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926B1 -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926B1
KR100503926B1 KR10-2002-0008349A KR20020008349A KR100503926B1 KR 100503926 B1 KR100503926 B1 KR 100503926B1 KR 20020008349 A KR20020008349 A KR 20020008349A KR 100503926 B1 KR100503926 B1 KR 10050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en
white
green tea
schisandra
ye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748A (ko
Inventor
김종덕
김민용
Original Assignee
김종덕
김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덕, 김민용 filed Critical 김종덕
Priority to KR10-2002-000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9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926B1/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내 유해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천연 산물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두충, 황백, 천문동, 고삼, 오미자, 연자육, 상백피, 황기, 황련, 황금, 산수유, 녹차, 오배자, 현초, 승마, 갈근, 감초, 진피 및 백굴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생약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inhibiting effect of growth of harmful bacteria}
본 발명은 생체내 유해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천연 산물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의 과정, 즉 호흡과정 등의 에너지 생성 과정, 외부 물질 유입에 의한 면역활동, 화학물질 등의 간에서의 무독화 과정, 운동 등의 산소량 증가 등에 의하여 활성 산소(free radical)가 많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활성 산소는 생체 조직을 산화시켜 그 기능을 점차 퇴화시키거나 사멸시킴으로써 노화시키거나 질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생체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활성 산소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항산화제(antioxidant)들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자는 인체에 대한 다른 부작용을 고려하여 천연 산물에서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약재(natural antioxidant)를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를 거듭하던 중 본 발명자에 의해 선별된 생약재들이 생체내 유해세균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Clostridium difficle) 등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생체내 세균들 중에는, 단백질을 분해시켜 인체에 해로운 암모니아, 인돌, 페놀 등 악취와 독성이 강한 유해물질들을 주로 만드는 균류들이 있는데, 이들을 유해세균군(群)이라고 하며, 급성위장염, 설사성 질환, 식중독, 패혈증, 수막염, 유산, 급성 위장질환, 패혈증, 화농성 감염, 알츠하이머, 장암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Clostridium difficle),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 (Bacteroides fragilis) 등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본 발명자의 거듭되는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생약재의 조합은 상기한 유해세균들에 대하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생체에 유용한 역할을 하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등의 유용세균들에 대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유해세균과 유용세균의 선별 제어가 가능하다.
기존의 항산화제는 유용세균과 유해세균의 선별 제어가 불가능하여 모든 세균을 제어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이 되어 왔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유해세균만을 선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생약재 추출물을 선별하여 생체내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세균과 유용세균을 선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은 생약재 추출물로써,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두충, 황백, 천문동, 고삼, 오미자, 연자육, 상백피, 황기, 황련, 황금, 산수유, 녹차, 오배자, 현초, 승마, 갈근, 감초, 진피 및 백굴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생약재들은 용존산소 분석법에 의해 선별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베타 카로틴 보다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 산물들이다.
이들 생약재들의 효능과 처방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백작약(白灼藥)은 진통, 진경, 부인병에 사용되는 약재이다.
백출(白朮)은 소화관과 피하조직에서 일어나는 수분대사(水分代謝)의 부전(不全)에 대하여 이뇨(利尿), 발한(發汗) 작용을 하며, 부종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진 약재이다.
음양곽은 삼지구엽초라고도 하며, 두뇌활동을 돕고 건망증, 무기력증, 피로회복, 식욕부진, 히스테리에 효과가 있으며, 신과 양기를 보(補)하여 정력을 증진시키는 약재이다.
석창포(石菖蒲)는 진통제, 진정제, 건위제로 사용되는 약재로, 민간에서는 목욕물에 넣어 사용하기도 한다.
오가피(五加皮)는 보약, 정신 및 육체적 피로와 병후 쇠약에 사용되며, 하반신에 작용하는 강장제나 진통제, 관절류머티즘, 요통 등에도 사용되는 약재이다.
구기자는 술을 담아 강장제로 사용하는 약재이다.
