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426A -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426A
KR20220165426A KR1020210074028A KR20210074028A KR20220165426A KR 20220165426 A KR20220165426 A KR 20220165426A KR 1020210074028 A KR1020210074028 A KR 1020210074028A KR 20210074028 A KR20210074028 A KR 20210074028A KR 20220165426 A KR20220165426 A KR 2022016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black ginseng
composition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섭
한경숙
이대영
이윤지
윤다혜
김관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07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426A/ko
Publication of KR2022016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은,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세균인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의 외독소인 알파-헤몰리신(α-hemolysin, Hla), 스타필로코커스 장독소 A(Staphylococcal enterotoxin A, SEA) 및 스타필로코커스 장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정족수 인식에 의한 외독소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MRSA에 대한 항균효과 및 독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Description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and toxicity inhibition against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containing black ginse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란 통상적으로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것으로, 특히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상세하게는 세균이 세포벽이나 단백질 등을 합성하는 시스템을 저해시킴으로써 뛰어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항생제의 성분은 주로 곰팡이로부터 추출된 것이 주를 이루었으며, 오늘날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 등을 치료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영국인 의사 알렉산더 플레밍이 1928년에 제조한 페니실린(penicillin)이다. 페니실린은 인류가 세균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조한 최초의 항생제였다. 페니실린 이후에 개발된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보다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인정되는 메티실린(methicillin)이 있다. 메티실린은 페니실린의 화학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페니실린 및 메티실린은 베타-락탐계 항생제(beta-lactam class of antibiotics)로 분류되며, 상기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결합 단백질(penicillin-binding proteins, PBPs)와 결합을 형성한 후 이 단백질의 활성을 제거함으로써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다.
항생제 내성 세균이란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약효가 듣지 않는 세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페니실린의 약효가 전혀 듣지 않는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이에 해당된다. 이 외에도, 1961년 최초로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그 후로 전세계적으로 주요 병원내 감염균이 되고 있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가 있다. 상기, MRSA는 베타락탐 계열의 항생제인 메티실린,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을 포함하는 모든 베타락탐 계열의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MRSA는 주로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이 되지 않고 주로,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수술을 마친 환자에게 감염이 되며, 감염될 경우 패혈증이나 폐렴을 일으켜 사망케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한 사람들도 MRSA에 감염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 의학계나 공중보건학계는 MRSA와 같이 여러 항생제에도 약효가 듣지 않는 병원균(다약제 내성 병원균)에 의한 감염의 증대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84년에 알래스카 토착민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의 확산과 2000년 8월 그 주민들에게서 피부감염증이 확산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는 MRSA가 종래에 알려진 것처럼 병원에서 환자로부터 감염되는 것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공공생활을 통해서도 감염될수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이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인삼은 그 가공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며, 대표적인 가공품인 홍삼은 약 1,000년 전부터 제조되었으며, 수삼에 적절한 열처리 공정을 가하여 만들어 2차적인 성분변환이 일어나 수삼에 존재하지 않는 특유의 새로운 약효성분들이 생성되고, 일정의 활성성분의 함량증가가 일어난다. 최근 들어 기능성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인삼가공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의 전통적인 가공방법인 수치법을 활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숙지황과 같은 한약에서 응용하고 있는 구증구포(九蒸九曝)의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홍삼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원리로 백삼, 홍삼보다 유효성분 함량이 높은 새로운 인삼제품으로 개발되었는데, 이와 같은 제품은 외부형태적인 특징이 검은색을 띠고 있어 흑삼(Black Ginseng)이라고 칭하고 있다. 흑삼은 인삼의 다양한 성분들이 증진되어 있어, 인삼의 주요 효과로 알려진, 면역력 개선, 항암, 항염, 혈행 개선과 같은 기능성 식품 및 치료제로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흑삼 추출물이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짐으로써, MRSA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나타낸다는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흑삼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져, 항생제 내성 세균의 감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독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의 소독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보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 인삼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건조된 인삼을 증삼하고 건조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흑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독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의 소독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보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삼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건조된 인삼을 증삼하고 건조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흑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은,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세균인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의 외독소인 알파-헤몰리신(α-hemolysin, Hla), 스타필로코커스 장독소 A(Staphylococcal enterotoxin A, SEA) 및 스타필로코커스 장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정족수 인식에 의한 외독소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MRSA에 대한 항균효과 및 독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삼된 흑삼의 증삼 횟수에 따른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 BG3 및 BG5를,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표준 균주에 1/2 MIC의 농도(1 및 2 mg/ml)로 처리하여, 균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A: 표준균주 S. aureus ATCC33591 생장곡선, B: 표준균주 S. aureus USA300 생장곡선).
