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238A -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238A
KR20230059238A KR1020210143210A KR20210143210A KR20230059238A KR 20230059238 A KR20230059238 A KR 20230059238A KR 1020210143210 A KR1020210143210 A KR 1020210143210A KR 20210143210 A KR20210143210 A KR 20210143210A KR 20230059238 A KR20230059238 A KR 20230059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presen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369B1 (ko
Inventor
길영숙
구영민
안민주
신승미
김윤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3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세포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을 1.4배 이상 증진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을 1.9배 이상 증진시켜, 알코올 분해능과 아세트 알데히드 분해능을 현저히 증진시켜, 숙취 예방 및 해소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현저히 증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식품은 숙취 예방 및 해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relieving hangover enriched with steamed and lyophilized mature silkworm}
본 발명은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홍잠, 갈근, 산사자, 창이자, 헛개열매, 대추, 강황, 진피, 엉겅퀴, 구기자, 용안육, 모과, 상지, 마, 갈화, 보리순 및 감초를 특정 중량비로 포함하여 숙취 예방 및 해소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5~2017년 연평균 알코올 섭취량은 10.2 L로 아시아권에서는 라오스를 제외하면 가장 많으며 세계 평균 1일 섭취량인 6.4 L보다 우리나라는 훨씬 높은 음주로 인해 만성 간질환 사망률이 주요 선진국들 보나 높게 나타나는 등 술 소비에 따른 건강 위험도가 높다. 이에 건강한 음주문화와 20~30 세대의 젊은층을 중심으로 숙취 해소제 소비가 급증하면서 침체기에 빠진 주류업계와는 달리 국내 숙취해소제 시장은 2019년 2500억원 규모로 매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숙취란 술에 몹시 취한 뒤의 수면에서 깬 후에 특이한 불쾌감이나 두통, 속쓰림, 두근거림, 갈증, 멀미, 위장질환, 설사, 또는 심신의 작업능력 감퇴 등이 1~2일간 지속되는 일을 뜻한다. 술의 주성분인 알코올(alcohol)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여 그 대사 과정과 독성 발현 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섭취된 알코올은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섭취 후 20~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한다. 흡수된 알코올은 간을 비롯한 여러 장기에서 대사될 수 있으며, 약 10%는 호흡이나 소변, 땀으로 배설된다. 알코올을 섭취할 경우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 속에 들어가게 되고, 간으로 들어온 알코올은 간세포 세포질 내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산화되고,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로 전환되며, 이는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되어 진다.
특히 알코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알코올에 비해 반응성이 매우 높고 독성이 강하여 알코올성 간 장애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 내 에너지 생성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을 방해하고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반응을 억제하기도 한다. 또한,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테이트는 지질과산화반응(lipid peroxidation) 등을 통해 세포독성, 두통이나 복통, 삼투압 변화에 따른 탈수현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위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데, 심할 경우 위염 또는 위궤양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사회적 스트레스에 의한 빈번한 알코올 섭취는 심각한 위궤양과 함께 간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하지 않는 Ⅰ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Ⅱ형 알데히드 탈수소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거나 산화되지 않아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의 유독 작용에 의해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숙취 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촉진을 통한 숙취 해소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천연물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이러한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막사리, 죽절초, 황칠나무 (등록특허 10-2136617호, 등록특허 10-2136616호, 공개특허 10-2021-0068967호) 등 천연물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개발된 바 있으나, 여전히 우수한 숙취 예방 및 해소의 효과를 가지면서도 섭취가 용이한 새로운 기능성식품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홍잠, 갈근, 산사자, 창이자, 헛개열매, 대추, 강황, 진피, 엉겅퀴, 구기자, 용안육, 모과, 상지, 마, 갈화, 보리순 및 감초를 특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이 푸에라린(puerarin)과 다이드진(daidzin)이 현저히 증진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고 숙취 예방 및 해소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잠, 갈근, 산사자, 창이자, 헛개열매, 대추, 강황, 진피, 엉겅퀴, 구기자, 용안육, 모과, 상지, 마, 갈화, 보리순 및 감초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잠 3~5 중량부, 갈근 15~20 중량부, 산사자 7~12 중량부, 창이자 7~12 중량부, 헛개열매 7~12 중량부, 대추 5~7 중량부, 강황 2~5 중량부, 진피 2~5 중량부, 엉겅퀴 2~5 중량부, 구기자 2~5 중량부, 용안육 2~5 중량부, 모과 2~5 중량부, 상지 2~5 중량부, 마 2~5 중량부, 갈화 2~5 중량부, 보리순 2~5 중량부 및 감초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숙취'는 음주 후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불쾌감을 총칭하는 것으로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메스꺼움, 구토, 졸음, 운동능력저하, 혈액학적 변화, 호르몬의 변화 등의 현상을 말한다. 