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372B1 -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372B1
KR102588372B1 KR1020210081219A KR20210081219A KR102588372B1 KR 102588372 B1 KR102588372 B1 KR 102588372B1 KR 1020210081219 A KR1020210081219 A KR 1020210081219A KR 20210081219 A KR20210081219 A KR 20210081219A KR 102588372 B1 KR102588372 B1 KR 10258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
extract
chrysanthemum
complex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002A (ko
Inventor
김선오
김진석
김경조
강완석
전미진
김은
이기훈
최학준
김미현
Original Assignee
(주)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텍 filed Critical (주)비엔텍
Priority to KR102021008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3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2Chaenomeles, e.g. flowering qui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추, 불미나리, 콩나물, 인진쑥, 청피, 헛개나무 열매, 모과, 갈근, 감초, 갯기름나물, 감국 및 미숙과 복분자를 특정 배합비로 함유하는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위 점막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위장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 FOR PREN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AND PEPTIC ULCER}
본 발명은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장 질환은 소화기 질환 중 하나로, 세계 인구의 4 내지 5% 가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흔한 질환이다. 위장 질환의 원인은 다양하며, 대체적으로는 위 점막층을 손상시키는 공격인자의 영향과 이들로부터 위벽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인 점막(mucosa)의 기능간 평형이 깨어져 발병하게 된다.
위장 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 공격인자로는 스트레스, 알코올, 위산, 담배, 아스피린과 같은 진통소염제, 스테로이드 제제, 자극적인 음식, 영양결핍,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감염 등이 있으며, 방어기전으로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에 대한 항산화력의 약화, 위 점막을 보호하는 점액,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성 저하 및 조직 재생능력, 혈행 개선능력의 감소가 병인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상기 요인으로 인해 위 점막층이 손상되었을 때 미란, 발적, 출혈, 부종을 동반한 염증이 발생하게 되며, 손상이 심하여 위 점막을 뚫고 점막 하단 및 근육층까지 손상이 확대된 경우 위궤양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위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십이지장도 비슷한 요인에 의해 염증 및 궤양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요인에 의해 십이지장 점막이 손상되어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이 패이거나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되면 십이지장염 또는 십이지장 궤양이 발생하게 된다.
위염 및 소화성 궤양 치료를 위해서는 그 원인에 따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억제하는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해야 하며 이 두가지 요법을 동시에 쓰는 경우도 많다. 지금까지 개발된 많은 치료제는 위에서 분비되는 산을 제거하거나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 기작은 매우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위산분비를 억제시키는 PPI(proton pump inhibitor) 또는 H2 수용체 길항제(H2 receptor antagonist) 등이 대표적이며 그 효과는 충분히 입증되었으나 부작용 또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위장 장애 치료에 가장 오래 이용되어 온 제산제의 경우, 위산을 직접 중화시켜 위장을 보호하므로 증상의 완화는 가장 빠르게 나타나지만, 위산 분비를 막지는 못하며, 변비, 설사, 요로 결석증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아세틸콜린 수용체 억제제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활성 약물 위산의 분비는 막을 수 있으나 혈액과 말초신경계에 두루 존재하여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장관이 아닌 다른 신경세포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속효성 위산분비 억제제는 투여 종료 후 재발율이 높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방어기전을 강화하는 치료제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위염 유발 인자의 재공격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점막조직을 정상과 유사한 정도로 재생을 촉진하는 등의 효능을 지닌 점막보호제의 개발 또한 위염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부분이며, 위점막 보호제로서 현재 레바미파이드(rebamipide), 소팔콘(sofalcone) 등의 약물이 개발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속효성이 적고 복용량이 많으며, 비교적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해 보다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적고 근본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약물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천연물을 이용한 연구 또한 수행되고 있다. 하나의 천연물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연구 외에도,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을 복합 사용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천연물은 그 함유 성분이 복잡하고 다양하므로 동일 질병에 효과를 나타내는 둘 이상의 천연물을 단순 첨가하는 형태로는 효과의 증대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서로의 효과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추(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Rehder)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활엽교목으로, 약용과 식용을 겸하여 사용되어 왔다.
