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553A -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553A
KR20230060553A KR1020210144096A KR20210144096A KR20230060553A KR 20230060553 A KR20230060553 A KR 20230060553A KR 1020210144096 A KR1020210144096 A KR 1020210144096A KR 20210144096 A KR20210144096 A KR 20210144096A KR 20230060553 A KR20230060553 A KR 20230060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extract concentrate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s
diseases ca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련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이처포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금산미학바이오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이처포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금산미학바이오헬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이처포스
Priority to KR102021014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553A/ko
Publication of KR2023006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일정 배합비에 따른 복합물 또는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일정 배합비에 따른 복합물(composite)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합물 중 특히 약용식물 복합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일정 비율의 복합물이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복합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복합물에 비해 미세먼지 PM2.5에 의해 폐상피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세포사멸 및 활성산소(ROS) 감소 효과가 우수하고 미세먼지 처리 동물모델에서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혼합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저해효과가 우수하므로,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escription

한약재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maceutical composition consisting of medicinal herbs extract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 respiratory disease causing particulate watter in the air}
본 발명은 한약재 복합 추출물이 포함된 호흡기 질환 에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및 버섯류 추출 농축액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한 한약재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입자상물질 이하, "PM"이라 함)는 대기오염물질의 하나로, 지름이 10μm 이하인 PM10와 초미세먼지라고 부르는 지름이 2.5μm 이하인 PM2.5로 크게 분류된다. PM의 발생은 자연적 원인과 이차적 또는 인위적인 원인으로 구별되며 인위적인 발생 원인으로는 자동차나 공업시설, 쓰레기 소각장 등의 매연이며 농업시설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이나 질소 산화물 등 전구물질 이등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는 자연 발생된 먼지보다 독성이 더 강하여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PM10보다 PM2.5의 발생에 인위적인 기여도가 매우 더 크며, 먼지의 크기가 5μm이하는 특히 폐포까지 도달이 가능하여 따라서 PM2.5는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세먼지에 관한 여러 연구에서 국제보건기구인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규정한 바 있으며, PM에 장기간의 노출은 폐암 발생의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PM은 대기 오염에 대한 일반적인 지표로 규정하고 다른 오염 물질 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주요 구성 요소는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염화나트륨, 검은 탄소, 미네랄 먼지 및 물이다. 유기 및 무기물질의 고체 및 액체 입자의 복잡한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경이 10미크론 이하인 입자(PM10 ≤)가 폐 깊숙이 침투하여 속을 박을 수 있지만 더 많은 건강에 해로운 입자는 직경이 2.5미크론 이하(PM2.5 ≤)이다. 따라서, PM2.5는 폐 세포벽을 관통하고 혈액 계통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입자에 대한 만성 노출은 폐암뿐만 아니라 심혈관 및 호흡기 질환발병 위험에 유발한다고 규정한 바 있다.
인체에 미세먼지로 인해 증가된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 이하, "ROS"라 함)에 의해 야기되는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반응은 심혈관 및 호흡기 건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미세혈관에서 발생하는 염증반응은 혈액 내 응고인자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어 동맥경화증에서 발생하는 혈관 내벽이 두꺼워지는 현상은 미세먼지에 노출됨으로써 가속화될 수 있고, 침착된 미세먼지는 신경말단과 상호 작용하여, 기도가 좁아지게 하거나(천식) 심장리듬의 변화(부정맥)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동시에 고농도의 미세먼지에 단기가 노출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건강 영향으로는 호흡기질환자 및 심혈관질환자의 증상 악화, 외래 방문 횟수 증가, 입원의 증가 및 조기 사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농도의 미세먼지에 장기간 노출되면 폐암을 포함한 호흡기계 질환과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호흡기가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사이토카인 발현과 단핵구로부터 분비를 증가시키며 대동맥 내피세포에 단핵구의 부착을 향상 시킨다. 이들은 중화독소에 의해 감소되어진다. PM은 또한 단핵구 CYP1a1발현을 증가시키고 아릴탄화수소 리셉트의 저해는 CYP1a1와 염증반응을 감소시킨다. PM이 처리된 단핵구는 세포내 ROS를 축적시키고, 항산화체들은 염증과 생체 외 화합물의 반응을 상쇄시킨다. 결론적으로 미세먼지로 처리된 미세혈관 내피세포의 상층액은 내생독소의 이동의 결과가 아닌 단핵구 염증반응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의 미세먼지 구성물, 확실하게 내생독소와 PAH, 단핵구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최초 미세먼지 흡수가 폐 또는 시스템적 염증을 유도하는 몇몇의 경로를 제공하는 폐 내피세포와 같은 다른 세포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순환이 확실하다는 것이다.