숙취의 원인은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발생되는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 잔존하는 농도가 높을 경우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홍잠'은 견사선이 딱딱해져 섭취가 어려운 5령4일 이후의 누에를 쪄서 동결건조하여 만든 것으로, 아미노산, 오메가 3 지방산을 비롯해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 다양한 유용 성분을 함유되어 있다. 홍잠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 예방, 파킨슨 증상억제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홍잠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중량부 미만이면 홍잠 유래 아미노산 등의 생리활성성분이 부족하며, 5 중량부 초과이면 단가 상승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갈근'은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목으로 주피를 제거한 뿌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항염증, 심형관계 질환 및 위장장애 개선, 간보호, 하열 작용 및 혈관의 이완 작용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갈근은 15~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중량부 미만이면 갈근 유래 생리활성성분이 부족하며, 20 중량부 초과이면 급성독성을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산사자'는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인 산사나무(아가위나무), 좁은산사나무, 넓은잎산사나무의 열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건위작용, 소화촉진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산사자는 7~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중량부 미만이면 산사자 유래 생리활성성분이 부족하며, 12 중량부 초과이면 복통, 설사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창의자'는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씨앗을 약재로 이용하는데 축농증, 비염에 효과가 있으며 진통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창의자는 7~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중량부 미만이면 창의자 유래 생리활성성분이 부족하며, 12 중량부 초과이면 신장기능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헛개열매'는 갈매나무과인 헛개나무의 열매로 활성 성분인 다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간 손상 억제 활성, 이뇨작용 및 뇌손상을 억제 활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헛개열매는 7~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중량부 미만이면 헛개열매 유래 생리활성성분이 부족하며, 12 중량부 초과이면 단가 상승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추'는 신경안정, 항알러지 및 혈액순환개선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대추는 5~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강황'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 식물에 속하며 다년생 허브이며, 소염 및 면역력 증진 활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강황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진피'는 운향과의 귤의 성숙한 과피를 지칭하는 것으로,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소화촉진, 진정, 혈관건강, 세로토닌 분비 증강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진피는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엉겅퀴'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이뇨작용, 지혈작용, 간기능 개선 활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엉겅퀴는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구기자'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나 영하구기자(L. barbarum)의 열매로서, 몸을 따듯하게 해주며, 지방간 제거, 신경쇠약, 혈압조절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구기자는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안육'은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큰 키나무인 용안(Euphoria longan STEUD)의 과육으로서, 소화촉진 및 신경보호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용안육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모과'는 장미목 장미과 식물 모과나무의 열매로서, 소화촉진 및 근육통 완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모과는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지'는 뽕나무가지로서, 두통완화, 관절염 및 당뇨 개선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지는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마'는 마목 마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의 덩이줄기로서, 위장기능개선 및 혈당저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마는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갈화'는 칡꽃으로서, 이뇨작용, 갈증, 복부팽만 및 구토증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갈화는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보리순'은 보리의 어린잎(새싹)으로서, 폴리코사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콜레스테롤 감소, 지방분해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보리순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감초'는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뿌리는 단맛을 나타내어 감미료로도 사용되고, 항염, 항궤양 효과, 소염, 해열진통 효과 및 에스트로겐 활성이 있으며, 또한 다른 생약재의 독성을 완화 및 중화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감초는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홍잠, 갈근, 산사자, 창이자, 헛개열매, 대추, 강황, 진피, 엉겅퀴, 구기자, 용안육, 모과, 상지, 마, 갈화, 보리순 및 감초는 건조하여 100 메쉬 이하의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화는 홍잠, 갈근, 산사자, 창이자, 헛개열매, 대추, 강황, 진피, 엉겅퀴, 구기자, 용안육, 모과, 상지, 마, 갈화, 보리순 및 감초를 각각 분말화하거나, 혼합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상기 환(丸) 형태의 제형은 상기 조성물의 성분 분말들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제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꿀, 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를 추가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푸에라린을 1,700 ㎍/g 이상, 다이드진은 170 ㎍/g 이상 함유한다 (시험예 4, 도 6).