불미나리(Oenanthe Javanica D.C)는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비타민 A, 비타민C와 칼슘, 철분 등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미나리강회, 미나리무침, 미나리김치, 보리 미나리전, 미나리생채, 미나리튀김, 각 종 매운탕 등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콩나물(bean sprout)은 대두를 발아시킨 것으로 비타민 B 1 , 비타민 B 2 ,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Thunberg)은 비타민A의 함량이 많아 암예방에 효과적이고 발암물질의 생성이나 활성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인진쑥 추출물은 대단히 강한 혈청 지질의 억제작용이 있어 동맥경화 및 고혈압을 예방하는데 좋은 치료제로 쓰여진다.
청피 및 진피는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그 근연식물(Rutaceae)의 과피로, 성숙한 과피를 진피, 미성숙한 녹빛 과피를 청피라 한다. 항알레르기 활성(antiallergic activity)이 있고 진정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증 해소에 효능이 있으며, 헛개나무의 활성화학물질이 숙취 해소와 구취 제거 및 변비에 효과를 보이는 것이 알려져 있다.
모과는 모과나무(Chaenomeles sinesis Koehne)의 열매로서 민간에서는 각기, 붓기, 허리아픔, 뼈마디아픔 등의 처방에 이를 이용하였다.
갈근(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Leguminosae)로 주피를 제거한 뿌리에 해당되며,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로 다이자인(daidzein), 다이진(daidzin), 포모네팀 제니스틴(formonetinm geniste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진정 작용, 하열 작용 및 혈관의 이완 작용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감초(Glycyrrhiza glabra L.)는 그 뿌리와 줄기에 글리찌리진, 글라브라산 및 다양한 플라보노이드유사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맛이 나며, 진경, 항염증, 항궤양 작용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nb.)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방풍대용으로 이용하는 약용식물의 하나이고, 항경련, 항알레르기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간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야생국화이다. 예로부터 궁중에서는 국화주로, 민가에서는 고혈압 환자들이 약술로 애용해 왔다.
복분자(Rubus coreanus)는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염작용, 항산화작용,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작용, 항암작용, 노화억제, 동맥경화예방, 혈전예방, 살균 효과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KR 1020200094964 A KR 101606773 B1
본 발명은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을 포함하는 위장 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대추, 불미나리, 콩나물, 인진쑥, 청피, 헛개나무 열매, 모과, 갈근, 감초, 갯기름나물, 감국 및 미숙과 복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장 질환은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 총 100wt%에 대하여, 대추 1 내지 10wt%, 불미나리 10 내지 20wt, 콩나물 15 내지 25wt%, 인진쑥 5 내지 10wt%, 청피 10 내지 15wt%, 헛개나무 열매 5 내지 15wt%, 모과 1 내지 10wt%, 갈근 1 내지 10wt%, 감초 1 내지 10wt%, 갯기름나물 1 내지 10wt%, 감국 1 내지 10wt% 및 미숙과 복분자 5 내지 15wt%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장 질환은 알코올성 손상 또는 스테로이드 제제성 손상으로 유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대추, 불미나리, 콩나물, 인진쑥, 청피, 헛개나무 열매, 모과, 갈근, 감초, 갯기름나물, 감국 및 미숙과 복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장 질환은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 총 100wt%에 대하여, 대추 1 내지 10wt%, 불미나리 10 내지 20wt, 콩나물 15 내지 25wt%, 인진쑥 5 내지 10wt%, 청피 10 내지 15wt%, 헛개나무 열매 5 내지 15wt%, 모과 1 내지 10wt%, 갈근 1 내지 10wt%, 감초 1 내지 10wt%, 갯기름나물 1 내지 10wt%, 감국 1 내지 10wt% 및 미숙과 복분자 5 내지 15wt%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장 질환은 알코올성 손상 또는 스테로이드 제제성 손상으로 유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위 및 십이지장을 포함하는 상부 위장관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감시킴으로써 위 점막에 대한 보호 효과 및 위염 및 소화성 궤양에 대한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상부 위장관의 염증 및 궤양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적용되기 적합하다.