대기오염은 다양한 호흡기질환과 관련있다고 밝혔지만 소수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환이 PM2.5로 기인하는 기능에 대해 연구되어졌고 특히 이는 microRNA 조절저해, DNA메칠화, 사이토카인과 염증세포의 증가된 수치에 의해 매개되어지는 종양관련 신호경로 활성을 포함하고, 폐암에 있어 미세환경과 후생적인 변화에 기인한다고 하였고 자가소화와 세포의 괴사는 PM2.5 노출에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많은 경로는 PM2.5에 의해 유도된 사이토카인의 분비와 산화스트레스를 포함하는 천식과 COPD의 유발 및 악화와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PM에 유도된 염증 효과물의 사례로서 푸코스테롤은 먼지로 유발된 세포 손상에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을 저해함으로써 염증이 억제되며, 대기오염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또, 커리파우드 구성성분의 효과로서 기도 상피세포는 커리파우드 처리하에 디젤분진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그것을 주요성분으로 사용하거나 항염증성 성분으로 정향(clove)과 심황(tumeric)을 사용한 결과, 커리파우드, 정향, 심황은 디젤분진으로 유도된 IL-6생성과 세포외에서 활성산소를 억제하였다고 보고되었다. 또 다른 향료들 중에 계피는 IL-6와 세포외 활성산소를 감소시켰고, 고수는 IL-6생성만을 억제한다는 사례와 레스베라톨의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저해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있다.
PM으로 인한 몸의 증상을 보면, 급성 노출 시에는 기도의 자극으로 인한 기침과 호흡 곤란이 발생하며 천식이 악화되고 부정맥이 발생한다고 한다. 또 만성 노출 시에는 폐기능이 감소하고 만성 기관지염이 증가하고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특히 심장이나 폐질환자, 아이와 노인, 임산부는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영향이 더 크며 심지어 건강한 성인이어도 높은 농도에 노출되면 일시적으로 이런 증상들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주로 미세먼지에 의해 세기관지에 염증 반응이 유발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기도와 폐에서 박테리아를 불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인체의 방어 작용을 방해함으로써 호흡기계 감염을 초래하게 한다. PM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발생은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장애와 혈액 응고 능력의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세먼지의 예방법은 첫째, 예방이 최선이나 어쩔 수 없이 노출되어 증상이 발생하게 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초기에 관리를 받는 것이 좋다. 둘째,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학문적, 정책적,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나 당장 개인이 할 수 있는 일들은 열거하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에는 호흡기나 심혈관 질환자, 아이와 노인, 임산부는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흡입되는 미세먼지는 활동의 강도와 기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건강한 성인은 과격한 실외 활동을 최소화 것이 좋다. 대개 도로변이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도로변에서 운동하지 않도록 하며, 실외 활동 시에는 반드시 황사 마스크를 착용하고, 불가피한 외출 후에는 반드시 코와 손을 잘 씻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 창문을 열어 두면 외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로 인해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창문을 닫아야 한다. 에어필터나 공기청정기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실내에서 흡연을 하거나 촛불을 켜는 것은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피해야 한다.
미세먼지관련 호흡기질환 관련 종래기술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길경, 감초등으로 구성된 복합재료의 추출물로 공지되었는데 이 에는 미세먼지 크기가 PM10을 사용하여 실험 연구된 것이다.
또 사삼과 아교로 된 복합추출물을 미세먼지로 유도된 마우스모델에서 염증개선과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 또한 미세먼지 PM10을 대상으로 한 동물모델에서 회수된 기관지폐포세척액의 세포생존 및 전염증성인자 저해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나아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를 포함하는 4종의 혼합 식물재료 복합 추출물의 미세먼지 흡입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염증 예방효과에 관한 특허가 디젤분진을 이용한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또 배초향와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의 호흡기질환 예방에 관한 특허가 특허문헌 4에 석탄, 플라이애시, 디젤배출입자등을 사용하여 폐조직에서 Gr-1+CD11b+ 세포의 증감과 기침 감소효과가 확인되고 공지되었다.
미역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극 호흡기질환 개선용 식품조성물관련 특허가 또한 특허문헌 5에 기도염증 유발을 위해 난알부민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복강주사하여 감작하고 이후 에어로졸 분무로 동물모델을 제작한 후 회수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백혈구 세포수에 의해 염증억제 증감을 확인한 바 있다.
이 밖에도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넘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미세먼지 자극 염증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가 특허문헌 6으로 공표되었으며 이는 디젤배기입자(DEF) 400㎍의 농도로 처리한 동물모델을 제작하고 유산균의 투여 농도에 따른 염증개선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황칠나무(Dendropanax)는 쌍떡잎 식물로 주로 사포닌, 셀레늄, 탄닌, 베타글루칸,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당뇨개선 및 심혈관계 질환개선, 간기능개선 효능을 가진다.
연꽃은 관상용으로 이를 식품으로 범용하여 왓고 연자육, 연실이 사용되어 왔다.
산수유는 층층나무라고도 불리며 미네랄과 비타민의 보고로 알려져 왔고 기타 항산화, 면역 효과가 알려져 있다.
두충은 관절에 매우 뛰어난 효능과 신장기능에 두충껍질이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시트르산 성분의 함량이 높아 강장제로 사용되어 왔다.
당귀는 비타민이 풍부하고 변비예방, 다이어트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 대추(Jujube)는 항산화, 항암 효능을 부여하는 약재로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량이 높다.
천궁(Gnidium officinale)은 중국 자생식물이며 진통, 강장, 진정, 두통억제에 유효하다.
영지(Ganoderma lucidum Karsten)는 불노초라 불릴 정도로 유명한 담자균류의 자실체로 쓴맛을 가지며 면역증진, 숙면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숙지황(Adhesive Rehmannia)은 체직개선 및 소화기능에 탁월한 약재이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항생, 항면 작용이 뛰어나고 간염, 관절염 등 염증 억제작용 기타 기침, 기관지염 위염 치료에 탁월하다.