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세포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을 1.4배 이상 증진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을 1.9배 이상 증진시켜, 알코올 분해능과 아세트 알데히드 분해능을 현저히 증진시켜, 숙취 예방 및 해소 효과가 탁월하다 (시험예 2 및 3, 표 5 및 7).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상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 약품 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식품은 숙취 예방 및 해소를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차, 과립, 환,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성분인 푸에라린을 1700 ㎍/g 이상, 다이드진은 170 ㎍/g 이상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세포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을 1.4배 이상 증진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을 1.9배 이상 증진시켜, 알코올 분해능과 아세트 알데히드 분해능을 현저히 증진시켜, 숙취 예방 및 해소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현저히 증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식품은 숙취 예방 및 해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으로 제형될 수 있어 음료형태의 숙취해소 제품에 비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섭취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의 세포독성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ADH 활성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의 ADH 활성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ALDH 활성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의 ALDH 활성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크로마토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예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조성물 제조
<조성물 및 환 제조>
홍잠은 산청군양잠농업협동조합에서 생산된 것을 구입하였으며, 갈근, 산사자, 창이자, 헛개열매, 대추, 강황, 진피, 엉겅퀴, 구기자, 용안육, 모과, 상지, 마, 갈화, 보리순 및 감초는 산청군, 진주시 및 함양군 등에서 재배되어 건조된 것을 구입하여 분쇄한 후 미세분말화(70~100 메쉬)하여 준비하였다.
하기 표 1과 같은 혼합비율 즉, 홍잠 40g, 갈근 170g, 산사자 100g, 창이자 100g, 헛개열매 100g, 대추 60g, 강황 40g, 진피 40g, 엉겅퀴 40g, 구기자 40g, 용안육 40g, 모과 40g, 상지 40g, 마 40g, 갈화 40g, 보리순 30g 및 감초 20g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번호 재료명 배합비
(중량부)
1 홍잠 4
2 갈근 17
3 산사자 10
4 창이자 10
5 헛개열매 10
6 대추 6
7 강황 4
8 진피 4
9 엉겅퀴 4
10 구기자 4
11 용안육 4
12 모과 4
13 상지 4
14 4
15 갈화 4
16 보리순 3
17 감초 2
상기 조성물에 꿀 20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제환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환하여 성형하여 환을 제조하였고, 50 ℃에서 12시간 건조 후 포장하였다.
<분석시료 준비>
상기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10배에 해당하는 용매(정제수, 50% 주정)를 섞어 30분간 초음파처리 후 원심분리 및 0.45 ㎛ 주사기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냉장고에 보관하고 기기 주입 직전에 0.2 ㎛ 주사기 필터로 여과하여 하기 물질 분석에 사용하였다.
효소활성 및 항산화 시험용 분석시료는 상기에서 제조된 조성물 및 환을 상기와 같이 추출하여 여과한 추출물을 회전진공농축하여 1×105 ㎍/ml 농도로 녹인 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물과, 홍잠을 제외한 복합물도 상기와 같이 추출하여 같은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세포독성 분석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연구재단에서 분양받은 BNL-CL2(ATCC TIB-73)와 HepG2(KCLB 88065)를 사용하였고 FBS(Fetal Bovine Serum), DMEM, RPMI-1640, penicillin/streptomycin, PBS 등 세포배양을 위한 제품은 Gibco사(USA)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율 시험을 위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시약은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assay reagent(Promega, USA)를 사용하였다.
BNL-CL2 세포와 HepG2 세포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0 unit/mL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37 ℃, 5% CO2 조건으로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여 1x104 cells/well의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추출물 분석시료를 125, 250, 500 및 1,000 ppm까지 단계별 농도로 처리하였고, 환의 추출물 분석시료를 1,000 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추출물 분석시료가 세포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살아있는 세포의 양을 측정하는 MTT[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colormetric assay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 후 MTT 시약을 첨가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반응시키고 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 (분석시료 미처리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고 백분율로 나타내고 그 결과를 표 2, 표 3 및 도 1에 나타냈다.
