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669A -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669A
KR20230144669A KR1020220042603A KR20220042603A KR20230144669A KR 20230144669 A KR20230144669 A KR 20230144669A KR 1020220042603 A KR1020220042603 A KR 1020220042603A KR 20220042603 A KR20220042603 A KR 20220042603A KR 20230144669 A KR20230144669 A KR 20230144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present
composition
alkyl
antibacter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기훈
이유선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669A/ko
Publication of KR2023014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6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63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및 효모에 대해 기존 보존제에 비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를 단독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알킬 페놀계 화합물은 대부분 식물유래 리그닌에서 얻을 수 있으며 현재 식품 첨가물로 등록되어 있어 기존의 보존제를 쉽게 대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Description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alkyl phenol-based compound}
본 발명은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짐으로서 단독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화장료, 식품 등에 첨가하여 보존제로 이용이 가능한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내부 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보존을 위해서 인체에 무익한 보존제가 첨가되어 있다. 보존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천연에서 유래된 물질도 있으나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트리클로산과 같은 인공물질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보존제들조차 피부 알러지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화장품이나 식품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보존제 관련 인체 안전성에 대한 염려가 커지면서 식물유래 천연 항균제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화장품에서는 보존제로 사용되어 왔던 파라벤류의 안전성에 대한 이슈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항균 소재의 개발과 화장품에의 응용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들 천연 소재의 활성은 항균, 항진균, 항바이러스, 항염, 항알러지, 항암, 항발암성, 혈관확장기능 등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주요 항균활성 천연물로는 효소, 유기산, 에센셜 오일, 페놀산(phenolic ac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탄닌(tannin), 테르페노이드(terpenoid), 알칼로이드(alkaloid) 및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등이 알려져 있다[Rabin G, Salam AI. 2014. Food 등록특허 10-1773974 - 3 - Control.46: 412-429;TP Tim Cushnie, Andrew JL. 2005. Int. J. Antimicrob. Agents.26:343-356].
이와 같이 안전하면서도 항균 활성이 우수하여 화장료, 식품 등에 첨가할 수 있는 항균 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생물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존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생물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및 효모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도 1a은 디스크 확산 검사(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의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1a에서 ND는 Not Detected를 의미한다.
도 1b은 디스크 확산 검사(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의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1b에서 ND는 Not Detected를 의미한다.
도 1c는 디스크 확산 검사(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의 효모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1c에서 ND는 Not Detected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언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및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C1-6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1-6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1-메틸부틸,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예컨대 1 내지 3개의 할로겐 또는 C1-6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 C1-6 알콕시"는 화학식 -O- C1-6 알킬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tert-부톡시, n-펜톡시, 이소펜톡시, tert-펜톡시, sec-펜톡시, 네오펜톡시, 헥실옥시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알콕시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예컨대 1 내지 3개의 할로겐 또는 C1-6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치환"은, 지정된 원자 상의 원자가(valence)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치환으로부터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 되도록, 분자 구조체 내의 수소 원자를 치환기로 대체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그룹 A가 치환기 B로 치환"된다는 것은, 그룹 A의 골격을 구성하는 탄소 등의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치환기 B로 대체되어, 그룹 A와 치환기 B가 공유 결합을 형성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일 수 있다.
R2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C1-6 알콕시 일 수 있으며, R2가 C1-6 알콕시 일 때 바람직하게는 메톡시(-OCH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R3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일 수 있다.
R4는 C1 내지 C6의 알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R4은 C1 내지 C3의 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4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1-메틸부틸,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tert-부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은 p-크레졸(p-Cresol), 2-메톡시-4-메틸페놀(2-Methoxy-4-methylphenol), 4-에틸페놀(4-Ethylphenol), 4-에틸카테콜(4-Ethylcatechol), 4-에틸구아야콜(4-Ethylguaiacol), 2-에틸페놀(2-Ethylphenol), 4-프로필페놀(4-Prophylphenol), 2-메톡시-4-프로필페놀(2-Methoxy-4-propylphenol); 및 4-tert-부틸페놀(4-tert-Butylp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에틸카테콜(4-Ethylcatechol), 2-에틸페놀(2-Ethylphenol), 4-프로필페놀(4-Prophylphenol), 2-메톡시-4-프로필페놀(2-Methoxy-4-propylphenol); 및 4-tert-부틸페놀(4-tert-Butylpheno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은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및 효모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은 항미생물 및/또는 항박테리아 및/또는 항진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 다른 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p-크레졸(p-Cresol), 2-메톡시-4-메틸페놀(2-Methoxy-4-methylphenol), 4-에틸페놀(4-Ethylphenol), 4-에틸카테콜(4-Ethylcatechol), 4-에틸구아야콜(4-Ethylguaiacol), 2-에틸페놀(2-Ethylphenol), 4-프로필페놀(4-Prophylphenol), 2-메톡시-4-프로필페놀(2-Methoxy-4-propylphenol); 및 4-tert-부틸페놀(4-tert-Butylp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단독 또는 복수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항균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은 세균, 곰팡이 및 효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항미생물 및/또는 항박테리아 및/또는 항진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균은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에셰리키아(Escherichia)속,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및 버크홀데리아(Burkholderia) 속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세균은 엔테로코쿠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에셰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버크홀데리아 세파시아 (Burkholderia cepacia)일 수 있다.
