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340A -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340A
KR20230131340A KR1020220027585A KR20220027585A KR20230131340A KR 20230131340 A KR20230131340 A KR 20230131340A KR 1020220027585 A KR1020220027585 A KR 1020220027585A KR 20220027585 A KR20220027585 A KR 20220027585A KR 20230131340 A KR20230131340 A KR 2023013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use
mycelium
food composition
extract
mushroom myc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우
정수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340A/ko
Publication of KR2023013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3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산화물로 유도된 DNA의 손상을 보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의 유도로 생성되는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염증 반응이 유도된 세포에서, 염증 관련 단백질인 iNOS의 발현을 억제하며, 염증 경로인 ERK 및 JNK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Phellinus linteus mycelium fermentation composition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영양분의 섭취는 물론, 활발하게 호흡을 하며 이 호흡을 통하여 들어간 산소가 영양성분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육체적인 운동을 포함한 두뇌활동도 가능하게 되고, 이 때 소량의 활성산소종(ROS)들과 반응성이 큰 유리기가 생성되는데, 신체가 노화되거나 기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서 활성산소 및/또는 유리기에 의한 조직손상이 야기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산하고 제거하는 세포생화학적 프로세스 사이의 불균형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경세포에서 ROS의 축적은 신경병성 장애의 발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성산소는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잃게 하거나 가교결합의 형성, DNA, RNA, 효소 및 세포막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을 산화시켜 과산화지질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산화지질은 생체에 매우 유독하여 동맥경화, 혈액순환장애, 피로, 당뇨병, 심장병, 간장장애, 발암, 암전이 등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지질의 과산화를 막아주는 물질을 항산화물질이라 한다.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또는 보체 (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또는 류코트리엔(L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또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또는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또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피해는 경제, 환경, 의학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식품 산업에서의 식품 유통 과정 중의 부패로 인한 손실, 농산업에서의 농작물에 대한 과량의 화학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및 환경오염,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연 등은 이미 사회 전반에서 고질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식물 등에서 분리된 천연 생리 활성 물질들은 병원성 세균, 진균 등의 넓은 범위에서 항생 활성을 나타내지만, 환경 친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대체 물질로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편백(Chamaecyparis obtusa)은 Cupressaceae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수로 다른 침엽수보다 더 많은 피톤치드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는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하는 phyton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cide의 합성어로, ‘식물이 분비하는 살균 물질’을 의미한다. 피톤치드는 다른 식물과 유기체에 대한 생장억제 및 공격적인 물질이지만, 인체의 질병을 치료하는 유익한 천연 휘발성 물질로, 일상 생활에서 에센셜 오일의 형태로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편백을 이용하여, 에센셜 오일과 같은 제형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편백 추출물의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편백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키면,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산화물로 유도된 DNA의 손상을 보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의 유도로 생성되는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염증 반응이 유도된 세포에서, 염증 관련 단백질인 iNOS의 발현을 억제하며, 염증 경로인 ERK 및 JNK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환원력을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과산화물로 유도된 DNA 손상을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이 보호하는 것을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염증 관련 단백질인 COX-2 및 iNOS의 발현 억제 효과를 웨스턴블랏으로 확인한 도이다(A: COX-2 발현 확인, B: iNOS 발현 확인).
도 7은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염증 관련 경로의 인산화 억제 효과를 웨스턴블랏으로 확인한 도이다(A: ERK 인산화 확인, B: JNK 인산화 확인).