성물의 BNL-CL2 세포독성 분석결과 (세포 생존율 %)
시료 농도(ppm)
추출용매
125 250 500 1,000
조성물 112±1.3 112±1.7 111±1.6 110±0.5
50% 주정 104±0.1 104±0.3 107±0.6 108±0.5
조성물의 HepG2 세포독성 분석결과 (세포 생존율 %)
시료 농도(ppm)
추출용매
125 250 500 1,000
조성물 106±3.6 105±4.0 104±3.5 99±3.5
주정 111±3.9 110±3.2 111±3.8 112±3.7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BNL-CL2 및 HepG2 두 종류의 간세포에 대한 독성을 시험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물 및 주정 추출물 모두 1,000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모두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의 물 및 주정 추출물의 경우 1,000 ppm 의 농도에서, BNL-CL2(정상간세포)에 대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시험예 2: 알코올 분해능 분석
알코올 분해능 분석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을 측정하여 수행되었다. ADH(alchol dehydrogenase) 효소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iovision사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시료의 단백질 추출 후 정량을 위하여 BCA protein assay kit(Pierce, USA)를 사용하였다. 생리활성 확인을 위한 세포배양은 CO2 배양기(nu-4750G, NUAIRE)를 이용하였고 세포실험 후 흡광도 측정을 위한 다채널분광광도계는 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FBS와 DMEM,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이용하여 배양한 BNL-CL2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1x105 cells/well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추출물 분석시료를 500 ppm로 처리하고 무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단백질을 분리하여 정량하였다.
단백질 함량 측정은 상기에서 분리된 BNL-CL2 세포 단백질에 ADH 버퍼를 처리한 시료 25 μl와 기질과 반응액 200 μl를 섞어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6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BSA(bovine serum albumin)를 이용한 표준검량선에 대입하여 값을 계산하였다.
BNL-CL2 세포 단백질 시료와 ADH 버퍼, 기질을 96 웰 플레이크에 넣고 37℃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5분 간격으로 1시간 정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ADH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0 ~ 10 nmol/well의 농도로 표준검량선 작성 후 측정한 흡광도 값을 하기 표 4에 대입하여 ADH 효소 활성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5 및 도 2에 나타냈다:
ADH activity(mU/ml) = (B / (△T × V)) × dilution factor
: 샘플에서 측정된 NADH 함량(nmol)
T : 반응시간(min)
V : 웰 당 샘플량(ml)
시간(min) 대조군
(mU/ml)
복합물(홍잠을 제외한)
(mU/ml)
조성물
(mU/ml)
5 6.1±1.7 3.4±0.4 10.5±5.1
15 17.3±4.2 9.7±10.9 25.7±10.3
25 25.9±5.8 15.3±1.2 38.0±13.7
35 32.9±6.9 20.1±1.4 46.6±16.0
45 38.5±7.7 24.3±1.6 54.2±17.7
55 43.1±8.3 27.9±1.8 60.5±18.9
표 5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H 활성측정 결과, 대조군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DH 활성이 4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에서 알코올 분해능이 1.4배 이상 증진케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홍잠을 제외한 복합물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능이 2배이상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환의 추출물 분석시료를 대상으로 상기와 같이 ADH 효소활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H 활성측정 결과, 대조군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환은 ADH 활성이 3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은 세포에서 알코올 분해능이 1.3 배 이상 증진케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능력 분석
추출물 처리 및 세포배양, 단백질 정량은 상기 시험예 2에서와 동일하게, 시료에 ALDH 버퍼 처리 후 냉장(on ice)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하였다. 기질로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사용하고 상기에서와 같이 분리된 BNL-CL2 세포 단백질에 ALDH 버퍼를 처리한 시료 20 μl와 기질과 반응액 200 μl를 96-웰 플레이크에 넣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4분 간격으로 1시간 정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ADH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0 ~ 10 nmol/well의 농도로 표준검량선 작성 후 샘플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하기 표 6에 대입하여 ALDH 효소 활성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7 및 도 4에 나타냈다:
ALDH activity(mU/ml) = (B / (△T × V)) × dilution factor
B : 샘플에서 측정된 NADH 함량(nmol)
T : 반응시간(min)
V : 웰 당 샘플량(ml)
시간(min) 대조군
(mU/ml)
복합물(홍잠을 제외한)
(mU/ml)
조성물
(mU/ml)
4 2.9±0.8 7.5±2.6 15.2±6.8
12 9.5±2.1 19.8±5.9 33.8±13.1
20 15.5±3.0 29.5±8.0 46.0±16.0
28 20.4±3.8 37.0±9.4 53.4±16.7
36 24.6±4.3 43.0±10.4 57.7±16.1
44 28.2±4.7 47.8±11.1 60.8±15.4
표 7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LDH 활성측정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LDH 활성이 9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에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능이 1.9배 이상 증진케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홍잠을 제외한 복합물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능이 1.27배 이상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환의 추출물 분석시료를 대상으로 상기와 같이 ALDH 효소활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LDH 활성측정 결과, 대조군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환은 ALDH 활성이 14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은 세포에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능이 2.4 배 이상 증진케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활성성분 분석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 g에 10배(v/w)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을 넣어 초음파처리 후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기기주입 직전에 0.2 ㎛ 필터로 여과하여 활성성분 분석 시료로 하였다.