도 3은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 BG3 및 BG5를, MRSA 표준 균주에 처리하여, 외독소인 Hla, SEA 및 SEB의 발현을 웨스턴블랏으로 분석한 도이다(A: 표준균주 S. aureus ATCC33591 분석, B: 표준균주 S. aureus USA300 분석).
도 4는 MRSA로 유도된 TNF-α의 발현에 대하여, 흑삼 추출물 BG3 및 BG5의 억제 효과를 ELISA로 분석한 결과이다(A: 표준균주 S. aureus ATCC33591, B: 표준균주 S. aureus USA300).
도 5는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 BG3 및 BG5를, S. aurus ATCC33591에 처리하여, 외독소인 Hla, SEA, SEB 및 정족수 인식 인자 agrA의 mRNA 발현을 qRT-PCR로 분석한 도이다(A: agrA, B, Hla, C: SEA, D: SEB).
도 6은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 BG3 및 BG5를, S. aurus USA300에 처리하여, 외독소인 Hla, SEA, SEB 및 정족수 인식 인자 agrA의 mRNA 발현을 qRT-PCR로 분석한 도이다(A: agrA, B, Hla, C: SEA, D: SEB).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회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항생제”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사멸시켜,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약물을 통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생제는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항생제, 리팜피신 계열 항생제, 폴리펩타이드 계열 항생제 및 플로로퀴놀론 계열 항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항생제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베타락탐계열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타락탐(beta-lactam)"은 3개의 탄소 원자와 1개의 질소 원자로 이루어진 이종원자 환형 고리(heteroatomic)를 의미한다. 베타-락탐 고리는 많은 항생물질이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를 포함한 것을 베타-락탐계열 항생물질이라고 부른다.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는 세균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계열,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계열, 카바페넴(Carbapenem) 계열, 모노박탐 (Monobactam) 계열 및 반코마이신(vancomycin) 계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페니실린(penicillin) 계열 항생제는 벤질페니실린 (Benzylpenicillin), 페녹시메틸페니실린(Penoxymethylpenicillin), 암피실린 (Ampicillin), 아목사실린(Amoxycillin), 바캄피실린(Bacampicillin), 메티실린(Methicillin), 옥사실린 (Oxacillin), 클록사실린(Cloxacill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카베니실린(Carbenicillin) 및 티카실린(Ticarcill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계열 항생제는 세프라딘(Cephradine), 세파트록실(Cefadroxil), 세파렉신(Cephalexin), 세파조닌(Cefazolin), 세파피린(Cephapirin), 세파클러(Cefaclor), 세푸록심(Cefuroxime), 세파만돌(Cefamandole), 세포티암(Cefotiam), 세폭시틴(Cefoxitin), 세픽심(Cefixime), 세프포독심(Cefpodoxime), 세포탁심(Cefotaxime) 및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카바페넴(Carbapenem) 계열의 항생제는 티에남(Tienam), 메로페넴(Meropenem), 이미페넴(imipenem), 도리페넴(Doripenem) 및 얼타페넴(Ertapene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반코마이신(vancomycin) 계열의 항생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 또는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타락탐(beta-lactam) 계열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벤질페니실린 (Benzylpenicillin), 페녹시메틸페니실린(Penoxymethylpenicillin), 암피실린 (Ampicillin), 아목사실린(Amoxycillin), 바캄피실린(Bacampicillin), 메티실린(Methicillin), 옥사실린 (Oxacillin), 클록사실린(Cloxacill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카베니실린(Carbenicillin) 및 티카실린(Ticarcill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계열 항생제는 아미카신(Amikacin), 시소마이신(Sisomycin), 아르베카신(arbekacin), 젠타마이신(Gentamycin), 카나마이신(Kanamycin), 네오마이신(Neomycin),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 네틸마이신(netilmicin),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토브라마이신(tobramy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팜피신(rifampicin) 계열 항생제는 리파마이신(rifamycin), 리팜피신(rifampicin) 또는 리팍시민(Rifaximin)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계열 항생제는 폴리마진 B (Polymyxin B) 또는 바시트라신(Bacitracin)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로로퀴놀론(fluoroquinolone) 계열 항생제는 노플로삭신(Norfloxacin), 시프로플로삭신(Ciprofloxacin), 엔로플로삭신(Enrofloxacin), 오플로삭신(Ofloxacin) 및 페플로삭신(pefloxa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생제 내성 세균”은 세균이 특정한 혹은 많은 종류의 항생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크게 세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유전자에 기인하는 내재내성과, 유전자 돌연변이나 내성 유전자의 수평전달을 통해 나타나는 획득내성으로 구분되며, 항생제 내성 세균은 항생제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감수성 세균에 비해 증식할 가능성이 높은 세균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항생제 내성세균으로는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가 있으며, 상기 MRSA는 메티실린을 포함하는 모든 베타락탐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생제 내성 세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다제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DRSA),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반코마이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및 반코마이신 중등도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나 이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삼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또는 MRSA의 