도 8은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과, 편백 추출물 내의 화합물을 HPLC로 비교한 도이다(A: 편백 추출물 분석, B: 편백 상황버섯 발효물 분석).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항산화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백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수용액, 증류수, 핵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고, 바림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증류수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일 수 있고, 상기 균사체는 편백 추출물의 부피 대비, 10 % 중량비로 접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은 소나무 비늘버섯과 진흙버섯속에 속하며 주로 뽕나무와 활엽수의 줄기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버섯으로서. 갓의 표면을 제외한 모두에서 황색을 띠어 상황이라 불리며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약 220여종 중 국내에서는 Phellinus linteusP. baumii가 일반적으로 재배 및 유통되고 있는 버섯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대조군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총 페놀(total phenolic)의 함량이 감소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놀(phenolic)”은 대표적인 독성 물질로서, 부식성이 매우 강하고, 페놀의 증기는 눈과 피부에 염증과 화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유독 물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대조군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의 함량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는 식물 유래 폴리페놀 계열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식물 체 내에서, 미생물 감염과 같은 환경 변화 적응, 세포 증식 조절등의 기능을 하는 물질이다. 플라보노이드는 노란색이라는 뜩을 가진 라틴어 flavus에서 유래했고, 식물과 진균류의 2차 대사산물이며, 다양한 식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특히 플라보노이드는 인체의 세포-신호전달(cell-signaling) 조절에 다양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잇으며, 항산화, 항혈전, 항염증, 항당뇨, 항암, 신경보호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물질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DPPH 라디칼(DPPH radical)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고, ABTS 라디칼(ABTS radical)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디칼(radical)”은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비공유 전자를 갖는 원자, 분자, 이온을 총징하는 것이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비공유 전자는 짝을 짓지 않은 활성 전자로서 해당 물질의 화학 반응성을 매우 증가시키며, 다수의 자유라디칼이 순간적으로 이합체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자유 라디칼이 세포에 축적되면, 높은 반응성으로 세포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세포의 노화가 촉진되며, 자유 라디칼로인한 손상은 대부분의 산화적 손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세포 내 자유 라디칼로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과산화물을 환원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과산화물로 유도된 DNA의 손상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등 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팩,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추출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 에틸,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 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 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 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 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및 POP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및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업, 알킬아미드 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 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 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 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 계피산 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및 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밀크 로션, 아스트린젠트,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염증으로 유도된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염증 관련 단백질인 COX-2 또는 iNOS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염증관련 경로인 ERK 또는 JNK의 인산화를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동물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가축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며, 산유량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이외의 여러 가지 미생물군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서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 등을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 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습식발효사료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물을 수집 및 운반하여 살균과정과 수분조절을 위한 부형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에 적당한 온도에서 24 시간 이상 발효하여, 수분함량이 약 70%으로 포함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건조사료는 습식 발효사료를 건조과정을 추가로 거쳐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정도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쌀가루, 밀가루, 보리가루, 및 옥수수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기분말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및 타조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화한 고기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두류는 대두, 강낭콩, 완두콩, 및 검정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인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이외에도 사료의 영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및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료 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항응고제, 유화제, 및 결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편백 추출물 및 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제조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추출물 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제조를 위하여, 편백(Chamaecyparis obtusa)을 증류수(DW) 또는 에탄올(99% EtOH)로(편백 : 용매 = 1 : 30 w/v) 실온에서 3시간 동안 2회 추출하였다. 그 후 수득된 편백 증류수 추출물(COD) 또는 편백 에탄올 추출물(COE) 각각을 Whatman No.1 여과지(GE Healthcare UK Limited, UK)로 여과하였으며,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증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 시켰다. 그 후 편백 에탄올 추출물에 Phellinus linteus 균사체를 10%v/w로 접종하여 10일간 균사체를 이용하여 생물전환(발효)시켰다. 그 후 수득된 발효물을 Whatman No.6 여과지(GE Healthcare UK Limited, UK)를 통해 여과하고 이를 농축하여 편백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CPE-1)을 수득하였다. 모든 샘플을 농축한 다음 -108°C에서 동결건조했다. 마지막으로 추출물을 사용할 때까지 -20 °C의 냉장고에 보관했다.
