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801A -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801A
KR20230037801A KR1020210120785A KR20210120785A KR20230037801A KR 20230037801 A KR20230037801 A KR 20230037801A KR 1020210120785 A KR1020210120785 A KR 1020210120785A KR 20210120785 A KR20210120785 A KR 20210120785A KR 20230037801 A KR20230037801 A KR 2023003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eaf powder
powder extract
coffee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도연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801A/ko
Publication of KR2023003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한 커피나무 잎을 무게의 5~15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주정)에 50~70℃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하되, 이를 2~4회 반복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60~72시간 동결 건조하여 150~200mesh 크기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에 대한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능을 검증함을 통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물 추출물로서 항산화용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될 경우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며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Anti-oxidiz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offee tree leaf powd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커피나무 잎을 70% 에탄올(주정)을 통한 용매추출을 통해,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효과 등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천연물 추출물로서 항산화용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될 경우 부작용 발생이 없는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기술이 발전하여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반면,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된 현대인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여 노화 억제 및 건강 유지를 위해 항산화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로는 비타민 E, 비타민 C, 베타카로틴,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의 천연 항산화제와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ylated hydroxyanisole(BHA)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 합성 항산화제들은 독성으로 인해 간을 손상시키거나 암까지 유발하는 등 안전성 문제들이 대두되면서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외부에 노출된 피부는 적합한 세균 발육환경을 조성하여, 태생기에는 무균적이었던 피부에 오염원에 의해 각종 세균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균들은 피부 염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피부에 생리적, 환경적 변화에 의해 여드름, 색소침착, 지루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비듬 등의 피부 이상 또는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여드름과 비듬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항균활성이 있는 약용화장품과 아연 피치리온(zincpyrithion)을 함유하는 비듬 샴푸, 그리고 국소적 치료제인 레티노산(retinoic acid), 트레티노인(tretinoin)과 항생제인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미노싸이클린(minocycline),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반복되는 여드름으로 인한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은 여드름 원인균뿐만 아니라, 피부 정상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발생시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항생제 내성이란 항생제에 노출된 미생물이 자기복제 과정에서 내성을 갖는 형질을 선택하게 되고, 이렇게 생겨난 저항성 유전자를 다른 미생물에게 전달해 이들도 동일한 내성을 갖는 것이다. 최근 항생제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병원균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천연물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커피나무는 꼭두서니과(Rubiaceae)의 커피속(Coffea)에 포함되는 식물로서, Coffea arabica 종의 커피나무의 경우 4∼6m, C. canephora 종의 커피나무의 경우 8∼12m까지 자란다. 커피열매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낮은 높이로 재배하며, 환경적인 요인인 고도, 기온, 강수량, 토양 등의 영향에 따라 품질이 결정된다. 약 80~100여 종으로 추정되고 있는 Coffea속 중 Coffea arabica (Arabica 커피)와 Coffea canephora(Robusta 커피)가 세계 커피 시장에서 가장 주요한 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동일한 품종이라도 재배되는 지역이나 환경에 따라 맛이나 향 특성이 다양하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대부분의 커피는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주요 생산국으로서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멕시코, 과테말라,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등이 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전주, 제주 등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관광이나 가공 및 판매 등의 목적으로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그 재배량이나 커피 생산량도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가공 방식으로 소비되는 커피 종자를 포함하는 열매 부위 이외의 부위에 대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며, 특히 차 등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생산량이 일정 수준에 이를 수 있는 잎 부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커피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국내에서 재배가 본격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커피나무의 잎을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비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효과,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 효과 및 항균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커피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여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566320 B1 (2015. 10. 30.) KR 10-2012-0024262 A (2012. 03. 14.)