계피는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되는 약재이다. 또한,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 급성열병, 노인병 등에 첨가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괴화는 고혈압시 모세혈관의 저항력을 증강시켜 뇌혈관의 파열을 방지하는데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약재이다.
두충은 보약, 강장제로 사용되고, 폐와 무릎앓이, 음습증을 다스리는 약재이다.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 고혈압에 사용하고 차로도 복용한다.
황백은 습열로 인한 황달과 이질, 대하 및 염증으로 인해 다리와 무릎이 붓고 마비되는 증상에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또한, 종기, 습진, 화상 및 눈이 충혈되고 통증을 호소하는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천문동은 진해, 이뇨, 강장제로 사용되는 약재이다.
고삼(苦蔘)은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에 처방되는 약재이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미자는 자양(滋養), 강장, 진해(鎭咳), 거담(祛痰), 지한(止汗) 등의 효력이 있어 해수, 유정(遺精), 구갈(口渴), 도한(盜汗), 급성간염 등에 처방되는 약재이다. 민간에서는 오미자 차를 만들어 마시며 술도 담근다.
연자육(蓮子肉)은 기(氣)의 보충에 좋고, 피부 질환 퇴치와 미용, 내장 기능 강화, 설사, 신체 허약 등에도 좋은 약재이다. 특히 심리적인 요인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생긴 여성들의 성욕 감퇴와 성기능 저하 등의 성적 장애에 좋은 효능을 발휘하는 약재이다.
상백피(桑白皮)는 폐열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숨찬 증세를 낮게 하고 소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또한, 피가래, 붓기, 고혈압 등에도 효능이 있다.
황기는 강장, 지한(止汗), 이뇨(利尿),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열허탈(氣血虛脫), 탈항(脫肛),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에 처방되는 약재이다.
황련(黃連)은 소화불량, 복통, 구토, 이질, 심계(心悸), 번열(煩熱), 인후종통(咽喉腫痛), 토혈, 코피, 하혈, 화상 등의 치료에 처방되는 약재이다.
황금(黃芩)은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사용되는 약재이다.
산수유는 자양, 강장, 강정, 수렴 등의 효능이 있어 현기증, 월경과다, 자궁출혈 등에 사용되는 약재이다.
녹차는 동맥경화 예방 효과와 알코올과 담배해독 해소작용이 있으며, 기억력과 판단력 증진에도 도움이 되고, 식중독의 해독, 환경 호르몬 억제, 당뇨병, 다이어트, 콜레스테롤 억제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오배자(五倍子)는 수렴(收斂), 지혈, 해독의 효력이 있어 설사, 탈항, 유정(遺精), 혈변, 혈뇨, 구내염 등에 처방되는 약재이다.
현초는 부인병, 이질, 복통에 사용되는 약재이다.
승마(升麻)는 해열제와 해독제로 사용되는 약재이다.
갈근은 발한, 해열, 완하제(緩下劑)로서 고열, 두통, 고혈압, 심부전, 설사, 어깨가 결릴 때 등에 처방되는 약재이다.
감초는 해독작용, 진경(鎭痙)작용, 거담작용, 항염증, 항알러지 작용, 위산분비억제 작용 등이 알려져 있는 약재이다.
진피(陳皮)는 건위제, 진토(鎭吐), 진해, 거담제로 사용되는 약재이다.
