, 음양곽+두충
(2-5-3) 3종의 생약재
녹차+음양곽+백굴채, 녹차+음양곽+진피, 녹차+음양곽+갈근, 녹차+음양곽+황기, 녹차+백굴채+진피, 녹차+백굴채+황기, 녹차+진피+갈근, 녹차+진피+황기, 녹차+갈근+황기, 음양곽+백굴채+진피, 음양곽+백굴채+갈근, 음양곽+백굴채+황기, 음양곽+진피+갈근, 음양곽+진피+황기, 음양곽+갈근+황기, 백굴채+진피+갈근
(2-5-4) 4종의 생약재
녹차+백굴채+황기+음양곽, 녹차+백굴채+황기+진피, 녹차+백굴채+황기+갈근,백굴채+황기+음양곽+진피, 백굴채+황기+음양곽+갈근, 황기+음양곽+갈근+진피, 녹차+황기+음양곽+갈근, 녹차+음양곽+진피+갈근, 녹차+백굴채+음양곽+진피, 녹차+백굴채+음양곽+갈근, 녹차+백출채+진피+갈근, 녹차+황기+음양곽+진피, 녹차+황기+진피+갈근, 백굴채+음양곽+진피+갈근
그 결과를 도 6a 내지 도 6l에 나타내었다.
2-6. 클로스티리디움 부티리컴의 성장 촉진 시험
상기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생약재의 클로스티리디움 부티리컴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시험하였다.
(2-6-1) 1종의 생약재
구기자, 괴화, 백굴채,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황금, 오가피
(2-6-2) 2종의 생약재
백작약+음양곽, 백작약+진피, 백작약+갈근, 백작약+당귀, 백작약+황금, 백작약+괴화, 백작약+연자육, 백작약+상백피, 백작약+녹차, 음양곽+진피, 음양곽+갈근, 음양곽+당귀, 음양곽+황금, 음양곽+괴화, 음양곽+연자육, 음양곽+상백피
(2-6-3) 3종의 생약재
음양곽+갈근+괴화, 음양곽+갈근+백작약, 음양곽+갈근+당귀, 음양곽+갈근+연자육, 음양곽+갈근+황금, 음양곽+갈근+녹차, 음양곽+괴화+백작약, 음양곽+괴화+당귀, 음양곽+괴화+연자육, 음양곽+괴화+황금, 음양곽+괴화+녹차, 음양곽+백작약+당귀, 음양곽+백작약+연자육, 음양곽+백작약+황금, 음양곽+백작약+녹차,음양곽+당귀+연자육
(2-6-4) 4종의 생약재
음양곽+갈근+연자육+백작약, 음양곽+갈근+연자육+녹차, 음양곽+갈근+연자육+괴화, 음양곽+갈근+연자육+당귀, 갈근+연자육+백작약+녹차, 갈근+연자육+백작약+괴화, 갈근+연자육+백작약+당귀, 연자육+백작약+녹차+괴화, 연자육+백작약+녹차+당귀, 연자육+백작약+괴화+당귀, 백작약+녹차+괴화+당귀, 갈근+연자육+녹차+당귀, 음양곽+갈근+백작약+녹차, 갈근+백작약+괴화+당귀, 음양곽+연자육+백작약+당귀
그 결과를 도 7a 내지 도 7o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승마, 갈근, 녹차, 감초, 황기, 황금, 산수유, 현초, 황련, 오미자, 사간, 두충, 오배자, 백굴채, 고삼 및 산사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이 조성물의 항산화효과에 의해 생체내에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어 노화, 결장암, 치매 등의 자유 라디칼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내 유용 세균의 증식 효과에 의해 장내 감염에 대한 면역성 증진, 설사성 질환의 예방, 결장암(colon cancer) 예방, 고콜레스테롤 혈증(hypercholestero-laemia; 혈액중에 콜레스테롤이 과잉으로 존재하는 상태) 예방, 유당(lactose)의 이용성 개선, 상부 위장관(upper gastrointestinaltract) 질병의 예방, 장점막벽(gut mucosal barrier)의 안정화 등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 기능성 조성물은 천연물인 생약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적고, 간편하게 투여될 수 있다.

