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715A1 -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715A1
WO2024080715A1 PCT/KR2023/015565 KR2023015565W WO2024080715A1 WO 2024080715 A1 WO2024080715 A1 WO 2024080715A1 KR 2023015565 W KR2023015565 W KR 2023015565W WO 2024080715 A1 WO2024080715 A1 WO 20240807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tty liver
active ingredient
liver disease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55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하현일
양현
황윤환
육진아
구동륜
박수권
최만수
문중경
김둘이
서미숙
김유나
이상범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40807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7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specifically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or KGL 16001.
  • Soybean Glycine max
  • the stem is 60 to 100 cm tall, stands up straight, and some varieties are vine-like.
  • the roots have many rhizomes (root nodules).
  • the leaves are alternate and have three small leaves.
  • the small leaves are egg-shaped or oval-shaped and have smooth edges.
  • the calyx is bell-shaped and splits into five pieces at the end.
  • the flower plate is butterfly-shaped and has 10 stamens.
  • the fruit is a cone-shaped fruit, has a line-shaped, flat oval shape, and contains 1 to 4 seeds.
  • Seeds vary in shape from round to flat and round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their size also varies greatly. Seeds come in various colors, including yellow, black, brown, and green. Soybeans developed as a cultivated crop from wild soybeans (vine soybeans). The common belief is that the origin of soybeans is Manchuria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genetic resources is a term that encompasses currently cultivated species, wild species, and primitive species that have useful or potentially useful traits. These genetic resources are stored in seed or tissue form and are used for plant breeding, conservation, or research purposes.
  • liver disease mortality rate is very high at 23.5 per 100,000 people, with it being the 1st cause of death in those in their 40s (41.1 per 100,000 people), the 2nd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ose in their 50s (72.4 per 100,000 people), and the 2nd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ose in their 30s (72.4 per 100,000 people).
  • Liver disease is the main cause of death in the Korean middle-aged population, ranking third (10 people/100,000 people).
  • fatty liver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neutral fat, which does not exist in normal cells, appears abnormally deposited within liver cells.
  • a normal liver is composed of approximately 5% of fatty tissue, and neutral fat, fatty acids, phospholipids, cholesterol, and cholesterol esters are the main components of fat.
  • neutral fat fatty acids, phospholipids, cholesterol, and cholesterol esters are the main components of fat.
  • fatty liver is diagnosed.
  • fatty liver disease worsens and fat clumps inside the liver cells become larger, important components of the cells, including the nucleus, are pushed to one side and the function of the liver cells deteriorates.
  • liver cells Due to the fat accumulated within the cells, the swollen liver cells put pressure on the fine blood vessels and lymph nodes between the liver cells. This causes problems in the circulation of blood and lymph within the liver. When this happens, liver cells cannot receive adequate supply of oxygen and nutrients, and liver function deteriorates.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defined as a case where more than 5% of fatty acids accumulate in the parenchymal cells of the liver in the form of neutral fat. Pathologically, it is classified into simple steatosis and steatohepatitis with inflammation, and if left untre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can progress to serious liver diseases such as hepatitis,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In Korea, the incidence of non-alcoholic liver disease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lifestyle.
  • Korean Patent No. 2085577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twin star cricke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Korean Patent No. 1092197 discloses a tomato whole plant extract.
  • a composition for improv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is disclosed
  • Korean Patent No. 1661145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white pe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but the soybea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specifically, there has been no disclosure regarding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ith the genetic name Shinpaldalkong or KGL 16001.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specifically a soybean extract with the genetic name Shinpaldalkong or KGL 16001.
  • a soybean extract specifically a soybean extract with the genetic name Shinpaldalkong or KGL 1600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provid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fatty liver and liver fun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improving fatty liver and liver fun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 soybea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soybea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soybean extract with the genetic name Shinpaldalkong or KGL 16001, is suitable for use in a high sucrose diet. (high sucrose diet) It is highly effective in suppressing fatty liver formation in animal models and reducing blood ALT and AST content increased by a high sucrose diet.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uppressing fat production in the liver of an animal model consuming a high-sucrose diet due to ingestion of extracts of 10 soybean resources.
  • ## means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fat production in the high sucrose feed only diet group compared to the regular feed diet group, p ⁇ 0.01.
  • * means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fat production in the high sucrose feed and sample diet group compared to the high sucrose feed only diet group, p ⁇ 0.05.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changes in blood ALT (A) and AST (B) content due to intake of the soybean gene source name Shinpaldalkong or KLG 16001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nimal model consuming high sucrose feed.