느타리버섯((Oyster mushroom)은 대장내 콜레스테롤 등 지방 흡수를 억제하여 항비만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용설란(Agave titanota)은 아가베로도 별칭되며 멕시코 원산으로 관상용, 조경용이나 최근 가래를 삭히고 기침을 줄이며 폐결핵, 기침에 유효한 효과와 피부염증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삼열매는 인삼재배 후 4년만에 열리는 붉은 열매로 인삼 뿌리보다 높은 영양소와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었다.
자몽(Citrus limonia)은 과즙이 풍성하며 서인도제도 원산지 과일로 비타민C 함량이 풍부하여 감기예방, 피로회복, 숙취에 유효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을 감안하여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염증유발원 물질로서 PM의 size가 일정하고 폐 세포내 침윤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미세먼지 PM2.5만을 특히 사용하여 실험의 재현성을 확보하였으며, 홍삼추출물, 약용식물추출물, 느타리류 버섯 추출물 등을 포함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호흡기 염증을 개선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연구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 등록특허공보 제 10-2188416(2020.12.02.) 2 : 등록특허공보 제 10-2172571(2020.10.07.) 3 : 등록특허공보 제 10-2058618(2019.12.17.) 4 : 등록특허공보 제 10-2131602(2020.07.02.) 5 : 등록특허공보 제 10-2033260(2019.10.10.) 6 : 등록특허공보 제 10-2165929(2020.10.07.)
1 : 박상현, 대기오염, 미세먼지 그리고 응급의학,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19 권2, page : 1-1(1pages) 2 : Ambient (outdoor) air pollution, WHO 2 May 2018, WHO Air quality guidelines - 2005 global update 3 : 김종헌. 미세먼지 노출의 인체영향.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0.7, 39-44(6 pages) 4 : L. J den Hartigh et al, Endotoxine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es in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Fresno, california initiate human monocyte inflammatory respons mediated by reactive oxygen spec ies, Toxicology in vitro, volume 24, Issues 7, October 2010, pages 1993-2002 5 : Li Ruyi et al, Function of PM2.5 in the pathogenesis of lung cancer and chronic airway inflammatory diseases, Oncology : Athens Vol. 15, Iss. 5, 2018:7506-7514 6 : I.P. Shanura Fernando et al, Beijing urban particulate matter-induced injury and inflammation in human lung epithelial cells and the protective effects of fucosterol from Sargassum binderi(Sonder ex J.Agardh), Environmental research volume 171, May 2019, pages 150-158 7 : AKiko Honda et al. Extract of curry powder and its components protect agains diesel exhaust particl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Food and Agricultural Immunology(2019-01-01) Vol.30, no 1, pp.1212-1224 8 : 산약(山藥)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에 의한 항염증 효과, 학위논문(석사) 삼육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1. 8 9 : β-lapachone 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지는 효과, Cancer Prevention Research Vol. 16, No. 2, 2011 10 : Jhang JM,An J(2007) "Cytokines, inflammation, and pain". International Anesthesiology Clinics. 45(2) : 27-37 ) 본 발명은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복합물 또는 특히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일정 비율의 배합비에 따른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 중 약용식물복합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혼합물이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복합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혼합물에 비해 미세먼지에 의해 폐상피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세포사멸 및 ROS 감소 효과가 우수하고 PM2.5 처리 동물모델에서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혼합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저해효과가 우수하므로,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최초로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및 느타리류 버섯추출 농축액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추출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홍삼 추출 농축액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홍삼 추출 농축액에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 총 함량을 최소 27mg/g의 양 진세노사이드와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을 추가로 더 첨가하여 홍삼 추출 농축액과 약용식물 추출농축액의 복합물를 얻는 단계와; 이와 별도로 약용식물 추출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농축액을 일정 비율로 배합한 복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얻은 복합체를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의 제조방법은 3내지 8년근 고려인삼 (Panax ginseng)을 10 내지 60℃에서 1 내지 24시 간 동안, 1차로 자연건조 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자연 건조된 인삼을 세척하고 2차로 수분만 제거되도록 자연 건조시키는 제 2단계와; 상기 건조된 인삼을 60 내지 12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1차 증숙하는 제 3단계와; 상기 1차 증숙된 인삼을 30 내지 80℃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3차 건조시켜 수분함량 40 내지 70% 범위의 1차 건조물을 수득하는 제 4단계와; 상기 1차 건조물을 공정을 통하여 10 내지 60℃에서 2일 내지 30일 동안 자연 건조시켜 수분함량 10 내지 20% 범위의 최종 홍삼 건조물을 수득하는 제 5단계 공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의 제조는 홍삼근류와 홍미삼류 분말을 사용하여 증류수 또는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헥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추출 한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프/자외부흡광광도검출기 또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C-18 컬럼을 통해 회수한다. 상기 실험의 상세한 사항은 식품공전의 진세노사이드 분석시험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삼인 인삼은 파낙스(Panax) 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고려인삼(Pana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a), 전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s), 히말라야삼(Panaxa pseudoginseng), 베트남삼(Panax vietnamensi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Panax wangianus) 및 파낙스 비핀라티피두스(Panax bipinratifidus), 파낙스 안구스티폴리움(Panax angustifolium)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삼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포닌 함량이 많은 고려인삼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은 황칠나무, 연꽃씨앗, 산수유, 구기자, 두충, 오미자, 당귀로 구성된 약용식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한약재 식물재료를 열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감압 환류 -10 ∼ -80℃에 보관한 농축액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은 전체 조성물 총 함량에 대하여 12%가 가장 바람직 하였다. 상기 약용식물은 추출물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동량비(w/w)로 확인 되었다. 상기 홍삼 농축액의 효능은 본 발명 전체 조성물 총량의 2.7 ∼ 3.3%이면 바람직하고, 2.7% 이하에서는 효능이 저감되고 3.3% 이상은 효능범위를 넘쳐나고 따라서 경제성이 저하된다.