Claims (7)

  1.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승마, 갈근, 녹차, 감초, 황기, 황금, 산수유, 현초, 황련, 오미자, 사간, 두충, 오배자, 백굴채, 고삼 및 산사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용 세균이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인 경우, 기능성 조성물이 하기의 배합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 기능성 생약재의 조성물: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석창포+계피, 석창포+괴화, 석창포+황기, 석창포+승마, 진피+갈근, 진피+계피, 진피+녹차, 갈근+계피: 승마+계피+녹차, 승마+계피+감초, 승마+황기+진피, 승마+진피+녹차, 승마+계피+황금, 승마+석창포+진피: 감초+녹차+황금+계피, 승마+감초+황금+계피, 승마+감초+석창포+녹차 및 감초+황금+진피+계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용 세균이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인 경우, 기능성 조성물이 하기의 배합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 기능성 생약재의 조성물: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승마, 산수유, 녹차, 두충, 오배자, 고삼, 현초; 백작약+산수유, 백작약+음양곽, 백작약+황련, 백작약+오미자, 오미자+감초, 오미자+녹차, 감초+녹차, 황련+오미자, 황련+감초, 황련+녹차, 현초+오미자, 현초+감초, 현초+녹차; 산수유+녹차+황련, 산수유+녹차+오미자, 산수유+녹차+백출, 산수유+녹차+백작약, 산수유+녹차+현초, 산수유+녹차+황금, 산수유+황련+오미자, 산수유+황련+백출, 산수유+황련+백작약, 산수유+황련+현초, 산수유+황련+황금, 산수유+오미자+백출, 산수유+오미자+백작약, 산수유+오미자+현초, 산수유+백출+백작약; 산수유+녹차+황련+백작약, 산수유+녹차+황련+오미자, 산수유+녹차+황련+백출, 산수유+황련+백작약+오미자, 산수유+녹차+백작약+황금, 산수유+녹차+황련+황금, 녹차+오미자+황련+백작약, 산수유+녹차+황련+현초, 산수유+오미자+백작약+녹차, 산수유+오미자+백작약+백출, 산수유+녹차+백작약+백출, 산수유+황련+백작약+황금, 산수유+백작약+현초+녹차, 산수유+백작약+현초+황련 및 산수유+백작약+현초+오미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용 세균이 비피도박테룸 아도레스센티스(Bifidobacterum adolescentis)인 경우, 기능성 조성물이 하기의 배합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기능성 조성물: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진피, 갈근, 당귀, 황금; 백작약+황백, 백작약+상백피, 백작약+녹차, 백작약+황기, 백출+사간, 음양곽+당귀, 음약곽+괴화, 음양곽+황백, 백작약+백출, 백작약+음양곽, 백작약+당귀, 백작약+괴화, 백작약+사간, 백출+음양곽, 백출+당귀, 백출+괴화; 녹차+사간+당귀, 녹차+사간+황기, 녹차+사간+상백피, 녹차+사간+백작약, 녹차+사간+과화, 녹차+사간+음양곽, 녹차+당귀+황기, 녹차+당귀+상백피, 녹차+상백피+백작약, 녹차+상백피+괴화, 녹차+황기+상백피, 녹차+백작약+음양곽, 사간+당귀+황기, 사간+당귀+상백피, 사간+당귀+백작약, 사간+당귀+괴화; 사간+당귀+음양곽+백작약, 사간+당귀+음양곽+괴화, 사간+당귀+음양곽+녹차, 사간+당귀+음양곽+황기, 사간+당귀+음양곽+상백피, 당귀+음양곽+백작약+괴화, 당귀+음양곽+백작약+녹차, 당귀+음양곽+백작약+황기, 당귀+음양곽+백작약+상백피, 음양곽+백작약+괴화+녹차, 음양곽+백작약+괴화+황기, 음양곽+백작약+괴화+상백피, 백작약+괴화+녹차+황기, 백작약+괴화+녹차+상백피 및 괴화+녹차+황기+상백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용 세균이 비피도박테룸 비피덤(Bifidobacterum bifidum)인 경우, 기능성 조성물이 하기의 배합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 기능성 생약재의 조성물:
    연자육, 산수유, 사간; 연자육+산수유, 연자육+사간, 연자육+녹차; 연자육+산수유+녹차, 연자육+산수유+사간, 연자육+녹차+사간, 산수유+녹차+사간; 연자육+녹차+사간+산수유, 연자육+녹차+사간+감초, 녹차+사간+산수유+감초, 연자육+사간+산수유+감초 및 연자육+녹차+산수유+감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용 세균이 비피도박테룸 인판티스(Bifidobacterum infantis)인 경우, 기능성 조성물이 하기의 배합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 기능성 생약재의 조성물:
    진피, 오가피, 승마, 산수유, 녹차, 두충, 오배자, 현초, 백굴채, 황기; 음양곽+녹차, 음양곽+산사자, 음양곽+두충; 녹차+음양곽+백굴채, 녹차+음양곽+진피, 녹차+음양곽+갈근, 녹차+음양곽+황기, 녹차+백굴채+진피, 녹차+백굴채+황기, 녹차+진피+갈근, 녹차+진피+황기, 녹차+갈근+황기, 음양곽+백굴채+진피, 음양곽+백굴채+갈근, 음양곽+백굴채+황기, 음양곽+진피+갈근, 음양곽+진피+황기, 음양곽+갈근+황기, 백굴채+진피+갈근; 녹차+백굴채+황기+음양곽, 녹차+백굴채+황기+진피, 녹차+백굴채+황기+갈근, 백굴채+황기+음양곽+진피, 백굴채+황기+음양곽+갈근, 황기+음양곽+갈근+진피, 녹차+황기+음양곽+갈근, 녹차+음양곽+진피+갈근, 녹차+백굴채+음양곽+진피, 녹차+백굴채+음양곽+갈근, 녹차+백출채+진피+갈근, 녹차+황기+음양곽+진피, 녹차+황기+진피+갈근 및 백굴채+음양곽+진피+갈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용 세균이 클로스티리디움 부티리컴(Clostridium butyricum)인 경우, 기능성 조성물이 하기의 배합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장내 유용 세균에 대한 성장촉진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구기자, 괴화, 백굴채,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황금, 오가피; 백작약+음양곽, 백작약+진피, 백작약+갈근, 백작약+당귀, 백작약+황금, 백작약+괴화, 백작약+연자육, 백작약+상백피, 백작약+녹차, 음양곽+진피, 음양곽+갈근, 음양곽+당귀, 음양곽+황금, 음양곽+괴화, 음양곽+연자육, 음양곽+상백피; 음양곽+갈근+괴화, 음양곽+갈근+백작약, 음양곽+갈근+당귀, 음양곽+갈근+연자육, 음양곽+갈근+황금, 음양곽+갈근+녹차, 음양곽+괴화+백작약, 음양곽+괴화+당귀, 음양곽+괴화+연자육, 음양곽+괴화+황금, 음양곽+괴화+녹차, 음양곽+백작약+당귀, 음양곽+백작약+연자육, 음양곽+백작약+황금, 음양곽+백작약+녹차, 음양곽+당귀+연자육; 음양곽+갈근+연자육+백작약, 음양곽+갈근+연자육+녹차, 음양곽+갈근+연자육+괴화, 음양곽+갈근+연자육+당귀, 갈근+연자육+백작약+녹차, 갈근+연자육+백작약+괴화, 갈근+연자육+백작약+당귀, 연자육+백작약+녹차+괴화, 연자육+백작약+녹차+당귀, 연자육+백작약+괴화+당귀, 백작약+녹차+괴화+당귀, 갈근+연자육+녹차+당귀, 음양곽+갈근+백작약+녹차, 갈근+백작약+괴화+당귀 및 음양곽+연자육+백작약+당귀.
