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236A -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236A
KR20110048236A KR1020090104950A KR20090104950A KR20110048236A KR 20110048236 A KR20110048236 A KR 20110048236A KR 1020090104950 A KR1020090104950 A KR 1020090104950A KR 20090104950 A KR20090104950 A KR 20090104950A KR 20110048236 A KR20110048236 A KR 20110048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active ingredient
akr1b10
group
b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576B1 (ko
Inventor
판철호
송대근
이주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576B1/ko
Priority to PCT/KR2009/007391 priority patent/WO2011052846A1/ko
Publication of KR2011004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자생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암세포의 성장 촉진과 관련되는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에 처리하였을 때, 상기 효소의 활성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 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찔레, 항암, AKR1B10(Aldo-keto reductase1B10)

Description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cancer containing the extracts of native plan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에 대한 연구가 30년 이상 심도 있게 이루어진 현재에도 평균수명의 증가,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잘못된 식생활습관 등의 생활환경 변화로 인하여 암 발생률은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0만 명 정도의 암 환자가 발생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사망의 주요원인 중 하나로 암을 꼽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암은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는 병으로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매년 10만 명 정도의 암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은 중년층의 질환으로서 새로운 임상예의 70% 이상이 60세 이상에서 진단되어 세계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암 발생률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일반적인 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 등이 있으며 항암제 치료는 모든 치료법에 병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항암제 치료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손상을 입혀 심각한 독성 및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신규 항암제 개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의 항암제 개발 연구는 암세포와 정상세포 사이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 생화학적 수식의 차이를 구명하여 신규 항암제 표적을 도출하고, 이 표적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함으로써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알도-케토 환원효소(Aldo-keto reductase, AKR)는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까지 두루 존재하며 생체 내의 다양한 알데히드(aldehyde) 및 케톤(ketone)의 해당 알콜로의 환원을 촉매하는 NAD(P)H 의존적 산화환원 효소로 생합성, 대사, 해독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KR은 AKR1에서 AKR14까지 14개 패밀리로 나누어지며, 사람에서는 패밀리 1, 6, 7의 총 13개의 AKR 효소들이 보고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AKR1A1, AKR1B1, AKR1B10, AKR1C1, AKR1C2, AKR1C3, AKR1C4, AKR1D1, AKR6A3, AKR6A5, AKR6A9, AKR7A2, AKR7A3으로 명명하고 있다. AKR은 내생적 기질로 당이나 지질의 알데히드, 프로스타글란딘, 레티날,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을 이용하며, 각 효소의 기질 특이성은 상이하다.
사람의 13개 AKR 효소들 가운데 패밀리 1의 B10(AKR1B10)은 1998년 두 그룹이 독립적으로 처음 보고하였으며(Cao et al ., 1998, J. Biol . Chem. 273:11429-11435; Hyndman and Flynn, 1998, Biochim . Biophys. Acta. 1399:198-202), 당시 에는 알도오즈 환원효소-유사 단백질 1(aldose reductase-like 1, ARL1) 또는 소장 알도오즈 환원효소(small intestine aldose reductase)로 불렸다. AKR1B10은 간암(Cao et al ., 1998, J. Biol . Chem. 273:11429-11435), 폐암(Fukumoto et al ., 2005, Clin . Cancer Res. 11:1776-1785), 구강암(Nagaraj et al ., 2006, Toxicol . Lett. 165:182-194), 자궁암(Yoshitake et al ., 2007, Int . J. Gynecol . Cancer. 17:1300-1306) 등에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AKR1B10은 정상인의 간에서는 낮은 수준으로, 폐에서는 발현을 확인하지 못, 당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흡연자의 경우, 편평 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선암(adenocarcinoma)에서 AKR1B10 과발현이 보고되었다(Li et al ., 2008, Pathol . Res. Pract . 204:295-304)ol. 와 같이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AKR1B10은 신규 암 진단과 암 치료의 표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상기 효소의 역할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암 치료의 표적 가능성은 siRNA를 이용한 AKR1B10의 발현 억제 연구에 의하여 가시화되었다. 즉, 직장암 세포에서 AKR1B10의 발현을 siRNA로 억제한 결과, 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Yan et al ., 2007, Int . J. Cancer. 121:2301-2306). 이는 AKR1B10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저해제가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AKR1B10의 세포분열 촉진 효과 규명을 위한 연구에서는 암 세포에서 높게 발현된 AKR1B10 활성이 레티날(retinal)을 레티놀(retinol)로 환원시켜 세포 내의 레티노산(retinoic acid) 농도를 감소시켜 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킨 결과로 추정하고 있다(Gallego et al ., 2006, Biochem . J. 399:101-109). 또한, AKR1B10은 항암제인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을 비활성화시키는 주된 환원효소로 동정되었으며(Martin et al ., 2006, Drug Metab . Dispos. 