또 부재로서 기타 첨가물은 대추 추출농축액(고형분 60%), 천궁농축액(고형분60%), 영지농축액(고형분55%), 숙지황농축액(고형분65%), 감초농축액(고형분55%), 프락토올리고당, 벌꿀, 용설란시럽, 인삼열매추출농축액, 비타민C, 자몽종자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은 95% 또는 90%로 조정하고 느타리류 버섯열수추출물의 농축액을 5%, 10%를 첨가하고 혼합한 복합물이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세균감염등의 외부자극에 의하여 신체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일어나는 생체조직의 방어기작인 면역반응이다. 이러한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혈액의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혈관의 투과성이 향상되어 면역세포들이 손상된 조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를 비롯한 면역세포들은 nitricoxide(NO), cytokine, prostaglandin E2(PGE2), chemokine, freeradical 등 다양한 염증반응을 유발 매개물질을 분비한다. 이중 대식세포는 항원에 대항하여 염증유발 인자로서 전염증성 cytokine으로 TNF-a, IL-1~, IL-6 등을 생성한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은 세포 신포전달에 중요하며, 전신염증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이며, 이 사이토카인들은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해 생산되어, 염중반응의 상향조절에 관여한다. 치유를 촉진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과는 달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질병을 악화시키는 작용을 수행함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으로 TNF-a, IL-4, IL-6, MCP-1의 증감을 확인함과 동시에 NK 세포, Th1 세포, cytotoxic 세포 등에 의해 분비되며, 알러지 면역과 연관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FN-y의 증감을 확인하였다.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respiratory disease)은 기침, 가래, 호흡곤란 및 발열 등을 동반하는 기도, 기관지 및 폐에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질환, 천식, 만성폐쇄성 폐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기침, 기관지염, 인후염, 중이염, 편도염, 부비동염, 폐렴, 폐섬유증 및 후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라비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안정화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사용된 모든 혼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탈크 같은 활택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유동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 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과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투여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시간, 투여경로, 약물의 흡수, 분포 및 배설률, 사용되는 다른 약물의 종류 및 처방자의 판단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1,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6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를 강화한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혼합물 또는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추출 농축액의 배합비에 따른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가공한 식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제, 보조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스틱형 젤리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 의 진세노사이드를 강화한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혼합물 또는 특히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추출 농축액의 배합비에 따른 복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를 첨가한 홍삼 추출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기타 부형제의 첨가물의 복합물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일정비율 배합비에 따른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상기 복합물은 기관지 세포 독성이 없으며, 고농도 미세먼지 처리 조건에서 세포생존율이 높고, 활성산소(ROS) 생성 감소, 미세먼지 노출 동물모델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K 제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방법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농도별 세포독성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농도별 MTT assay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농도별 미세먼지 처리시 A549 세포주의 Anexine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농도별 미세먼지 처리시 A549 세포주의 caspase 3/7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농도별 미세먼지 처리시 A549 세포주의 활성산소(ROS) assay에 의한 활성산소 증감을 나타낸 그래프,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중에서 Compound B의 농도별 미세먼지 처리시 기관지폐포세척액(:BALF)의 염증성 Cytokine류의 증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홍삼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기타 첨가물의 복합물, 약용식물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 배합비별 복합물의 제조
홍삼추출 농축액은 본 발명의 전체 2.7%(고형분 60%)가 첨가되었으며, 이는 미량 성분함량 기준을 고려하여 홍삼근류와 홍삼미삼은 7:3 배합조성비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고, 이에 부가하여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의 함량으로 전체함량 합의 g당 27mg이 하기 표 1과 같이 첨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다음으로는 약용식물 추출물로서 황칠나무, 연꽃씨앗, 산수유, 구기자, 두충, 오미자, 당귀의 추출 농축액, 대추 및 천궁농축액, 영지농축액, 숙지황농축액, 감초농축액을 전체 함량에 대하여 각 약재의 함유성분을 감안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량비(w/w0로 배합하여 합계 12%로 구성하였고, 기타 부재료 첨가물로서는 액상 또는 시럽용 용도를 고려하고 목넘기기기, 풍미, 보존성을 감안하여 프락토올리고당, 벌꿀, 용설란시럽, 인삼열매추출물, 비타민 C, 수용액(30mg 함유) 자몽추출물을 가장 바람직하게는 85.0%로 첨가하여 복합물을 표 1(Composite A)과 같이 제조하였다.
또 이와 별도로 상기 용도와 다른 정제 및 환제 등의 제품을 위해 약용식물 추출물 농축액을 95% 또는 90%로 조정하고 느타리류 버섯추출물 농축액(열수추출)을 상기 버섯이 함유한 유효 활성성분을 감안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5%, 10%를 각각 첨가 혼합한 농축액을 표 2(Composite B 및 C)와 같이 제조하였다.
