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860A -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860A
KR20120123860A KR1020110041455A KR20110041455A KR20120123860A KR 20120123860 A KR20120123860 A KR 20120123860A KR 1020110041455 A KR1020110041455 A KR 1020110041455A KR 20110041455 A KR20110041455 A KR 20110041455A KR 20120123860 A KR20120123860 A KR 20120123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composition
liv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094B1 (ko
Inventor
임재웅
Original Assignee
보해양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해양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해양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 이상의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을 통해 알코올 흡수를 보다 지연시키고 간의 해독을 도움으로써 숙취해소 효능이 극대화됨은 물론, 간 기능 개선 효과 또한 현저히 향상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OR IMPROVING LIVER FUNCTION}
본 발명은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 이상의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을 통해 알코올 흡수를 보다 지연시키고 간의 해독을 도움으로써 숙취해소 효능이 극대화됨은 물론, 간 기능 개선 효과 또한 현저히 향상된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잦은 음주기회에 노출되어 있으며, 과음으로 인한 숙취는 자주 나타나면서도 유쾌하지 못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 또는 현상을 초래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구토, 메스꺼움, 현기증, 갈증, 무기력함, 두통, 근육통 등이 있다.
숙취 증상은 보통 술을 마신 뒤 몇 시간 내에 시작되며 이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는 것과 일치한다. 숙취의 원인으로는 탈수현상, 전해질 부족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특히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 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미치는 각종 부작용으로 요약된다.
술의 주성분인 알코올은 섭취된 후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에 의해 간으로 옮겨진다. 이후 간에서 대사작용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된다. 간세포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가 있어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알데히드는 다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 조직 등으로 옮겨져 분해되는 것이나, 이 과정에서 음주량이 많게 되면 미처 아세트알데히드가 산화되지 않고 축적됨으로서 그 독소에 의해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를 받아 두통, 속쓰림, 구토증상 등과 같은 숙취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예전부터 숙취해소와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차 또는 음료 등을 개발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개발된 제품들은 일부 숙취증상에만 효과가 있거나 숙취해소 효과가 전반적으로 미미하였으며 심지어는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또는 복통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 또한 있어 아직까지 전반적인 숙취증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손상된 간을 보호 및 치료함으로써 근본적인 신체 생리기능의 회복을 유도하는 음료의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종 이상의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을 통해 알코올 흡수를 보다 지연시키고 간의 해독을 도움으로써 숙취해소 효능이 극대화됨은 물론, 간 기능 개선 효과 또한 현저히 향상된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 0.5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중량부, 오리나무 추출물 0.6 내지 1.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 중량부,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0.017 내지 0.06 중량부(고형분 55%),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4 중량부, 가시오가피 농축액 0.03 내지 0.09 중량부(고형분 85%),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07 중량부,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 0.4 내지 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9 중량부, 밀크씨슬 추출물 0.024 내지 0.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08 중량부 및 글루타치온 0.015 내지 0.0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울금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가시오가피 농축액,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글루타치온을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알코올 흡수를 보다 지연시키고 간의 해독을 도와 숙취해소 효능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간 기능 개선 효과 또한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상기 울금추출물은 입수 또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울금 원료를 세척하여 80~120℃에서 2~5시간 추출하고 여과를 거쳐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압 농축된 울금 추출물을 65~85℃에서 10~20분 동안 살균하고 냉각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울금은 주성분으로 커큐민(Curcumin)이라는 황색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약용부로 쓰이는 뿌리줄기에 특히 