34:464-470), 또 다른 전구약물(prodrug) 항암제인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에 대한 암세포의 저항성과의 관련이 보고되었다(Bacolod et al ., 2008, Curr . Cancer Drug Targets . 8:172-179). 이와 같이 암세포에서 과발현된 AKR1B10은 암세포 내의 레티노산 농도를 낮추어 암의 진행을 촉진시키는 한편 활성 모이어티로 알데히드기 및 케톤기를 가지는 항암제를 비활성화시켜 암세포의 항암제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AKR1B10의 특이적 저해제는 암 치료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는 응달의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사용하며 한국 ·일본 ·중국 ·히말라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독활(Aralia cordata)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줄기가 곧게 위로 하나씩 뻗어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하여 독활(獨活)이라고 불렀으며 바람이 없을 때에는 홀로 움직인다하여 독요초(獨搖草)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강(羌)에서 나는 것이 좋은 것이어서 강활(羌活)이라 부르기도 하였다는 기록도 있지만 현재는 전혀 다른 약으로 구별하여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중치모당귀와 유사한 어수리(Heracleum mollendorfii Hance)를 독활로 사용하기도 한다. 독활은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듯하다. 독활은 풍한습(風寒濕)으로 인한 근육통, 관절염, 요통, 무릎과 하지 동통에 사용하고 조습작용이 있어 피부가려움증, 외감성 발열, 두통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은 진정, 최면, 진통, 항염증, 혈압강하, 항경련, 항궤양, 햇빛알러지 등에 효과가 보고되었다.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은 골병풍이라고도 불리며, 깊은 산 골짜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크고 길며 곧게 선다. 짧은 가시털이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짧으며 가장자리가 7개 정도로 갈라진다. 큰 것은 지름 75cm 정도이고 톱니가 있다.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 잎맥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턱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잎자루는 길이 80∼90cm, 지름 2cm 정도이다. 꽃은 양성화로 6∼7월에 흰색으로 피며 원추꽃차례로 빽빽이 달린다. 꽃받침통은 얕고 5갈래로 나누어지며 그 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5개이고 수술도 5개로서 꽃잎보다 약간 길다. 암술대는 2개이며 씨방은 중위(中位)이고 2실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은 들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한방에서 잎은 천명정(天名精)이라 하여 촌충 구제약으로 쓰고, 또 잎의 즙은 종기·타박상에 쓴다. 한국(경기·황해·경북 이남)·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망초(Erigeron canadensis)는 잔꽃풀이라고도 한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약재로 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한국 전지역과 전 세계에 분포한다.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는 별개미취라고도 불리며, 습지에서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한 대리 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는 국화과 곰취속으로 전 세계에 80 종, 우리나라에 8 종이 서식하고 있다. 다년초이다.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은 쌍떡잎식물로 도금양목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습지에서 자란다. 한국, 중국,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은 남아메리카 칠레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며 물가·길가·빈터에서 자란다. 어린 잎은 소가 먹지만 다 자란 잎은 먹지 않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월견초(月見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감기로 열이 높고 인후염이 있을 때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종자를 월견자(月見子)라고 하여 고지혈증에 사용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대황(Rheum undulatum)은 원산지가 중국 서장·청해 지방이다.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란다. 약제로 쓰이는 것은 원뿌리인데 재배하여 4년째가 되면 뿌리의 무게가 3∼5kg이 된다. 6∼7년 경과한 원뿌리의 껍질과 우엉 모양을 한 잔뿌리들을 제거하여 그대로 또는 통째로 썰어서 말린 것을 대황이라 하는데, 이를 약용한다. 한방에서는 기원전부터 소염성의 하제(下劑)로 쓰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 이다. 소량을 섭취하면 건위작용(健胃作用)을 나타내고, 다량의 경우는 완하제(緩下劑)로 상습 변비나 소화불량에 좋으며, 민간약으로는 화상에 쓰기도 한다. 약용할 때 달여서 복용하는데 생것을 쓰며 효력이 강하고, 익은 것을 쓰면 효력이 완만하며 숯으로 마른 것은 지혈력이 강하다.
개옻나무(Rhus trichocarpa)는 산허리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수액은 약으로 쓰고 나무는 땔감으로 이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쿠릴열도 남부 등지에 분포한다.
찔레(Rosa multiflora)는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영실(營實)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불면증·건망증·성 기능 감퇴·부종에 효과가 있고 이뇨제로도 쓴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국의 자생 식물 106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재조합 AKR1B10 단백질에 처리하였을 때, AKR1B10 효소활성이 50% 이상 억제되는 자생 식물 12종을 선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세포에서 특히 과발현되어 암 진행을 촉진시킴으로써 최근 암 진단 및 치료의 신규 표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AKR1B10의 저해제를 천연물, 특히 한국의 자생 식물에서 찾아 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 추출물을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알도-케토 환원효소 1B10(Aldo-keto reductase 1B10, AKR1B10)에 처리하였을 때, 상기 효소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의 자생 식물 106종을 각각 건조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후 추출용기에 넣고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환류 냉각한 다음,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각 자생 식물에 대한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한 AKR1B10에 처리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50% 이상 감소된 식물로서 멸가치, 독활, 섬쑥부쟁이, 참취, 개병풍, 담배풀, 속새, 망초, 벌개미취, 곰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옻나무, 찔레 및 측백의 18종을 선별하였다.
