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91B1 -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91B1
KR100638491B1 KR1020040035037A KR20040035037A KR100638491B1 KR 100638491 B1 KR100638491 B1 KR 100638491B1 KR 1020040035037 A KR1020040035037 A KR 1020040035037A KR 20040035037 A KR20040035037 A KR 20040035037A KR 100638491 B1 KR100638491 B1 KR 10063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extract powder
weight
composition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930A (ko
Inventor
권덕희
박일현
주영구
Original Assignee
약초나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약초나라(주) filed Critical 약초나라(주)
Priority to KR102004003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4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 해소 기능을 가진 건강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티초크, 단델리온, 밀크시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음주로 체내에서 알코올의 대사 결과로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를 신속히 분해하고, 음주로 인한 갈증 및 입 냄새 제거, 음주 후 두통의 완화 등 기능을 가진 숙취 해소 기능 식품 및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저감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알코올의 과다 섭취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 두통 감소 효과 등 숙취해소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숙취의 예방 및 해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숙취, 아티초크, 단델리온, 밀크시슬, 기능성 식품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Compounds for relief of alcoholic hangover and drug containing the compounds}
도 1은 쥐들의 간조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알코올을 섭취하지 않은 쥐의 간조직을 나타내며,
도 1b는 알코올을 섭취한 쥐의 손상된 간 조직을 보여주며,
도 1c는 알코올을 섭취하면서 본 발명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쥐의 간 조직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음주 후 체내에서 알코올의 대사 결과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신속히 분해하여 두통을 완화하고, 아울러 음주로 인한 갈증 및 입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주를 통하여 흡수된 알코올의 효과는 음주 후 약 10분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40∼60분이면 최고 정점에 도달하게 된다. 알코올은 식도 및 구강 점막에서 소량 흡수되고, 이후 약 10% 정도의 알코올은 위장에서, 나머지 90% 정도의 알코올은 소장에서 흡수되게 된다. 알코올의 흡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지방이 많은 음식물은 이동 속도가 느려 알코올의 흡수를 느리게 하며, 공복시에는 음식물과 함께 음주를 하는 경우보다 3∼4배 빨리 흡수되며, 술을 빨리 마실수록 흡수되는 속도도 증가한다.
알코올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7.1 kcal/g의 높은 열량을 발생하는 물질이지만, 함유하고 있는 열량 그대로 인체가 흡수하지는 못한다. 또한 생체내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결핍을 초래할 수도 있다. 통계적으로 알코올 소비는 개인의 소득 증대와 비례한다는 사실이 보고됨에 따라 생활 수준이 향상되어가는 현재 상황에서 음주로 인한 피해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음주에 의해 흡수된 알코올의 약 10%는 호흡이나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고, 나머지 90%의 대부분은 위 점막이나 간에서 대사되게 된다. 이때 알코올 대사량의 약 90∼95%는 간에서 산화되어 분해되게 된다.
알코올은 보통 세가지 정도의 경로를 통하여 산화되는데, 첫째 위 점막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작용, 둘째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솜 에탄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 작용, 셋째 퍼옥시솜(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r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분해된다.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될 경우에는 위에서 기술한 산화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로 기인된 좋지 않은 제반 현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코올 유입시는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세포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 간인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지방간, 간경변증 등 여러 가지 간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단기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또는 두중감, 집중력 감퇴, 속쓰림, 및 소화불량 등이 초래된다.