커큐민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울금은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어 간세포의 재생촉진작용과 간 해독 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담작용, 위액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이 탁월하고 담즙분비촉진 및, 담낭결석, 황달, 간장질환, 간염, 담석증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입수 또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오리나무의 원료를 세척하고 80~120℃에서 2~5시간 추출한 후 여과를 거쳐 감압농축하는 단계; 상기 감압 농축된 오리나무 추출물을 물에 용해하여 용해된 수용성 물질을 취하여 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된 수용성 물질을 급냉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오리나무는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 간 질환에 치료효과가 탁월한 약나무로서 껍질에 수종의 플라보노이드와 탄닌 성분이 있으며, 열매에 10%이상의 탄닌과 0.2% 정유를 포함한다. 오리나무의 잎과 잔가지 껍질을 약으로 사용하며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떫고 매우며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오리나무 잔가지나 껍질을 알려서 마시면 숙취해소와 간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과병 추출물은 헛개나무의 과병을 추출한 것으로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데, 상기 헛개나무과병 추출물은 입수 또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할 경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원료 헛개나무과병을 선별하여 80~120℃에서 2~5시간 추출한 후 여과를 거쳐 효소분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효소분해된 헛개나무과병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고 살균하여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효소분해는 30~50℃에서 아밀라아제 또는 셀룰라아제 등의 분해효소를 가하여 2~10시간 교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헛개나무의 열매는 갈색이며, 은은한 향기와 단맛이 있어 식용이 가능하다. 열매는 주정중독, 소변 불리, 구토에 효과가 있고 과경은 건위, 자양보혈에 효과가 있다. 과병과 줄기는 단맛과 향을 내어 식용, 과주(果酒) 및 약용으로 주독(酒毒)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어왔으며 특히 과병은 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헛개나무는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고,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멈추게 하므로 숙취 제거와 알코올 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및 대장염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나다.
상기 가시오가피 농축액은 입수 또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가시오가피 가지와 뿌리 부분을 그늘에 음건하고 절단하여 물로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된 가시오가피를 80~120℃의 물에서 1~3차에 걸쳐 가열 및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농축액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시오가피의 절단은 바람직하게는 약 3~7cm 정도의 크기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3차에 걸쳐 수행할 경우, 1차 가열 추출단계 및 2차 가열 추출단계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20~3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22~26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고, 3차 가열 추출단계는 바람직하게는 6~1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가열 추출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물의 양을 가시오가피 중량의 3~5배로 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시오가피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 브레크만 교수가 프랑스에서 열린 국제학회(1976)에서 가시오가피 뿌리가 어떤 약재보다 효능이 탁월한 약용식물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이후 각광 받기 시작한 소재이다. 가시오가피는 호르몬계 기능을 조절 및 촉진시키고 심혈관, 중추 신경계 질환을 개선시키고, 신진대사 기능을 조절하고 고혈압, 관상동맥경화증을 개선하는데 효능이 탁월하다.
상기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GMT-ALC-5L)은 입수 또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원료 탈지미강, 미배아, 및 탈지대두를 혼합하여 정제수로 가열하고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단계를 거쳐 발효가 완료된 혼합물을 추출 및 압착하고 한외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정밀여과를 거쳐 농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GMT-ALC-5L)은 미배아와 대두를 호알칼리성 미생물(낫또균)을 사용하여 알칼리 조건에서 배양한 천연소재로서 위에서 분해 되어 알코올 분자와 결합,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키고 소변으로 배출시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저하시키고, 알코올 냄새를 저하시키고 간 기능 개선에 매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한외여과를 통하여 저분자화함으로써 체내 흡수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입수 또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할 경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밀크씨슬 씨 원료를 선별 및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된 원료를 6~10 mesh로 여과하여 Alc.70~90%(v/v) 곡물주정으로 2회 반복 추출하고 150~250mesh로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물을 잔사와 추출용액으로 분리하여 추출용액을 냉각한 후 진공 농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농축 단계 이후에, 상기 농축물을 정제수로 희석하고 흡착한 다음 Alc.70~90%(v/v) 곡물주정으로 농축물을 분리하고, Alc.70~90%(v/v) 곡물주정 용리액 일부를 회수하는 단계; 상기 회수단계 이후에 상기 분리된 농축물을 350~450mesh로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단계 이후에 진공 농축 및 용매 회수 후 살균 및 분말화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착은 매크로 다공성 흡착수지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밀크씨슬(Milk Thistle)은 엉겅퀴 식물의 일종으로 보라색 꽃을 피우며 씨앗에서 추출한 실리마린(Silymarin)이란 물질은 매우 강력한 항독성 물질로 간에서 독성물질과 불필요한 섬유질을 제거한다. 