홍삼추출 농축액, 약용식물추출 농축액과 기타 식물 첨가물의 복합물(Composite A)의 배합비 조성
구분 번호 성분원료 최적 배합량
(중량%)
최적배합범위 (중량%) 비고








1 홍삼 추출농축액 3.00 진세노사이드Rg1, Rb1, Rg3 30mg 함유 2.7 ∼ 3.3
2 황칠나무 추출농축액 1.00
3 연꽃씨앗 추출농축액 1.00
4 산수유열매 추출농축액 1.00
5 구기자나무열매 추출농축액 1.00
6 두충 추출농축액 1.00
7 오미자열매 추출농축액 1.00
8 당귀 추출농축액 1.00
9 대추 추출농축액 1.00
10 천궁 추출농축액 1.00
11 영지 추출농축액 1.00
12 숙지황 추출농축액 1.00
13 감초 추출농축액 1.00
소계 15.00 10.5 ∼ 10.8




14 프락토올리고당 10.00


80.9 ∼ 86.8
15 벌꿀 10.00
16 용설란 시럽 10.00
17 인삼열매 추출농축액 10.00
18 비타민C 수용액 35.00 비타민C 30mg 함유
19 자몽종자 추출농축액 10.00
소계 85.00
% 합계 100.00
약용식물추출농축액 및 느타리류 버섯 추출농축액의 복합물(Composite B, C)배합비조성
구분 번호 배합원료 Composite B
최적 배합량(중량%)
Composite C
최적 배합량(중량%)
비고







1 황칠나무 추출농축액





95.00










90.00
2 연꽃씨앗 추출농축액
3 산수유열매 추출농축액
4 구기자나무열매 추출농축액
5 두충 추출농축액
6 오미자열매 추출농축액
7 중국당귀뿌리 추출농축액
8 대추 추출농축액
9 천궁 추출농축액
10 영지 추출농축액
11 지황 추출농축액
12 감초 추출농축액
부재료 13 느타리류 버섯추출농축액 5.00 10.00
% 합계 100.00 100.00
처리군별 Composite A, B 및 C 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
처리군
분석별
정상군 음성실험군 대조군 실험군1 실험군2
in Vitro 분석 0㎍/㎖,
PM2.5(-)
1,000㎍/㎖,
PM2.5(-)
0㎍/㎖,
PM2.5(300㎍/㎖)
500㎍/㎖,
PM2.5(300㎍/㎖)
1,000㎍/㎖,
PM2.5(300㎍/㎖)
미세먼지 동물모델 0㎎/kg,
PM2.5(3mg/㎖)
50㎎/kg,
PM2.5(3mg/㎖)
100㎎/kg
PM2.5(3mg/㎖)
실험예 1: 인간 폐 상피세포주의 독성평가 및 항염증 효과 분석
1-1) Composite A, B, C의 세포 독성 평가(MTT assay)
폐 상피세포주인 A549 세포(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를 미국세포주은행(ATCC, Manassas, VA, USA)에서 분양받아 배양액으로 Ham's F-12medium을 사용하고 10% fetal calf serum, penicillin(100 U/mL), streptomycin(100 μg/mL)등을 배양액에 추가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고 배양액은 3-4일 간격으로 계대배양 하였으며, 세포가 90-100% 정도의 합류(confluency)를 이루는 시점에서 세포들을 분리하여 6 well culture plate에 충분히 분화할 때까지 배양 후 사용하였다.
Composite A, B, C의 농도별(0㎍/㎖, 250㎍/㎖, 500㎍/㎖, 1000㎍/㎖)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 루미넥스사의 Muse® Count & Viability Kit(MCH600103)을 사용하였으며, Muse® Count & Viability Reagent(No. 4000-0340)을 사용하였다. 이 용액은 빛으로부터 보호된 상태로 2에서 8°C를 유지하였다. 희석완충액으로 pH 7.2에서 7.4 범위이며, 세포계수와 생존율 테스트 용액을 먼저 각 튜브에 피펫팅한 후 세포현탁액은 20㎕/ml(1x106 ∼1x107 cells/mL, 20배 희석)를 각 튜브에 첨가하였다. 용액 안에 첨가된 세포현탁액은 voltexing하여 현탁하였고, 이후 실온에서 5분정도 반응시키고 루미넥스사의 MUSE 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여 도면 1, 2에 나타내었다.
(1) 세포생존율의 결과(MTT assay)
상기 표 1, 2의 Composite A, B, C의 폐 상피세포주인 A549 세포에 1㎍/㎖에서 1,000㎍/㎖까지의 농도에서 MTTassay를 수행한 결과, 3종 모두 1,000㎍/㎖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1-2) 미세먼지(PM2.5) 처리에 Composite A, B, C의 세포사멸 저해 확인(Annexine V, Caspase 3/7 assay) Annexin는 PS(Phospholipid Serine)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세포 사멸의 초기 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단백질으로, 정상 세포의 경우, PS 단백질은 세포막 안쪽에 주로 존재한다. 세포 사멸이 일어나면 PS 단백질은 세포질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렇게 노출된 PS 단백질에 Annexin가 결합하여 초기 세포 사멸을 측정할 수 있다.