특히, 신체에서 에탄올은 아세트알데히드로 처음 분해된 후 아세트산으로 분해되는데, 고농도의 활성 화합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발한(sweat), 급맥(rapid pulse), 피부발열(skin flushing), 오심(nausea) 그리고 구토(vomiting)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알코올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숙취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숙취증상은 음주를 마친 후 몇 시간 안에 시작되어서 거의 하루 동안 지속되는데, 특별한 숙취의 경험은 매우 개인적인 성향과 상황적이고 소비된 알코올의 종류와 양에 의존적이다. 신체적 숙취 증상들은 두통, 피로, 빛과 소리 민감성, 근육통, 눈의 적색, 갈증, 오심, 구토 그리고 위통을 포함한다. 숙취는 빠른 심장박동, 흥분, 혈압상승 그리고 발한의 원인이 된다. 숙취의 관련된 정신적 증상들은 수면부족, 수면장소 변화, 주의력 감소, 집중력 저하, 우울, 현기증, 불안, 과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콩나물, 북어, 녹두 등이 음주 후의 숙취 해소용 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콩나물에는 ADH의 작용을 도와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간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는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현재 아스파라긴산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도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숙취해소와 관련하여 많은 기술들이 개시된바 있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76168호 및 공개특허 제1997-000075호에는 녹두를 첨가한 간기능 보호 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2002-0023770호에는 오리나무를 이용한 숙취해소제, 공개특허 제2003-0062058호에는 당귀 추출물의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공개특허 제2003-0067079호에는 오리나무와 지구자(헛깨나무)를 주원료로하는 숙취 해소 음료, 공개특허 제2003-0084666호에는 목초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공개특허 2003-0075099 호에는 매생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숙취 음료, 특허등록 제 10-0422966 호에는 헛개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 공개특허 제 2004-0005545 호에는 해조, 황태, 양파, 콩나물, 그리고 무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 공개특허 제 2003-0079289 호에는 생강, 감초, 계피, 참옻, 참나무열매씨 등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공개특허 제 2002-0035813 호에는 지구자나무, 매실, 오이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등 많은 숙취해소 음료 및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숙취해소와 관련한 기술들은 민간 요법 또는 고전 한의서에 기술된 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 효능이 경험적 혹은 임상적으로 입증되어 일부 조성물은 현재 제품화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숙취해소 및 간보호 효능에 관하여 과학적인 입증이 부족한 상태이거나, 조성물의 원료가 희귀하거나 가격면에서 상품화하기가 적정하지 않아 제품화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숙취해소제의 개발을 위해서는 숙취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원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원료를 선정하여 이들 원료의 조성을 최적화한 후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조성물의 효능을 보다 과학적으로 입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인하여 본 발명자들은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켜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찾아 연구하던 중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감소 효과, 간의 보호 효과, 그리고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한 조성물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감소 효과, 간의 보호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가 탁월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로 이루어진다.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티초크는 국화과 식물로써 다자라면 높이가 1.5∼2m에 달하는 다년생 식물이고, 2년째부터 꽃봉오리를 맺기 시작하며, 성숙한 포기는 10∼15개의 봉오리를 맺는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 왕국시대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었으며, 15세기 후부터는 간과 담낭, 그리고 소화기관의 기능 이상과 병을 치유하기 위하여 널리 활용되었다고 한다. 유럽에서는 현재까지도 대표적인 약용식물의 하나로 이탈리아, 프랑스 등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다른 약용식물과 함께 다수의 처방에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약초 중의 하나이다.