밀크씨슬은 또한 알코올의 중화와 해독, 간 질환 완화, 활성산소로부터 간세포 보호, 면역기능 강화에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글루타치온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핍을 예방함으로써 알코올로 인해 손상된 간세포를 복구하고 간 조직을 재생하여 간을 건강히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글루타치온은 글라이신, 글루타메이트, 시스테인 세 가지 아미노산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백질(트리펩타이드)이며, 간에서 생산되는 수용성의 가장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암 억제 및 항노화 영양소를 가진 주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유독물질, 알코올 등의 대사가 이루어지는 간에 글루타치온의 농도가 가장 많으며, 독성물질을 대사하여 담즙으로 배설시킨다. 글루타치온은 간과 세포에서 프리라디컬을 제거하여 세포손상을 방지하여 과음으로부터 간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유효성분들을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하여 음용함으로써 알코올 흡수를 보다 지연시키고 간의 해독을 도와 숙취해소 효능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간 기능 개선 효과 또한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울금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중량부, 오리나무 추출물 0.6 내지 1.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 중량부,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0.017 내지 0.06 중량부(고형분 55%),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4 중량부, 가시오가피 농축액 0.03 내지 0.09 중량부(고형분 85%),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07 중량부,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GMT-ALC-5L) 0.45 내지 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9 중량부, 밀크씨슬 추출물 0.024 내지 0.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08 중량부 및 글루타치온 0.015 내지 0.0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각 성분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는 증가할 수 있더라도 다른 추출물과의 맛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추출물들은 각각의 유효성분을 별도로 추출한 것이거나 또는 모든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 상태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추출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고형분 함량 기준’이라 함은, 각각의 유효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액상의 추출물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난 뒤에 고형분만의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각 성분들을 별개로 추출하여 사용할 경우, 추출용매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식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각종 식품류,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각종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음료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이 음료일 경우, 본 발명의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정제수와, 감미료, 산미료, 증점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감미료는 설탕, 과당, 올리고당, 포도당, 아스파탐, 솔비톨, 자일리톨, 스테비오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미료는 비타민C, 비타민B6, 사과산,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는 펙틴, 덱스트린, 검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료는 사과농축과즙, 딸기농축과즙 등의 각종 과일농축과즙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비타민C, 비타민B6, 사과농축과즙, 결정과당, 프락토올리고당, 효소처리스테비오사이드, 드링크향 및 벌꿀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를 각각 구연산 0.3~0.8 중량부, 비타민C 0.01~0.02 중량부, 비타민B6 0.001~0.002 중량부, 사과농축과즙 0.8 ~ 2 중량부(고형분 73% 이상), 결정과당 1~5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3 ~ 8 중량부(고형분 75% 이상), 효소처리스테비오사이드 0.01~0.05 중량부, 드링크향 0.005 ~ 0.015 중량부, 및 벌꿀향 0.01 ~ 0.04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음주 전 또는 음주 후 복용시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켜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키고 체내 알코올 분해를 촉진할 수 있으며, 간 기능 개선이 극대화되어 우수한 간 독성의 해독작용을 함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원료의 준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사용된 울금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GMT-ALC-5L), 및 밀크씨슬 추출물은 ㈜ 두한 바이오에서 입수하였고, 헛개나무과병 추출물은 ㈜ 진성에프엠, 가시오가피 농축액은 정해식품영농조합법인, 글루타치온(HITHON YH-8)은 KOHJIN Co.Ltd에서 각각 입수하였다.