KR10-2001-0046355A 2001-07-31 2001-07-31 항산화성을 갖는, 장내 세균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050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55A KR100503925B1 (ko) 2001-07-31 2001-07-31 항산화성을 갖는, 장내 세균 성장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55A KR100503925B1 (ko) 2001-07-31 2001-07-31 항산화성을 갖는, 장내 세균 성장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359A true KR20030012359A (ko) 2003-02-12
KR100503925B1 KR100503925B1 (ko) 2005-07-27

Family

ID=2771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355A KR100503925B1 (ko) 2001-07-31 2001-07-31 항산화성을 갖는, 장내 세균 성장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92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26B1 (ko) * 2002-02-16 2005-07-27 김종덕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WO2007049917A1 (en) * 2005-10-26 2007-05-0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Th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bark for improving normal flora and enhancing immune response
KR100768830B1 (ko) * 2006-04-17 2007-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101024040B1 (ko) * 2008-06-03 2011-03-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간기능 보호제
CN104189275A (zh) * 2014-08-22 2014-12-10 徐自升 一种射干药材鲜切加工工艺
KR101476236B1 (ko) * 2012-08-16 2014-1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화 및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유산균
KR101510673B1 (ko) * 2008-10-31 2015-04-1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사포닌의 장내 세균 대사 억제용 조성물
AT515336A1 (de) * 2014-02-03 2015-08-15 Roth Hermann Dr Vermeidung oxidativer Prozesse und oxidativem Stress
CN105055787A (zh) * 2015-09-18 2015-11-18 刘大仟 一种治疗结肠癌的胶囊及其制备方法
CN110251582A (zh) * 2019-06-06 2019-09-20 嘉兴市爵拓科技有限公司 肠道菌群构成比率调节剂、药品、饮食品及肠道菌群构成比率的调节方法
CN113768989A (zh) * 2021-09-14 2021-12-10 中国药科大学 芍药檗皮丸在制备治疗炎症性肠病或炎症相关性结直肠癌药物中的应用
KR102544699B1 (ko) * 2022-09-15 2023-06-20 주식회사 대정 개선된 제육볶음 제조방법
US11701399B2 (en) * 2020-02-26 2023-07-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 for modulating intestinal permeability and/or treating and/or preventing leaky gut related diseases, and method for modulating intestinal permeability and/or treating and/or preventing leaky gut related disea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189B1 (ko) * 2012-07-12 2014-05-19 박주환 두충 및 오가피를 이용한 추출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914B1 (ko) * 1994-07-13 1996-09-04 주식회사 농심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성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0164004B1 (ko) * 1995-01-26 1998-11-16 한동근 항노화성 건강식품 조성물
KR19980072119A (ko) * 1998-07-24 1998-10-26 서정인 천연 항산화능을 갖는 식물 엑스 조성물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100394577B1 (ko) * 2000-11-16 2003-08-09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오미자 종자 기능성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26B1 (ko) * 2002-02-16 2005-07-27 김종덕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WO2007049917A1 (en) * 2005-10-26 2007-05-0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Th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bark for improving normal flora and enhancing immune response