효모는 칸디다(Candida) 속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효모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항균”은 약제나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세균과 진균의 생육저해 작용을 뜻하며, 세균이 생산하는 항생제 및 천연 식물추출물 등에 포함되는 세균 및 진균의 생육 억제작용을 뜻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에 유해한 세균 또는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을 포함하는 세균에 대한 보존제(항균물질)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항생제 대신 동물성 사료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항균용 조성물은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0.001 내지 99 중량%로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첨가제의 선택 사용 및 함량에 대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으며, 해당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 수준에서 사용방법 및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통상의 항균제에 포함되는 물질의 예를 들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일 수 있고, 그 예로는 식염수, 완충용액,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액제, 현탁제, 과립제, 방향수제, 산제, 시럽제, 에어로졸제, 엑스제, 연고제, 유도엑스제, 유제, 전제, 점안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크림제, 환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병원성 세균이나 독소를 생성시키는 곰팡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용도로 세정제, 약제, 식품첨가제, 방향제, 화장제, 도료로 사용 가능하다. 약제로 사용하는 경우 소독제, 치료제, 예방제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식품 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항균용 조성물은 식품의 종류 및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방향제로 사용하는 경우, 휘발성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례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 보존제는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및 의약품 보존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활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품 보존제를 공지 기술을 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는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억제 및 사멸효과가 있고 식품을 무처리군에 비해 오래 유지하거나 보존하는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식품의 갈변방지제, 산화방지제, 미생물 생장 억제제, 살균제, 향신료, 조미제, 방부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가 적용될 수 있는 식품의 구체적인 예로는 야채, 과일,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야채와 과일의 혼합쥬스,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보존제는 화장료 조성물, 제약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어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상기 조성물을 보존시킬 수 있는 보존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보존력”이란 제품의 변질을 막고 원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방어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 보존제는 보존제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제약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질감, 색상 또는 냄새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보존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외의 공지 화학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 보존제는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등의 화학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경우 화학 보존제 사용에 따른 독성,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보존제는 파라벤류의 종래 화학 보존제의 보존력 또는 항균력과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보존력 또는 항균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례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세균성 감염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균성 감염질환은 세균이 혈액, 체액, 또는 조직 내에 침입하여 서식하기 시작하면서 발병하는 질환으로서, 상기 질환으로는 후두염, 전립선염, 피부염, 식중독, 각막염, 골수염, 수막염, 폐렴, 인플루엔자, 장티푸스, 이질, 또는 결핵 등이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알킬 페놀계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례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균 감염성 혹은 항생제 내성 세균의 예방 또는 개선용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항균성을 가짐으로서 우수한 보존력 및 안전성을 나타낸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팩,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 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 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추출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 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안료, 유기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 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 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 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및 POP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및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업, 알킬아미드 인산 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 -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 지방산 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 계피산 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및 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 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 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밀크 로션, 아스트린젠트,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 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례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례로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 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 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 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 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하고 유해한 식품 병원성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바, 동물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가축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며, 산유량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이외의 여러 가지 미생물군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서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 등을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 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습식발효사료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물을 수집 및 운반하여 살균과정과 수분조절을 위한 부형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에 적당한 온도에서 24 시간 이상 발효하여, 수분함량이 약 70%으로 포함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건조사료는 습식 발효 사료를 건조과정을 추가로 거쳐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정도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의 일 예로서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쌀가루, 밀가루, 보리가루, 및 옥수수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기분말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및 타조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화한 고기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두류는 대두, 강낭콩, 완두콩, 및 검정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인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이외에도 사료의 영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및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료 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항응고제, 유화제, 및 결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례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생물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생물농약(biotic pesticide)"이란, 천적곤충, 천적미생물, 길항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농약과 같은 형태로 살포 또는 방사하여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는 약제를 의미하는데, 천적곤충제, 천적미생물제 와 같은 해충방제용 생물농약, 균핵을 살멸하는 병해방제용 생물농약, 잡초방제용 생물농약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생물농약 보조용 조성물"이란, 상술한 해충방제용 생물농약, 병해방제용 생물농약, 잡초방제용 생물농약의 활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범위를 확장시키는 등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디스크 확산 검사(Paper disc diffusion assay)를 통한 항균 효능 평가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의 항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디스크 확산 검사(paper disc diffusion assay)를 수행하였다.
디스크 확산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종이 디스크(직경: 8 mm)를 균이 포함된 고체 배지 위에 올린 후, 음성 대조군(DMSO) 및 시료를 20 μl씩 점적하였다. 각 용량당 3개의 종이 디스크를 사용하였으며, 미생물 균주를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 시료에 대해 2 wt%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상기 2 wt% 샘플 원액을 만들기 위해 DMSO를 용매로 사용하였다.
항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미생물은 표 1과 같으며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 및 대조군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알킬 페놀계 화합물