<실시예 1>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측정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총 페놀(Total phenolic) 및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의 양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FC 시약 방법(Huda-Faujan et al., 2009)과 같은 Folin-Ciocalteu 비색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gallic acid를 0 ~ 100 μg/ml의 농도로 준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량을 위한 표준곡선(standard curve)을 준비하였다. 그 후 모든 시료를 10 mg/ml의 농도로 준비하고, 준비된 시료 40 μl를 well에 분주하여 1M Folin-Ciocalteu 시약(FC 시약) 20 μl와 20%(w/v) 탄산나트륨(Na2CO3) 60 μ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UV-가시광선 분광광도계로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표준 검량선에서 결정되었으며, 결과는 추출물 mg 당 gallic acid 등가물(GAE)의 μg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의 양을 비교하기 위하여, Nieva 측정(Nieva et al., 2000)에 설명된 비색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를 10 mg/ml의 농도로 준비하고, 정량을 위한 표준용액으로 카테킨(catechin)을 이용하였으며, 카테킨 용액을 0 ~ 100 μg/ml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그 후 각 시료(COD, COE, CPE-1) 또는 표준용액 25μL를 증류수 125μL와 혼합한 후, 5%(w/v) NaNO2 용액 8μ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0% 염화알루미늄 15mL를 첨가하여 6분간 추가로 반응 시키고, 1M 수산화나트륨(NaOH) 27mL 혼합한 다음, ELISA 리더에 첨가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대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카테킨을 이용하여 수득된 표준곡선을 이용하였으며, 추출물 mg당 카테킨 당량으로 μg 함량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3번 반복하여, 각 시료 내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D와 비교하여, COE에서는 총 페놀 함량이 감소하고, 총 프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편백 에탄올 추출물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CPE-1에서 COE와 비교하여, 총 페놀 함량이 감소하고, 총 플라보노이드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항산화 활성 확인
<2-1>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본 발명의 CPE-1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PE-1을 0.25, 0.5, 1, 2 및 4 mg/ml의 농도로 준비하고, 표준 용액으로서 천연 항산화 물질인 butyl hydroxy toluen(BHT) 및 Ascrobic acid(AA)을 동일한 농도로 준비하였다. 그 후 각 시료 및 상기 표준 용액 100 ml을 DPPH용액 100mL와 혼합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517 nm의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PE-1은 천연 항산화 물질인 BHT 및 AA와 유사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2-2> ABTS 라디칼 소거능 확인
본 발명의 CPE-1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BTS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ABTS를 DW에 7 mM의 농도로 용해하고, 과황산칼륨 용액과 혼합하여, 최종 2.45 mM의 농도로 혼합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ABTS 라디칼 소거능 실험 전 암실에서 12 ~ 16 시간동안 실온에 보관하여 침전시켰다. 그 후 새로운 ABTS 용액을 준비하고, 0.01M PBS(phosphate buffer saline, pH 7.4)로 희석하여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0.70 ± 0.02 이내로 조절하였다. 그 후 0.25, 0.5, 1, 2, 4 mg/ml의 농도로 준비한 CPE-1 및 AA 용액 0.1 ml을 침전시켜 둔 ABTS 용액 0.9 ml과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EP-1은 농도의존적으로 ABST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4 mg/ml의 농도에서는 천연 항산화 물질인 AA와 비교하여, ABST 라디칼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2-3> 환원력 측정
본 발명의 CPE-1의 과산화물에 전자를 공여하는 성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원력(reducing power)을 측정하였다. CPE-1과 BHT 및 AA와 같은 양성 대조군의 환원력 측정은 Hu et al.(2009)에 기재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 및 양성 대조군을 0.25, 0.5, 1, 2 및 4 mg/ml의 농도로 준비하고, 각 시료 1 ml을 0.2M PBS 버퍼(pH 6.6) 2.5 ml 및 페리시안화칼륨(10mg/ml) 용액 2.5ml와 혼합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30분 동안 50℃의 온열수조에서 반응시키고, 2.5ml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100 mg/ml)과 혼합하고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상청엑 0.25 ml을 취하여, 증류수 0.25 ml과 혼합하고, 마지막으로 0.5ml의 FeCl3(0.1%(w/v))를 혼합물에 첨가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흡광도의 값이 높을수록 환원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PE-1 및 양성 대조군인 BHT 및 AA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환원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PE-1이 양성대조군보다 환원력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2-4> DNA 보호능 확인
본 발명의 CPE-1이 과산화물로 유도된 DNA의 손상을 보호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pBR322인 플라스미드 DNA 및 6X 로딩은 Thermo Scientific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으며, pBR322(1μL, 0.5μg/μL)는 2μL의 0.08mM 황산철(II) 7수화물(FeSO4), 3μL의 30% 과산화수소(H2O2)(v/v), 5μL의 증류수와 0.25, 0.5 및 1 mg/ml의 농도의 시료와 혼합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 μl의 6X 로딩 염료를 추가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00V에서 0.8% 아가로스 겔상에서 전기영동(Mupid-2plus; Advance Co., Ltd.)하였다. 그 후 supercoiled, linear 및 open circle과 같은 DNA 밴드를 ethidium bromide(EtBr)로 염색하고 ChemiDoc MP Imaging System(BIO RAD)에서 겔을 확인하였다. Control 군은 pBR322(1μL, 0.5μg/μL)과 나머지 시약은 모두 동량의 증류수로 반응시킨 군이며, Negative control 군은 pBR322(1μL, 0.5μg/μL)를 과산화물(FeSO4 및H2O2)에 의해 손상 시킨 후 증류수만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과산화물(FeSO4 및H2O2)에 의해 pBR322(1μL, 0.5μg/μL)의 손상을 유도한 후 CPE-1를 각각 0.25, 0.5 및 1 mg/ml의 농도로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PE-1을 처리한 군에서는 DNA 밴드의 강한 발현이 확인되어, 과산화물(FeSO4 및H2O2)에 의해 유도된 DNA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항균활성 확인