본 발명에서 선별한 자생 식물 추출물은 암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AKR1B10의 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생 식물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C1~C4의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이다. 추출 방법은 상기 용매를 사 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통상의 추출방법이 가능하다. 이때, 증류수 추출은 고온에서 열탕추출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코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은 상온에서 추출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액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추출에 사용되는 자생 식물의 양은 0.5-1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구강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 바람직하게는 간암, 폐암, 구강암 및 자궁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카르 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키토산, 구아검,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라크릴린 칼륨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kg당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선별한 자생 식물 추출물은 암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AKR1B10의 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구강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 바람직하게는 간암, 폐암, 구강 암 및 자궁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위생)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의 형태 및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 기능 식품의 형태는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일 수 있고, 건강 기능 식품의 종류는 버터, 요구르트, 치즈를 포함한 유제품,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유산균 제제, 발효유,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제제 및 발효유이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기능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통상의 건강 기능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디사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 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사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료 첨가제는 곡물 가루, 당질,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지질, 광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는 곡물 및 곡물 부산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평지씨, 면실, 대두, 밀기울,미강,탈지강,맥강,옥수수겨,맥아근,대두피,감자 전분,고구마 전분,옥수수 전분,커피박,잠사,잠분,해조분,타피오카,대두박,면실박,임자박,채종박,아마박,호마박,옥수수글루텐,밀글루텐,낙화생 박,야자박,해바라기씨박,주정박,옥수수배아박,고추씨박,장유박,맥주박 중에서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수용성 및 수불용성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당 및 복합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당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도당, 만노오스, 프룩토오스, 백당, 맥아당, 셀로비오스, 젖당, 트레할로오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오스, 에스크린, 살리신, 아미그달린, 만니톨, 솔비톨, 소르보스, 멘티토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당밀, 자당뿐만 아니라 올리고당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아미노산 성분에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이소로이신, 로이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티로신,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프롤린, 세린, 시스테인, 및 이들의 동족체, 및 이들의 염이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는 비타민에는 티아민· HCl, 리보플라빈, 피리독신·HCl, 니아신, 니아신아미드, 이노시톨, 염화콜린, 판토텐산칼슘, 바이오틴, 폴산, 아스코르브산, 및 비타민 A, B, K, D, E 등이 있다. 이 중, 특히 비타민 A, 비타민 B군 및 비타민 E는 항산화 물질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지방산은, 예를 들어, 대두유, 평지씨유, 옥수수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라이스유, 비프스테이크 식물유, 달맞이꽃유, 유리지치유, 아마인유 등의 식물유, 및 가다랭이, 고등어, 정어리 등의 어유 및 각종 미생물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유지를 가수 분해 처리함으로써 수 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지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서 지방산의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는 사장석, 벤토나이트, 맥반석 등 공지의 바이오세라믹 물질이 소량 첨가되어 항균 기능 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약제 성분을 첨가할 수 있고, 특히 항생제, 생균제, 감미제, 제산제, 지사제 등의 인공적 화학약품을 포함시켜도 본 발명의 범주 안에 든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칼슘원으로서 패각류를, 철, 망간, 구리, 아연, 몰리브덴의 미네랄원으로서 게 껍질, 소라 껍질 등을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조합 인간 AKR1B10 ( rhAKR1B10 ) 발현 벡터 제조 및 rhAKR1B10 단백질 정제
AKR1B10 유전자(Aldo-keto reductases1B10 염기서열, 서열번호 1)를 21C 프론티어 인간 유전자 은행(21C Frontier Human Gene Bank, 한국, 생명공학연구원)에서 얻은 후, 상기 유전자의 해독틀(open reading frame, ORF, 서열번호 2)를 Pfu 폴리머라제(Stratagene, 미국)을 사용하여 PCR 증폭하여 pET23b(Invitrogen, 미국)벡터에 NdeI 및 XhoI 제한효소 부위로 삽입하였다. 이 때, 단백질의 정제를 위하여 AKR1B10의 N-말단에 His 표지가 첨가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AKR1B10 유전자의 PCR 증폭을 위하여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정방향 프라이머(5'-gaagaacatatggccacgtttgtggagctc-3')와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역방향 프라이머(5'-gaagaactcgagatattctgcatcgaagggatagtc-3')를 사용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AKR1B10 유전자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94℃, 4분 처리하고 94℃, 30초, 58℃, 30초, 72 ℃, 4분 과정을 25회 반복한 후 72 ℃, 10분간 연장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 및 벡터를 각각 NdeI및 XhoI 제한효소로 절단하고 정제하였다. 벡터 및 삽입할 절편을 약 100 ng씩 사용하여, Roche 사(스위스)의 T4cg가아제(ligase) 1 unit을 첨가하여 16℃에서 16시간 반응시켰다.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 후 대장균 BL21(DE3)(Invitrogen, 미국)에 형질전환하여 50 ㎍/ml의 암피실린(ampicillin, Sigma, 미국)이 함유된 LB 아가 플레이트에서 선별한 후 적절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원하는 DNA 절편이 든 플라스미드를 확보하였으며 DNA 시퀀싱(sequencing)을 통해 최종적으로 유전자의 변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현벡터를 'pET23b-AKR1B10'로 명명하였다.