KR100842053B1 (ko) * 2005-10-26 2008-06-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내 균총 개선 및면역기능 증진용 조성물
JP2009510053A (ja) * 2005-10-26 2009-03-12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オリエンタル メディシン 桂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腸内菌叢改善及び免疫機能増進用組成物
KR100768830B1 (ko) * 2006-04-17 2007-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WO2007120007A1 (en) * 2006-04-17 2007-10-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xtract of echinosophora koreensis removing hangover and having anti-oxidant activity
KR101024040B1 (ko) * 2008-06-03 2011-03-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간기능 보호제
KR101510673B1 (ko) * 2008-10-31 2015-04-1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사포닌의 장내 세균 대사 억제용 조성물
KR101476236B1 (ko) * 2012-08-16 2014-1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화 및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유산균
AT515336A1 (de) * 2014-02-03 2015-08-15 Roth Hermann Dr Vermeidung oxidativer Prozesse und oxidativem Stress
CN104189275A (zh) * 2014-08-22 2014-12-10 徐自升 一种射干药材鲜切加工工艺
CN105055787A (zh) * 2015-09-18 2015-11-18 刘大仟 一种治疗结肠癌的胶囊及其制备方法
CN110251582A (zh) * 2019-06-06 2019-09-20 嘉兴市爵拓科技有限公司 肠道菌群构成比率调节剂、药品、饮食品及肠道菌群构成比率的调节方法
US11701399B2 (en) * 2020-02-26 2023-07-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 for modulating intestinal permeability and/or treating and/or preventing leaky gut related diseases, and method for modulating intestinal permeability and/or treating and/or preventing leaky gut related diseases
CN113768989A (zh) * 2021-09-14 2021-12-10 中国药科大学 芍药檗皮丸在制备治疗炎症性肠病或炎症相关性结直肠癌药物中的应用
KR102544699B1 (ko) * 2022-09-15 2023-06-20 주식회사 대정 개선된 제육볶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925B1 (ko)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6526B (zh) 利用药用花的包裹发酵方法及利用其的皮肤外用剂组合物
CN105250675B (zh) 一种用于制备治疗肿瘤的药物的中药组合物
KR20030012359A (ko)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갖는 기능성 조성물
CN104096154A (zh) 一种治疗口腔溃疡的中药组合物
CN105343755A (zh) 一种山楂养胃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71215A (zh) 一种治疗脾虚胃弱型慢性胃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055950A (zh) 一种治疗复发性口腔溃疡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095995B (zh) 一种治疗胃炎和胃溃疡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CN106215118A (zh) 抗肿瘤的保健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055257B (zh) 治疗慢性胃炎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7823293A (zh) 治疗口腔溃疡的瑶医外用散剂及其制备方法
KR20030068748A (ko) 노화 지연 및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성 천연산물의 조성물
CN114177261A (zh) 一种防治慢性病及抗癌保健的中草药配方
CN104906511A (zh) 一种用于反流性食管炎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796685A (zh) 一种制备治疗心肌梗死的中药组合物的方法
CN112494614A (zh) 一种木瓜百药组合防治癌病的中药配方
CN105327261A (zh) 一种莱菔子养胃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84237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368469A (zh) 参胶芪颗粒饮
CN107875222A (zh) 一种防治羔羊痢疾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958736A (zh) 一种中药制剂在制备治疗急性肠胃炎药物中的用途
CN105250452A (zh) 防治鸭瘟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922301A (zh) 一种用于胃粘膜脱垂症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688952A (zh) 一种治疗膀胱湿热型膀胱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106822A (zh) 一种用于治疗胃病的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