  • ## means that the blood AST content of the high sucrose feed only diet group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regular feed diet group, p ⁇ 0.01.
  • *, **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ALT or AST content in the high sucrose feed and sample diet group compared to the high sucrose feed only diet group, * is p ⁇ 0.05, ** is p ⁇ 0.01 .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hange in body weight according to the intake of extracts of 10 soybean resources in an animal model consuming high sucrose feed. * means that the body weight of the regular fe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igh sucrose feed only diet group, p ⁇ 0.05.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changes in body fat (gonadal fat) according to the intake of extracts of 10 soybean resources in an animal model consuming high sucrose feed. ** means that body fat in the regular fe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igh sucrose feed only diet group, ** is p ⁇ 0.01.
  •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ith the genetic name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ovided.
  • Soybeans with the above genetic name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are stored in the seed bank (htttp:/genebank.rda.go.kr) oper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t is a genetic resource that is available for distribution.
  • the soybean extrac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but is not limited to this:
  • step (3) Preparing an extract by dry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water, lower alcohols of C 1 to C 4 , or mixtures thereof, and more preferably 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method can be any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filtra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It is preferable to extract the extraction solvent by adding 1 to 20 times the weight of the beans.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20 to 100°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dditionally,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to 6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reduced pressure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and more preferably freez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atty liver disease includes non-alcoholic or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onalcoholic or 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non-alcoholic or alcoholic liver cirrhosis, preferably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ctive ingredient can reduce the fat content in liver tissue increased by a high sucrose die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n addition to the above active ingredients.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ose commonly used in preparation, and include saline solution,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lactose, and water.
  • ingredients may further include antioxidants, buffers, bacteriostatic agents, diluents, surfactants, binders, lubricants, wetting agent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or preservatives.
  • the appropriat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scrib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patient's age,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action sensitivity. You can.
  •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ly accepted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depending on the purpose,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eye drop administra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transdermal patch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It can be administered through routes such as intrarectal administ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fatty liver and liver fun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 improving liver function means reducing blood AST and ALT content increased by fatty liver production
  • the soybea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blood AST and ALT content increased by high sucrose intake. there i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formulation selected from powder, granule, pill, tablet, capsule, candy, syrup, an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dding the active ingredients as is or mixing them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manufactu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foods to which the soybean extract can be added include caramel, meat, sausages, bread, chocolate,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and tea. , it may be in any form selected from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s all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That is,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type of foo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and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Additionally, it may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and vegetable drinks.
  • the abov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and the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dextrins, and cyclosaccharides. These ar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not very important, but is preferably 0.01 to 0.04 g, more preferably 0.02 to 0.03 g, per 100 g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weeteners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and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improving fatty liver and liver fun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 the feed additive may be in the form of a concentrate, powder, or granule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rganic acids such as citric acid, humalic acid, adipic acid, lactic acid, and malic acid, phosphates such as sodium phosphate, potassium phosphate, acid pyrophosphate, and polyphosphate (polymerized phosphate), polyphenol, catechin, and alpha.
  • -It may additionally contain one or more selected from natural antioxidants such as tocopherol, rosemary extract, vitamin C, green tea extract, licorice extract, chitosan, tannic acid, and phytic acid.
  • the animal feed additive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eed containing the same contain auxiliary ingredients such as amino acids, inorganic salts, vitamins, antibiotics, antibacterial substances, antioxidants, antifungal enzymes, digestion and absorption enhancers, growth promoters, disease prevention agents, etc. Can be used with the same substance.
  • the feed additive may be administered to animal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eed additives in an edible carrier.
  • the feed additives can be easily administered as a top dressing, by mixing them directly into animal feed, or separately from the feed, in a separate oral formulation, by injection or transderm,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ingredients.
  • single daily doses or divided daily doses may be used, as is well known in the art.
  • dosage forms of the extract can be prepared in immediate-release or sustained-release formulations by combining them with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dible carriers, as is well known in the art.
  • These edible carriers can be solid or liquid, such as corn starch, lactose, sucrose, soy flakes, peanut oil, olive oil, sesame oil and propylene glycol. If a solid carrier is used, the dosage form of the extract may be tablets, capsules, powders, turmeric or sugar-containing tablets or a top dressing in microdisperse form. If a liquid carrier is used, the dosage form may be a soft gelatin capsule, or a syrup or liquid suspension, emulsion or solution. Additionally, the dosage forms may contain adjuvant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wetting or emulsifying agents, solution accelerators, etc.