또한, 조직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안전한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복합 천연 추출물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것이고,
도 2는 위염 동물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실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HCL/EtOH로 유도된 위궤양 동물모델에서 복합 천연 추출물이 위 조직 병변, 손상 면적 및 손상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고,
도 4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으로 유도된 위궤양 동물모델에서 복합 천연 추출물이 위 조직 병변, 손상 면적 및 손상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고,
도 5는 위궤양 동물모델에서 복합 천연 추출물이 위 조직 내 ROS 및 MDA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고,
도 6은 위궤양 동물모델에서 복합 천연 추출물이 항산화 지표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고,
도 7는 HCL/EtOH로 유도된 위염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복합 천연추출물의 치료 효과를 단백질 발현량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것이고,
도 8은 인도메타신으로 유도된 위궤양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복합 천연추출물의 치료 효과를 단백질 발현량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것이고,
도 9는 알코올 처리에 의한 소화기 세포 손상에 대한 단일 천연추출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10은 알코올 처리에 의한 세포 손상에 대한 복합 천연추출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11은 복합 천연추출물의 알코올 분해 정도를 혈중 알코올 농도 비교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이 혼합된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대추, 불미나리, 콩나물, 인진쑥, 청피, 헛개나무 열매, 모과, 갈근, 감초, 갯기름나물, 감국 및 미숙과 복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콩나물은 산소포화수를 이용하여 발아된 것이 선택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모과는 모과 열매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감국은 감국의 꽃이 선택되는 것이 좋다. 상기 미숙과 복분자는 과피가 녹색을 띠는 열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각 천연 추출물의 분리는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별로 추출원 중량대비 15 내지 30배수의 물을 용매로 첨가하고,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에서 4 내지 8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각 성분별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용매 첨가량 및 추출 온도조건 하에서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높은 비율로 포함하는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대추, 불미나리, 콩나물, 인진쑥, 청피, 헛개나무 열매, 모과, 갈근, 감초, 갯기름나물, 감국 및 미숙과 복분자의 분리가 상기의 용매첨가량, 온도 및 시간 조건 하에 수행되는 경우, 추출 시간을 저감시키면서 고농도, 고효율로 추출물의 분리를 최적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성분별 추출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을 극대화함으로써 제조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열수 추출을 위해 각 성분별 첨가되는 용매의 함량이 추출원 중량대비 15배수 미만이면 각 천연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 함량이 저감될 수 있고, 30배수 초과이면 열수 추출 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용액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 건조 등 후처리에 오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열수 추출물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여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고형상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열수 추출을 위한 각 성분별 추출원을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절단, 건조 또는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복합 추출물 총 100wt%에 대하여, 대추 1 내지 10wt%, 불미나리 10 내지 20wt, 콩나물 15 내지 25wt%, 인진쑥 5 내지 10wt%, 청피 10 내지 15wt%, 헛개나무 열매 5 내지 15wt%, 모과 1 내지 10wt%, 갈근 1 내지 10wt%, 감초 1 내지 10wt%, 갯기름나물 1 내지 10wt%, 감국 1 내지 10wt% 및 미숙과 복분자 5 내지 15wt%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이 각 성분을 상기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위장점막 보호 효과 및 염증 저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을 포함하는 위장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갯기름나물의 대체약제로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 divaricata)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그에 포함되는 각 유효성분이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인 배합비를 가질 때 최적화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각 유효성분이 전술한 함량범위를 하한 또는 상한으로 벗어날 경우에는, 각 유효성분이 위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미치는 바람직한 조성비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어 각 성분별 특성 및 관능성의 상쇄 또는 충돌이 나타나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각 유효성분이 전술한 함량범위를 상한으로 벗어날 경우에는 제조되는 조성물의 관능성을 저하시켜 쓰거나 씁쓸한 맛을 나타내게 되어, 식품에 적용될 시 소비자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더 발생할 수 있다.
