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459A -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459A
KR20200048459A KR1020180130573A KR20180130573A KR20200048459A KR 20200048459 A KR20200048459 A KR 20200048459A KR 1020180130573 A KR1020180130573 A KR 1020180130573A KR 20180130573 A KR20180130573 A KR 20180130573A KR 20200048459 A KR20200048459 A KR 20200048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on
filtrate
pear
composi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268B1 (ko
Inventor
박연자
김순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Priority to KR102018013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2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A) 배를 끓여서 여과한 배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절단된 유자의 과피와 과육을 혼합한 유자 혼합물을 끓여서 여과한 유자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D) 자연발효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혼합하여 끓여서 여과하는 단계; 및 (E) (D)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Preparation manufacturing of composition for the improving of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pear and citron, and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급속한 성장, 환경오염, 인구의 증가로 인해 대기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은 이미 자연적인 순환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직접적인 질병 발생 문제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호흡기 질환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매년 증가 추세인 것으로 알려지며, 각종의 언론 보도에서는 미세먼지와 황사 등 대기오염으로 인해 수도권에서만 한 해 30세 이상 성인 1만 5000여 명이 기대 수명을 채우지 못한 채 조기 사망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처럼, 대기오염은 천식, 호흡기 질환, 급만성 기관지염 , 심혈관 질환, 폐암 등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 천식은 이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호흡기계 질환이며, 호흡기계의 염증에 관계된 IL-4/IL-13/STAT(CK Oh et al. 2010; Seo JW et al. 2013), L-셀렉틴(selectin)과 세포내 부착분자(adhesion molecule)-1 등에 의해 야기된다고 알려져 있다(Tang MLK & Fiscus LC 2001).
상기 천식의 치료에는 주로 기관지 확장제 약물인 디소디움 크로모글리케이트(disodium cromoglycate), 크로모린 소디움(cromolyn sodium), 네도크로밀 소디움(nedcromil sodium), 케토티펜(ketotifen)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기관지 이완제 및 천식에 관여하는 다양한 염증 반응들에 초점을 둔 염증 매개 인자들의 생성 저해제 또는 대사 저해제 등을 이용한 약물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거담제는 식물 등을 이용하여 민간약 또는 경험처방으로 사용하여 왔고, 최근 사용되는 약물로는 카르보시스테인(carbocysteine),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등과 같은 시스테인유도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이 완전히 만족할 만한 효과를 갖고 있지 않으며, 독성이 강하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호흡기계와 관련된 난치성 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는 천식은 그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법과 치료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각 치료제의 장단점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오랜 기간 호흡계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다양한 천연물질에 대한 효능의 검색을 통해 천식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동시에 천식에 대한 발병기전과 억제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551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535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배를 끓여서 여과한 배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절단된 과피와 과육을 혼합한 유자 혼합물을 끓여서 여과한 유자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자연발효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혼합하여 끓여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은 1 : 1-4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혼합한 혼합 여과액에 유자과피분말을 첨가하여 자연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배여과액, 유자여과액 및 유자과피분말은 1 : 1-4 : 0.1-0.5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은 1 : 0.1-0.5 : 0.3-0.8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D)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천식 등의 기관지 질환에 효과가 우수하여 기관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조성물 등의 제조를 위한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어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와 유자는 둘 다 찬성질의 과일로서, 함께 사용하면 배탈 등 인체에 해로울 수 있어 보통 생으로 같이 섭취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면 배와 유자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인체에 해롭지 않고 오히려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배를 끓여서 여과한 배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절단된 과피와 과육을 혼합한 유자 혼합물을 끓여서 여과한 유자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 자연발효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혼합하여 끓여서 여과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 단계 및 (B)단계에서는 각각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수득한다.
상기 배는 폐에 윤기를 주고, 가래를 삭히며, 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 등에 좋다. 또한, 체내 독소를 배출해내는 효과도 있어, 내부 순환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내부 열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에도 도움을 주며 수분 함유율이 높아 피부 수분 공급에도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배를 80 내지 120 ℃에서 5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시간 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배여과액을 수득한다. 배를 끓일 때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고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텁텁한 맛이 강하고 상기 범위인 경우보다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과가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상기 유자에는 피로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구연산이 풍부하며 레몬의 3배나 되는 비타민 C가 들어있어 감기 증상 완화에 좋다. 또한 유자의 '리모넨' 성분은 목의 염증과 기침을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감기 증상에 특효를 보이며, 유자의 비타민 C는 감기 증상뿐 아니라 피부 미용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뿐만 아니라, 멜라닌 세포의 활동을 억제해 잡티, 기미, 주근깨를 예방할 수 있으며 콜라겐 생성을 돕고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피부 노화와 주름 생성을 막아준다.