헤몰리신(hemolysin, Hl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삼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또는 MRSA의 장독소(Staphylococcal enterotoxins, SEs)인 SEA 및 SE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몰리신, SEA 및 SEB는 MRSA의 외독소로서, 정족수 인식(quorum sensing)이라는 세균의 특이적인 일련의 과정을 통해, 그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정족수 인식(quorum sensing)”은 세균의 증식 중 개별 세포가 분비하는 특정한 저분자의 신호물질(자가유도물질, auto-inducer)이 세포 밀도와 비례하여 축적되어 특정한 농도에 이르게 되면 세균의 집단적 대사 활성이 조절되는 세포밀도-의존성 유전자 발현(cell-density dependent gene expression) 조절 메커니즘을 뜻하며, 세균의 증식에 의해 균체 농도가 정족수(quorum)에 이르게 되면, 저밀도 상황의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다양한 집단적 행동(group behavior) 양식을 유발시키는 세균 특이적 신호전달 체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삼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또는 MRSA 집단의 세포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독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삼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또는 MRSA의 헤몰리신(hemolysin, Hl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삼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또는 MRSA의 장독소(Staphylococcal enterotoxins, SEs)인 SEA 및 SE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성별, 신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중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에0.01 ~ 5,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농도가 0.01 ㎍/ml 미만일 경우에는 약학 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00 ㎍/m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은 농양,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부종병, 유방염 및 장형대장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팩,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추출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 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 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 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 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 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 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및 POP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및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업, 알킬아미드 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 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 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 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 계피산 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및 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밀크 로션, 아스트린젠트,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흑삼 추출물은 동물 사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은 가축에게 급여함으로써 동물에서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된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이 투여되는 대상동물은 반추동물과 비반추동물 모두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반추동물일 수 있고, 그 종류로는 소, 돼지, 양, 염소, 낙타, 사슴, 기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동물 사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보조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성분은 곡물(예를 들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쌀 등), 식물성 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평지, 콩, 해바라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혈분, 육분, 골분, 생선분 등), 당분 및 유제품(예를 들어, 각종 분유 또는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지질(예를 들어, 동물성 지방, 식물성 지방 등),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이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될 수도 있고,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혼합하여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탑드레싱으로도 혼합될 수도 있고, 사료와 별도의 첨가제, 또는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의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투여하는 단독 일일 섭취량 또는 분할 일일 섭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의 소독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보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삼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건조된 인삼을 증삼하고 건조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흑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흑삼 추출물의 제조 및 균주 배양
<1-1> 흑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5년근 고려 인삼을 사용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흑삼 제조를 위하여, 인삼을 세척한 후 100~120℃(최적 113.04℃)에서 18시간 동안 증숙하고, 100 ℃에서 8시간동안 건조하는 것을 1회로 하여, 상기의 과정을 3회 내지 5회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도 1). 제조된 흑삼은 mesh 80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였으며, 분쇄된 흑삼 분말은 30% 에탄올 수용액으로 2회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추출물을 감압 여과 하였으며, 여과된 추출액을 감암 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을 -80℃에서 동결시킨 뒤, 이를 동결건조하여, 3회 증숙 흑삼 추출물(BG3) 및 5회 증숙 흑삼 추출물(BG5)을 수득하였다.