상기에서 pET23b-AKR1B10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균주를 50 ㎍/ml의 암피실린이 함유된 LB 배지에서 37℃, 200 rpm으로 배양하여 600nm 흡광도가 0.8에 이르렀을 때 0.5 mM의 IPTG를 첨가하여 재조합 인간 AKR1B10( rhAKR1B10)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30℃, 200rpm으로 4시간 동안 더 배양한 후, 대장균 균체를 회수하여 완충용액 A(20 mM Tris-Cl/pH 8.0, 0.5 M NaCl, 5 mM imidazole 및 1 mM DTT 함유)에 현탁하여 초음파로 세포를 파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rhAKR1B10 조효소가 포함된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층액을 완충용액 A로 평형시킨 Ni-친화 컬럼(Ni-affinity column, TAKARA, 일본)에 주입하고, 완충용액 B(20 mM Tris-Cl/pH 8.0, 0.5 M NaCl, 20 mM imidazole 및 1 mM DTT 함유)로 세척한 후, 완충용액 C(100 mM potassium phosphate/pH 6.2, 0.5 M NaCl, 250 mM imidazole 및 1 mM DTT 함유)로 용출하여 rhAKR1B10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과정에서 비특이적으로 응집된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완충용액 D(100 mM potassium phosphate/pH 6.2, 0.5 M NaCl 및 1 mM DTT )로 평형시킨 겔 삼투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rhAKR1B10를 정제하였다. 상기에서 정제한 rhAKR1B10을 12% SDS-PAGE를 통해 확인한 결과, 35 kDa 정도 분자량을 가진 단량체인 것을 확인하였고, rhAKR1B10의 기질인 DL-글리세르알데히드(DL-glyceraldehyde, Sigma, 미국)에 대한 친화도를 Lineweaver-Burk plot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3.7 mM의 Km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정제한 단백질을 하기 rhAKR1B10 저해제 탐색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자생 식물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자생 식물은 총 106종으로, 강원도 평창 일대에서 채집한 각 자생 식물 시료를 건조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각 자생 식물 시료를 넣고 용매(95% 에탄올 수용액)를 가하여 환류 냉각하였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각 추출물을 DMSO에 20 mg/ml로 녹여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시료 중량, 용매의 부피 및 상기 실험으로부터 최종 수득한 추출물의 중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번호 식물명 학명 건조중량(g) 용매 부피(L) 추출물량(g)
1 톱풀 Achillea alpina 20 0.5 2.83
2 우슬 Achyranthes japonica 10 0.5 1.75
3 진범 Aconitum pseudolaeve 44 1.2 3.91
4 창포 Acorus calamus 10 0.5 2.32
5 다래나무 Actinidia arguta 10 0.4 1.52
6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90 1.8 1.91
7 잔대 Adenophora triphylla 20 0.6 2.65
8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40 1.5 1.11
9 영양부추 Allium anisopodium 10 0.4 5.24
10 산마늘 Allium microdictyon 10 0.4 1.87
11 두메부추 Allium senescens 60 0.5 2.44
12 산오리나무 Alnus sibirica Fisch 20 0.5 2.08
13 비름 Amaranthus mangostanys 60 0.5 2.32
14 강활 Angelica koreana 10 0.3 0.60
15 묏미나리 Angelica miqueliana 20 0.7 3.01
16 독활 Aralia cordata 20 0.8 4.87
17 두릅 Aralia elata 20 0.5 4.10
18 참쑥 Artemisia dubia 10 0.3 0.82
19 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20 0.5 2.23
20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30 1.5 5.10
21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20 0.7 1.84
22 참취 Aster scaber 20 0.7 2.13
23 개미취 Aster tataricus 30 0.5 2.05
24 개병풍 Astilboides tabularis 10 0.7 1.23
25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10 0.4 1.54
26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10 0.4 1.80
27 삽주 Atractylodes ovata 30 0.9 1.03
28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20 0.5 4.02
29 섬초롱꽃 Campanula punctata 20 0.6 2.93
30 담배풀 Carpesium abrotanoides 10 0.4 0.85
31 엉겅퀴 Cirsium japonicum 35 1.5 3.75
32 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30 1 5.23
33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30 3 3.46
34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20 0.5 3.73
35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31 0.9 4.64
36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90 0.5 4.60
37 만삼 Codonopsis pilosula 10 0.5 1.49
38 까치고들빼기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11 0.9 0.41
39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 10 0.4 1.17
40 윤판나물 Disporum uniflorum 20 0.7 2.82
41 섬바디 Dystaenia takesimana 20 0.7 5.20
42 오갈피나무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20 0.7 3.00
43 속새 Equisetum hyemale 20 0.4 1.27
44 개망초 Erigeron annuus 526 1.5 4.22
45 망초 Erigeron canadensis 153 1.8 3.52
46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20 0.5 3.50
47 벌개미취 Gymnaster koraiensis 60 2.1 10.18
48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20 0.5 2.62
49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 20 0.5 0.94
50 비비추 Hosta longipes 30 0.8 6.14
51 옥잠화 Hosta plantaginea 20 0.5 4.79
52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21 2.7 1.32
53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24 0.9 2.86
54 물봉선 Impatiens textori 13 0.9 0.45
55 음나무 Kalopanax pictus 30 0.8 7.34
56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20 0.5 2.39
57 활량나물 Lathyrus humilis 39 1.5 3.36
58 곰취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20 0.7 2.46
59 한대리곰취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20 0.5 2.11
60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38 1.5 2.03
61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 10 0.4 0.33
62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10 0.3 2.21
63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10 0.3 2.21