백굴채는 진통, 진해, 이뇨, 해독의 효능이 있는 약재로 급성 및 만성 위염, 위궤양에 처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상기한 생약재들은 생체 활동으로 생성된 활성 산소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노화 지연 효과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한 생약재들은 생체내에 투입되어 유해세균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 대장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 등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의 성장은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두충, 황백, 천문동, 고삼; 황련+구기자, 황련+오미자, 황금+구기자, 백작약+황금, 백작약+황련; 황련+오미자+구기자, 황련+오미자+음양곽, 황련+오미자+황금, 황련+오미자+녹차, 황금+구기자+오미자, 황금+구기자+백작약, 황금+구기자+황련; 황금+구기자+오미자+황련, 오미자+음양곽+백작약+황련, 황금+음양곽+백작약+황련, 황금+구기자+백작약+황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의 성장은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황련, 황기; 황금+천문동, 황금+상백피, 황금+구기자, 황금+감초, 황금+황기, 구기자+황백, 황백+상백피, 황백+감초, 음양곽+오미자, 음양곽+감초, 갈근+황금, 갈근+오미자, 갈근+감초; 황금+음양곽+황기, 황금+황백+구기자, 황금+황백+음양곽, 황금+구기자+오미자; 황금+황백+음양곽+황기, 황금+음양곽+황기+감초, 황기+구기자+음양곽+황기, 황금+구기자+오미자+감초, 황금+구기자+황기+감초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장균의 성장은 황금, 오미자; 황금+오미자, 오미자+황백; 황금+황백+오미자, 황금+황백+백작약, 황금+황백+연자육, 황금+오미자+진피, 황금+오미자+연자육; 오미자+연자육+황백+진피, 오미자+황금+백작약+녹차, 오미자+황금+황백+백작약, 오미자+연자육+백작약+진피, 오미자+연자육+진피+녹차, 오미자+연자육+황금+황백, 오미자+연자육+황금+백작약, 연자육+황금+백작약+녹차, 오미자+황금+백작약+진피, 연자육+황백+백작약+녹차, 오미자+연자육+황금+녹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의 성장은 백작약, 산수유, 녹차; 백작약+산수유, 백작약+녹차, 백작약+황련, 황금+괴화, 황금+연자육, 황금+산수유, 백작약+황금, 백작약+괴화, 백작약+연자육, 황금+황련; 백작약+연자육+황백, 백작약+연자육+산수유, 백작약+황백+연자육, 백작약+황금+산수유, 백작약+황금+괴화, 백작약+황금+황련, 백작약+괴화+산수유, 백작약+황련+산수유; 연자육+황금+황련+백작약, 연자육+황금+황련+괴화, 연자육+황금+황련+산수유, 연자육+황금+황련+녹차, 황금+황련+백작약+괴화, 황금+황련+백작약+산수유, 황금+황련+백작약+녹차, 황련+백작약+괴화+산수유, 황련+백작약+괴화+녹차, 백작약+괴화+산수유+녹차, 연자육+백작약+괴화+녹차, 연자육+괴화+산수유+녹차, 연자육+황금+괴화+산수유, 연자육+황금+산수유+녹차, 연자육+백작약+산수유+녹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의 성장은 백작약, 오배자, 현초; 백작약+황금, 백작약+녹차, 백작약+오배자, 백작약+현초, 백작약+오미자, 백작약+백굴채, 황금+녹차, 황금+현초, 황금+오미자, 황금+백굴채, 녹차+오배자; 백작약+황금+백굴채, 백작약+황금+현초, 백작약+황금+녹차, 백작약+황금+오미자, 백작약+백굴채+현초, 백작약+백굴채+녹차, 백작약+백굴채+오미자, 백작약+현초+녹차, 백작약+현초+오미자, 백작약+녹차+오미자, 황금+백굴채+현초, 황금+백굴채+녹차; 황금+백굴채+녹차+오미자, 백작약+황금+백굴채+오미자, 황금+현초+녹차+오미자, 백작약+황금+현초+백굴채, 백작약+황금+현초+녹차, 백작약+황금+현초+오미자, 황금+현초+백굴채+녹차, 황금+현초+백굴채+오미자, 현초+백굴채+녹차+오미자, 백작약+현초+백굴채+녹차, 백작약+백굴채+녹차+오미자, 백작약+황금+백굴채+녹차, 백작약+황금+녹차+오미자, 