<1-2> 균주 배양
본 발명에서 이용한 MRSA균주는 HA-MRSA(Hospital-acquired MRSA) 표준 균주인 S. aureus ATCC 33591(이하, ATCC 33591)와 현재 여러 국가에 확산되고 인체감염균이며 메티실린에 내성이 있는 CA-MRSA(Community-acquired MRSA)인 S. aureus USA300(이하, USA300)균주를 이용하였다. ATCC 33591은 뇌-심장 주입(brain-heart infusion, BHI)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USA300은 37℃에서 24 시간 동안 트립신 대두 (tryptic soy, TS)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주는 10% 우태아혈청, 페니실린/스트렙토 마이신 설페이트가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5% CO2, 30℃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1-3> 흑삼 추출물의 MRSA 최소 억제 농도 확인 및 독성 평가 농도 확인
흑삼 추출물의 MRSA에 대한 항균 효과 및 최소 억제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에서 추출한 흑삼 추출물인 BG3 및 BG5를 연속 2배 희석하여, 각각의 희석액을 100 μL의 BHI 및 TS 배지와 함께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상기의 플레이트에, 각각의 MRSA 균주를 0.5 McFarland로 조정하여 최종 10 x 10^6 CFU/ml의 세포수가 되도록 접종 하여,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고, 배양 후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ATCC 33591 및 USA300균주에 대하여, 흑삼 추출물의 증숙 횟수와 상관없이 MIC는 4 mg/ml인 것을 확인하였다(표 1).
S. aureus strains MIC (mg/ml)
BG 3 BG 5
ATCC33591 (standard strain, hospital-associated MRSA) 4 4
USA300 (wild-type LAC strain, community-associated MRSA) 4 4
또한, 흑삼 추출물이 MRSA의 세포 사멸에 관계없이, MRSA의 독성 억제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초기 지수기(log phase, OD600 = 0.5)의 MRSA균주를 수확하고, PBS버퍼로 재현탁하여 10^8 내지 10^9 CFU/ml의 세포 농도로 조절하였다. 세포 농도가 조절된 MRSA는 37℃에서 최대 24시간 까지 배양하였으며, 배양 0, 4, 8, 12 및 24시간에, 흑삼 추출물이 MRSA을 생장과 무관하게, MRSA의 독성만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고자, BG3 또는 BG5의 1/2 MIC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MRSA는 TS agar 배지에 도말하여 배양하고, 37℃에서 16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colony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 상기 도출된 MIC에서, 흑삼 추출물의 1/2 MIC(2 mg/ml)를 0, 4, 8, 12 및 24시간에 처리하였을 때, 흑삼 추출물의 1/2 MIC에서는 균주의 성장과는 무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2), 이를 토대로 흑삼 추출물이 MRSA의 독성을 억제하는지 하기 실시예 2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2> 웨스턴 블랏 분석
흑삼 추출물이 MRSA의 독성 관련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RSA의 외독소에 대한,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랏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la(α-hemolysin), SEA(Staphylococcal enterotoxin A) 및 SEB(Staphylococcal enterotoxin B)을 분석하기 위하여, MRSA(ATCC33591 및 USA300)을 BHI 또는 TS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흑삼 추출물 BG3 및 BG5를 1 및 2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였으며, 0.9의 DO600값이 되도록 배양하였다. 배양 후 MRSA를 SMARTTM 박테리아 단백질 추출 용액(iNtRON Biotechnology)으로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단백질 용해물 20μL를 12%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 아크릴 아미드 겔상에서 전기영동하고, 전기 영동된 단백질은 폴리비닐 리덴디플루오라이드 막에 옮겼다. 