아티초크의 잎에는 쓴맛을 가진 다수의 카페오일퀸산 유도체와 플로보노이드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이 담즙산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예로부터 소화기관의 기능장애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 외에 시나린, 루테올린 등 성분은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티초크의 의학적, 약리적 작용으로는 교감신경계의 안정화, 항산화 작용, 자유 라디칼 제거, 간보호, 간세포 재생 촉진, 간 해독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및 지방질 농도 저하, 혈소판 응고 방지, 담즙 생성 및 분비 촉진, 혈액 정화작요, 이뇨작용, 혈압 강하 작용, 그리고 강장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연구문헌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또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단델리온은 지구의 남반구를 제외한 북반구 전 영역에 분포하는 유럽 원산의 국화과 다년생 식물로 식용 및 약용으로 두루 이용되고 있다. 유럽의 전통 민간의학 부분에서 중세이후로 단델리온은 간과 담낭의 이상상태, 황달, 그리고 부종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뿌리 부분은 간과 담낭의 이상 상태에, 그리고 잎은 이뇨 활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으며, 변비나 소화불량에도 이용된다. 서양에서는 연한 잎이나 어린 뿌리를 식용으로, 차나 샐러드로 이용하기도 하며, 뿌리는 커피 대용으로도 이용한다. 미국과 유럽, 중국, 인도에서는 약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단델리온의 알려진 생리활성 기능은 담즙 분비 촉진, 이뇨작용, 포도당 대사 조절, ausdurgid상 기능, 항암작용, 그리고 변비 완화 작용 등이 있으며,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에서 심각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알려진 것은 없다. 약리성분으로는 각종 테르펜류 화합물과 쓴맛을 가진 스테롤류, 특히 타락사신(taraxacin)과 타락사세린(taraxacerin)을 함유하고 있다. 그밖에도 베타-아미린(beta-amyrin), 타락사 스테롤(taraxasterol), 타락세롤(taraxer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또 담즙과 구조적으로 관련있는 유리 형태의 스테롤 (시토스테린, 스티그마스테린, 피토스테린) 등도 들어있다. 다당류로는 다량의 프룩토산(fructosan)과 이눌린(inulin)이, 소량의 펙틴(pec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 플라보노이드로는 잎과 꽃 부분에 루테올린(luteolin)이 들어있는 것이 밝혀졌다. 유기산으로는 히드록시신남산, 치코르산, 카페일타르타르산, 클로로겐산 등이 들어있다. 그 외 비타민류, 칼륨을 비롯한 각종 무기질, 콜린, 레시틴 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크시슬은 국화과의 1∼2년생 초본으로 잎맥에 따라 흰 줄 얼룩무늬를 가지고 있고, 가시가 많은 큰 잎을 가진 식물이다. 생육조건이 좋으면 최대 1.8 m까지 자라는 초세가 강한 식물로 6월에서 8월에 걸쳐 작고 둥근 모양의 붉은 보라색 꽃이 핀다. 원산지는 인도 북부의 캐쉬미르 지방 또는 남서 유럽 지방과 소아시아 근동 유역의 비교적 건조하고 온난한 지역으로 추측되고 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이후로 여러 가지 다양한 병증에 사용되어 왔는데, 특히 간에 이상이 있을 때 주로 이용하는 식물이었다.
밀크시슬은 다양한 생리활성 작용으로 간세포 보호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 작용, 세포막 수준에서의 독소 차단, 단백질 생합성 증가, 항혈전 효과, 그리고 항염 효과와 면역기능 증진 효과 등이 밝혀져 있다. 종자 추출액에는 플라본 리그난의 일종인 실리마린(silymarin), 리놀레산과 올레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 그리고 단백질류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특성을 갖고 있는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과 단데리 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은 다양한 조성범위 내에서 혼합될 수 있으나, 숙취해소 효과를 포함한 약리효과와 제조단가 등을 고려하면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아티초그 추출물 분말 40∼60중량%,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20∼30중량%,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 20∼30중량%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의 함량이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40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숙취 해소 효과 및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티초그 추출물 분말의 함량이 60중량% 이상으로 함유될 경우 쓴맛이 증가함과 아울러 아티초크 특유의 향이 강하게 생성되어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아티초크 추출물의 분말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의 함량이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간 보호 효과와 숙취해소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의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쓴맛이 증가함과 아울러 제조단가의 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은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30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의 경우에도 그 함량이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중량% 미만일 경우 간 보호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쓴맛이 증가하고, 단가를 상승시켜 제품의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은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30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아티초크, 단델리온, 그리고 밀크시슬의 추출물의 분말은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법에 따라 추출물을 얻고 이를 건조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 추출법, 물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 등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추출에 사용되는 아티초크, 단델리온, 그리고 밀크시슬은 분쇄기로 분쇄한 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추출물은 농축 후 통상의 열풍건조나 동결건조 방법을 적용하여 건조하면 용이하게 아티초크 추출물의 분말과 단델리온 추출물의 분말 및 밀크시슬의 추출물의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의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내로 아티초크 추출물의 분말과 단델리온 추출물의 분말 및 밀크시슬의 추출물의 분말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고, 위와 간을 보호하며,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한다. 