Caspase는 세포사멸(Apotopsis)의 유도에 관여하는 cystein 단백질 분해효소이며, 활성부위의 cystein 잔기를 이용하여 기질 단백질의 aspartic acid 잔기부위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사멸(Apotopsis)의 과정에서 Caspases는 세포사멸의 개시자 Caspase, 집행자 Caspases로 나눌 수 있는데, Caspase-3/7은 집행자 Capase로써 주변 세포와 조직에 대한 염증과 손상을 방지하고 사멸될 세포에서 세포 구성 요소를 분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후기 세포사멸을 측정할 수 있다.
Composite A, B, C의 농도별(0㎍/㎖, 500㎍/㎖, 1,000㎍/㎖)로 초기 세포사멸 저해율을 확인하기 위해 폐 상피세포주인 A549 세포를 배양하고 미세먼지(PM 2.5,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분양) 300㎍/㎖의 농도로 처리하여 루미넥스사의 Muse Annexine Cell Kit (MCH100105)를 사용하여 Annexine V kit assay와 Muse Caspase-3/7 Kit(MCH100108)를 사용하여 Caspase-3/7 kit assay를 매뉴얼에 따라 루미넥스사의 MUSE 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미세먼지(PM2.5) 처리에 Composite A, B, C의 세포사멸 저해 확인 결과(Annexine V, Caspase 3/7 assay) 상기 표 1 및 2의 Composite A, B 및 C의 농도별(0㎍/㎖, 500㎍/㎖, 1,000㎍/㎖)로 미세먼지(PM 2.5) 300㎍/㎖의 농도로 처리시 폐 상피세포 A549 세포주의 세포사멸 저해율을 확인하기 위해 Annexine V, Caspase 3/7 assay를 실시한 결과(표 3), 도 3, 4와 같이 Composaite A, B, C의 500㎍/㎖과 1,000㎍/㎖ 농도에서 모두 대조군(표3)과 비교하여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며, 농도의존 양상을 보였다.
특히 약용식물추출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으로 구성된 Composite B, C에서 Composite A보다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폐 상피세포의 세포사멸 과정과 관련되어 있는 단백질 Annexine V, Caspase-3/7를 강력히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1-3) 미세먼지(PM2.5) 처리에 Composite A, B, C의 활성산소(ROS) 저해 확인(ROS assay)
활성산소의 정량적 측정을 위하여 Muse® Oxidative Stress Kit(MCH100111)를 사용하였으며, 이 키트는 산화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세포에서 초산화 질소 라디칼 분석으로 동일사의 Muse 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현탁액에 있는 부착세포 및 나머지 세포에서 활성산소의 음성 및 양성세포의 상대적인 백분율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포 집단에서 활성산소종을 검출하는 데 광범위하게 이용되어지고 특징적인 키트에 포함된 용액인 디하이드로에티듐을 사용하였으며, 세포의 두 집단은 본 실험 분석에서 구별되어, ROS(-) : 살아있는 세포, ROS(+) : 활성산소를 나타내는 세포로 나타낼 수 있었다. Composite A, B, C의 농도별(0㎍/㎖, 500㎍/㎖, 1,000㎍/㎖)로 폐상피세포주인 A549 세포를 대상으로 미세먼지(PM 2.5) 300㎍/㎖의 농도로 처리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3) 미세먼지(PM2.5) 처리에 Composite A, B, C의 활성산소(ROS) 저해 결과
상기 표 1, 2, 3의 Composite A, B, C의 농도별(0㎍/㎖, 500㎍/㎖, 1,000㎍/㎖)로 미세먼지(PM 2.5) 300㎍/㎖의 농도로 처리 시에 폐 상피세포 A549 세포주의 활성산소 저해율을 확인하기 위해 ROS assay를 실시한 결과, 도 5와 같이 Composite A, B, C의 500㎍/㎖과 1,000㎍/㎖ 농도에서 모두 대조군(표3)과 비교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저해율을 보였다 특히, 실시예 1의 표 1, 2의 Composite B는 Composite A, C 보다 미세먼지로 유도된 폐 상피세포의 활성산소 생성을 현저히 저해함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염증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의 염증성 cytokine 저해 측정
2-1) 실험조건 및 사육조건
실험동물은 6주령 male BALB/c 마우스(샘타코)를 분양받아 온도 23 ± 1℃ 상대습도 55 ± 15% 및 300-500 Lux의 조도로 12 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는 동물사육실에서 1주 이상 순화시킨 후 육안적 증상을 관찰하여 정상적인 동물만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식이는 실험동물용 사료로 자율식이를 실시하였다. 모든 동물 실험은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 publication No. 86-23, revised 1985)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수행하였다.
2-2) 미세먼지 투여 동물모델 제작 및 Compound B 투여
6주령 BALB/c 수컷 마우스에 대해 처리구당 n=6으로 그룹화 하였으며, 호흡기 손상 미세먼지(PM2.5) 3mg/ml(1% saline 용액)으로 100㎕씩 Intra-Nazal-Tracheal(INT) inj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3일 간격으로 총 5회를 기도를 통해 폐로 직접 주입하였으며, 100㎕씩 총 500㎕를 주입하고 흉부를 마사지하였다. INT injection시 7%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8383, Sigma, USA)를 복강 주사하여 마취상태에서 투여하였다.