백작약+현초+녹차+오미자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성장은 승마, 고삼, 황련; 승마+고삼, 승마+황련, 승마+황기, 고삼+황련, 고삼+황기, 황련+황기; 승마+고삼+황련, 승마+고삼+황기, 승마+황련+황기, 고삼+황련+황기; 고삼+황련+황기+승마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의 성장은 백작약, 오가피, 황백, 상백피, 녹차, 오배자, 황련, 황기; 백작약+황금, 백작약+황기, 황금+황백, 황금+황기, 오가피+상백피, 오가피+오미자, 황백+상백피, 황백+오미자, 백작약+황백; 황백+오미자+오가피, 황백+오미자+황금, 황백+오미자+황기, 황백+오미자+황련, 황백+오미자+백작약, 황백+오가피+황금, 황백+오가피+황기, 황백+오가피+황련, 황백+오가피+백작약, 황백+황금+황기, 황백+황금+황련, 황백+황금+백작약, 황백+황기+황련, 황백+황기+백작약, 황백+황련+백작약, 오미자+오가피+황금; 오가피+황기+황백+황련, 오가피+황기+황백+백작약, 황기+황백+황련+황금, 오미자+오가피+황기+황련, 황백+황련+황금+백작약, 황기+황백+황련+백작약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의 성장은 백작약, 산수유, 녹차, 황련; 백작약+황금, 백작약+산수유, 백작약+녹차, 백작약+산사자, 백작약+황련, 백작약+오미자, 황금+산수유, 황금+녹차, 황금+산사자, 황금+황련, 황금+오미자, 산수유+녹차, 산수유+산사자, 산수유+황련, 산수유+오미자, 녹차+산사자, 녹차+오미자, 산사자+황련, 산사자+오미자, 황련+오미자; 황금+오미자+산사자, 황금+오미자+산수유, 황금+오미자+백작약, 황금+오미자+녹차, 황금+산사자+산수유, 황금+산사자+백작약, 황금+산사자+녹차, 황금+산수유+백작약; 황금+산사자+백작약+오미자, 황금+산사자+백작약+산수유, 황금+산사자+백작약+녹차, 산사자+백작약+오미자+산수유, 산사자+백작약+오미자+녹차, 백작약+오미자+산수유+녹차, 황금+백작약+오미자+녹차, 황금+오미자+산수유+녹차, 황금+산사자+오미자+산수유, 황금+산사자+산수유+녹차, 산사자+오미자+산수유+녹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생체에 유용한 역할을 하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룸 아도레스센티스(Bifidobacterum adolescentis) 등의 유용세균들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노화 지연 효과를 갖는 생약재를 이용한 조성물로써 생체에 투입되어 유해세균만을 선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겠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나 효과가 이들 시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산물의 선별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 산물의 선별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존산소 분석법(D.O. analysed method)을 사용하였고,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의 감소 곡선의 식을 구하고, 이 그래프의 커브 아래 면적(AUC; Area Under Curve)을 구하여 항산화력의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종래 항산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베타 카로텐보다 항산화력이 강하거나 유사한 생약재를 선별하고,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유해세균의 성장 억제 효과 시험
시험예 1에서 선별된 항산화 효과를 가진 여러 생약재들에 대하여 1종 이상의 여러 조합으로 구성하여 유해세균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균주로는 유해세균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 대장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를 사용하였으며, 종균협회에서 구입하였다.
