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413B1 -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413B1
KR101326413B1 KR1020110038099A KR20110038099A KR101326413B1 KR 101326413 B1 KR101326413 B1 KR 101326413B1 KR 1020110038099 A KR1020110038099 A KR 1020110038099A KR 20110038099 A KR20110038099 A KR 20110038099A KR 101326413 B1 KR101326413 B1 KR 10132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s
hangover
acetaldehyde
sal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863A (ko
Inventor
남관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너지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너지포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너지포인트
Priority to KR102011003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4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콜의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숙취 및 여러 질환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대사시키고, 알콜의 세포내 침투에 의해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을 방지하여 몸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기타 해당 독소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REMOVING HANGOVER AND FOR REDUCING THE DAMAGING EFFECTS OF SYSTEMIC ACETALDEHYDE THAT ARE IMPLICATED IN VARIOUS DISEASES}
본 발명은 체내에서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손상 및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콜, 아세트알데하이드 또는 탄수화물의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대사(metabolize)시키고, 해당 독소로 인해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을 방지하여 간세포 등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독성으로 인한 중장기 부작용 (mid & long-term side effects)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음주기회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다한 음주는 일시적으로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장애, 설사 등의 숙취현상(hangover)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는 지방간, 간경화, 알콜성 치매, 알콜성 당뇨, 알콜성 심혈관 질환, 암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체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 내의 알콜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와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되어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이 중 특히 에탄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에탄올에 비해 월등히 반응성이 높고 독성이 강하여 숙취 및 알콜성 부작용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상기와 같은 에탄올의 섭취에 의한 독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숙취를 제거하고 간을 보호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천연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천궁, 감초, 갈근, 진피 등의 생약, 모과, 다시마, 녹차, 매실, 더덕 등의 자연 식품 내지 이들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들은 아세트알데하이드 해독과 관련하여 그 효과가 미미하고 나아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숙취해소음료의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그 효과는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해외의 사례에서는 비흡수성 (NON-BIOABSORBENT) 활성탄소 섭취를 통한 장내 아세트알데하이드 중화제 (미국, SOB'R-K BY HANGOVERSTOPPER), 또는 장내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비흡수성 고분자에 흡착시킨 L-CYSTEINE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방식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중화제(핀란드, ACETIUM BY BIOHIT OYJ) 등이 개발 된 바 있으나, 알콜 섭취등의 경우 대부분의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장내가 아닌 체내에서 발생함으로 그 유효성이 제한적이다.
최근 WHO 산하의 암전문 연구기관인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는 알콜에서 발생하는 독소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였고, 일부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발생하는 암의 대략 40% 정도가 아세트알데하이드 독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유발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콜성 당뇨, 치매, 심혈과 질환, 암등의 예방에 관련한 본 기술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알콜 섭취 및 소화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대사시키고, 해당 독소로 인해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을 방지하여 간세포 등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부작용으로 인한 중장기 부작용 (long-term side effects)의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화제,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제, 항산화제, 및 세포사 억제제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화제는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글루타메이트, 및 L-시스테인, 또는 이의 염 중 선택된 적어도 1종, 혹은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제는 숙신산, 글루타메이트 및 이의 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혹은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는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비타민 C,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 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혹은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세포사 억제제는 마그네슘이온과 크레아틴 또는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혹은 그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또는 카테킨 (또는 