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물 소재 유래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통해 항산화 활성 특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세척한 커피나무 잎을 무게의 5~15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주정)에 50~70℃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하되, 이를 2~4회 반복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60~72시간 동결 건조하여 150~200mesh 크기의 분말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에서 상기 70% 에탄올(주정) 100중량부에 대하여 NaOH 및 KOH 중에서 선택되는 염기 또는 HCl 및 CH3COOH 중에서 선택되는 산을 0.1~10중량부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의 제형을 가지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용액 50~150중량부, 히알루론산 용액 50~150중량부, 잔탄검 용액 20~50중량부, 헥산디올 50~100중량부, 식물성 글리세린 50~100중량부 및 정제수 1,000~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크림의 제형을 가지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30~70중량부, 플렉스오일 10~30중량부, 사이클로실리콘오일 5~15중량부, 올리브리퀴드 30~70중량부, 에센스오일 용액 1~5중량부, 판테놀 5~15중량부, 글리세린 10~30중량부, 히알루론산 용액 30~70중량부, 하이드로젤 300~700중량부, 헥산디올 30~50중량부 및 정제수 1,000~1,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로션의 제형을 가지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20~50중량부, 올리브리퀴드 20~50중량부, 에센스오일 1~5중량부, 잔탄검 용액 30~50중량부, 글리세린 30~50중량부, 판테놀 30~50중량부, 콜라겐 30~50중량부, 히알루론산 용액 70~100중량부, 헥산디올 30~50중량부 및 정제수 1,000~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에 대한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능을 검증함을 통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물 추출물로서 항산화용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될 경우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며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커피나무 잎을 70% 에탄올(주정)을 통한 용매추출을 통해 제조한 것으로서, 세포독성이 없고 부작용 등에 대한 안정성이 보장되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에탄올 용매추출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세척한 커피나무 잎을 무게의 5~15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주정)에 50~70℃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하되, 이를 2~4회 반복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60~72시간 동결 건조하여 150~200mesh 크기의 분말로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척한 커피나무 잎을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주정)에 60℃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되, 이를 3회 반복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72시간 동결 건조하여 150~200mesh 크기의 분말로 제조한다.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0.1~2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소한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총 페놀류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켜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추출과정에서, 상기 70% 에탄올(주정) 100중량부에 대하여 NaOH 및 KOH 중에서 선택되는 염기 또는 HCl 및 CH3COOH 중에서 선택되는 산을 0.1~10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만약, 염기 또는 산의 첨가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중의 총 페놀류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는 정도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유효 물질이 가수분해되어 미용 활성이 낮아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추출물의 총 페놀류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켜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추출과정 이전에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을 셀룰레이즈(cellul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자일라네이즈(xylanase), 아밀레이즈(amylase), 아밀로글루코시데이즈(amyloglucosid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용 항산화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린,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유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는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는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 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분체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제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 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쉽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본 발명에 사용한 커피나무 잎은 전주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아라비카((Coffea arabica L.) 종에서 2021년 하반기에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세척한 커피나무 잎을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주정)에 60℃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되, 이를 3회 반복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72시간 동결 건조하여 150mesh 크기의 분말로 제조한다.
실험 1 :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 & Denis(1915)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1mg/mL) 50μL에 증류수 650μL를 넣고 폴린-데니스의 요산 시약(Folin-Denis' reagent) 50μL를 가하여 3분 동안 반응시킨다. 이후, 10% 탄산나트륨(Na2CO3; Sigma-Aldrich,USA) 포화용액을 100μL 첨가하고, 증류수 150μL를 넣어 잘 혼합시켜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iMARK™; Bio-Rad, USA)를 이용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 타닌산(tannic acid)을 사용하여 표준곡선에 의해서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1mg/mL) 100μL에 1mL 디에틸글리콜(ethylene glycol)을 첨가하고, 다시 1N 수산화나트륨(NaOH; Sigma-Aldrich) 100μL를 넣어 잘 혼합시켜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iMARK™; Bio-Rad)을 이용하여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 나린진(naringin)을 사용하여 표준곡선에 의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커피 잎 분말 추출물 197±1.76 μg/mL 107±1.86 μg/mL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실험에서는 기본 물질로 타닌산(tannic acid)을 이용해 표준곡선을 사용하여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mg/mL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페놀 함량을 환산하여 나타낸 결과 197μg/mL 함량이 확인되었고, 기본 물질로 나린진(naringin)을 이용해 표준곡선을 사용하여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mg/mL에 포함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환산하여 나타낸 결과 107μg/mL 함량이 확인되었다.