  • adjuvant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wetting or emulsifying agents, solution accelerators, etc.
  • the animal feed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eed additive may be any protein-containing organic grain flour commonly used to meet the dietary needs of animals.
  • These protein-containing flours typically consist primarily of corn, soybean flour, or corn/soybean flour mixes.
  • the above feed additives can be used by adding them to the animal feed by dipping, spraying, or mixing.
  • the veterinary composition or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iet of companion anima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soybean extract whose genetic name is Shinpaldalkong (IT number: IT343931) or KLG 16001 (IT number: IT238318).
  • the veterina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excipients and diluent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veterina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and calcium.
  •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cetanol, stearyl alcohol, liquid paraffin, Examples include sorbitan monostearate, polysorbate 60, methylparaben, propylparaben, and mineral oil.
  • the veterina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illers, anti-coagul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spices, emulsifiers, preservatives, etc.
  •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e after being administered to animals.
  •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the extract in an effective amount or as an active ingredient depending on its intended use.
  • the effective amou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imal.
  • the extract was dissolved and used in sterilized distilled water.
  • C57BL/6J female mice were ovariectomized, allowed to recover for 1 week, then divided into groups and fed general laboratory animal feed (Cargill Agri-Purina Co., Ltd.) for 6 weeks. ) or high sucrose-containing (35 kcal% sucrose) feed (D12450B, Research diet). Thereafter, the soybean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or distilled water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100 mg/kg or 300 mg/kg once a day for an experimental period of 6 weeks.
  • ALT alanine transaminase
  • AST aspartate transaminase
  • Soybean extract inhibits fatty liver formation and improves liver function
  • Xcalibur version 3.0, Milford, MA, USA
  • TraceFinder 3.2.512 Thermo, Bremen, German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콩 추출물, 구체적으로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은 고 자당 식이(high sucrose diet) 동물모델에서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고, 고 자당 식이에 의해 증가된 혈중 ALT 및 AST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지방간 질환의 치료제 또는 지방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콩 추출물, 구체적으로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GL 16001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결과물은 농촌진흥청의 바이오그린연계농생명혁신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과제번호: 1395074339, 1395074313).
콩(Glycine max)은 '대두'라고도 하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근류(뿌리혹)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꽃대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판은 나비 모양이고,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협과이고 줄 모양의 편평한 타원형이며 1∼4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품종에 따라 둥근 모양과 편평하고 둥근 모양 등 다양하고 크기도 매우 다양하다. 종자의 빛깔은 황색, 검은색, 갈색, 초록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콩은 야생의 돌콩(덩굴콩)으로부터 재배작물로 발달하였다. 콩의 원산지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한편, 유전자원이란 유용 또는 잠재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가지고 있는 현재 재배종, 야생종, 원시종 등을 포괄하는 용어다. 이러한 유전자원은 종자, 또는 조직 상태로 보관되어 있으며, 식물 육종, 보존, 또는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환경변화로 인해 식물유전자원의 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유전자원 확보의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전자원센터를 확보하여 다수의 식물유전자원 보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식물유전자원은 앞으로 지속가능농업, 식품 영양 및 식품안전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분자생물학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식물의 유전자형/표현형 분석이 용이해짐에 따라 우수한 식물 유전자원 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1960년대 녹색혁명을 통하여 식량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의 획일화에 대한 가능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라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국가별 또는 범국가별 식물유전자원 확보에 대한 다양한 보완책이 제시, 실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씨앗은행(htttp:/genebank.rda.go.kr)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국내 간질환 사망률은 인구 십만 명 당 23.5명으로 매우 높으며, 40대 사망원인 1위(41.1명/10만 명), 50대 사망원인 2위(72.4명/10만 명), 30대 사망원인 3위(10명/10만 명)를 차지하는 등 간질환은 한국 중년층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상기 간질환 중에서 지방간은 정상세포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중성지방이 간 세포 내에 비정상적으로 침착되어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 것을 말한다. 정상 간은 약 5%가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성지방, 지방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지방의 주요 성분이나, 일단 지방간이 발생하면 대부분의 성분이 중성지방으로 대체되며 중성지방의 양이 간 중량의 5% 이상이면 지방간으로 진단된다. 지방간이 악화되어 간세포 속의 지방 덩어리가 커지면 핵을 포함한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이 한쪽으로 밀려 간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며, 세포 내에 축적된 지방으로 인하여 팽창된 간세포들이 간세포 사이에 있는 미세 혈관과 임파선을 압박하여 간 내의 혈액과 임파액의 순환에 장애가 생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간세포는 산소와 영양공급을 적절히 받을 수 없어 간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지방산이 중성지방의 형태로 간의 실질세포 내에 5% 이상 축적된 경우로 정의한다. 