본 발명에서 유자 혼합물은 과육과 과피를 1 : 0.2-0.5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으로서, 상기 비율로 사용하면 기관지 질환에 효과적이다.
상기 제조된 유자 혼합물을 80 내지 120 ℃에서 3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시간 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유자여과액을 수득한다. 유자 혼합물을 끓일 때 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고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없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자연발효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이 혼합된 혼합 여과액에 유자과피분말을 첨가하여 자연발효시킨다. 상기 유자과피분말은 유자의 과피만 분쇄하여 수득한 것으로서,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후 유자나무 가지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쓴맛을 제거하고 좋은 향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은 1 : 1-4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2-3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더욱이, 상기 배여과액, 유자여과액 및 유자과피분말은 1 : 1-4 : 0.1-0.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2-3 : 0.3-0.4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배여과액을 기준으로 유자여과액 및 유자과피분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고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신맛과 쓴맛이 강하고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과가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자연발효는 23 내지 28 ℃(상온)에서 10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시간 동안 수행된다. 자연발효의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배와 유자가 어울리지 못하여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맛이 텁텁해지고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자연발효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혼합하여 끓여서 여과함으로써 여과물을 수득한다.
상기 유자나무의 가지는 찌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기혈(氣穴)을 소통시키고 혈액순환을 해주는 효능이 있어서 약재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유자나무의 잎은 동의보감에서는 '술독을 풀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본초강목에서는 '뇌혈관장애 중풍에 좋다'라고 기록되어 혈액순환, 노폐물 배설 등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유자나무의 가지는 자연발효물과 함께 사용되어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며, 유자나무의 잎은 유자나무의 가지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성의 저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은 1 : 0.1-0.5 : 0.3-0.8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2-0.3 : 0.4-0.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내지 120 ℃에서 1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 동안 끓인 후 여과한다. 자연발효물을 기준으로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 잎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어 소비자의 섭취가 불가능하다.
또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끓이는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과가 향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하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여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D)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1 내지 5 ℃에서 5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상기 (D)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숙성시킴으로써 관능성 및 기관지 질환에 대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 조성물의 형태는 과립, 환, 분말, 즙, 티백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 과립 또는 환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동결건조한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반죽물을 이용하여 과립 또는 환의 형태로 성형한다.
다른 예로, 과립, 분말, 환 및 즙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한 다음 상기 수득된 분말을 성형하여 과립 또는 환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과립, 분말 및 환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건조시켜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일부만 건조시켜 과립 또는 환의 모양으로 성형한 후 다시 건조시켜 완전한 과립 또는 환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원재료 분말을 사용하므로 부형제 등의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유효성분이 더욱 다량으로 수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티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동결건조한 분말을 80 내지 120 ℃에서 로스팅하여 티백에 포장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10 내지 1500 mg/k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mg/kg의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의 제조를 위한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배여과액
세척한 배를 110 ℃에서 10시간 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배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유자여과액
세척한 유자의 과육과 과피를 1 : 0.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10 ℃에서 6시간 동안 끓인 다음 여과하여 유자여과액을 수득하였다.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상기 제조된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자연발효시킨 후 상기 자연발효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1 : 0.2 : 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10 ℃에서 3시간 동안 끓인 다음 여과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유자과피분말 추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배여과액, 유자여과액 및 유자과피분말을 1 : 2 : 0.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자연발효시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숙성 추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혼합하여 끓인 다음 여과한 여과물을 3 ℃에서 12시간 동안 숙성시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유자청 사용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유자여과액을 제조 시 생유자 대신 유자청을 사용하여 110 ℃에서 6시간 동안 끓인 다음 여과하여 이용하였다.