천연원료의 경우 단독으로는 효과를 나타내더라도 동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원료를 단순히 조합한다고 효과가 상승하는 예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효과에 있어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넘어 서로의 효과를 방해하여 그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천연 추출물들의 특징적인 배합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위의 염증 완화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각 천연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인 배합비로 혼합되어 복합 추출물로 제조되는 경우에 각각 다른 천연 추출물의 작용을 증진시키는 상승작용을 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사용한 경우보다 증진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위점막 보호 활성이 우수하며, 이를 통해 위산과 같은 자극적 요인에 의하여 유발되는 위점막 손상 및 그로 인해 발병하는 위장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위장 질환은 상부 위장관의 질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에 의한 소화기관의 점막 보호 효과는 즉각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위 점막에 자극적인 요인과 함께 처리되거나 또는 그 직전에 처리됨으로써 즉각적인 점막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고, 장기간에 걸친 꾸준한 식이를 통한 점막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알코올 또는 스테로이드에 의한 조직 손상을 저하시키는 보호 효과를 가지므로, 상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알코올 또는 스테로이드 섭취 전·후로 경구투여하여 알코올 또는 스테로이드 제제에 의한 소화기관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알코올성 또는 스테로이드 제제성 소화기관 손상으로 인한 위장 질환에 대하여 현저히 우수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 당업계에 공지된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mg 내지 1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mg/kg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투여량을 수회에 나누어 일정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숙련된 의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이란 복합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경구투여를 위한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형태는 경구투여되는 물질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분말, 과립, 정제, 캅셀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미노산,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및 영양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농축액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료를 열수추출, 설탕절임 추출 또는 원액 착즙하여 얻은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농축기를 이용한 진공 저온농축, 고온농축, 감압농축 또는 동결농축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농축액 용량이 농축 전 추출물 용량의 50%(v/v) 이하가 되도록 농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200 브릭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섭취시의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과일 원액 또는 농축액, 감초 원액 또는 농축액, 감미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로는 예를 들면, 벌꿀, 아가베 시럽, 결정과당, 구연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웰빙-친환경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합성착향료 또는 보존료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생약 추출물 및 상기의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천연 추출물 농축원액 제조>
천연 원료의 건조물, 상세하게는 대추 건조물, 불미나리 건조물, 산소포화수 발아 콩나물, 인진쑥 건조물, 청피 건조물, 진피 건조물, 헛개나무 열매 건조물, 모과 건조물, 갈근 건조물, 감초 건조물, 방풍 뿌리 건조물, 갯기름나물 잎 가지 건조물, 감국 꽃 건조물 및 미숙과 복분자 열매 건조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혼합하여 추출 원료로 사용하였다. 각 원료는 깨끗하게 세정 후 물기를 제거하고 그늘에서 건조시킨 것을 그대로 또는 파쇄하여 이용하였다. 콩나물은 산소포화수로 발아 및 재배한 것을 추출하기 하루 전에 검은 암막을 제거하고 햇볕에서 하루 동안 재배하여 머리가 푸른색을 띄게 한 콩나물을 사용하였다. 미숙과 복분자 열매는 과피가 녹색을 나타내는 것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불미나리는 줄기가 붉은색인 불미나리의 줄기와 잎을 수확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10cm 길이로 절단하거나 또는 그대로 원료로 사용하였다. 청피는 미숙과 감귤을 수확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앤 후 껍질을 취하여 1cm 두께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킨 것을 원료로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조성비는 원료 중량비(wt%)를 의미한다.
원료인 배합물 중량의 20배의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100℃에서 6시간 추출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켜 찌꺼기는 버리고 이로부터 얻은 상층액을 진공가열 농축하여 20 브릭스(Brix)까지 농축하여 추출농축물 원액(SR-5)을 수득하였다.
<복합 추출농축물의 세포독성 확인>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세포 사멸을 유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세포 독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6주령의 스프라그-다울리(Sprague-Dawley(SD))계의 수컷 흰쥐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간 조직을 분리하고 트립신을 처리하여 간 세포를 분리시키고 각 well 당 1x 105 cells/ml로 조절하여 100 μl씩 well에 넣은 다음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예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복합추출 농축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의 측정을 위한 MTT assay는 Sladowski 등의 방법(Sldowski D., Steer S. J., Clothier R.H., Balls M., An improved MTT assay. J. Immun. Methods, 1993, 157, 203, 207)을 따라 행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각 실험군 시료별로 두 개 농도로 처리하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좌측은 25%(wt%), 우측은 50%(wt%)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궤양 동물모델의 준비 및 복합 추출물의 처리>
6주령 수컷 ICR 마우스 84마리를 ㈜샘타코 (샘타코 Biokorea, 오산, 경기도)에서 구입하였으며, 실험실 환경에 7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조건은 conventional system으로 온도 22±2℃, 습도 50±5%, 명암주기 (light : 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다. 멸균 처리된 고형사료 (동아원(주), 서울, 대한민국)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그리고 동물실험은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 IACUC)의 승인 (BT-002-2020)을 받아 진행하였으며, 효율적인 관리 및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동물관리 규정을 준수하였다. 급성 위궤양 동물모델은 유발인자를 HCl/EtOH 및 Indomethacin의 2종으로 달리하여 준비하였으며, 도 2에 도식화한 프로세스로 수행하였다.