녹차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및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7)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8)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알콜성 치매, 알콜성 당뇨, 알콜성 심혈관계 질환, 간경화, 소화기암, 위장암, 대장암, 췌장암, 또는 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알콜성 치매를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알콜성 당뇨를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알콜성 심혈관계 질환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소화기암, 위장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대장암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췌장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 1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은 간경화 및 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면, 알콜의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숙취 및 각종 부작용들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대사(metabolize)시키고, 당해 독소로 인해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을 방지하여 간세포 등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숙취의 원인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아세테이트 형태로 조속히 산화시켜 제거하고, 뿐만 아니라 당해 독소로 유발되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저하로 인한 간세포 사멸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숙취제거 및 간세포등의 보호를 동시에 발휘하는 숙취예방, 숙취 해소 및 당해 독소로 인한 중장기 부작용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의 예로는 알콜성 치매, 알콜성 당뇨, 알콜성 심혈관계 질환, 간경화, 소화기암, 위장암, 대장암, 췌장암, 간암, 기타 암을 들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화제,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제, 항산화제, 및 세포사 억제제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아세테이트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수행하는 효소로서 이의 활성화제의 예로는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글루타메이트 및 시스테인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및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화제는 독성의 원인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아세테이트로 조속하게 변화시켜 제거하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1회 사용량 당 칼슘이온 10 mg ~ 1,000 mg, 마그네슘이온 10 ~ 500 mg, 글루타메이트 20 mg ~ 400 mg, L-시스테인 1 mg ~ 200 mg 이 함유된다.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이 하한값 미만으로 첨가되면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키기 어렵고, 상한값을 초과하면 속쓰림, 소화불량, 변비, 설사 등의 소화기 부작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칼슘이온은 칼슘클로라이드, 칼슘시트레이트, 칼슘글루코네이트, 칼슘푸마레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칼슘아세테이트, 칼슘포르메이트, 칼슘프로피오네이트,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옥사이드 및 기타 칼슘염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마그슘이온은 마그네슘클로라이드, 마그네슘설페이트, 마그네슘시트레이트, 마그네슘카보네이트,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 마그네슘아세테이트, 마그네슘포르메이트, 마그네슘옥사이드 및 기타 마그네슘염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글루타메이트는 글루타믹엑시드, 모노소듐글루타메이트, 모노포타슘글루타메이트, 감마폴리글루타메이트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제는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인 ATP를 보다 많이 생성할 수 있도록 첨가되어지며, 이의 활성화제의 예로는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타메이트, 말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푸마르산 또는 말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제의 첨가이유는 알콜 또는 아세타알데하이드로 유발되는 미토콘드리아 호흡(respiration) 저하현상을 막기 위해서이다. 상기 활성화제는 바람직하게는 1회 사용량 당 숙신산 20 mg ~ 400 mg, 글루타메이트 20 ~ 400 mg, 및 경우에 따라 말산 0 ~ 200 mg 함유되어지며, 상기 각 성분에 따른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증진시키기 어렵고, 초과하면 맛의 변성 및 속쓰림과 같은 소화기 부작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숙신산은 소듐숙시네이트, 숙시닉엑시드, 포타슘숙시네이트, 칼슘숙시네이트, 마그네슘숙시네이트, 아이언숙시네이트, 징크숙시네이트 및 기타 숙신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글루타메이트는 글루타믹엑시드, 모노소듐글루타메이트, 모노포타슘글루타메이트, 감마폴리글루타메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푸마르산은 푸마릭엑시드, 칼슘푸마레이트, 페러스푸마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첨가되어지는 상기 항산화제는 숙취의 또 다른 원인이며 간기능을 저하시키는 활성산소나 과산화지질을 제거한다. 간세포는 인체내에서 가장 왕성한 에너지 대사를 담당하고 있으므로 활성산소나 과산화지질의 생성이 많고 그로 인한 피해도 많아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항산화제는 이들 활성산소나 과산화지질로 인한 간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예로는 카테킨, 실리마린, 비타민 B1, B2, B3,B4, B5, B6 B7, B8, B9, B12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마린, 비타민 C,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B12를 포함한다. 상기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1회 사용량 당 실리마린 1 ~ 300 mg, 카테킨 1 ~ 300 mg, 비타민 B1 0.2 mg ~ 50 mg, 비타민 B2 0.2 mg ~ 50 mg, 비타민 B3 0.5 mg ~ 50 mg, 비타민 B4 0.5 mg ~ 50 mg, 비타민 B5 0.5 mg ~ 50 mg, 비타민 B6 0.2 mg ~ 50 mg, 비타민 B7 1 mcg ~ 1000 mcg, 비타민 B8 0.5 mg ~ 50 mg 비타민 B9 1 mcg ~ 1000 mcg, 비타민 B12 1mcg ~ 1000 mcg, 비타민 C 5 mg ~ 1000 mg 로 함유되어지며, 각 성분에 대하여 상기 하한치 미만으로 첨가되면 활성산소나 과산화지질의 제거가 충분하지 않아 세포 보호효과가 약화되고,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추가적인 미토콘드리아 보호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다.