막을 5% BSA로 차단하고, MRSA의 대표적인 외독소인 Hla(1 : 1000), SEA(1 : 1000) 및 SEB(1 : 1000)에 대한 1 차 항체를 사용하여 4℃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막을 EzWestLumi Plus 루미놀 기질 (ATTO Co., Tokyo, Japan)을 사용하여 면역 반응성 단백질 밴드를 감지하고 ImageQuant LAS 4000 미니 화학 발광 imager (GE Healthcare Life, 한국)를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ATCC33591에서 Hla와 SEA는 흑삼 추출물 처리에 의해 억제 되었으며, 특히 SEB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흑삼 추출물 중에서도 BG5가 BG3보다 억제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또한, USA300에서는 흑삼 추출물 처리에 의해 3 가지 독소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Hla와 SEB는 BG3를 처리하는 것보다 BG5를 처리했을 때 더욱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조적으로, SEA는 BG5를 처리하는 것보다 BG3를 처리하였을 때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도 3B).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의 흑삼 추출물은, MRSA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으며, MRSA의 생육과 무관하게, MRSA의 독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ELISA)
다양한 농도의 흑삼 추출물을 Mueller-Hinton(MH) 배지에 넣고, 각각의 MRSA를 접종한 후, 0.9의 OD600까지 배양하였다. 4시간 배양 후 0.2 μm의 필터를 이용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으며, RAW 264.7 세포를 RPMI배지에 10^6/ml의 세포농도가 되도록 접종한 후, 96-웰플레이트 상에 접종(100 μL)하고, 이를 37℃에서 5% CO2 조건으로 18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세포 배양 후 배지를 세척한 후 RPMI 1640배지 150 μL와 균주 상층액을 각각 처리하여 1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인간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ELISA; BD Bioscience, San Jose, CA, USA) 키트를 사용하여 각 샘플에 존재하는 TNF-α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흑삼 추출물을 처리한 군(ATCC 33591 및 USA300)에서 TNF-α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BG5가 BG3보다 TNF-α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정량적 RT-PCR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흑삼 추출물에 의한 MRSA의 외독소의 발현 감소가, mRNA의 감소로 인해 유발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량적 RT-PCR(qRT-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MRSA를 각각 배양하였다. 배양된 MRSA는 E.Z.N.A.® Total RNA Kit(Omega Bio-tek, Inc.; Norcross, G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전사 분석을 위하여 역전사를 수행하였으며 역전사는 QuantiTect® Reverse Transcription Kit (Qiagen, Hilden, Germany)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정량적 RT-PCR은 Power SYBR® Green PCR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Foster City, CA,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MRSA 외독소와 관련된 전사체의 발현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MRSA의 외독소는 정족수 인식에 기반하여 조절되므로, 독성 인자의 밀도 의존적 조절인자인 보조 유전자 조절 단백질(regulator protein A, agrA)의 전사체의 발현도 분석하였다.
타겟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5‘-3’)
forward reverse
agrA TGATAATCCTTATGAGGTGC CACTGTGACTCGTAACGAAA
hla TTGGTGCAAATGTTTC TCACTTTCCAGCCTACT
sea ATGGTGCTTATTATGGTTATC ATGGTGCTTATTATGGTTATC
seb TGTTCGGGTATTTGAAGATGG CGTTTCATAAGGCGAGTTGTT
16s rRNA CGTGCTACAATGGACAATAC ATCTACGATTACTAGCGATT
그 결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RSA 표준 균주인 ATCC 33591 균주 및 USA300 균주에 흑삼 추출물을 투여하면, 농도 의존적으로 Hla, SEA 및 SEB 외독소의 mRNA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TCC 33591 균주에서는 BG5가 BG3보다 독소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더욱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5B 내지 도 5D), USA300 균주에서는 BG5 및 BG3가 유의적으로 유사한 억제 수준을 보였다(도 6B 내지 도 6D).
또한, MRSA의 정족수 인식 및 외독소 발현 조절인자인 agrA의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도 6A).
