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989B1 -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989B1
KR102534989B1 KR1020200173231A KR20200173231A KR102534989B1 KR 102534989 B1 KR102534989 B1 KR 102534989B1 KR 1020200173231 A KR1020200173231 A KR 1020200173231A KR 20200173231 A KR20200173231 A KR 20200173231A KR 102534989 B1 KR102534989 B1 KR 10253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composition
schisandra chinensis
escherichia coli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898A (ko
Inventor
김동현
한기흥
진형훈
유혜림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9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natural substances)인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antibacterial) 조성물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유해균에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항균용 식품 조성물, 항균용 사료 조성물 및 항균용 농약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s of natural substances as active ingredient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천연물(natural substances)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antibacterial)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antibiotics)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로서, 병원균에 의한 감염증을 치료하는 약물로서 감염 증세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곰팡이류에서 추출된 항생물질로서는 페니실린(penicillin)계,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등의 항균성 항생제와 그리세오풀빈(griseofulvin), 퓨시딘(fucidin)과 같은 항진균성 항생제가 있으며, 세균류에서 추출한 항생물질로서는 마크로라이드(macrolide),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류 및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의 마이신(mycin)류가 존재한다. 페니실린의 경우 다른 항생제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으나 어떤 세균은 페니실린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하기도 하여, 인공적으로 합성한 메티실린(methicillin)이나 옥사실린(oxacillin)등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항생제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항생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으로, 페니실린의 대체약인 메티실린(methicillin)에 내성이 생긴 황색포도상구균이 퍼지자 1950년대에 개발하여 황색 포도상구균의중증 감염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해 왔다. 그러나,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병원균 스스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길러 그 내성이 점차로 강해져 어떤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된 일명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가 1996년 일본에서 처음 등장함에 따라 항생제의 효과적인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항생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자연적인 돌연변이체가 될 수 있으며, 이 내성균들은 내성 유전자를 다른 세균들에게 전달시켜 주어 내성균의 확대는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슈퍼박테리아는 대표적으로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와 더욱 강한 항생제 내성을 가진 VRSA(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를 들 수 있고,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경우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내성은 점차로 강해져 어떤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되며, 미국에서만 한 해 약 1만9000명이 슈퍼박테리아라는 항생제 내성균에 의해 사망하고 있는 등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항생제는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서 고비용이 소요되며 부작용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규한 항생제를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생산하게 되면,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전임상 기간동안, 신규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세균이 발생할 수 있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등의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균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균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 천연물이 가지는 요건으로는 항균 스펙트럼이 광범위하고 장기간 투여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균물질이여야 한다.
한편,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온혈동물의 창자(대장과 소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박테리아이다. 대장균 자체는 인체에 해롭지 않다. 대부분의 대장균의 변종은 해롭지 않지만, 항원형 O157:H7등은 사람의 식중독을 일으키며, 가끔 대규모의 식품 리콜의 원인이 된다. 해롭지 않은 변종은 대장의 공생미생물이며 비타민 K2등을 생산하여 이로움을 주기도 하며, 창자에서 병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의 번식을 막기도 한다. 박테리아는 쉽게 번식하고 유전적으로 비교적 단순하고 다루기가 쉬워 가장 많이 연구된 원핵생물의 표본생물이고, 바이오테크놀로지에서도 중요하게 쓰인다. 독일의 소아과의사이면서 박테리아연구학자인 테오도르 에쉐리히가 1885년에 발견하였으며,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로 분류된다. 대장균 감염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세균으로 오염된 음식과 물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비위생적인 성생활, 잘못된 배변 후 화장지 사용법 등으로 인해 흔하게 발생한다.
한편,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는 그람 양성균이며 호기성 세균이고 대형 간균이다. 사슬 형태로 배열하고 편모가 존재하기 때문에 운동성이 있다. 열에 강한 포자를 형성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에 고온으로 살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보통 식품에서 10CFU/g 이하로 존재하므로 식중독 증상 및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이 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되어 106CFU/g 이상이 되면 설사와 구토를 하게된다. 설사형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잠복기는 10~12시간 정도이고 구토형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잠복기는 1~5시간이다.