전술한 조성물은 그 자체로서 숙취 해소제로 사용될 수 있으나,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의약품 제조방법에 따라 인체 투여에 적합한 단위투여형의 제제로 제형화시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제형에는 정제, 알약,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서(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제에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담체나 첨가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로는 락토오오스, 덱스트로오스, 슈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진산, 젤라틴, 인산칼슘, 규산칼슘,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 히드록시벤조산,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산,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또는 광물유에서 선택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는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또는 산미제 등에서 선택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숙취 해소제는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과 같은 여러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1일 투여회수와 1일 투여량을 적절히 변형하여 투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숙취 해소를 위하여 50∼900 mg/kg의 단위로 하루 1회 내지 3회 복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전술한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숙취 해소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본 발명에서는 이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식품은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포함한 식품의 제조과정에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식품 첨가제로 첨가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첨가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육류, 소제지, 빵, 초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과 같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및 요구르트류와 같은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식품이나 음료에 첨가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이때,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하여 바람직하게는 식품 100중량부에 1∼15중량부 포함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수집한 아티초크와 단델리온 및 밀크시슬 수엽 각각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수분함량이 약 10%정도가 될 때가지 건조하고, 이 건조물을 분쇄기에 넣고 50 메쉬로 분쇄한 후 각각의 분쇄물 1000g을 5L의 물에 넣고 9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고, 이를 상온으로 냉각한 후 압착 여과하고, 여과된 액체를 감압 농축한 후 열풍 건조하여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과,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과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을 각각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아티초그함량(%) 30 40 50 60 70
단델리온함량(%) 35 30 25 20 15
밀크시슬함량(%) 35 30 25 20 15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조성물 투여에 따른 간 보호 효과 측정
알코올 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간 손상에 대한 본 발명 조성물의 간 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체중 200∼250 g의 Sparague-Dawlay(SD)계 수컷 흰쥐 30마리를 각각 10마리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온도 25±1℃로 2주이상 사육한 후, 실험시작 24시간 전부터 절식하고 물만을 공급하였다.
첫 번째 그룹의 쥐들에게는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았으며, 두 번째 그룹의 쥐들에게는 20% 알코올을 2주일동안 공급하였고, 세 번째 그룹의 쥐들에게는 20%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100mg/Kg의 양으로 1일 1회 2주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2주일 후 쥐를 희생시켜 간을 절제한 후 Texas Intern사의 SF/IC (CH-16)을 사용하여 GOT 및 GTP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각 그룹 대표 쥐의 간조직을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내었다.
개체번호 대조군 알콜 투여군 알콜 및 조성물 투여군
GOT(mU/ml) GPT(mU/ml) GOT(mU/ml) GPT(mU/ml) GOT(mU/ml) GPT(mU/ml)