따라서,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은,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의 외독소인 알파-헤몰리신(α-hemolysin, Hla), 스타필로코커스 장독소 A(Staphylococcal enterotoxin A, SEA) 및 스타필로코커스 장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정족수 인식에 의한 외독소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MRSA에 대한 항균효과 및 독성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33)

  1.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수용액,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항생제, 리팜피신 계열 항생제, 폴리펩타이드 계열 항생제 및 플로로퀴놀론 계열 항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락탐(beta-lactam) 계열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벤질페니실린 (Benzylpenicillin), 페녹시메틸페니실린(Penoxymethylpenicillin), 암피실린 (Ampicillin), 아목사실린(Amoxycillin), 바캄피실린(Bacampicillin), 메티실린(Methicillin), 옥사실린 (Oxacillin), 클록사실린(Cloxacill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카베니실린(Carbenicillin) 및 티카실린(Ticarcill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계열 항생제는 아미카신(Amikacin), 시소마이신(Sisomycin), 아르베카신(arbekacin), 젠타마이신(Gentamycin), 카나마이신(Kanamycin), 네오마이신(Neomycin),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 네틸마이신(netilmicin),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토브라마이신(tobramy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팜피신(rifampicin) 계열 항생제는 리파마이신(rifamycin), 리팜피신(rifampicin) 또는 리팍시민(Rifaxi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계열 항생제는 폴리마진 B (Polymyxin B) 또는 바시트라신(Bacitrac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로퀴놀론(fluoroquinolone) 계열 항생제는 노플로삭신(Norfloxacin), 시프로플로삭신(Ciprofloxacin), 엔로플로삭신(Enrofloxacin), 오플로삭신(Ofloxacin) 및 페플로삭신(pefloxa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 내성 세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다제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DRSA),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반코마이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및 반코마이신 중등도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항생제 내성 세균 집단의 세포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13.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독성 억제용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또는 MRSA의 헤몰리신(hemolysin, Hl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독성 억제용 조성물.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또는 MRSA의 장독소(Staphylococcal enterotoxins, SEs)인 SEA 및 SE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독성 억제용 조성물.
  16.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은 농양,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부종병, 유방염 및 장형대장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9.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1.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
  23.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
  25.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소독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의 소독제.
  27.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보조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보조제.
  29. 1) 인삼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건조된 인삼을 증삼하고 건조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흑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흑삼은 인삼을 2 내지 6회 증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수용액,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 내성 세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다제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DRSA),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반코마이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및 반코마이신 중등도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074028A 2021-06-08 2021-06-08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KR20220165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28A KR20220165426A (ko) 2021-06-08 2021-06-08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28A KR20220165426A (ko) 2021-06-08 2021-06-08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26A true KR20220165426A (ko) 2022-12-15

Family

ID=8443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28A KR20220165426A (ko) 2021-06-08 2021-06-08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4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1792239B1 (ko)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 및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087378A (ko) 9잔기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107964A (ko)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165426A (ko)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KR20150133351A (ko) 플라보놀계 화합물 및 항생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11413305B2 (en) Use of agar-derived oligosaccharides for inhibiting growth of Staphylococcus
KR102534989B1 (ko)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6902392B2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
KR102672416B1 (ko) 다제내성병원균에 대한 항균 및 항암 효능을 갖는 신규 펩타이드
KR102408680B1 (ko)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21038175A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JP2021029143A (ja) 糖化抑制剤
KR101625887B1 (ko) 연두털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04186B1 (ko) 클렙시에라 뉴모니아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40061571A (ko) 양배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01544B1 (ko) 페닐락틱산을 생산하는 페디오코쿠스 에시디락티시 hbt 균주 및 이를 배양한 페닐락티산의 생산방법
JP6933781B2 (ja) Ampk活性化剤
KR20220160911A (ko) 청도반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JP2009120517A (ja) 腸内フローラ改善剤
KR20230144669A (ko) 알킬 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150701A (ko) 타트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용 조성물
KR20240094494A (ko) 면역저하상태에서의 인삼 열매 다당류의 선천성 면역조절 효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