생약재는 1종 단독, 2종의 조합, 3종의 조합, 4종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조합을 배지 총량의 3%의 양으로 첨가하였고, 시험균주는 배지 총량의 0.1%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접종 후 37℃에서 6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광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균주의 성장 정도를, 생약재를 전혀 넣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2-1.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혐기적으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2a 내지 도 2l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의 성장은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두충, 황백, 천문동, 고삼; 황련+구기자, 황련+오미자, 황금+구기자, 백작약+황금, 백작약+황련; 황련+오미자+구기자, 황련+오미자+음양곽, 황련+오미자+황금, 황련+오미자+녹차, 황금+구기자+오미자, 황금+구기자+백작약, 황금+구기자+황련; 황금+구기자+오미자+황련, 오미자+음양곽+백작약+황련, 황금+음양곽+백작약+황련, 황금+구기자+백작약+황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3a 내지 도 3j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의 성장은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황백, 연자육, 천문동, 상백피, 황련, 황기; 황금+천문동, 황금+상백피, 황금+구기자, 황금+감초, 황금+황기, 구기자+황백, 황백+상백피, 황백+감초, 음양곽+오미자, 음양곽+감초, 갈근+황금, 갈근+오미자, 갈근+감초; 황금+음양곽+황기, 황금+황백+구기자, 황금+황백+음양곽, 황금+구기자+오미자; 황금+황백+음양곽+황기, 황금+음양곽+황기+감초, 황기+구기자+음양곽+황기, 황금+구기자+오미자+감초, 황금+구기자+황기+감초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대장균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대장균을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4a 내지 도 4i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장균의 성장은 황금, 오미자; 황금+오미자, 오미자+황백; 황금+황백+오미자, 황금+황백+백작약, 황금+황백+연자육, 황금+오미자+진피, 황금+오미자+연자육; 오미자+연자육+황백+진피, 오미자+황금+백작약+녹차, 오미자+황금+황백+백작약, 오미자+연자육+백작약+진피, 오미자+연자육+진피+녹차, 오미자+연자육+황금+황백, 오미자+연자육+황금+백작약, 연자육+황금+백작약+녹차, 오미자+황금+백작약+진피, 연자육+황백+백작약+녹차, 오미자+연자육+황금+녹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4.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식중독을 일으키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브레인 하트 인퓨젼 배지(Brain Heart infusion medium)에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5a 내지 도 5m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의 성장은 백작약, 산수유, 녹차; 백작약+산수유, 백작약+녹차, 백작약+황련, 황금+괴화, 황금+연자육, 황금+산수유, 백작약+황금, 백작약+괴화, 백작약+연자육, 황금+황련; 백작약+연자육+황백, 백작약+연자육+산수유, 백작약+황백+연자육, 백작약+황금+산수유, 백작약+황금+괴화, 백작약+황금+황련, 백작약+괴화+산수유, 백작약+황련+산수유; 연자육+황금+황련+백작약, 연자육+황금+황련+괴화, 연자육+황금+황련+산수유, 연자육+황금+황련+녹차, 황금+황련+백작약+괴화, 황금+황련+백작약+산수유, 황금+황련+백작약+녹차, 황련+백작약+괴화+산수유, 황련+백작약+괴화+녹차, 백작약+괴화+산수유+녹차, 연자육+백작약+괴화+녹차, 연자육+괴화+산수유+녹차, 연자육+황금+괴화+산수유, 연자육+황금+산수유+녹차, 연자육+백작약+산수유+녹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5.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마이크로코쿠스 배지(Micrococcus medium)에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6a 내지 도 6m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의 성장은 백작약, 오배자, 현초; 백작약+황금, 백작약+녹차, 백작약+오배자, 백작약+현초, 백작약+오미자, 백작약+백굴채, 황금+녹차, 황금+현초, 황금+오미자, 황금+백굴채, 녹차+오배자; 백작약+황금+백굴채, 백작약+황금+현초, 백작약+황금+녹차, 백작약+황금+오미자, 백작약+백굴채+현초, 백작약+백굴채+녹차, 백작약+백굴채+오미자, 백작약+현초+녹차, 백작약+현초+오미자, 백작약+녹차+오미자, 황금+백굴채+현초, 황금+백굴채+녹차; 황금+백굴채+녹차+오미자, 백작약+황금+백굴채+오미자, 황금+현초+녹차+오미자, 백작약+황금+현초+백굴채, 백작약+황금+현초+녹차, 백작약+황금+현초+오미자, 황금+현초+백굴채+녹차, 황금+현초+백굴채+오미자, 현초+백굴채+녹차+오미자, 백작약+현초+백굴채+녹차, 백작약+백굴채+녹차+오미자, 백작약+황금+백굴채+녹차, 백작약+황금+녹차+오미자, 백작약+현초+녹차+오미자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6.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브레인 하트 인퓨젼 배지(Brain Heart infusion medium)에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7a 내지 도 7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성장은 승마, 고삼, 황련; 승마+고삼, 승마+황련, 승마+황기, 고삼+황련, 고삼+황기, 황련+황기; 승마+고삼+황련, 승마+고삼+황기, 승마+황련+황기, 고삼+황련+황기; 고삼+황련+황기+승마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7.