실시예 1, 표 2의 Compound B는 0㎎/kg/100㎕, 50㎎/kg/100㎕, 100㎎/kg/100㎕의 농도로 기관지폐포세척액 회수 전까지 매일 간격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최종 미세먼지(PM2.5) 주입 1일 후 기관지폐포세척액을 회수하였으며, 총 실험기간은 21일(순화 7일 포함)이 소요되었다.
2-3) 미세먼지 투여 동물모델의 기관지폐포세척액(BALF:BronchoAlveolar Lavage Fluid)의 회수
채혈의 방법으로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메스로 개흉하여 기도를 노출시켜 FBS free DMEM 배지 1㎖을 주입 한 후 주사기를 기관지(trachea)에 삽관하고 가볍게 마사지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BALF)을 3회 순환하여 회수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BALF)을 얻었다. 이후 4℃, 300×g, 5분 조건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 한 후 cytokine 분석(IL-4, IL-6, MCP-1, TNF-α, IFN-γ)에 사용하였다.
2-4) 미세먼지 투여 동물모델의 기관지폐포세척액(BALF:BronchoAlveolar Lavage Fluid) 염증성인자 분석
실험을 통해 회수된 기관지폐포세척액(BALF)내 염증성인자 cytokine 분석을 위해 상층액 30uL를 취한 후 ELISA kit(R&D system USA) 프로토콜에 따라 IL-4, IL-6, MCP-1, TNF-α, IFN-γ의 저해정도를 micro-plate scanning spectrophotome ter(BioTek, Vermont,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 미세먼지(PM2.5) 처리 동물모델에 Compound B의 염증성 Cytokine 저해 결과
상기 in Vitro 실험 MTT assay, 미세먼지 처리 세포생존율, 활성산소 저해능이 우수한 상기 실시예1, 표 2의 Compound B을 대상으로 농도별(0㎎/kg, 50㎎/kg, 100㎎/kg)로 IL-4, IL-6, MCP-1, TNF-α, IFN-γ의 저해율을 분석한 결과, 표 3의 대조군(미세먼지만 처리)과 비교하여 실험군 1의 50㎎/kg과 실험군 2의 100㎎/kg의 농도에서 IL-4, IL-6, MCP-1, TNF-α를 도면 5와 같이 현저하게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의 IFN-γ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실험군 1의 50㎎/kg과 실험군 2의 100㎎/kg의 농도증가가 확연함으로써 Compound B가 염증반응의 억제로 미세먼지에 의한 강력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5) 통계분석 처리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평균(mean)±평균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mean)으로 기초자료를 기록하였고, 유의성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각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다중분석비교법(Dunnett’s muitiple cmparison test : SPSS software, USA)을 이용하였으며, 대조군간의 상이성은 자명하나, 대조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 제공을 위해 도면에 표시하였다. 각 그래프의 결과는 평균(mean)±평균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mean, error bar)로 표기하였고, 실험결과 유의성을 위한 P값(P value)은 < 0.05(*), < 0.01(**), < 0.001(***)으로 표시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는 정상군과 비교 유의성 P값(P value)를 표시하였고이하 *는 대조군과 비교한 유의성 P값(P value)을 표시하였다.

Claims (12)

  1.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홍삼 추출 농축액 2.7 ∼ 3.3 중량% 와 황칠나무, 연꽃씨앗, 산수유열매, 구기자나무열매, 두충, 오미자열매, 당귀, 대추, 천궁, 영지, 숙지황 및 감초 추출농축액이 동량비(w/w)로 배합된 혼합물 12 중량%를 혼합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90 ∼ 95 중량%와 느타리류 버섯 추출농축액 5 ∼ 1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벌꿀, 용설란 시럽, 인삼열매 추출농축액, 비타민C 수용액, 자몽종자 추출농축액이 추가로 더 첨가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은 3 내지 8년근 고려인삼(Panax ginseng)을 10 내지 6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1차로 자연건조 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자연 건조된 인삼을 세척하고 2차로 수분만 제거되도록 자연 건조시키는 제 2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60 내지 12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1차 증숙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증숙된 인삼을 30 내지 80℃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3차 건조시켜 수분함량 40 내지 70% 범위의 1차 건조물을 수득하는 제 4단계; 상기 1차 건조물을 공정을 통하여 10 내지 60℃에서 2일 내지 30일 동안 자연 건조시켜 수분함량 10 내지 20% 범위의 최종 홍삼 건조물을 수득하는 제 5단계 공정을 통하여 수득된 홍삼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약용식물 및 느타리류 버섯의 추출농축액은 2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것을 농축한 것이 특징인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추출물, 약용식물 추출물, 느타리류 버섯 열수 추출물은 감압 환류 농축하여 -10 ∼ -80℃에 보관하는 것이 특징인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약용식물 추출물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물의 복합물은 느타리류 버섯추출이 전체 조성물의 1.0 ∼ 50 중량% 범위인 배합비를 갖는 것이 특징인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가 추가로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되는 경구제, 외용제, 좌제 형태로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질환,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기침, 기관지염, 인후염, 중이염, 편도염, 부비동염, 폐렴, 폐섬유증 및 후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껌, 음료, 차, 비타민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건강식품.