1 9.0 8.4 9.9 8.7 10.3 7.1
2 8.8 7.9 14.3 13.2 8.4 6.9
3 9.2 9.0 13.6 11.4 9.6 8.5
4 7.8 7.4 12.8 10.9 9.8 8.8
5 8.3 6.5 11.9 9.8 9.3 8.7
6 10.1 9.7 13.8 12.4 9.2 8.6
7 8.6 6.8 12.4 10.6 8.4 8.0
8 7.9 6.2 15.2 13.8 8.9 8.2
9 9.4 8.2 11.4 9.6 10.2 9.0
10 8.6 7.9 12.9 9.5 9.8 8.8
평균 8.77 7.80 12.82 10.99 9.39 8.26
표준편차 0.678 1.106 1.556 1.477 0.806 0.687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콜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알코올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군의 간조직을 나타낸 도 1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조성물의 투여량에 따른 간보호 효과 측정
조성물의 투여량에 따른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의 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체중 200∼250g의 Sparague-Dawlay(SD)계 수컷 흰쥐 30마리를 각각 5마리씩 6그룹으로 나누어 온도 25±1℃로 2주이상 사육한 후, 실험시작 24시간 전부터 절식하고 물만을 공급하였다. 이후 각그룹의 쥐들에게 20% 알코올을 2주일동안 공급하면서, 각각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0, 50, 100, 200, 500, 900mg/Kg가 되게 경구투여 하였으며, 2주일 후 쥐를 희생시켜 간을 절제한 후 Texas Intern사의 SF/IC (CH-16)을 사용하여 GOT 및 GTP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개체 번호 조성물 투여농도(mg/Kg)
0 50 100 200 500 900
GOT (mU/ ml) GPT (mU/ ml) GOT (mU/ ml) GPT (mU/ ml) GOT (mU/ ml) GPT (mU/ ml) GOT (mU/ ml) GPT (mU/ ml) GOT (mU/ ml) GPT (mU/ ml) GOT (mU/ ml) GPT (mU/ ml)
1 9.9 8.7 11.3 10.1 9.8 7.1 10.3 9.1 9.1 8.6 8.8 7.6
2 14.3 13.2 10.2 9.8 10.4 8.4 9.4 8.4 8.9 7.8 9.2 8.1
3 13.6 11.4 9.6 9.3 9.6 8.5 8.6 8.1 10.2 8.8 8.9 7.9
4 12.8 10.9 9.7 9.4 9.1 8.8 9.8 8.6 8.2 7.1 9.6 8
5 11.9 9.8 10.2 9.6 8.8 8.4 9.3 8.2 9.6 8 9.2 7.9
평균 12.5 10.8 10.2 9.64 9.54 8.24 9.48 8.48 9.2 8.06 9.14 7.9
표준 편차 1.7073 1.6985 0.6745 0.3209 0.6229 0.658 0.6301 0.3962 0.7517 0.6768 0.313 0.1871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모든 쥐들은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쥐들에 비하여 모두 양호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을 경우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 보호효과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00mg/kg 이상에서는 간 기능 보호 효과가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 적절한 투여량은 100∼200mg/kg 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조성비 변화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한 간 보호 효과 측정
조성비 변화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투여에 의한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의 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체중 200∼250g의 Sparague-Dawlay(SD)계 수컷 흰쥐 25마리를 각각 5마리씩 5그룹으로 나누어 온도 25±1℃로 2주이상 사육한 후, 실험시작 24시간 전부터 절식하고 물만을 공급하였다. 이후 각그룹의 쥐들에게 20% 알 코올을 2주일동안 공급하면서, 각각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100mg/Kg의 양으로 1일 1회 2주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2주일 후 쥐를 희생시켜 간을 절제한 후 Texas Intern사의 SF/IC (CH-16)을 사용하여 GOT 및 GTP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개체 번호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GOT (mU/ml) GPT (mU/ml) GOT (mU/ml) GPT (mU/ml) GOT (mU/ml) GPT (mU/ml) GOT (mU/ml) GPT (mU/ml) GOT (mU/ml) GPT (mU/ml)
1 10.3 9.6 10.3 9.2 10.3 9.1 9.4 8.3 11.2 9.7
2 10.6 9.8 9.6 8.4 9.4 8.4 8.6 8 10.3 9.2
3 9.8 8.6 10.6 9.7 8.6 8.1 9.8 8.4 9.9 8.9
4 11.2 10.1 9.3 8.3 9.8 8.6 10.2 9 10.2 9.1
5 9.6 8.2 10.2 9.4 9.3 8.2 8.8 8.1 9.6 8.2
평균 10.3 9.26 10 9 9.48 8.48 9.36 8.36 10.24 9.02
표준 편차 0.640 0.817 0.534 0.621 0.630 0.396 0.669 0.391 0.603 0.54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한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비하여 양호한 간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 분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쥐를 이용한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 속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체중 200∼250g의 Sparague-Dawlay(SD)계 수컷 흰쥐 10마리를 5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 1일간 절식 후 실험 개시 30분전에 하나의 군에는 본 발명 조성물 100mg/kg 생수에 현탁시켜 쥐들에 경구 투여하고, 다른 군에는 생수만을 동일한 양 투여하였다.