64 털부처꽃 Lythrum salicaria 20 0.4 1.89
65 박하 Mentha arvensis 10 0.3 0.97
66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22 0.9 2.34
67 돌단풍 Mukdenia rossii 30 0.7 1.11
68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38 1.5 2.59
69 야산고비 Onoclea sensibilis 20 0.5 1.68
70 고비 Osmunda japonica 30 0.9 5.43
71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15 1.8 0.74
72 마타리 Patrinia scabiosaefolia 20 0.7 2.99
73 자소 Perilla frutescens 20 0.5 2.20
74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20 0.7 1.32
75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10 0.2 2.09
76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10 0.5 0.90
77 꽈리 Physalis alkekengi 20 1.5 2.85
78 질경이 Plantago asiatica 10 0.5 1.56
79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90 2.4 10.91
80 누룩치 Pleurospermum camtschaticum 10 0.45 7.98
81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20 1.5 0.73
82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20 0.5 2.36
83 대황 Rheum undulatum 10 0.9 1.02
84 개옻나무 Rhus trichocarpa 39 0.9 8.94
85 옻나무 Rhus verniciflua 20 0.4 0.38
86 찔레 Rosa multiflora 18 0.9 0.86
87 소리쟁이 Rumex crispus 10 0.5 1.84
88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20 0.5 2.78
89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20 0.4 2.91
90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20 0.5 1.23
91 개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20 0.5 3.97
92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10 0.4 1.79
93 돌나물 Sedum sarmentosum 80 0.9 1.72
94 밀나물 Smilax riparia 28 0.9 2.53
95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 - aurea 20 0.4 3.10
96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30 0.5 2.92
97 컴프리 Symphytum officinale 20 0.5 2.37
98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42 1.8 3.15
99 수리취 Synurus deltoides 16 0.9 1.47
100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10 0.5 1.41
101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30 0.8 3.70
102 측백 Thuja orientalis 20 0.4 0.43
103 박새 Veratrum oxysepalum 30 0.4 1.37
104 나비나물 Vicia unijuga 20 0.3 3.11
105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10 0.2 0.75
106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40 1.5 3.71
실시예 3. 자생 식물 추출물의 rhAKR1B10 활성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자생 식물 추출물들이 rhAKR1B10 억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rhAKR1B10 단백질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과 반응시켰을 때의 NADPH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 ㎍/ml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반응용액(0.1 M potassium phosphate/pH 7.0, 10 mM DL-glyceraldehyde, 0.16 mM NADPH 및 1μM rhAKR1B10 함유)을 96웰-마이크로 플레이트에 200 μl씩 분주한 뒤 마이크로리더기(Biorad, 미국)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5분간 1분 간격으로 NADPH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1분 동안의 흡광도 변화량을 토대로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rhAKR1B10 활성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rhAKR1B10 억제율(%) =(Δ시료미처리흡광도-Δ시료처리흡광도)/(Δ시료미처리흡광도-Δ기질미처리흡광도)×100
106종의 자생 식물 중에서 상기 자생 식물의 추출물이 rhAKR1B10의 효소 활성을 50% 이상 억제한 것은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섬쑥부쟁이(Aster glehni), 참취(Aster scaber),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속새(Equisetum hyemale),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곰취(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옻나무(Rhus verniciflua), 찔레(Rosa multiflora) 및 측백(Thuja orientalis)의 18종 이었다. 상기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번호 식물명 학명 rhAKR1B10억제율(%)*
1 톱풀 Achillea alpina 31.28
2 우슬 Achyranthes japonica 30.57
3 진범 Aconitum pseudolaeve 33.31
4 창포 Acorus calamus 40.90
5 다래나무 Actinidia arguta 29.75
6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43.09
7 잔대 Adenophora triphylla 26.82
8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23.25
9 영양부추 Allium anisopodium 19.95
10 산마늘 Allium microdictyon 14.97
11 두메부추 Allium senescens 30.44
12 산오리나무 Alnus sibirica Fisch 37.14
13 비름 Amaranthus mangostanys 21.05
14 강활 Angelica koreana 38.44
15 묏미나리 Angelica miqueliana 35.07
16 독활 Aralia cordata 56.78
17 두릅 Aralia elata 39.97
18 참쑥 Artemisia dubia 43.11
19 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38.42
20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15.34
21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57.44
22 참취 Aster scaber 58.07
23 개미취 Aster tataricus 48.76
24 개병풍 Astilboides tabularis 59.81
25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48.42
26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39.03
27 삽주 Atractylodes ovata 20.58
28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37.83
29 섬초롱꽃 Campanula punctata 27.50
30 담배풀 Carpesium abrotanoides 59.53
31 엉겅퀴 Cirsium japonicum 48.58
32 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38.14
33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27.23
34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12.84
35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36.05