HCl/EtOH 유발 급성 위궤양 동물모델 구축을 위한 실험동물은 군당 7마리씩 6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7일간의 적응기를 가진 후 위 표 1의 실시예 조성물(SR-5)을 각 농도별로 3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급성 위궤양 유발 전 12시간 동안 절식하였으며 물은 제공하였다. 실험 당일, 정상군(CTL)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경구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PCTL)에는 Aluminum phosphate를 1.5 g/kg body weight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는 각각 100, 150, 200 mg/kg body weight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 1시간 후 150 mM HCl/60% ethanol을 정상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 0.5 mL 씩 경구투여 하였고, 2시간 후 isoflurane(Sigma Aldrich)으로 흡입 마취 후 개복하여 위 조직을 적출하였다.
Indomethacin 유발 급성 위궤양 동물모델 구축을 위한 실험동물 또한 군당 7마리씩 6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7일간의 적응기를 가진 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를 각 농도별로 3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정상군 (CTL), 증류수 경구 투여 1시간 후부터 2시간 마다 30 mg/ml의 Indomethacin 200 ㎕를 4회 투여하여 위염을 유발한 대조군, 양성대조군인 DA-5204 (Stillen 2X)를 36 mg/kg body weight으로 경구 투여한 뒤 1시간 후 위염을 유발한 양성대조군 (PCTL),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를 100 mg/kg body weight으로 경구 투여한 뒤 1시간 후 위염을 유발한 군 (100),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를 150 mg/kg body weight으로 경구 투여한 뒤 1시간 후 위염을 유발한 군 (150),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를 200 mg/kg body weight으로 경구 투여한 뒤 1시간 후 위염을 유발한 군 (200)으로 군당 7마리씩 6그룹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위염을 유발한 후 200 mM HCl 200 ㎕를 투여하고 30분 뒤 isoflurane (Sigma Aldrich)으로 흡입 마취하여 희생한 뒤 위 조직을 적출하였다.
<동물모델에서의 위 조직 병변 및 손상 면적 측정>
전술한 것과 같이 위 조직을 적출한 뒤, CMOS camera (Jenoptik AG, Jena, Germany)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하였다. 위 점막의 손상면적은 Image J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Bethesda, MD,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위 손상 억제율은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21072128197-pat00002
위 조직 병변의 점수화는 0~3점까지의 점수를 6가지 병변으로 구분지어 수행하였으며, 점수화 정도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궤양 점수(Ulcer score) 위 조직 병변(Gastric lesions)
0 Normal stomach
0.5 Red coloration
1 Spot ulcers
1.5 Haemorrhagic streaks
2 Ulcer>3 mm but<5 mm
3 Ulcers>5 mm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2종의 위궤양 유발 동물모델 모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가 처리되는 경우 위 조직 점막의 손상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이 100mg/kg으로 처리된 경우에 비해, 150 및 200mg/kg으로 처리된 경우 위 조직 점막의 손상 저감 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조직 내 ROS 및 MDA에 미치는 영향 확인>
조직에서 ROS 변화와 MDA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적출한 위에서 일정 크기의 조직을 절개하여 얼음으로 냉각시킨 1 mM EDTA가 함유된 50 mM phosphate buffer (pH 7.4)에서 분쇄하고 균질화시켜, 상층액을 취하여 ROS 및 MDA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산화적 스트레스 바이오 마커인 ROS (Reactive Oxygen Species) 측정은 위 조직을 25 mM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 와 혼합시켜준 뒤, 형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emission 파장 535 ㎚와 excitation 파장 485 ㎚에서 0분부터 5분 간격으로 30분간 측정하여 산출된 값을 계산하였다.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assay (TBARS) kit는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Dogen bio Co., Seoul, Korea), lipid peroxidation screen 방법으로, MDA(malondialdehyde)가 thiobarbituric Acid (TBA)와 반응하여 형성하는 MDA-TBA Adduct를 측정하여 위 조직 무게 당 MDA의 농도를 계산하여 표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가 처리되는 경우 위궤양 모델에서 산화 스트레스 마커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확인>
항산화 지표 효소인 CAT (Catalase)와, GSH (Glutathione)의 활성은 각각 Catal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 San Francisco, CA, USA)와 Glutathione co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위 조직에서 CAT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assay buffer로 위 조직을 분쇄한 뒤, 10,000×g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시료 60 ㎕, assay buffer 18 ㎕, 1 mM H2O2 12 ㎕를 넣고 25℃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stop solution 10 ㎕를 넣어서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을 정지시킨 용액에 developer mix 50 ㎕를 넣고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SH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위 조직을 5% SSA (Sulfosalicylic acid)로 분쇄한 뒤 8,000×g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reaction mix 160 ㎕를 10분간 반응시킨 후, 시료 20 ㎕를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켰다. substrate solution 20 ㎕를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합 천연 추출물 조성물 시료(SR-5)가 처리되는 경우 위궤양 모델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발현량 분석>