푸에라린(puerarin) 및 다이드진(daidzin) 표준품은 1 mg 정밀하게 칭량하여 메탄올에 완전히 녹여 0.2 ㎛ 필터로 여과하여 표준원액(1,000 ug/ml)으로 하고 단계별로 희석하여 표준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분석 시료와 표준물질의 성분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장비는 Photodiode Array detector가 장착된 Acquity UPLC H-class System(Waters, USA)을 이용하였고 칼럼은 BEH C18(2.1 × 100 mm, 1.7 um, Waters, USA)을 사용하였고 분석조건은 표 8과 같았다:
Parameter Condition
Instrument Acquity UPLC H-class System
Detector Acquity UPLC PDA detector
Column BEH C18 (2.1 × 100 ㎜, 1.7 ㎛)
Column Temp. 30 ℃
Absorbance 254 nm
Injection Volume 1 ul
Flow Rate 0.3 mL/min
Mobile Phase A: 0.05% formic acid in water
B: acetonitrile
Gradient Time(min) 0 1 10 14 15 20
A 95 95 65 20 95 95
B 5 5 35 80 5 5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분석법을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피크 머무름시간(retention time) 및 피크의 분리도(resolution)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분석조건을 확립하였다. 분석 시료 중의 활성성분인 푸에라린 및 다이드진의 함량은 크로마토그램상의 피크 면적값을 표준검량선에 대입하여 검출농도를 구한 뒤 표 9의 계산식으로 값을 구하였다.
활성물질 함량(μg/g) = C × (a × b) / S
C : 시험용액중의 개별 활성물질의 농도(μg/mL)
a : 시험용액 총량(mL)
b : 희석배수
S : 시료무게(g)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6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푸에라린은 1700 ug/g ± 38.8, 다이드진은 170.0 ug/g ± 2.1으로 측정되었다.