상기에서 실리마린은 밀크시슬(milkthistle)의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되어질 수 있으며, 카테킨은 녹차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사 억제제는 세포사 신호인 미토콘드리아 퍼미에이션 트랜지션 포어(mitochondrial permeation transition pore: 이하 MPT 포어로 약칭)의 발생을 억제한다. 에탄올의 섭취로 인한 또 다른 문제는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을 손상시켜 미토콘드리아를 팽창시키고, 손상이 누적되면 MPT 포어를 발현시켜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에 있다. 세포사 억제제는 이와 같은 MPT 포어의 세포사 신호 발생을 억제하여 세포사멸을 방지하며, 예로는 마그네슘 이온과 크레아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물질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함께 투입되어지는 아미노산 등의 성분과 킬레이트를 형성하여 체내에 보다 쉽게 흡수되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상기 세포사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1회 사용량 당 10 mg ~ 500 mg 함유되어지며, 상기 하한치 미만으로 첨가되면 세포사 억제효과가 미미하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속쓰림, 변비, 혹은 설사와 같은 소화기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마그슘이온은 마그네슘클로라이드, 마그네슘설페이트, 마그네슘시트레이트, 마그네슘카보네이트,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 마그네슘아세테이트, 마그네슘포르메이트, 마그네슘옥사이드 및 기타 마그네슘 염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마그네슘이온을 첨가할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세포사 억제제로서 동시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보다 바람직하게 첨가되어진다.
마찬가지로 글루타메이트 역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제로서 동시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게 첨가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정제, 레커칠된 정제, 당 코팅된 정제, 서방형 정제, 경질 및 연질 캡슐,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서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제는 비경구적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좌약의 형태로 직장으로 투여되거나, 주사액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 활성성분은 위와 같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제의 제형으로 각 활성 성분 모두를 함유하는 형태로 제형화되거나,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단일 물질의 특별한 조합으로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도 있다. 정제, 래커칠된 정제, 당 코팅된 정제 및 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약제학적으로 불활성인 무기 또는 유기 부형제가 본 발명의 제형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락토스, 옥수수전분, 셀룰로스 또는 이들의 유도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이들의 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슐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식물성유, 왁스, 지방, 반고체 또는 액체 폴리올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액 및 시럽을 제조하는데 적절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물, 폴리올, 수크로스, 전화당글루코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사액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물, 알콜, 글리세롤,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약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천연유 또는 경화유, 왁스, 지방, 반액체 또는 액체의 폴리올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필요에 따라 방부제, 용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감미제, 착색제, 향미제, 삼투압 조절제, 완충제, 코팅제, 서방제 및/또는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첨가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식품 조성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예를 들어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서방형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식품보조첨가제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예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1] 산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1.82 중량%, 숙신산 18.18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3.64 중량%, 비타민 C 7.27 중량%, 마그네슘(무수 MgSO4) 14.55 중량%, 칼슘(무수 CaCl2) 9.08 중량%, L-시스테인 2.73 중량%, 푸마르산 2.73 중량%를 혼합하여 550 mg씩 기밀포에 충진하여 1회분의 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산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3.08 중량%, 숙신산 19.23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5 중량%, 비타민 C 7.69 중량%, 마그네슘 (무수 MgSO4) 15.38 중량%, 칼슘 (무수 CaCl2) 9.62 중량 %를 혼합하여 520 mg씩 기밀포에 충진하여 1회분의 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정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1.82 중량%, 숙신산 18.18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3.64 중량%, 비타민 C 7.27 중량%, 마그네슘 (무수 MgSO4) 14.55 중량%, 칼슘 (무수 CaCl2) 9.08 중량 %, L-시스테인 2.73 중량 %, 푸마르산 2.73 중량 %를 포함하는 활성성분 550 mg을 말토덱스트린 78 mg, 결정셀룰로스 59.25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8.5 mg,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25 mg과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700 mg의 정제를 1회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정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3.08 중량%, 숙신산 19.23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5 