36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12.71
37 만삼 Codonopsis pilosula 42.40
38 까치고들빼기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43.26
39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 27.30
40 윤판나물 Disporum uniflorum 31.95
41 섬바디 Dystaenia takesimana 33.57
42 오갈피나무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44.31
43 속새 Equisetum hyemale 63.12
44 개망초 Erigeron annuus 45.25
45 망초 Erigeron canadensis 63.77
46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39.06
47 벌개미취 Gymnaster koraiensis 56.87
48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43.47
49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 37.57
50 비비추 Hosta longipes 31.92
51 옥잠화 Hosta plantaginea 31.80
52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37.38
53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37.24
54 물봉선 Impatiens textori 44.53
55 음나무 Kalopanax pictus 41.80
56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31.63
57 활량나물 Lathyrus humilis 43.49
58 곰취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55.52
59 한대리곰취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72.22
60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37.56
61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 36.44
62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35.67
63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45.56
64 털부처꽃 Lythrum salicaria 62.98
65 박하 Mentha arvensis 35.79
66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37.86
67 돌단풍 Mukdenia rossii 42.25
68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71.22
69 야산고비 Onoclea sensibilis 34.52
70 고비 Osmunda japonica 15.13
71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36.89
72 마타리 Patrinia scabiosaefolia 40.21
73 자소 Perilla frutescens 47.90
74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22.06
75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20.37
76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34.15
77 꽈리 Physalis alkekengi 27.15
78 질경이 Plantago asiatica 30.18
79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32.65
80 누룩치 Pleurospermum camtschaticum 24.48
81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31.85
82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37.87
83 대황 Rheum undulatum 60.20
84 개옻나무 Rhus trichocarpa 80.86
85 옻나무 Rhus verniciflua 61.31
86 찔레 Rosa multiflora 68.97
87 소리쟁이 Rumex crispus 43.99
88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37.59
89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5.84
90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33.70
91 개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44.88
92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40.06
93 돌나물 Sedum sarmentosum 37.69
94 밀나물 Smilax riparia 45.54
95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 - aurea 44.34
96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40.23
97 컴프리 Symphytum officinale 46.56
98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38.07
99 수리취 Synurus deltoides 42.46
100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33.00
101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26.79
102 측백 Thuja orientalis 83.18
103 박새 Veratrum oxysepalum 46.96
104 나비나물 Vicia unijuga 39.86
105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48.71
106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38.86
실시예 4. rhAKR1B10 효소 활성을 50% 이상 저해하는 식물 추출물의 IC 50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선별한 18종의 식물 중 rhAKR1B10 효소 활성을 50% 이상 저해하는 식물 추출물의 농도인 IC50는 식물 추출물의 0.625, 1.25, 2.5, 5, 10 및 20 ㎍/ml에서 rhAKR1B10 억제율을 측정하여 최소자승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멸가치, 독활, 섬쑥부쟁이, 참취, 개병풍, 담배풀, 속새, 망초, 벌개미취, 곰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옻나무, 찔레 및 측백 추출물의 IC50은 각각 3.45, 3.59, 3.47, 3.63, 5.13, 9.40, 9.87, 5.50, 6.28, 4.79, 2.94, 4.62, 7.01, 5.50, 1.96, 3.48, 9.98 및 3.79 ㎍/㎖이었다.
제조예 1.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1-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48~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1-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76.76 %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24~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1-3> 캔디의 제조
설탕 50~60 %
물엿 39.26~49.66 %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24~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1-4> 밀가루 식품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1-5>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산제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환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2-5> 과립의 제조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3. 사료첨가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을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사료첨가제의 조성>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자생 식물 추출물: 0.1 ~ 1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 1 ~ 20% 중량부,
비타민 E: 0.01 ~ 0.1% 중량부,
효소 분말: 1 ~ 10% 중량부,
145유산균: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 20 ~ 90% 중량부.