시험예 5: 항산화 활성
숙취는 항산화 효과와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Hong YH. Effects of the herb mixture, DTS20, on oxidative stress and plasma alcoholic metabolites after alcohol consumption in healthy young men. Integr Med Res. 2016 Dec;5(4):309-316.],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
<ABTs 래디컬 소거활성>
ABTs와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암소에 방치하면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형성된 청록색의 ABTS 래디컬 이온이 항산화 물질에 의해 소거되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탈색 정도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ABTs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래디컬로 친유성, 친수성 항산화 물질의 측정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탈색반응이 1분여 안에 종료되므로 짧은 시간 안에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7 mM의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와 2.4 mM 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혼합하여 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 래디컬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4 nm에서 흡광 값이 0.7 ~ 0.9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M-1㎝-1)를 이용하여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225 μL에 분석 시료 25 μL를 첨가한 후, 멀티마이크로플레이트 reader-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USA)를 사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참조군으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고,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래디컬 소거능(IC50)으로 표시하였으며 각 실험은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시료 추출
용매
ABTs DPPH
(ppm) (ppm)
대조군
(홍잠을 제외한 복합물)
481.2 338.5
조성물 107.6 281.7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추출물 분석시료는 대조군 (홍잠을 제외한 복합물)에 비하여 4배 이상 ABTs 래디컬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DPPH 래디컬 소거활성>
DPPH는 짙은 자주색을 나타내며 그 자체가 질소 중심의 래디컬로서,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로 vitamin C, 폴리페놀류 등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의 환원력에 의해 황색으로 변화하는 점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다.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대부분의 식물 추출물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증가와 함께 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비교적 온도, pH, 색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탄올에 녹인 1.5×10-4 M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용액과 분석 시료를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멀티마이크로플레이트 reader-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USA)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에 따른 DPPH 래디컬 소거활성은 에탄올을 첨가한 시료의 흡광도를 기준값(blank)으로 하고 시료의 용매를 넣은 것을 대조구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참조군으로 ascorbic acid를 이용하여 IC50 값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추출물 분석시료는 대조군 (홍잠을 제외한 복합물)에 비하여 1.2배 이상 DPPH 래디컬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Claims (7)

  1. 홍잠 3~5 중량부, 갈근 15~20 중량부, 산사자 7~12 중량부, 창이자 7~12 중량부, 헛개열매 7~12 중량부, 대추 5~7 중량부, 강황 2~5 중량부, 진피 2~5 중량부, 엉겅퀴 2~5 중량부, 구기자 2~5 중량부, 용안육 2~5 중량부, 모과 2~5 중량부, 상지 2~5 중량부, 마 2~5 중량부, 갈화 2~5 중량부, 보리순 2~5 중량부 및 감초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푸에라린을 1,700 ㎍/g 이상 및 다이드진을 170 ㎍/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을 1.4배 이상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에서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을 1.9배 이상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6. 제 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음료, 차, 과립, 환,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및 식품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KR1020210143210A 2021-10-26 2021-10-26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266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210A KR102661369B1 (ko) 2021-10-26 2021-10-26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210A KR102661369B1 (ko) 2021-10-26 2021-10-26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238A true KR20230059238A (ko) 2023-05-03
KR102661369B1 KR102661369B1 (ko) 2024-04-25

Family

ID=8638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210A KR102661369B1 (ko) 2021-10-26 2021-10-26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6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043A (ko) * 2001-04-28 2001-11-14 박재금 숙취제거용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19150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진로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003520A (ko) * 2011-06-30 2013-01-09 이홍발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40065687A (ko) * 2012-11-20 2014-05-3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67530B1 (ko) * 2016-12-30 2018-06-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용안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90051938A (ko) * 2017-09-29 2019-05-15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90069904A (ko) * 2017-12-12 2019-06-20 (주)자연애팜 복합 한방약초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정제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5116A (ko) * 2018-10-22 2020-05-04 (주)비엔텍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10055938A (ko) * 2019-11-08 2021-05-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음료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043A (ko) * 2001-04-28 2001-11-14 박재금 숙취제거용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19150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진로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003520A (ko) * 2011-06-30 2013-01-09 이홍발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40065687A (ko) * 2012-11-20 2014-05-3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67530B1 (ko) * 2016-12-30 2018-06-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용안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90051938A (ko) * 2017-09-29 2019-05-15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90069904A (ko) * 2017-12-12 2019-06-20 (주)자연애팜 복합 한방약초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정제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5116A (ko) * 2018-10-22 2020-05-04 (주)비엔텍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10055938A (ko) * 2019-11-08 2021-05-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음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과학회지. 53(1): 72-7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369B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Ramesh et al. Antioxidant and medicinal properties of mulberry (Morus sp.): A review
Parra et al. An overview on various aspects of plant Berberis Lycium Royale
KR20190088740A (ko) 차전차피와 흑생강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5345B1 (ko) 비만억제용 발아현미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100003045A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2661369B1 (ko)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Hafeez et al. Evaluati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moschus esculentus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20140064067A (ko) 초피 및 흑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4941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Noguera et al. Emerging berries from the Brazilian Amazon and Atlantic Forest biomes: new sources of bioactive compounds with potential health benefits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8372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87978B1 (ko) 땅콩 겉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12696A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KR101060307B1 (ko) 천일염 및 자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077596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삼백초 사탕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