중량%, 비타민 C 7.69 중량%, 마그네슘 (무수 MgSO4) 15.38 중량%, 칼슘 (무수 CaCl2) 9.62 중량 %를 포함하는 활성성분 520 mg을 말토덱스트린 108 mg, 결정셀룰로스 59.25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8.5 mg,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25 mg과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700 mg의 정제를 1회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캡슐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1.82 중량%, 숙신산 18.18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3.64 중량%, 비타민 C 7.27 중량%, 마그네슘 (무수 MgSO4) 14.55 중량%, 칼슘 (무수 CaCl2) 9.08 중량 %, L-시스테인 2.73 중량 %, 푸마르산 2.73 중량 %를 혼합하여 550 mg씩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1회분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캡슐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3.08 중량%, 숙신산 19.23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5 중량%, 비타민 C 7.69 중량%, 마그네슘 (무수 MgSO4) 15.38 중량%, 칼슘 (무수 CaCl2) 9.62 중량 %를 혼합하여 520 mg씩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1회분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비타민 B군을 포함한 정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0.86 중량%, 숙신산 17.39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2.60 중량%, 비타민 C 6.95 중량%, 마그네슘 (무수 MgSO4) 16.39 중량%, 칼슘 (무수 CaCl2) 7.14 중량 %, L-시스테인 2.14 중량 %, 푸마르산 2.14 중량 %, 비타민 B1 0.87 중량 %, 비타민 B2 0.87 중량 %, 비타민 B3 0.87 중량 %, 비타민 B4 0.87 중량 %, 비타민 B5 0.87 중량 %, 비타민 B6 0.87 중량 %, 비타민 B7 0.01 중량 %, 비타민 B8 0.87 중량 %, 비타민 B9 0.02 중량 %, 비타민 B12 0.01 중량 %를 포함하는 활성성분 575 mg을 말토덱스트린 52.8 mg, 결정셀룰로스 49.25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8.5 mg,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25 mg과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700 mg의 정제를 1회분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비타민B군을 포함한 정제의 제조
모노소듐 L-글루타메이트 22.01 중량%, 숙신산 18.34 중량%, 밀크시슬(50% 실리마린) 23.85 중량%, 비타민 C 7.32 중량%, 마그네슘 (무수 MgSO4) 14.67 중량%, 칼슘 (무수 CaCl2) 9.17 중량 %, 비타민 B1 0.92 중량 %, 비타민 B2 0.92 중량 %, 비타민 B3 0.92 중량 %, 비타민 B4 0.92 중량 %, 비타민 B5 0.92 중량 %, 비타민 B6 0.92 중량 %, 비타민 B7 0.01 중량 %, 비타민 B8 0.92 중량 %, 비타민 B9 0.02 중량 %, 비타민 B12 0.01 중량 %를 포함하는 활성성분 545 mg을 말토덱스트린 82.8 mg, 결정셀룰로스 59.25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8.5 mg,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4.25 mg과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700 mg의 정제를 1회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숙취예방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제 형태에 따른 숙취해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을 1) 산제로 복용한 경우, 2) 정제로 복용한 경우, 3) 캡슐제로 복용한 경우 및 4) 비타민B군을 함유한 정제로 복용한 경우로 나누어서 조사하였다. 실험은 특별한 병력이 없는 평소 주량 소주 1.5병~2병 사이의 건강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자 50명 (체중 65 ~ 80kg, 나이 23세~50세)을 대상으로 실험군당 5명씩 임의로 배정 후 실험 시작과 함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1회분을 물과 함께 저녁 7시에 실험 시작과 함께복용하도록 하였다. 곧이어 각 실험 대상자에게 소주 한 잔에 감자튀김을 한 개씩 먹도록 하여 총 소주 720㎖를 120분 동안 섭취하도록 하여 총 144 mL의 에탄올을 섭취토록 하였다. 이 때 대조군(1)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리마린 함유 음료 100㎖를 (한국 동아제약 모닝케어) 각각 복용하도록 하였고, 대조군(2)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RU21 (미국 Spirit Sciences사 제조, 한국의 약국에서 구매) 500 mg 타블렛을 1회 권장량인 2정 복용하였다 (총 1000 mg섭취). 이후, 마지막 음주 20분 후부터 시작하여 120분까지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혈중 알콜 농도 측정은 호기로 혈중 농도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기를 이용하였다. 해당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음주 다음날 오전 9시에 각 실험군을 대상으로 숙취해소 효과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군별 소주 720 mL (알콜 144mL) 섭취후 평균 혈중알콜농도 변화
샘플 20분후(혈중알콜) 60분후(혈중알콜) 90분후(혈중알콜) 120분후(혈중알콜)
산제(1-1) 0.30% 0.27% 0.24% 0.22%
산제(1-2) 0.31% 0.27% 0.25% 0.22%
정제(2-1) 0.30% 0.27% 0.25% 0.21%
정제(2-2) 0.32% 0.28% 0.25% 0.22%
캡슐제(3-1) 0.31% 0.28% 0.25% 0.22%
캡슐제(3-2) 0.30% 0.27% 0.24% 0.23%
비타민B정제(4-1) 0.28% 0.26% 0.22% 0.20%
비타민B정제(4-2) 0.28% 0.27% 0.22% 0.20%
비교예(1) 0.32% 0.31% 0.30% 0.30%
비교예(2) 0.31% 0.30% 0.29% 0.27%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구성된 각 제제를 복용시킨 결과 비교예(1)과 비교예(2)에 비하여 120분 이 후 혈중 알콜 잔존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날 숙취해소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월등히 높은 평가를 얻었다. 설문지는 속쓰림 예방효과, 두통 감소, 술냄세 감소 효과의 항목에 대해 효과 없음을 최소치 1로 하고 효과 높음을 최대치 5로 하여 5단계(1-5)의 스케일(scale)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때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숙취 예방 효과는 익일 아침의 속쓰림, 두통, 알콜성구취 증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는 1-1 ~ 4-2의 8가지 모든 조성예가 숙취로 나타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독성 예방효과를 보였고, 특히 그중 비타민 B군을 포함한 4-1 과 4-2 예가 좋은 호응을 보였다.