KR1020210144096A 2021-10-27 2021-10-27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KR20230060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096A KR20230060553A (ko) 2021-10-27 2021-10-27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096A KR20230060553A (ko) 2021-10-27 2021-10-27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553A true KR20230060553A (ko) 2023-05-08

Family

ID=8638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096A KR20230060553A (ko) 2021-10-27 2021-10-27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55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260B1 (ko) 2018-12-20 2019-11-08 김광남 미역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극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58618B1 (ko) 2018-08-24 2019-12-23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1602B1 (ko) 2020-02-19 2020-07-08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배초향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5929B1 (ko) 2020-08-24 2020-10-14 (주)녹십자웰빙 유산균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자극에 의한 호흡기 질환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172571B1 (ko) 2020-06-18 2020-11-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유발 호흡기 염증 및 민감성 개선용 복합제제
KR102188416B1 (ko) 2019-07-10 2020-12-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로 유발된 호흡기 염증 개선용 복합제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18B1 (ko) 2018-08-24 2019-12-23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3260B1 (ko) 2018-12-20 2019-11-08 김광남 미역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극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88416B1 (ko) 2019-07-10 2020-12-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로 유발된 호흡기 염증 개선용 복합제제
KR102131602B1 (ko) 2020-02-19 2020-07-08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배초향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2571B1 (ko) 2020-06-18 2020-11-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유발 호흡기 염증 및 민감성 개선용 복합제제
KR102165929B1 (ko) 2020-08-24 2020-10-14 (주)녹십자웰빙 유산균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자극에 의한 호흡기 질환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 박상현, 대기오염, 미세먼지 그리고 응급의학,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19 권2, page : 1-1(1pages)
10 : Jhang JM,An J(2007) "Cytokines, inflammation, and pain". International Anesthesiology Clinics. 45(2) : 27-37 )
2 : Ambient (outdoor) air pollution, WHO 2 May 2018, WHO Air quality guidelines - 2005 global update
3 : 김종헌. 미세먼지 노출의 인체영향.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0.7, 39-44(6 pages)
4 : L. J den Hartigh et al, Endotoxine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es in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Fresno, california initiate human monocyte inflammatory respons mediated by reactive oxygen spec ies, Toxicology in vitro, volume 24, Issues 7, October 2010, pages 1993-2002
5 : Li Ruyi et al, Function of PM2.5 in the pathogenesis of lung cancer and chronic airway inflammatory diseases, Oncology : Athens Vol. 15, Iss. 5, 2018:7506-7514
6 : I.P. Shanura Fernando et al, Beijing urban particulate matter-induced injury and inflammation in human lung epithelial cells and the protective effects of fucosterol from Sargassum binderi(Sonder ex J.Agardh), Environmental research volume 171, May 2019, pages 150-158
7 : AKiko Honda et al. Extract of curry powder and its components protect agains diesel exhaust particl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Food and Agricultural Immunology(2019-01-01) Vol.30, no 1, pp.1212-1224
8 : 산약(山藥)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에 의한 항염증 효과, 학위논문(석사) 삼육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1. 8
9 : β-lapachone 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지는 효과, Cancer Prevention Research Vol. 16, No. 2, 2011
본 발명은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복합물 또는 특히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일정 비율의 배합비에 따른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 중 약용식물복합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혼합물이 홍삼 추출 농축액, 약용식물복합추출 농축액, 기타 첨가물의 혼합물에 비해 미세먼지에 의해 폐상피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세포사멸 및 ROS 감소 효과가 우수하고 PM2.5 처리 동물모델에서 약용식물 추출 농축액과 느타리류 버섯 추출 농축액의 혼합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저해효과가 우수하므로,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최초로 확인 하였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Food as medicine: A possible preventive measure against coronavirus disease (COVID‐19)
JP7202323B2 (ja) 肝臓の治療および肝臓の健康維持のための組成物、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Mahomoodally Traditional medicines in Africa: an appraisal of ten potent African medicinal plants
EP1732578B1 (en) Plant-based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Husaini et al. Saffron: A potential drug-supplement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COVID) management
Islam et al. A review on measures to rejuvenate immune system: Natural mode of protection against coronavirus infection
EP1924273A2 (en) Plant-based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JP2007524709A (ja) Sarsを治療するためのスクテラリア抽出物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Arpornchayanon et al. Antiallergic activities of shallot (Allium ascalonicum L.) and its therapeutic effects in allergic rhinitis
KR20190043996A (ko) 국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20031654A1 (en) Standardized Bioflavonoid Composition for Regulation of Homeostasis of Host Defense Mechanism
KR20230060553A (ko) 홍삼 및 식물성 원료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약화된 호흡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조성물
Devade et al. Ayurvedic Remedies of Covid-19
Arshad Repurposed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as an important weapon for fighting against COVID-19: Pakistani perspective
Rakesh et al.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silver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aqueous extract of Cuscuta reflexa against CCl4 induced toxicity in rats
Abuarab et al. Immunomodul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barley bran grown in Jordan: An in vitro and in vivo study
CN113101331B (zh) 一种百里香药茶及其制备方法和应用
Uchechukwu et al. Body Weight and Platelet Count Changes in Zidovudine Administered Wistar Albino Rats Treated with Ethanolic Extracts of Annona muricata and Fagara zanthoxyloide
Senthilkumar et al. Bioactive compounds to combat corona virus: A review
WO2024023854A1 (en) Herb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KR20230134448A (ko) 환삼덩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건강 개선용 조성물
Gunapriya A Toxicity study on Kabangusa Chooranam
KR20230075107A (ko) 민물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