본 발명의 CPE-1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효과를 평가하였다. 항균효과 평가를 위하여, 상기 균주 배양액을, 제조된 NA(Nutrient Agar) 배지에 평판도말 한 후 멸균된 팁을 이용하여, 고정된 위치에 웰(well)을 만들었다. 그 후 각 시료(COD, COE 및 CPE-1)를 다양한 농도로 준비하고, 준비된 시료 0.05 ml을 각 well에 주입하여, 37 ℃의 배양기에서 혐기성 조건하에 24 ~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균주가 배양된 NA 배지에서 well 주위에 생성된 무균대(clean zone)의 직경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항균 활성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PE-1 추출물은 COD 및 COE와 비교하여, 낮은 농도(1 및 10 mg/ml)에서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항염증 효과 확인
<4-1> NO 생성 억제 확인
본 발명의 CPE-1이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반으로 유도되는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RAW264.7세포를 96well plate (Corning, USA)에 5×104 cells/well로 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LPS를 1 μg/ml의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하고, 본 발명의 CPE-1을 1, 2.5, 5 및 1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1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각 well로부터 배양 상측액을 80 μl 수득하여, 새로운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동일한 양의 Griess 시약과 혼합하여 상온에서 10분 간 반응시킨 뒤,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itrite standard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NO의 생성량을 측정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Control 군, C) 및 LPS를 처리하고 다른 시약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군, NC)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NC)에서는 대조군(C)과 비교하여, NO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의 CPE-1을 처리하면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2>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 확인
본 발명의 CPE-1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웨스턴블랏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염증과 관련된 단백질인 COX2 및 iNOS의 발현과, ERK 및 JNK 인산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DMEM의 RAW 264.7 세포를 100mm 접시에 1.5 x 106 cell/wells로 seeding하고 CO2에서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CPE-1 (1, 2.5, 5) μg/mL를 24시간 동안 전 처리한 후 LPS 1 μg/ml를 1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iNtRON Biotechnology에서 구입한 PRO-PREP 완충액을 사용하여 전체 단백질을 추출하고 4℃에서 14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세포 용해물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동일한 양의 단백질(20㎍/lane)을 12%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분주한 후 전기영동을 시행하였다. 그 후 단백질 샘플을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막으로 옮기고 5% BSA(Bovine Serum Albumin)로 차단하였다. 차단한 막에, 염증과 관련된 단백질에 상응하는 1차 항체와 함께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막을 2차 항체(항-토끼)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ChemiDoc MP Imaging System(BIO RAD)에서 ECL 키트(enhanced chemiluminescence)로 막의 면역 신호를 시각화하였다. 밴드 강도는 ImageJ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Control 군, C) 및 LPS를 처리하고 다른 시약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군, NC)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NC)에서는 대조군(C)와 비교하여, COX2 및 iNOS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CPE-1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된 iNO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성 대조군(NC)에서 LPS에 의하여 증가된 ERK 및 JNK의 인산화가, CPE-1의 처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CPE-1이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실시예 5> 편백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생리활성물질 증가 확인
본 발명의 CPE-1의 생리활성물질의 증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COE 및 CPE-1 내의 화합물을 비교하기 위하여, 4.6 × 250 mm, 5 μm 입자 크기, Supelco C18 컬럼인 C18 분석 컬럼(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구성된 HPLC(Thermo Scientific Dionex Ultimate 3000 시리즈)로 각각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COE 및 CPE-1의 생리활성 화합물을 식별하기 위해 물에 용해된 0.1% TFA(Trifluoroacetic acid)를 이동상 A로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중 0.1% TFA를 이동상 B로 사용했다(용출 조건: 0분, 60% B, 30분, 90% B, 40분, 90% B, 유속, 0.6mL/분, 주입 부피, 20μL, 파장, 275nm 및 컬럼 온도 28°C). 그리고 시료를 메탄올(MeOH)에 녹여 0.45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모든 용매와 이동상은 HPLC 등급이었고 머무름 시간을 표준과 일치시켜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내부 표준물질로는 gallic acid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E와 비교하여, CPE-1에서는 내부 표준물질인 gallic acid의 피크(peak)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22분 내지 28분 사이에서 새로운 피크가 확인되면서, CPE-1은 발효과정에서 유효성분인 gallic acid의 함량이 증가하고, 새로운 성분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산화물로 유도된 DNA의 손상을 보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의 유도로 생성되는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염증 반응이 유도된 세포에서, 염증 관련 단백질인 iNOS의 발현을 억제하며, 염증 경로인 ERK 및 JNK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34)