30분 후에 순수 에탄올을 증류수에 40㎎/ml 의 농도로 희석시켜 1g/kg의 농도로 각군의 실험쥐들에게 경구 투여하였다. 이와 같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들을 2시간 후에 폐로부터 0.7ml의 혈액을 채취한 후 4℃에서 5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액을 디지털 에탄올 농도계(Atago PET-109, Japan)를 이용해 혈액 내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개체번호 에탄올농도(%w/v)
알코올투여군 알코올 및 조성물 투여군
1 1.21 0.47
2 0.98 0.53
3 1.18 0.46
4 0.89 0.54
5 1.21 0.42
평균 1.094 0.484
표준편차 0.1491 0.0503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쥐들의 경우 알코올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25중량부와 벌꿀 0.5중량부, 녹차엑기스 1.0중량부, 배즙 2.5중량부, 구연산 0.5중량부, 안식향산나트륨 0.5중량부 및 물 70중량부를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5>
20세 내지 60세의 신체 건강한 성인남여 96명에게 알코올 함량 22%의 소주를 음용하게 하였으며, 음주량은 각각의 주량의 맞게 음용토록 하였다. 이후 음주직후부터 30분 간격으로 150분간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코올농도 측정기(CA-2000)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5일 후 위의 알코올 농도측정에 참여한 동일한 사람들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알코올 함량 22%의 소주를 음용토록 한 후 바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음료 75 ml을 음용하도록 하였다. 이후 음료 복용 후부터 30분 간격으로 150분간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코올농도 측정기(CA-2000)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6에서 각각의 에탄올 측정 결과값은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구분 알코올농도(%)
음주직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알콜만투여 0.128 0.132 0.124 0.109 0.100 0.087
알콜과 음료투여 0.127 0.129 0.101 0.074 0.062 0.043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주가 끝난 직후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복용한 경우 알코올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20세 내지 60세의 신체 건강한 성인남여 96명에게 알코올 함량 22%의 소주를 음용하게 하였으며, 음주량은 각각의 주량의 맞게 음용토록 하였다. 음주 후 각각 숙취정도와 두통여부를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5일 후 위의 설문에 참여한 동일한 사람들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알코올 함량 22%의 소주를 음용토록 한 후 바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음료 75 ml을 음용하도록 하였다. 음주 후 각각 숙취정도와 두통여부를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숙취정도와 두통여부는 모두 5:전혀 없음, 4:없음, 3:보통, 2:약간 있음, 1:매우 심함으로 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그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구분 숙취 두통
알콜만투여 2.30 2.38
알콜과 음료투여 4.16 4.06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투여한 결과 음료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두통 해소 효과가 현저히 높으며, 숙취해소 효과가 월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저감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알코올의 과다 섭취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 두통 감소 효과 등 숙취해소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숙취의 예방 및 해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아티초그 추출물 분말은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40∼60중량%,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은 20∼30중량%,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 20∼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삭제
  3.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아티초크추출물분말 40∼60중량%,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은 20∼30중량%,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 20∼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과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며, 인체 투여에 적합한 단위투여형의 제제로 제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정제, 알약,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서(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액 또는 멸균 분말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7. 아티초크 추출물 분말,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음료를 포함하는 식품 100중량부에 1 내지 15중량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아티초크추출물분말 40∼60중량%,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은 20∼30중량%,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 20∼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KR1020040035037A 2004-05-18 2004-05-18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063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037A KR100638491B1 (ko) 2004-05-18 2004-05-18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037A KR100638491B1 (ko) 2004-05-18 2004-05-18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930A KR20040052930A (ko) 2004-06-23
KR100638491B1 true KR100638491B1 (ko) 2006-10-25

Family

ID=3734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037A KR100638491B1 (ko) 2004-05-18 2004-05-18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4710B1 (it) * 2009-06-03 2012-07-13 Forem Pharma S R L Composizione per un integratore naturale alimentare, particolarmente per favorire la fisiologica funzionalita' del fegato.
KR101326413B1 (ko) * 2011-04-22 2013-11-14 주식회사 시너지포인트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20160147602A (ko) 2015-06-15 2016-12-23 박철수 아티초크를 이용한 아티초크 효소추출물 제조방법
KR101725638B1 (ko) 2015-06-15 2017-04-10 박철수 아티초크를 이용한 아티초크 발효차, 발효분말차 및 발효환 제조방법
KR20160147603A (ko) 2015-06-15 2016-12-23 박철수 아티초크를 이용한 아티초크 식초제조방법
KR20190038386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11494564B (zh) * 2020-04-30 2021-07-27 江苏中兴药业有限公司 一种复合型保肝解酒片的制备方法
CN114651968A (zh) * 2022-04-07 2022-06-24 北京中毅万合科技有限公司 一种宿醉解酒组合物配方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930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20170052868A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9547B1 (ko)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392876B1 (ko) 숙취제거용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37215B1 (ko) 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65794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KR10049652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85011B1 (ko) 엉겅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274099B1 (ko)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줄기새순 및 갈화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KR20200061285A (ko) 가랑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1068128B1 (ko) 이온화칼슘 시비 현미를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알코올배설과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촉진 및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