도 1은 rhAKR1B10 활성을 50%이상 억제한 식물 추출물의 IC50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1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cancer containing the extracts of native plants as an active ingredient <130> 9pp-09-31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610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 acaguagcuc acaccuguaa ucccagcacu uuggaaggcc gaggugggcg gaucaccuga 60 gcucaggagu uugagaccag ccugucucua cuaacaauau aaaaauuagc ugggagucac 120 ggugggcgcc uguaauccca gcuacucggg aggcugaggc aggagaauug cuugaaccca 180 ggagacagag guuguaguga gcugagaucg caccacugca cucuagccuu ggcaacagug 240 caagacuguc ucaaaaacag caacagagag caggacguga gacuucuacc ugcucacuca 300 gaaucauuuc ugcaccaacc auggccacgu uuguggagcu caguaccaaa gccaagaugc 360 ccauuguggg ccugggcacu uggaagucuc cucuuggcaa agugaaagaa gcagugaagg 420 uggccauuga ugcaggauau cggcacauug acugugccua ugucuaucag aaugaacaug 480 aaguggggga agccauccaa gagaagaucc aagagaaggc ugugaagcgg gaggaccugu 540 ucaucgucag caaguugugg cccacuuucu uugagagacc ccuugugagg aaagccuuug 600 agaagacccu caaggaccug aagcugagcu aucuggacgu cuaucuuauu cacuggccac 660 agggauucaa gucuggggau gaccuuuucc ccaaagauga uaaagguaau gccaucggug 720 gaaaagcaac guucuuggau gccugggagg ccauggagga gcugguggau gaggggcugg 780 ugaaagcccu uggggucucc aauuucagcc acuuccagau cgagaagcuc uugaacaaac 840 cuggacugaa auauaaacca gugacuaacc agguugagug ucacccauac cucacacagg 900 agaaacugau ccaguacugc cacuccaagg gcaucaccgu uacggccuac agcccccugg 960 gcucuccgga uagaccuugg gccaagccag aagacccuuc ccugcuggag gaucccaaga 1020 uuaaggagau ugcugcaaag cacaaaaaaa ccgcagccca gguucugauc cguuuccaua 1080 uccagaggaa ugugauuguc auccccaagu cugugacacc agcacgcauu guugagaaca 1140 uucaggucuu ugacuuuaaa uugagugaug aggagauggc aaccauacuc agcuucaaca 1200 gaaacuggag ggccuguaac guguugcaau ccucucauuu ggaagacuau cccuucaaug 1260 cagaauauug agguugaauc uccuggugag auuauacagg agauucucuu ucuucgcuga 1320 agugugacua ccuccacuca ugucccauuu uagccaagcu uauuuaagau cacagugaac 1380 uuaguccugu uauagacgag aaucgaggug cuguuuuaga cauuuauuuc uguauguuca 1440 acuaggauca gaauaucaca gaaaagcaug gcuugaauaa ggaaaugaca auuuuuucca 1500 cuuaucugau cagaacaaau guuuauuaag caucagaaac ucugccaaca cugaggaugu 1560 aaagaucaau aaaaaaaaua auaaucauaa ccaacaaaaa aaaaaaaaaa 1610 <210> 2 <211> 948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2 auggccacgu uuguggagcu caguaccaaa gccaagaugc ccauuguggg ccugggcacu 60 uggaagucuc cucuuggcaa agugaaagaa gcagugaagg uggccauuga ugcaggauau 120 cggcacauug acugugccua ugucuaucag aaugaacaug aaguggggga agccauccaa 180 gagaagaucc aagagaaggc ugugaagcgg gaggaccugu ucaucgucag caaguugugg 240 cccacuuucu uugagagacc ccuugugagg aaagccuuug agaagacccu caaggaccug 300 aagcugagcu aucuggacgu cuaucuuauu cacuggccac agggauucaa gucuggggau 360 gaccuuuucc ccaaagauga uaaagguaau gccaucggug gaaaagcaac guucuuggau 420 gccugggagg ccauggagga gcugguggau gaggggcugg ugaaagcccu uggggucucc 480 aauuucagcc acuuccagau cgagaagcuc uugaacaaac cuggacugaa auauaaacca 540 gugacuaacc agguugagug ucacccauac cucacacagg agaaacugau ccaguacugc 600 cacuccaagg gcaucaccgu uacggccuac agcccccugg gcucuccgga uagaccuugg 660 gccaagccag aagacccuuc ccugcuggag gaucccaaga uuaaggagau ugcugcaaag 720 cacaaaaaaa ccgcagccca gguucugauc cguuuccaua uccagaggaa ugugauuguc 780 auccccaagu cugugacacc agcacgcauu guugagaaca uucaggucuu ugacuuuaaa 840 uugagugaug aggagauggc aaccauacuc agcuucaaca gaaacuggag ggccuguaac 900 guguugcaau ccucucauuu ggaagacuau cccuucaaug cagaauau 948 <210> 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KR1B10 sense primer <400> 3 gaagaacata tggccacgtt tgtggagctc 30 <210> 4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KR1B10 antisense primer <400> 4 gaagaactcg agatattctg catcgaaggg atagtc 36

Claims (11)

  1.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독활(Aralia cordata),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망초(Erigeron canadensis),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대황(Rheum undulatum),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및 찔레(Rosa multifl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R1B10 활성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암세포의 AKR1B10 효소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항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 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 식품.