폴리페놀은 화학 구조에 따라 플라보노이드계와 비플라보노이드계로 구분되는 생리활성 물질로 항산화, 항염증 및 항돌연변이 활성뿐만 아니라, 특히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의 신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다량 함유한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여러 생리활성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실험 2 :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Blois(1958)의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1mM DPPH 용액 100μL와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15.7~500μg/mL)을 100μL씩 취하여 혼합한 후, 실온 암실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iMARK™; Bio-Rad)를 이용하여 517nm 파장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3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소거능은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ascorbic acid, BHT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중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진한 보라색을 띠는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이 항산화제에 의해 Dphenylpicrylhydrazine으로 환원되어 옅은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점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5.7, 31.3, 62.5, 125, 250, 500μg/mL의 처리에 따라, 24.21, 36.41, 48.22, 74.12, 90.56, 93.18%의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기준물질인 Vit C와 BHT는 500μg/mL 농도에서 각각 93.50%, 78.21%로 확인되어 Vit C와 유사한 소거능이 확인되었으며, BHT는 더 높게 확인되어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3 :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ABTS[ 2.2'­azinobis(3-eht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ABTS+) 라디칼 소거능은 Re et al(1999)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7mM 농도로 ABTS+를 용해시키고, 여기에 최종 농도가 2.45mM이 되도록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첨가하여 하루 동안 암소에서 ABTS+ 라디칼 양이온을 생성시켰다. 이후, ABTS+ 용액 100μL에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μL을 가한 후 암소에서 10분 동안 방치하여 Microplate Reader(iMARK™; Bio-Rad)를 이용하여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회 반복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음성대조군(2.45 mM potassium persulfate buffer)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흡광도를 감소시키는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Ascorbic acid, BHT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ABTS+는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짙은 청록색의 자유라디칼이며, 734nm에서 광흡수를 나타내고, 항산화 활성이 있는 시료에 의해 라디칼이 소거되면 청록색이 탈색되어 색이 옅어진다. 이를 흡광도 수치로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도 2와 같이,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5.7, 31.3, 62.5, 125, 250, 500μg/mL의 처리에 따라, 25.47, 45.21, 62.23, 80.18, 92.01, 94.31%의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기준물질인 Vit C와 BHT는 500μg/mL 농도에서 각각 94.5%, 82.25%로 확인되어 Vit C와 유사한 소거능이 확인되었으며, BHT는 더 높게 확인되어,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4 : SOD 유사활성 측정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SOD 유사활성 측정은 Marklund & Markiund(1974)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과산화수소와 반응을 촉매하는 pyogallol 자동산화를 측정하여 SOD 유사활성으로 나타내었다. Tris-HCl buffer(50mM tris+10 mM EDTA, pH 8.5) 2600μL와 7.2mM pyrogallol 200μL를 각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에 0.2mL 첨가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1M HCl 100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그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을 Microplate Reader(iMARK™; Bio-Rad)로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SOD-like activity (%)=(1-A/B)×100
A: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SOD 유사활성능을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5.7, 31.3, 62.5, 125, 250, 500μg/mL의 처리에 따라, 16.27, 26.23, 32.22, 46.12, 66.23, 75.25%의 유사활성능이 확인되었다. 기준물질인 Vit C와 BHT는 500μg/mL 농도에서 각각 87.15%, 70.29%로 확인되어 BHT는 보다 높게 확인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SOD 유사활성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 5 :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Yagi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Yagi et al., 1986). 반응구는 0.175M 인산나트륨 완충제(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5㎖에 10mM L-DOPA 0.2mL 및 시료용액 0.1mL의 혼합액에 버섯형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110 U/mL) 0.2mL을 첨가하여 37℃에서 2분 동안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chrome 475㎚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Tyrosinase는 melanin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로 기질인 tyrosine이 tyrosinase에 의해 산화되어 생성되는 melanin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 활성 효과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미백 효과 연구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평가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5.7, 31.3, 62.5, 125, 250, 500μg/mL의 처리에 따라, 7.14, 15.24, 20.16, 30.42, 45.30, 54.12% 저해효과가 확인되었다. 