실험군별 소주 720mL(알콜 144mL)섭취 익일 숙취증상에 대한 설문조사
샘플 설문조사 평균값 (1 = 효과 낮음, 5 = 효과 높음)
속쓰림 예방효과 두통감소 효과 술냄새 감소효과
산제(1-1) 4.4 4.2 4.8
산제(1-2) 4.6 4.2 4.8
정제(2-1) 4.6 4.2 4.6
정제(2-2) 4.6 4.2 4.8
캡슐제(3-1) 4.4 4.0 4.8
캡슐제(3-2) 4.2 4.1 4.8
비타민B정제(4-1) 5.0 5.0 5.0
비타민B정제(4-2) 5.0 5.0 5.0
비교예(1) 1.6 2.4 1
비교예(2) 1.8 3.2 1
위의 표 1 및 표 2에 표현된 실험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1-1~4-2를 포함한 모든 조성예가 단순 실리마린 함유음료인 비교예(1), 그리고 숙신산, 글루타민산 및 일부 비타민을 함유한 비교예(2)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알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부작용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1)인 모닝케어 (한국 동아제약)의 경우 본 발명에서도 활용하는 실리마린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숙취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알콜분해대사나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숙취증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2)인 RU21의 경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섭취된 총 1000 mg중 L-글루타민/L-글루탐산 (250 mg), 숙신산 (200 mg), 푸마르산 (75mg), L-시스테인(30mg), 비타민 C (60mg), 비타민B2(8.5 mg), 비타민 B6(10mg)등 일부 본 발명에서도 가장 좋은 효과를 보여준 실시예 4-2에 활용된 성분들을 2배가량 사용하면서도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알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독성 방어효과에 관련한 기존 기술 및 제품대비 본 발명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비교예(1), 비교예(2), 및 본 발명 실시예 4-2 성분함량 대조표
활성성분 비교예 (1)
-모닝케어
비교예(2)
-RU21
실시예
4-2
비고
실리마린 130 mg --- 65 mg 비교예(1)대비 50%미만
L-글루타메이트 --- 250 mg 120 mg 비교예(2)대비 50%미만
숙시네이트 --- 200 mg 99.95 mg 비교예(1)대비 50%미만
L-시스테인 --- 30 mg ---
푸마레이트 --- 75 mg ---
MgSO4 --- --- 80 mg
CaCl2 --- --- 50 mg
Vit. C --- 60 mg 40 mg 비교예(2)대비 67%미만
Vit B1 --- --- 5 mg
Vit B2 --- 8.50 mg 5 mg 비교예(2)대비 60%미만
Vit. B3 --- --- 5 mg
Vit. B4 --- --- 5 mg
Vit. B5 --- --- 5 mg
Vit B6 --- 10 mg 5 mg 비교예(2)대비 50%미만
Vit. B7 --- --- 0.005 mg
Vit. B8 --- --- 5 mg
Vit. B9 --- --- 0.02 mg
Vit. B12 --- --- 0.005 mg
[실험예 2] 급성 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 1-1 및 1-2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g/㎖, 0.5g/㎖, 0.25g/㎖ 및 0.125g/㎖의 농도로 조제하였다. 실험 전 24시간 동안 금식시킨 ICR계 4주령 웅성마우스(체중 20-24g) 40마리를 균등하게 4개조로 나눈 후, 경구투여용 존데를 사용하여 마우스 체중 20g 당 각 농도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0.050 mL를 경구투여 후, 9일 동안 마우스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5에 각각 기재하였다.
실시예 1-1의 마우스 대상 급성 경구 독성 실험 결과.
1g/㎖ 0.5g/㎖ 0.25g/㎖ 0.125g/㎖
이상증상 - - - -
사망수/실험수 0/10 0/10 0/10 0/10
실시예 1-2의 마우스 대상 급성 경구 독성 실험 결과.