비교예 2. 자연발효 생략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자연발효를 생략한 것으로서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1 : 0.2 : 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10 ℃에서 3시간 동안 끓인 다음 여과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유자나무의 가지 및 잎 생략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생락한 것으로서,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자연발효시킨 자연발효물을 조성물로 이용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항천식 활성 측정
1)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오브알부민(ovalbumin)으로 천식을 유도한 실험동물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항천식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동물
특정병원체 부재(SPF)의 6주령 암컷 BALB/c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선택하였다. 동물 수는 시험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충분한 수로 산정하며 투여물질에 따라 총 6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당 8마리씩 산정하였다. 산정 기준은 부검 시 4마리는 BALF(기관지허파꽈리 세척액) 채취, 4마리는 폐조직을 얻기 위함이다.
실험동물은 온도 23±3 ℃,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20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 및 조도 150~300 Lux로 유지되는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동물은 적량의 깔개를 담은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서 순화 및 투여기간에 사육상자 당 4마리 이하로 사육하였다.
실험방법
동물실험일정은 동물 입수 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 내에서 6일간 순화기간을 가지고 매일 1회 이상 관찰하였다. 시험군은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한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순위화하고 각 군의 평균체중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시험군을 무작위 분배하여 군분리하였다. 각 그룹은 대조군, OVA대조군, 양성대조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50 mg/kg, 250 mg/kg, 500 mg/kg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은 순화기간 후 2주간 1주 1회 복강주사로 OVA를 감작한다. 3주째부터 5일 동안 오전에 양성대조물질과 시료를 경구투여하고 오후에 5% OVA 용액 흡입을 실시하였다. 투여액량은 실험동물 체중(g) 당 28 μL를 경구투여하였고 감작은 체중과 상관없이 마리당 일정량을 투여하였다. 5일 동안 투여 후 그 다음날 부검을 실시하였다.
투여방법
- 복강투여: OVA(난백알부민, Sigma Aldrich, Louis, MO, USA, 카탈로그 번호:A5503) 20 μg + alumhydrate(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카탈로그 번호:77161) 1 mg + 생리식염수(normal saline, JW Pharmaceutical, 서울, 대한민국) 500 μL/head로 투여하였다. 투여해야할 동물 마리수를 총 50 마
리로 계산하여 OVA 1000 μg + alum hydrate 50 mg + 생리식염수 25 mL로 환산하여 조제하였다. 주 1회로 2주간 복강주사로 감작시키고 1 mL 시린지를 이용하여 주사하였다.
- 경구투여: 대조군과 OVA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투여용 시료 조성물은 0.5% 메틸셀룰로스(Sigma Aldrich, Louis, MO, USA, 카탈로그 번호:M0387)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고농도는 100 mg의 시료 조성물을 칭량하여 5.6 mL의 0.5% 메틸 셀룰로스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중농도는 20 mg의 시료 조성물을 칭량하여 5.6 mL의 0.5% 메틸 셀룰로스에 용해시키고, 저농도는 2 mg의 더덕 추출물을 칭량하여 5.6 mL의 0.5% 메틸 셀룰로스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서 덱사메타손(DEX, SAMNAM Pharm, 충남, 대한민국)은 생리식염수에 넣고 보텍싱으로 용해시켜 최종 투여액량에 맞게 조제하였다. 모든 조제는 투여 당일 조제한다.
- 흡입(Inhalation): OVA 1 g + 생리식염수 20 mL (5% OVA 용액)로 만들어 보텍싱하여 투여하였다. neublizer(OMRON, NE-U17)를 사용하여 5일 동안 강제 흡입을 실시하고 흡입챔버(inhalation exposure chamber)를 이용하여 전신노출시켰다.
2) 분석 방법
(1) 일반증상관찰: 모든 시험군의 동물에 대하여 입수일부터 부검일까지 매일 1회 이상 일반증상 관찰을 수행하였다.
(2) 체중변화량 및 사료섭취량: 시험기간 중 3일 1회 측정하였다.
(3) 부검: 최종 부검일(D20)에 모든 마우스를 부검하였다. 각 실험군에서 앞 번호 4마리는 BALF, 비장을 채취하고, 나머지는 폐, 비장을 채취하였다. 혈청은 모든 마우스에서 채취하였다.
(4) 조직 및 장기의 보관
- 비장 및 폐: 부검 시 1/2은 액체질소에 넣어 급속동결한 후 초저온냉동고 혹은 액체질소통(약 -75 ℃)에 보관하여 PCR/웨스턴 블로팅용으로 활용하고, 1/2은 10% 포르말린 용액에 보관하여 조직병리 및 면역조직화학(IHC)용으로 활용하였다.