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식중독을 일으키는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마린 배지(marine medium)에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8a 내지 도 8l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의 성장은 백작약, 오가피, 황백, 상백피, 녹차, 오배자, 황련, 황기; 백작약+황금, 백작약+황기, 황금+황백, 황금+황기, 오가피+상백피, 오가피+오미자, 황백+상백피, 황백+오미자, 백작약+황백; 황백+오미자+오가피, 황백+오미자+황금, 황백+오미자+황기, 황백+오미자+황련, 황백+오미자+백작약, 황백+오가피+황금, 황백+오가피+황기, 황백+오가피+황련, 황백+오가피+백작약, 황백+황금+황기, 황백+황금+황련, 황백+황금+백작약, 황백+황기+황련, 황백+황기+백작약, 황백+황련+백작약, 오미자+오가피+황금; 오가피+황기+황백+황련, 오가피+황기+황백+백작약, 황기+황백+황련+황금, 오미자+오가피+황기+황련, 황백+황련+황금+백작약, 황기+황백+황련+백작약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8.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GYP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9a 내지 도 9n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의 성장은 백작약, 산수유, 녹차, 황련; 백작약+황금, 백작약+산수유, 백작약+녹차, 백작약+산사자, 백작약+황련, 백작약+오미자, 황금+산수유, 황금+녹차, 황금+산사자, 황금+황련, 황금+오미자, 산수유+녹차, 산수유+산사자, 산수유+황련, 산수유+오미자, 녹차+산사자, 녹차+오미자, 산사자+황련, 산사자+오미자, 황련+오미자; 황금+오미자+산사자, 황금+오미자+산수유, 황금+오미자+백작약, 황금+오미자+녹차, 황금+산사자+산수유, 황금+산사자+백작약, 황금+산사자+녹차, 황금+산수유+백작약; 황금+산사자+백작약+오미자, 황금+산사자+백작약+산수유, 황금+산사자+백작약+녹차, 산사자+백작약+오미자+산수유, 산사자+백작약+오미자+녹차, 백작약+오미자+산수유+녹차, 황금+백작약+오미자+녹차, 황금+오미자+산수유+녹차, 황금+산사자+오미자+산수유, 황금+산사자+산수유+녹차, 산사자+오미자+산수유+녹차 등의 조합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유용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 시험
시험예 1에서 선별된 항산화 효과를 가진 여러 생약재들에 대하여 유용세균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균주로는 유용세균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비피도박테룸 아도레스센티스를 사용하였으며, 종균협회에서 구입하였다.
생약재는 배지 총량의 3%의 양으로 첨가하였고, 시험균주는 배지 총량의 0.1%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접종 후 37℃에서 6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광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균주의 성장 정도를, 생약재를 전혀 넣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의 결과는 도 10a 내지 도 10h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서 선별된 여러 생약재들이 유용세균에 대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유해세균만을 선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산물로 조성된 것으로써, 생체내에 투입되어 유해세균만을 선별 제어함으로써 생체내 세균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생체의 기능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유해세균에 의한 설사성 질환, 식중독, 패혈증, 수막염 등의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은 천연 산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적으며, 차 등의 형태로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
도 1은 용존산소 분석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l은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대장균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m은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m은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l은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n은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h는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천연 산물에 의해 생체내 유용 세균의 성장이 촉진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Claims (9)

  1. 생약재 추출물로서,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가피, 구기자, 계피, 괴화, 두충, 황백, 천문동, 고삼, 오미자, 연자육, 상백피, 황기, 황련, 황금, 산수유, 녹차, 오배자, 현초, 승마, 갈근, 감초, 진피 및 백굴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로서,
    생체내 유해세균인 클로스트리디움 디피클, 클로스트리디움 펄프린젠스, 대장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구스, 박테리오데스 프라질리스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2-0008349A 2002-02-16 2002-02-16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KR10050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49A KR100503926B1 (ko) 2002-02-16 2002-02-16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49A KR100503926B1 (ko) 2002-02-16 2002-02-16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48A KR20030068748A (ko) 2003-08-25
KR100503926B1 true KR100503926B1 (ko) 2005-07-27

Family