1g/㎖ 0.5g/㎖ 0.25g/㎖ 0.125g/㎖
이상증상 - - - -
사망수/실험수 0/10 0/10 0/10 0/10
상기 표 5 및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투여 후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육안 관찰시 모든 마우스의 건강상태는 양호하였다. 또한, 체중이 약간 증가된 것 이외에 마우스의 일체 활동은 정상적이었다. 9일 후 각 마우스를 해부하여 각 조직 및 기관을 검사한 결과, 모든 조직 및 기관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인체에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화제로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글루타메이트, 및 L-시스테인, 또는 이의 염 중 선택된 적어도 1종;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제로 숙신산, 글루타메이트 및 이의 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항산화제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비타민 C,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 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및 세포사 억제제로 마그네슘이온과 크레아틴 또는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술 추출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술 추출물), 비타민 C,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및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7.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비타민 C,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푸마르산(또는 이의 염), L-시스테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8.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킨(또는 녹차 추출물), 실리마린(또는 밀크시슬 추출물), 숙신산(또는 이의 염), 글루타메이트(또는 이의 염), 칼슘이온(또는 이의 염), 마그네슘이온(또는 이의 염), 크레아틴, 비타민 B1, B2, B3, B4, B5, B6, B7, B8, B9, 및 B12를 포함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은 알콜성 치매, 알콜성 당뇨, 알콜성 심혈관계 질환, 간경화, 소화기암, 위장암, 대장암, 췌장암, 또는 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부작용 및 질병 예방용 조성물.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10038099A 2011-04-22 2011-04-22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10132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099A KR101326413B1 (ko) 2011-04-22 2011-04-22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099A KR101326413B1 (ko) 2011-04-22 2011-04-22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863A KR20120119863A (ko) 2012-10-31
KR101326413B1 true KR101326413B1 (ko) 2013-11-14

Family

ID=4728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099A KR101326413B1 (ko) 2011-04-22 2011-04-22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3090B1 (fr) * 2014-06-25 2016-11-21 Pharomed Composition
CN105734121A (zh) * 2014-12-29 2016-07-06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附属医院 乙醛脱氢酶1a3及其编码基因作为结直肠癌侵袭转移预防或治疗靶点的应用
WO2016195304A1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34131B1 (ko) * 2015-05-29 2024-02-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9562090A (zh) * 2016-06-06 2019-04-02 凯达普特凯特有限公司 用于治疗宿醉的l-半胱胺酸、抗坏血酸和维生素b3的组合物
KR102236100B1 (ko) 2019-10-31 2021-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930A (ko) * 2004-05-18 2004-06-23 약초나라(주)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050077979A (ko) * 2004-01-30 2005-08-04 조동선 숙취해소 및 뇌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100828708B1 (ko) 2007-06-19 2008-05-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92045A (ko) * 2007-04-11 2008-10-15 자연수주식회사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979A (ko) * 2004-01-30 2005-08-04 조동선 숙취해소 및 뇌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20040052930A (ko) * 2004-05-18 2004-06-23 약초나라(주)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080092045A (ko) * 2007-04-11 2008-10-15 자연수주식회사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0828708B1 (ko) 2007-06-19 2008-05-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863A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413B1 (ko)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US20230263761A1 (en) Agent for elevating nitric oxide concentration
EA012753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держивания алкогольного метаболизма и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риска заболеваний, вызванных алкоголем
KR2014009045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CA3012021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alleviation of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WO2014010656A1 (ja) 優れた血中アルコール濃度低下促進剤
JP6166786B2 (ja) 脳機能低下の予防または改善剤
JPWO2006080086A1 (ja) 中枢神経系の疲労回復又は疲労予防のための組成物
WO2014010658A1 (ja) ヒハツ配合製剤
JP4974553B2 (ja) アセトアルデヒド代謝促進剤
KR102348044B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91653A (ko)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조성물
KR102209386B1 (ko)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JP5601747B2 (ja) 疲労予防用内服用組成物及び疲労予防用内服用製剤
JP2007008866A (ja) 血圧降下剤組成物
WO2010087150A1 (ja) 胃酸分泌抑制剤及びカリウムチャンネル阻害剤
KR100780120B1 (ko) 공액 리놀레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질병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US20230210802A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JP2007145731A (ja) 止瀉効果を有する内服用製剤
KR101268021B1 (ko)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JP2024002801A (ja) 経口組成物
JP6170166B2 (ja) 脳機能低下の予防または改善剤
KR20220023092A (ko) 꾸지뽕을 이용한 콤부차 발효액의 제조 방법 및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에서의 콤부차 발효액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