- BALF 채취: 마취된 실험동물을 핀셋으로 조직을 벌려 기관을 확보 후 수술실을 밑으로 넣어주어 느슨히 묶어주고 가위로 기관을 살짝자른 후 니들을 제거한 주사기에 PBS 0.2 mL을 넣고 존데에 꽃은 후 주입하였다. 주입 후 다시 PBS를 빨아들이면서 BALF를 채취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0.2 mL 씩 3번 BALF를 채취하였다.
3) 시료분석 및 결과
(1) 일반증상관찰
모든 군에서 실험기간 중 특별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체중변화량 및 사료섭취량
실험군 사이에서 유의할 만한 체중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3) BALF의 혈구분석
첫 번째 채취한 BALF는 1번 튜브, 두 번째, 세 번째 채취한 BALF는 2번 튜브에 같이 넣었다. 1번 튜브는 5분간 3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3번으로 옮긴 후 남은 펠릿과 PBS 20 μL를 넣어 혼합하였다. 2번 튜브는 5분간 3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고 펠릿과 PBS 60 μL를 넣어 혼합한 후 1번의 20 μL와 혼합하여 총 80 μL로 혈구분석기(Hemavet 950FS, Drew Scientific Inc, Korea)를 활용하여 혈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채혈은 심장 채혈로 하였다.
BALF의 IgE 분석은 BD 마우스 IgE ELISA 세트(BD OptEIA, 카탈로그 번호: 555248)를 사용하며, 시약은 키트 Datasheet에 맞게 준비하였다. Coat 마이크로웰에 코팅 완충액으로 희석한 Capture Ab를 100 μL씩 넣고 커버를 덮고 4 ℃에서 하룻밤 방치하고 세척 완충액으로 300 μL씩 3번 세척하였다. 각 웰에 어세이 희석액 200 μL씩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300 μL씩 3번 세척하였다. 각 웰에 어세이 희석액으로 희석한 표준물과 샘플 100 μL씩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완충액 300 μL로 5번 세척하고 각 웰에 Working Detector (Detection Antibody + SAv-HRP reagent)를 100μL씩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완충액으로 300 μL씩 7번 세척한 후 각 웰에 TMB 기질 용액을 100 μL씩 넣고 실온의 암조건에서 30분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웰에 중지액을 50 μL씩 첨가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BALF 중 분화 세포수(Differential cell count)는 하기 [표 1]에서 WBC 세포수, [표 2]에서 중성 백혈구(NE) 수, [표 3]에서 호산구 수 및 [표 4]에서 IgE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구분(단위: X103 cell/uL) 농도(mg/kg)
50 250 500
대조군 0.21
OVA대조군 6.43
DEX양성대조군 1.99
실시예 1 5.31 2.15 3.68
실시예 2 5.24 1.84 3.44
실시예 3 5.22 1.80 3.42
비교예 1 5.95 5.41 5.56
비교예 2 6.39 6.05 5.91
비교예 3 6.34 5.98 5.71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WBC 세포수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250 mg/kg에서 가장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WBC 세포수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단위: X103 cell/uL) 농도(mg/kg)
50 250 500
대조군 0.14
OVA대조군 0.86
DEX양성대조군 0.22
실시예 1 0.81 0.25 0.34
실시예 2 0.70 0.20 0.36
실시예 3 0.66 0.17 0.30
비교예 1 0.85 0.70 0.82
비교예 2 0.86 0.80 0.86
비교예 3 0.86 0.75 0.79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 시 중성 백혈구(NE, Neutrophil)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250 mg/kg에서 가장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중성 백혈구 수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단위: X103 cell/uL) 농도(mg/kg)
50 250 500
대조군 0.08
OVA대조군 0.14
DEX양성대조군 0.09
실시예 1 0.13 0.10 0.12
실시예 2 0.12 0.09 0.10
실시예 3 0.12 0.08 0.09
비교예 1 0.14 0.11 0.13
비교예 2 0.15 0.13 0.14
비교예 3 0.14 0.12 0.14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 시 호산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250 mg/kg에서 가장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호산구 수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단위: X103 cell/uL) 농도(mg/kg)
50 250 500
대조군 8.39
OVA대조군 33.24
DEX양성대조군 16.48
실시예 1 23.46 20.86 21.44
실시예 2 20.11 17.69 19.48
실시예 3 18.25 15.27 19.05
비교예 1 29.45 28.11 32.48
비교예 2 32.15 31.78 33.15
비교예 3 30.91 29.96 31.62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 시 IgE 변화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250 mg/kg에서 가장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IgE 변화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천식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1 내지 3은 천식에 거의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A) 배를 끓여서 여과한 배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절단된 유자의 과피와 과육을 혼합한 유자 혼합물을 끓여서 여과한 유자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자연발효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을 혼합하여 끓여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은 1 : 1-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배여과액 및 유자여과액을 혼합한 혼합 여과액에 유자과피분말을 첨가하여 자연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배여과액, 유자여과액 및 유자과피분말은 1 : 1-4 : 0.1-0.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자연발효물, 유자나무의 가지 및 유자나무의 잎은 1 : 0.1-0.5 : 0.3-0.8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D)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20180130573A 2018-10-30 2018-10-30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KR10225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73A KR102252268B1 (ko) 2018-10-30 2018-10-30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73A KR102252268B1 (ko) 2018-10-30 2018-10-30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59A true KR20200048459A (ko) 2020-05-08