ID=3222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349A KR100503926B1 (ko) 2002-02-16 2002-02-16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09B1 (ko) 2011-02-22 2013-11-01 김효성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88770A3 (ko) * 2017-11-06 2019-06-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새우 조기폐사증후군 감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3942A1 (en) * 2003-03-06 2004-11-11 Kao Corporation Skin aging-preventing or improving agent
KR100702331B1 (ko) * 2005-05-27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3863B1 (ko) * 2006-04-11 2007-11-06 변영훈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4040B1 (ko) * 2008-06-03 2011-03-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간기능 보호제
KR101641498B1 (ko) * 2015-07-24 2016-07-21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천연 항균 물질 복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4989B1 (ko) * 2020-12-11 2023-05-2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004B1 (ko) * 1995-01-26 1998-11-16 한동근 항노화성 건강식품 조성물
KR19990052998A (ko) * 1997-12-23 1999-07-15 안용준 인도 식물종에서 추출한 천연물질 및 그 용도
KR19990052996A (ko) * 1997-12-23 1999-07-15 안용준 Galla rhois 유래의 천연물질 탄닌 및 그 용도
KR20000041970A (ko) * 1998-12-24 2000-07-15 김종덕 노화지연용 항산화 차
KR20000064188A (ko) * 2000-08-28 2000-11-06 황재관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미생물 항균 조성물
KR20010018657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20030012359A (ko) * 2001-07-31 2003-02-12 김종덕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갖는 기능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004B1 (ko) * 1995-01-26 1998-11-16 한동근 항노화성 건강식품 조성물
KR19990052998A (ko) * 1997-12-23 1999-07-15 안용준 인도 식물종에서 추출한 천연물질 및 그 용도
KR19990052996A (ko) * 1997-12-23 1999-07-15 안용준 Galla rhois 유래의 천연물질 탄닌 및 그 용도
KR20000041970A (ko) * 1998-12-24 2000-07-15 김종덕 노화지연용 항산화 차
KR20010018657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20000064188A (ko) * 2000-08-28 2000-11-06 황재관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미생물 항균 조성물
KR20030012359A (ko) * 2001-07-31 2003-02-12 김종덕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갖는 기능성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Herbal Medicine, 32(2), 108-15 (2001. 06)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rbal Medicine, Minkyun Na et al., 2001, vol 32(2), Page 108-115 and Table 1 *
Research repor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natural anti-aging substances', p. 15-24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1991. 0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09B1 (ko) 2011-02-22 2013-11-01 김효성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88770A3 (ko) * 2017-11-06 2019-06-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새우 조기폐사증후군 감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48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052B1 (ko)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1346281B1 (ko) 29가지 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73717A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75689A (zh) 一种补肾益气酒及其制作方法
CN103238798A (zh) 一种石斛营养片及制备方法
KR101431417B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0787114A (zh) 一种去屑止痒控油的泡沫洗发液及其制备方法
KR100503926B1 (ko)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KR20110112925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13114A (ko) 차 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2502B1 (ko) 아토피 치료 한방 조성물
CN107557204B (zh) 一种混酿荔枝玫瑰酒及其制备方法
KR20110108557A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CN105663926A (zh) 一种降尿酸植物酵素及其制备方法
CN106860814B (zh) 一种改善女性尿频、尿失禁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81166B1 (ko) 황칠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1836B1 (ko)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
JPH0767576A (ja) 菌糸体健康食材
KR101297918B1 (ko) 비만치료 조성물 및 상기 비만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77359B1 (ko) 선옥균을 이용한 두피 및 머리카락관리용 조성물
KR102173683B1 (ko)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