실시예 1.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제조
울금 추출물 1g, 오리나무 추출물 1.2g,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0.04g(고형분 55%), 가시오가피 농축액 0.06g(고형분 85%),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GMT-ALC-5L) 0.7g, 밀크씨슬 추출물 0.05g, 및 글루타치온 0.03g를 혼합하고, 정제수를 96.93g로 추가하고 혼합 교반하였다. 이후 97℃까지 가온 살균하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제조 - 감미
정제수를 제외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후, 구연산 0.4g, 비타민C 0.013g, 비타민B6 0.0015g, 사과농축과즙 1.36g(고형분 73%), 결정과당 2g, 프락토올리고당 5g(고형분 75%), 효소처리스테비오사이드 0.03g, 드링크향 0.017g, 및 벌꿀향 0.022g를 첨가하고, 정제수를 88.08g로 추가하여 혼합 교반하여 첨가제가 추가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1.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실험예 1-1.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GMT - ALC -5L, 밀크씨슬 혼합 추출물 수용액의 함량별 영향 시험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GMT-ALC-5L, 밀크씨슬 추출물 수용액을 각각 실험동물에 투여하여 함량에 따른 실험동물의 혈중 에탄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3주령의 Sprague Dawley계 체중 200~220g인 흰쥐 수컷 36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고형시료와 수돗물을 자유 섭취하도록 하며 2주간 예비 사육한 후, 각 군당 3마리씩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12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구분 실험 조건
대조군 무처리 
비교군1 A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2 w/w %, 고형분 55%)
B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4 w/w %, 고형분 55%)
C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6 w/w %, 고형분 55%)
D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8 w/w %, 고형분 55%)
E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수용액 투여 (0.1 w/w %, 고형분 55%)
비교군2 A 밀크씨슬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1 w/w %)
B 밀크씨슬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5 w/w %)
C 밀크씨슬 추출물 수용액 투여 (0.1 w/w %)
비교군3 A GMT-ALC-5L 수용액 투여 (0.1 w/w %)
B GMT-ALC-5L 수용액 투여 (0.5 w/w %)
C GMT-ALC-5L 수용액 투여 (1 w/w %)
D GMT-ALC-5L 수용액 투여 (5 w/w %)
18시간 절식 후, 비교군 1~3은 각 시료를 표 1의 농도로 조제하여 1000mg/kg씩 스테인레스 스틸 존대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에 대조군과 비교군1~3에 알코올(일반 소주 1병 용량, Alc.19.5%)을 3g/kg의 양으로 경구투여하고, 투여 후 1시간 및 3시간째에는 안와에서, 5시간째에는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청에서의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여 각각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혈중 에탄올농도
(mg%)
구분
1시간 3시간 5시간
대조군 244.57 ± 3.57 166.49 ± 3.98 153.33 ± 4.12
비교군1 A 117.63 ± 4.12 102.87 ± 3.54 99.57 ± 3.25
B 98.79 ± 4.29 88.57 ± 3.75 80.31 ± 4.34
C 96.27 ± 3.62 84.19 ± 3.54 74.68 ± 3.98
D 88.35 ± 3.76 78.62 ± 3.25 70.17 ± 3.02
E 92.46 ± 3.58 80.22 ± 3.25 71.08 ± 3.17
비교군2 A 130.57 ± 3.21 121.16 ± 3.44 100.76 ± 3.18
B 99.87 ± 4.13 86.74 ± 3.57 77.91 ± 4.21
C 95.63 ± 3.72 83.99 ± 2.97 75.74 ± 3.66
비교군3 A 131.69 ± 3.58 127.34 ± 3.09 110.57 ± 3.24
B 111.53 ± 3.61 103.06 ± 3.48 98.13 ± 3.75
C 90.66 ± 3.9 61.63 ± 3.13 78.43 ± 3.07