위 조직 내 염증연관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해 위 조직을 10 mM Tris-HCl (pH 7.4), 1% NP-40, 0.1%sodiumdeoxycholate, 0.2%SDS, 150mmol/LNaCl, 1mmol/L EDTA,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을 첨가한 buffer를 넣고 조직 분쇄기 (tissue grinder)로 분쇄한 후 2시간 후 4℃에서 2분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여 실험 전까지 -8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위 조직 내의 NF-kBp65, iNOS, COX-2, TNF-α, β-actin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20-60 μg의 단백질을 8-15% SDS 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후, acrylamide gel을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membrane을 준비한 뒤에 각각의 1차 antibody를 처리하여 4℃에서 overnight 시킨 다음 PBS-T로 10분마다 3회 세척하고, 각각 처리한 1차 항체에 알맞은 2차 항체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PBS-T로 10분마다 3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membrane을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용액에 담구어 묻혀준 뒤, ChemiDoc XRS+ System (Bio-Rad)에 감광시켜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후, 발현된 band를 Gel Pro Analyzer software (Silk Scientific, Inc., Orem, UT,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하여 수치화 하였다. 모든 수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GraphPad Prism 5 version 5.01 for Windows (GraphPad,Inc., San Diego, CA, USA)softwar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와 Student’s t-test로 각 자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대조군과 투여군 사이에 p-value < 0.05 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 하였다.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는 도 7 및 8에 나타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2종의 위궤양 유발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천연 추출물의 조성물(SR-5)이 처리되는 경우 염증 인자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NF-alpha의 경우 처리되는 천연 복합 조성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량이 저감되었으며, COX2는 150mg/kg 농도로 처리되는 경우 발현량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처리에 의한 조직 손상에 대한 단일 추출농축물의 보호효과 측정(in vitro)>
6주령의 스프라그-다울리(Sprague-Dawley(SD))계의 수컷 흰쥐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간 조직을 분리하고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키고 각 well 당 1x 105 cells/ml로 조절하여 100 μl씩 well에 넣은 다음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예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천연 단일 추출 농축물과 알코올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의 측정을 위한 MTT assay는 Sladowski 등의 방법(Sldowski D., Steer S. J., Clothier R.H., Balls M., An improved MTT assay. J. Immun. Methods, 1993, 157, 203, 207)을 따라 행하였다. 간세포를 배양시킨 96 well plate에 PBS에 용해한 MTT 용액 (5g/ml)을 가하고, CO2 incubator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한 뒤 DMSO : EtOH (1:1 v/v)를 well 당 100 μl씩 넣고 20분간 shaking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해 MTT dy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blue formazan을 형성하는 것을 ELISA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천연 단일 추출농축물의 알코올에 의한 소화기 조직의 세포 손상의 보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에 포함된 원료들을 단일 성분으로 포함하는 각 원료를 별도로 추출하되, 추출조건은 복합 추출물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시료 1 내지 14를 이용하여 일차배양한 간 세포에 농도별로 전처리한 다음, 알코올을 1mM이 되도록 첨가하고 다시 12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냈다. 도 9에 있어서, CTL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1 내지 14의 숫자 시료는 좌측부터 순서대로 대추 추출물, 불미나리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청피 추출물, 진피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모과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방풍 추출물, 갯기름나물 추출물, 감국 추출물 및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험군 시료별로 좌측은 1mg/ml, 우측은 10mg/ml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9를 보면,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보았을 때, 알코올만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52.46%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알코올에 의하여 간 세포가 산화적 손상을 받아 괴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각 제조예의 시료를 well당 1, 10 mg/ml씩 농도별로 전 처리한 다음 알코올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세하게는, 방풍(110.0%), 갯기름나물(104.3%), 감국(96.0%), 대추(98.72%), 청피(96.72%), 모과(94.72%) 및 진피(90.0%)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에서 매우 유의적으로 높은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의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콩나물(72.0%), 불미나리(84.0%), 헛개나무 열매(80.72%), 감초(80.7%), 갈근(70.0%) 및 미숙과 복분자(78.0%)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에서도 유의적인 알코올성 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볼 수 있었다.