병리학적으로는 단순 지방간(simple steatosis)과 염증을 동반한 지방간염(steatohepatitis)으로 분류되는데, 장기간 방치 시, 간염, 간 섬유, 간경변 등의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행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비알코올성 간질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방간 질환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085577호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92197호에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661145호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콩 추출물, 구체적으로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GL 16001의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콩 추출물, 구체적으로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GL 16001의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씨앗은행의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GL 16001인 콩 추출물이 다른 콩 자원에 대비하여 지방간의 개선 효과가 현저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콩 추출물, 구체적으로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GL 16001인 콩 추출물은 고 자당 식이(high sucrose diet) 동물모델에서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고, 고 자당 식이에 의해 증가된 혈중 ALT 및 AST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고 자당 사료 섭취 동물모델의 간에서, 콩 자원 10종 추출물 섭취에 따른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일반 사료 식이군 대비 고 자당 사료 단독 식이군의 지방 생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은 고 자당 사료 단독 식이군 대비 고 자당 사료 및 시료 식이군의 지방 생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5이다.
도 2는 고 자당 사료 섭취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콩 유전자원명 Shinpaldalkong 또는 KLG 16001 추출물 섭취에 의한 혈중 ALT(A) 및 AST(B)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일반 사료 식이군 대비 고 자당 사료 단독 식이군의 혈중 AST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 **은 고 자당 사료 단독 식이군 대비 고 자당 사료 및 시료 식이군의 혈중 ALT 또는 AST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1이다.
도 3은 고 자당 사료 섭취 동물모델에서, 콩 자원 10종 추출물 섭취에 따른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고 자당 사료 단독 식이군 대비 일반 사료 식이군의 체중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5이다.
도 4는 고 자당 사료 섭취 동물모델에서, 콩 자원 10종 추출물 섭취에 따른 체지방(gonadal fat)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고 자당 사료 단독 식이군 대비 일반 사료 식이군의 체지방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운영하는 씨앗은행(htttp:/genebank.rda.go.kr)에 보관 중인 자원으로, 분양이 가능한 유전자원이다.
상기 콩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건조한 콩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콩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6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에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비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 간경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고 자당 식이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 내 지방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근육 내 투여, 점안 투여,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피 패치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 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 기능 개선은 지방간 생성에 의해 증가된 혈중 AST 및 ALT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콩 추출물은 고 자당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AST 및 ALT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콩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캐러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g에 대하여, 0.01~0.04g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3g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농축액,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로,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주사 또는 경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투여량 또는 분할 일일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를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추출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을 비-독성 제약상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석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추출물의 투여형은 정제, 캡슐제, 산제, 토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연 젤라틴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투여 형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사료 첨가제로 포함되는 동물사료는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 또는 사료첨가제는 반려동물의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상기 추출물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동물의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추출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수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콩 추출물의 제조
씨앗은행의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건조 콩(종자)에 15배의 7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초음파로 추출하고 정성 여과지 NO.1(11㎛)로 필터 후,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비교예로 콩 자원 8종(하기 표 1 참조)의 건조된 콩(종자) 각각을 상기 방법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동물실험에서는 멸균 증류수로 상기 추출물을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고자당 사료 섭취 동물모델에서, 콩 추출물의 효과 확인
콩 추출물의 지방간 생성 억제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57BL/6J 암컷 마우스의 난소를 절제한 후, 1주일 동안 회복시킨 다음 그룹을 나눠 6주 동안 일반 실험동물용 사료(㈜카길애그리퓨리나) 또는 고 자당 함유(35kcal% sucrose) 사료(D12450B, Research diet사)를 섭취하게 하였다. 그 후, 증류수 또는 증류수에 녹인 제조예 1의 콩 추출물을 6주의 실험기간 동안 1일 1회 100mg/kg 또는 300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 종료 후,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각 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간 조직은 H&E 염색 후, 이미지 J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간 조직 내 지방방울(lipid droplet)의 면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혈액생화학분석기(7180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혈청(serum) 내의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alanine transaminase) 및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AST, aspartate transaminase)를 측정하였다.