한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란, 그람 양성균인 포도상구균의 한 종(種)이다.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은 코, 호흡계통, 피부에 잘 존재한다. 피부 감염이나 호흡기계 감염, 부비강염, 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으나 병원체가 아닌 정상 세균총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출현하여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생육함에 따라 세포집괴(덩어리)를 형성하는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 세균이 건강한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와 비강표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내열성인 외독소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일으킨다. 또 식세포를 죽이는 독소(류코시딘), 용혈소, 응고효소 등을 분비하여 감염숙주세포의 저항성에서 벗어나 화농성 감염증을 일으키다. 그러나, 최근 병원내 등에서 대부분의 항생물질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균주인 MRSA(메티실린내 성황색포도상구균)가 출연하고 있다.
한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호기성 포도당 비발효 그람음성 간균으로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균이다. 녹농균에 의한 감염은 대부분 기회감염이며, 외이도염, 골수염, 뇌수막염, 심내막염, 폐렴, 요로감염, 균혈증 등 다양한 유형의 감염증을 유발한다(Bergogne-Berezin, 2004). 녹농균에 의한 감염증 치료에는 carbapenem계 항균제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작용 범위가 넓고, extended spectrum ß-lactamase (ESBL)을 포함한 대부분의 ßlactamase에 안정성을 보여 그람음성균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Jacoby와 Medeiros, 1991). 그러나, 최근 carbapenem에도 내성을 보이는 녹농균의 감염이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2003년 전국 항균제 내성률 조사에서도 imipenem 내성인 녹농균의 비율이 20%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중 대부분은 다제내성 균이었다(이등, 2006). 녹농균의 carbapenem 내성은 주로 세포막의 투과성 감소, 항균제의 유출, 그리고 carbapenemase 생성 등에 의해 나타나는데 획득성 carbapenemase에 의한 내성은 다른 균에 그 내성유전자를 전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내성 확산의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녹농균이 생성하는 대표적인 carbapenemase 중 metallo-ß-lactamase (MBL) (이등, 2002; 이 등, 2005)는 가수분해 범위가 넓으며 blaIMP 및 blaVIM과 같은 내성유전자의 경우 대개 integron 내에 위치하는 특징이 있다(Poirel 등, 2000; 김 등, 2004).
본 발명에서는 10종의 천연물(natural substances), 즉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를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antibacterial)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뛰어난 항균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10-2018-0152066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10종의 천연물(natural substances)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antibacterial) 조성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유해균에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는 항균용(antibacterial)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생물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물(natural substances)인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antibacterial) 조성물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유해균에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10종의 천연물 혼합 추출물의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0종의 천연물 혼합 추출물의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0종의 천연물 혼합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0종의 천연물 혼합 추출물의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w/w) %, 고체/액체는(w/v) %, 그리고 액체/액체는(v/v) %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항균”은 약제나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세균과 진균의 생육저해 작용을 뜻하며, 세균이 생산하는 항생제 및 천연 식물추출물 등에 포함되는 세균 및 진균의 생육 억제작용을 뜻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에 유해한 세균 또는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을 포함하는 세균에 대한 보존제(항균물질)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이 항생제 대신 동물성 사료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루테올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 ㎎/㎏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루테올린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균은 항생제 내성 세균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균 감염성 혹은 항생제 내성 세균의 예방 또는 개선용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팩,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추출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 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 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 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 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및 POP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및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업, 알킬아미드 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 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 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 계피산 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및 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균 감염성 혹은 항생제 내성 세균의 예방 또는 개선용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팩,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추출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 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 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 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 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및 POP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및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업, 알킬아미드 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 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 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 계피산 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및 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허혈성 뇌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 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하고 유해한 식품 병원성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바, 동물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가축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며, 산유량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이외의 여러 가지 미생물군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서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 등을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 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습식발효사료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물을 수집 및 운반하여 살균과정과 수분조절을 위한 부형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에 적당한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발효하여, 수분함량이 약 70%으로 포함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건조사료는 습식 발효 사료를 건조과정을 추가로 거쳐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정도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쌀가루, 밀가루, 보리가루, 및 옥수수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기분말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및 