<알코올 처리에 의한 조직 손상에 대한 복합 추출농축물의 보호효과 측정(in vitro)>
6주령의 스프라그-다울리(Sprague-Dawley(SD))계의 수컷 흰쥐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간 조직을 분리하고 트립신을 처리하여 간 세포를 분리시키고 각 well 당 1x 105 cells/ml로 조절하여 100 μl씩 well에 넣은 다음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예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복합추출 농축물과 알코올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의 측정을 위한 MTT assay는 Sladowski 등의 방법(Sldowski D., Steer S. J., Clothier R.H., Balls M., An improved MTT assay. J. Immun. Methods, 1993, 157, 203, 207)을 따라 행하였다. 간세포를 배양시킨 96 well plate에 PBS에 용해한 MTT 용액 (5g/ml)을 가하고, CO2 incubator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한 뒤 DMSO : EtOH (1:1 v/v)를 well 당 100 μl씩 넣고 20분간 shaking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해 MTT dy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가 blue formazan을 형성하는 것을 ELISA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코올에 의하여 유발되는 소화기 조직 세포 손상에 대한 복합추출농축물의 보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복합 추출물의 조성물을 시료로 하여, 일차배양한 간 세포에 농도별로 각 시료를 전처리한 다음, 알코올을 1mM이 되도록 첨가하고 다시 12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냈다. 도 10에 있어서, CTL 및 EtOH는 각각 미처리군 및 알코올처리군의 대조군을 의미하며, 시료에서 좌측은 25%(wt%), 우측은 50%(wt%)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실험군 시료는 하기 표 3의 조성의 복합 추출물을 이용하였으며, 하기 표 3의 S5 시료는 본 발명의 표 1의 실시예(SR-5)와 동일하다.
원료명 조성비 (%)
S1 S2 S3 S4 S5 S6
대추 0% 0 5% 0% 4% 0%
불미나리 15% 15% 15% 15% 15% 15%
콩나물 20% 20% 20% 20% 20% 20%
인진쑥 8% 10% 0% 8% 8% 8%
청피 13% 13% 13% 0% 13% 13%
진피 0% 0% 0% 13% 0% 0%
헛개 10% 10% 10% 10% 9% 10%
모과 6% 6% 6% 6% 5% 6%
갈근 4% 5% 5% 4% 3.5% 4%
감초 4% 5% 5% 4% 3.5% 4%
갯기름나물 5% 0% 5% 5% 5% 0%
방풍 0% 0% 0% 0% 0% 5%
감국화 5% 6% 6% 5% 5% 5%
미숙과 복분자 10% 10% 10% 10% 9% 10%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도 10을 참조하면,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보았을 때, 알코올만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59.93%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결과에서 알코올에 의하여 간세포가 산화적 손상을 받아 괴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시료로 복합추출물을 well당 1, 10 mg/ml씩 농도별로 전처리한 다음 알코올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천연물 성분들을 특징적인 배합비로 혼합하는 경우에 각 천연물의 상호 보완적인 효과가 발생하여 단일 추출물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 추출농축물의 혈중 알코올 분해 효과 측정>
6주령의 스프라그-다울리(Sprague-Dawley(SD))계의 수컷 흰쥐를 중앙실험동물 로부터 구입하여 각 처리구당 7마리씩 선별하여 음용수만 제공하고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40% 에탄올을 스테인레스 스틸 존데 (길이, 10 ㎝)를 사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40%(v/v) 에탄올을 마우스당 10 ㎖/㎏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째에 음성대조군에는 물만 10 ㎖/㎏을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에는 시중에 판매되는 숙취음료를 10 ㎖/㎏을 투여하였으며, 시료군에는 150 ㎕/㎏ 농도로 하여 10 ㎖/㎏을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숙취해소로서 한국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여명 808 (그래미사)을 비교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경구투여 후 30분, 1, 2, 4시간째에는 안와채혈을 하였고 마지막 8시간째에는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였으며,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알콜농도 측정용 킷트 (시그마사, 미국, 337A)를 이용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비교하였을 때, 복합 추출물의 조성물이 투여된 실험군의 혈중 알콜농도가 알코올 투여 8시간 후에 10 mM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우수한 알코올 분해능 및 숙취해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SR-5)의 혈중 알콜농도는 5.74 mM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숙취음료(6.89 mM)보다 현저히 우수한 효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위 보호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알코올성 손상 저감 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알코올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장 조직의 손상으로 유발되는 위장 질환 대하여 현저히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6)