1) 콩 추출물의 지방간 생성 억제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간 조직 내 지방방울 면적을 분석한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콩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LG 16001 추출물 처리시 고 자당 사료 섭취에 의해 증가된 지방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타 유전자원에 비해 현저하였다.
또한,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 자당 사료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ALT 및 AST 함량은 콩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LG 16001 추출물 처리시 감소되었다.
2) 콩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체중 및 각 조직의 무게 변화 확인
실험 종료 시 동물모델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각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 자당 사료 섭취에 의해 증가된 동물모델의 체중은 콩 추출물 섭취에 의해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출한 복부 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고 자당 사료 섭취에 의해 증가된 지방조직의 무게는 콩 추출물을 섭취하여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해 콩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LG 16001 추출물의 지방간 생성 억제 효과가 체중 및 체지방 감소로 인한 결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콩 자원 추출물의 소야사포닌(soyasaponin)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 분석
콩 자원 추출물 내 소야사포닌 및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함량분석은 펌프(pump), 탈기장치(degasser), 컬럼 오븐(column oven) 및 오토샘플러(autosampler)로 구성된 Dionex UltiMate 3000 시스템(Sunnyvale, CA, USA)와 전자분무이온화(electrospray ionization, ESI) 소스가 장착된 Thermo사의 사중극자-오비트랩 질량분석기(Thermo Q-Exactive, Bremen,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콩 자원 추출물 내 함량분석 병행반응탐색법(parallel reaction monitoring; PRM)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데이터의 수집 및 정성분석은 Xcalibur(version 3.0, Milford, MA, USA)를 사용하였으며, 정량 분석은 TraceFinder 3.2.512(Thermo, Bremen, Germany)를 이용하였다.
표 1 및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콩 자원 10종 개별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지방간 억제 효과가 거의 없는 자원 8종과 지방간 억제 효과가 우수한 콩 유전자원명 신팔달콩(Shinpaldalkong) 또는 KLG 16001의 소야사포닌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지방간 억제 효과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는 소야사포닌 계열 및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함량과는 무관함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KR2023015565-appb-img-000001
Figure PCTKR2023015565-appb-img-000002

Claims (11)

  1.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비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 간경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고 자당 식이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 내 지방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간 기능 개선은 지방간 생성에 의해 증가된 혈중 AST 및 ALT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사료 첨가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농축액, 분말 또는 과립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용 사료 첨가제.
  11. 유전자원명이 신팔달콩(Shinpaldalkong. IT 번호: IT343931) 또는 KLG 16001(IT 번호: IT238318)인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PCT/KR2023/015565 2022-10-11 2023-10-11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807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69 2022-10-11
KR1020220129369A KR102566370B1 (ko) 2022-10-11 2022-10-11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715A1 true WO2024080715A1 (ko) 2024-04-18

Family

ID=8756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5565 WO2024080715A1 (ko) 2022-10-11 2023-10-11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6370B1 (ko)
WO (1) WO2024080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370B1 (ko) * 2022-10-11 2023-08-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45B1 (ko) * 2014-10-13 2016-09-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2233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453A (ko) * 2018-06-29 2020-0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KR102566370B1 (ko) * 2022-10-11 2023-08-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45B1 (ko) * 2014-10-13 2016-09-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2233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453A (ko) * 2018-06-29 2020-0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KR102566370B1 (ko) * 2022-10-11 2023-08-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NG JI-HYE; KIM HYUN-SOOK: "The inhibitory effect of black soybean on hepatic cholesterol accumulation in high cholesterol and high fat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PERGAMON, GB, vol. 60, 27 July 2013 (2013-07-27), GB , pages 404 - 412, XP028713462, ISSN: 0278-6915, DOI: 10.1016/j.fct.2013.07.04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370B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900B2 (en) Composition with improved bioavailabilty of saponi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WO2024080715A1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018557A (zh) 衍生自壳斗植物的糖酶抑制剂及其应用
KR20090118051A (ko) 비만 치료에 유용한 시나라 스콜리무스 및 파세올루스 불가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제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19093739A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5577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545A1 (ko) 부채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2970B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913910B (zh) 包括北枳椇提取物,三丫乌药提取物,或其本草混合物提取物的组合物
KR100699782B1 (ko)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식품 조성물
KR102041852B1 (ko)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6219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WO2019083264A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2534348B1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WO2022075765A1 (ko) 파바톤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에 의한 인지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43855A1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317551B1 (ko)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58671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8661B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1334A1 (ko)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7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