D 80.35 ± 3.42 71.79 ± 3.85 56.97 ± 3.8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수용액의 경우, 함량이 0.1%(w/w)를 초과하면 함량이 증가하여도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에 큰 유의적 차이가 없는 반면, 관능상 조화롭지 못한 문제가 있었으며, 밀크씨슬 추출물 수용액의 경우 0.1%(w/w)를 초과하여 사용시 또는 수용성 분말형태로 사용시에 침전현상이 심하여 육안상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관능적으로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GMT-ALC-5L 수용액의 경우, 1%(w/w)를 초과하면 특유의 향으로 인한 불쾌취를 유발하여 관능상 조화롭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물질들은 각각 헛개나무과병 추출물의 경우 0.1%(w/w) 이하,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0.1%(w/w%) 이하, GMT-ALC-5L의 경우 1%(w/w)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주 원료 각각, 각 원료의 혼합 수용액 및 실시예 1의 조성물 각각의 함량별 영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료 조성물, 상기 음료 조성물의 주원료인 울금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가시오가피 농축액,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GMT-ALC-5L), 밀크씨슬 추출물, 글루타치온 각각의 수용액, 및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GMT-ALC-5L, 밀크씨슬 혼합 추출물 수용액을 각각 실험동물에 투여하여 주원료 각각 및 각 성분의 혼합 수용액과 상기 실시예 1의 음료가 실험동물의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3주령의 Sprague Dawley계 체중 200~220g인 흰쥐 수컷 39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고형시료와 수돗물을 자유 섭취하도록 하며 2주간 예비 사육한 후, 각 군당 3마리씩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1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구분 실험 조건
대조군 무처리 
비교군4 울금 추출물 수용액 투여 (1w/w%)
비교군5 가시오가피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6 w/w%, 고형분 85%)
비교군6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수용액 투여 (0.04 w/w%, 고형분 55%)
비교군7 오리나무 추출물 수용액 투여 (1.2 w/w%)
비교군8 글루타치온 수용액 투여 (0.03 w/w%)
비교군9 밀크씨슬 수용액 투여 (0.05 w/w%)
비교군10 GMT-ALC-5L 수용액 투여 (0.7 w/w%)
비교군11 헛개나무과병 추출물(0.04w/w%), 밀크씨슬(0.05 w/w%) 혼합수용액 투여
비교군12 헛개나무과병 추출물(0.04w/w%), GMT-ALC-5L(0.7 w/w%) 혼합 수용액 투여
비교군13 GMT-ALC-5L(0.7 w/w%), 밀크씨슬(0.05 w/w%) 혼합 수용액 투여
비교군14 헛개나무과병 추출물(0.04w/w%), GMT-ALC-5L(0.7 w/w%), 밀크씨슬(0.05 w/w%) 혼합 수용액 투여
실험군 실시예 1의 음료 조성물 투여
18시간 절식 후, 비교군 4~14는 각 시료를 상기 표 3의 농도(실시예 1의 조성물 제조시의 농도)로 조제하여 1000mg/kg씩 스테인레스 스틸 존대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고, 실험군은 실시예 1의 음료 조성물 1000mg/kg을 경구투여 하였다. 30분 후에 대조군, 비교군 4~14, 실험군에 알코올(일반 소주 1병 용량, Alc.19.5%.)을 3g/kg의 양으로 경구투여하고, 투여 후 1시간 및 3시간째에는 안와에서, 5시간째에는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청에서의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각각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혈중 에탄올농도
(mg%)
구 분
1시간 3시간 5시간
대조군 242.88 ± 3.4 167.84 ± 4.02 151.63 ± 3.96
비교군 4 134.17 ± 3.78 103.62 ± 3.68 95.27 ±4.65
비교군 5 126.14 ± 4.12 111.43 ± 2.57 106.95 ± 4.87
비교군 6 99.63 ± 3.98 87.86 ± 3.99 81.62 ± 3.18
비교군 7 125.58 ± 3.17 116.02 ± 4.34 109.32 ± 4.22
비교군 8 130.34 ± 4.51 105.32 ± 4.26 100.66 ± 4.86
비교군 9 100.18 ± 3.4 87.62 ± 3.65 79.59 ± 4.34
비교군 10 99.84 ± 2.98 74.58 ± 4.28 65.88 ± 4.16
비교군 11 66.19 ± 5.33 57.97 ± 5.32 51.43 ± 4.82
비교군 12 67.35 ± 4.82 60.48 ± 5.44 59.02 ± 4.31
비교군 13 62.76 ± 3.69 61.55 ± 3.82 58.74 ± 4.15