기준물질인 Vit C는 500 μg/mL 농도에서 88.50% 확인되었으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 6 :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 활성 측정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 활성은 돼지 유래 elastase와 기질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20분 동안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15nm에서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15.7~500μg/mL 농도의 시료를 0.1m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 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2.5 U/mL) 용액 0.1mL를 가한 후, 50mM의 기질 0.5mL를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 효과는 시료 용액의 첨가 반응구와 무첨가 대조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Elastase는 진피 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기질 단백질인 elastin의 분해에 관여하며, 또한, 체내의 elastin을 분해하는 백혈구 과립 효소 중 하나로 이상조직에서는 활성이 높아져 조직파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피부의 주름 및 탄력성 소실 등을 유발하여 피부노화를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의 Elast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5.7, 31.3, 62.5, 125, 250, 500μg/mL의 처리에 따라, 7.26, 11.13, 16.21, 21.25, 26.14, 34.21% 저해효과가 확인되어 농도가 증가할수록 elastase 저해효과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7 : 항균 활성 평가
1) 사용균주 및 배지
항균활성에 사용된 미생물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BRC, Jeongeup, Korea),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Seoul, Korea)로부터 분양받았다, 실험에 사용한 각 미생물 균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Strains Gram Strain Media Temp
Staphylococcus epidermidis Gram (+) TSB 37 ℃
Staphylococcus aureus Gram (+) TSB 37 ℃
Propionibacterium acnes Gram (+) RCM 37 ℃
Corynebacterium xerosis Gram (-) BHI 37 ℃
Malassezia furfur Yeast YMB 30 ℃
Candida albicans Yeast YMB 30 ℃
Trichophyton rubrun Fungl SDB 26 ℃
Trichophyton mentagrophytes Fungl SDB 26 ℃
2) 항균 활성 측정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실시예)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에 의해 clear zone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시험 균 농도를 650nm에서 optical density(O.D)값이 0.4(106 CFU/mL)로 조절 한 후, 0.7% agar가 첨가된 배지에 잘 혼합한 다음 평판배지 위에 분주하여 균 접종 배지를 만들었다. 멸균된 paper disc(8 mm; Advantec, Tokyo, Japan)를 균 접종 배지에 올린 후, 0.25~5mg/mL가 되도록,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흡수시킨 다음 26~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isc 주위의 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Clear zone은 paper disc의 직경을 포함하지 않았다. 대조군으로는 70% ethanol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S. epidermidi에 대한 항균효과는 0.25~5mg/mL 농도에서 각각 5, 2, 1, 1 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고,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는 0.25~5mg/mL 농도에서 각각 5, 3, 1, 1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으며,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효과는 0.25~5mg/mL 농도에서 8, 4, 2, 1 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고, 액취증의 원인균인 Corynebacterium xerosis에 대한 항균효과는 0.25~5mg/mL 농도에서 6, 3, 2, 1 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으며,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효과는 0.25~5mg/mL 농도에서 6, 4, 3, 2 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고, C.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는 0.25~5mg/mL 농도에서 2, 2, 1, 1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으며, T. rubrund에 대한 항균 효과는 0.25~5mg/mL 농도에서 6, 3, 2, 2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고,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균 효과는 7, 5, 3, 2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Bacteria
Inhibition zone diameter (mm)
5(mg/mL) 1(mg/mL ) 0.5(mg/mL ) 0.25(mg/mL ) Control
S. epidermidis 5 2 1 1 -1))
S. aureus 5 3 1 1 -
P. acnes 8 4 2 1 -
C. xerosis 6 3 2 2 -
M. furfur 6 4 3 2 -
C. albicans 2 2 2 1 -
T. rubrum 6 3 2 2 -
T. mentagrophytes 7 5 3 3 -
1): NO inhibition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커피나무 잎을 70% 에탄올(주정)을 통한 용매추출을 통해 제조한 것으로서,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과가 있고, 항균 효과 또한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항산화용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될 경우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며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크림, 로션 및 에센스 등이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제조예 1 : 화장수 제조
아래의 표 4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비율(중량부)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용액 50~150
히알루론산 용액 50~150
잔탄검 용액 20~50
헥산디올 50~100
식물성 글리세린 50~100
정제수 1,000~2,000
제조예 2 : 크림 제조