타조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화한 고기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두류는 대두, 강낭콩, 완두콩, 및 검정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인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이외에도 사료의 영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및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료 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항응고제, 유화제, 및 결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생물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생물농약(biotic pesticide)"이란, 천적곤충, 천적미생물, 길항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농약과 같은 형태로 살포 또는 방사하여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는 약제를 의미하는데, 천적곤충제, 천적미생물제와 같은 해충방제용 생물농약, 균핵을 살멸하는 병해방제용 생물농약, 잡초방제용 생물농약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농약 보조용 조성물"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생물농약 보조용 조성물"이란, 상술한 해충방제용 생물농약, 병해방제용 생물농약, 잡초방제용 물농약의 활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범위를 확장시키는 등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료기기, 의료용 재료 또는 의료용 이식물에 코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팅용 조성물로 피부, 치아와 같은 생물체 유래 조직 또는 기관을 코팅할 수 있으며, 각종 의료용 설비, 장비, 기구, 임시 또는 영구용 인공삽입 보형물인 렌즈, 인공판막, 페이스메이커, 수술용 핀, 삽입 도관, 카테터 등 의료용 물건을 코팅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0종의 천연물을 이용한 혼합 추출물 제조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를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인터넷 약초 인터넷 시장에서 구입한 지모 100 g, 녹차 100 g, 오미자 100 g, 세신 100 g, 후박 100 g, 황기 100 g, 어성초 100 g, 비수리 100 g, 애엽 100 g, 석류 100 g을 33.3%의 에탄올 또는 주정 5 L를 각각 사용하여 넣고, 10 내지 20일 정치한 후, 초음파 처리기(KODO, Hwaseong, Korea, 출력 1,200 W, 주파수 28 KHz)로 50℃에서 2시간 추출한 후에 95 내지 10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혼합 추출물 100 ml를 재 여과하고, 90℃에서 감압 농축하여 상기 10종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예.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효과 실험
항균 효과는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10종의 천연물을 이용한 혼합 추출물을 페이퍼 디스크에 적시어, 미생물을 도말한 배지위에 올려놓고 배양한 다음, 디스크 주위의 투명환(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조예에서 제조한 10종의 천연물을 이용한 혼합 추출물 50 ㎕를 페이퍼 디스크(지름 8mm, 두께 1.5mm)에 적신 다음, 실온에서 하루 동안 방치하였다. 항균력 실험을 수행할 대상 4종의 균주(대장균; 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는 각각 30℃ 또는 37℃에서 1-2일 동안 배양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1×102CFU 또는 1×103CFU가 되도록 계산한 다음, 고체 배지(Nutrient agarNutrient agar) 위에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4종의 균주를 각각 고르게 도말하고, 2-3일 Incubator를 사용해 37℃ 배양하였다. 이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에 균이 자라지 않은 투명환의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10종의 천연물이 포함된 혼합 추출물은 4종의 유해균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유해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결과판독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W = (T-D)/2
W=저지대의 폭(mm), T=시료와저지대의전체지름(mm), D=시료의지름(mm)
상기 수학식 1로 계산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에서 확인된 투명환의 크기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1×102CFU 1.8mm, 1×103CFU 2.4mm(도 1),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1×102CFU 2.0mm, 1×103CFU 2.7mm(도 2),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1×102CFU 2.2mm, 1×103CFU 2.8mm(도 3),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1×102CFU 2.0mm, 1×103CFU 2.8mm(도 4)이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胎喪繡걋?,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를 에탄올 또는 주정으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주정 추출물을 초음파로 추출한 것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6.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녹차(Camellia sin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세신(Asarum sieboldii), 후박(Machilus thunbergii),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비수리(Lespedeza cuneata), 애엽(Artemisia vulgaris L.) 및 석류피(Punica granat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생물농약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200173231A 2020-12-11 2020-12-11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3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31A KR102534989B1 (ko) 2020-12-11 2020-12-11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31A KR102534989B1 (ko) 2020-12-11 2020-12-11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98A KR20220083898A (ko) 2022-06-21
KR102534989B1 true KR102534989B1 (ko) 2023-05-22

Family

ID=8222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231A KR102534989B1 (ko) 2020-12-11 2020-12-11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9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26B1 (ko) * 2002-02-16 2005-07-27 김종덕 생체내 유해세균 성장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98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16251B1 (ko) Gaba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hbt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10117922A (ko) 혼합 균 배양을 통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 이를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및 사료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200006866A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2534989B1 (ko)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92239B1 (ko)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 및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08680B1 (ko)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87378A (ko) 9잔기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107964A (ko)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2201544B1 (ko) 페닐락틱산을 생산하는 페디오코쿠스 에시디락티시 hbt 균주 및 이를 배양한 페닐락티산의 생산방법
KR101959729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퍼밀러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20200068575A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5426A (ko)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KR20230144669A (ko)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17579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KR20040080717A (ko) 방부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키토산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203273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7366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90839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유래 항균물질 혼합제 및 이의 용도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204186B1 (ko) 클렙시에라 뉴모니아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