p-크레졸

2-메톡시-4-메틸페놀

4-에틸페놀

4-에틸카테콜

4-에틸구아야콜

2-에틸페놀

4-프로필페놀

2-메톡시-4-프로필페놀

4-tert-부틸페놀
대조군

4-에틸라니솔

에틸벤젠

p-유제놀

메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1,2-헥산다이올
디스크 확산 검사에서 시료가 항균 효능이 있는 경우에는 균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디스크 주위로 투명한 환(미생물 생장 억제 영역)을 형성하므로 각 화합물의 생장 억제 영역 지름으로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디스크 확산 검사 결과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Sample
(2%, w/w)
억제 영역 지름
(Inhibition zone diameter (mm))
에셰리키아 콜라이
(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
(C. albicans)
p-크레졸(p-Cresol, p-CR) ND
(Not Detected)
ND ND
2-메톡시-4-메틸페놀
(2-Methoxy-4-methylphenol, 2-M-4-MP)
ND ND ND
4-에틸페놀(4-Ethylphenol, 4-EP) 9.58 ± 0.06 9.4 ± 0.07 11.22 ± 0.33
4-에틸카테콜(4-Ethylcatechol, 4-EC) 19.31 ± 0.12 24.62 ± 0.35 11.65 ± 0.23
4-에틸구아야콜(4-Ethylguaiacol, 4-EG) ND ND ND
2-에틸페놀(2-Ethylphenol, 2-EP) 20.88 ± 0.44 35.97 ± 1.84 23.93 ± 0.34
4-프로필페놀(4-Prophylphenol, 4-PP) 21.57 ± 0.84 27.45 ± 0.36 38.38 ± 0.97
2-메톡시-4-프로필페놀(2-Methoxy-4-propylphenol, 2-M-4-PP) 16.65 ± 0.11 33.41 ± 0.41 22.63 ± 0.58
4-tert-부틸페놀(4-tert-Butylphenol, 4-T-BP) 19.50 ± 0.24 19.20 ± 0.45 21.75 ± 0.94
4-에틸라니솔(4-Ethylanisole, 4-EA) ND ND ND
에틸벤젠(Ethylbenzene, EB) ND ND ND
p-유제놀(p-Eugenol, p-EU) 9.45 ± 0.22 10.78 ± 0.16 9.77 ± 0.16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ND ND ND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ND ND 11.2 ± 0.44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 8.9 ± 0.09 ND 16.3 ± 0.36
부틸 파라벤(Butyl paraben) 10.4 ± 0.36 12.2 ± 0.37 16.3 ± 0.29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ND ND ND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ND ND ND
표 3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이며 용매인 DMSO는 투명 환을 형성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항균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 중 4-에틸카테콜, 2-에틸페놀, 4-프로필페놀, 2-메톡시-4-프로필페놀, 4-터셔리부틸페놀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대조군의 p-유제놀과 본 발명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 중 2-메톡시-4-프로필페놀의 항균성을 비교하였을 때 이중 결합이 도입되지 않은 2-메톡시-4-프로필페놀의 미생물 생장 억제 영역의 지름이 각 미생물에 대해 16.65 ± 0.11, 33.41 ± 0.41, 22.63 ± 0.58 로 나타나 이중 결합이 도입되지 않은 화합물의 항균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에틸벤젠, 4-에틸페놀과 4-에틸카테콜의 억제 영역 직경을 비교해보면, 에틸벤젠은 미생물 생장 억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항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틸벤젠에 하이드록시(-OH)기가 한 개 추가된 4-에틸페놀은 미생물 생장 억제 영역을 넓게 형성하여 우수한 항균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하이드록시(-OH)기가 2개 도입된 4-에틸카테콜은 4-에틸페놀보다 더 넓은 미생물 생장 억제 영역을 형성한 것을 확인한 바 하이드록시기(-OH)기를 더 많이 가지는 화합물이 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르소(ortho) 위치에 치환된 2-에틸페놀과 파라(para) 위치에 치환된 4-에틸페놀의 미생물 생장 억제 영역을 비교해 보았을 때, 2-에틸페놀의 미생물 생장 억제 영역이 더 넓게 나타나 4-에틸페놀보다 항균성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알킬기가 도입되는 위치 또한 알킬 페놀계 화합물의 항균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알킬기가 오르소(ortho) 위치에 치환된 화합물의 항균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페놀의 파라(para) 위치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가 각각 치환된 p-크레졸, 4-에틸페놀, 4-프로필페놀의 항균 활성을 비교해보면 알킬기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항균성이 증가하여 4-프로필페놀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다. 마찬가지로 구아이아콜의 파라(para) 위치에 각각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가 치환된 2-메톡시-4-메틸페놀, 4-에틸구아야콜, 2-메틸-4-프로필페놀의 항균 활성을 비교한 결과, 가장 긴 알킬기를 가지는 2-메틸-4-프로필페놀만이 항균 활성을 보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알킬 페놀류 화합물의 알킬기의 길이 또한 항균 효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로서,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R2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C1-6 알콕시이고;