  1.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대추, 불미나리, 콩나물, 인진쑥, 청피, 헛개나무 열매, 모과, 갈근, 감초, 갯기름나물, 감국 및 미숙과 복분자를 추출 원료로 하는 물 추출물이고,
    상기 위장 질환은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 총 100wt%에 대하여, 대추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불미나리의 물 추출물 10 내지 20wt, 콩나물의 물 추출물 15 내지 25wt%, 인진쑥의 물 추출물 5 내지 10wt%, 청피의 물 추출물 10 내지 15wt%, 헛개나무 열매의 물 추출물 5 내지 15wt%, 모과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갈근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감초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갯기름나물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감국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및 미숙과 복분자의 물 추출물 5 내지 15wt%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질환은 알코올성 손상 또는 스테로이드 제제성 손상으로 유발된 것인,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대추, 불미나리, 콩나물, 인진쑥, 청피, 헛개나무 열매, 모과, 갈근, 감초, 갯기름나물, 감국 및 미숙과 복분자를 추출 원료로 하는 물 추출물이고,
    상기 위장 질환은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 총 100wt%에 대하여, 대추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불미나리의 물 추출물 10 내지 20wt, 콩나물의 물 추출물 15 내지 25wt%, 인진쑥의 물 추출물 5 내지 10wt%, 청피의 물 추출물 10 내지 15wt%, 헛개나무 열매의 물 추출물 5 내지 15wt%, 모과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갈근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감초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갯기름나물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감국의 물 추출물 1 내지 10wt% 및 미숙과 복분자의 물 추출물 5 내지 15wt%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질환은 알코올성 손상 또는 스테로이드 제제성 손상으로 유발된 것인,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10081219A 2021-06-23 2021-06-23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19A KR102588372B1 (ko) 2021-06-23 2021-06-23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19A KR102588372B1 (ko) 2021-06-23 2021-06-23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02A KR20230000002A (ko) 2023-01-02
KR102588372B1 true KR102588372B1 (ko) 2023-10-13

Family

ID=8492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219A KR102588372B1 (ko) 2021-06-23 2021-06-23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3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459A (ko) * 2011-04-04 2011-05-30 정필구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4964A (ko) 2019-01-31 2020-08-10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감국 추출물 및 아마인유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1898A (ko) * 2020-08-20 2020-08-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진쑥 수용성 추출물, 그 용도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02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esh et al. Antioxidant and medicinal properties of mulberry (Morus sp.): A review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30059984A (ko) 인삼의 가공방법 및 가공인삼 추출물의 용도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Pareek et al. Indian gooseberry (emblica officinalis gaertn.)
Duda-Chodak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selected herbal medicinal products used in Poland
KR20110033644A (ko)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1774769B1 (ko)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247611B1 (ko) 기침, 가래 예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식품
KR102092509B1 (ko)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973195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2588372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06552B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115398B1 (ko) 항산화능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2153830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2661369B1 (ko)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2621205B1 (ko) 옻 추출물, 장수버섯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