KR102252268B1 KR102252268B1 (ko) 2021-05-14

Family

ID=7067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73A KR102252268B1 (ko) 2018-10-30 2018-10-30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099A (ko) 2020-09-21 2022-03-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산양산삼이 강화된 배무엿 진액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0373A (ko) 2020-12-22 2022-06-29 이완행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203A (ko) * 2004-12-18 2005-01-31 윤영숙 천식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090130963A (ko) * 2008-06-17 2009-12-28 이병두 천식에 유효한 한약재를 이용한 가열 배즙 제조
KR20170053536A (ko) 2015-11-06 2017-05-16 주식회사 웰파이토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및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5852A (ko) * 2016-04-08 2017-10-18 이성표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20068A (ko) * 2016-08-17 2018-02-27 김창순 유자씨를 포함한 유자 열매 전체를 원료로 한 천연 항산화 유자발효원액 제조방법
KR101855187B1 (ko) 2018-02-13 2018-06-08 한도라지영농조합법인 도라지와 배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및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203A (ko) * 2004-12-18 2005-01-31 윤영숙 천식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090130963A (ko) * 2008-06-17 2009-12-28 이병두 천식에 유효한 한약재를 이용한 가열 배즙 제조
KR20170053536A (ko) 2015-11-06 2017-05-16 주식회사 웰파이토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및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5852A (ko) * 2016-04-08 2017-10-18 이성표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20068A (ko) * 2016-08-17 2018-02-27 김창순 유자씨를 포함한 유자 열매 전체를 원료로 한 천연 항산화 유자발효원액 제조방법
KR101855187B1 (ko) 2018-02-13 2018-06-08 한도라지영농조합법인 도라지와 배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및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099A (ko) 2020-09-21 2022-03-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산양산삼이 강화된 배무엿 진액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0373A (ko) 2020-12-22 2022-06-29 이완행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268B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4339B2 (ja) 月経前症候群及び月経痛緩和の機能を持つ組成物
JP6362764B2 (ja) ピスタキア ウェインマニフォリア抽出物、その分画物またはこれらから分離された化合物を含む慢性閉塞性肺疾患(copd)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CN103987395A (zh) 含有鱼腥草提取物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和治疗痴呆、帕金森病或癫痫的药物组合物
JP2010265251A (ja) 血流促進改善剤
KR102252268B1 (ko)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JP2018516987A (ja) 阿魏茸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代謝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又は健康機能性食品
JP5597828B2 (ja) 育毛剤
KR101837173B1 (ko) 인삼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0475A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3536A (ko)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및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98635A (zh) 一种具有增强免疫力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JP2015010067A (ja) 肝機能改善用製剤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32961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413283B1 (ko) 면역력 증강을 위한 면역증강복합물을 이용한 인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 조성물
KR20120138392A (ko) 알코올성 간손상 내지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60022190A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71571B1 (ko)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1367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및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과 아토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31295B1 (ko) 곤드레 착즙액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