    R3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이며;
    R4는 C1 내지 C6의 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2가 C1-6 알콕시 일 때 상기 C1-6 알콕시는 메톡시(-OCH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C1 내지 C3의 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은 p-크레졸(p-Cresol), 2-메톡시-4-메틸페놀(2-Methoxy-4-methylphenol), 4-에틸페놀(4-Ethylphenol), 4-에틸카테콜(4-Ethylcatechol), 4-에틸구아야콜(4-Ethylguaiacol), 2-에틸페놀(2-Ethylphenol), 4-프로필페놀(4-Prophylphenol), 2-메톡시-4-프로필페놀(2-Methoxy-4-propylphenol); 및 4-tert-부틸페놀(4-tert-Butylp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알킬 페놀계 화합물은 4-에틸카테콜(4-Ethylcatechol), 2-에틸페놀(2-Ethylphenol), 4-프로필페놀(4-Prophylphenol), 2-메톡시-4-프로필페놀(2-Methoxy-4-propylphenol); 및 4-tert-부틸페놀(4-tert-Butylp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6. 제1항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존제로서 상기 보존제는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및 의약품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제.
  7. 제1항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10. 제1항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
  11. 제1항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생물 농약 조성물.

KR1020220042603A 2022-04-06 2022-04-06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144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03A KR20230144669A (ko) 2022-04-06 2022-04-06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03A KR20230144669A (ko) 2022-04-06 2022-04-06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669A true KR20230144669A (ko) 2023-10-17

Family

ID=8855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603A KR20230144669A (ko) 2022-04-06 2022-04-06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6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667357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4669A (ko)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29197B1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037801A (ko)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2408680B1 (ko)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01544B1 (ko) 페닐락틱산을 생산하는 페디오코쿠스 에시디락티시 hbt 균주 및 이를 배양한 페닐락티산의 생산방법
KR102534989B1 (ko)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61061B1 (ko) 키토산­페룰산 염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키토산­페룰산 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KR20040080717A (ko) 방부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키토산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627924B1 (ko) 시린직산, 바닐릭산 및 에피카테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44B1 (ko) 애기쉽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54B1 (ko)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3503B1 (ko) 벌씀바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61112B1 (ko) 해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50348B1 (ko) 국화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131340A (ko)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141959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120844A (ko) 대황의 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141960A (ko)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73104B1 (ko)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