아래의 표 5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비율(중량부)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
에탄올 30~70
플렉스오일 10~30
사이클로실리콘오일 5~15
올리브리퀴드 30~70
에센스오일 1~5
판테놀 5~15
글리세린 10~30
히알루론산 용액 30~70
하이드로젤 300~700
헥산디올 30~50
정제수 1,000~1,200
제조예 3 : 로션 제조
아래의 표 6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비율(중량부)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
에탄올 20~50
올리브리퀴드 20~50
에센스오일 1~5
잔탄검 용액 30~50
글리세린 30~50
판테놀 30~50
콜라겐 30~50
히알루론산 용액 70~100
헥산디올 30~50
정제수 1,000~2,000
제조예 4 : 에센스 제조
아래의 표 7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비율(중량부)
본 발명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
참마 피토뮤신 15~20
에센스오일 1.5~2.5
잔탄검 2~5
글리세린 3~5
판테놀 10~15
히알루론산 용액 30~40
헥산디올 10~15
정제수 300~700

Claims (5)

  1.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은,
    세척한 커피나무 잎을 무게의 5~15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주정)에 50~70℃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하되, 이를 2~4회 반복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60~72시간 동결 건조하여 150~200mesh 크기의 분말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에서,
    상기 70% 에탄올(주정) 100중량부에 대하여 NaOH 및 KOH 중에서 선택되는 염기 또는 HCl 및 CH3COOH 중에서 선택되는 산을 0.1~10중량부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의 제형을 가지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용액 50~150중량부, 히알루론산 용액 50~150중량부, 잔탄검 용액 20~50중량부, 헥산디올 50~100중량부, 식물성 글리세린 50~100중량부 및 정제수 1,000~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의 제형을 가지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30~70중량부, 플렉스오일 10~30중량부, 사이클로실리콘오일 5~15중량부, 올리브리퀴드 30~70중량부, 에센스오일 용액 1~5중량부, 판테놀 5~15중량부, 글리세린 10~30중량부, 히알루론산 용액 30~70중량부, 하이드로젤 300~700중량부, 헥산디올 30~50중량부 및 정제수 1,000~1,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의 제형을 가지되,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20~50중량부, 올리브리퀴드 20~50중량부, 에센스오일 1~5중량부, 잔탄검 용액 30~50중량부, 글리세린 30~50중량부, 판테놀 30~50중량부, 콜라겐 30~50중량부, 히알루론산 용액 70~100중량부, 헥산디올 30~50중량부 및 정제수 1,000~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20785A 2021-09-10 2021-09-10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7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785A KR20230037801A (ko) 2021-09-10 2021-09-10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785A KR20230037801A (ko) 2021-09-10 2021-09-10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801A true KR20230037801A (ko) 2023-03-17

Family

ID=8587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785A KR20230037801A (ko) 2021-09-10 2021-09-10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93B1 (ko) * 2023-03-29 2024-04-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라그린 활성이 우수한 피부장벽 강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262A (ko) 2010-09-06 2012-03-14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566320B1 (ko) 2015-08-27 2015-11-05 정용문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262A (ko) 2010-09-06 2012-03-14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566320B1 (ko) 2015-08-27 2015-11-05 정용문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93B1 (ko) * 2023-03-29 2024-04-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라그린 활성이 우수한 피부장벽 강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463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3411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
KR102397879B1 (ko) 우방자 및 비자 가종피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7801A (ko)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2107490B1 (ko) 수선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2625016B1 (ko) 복사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업사이클링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0289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764823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27924B1 (ko) 시린직산, 바닐릭산 및 에피카테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1851B1 (ko) 비파나무 잎 및 녹차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a 차단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0717A (ko) 방부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키토산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70418B1 (ko) 구기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94647B1 (ko) 미세조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
KR102493311B1 (ko) 4종의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4670B1 (ko) 스쿠알렌 및 달팽이알 추출물이 함유된 임신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1152B1 (ko) 커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08680B1 (ko)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70076643A (ko) 7,8-디하이드록시플라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745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