  1.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수용액, 증류수, 핵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는, 편백 추출물 부피 대비, 10 %중량비로 접종되는 것인,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대조군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총 페놀(total phenolic)의 함량이 감소된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대조군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의 함량이 증가된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DPPH 라디칼(DPPH radical)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ABTS 라디칼(ABTS radical)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과산화물을 환원시키는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과산화물로 유도된 DNA의 손상을 억제시키는 것인,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11.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3.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수용액, 증류수, 핵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항균용 식품조성물.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균용 식품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는, 편백 추출물 부피 대비, 10 %중량비로 접종되는 것인, 항균용 식품조성물.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것인, 항균용 식품조성물.
  18.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0.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조성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수용액, 증류수, 핵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항염증용 식품조성물.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염증용 식품조성물.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는 편백 추출물 부피 대비, 10 %중량비로 접종되는 것인, 항염증용 식품조성물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염증으로 유도된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항염증용 식품조성물.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염증 관련 단백질인 COX-2 또는 iNOS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인, 항염증용 식품조성물.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염증관련 경로인 ERK 또는 JNK의 인산화를 억제시키는 것인, 항염증용 식품조성물.
  27.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29.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사료조성물.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산화용 사료조성물.
  31.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조성물.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균용 사료조성물.
  33.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버섯 균사체(myceli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사료조성물.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인 것인, 항염증용 사료조성물.
KR1020220027585A 2022-03-03 2022-03-03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13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85A KR20230131340A (ko) 2022-03-03 2022-03-03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85A KR20230131340A (ko) 2022-03-03 2022-03-03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340A true KR20230131340A (ko) 2023-09-13

Family

ID=8802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585A KR20230131340A (ko) 2022-03-03 2022-03-03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30131340A (ko)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11085B1 (ko) 누룩을 이용한 쪽 발효방법 및 이에 얻은 쪽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8575A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203273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201544B1 (ko) 페닐락틱산을 생산하는 페디오코쿠스 에시디락티시 hbt 균주 및 이를 배양한 페닐락티산의 생산방법
KR20040080717A (ko) 방부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키토산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57788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34144B1 (ko) 애기쉽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54B1 (ko)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8680B1 (ko)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141959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141960A (ko)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141961A (ko) 생강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60079979A (ko) 전복 점질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3104B1 (ko)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