  10. 멸가치, 독활, 개병풍, 담배풀, 망초, 벌개미취, 한대리곰취, 털부처꽃, 달맞이꽃, 대황, 개옻나무 및 찔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KR1020090104950A 2009-11-02 2009-11-02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3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50A KR101135576B1 (ko) 2009-11-02 2009-11-02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09/007391 WO2011052846A1 (ko) 2009-11-02 2009-12-10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50A KR101135576B1 (ko) 2009-11-02 2009-11-02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697A Division KR20110107783A (ko) 2011-09-14 2011-09-14 개옻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092696A Division KR20110118748A (ko) 2011-09-14 2011-09-14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236A true KR20110048236A (ko) 2011-05-11
KR101135576B1 KR101135576B1 (ko) 2012-04-23

Family

ID=439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950A KR101135576B1 (ko) 2009-11-02 2009-11-02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5576B1 (ko)
WO (1) WO2011052846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270A1 (ko) * 2011-12-28 2013-07-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삼나물 추출물 또는 아룬신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에폽토시스 유도제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323044B1 (ko) * 2012-07-09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437634B1 (ko) * 2012-03-21 2014-09-15 대한민국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02775B1 (ko) 2015-10-08 2017-02-06 보사모영농조합법인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9639B1 (ko) * 2017-01-18 2018-06-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병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022516A3 (ko) * 2017-07-28 2019-05-02 한남바이오 주식회사 셀레늄을 함유하는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761B1 (ko) * 2018-08-22 2019-05-15 (주)휴벳 반려동물용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03248A1 (ko) * 2017-11-21 2019-05-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1207A (ko) * 2017-12-14 2019-06-24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20190114320A (ko) * 2018-03-29 2019-10-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00000174A (ko) * 2018-06-22 2020-01-0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4308A (ko) * 2019-06-18 2020-12-29 강원도 개병풍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5880A (ko) * 2019-10-17 2021-04-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기린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WO2022154602A1 (ko) * 2021-01-15 2022-07-21 주식회사 피프틴디그리즈 곰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KR20230118268A (ko) 2022-02-04 2023-08-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6193A (zh) * 2011-07-23 2012-02-08 吉林大学 Akr1b10基因蛋白作为乳腺癌诊断标志物和药物靶标
KR102113140B1 (ko) 2018-05-10 2020-05-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및 도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4675A (ko) 2021-09-27 2023-04-0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찔레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4835780B (zh) * 2022-06-29 2022-09-27 中国农业大学 辣椒籽分离的寡肽medei及其在预防或治疗癌症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762B1 (ko) * 1996-10-29 1999-09-15 이승기 에모딘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100242240B1 (ko) * 1997-04-24 2000-03-02 박호군 담배풀로부터 신생혈관 유도현상을 억제하는 세스큐터핀 락톤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257448B1 (ko) *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50021026A (ko) * 2001-06-15 2005-03-07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이상으로부터발생하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829083B1 (ko) * 2006-07-28 2008-05-1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갖는 애기달맞이 추출물
KR20080050794A (ko) * 2006-12-04 2008-06-10 장용훈 복합 생약 추출물(ms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99377B1 (ko) * 2007-06-27 2009-05-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270A1 (ko) * 2011-12-28 2013-07-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삼나물 추출물 또는 아룬신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에폽토시스 유도제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37634B1 (ko) * 2012-03-21 2014-09-15 대한민국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23044B1 (ko) * 2012-07-09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702775B1 (ko) 2015-10-08 2017-02-06 보사모영농조합법인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9639B1 (ko) * 2017-01-18 2018-06-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병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022516A3 (ko) * 2017-07-28 2019-05-02 한남바이오 주식회사 셀레늄을 함유하는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103248A1 (ko) * 2017-11-21 2019-05-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1207A (ko) * 2017-12-14 2019-06-24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20190114320A (ko) * 2018-03-29 2019-10-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00000174A (ko) * 2018-06-22 2020-01-0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8761B1 (ko) * 2018-08-22 2019-05-15 (주)휴벳 반려동물용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4308A (ko) * 2019-06-18 2020-12-29 강원도 개병풍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5880A (ko) * 2019-10-17 2021-04-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기린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WO2022154602A1 (ko) * 2021-01-15 2022-07-21 주식회사 피프틴디그리즈 곰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KR20230118268A (ko) 2022-02-04 2023-08-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576B1 (ko) 2012-04-23
WO2011052846A1 (ko)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30332B1 (ko) 천마와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705547B1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0679853B1 (ko) 가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6528B1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20180057754A (ko) 항아토피 활성을 가진 발효대사체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395B1 (ko) 상황버섯 발효 그라비올라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00008220A (ko) 버섯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10073801A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107783A (ko) 개옻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1114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