비교군 14 54.23 ± 2.77 50.36 ± 4.69 48.97 ± 3.79
실험군 42.85 ± 2.69 36.22 ± 3.27 31.69 ± 3.05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g%)
구 분
1시간 3시간 5시간
대조군 0.235 0.178 0.159
비교군 4 0.234 0.131 0.108
비교군 5 0.219 0.128 0.101
비교군 6 0.227 0.094 0.079
비교군 7 0.225 0.128 0.104
비교군 8 0.256 0.114 0.108
비교군 9 0.217 0.098 0.081
비교군 10 0.236 0.106 0.088
비교군 11 0.241 0.073 0.059
비교군 12 0.225 0.079 0.064
비교군 13 0.238 0.082 0.077
비교군 14 0.205 0.051 0.049
실험군 0.163 0.027 0.014
상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군4~14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중 에탄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험군은 1시간째 혈중 에탄올 농도가 비교군 4~14 중 가장 효과가 좋게 나타난 비교군 14의 5시간째 농도인 약 48.97mg% 보다도 낮은 약 42.85 mg%로 나타났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또한 5시간째에 측정시 실험군의 농도가 0.014 mg% 인 반면 비교군 14의 농도가 이보다 3배 이상 높은 0.049 mg%로 나타나 실험군의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감소효과가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실시예 1의 음료 조성물은 각각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숙취해소 능력을 극대화 시켜 혈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탁월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체내 알코올 농도에 대한 영향 평가
성인남녀 10명의 피실험자(성별: 남 5명, 여 5명, 나이: 20~40세, 체중: 50~75kg)들을 대상으로 알코올 360ml(일반 소주 1병 용량, Alc.19.5%)를 음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음주 후 아무것도 섭취 않은 상태로 30분 후에 음주측정기(TNT TECH)로 알코올 농도(mg/L)를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동일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대조군 실험 2주 경과 후, 음주 후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음용하도록 하고 30분 후 상기 음주측정기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각 알코올 농도 수치를 표 6 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실험군
알코올 음용 직후의 알코올 농도(mg/L) 알코올 음용 30분 후
알코올 농도(mg/L)
알코올 음용 직후의 알코올 농도(mg/L) 알코올 음용 30분 후
알코올 농도(mg/L)
1 0.08 0.11 0.07 0.05
2 0.06 0.08 0.08 0.03
3 0.11 0.16 0.13 0.05
4 0.05 0.1 0.12 0.06
5 0.09 0.12 0.08 0.05
6 0.08 0.13 0.08 0.03
7 0.07 0.11 0.07 0.02
8 0.13 0.15 0.11 0.06
9 0.11 0.13 0.15 0.05
10 0.17 0.19 0.15 0.06
평균 0.095 0.128 0.104 0.046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코올 농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p<0.001).
구체적으로 대조군의 경우, 알코올 음용 30분 후 알코올 농도가 알코올 음용 직후의 알코올 농도에 비해 약 1.15 ~ 약 2배 정도로 훨씬 증가하였음에 반해, 음주 후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음용하도록 한 실험군의 경우 약 0.29~ 약 0.63배 정도로 알코올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알코올음료 음용 직후 30분경과 시 일반적으로 체내 알코올 농도가 증가하지만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음료를 음용 시 체내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여 체내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복용시점에 따른 영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음료 조성물을 성인남녀 25명의 피실험자(성별: 남자 15명, 여자 10명, 나이 : 20~40세, 체중: 50~75kg)들을 대상으로 음주 30분전과 음주 30분 후에 복용하게 한 후 숙취증상에 대한 영항을 문답 조사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알코올은 0.78g/체중 kg으로 섭취하도록 하였다(척도: 5-대단히 심하다, 4-보통으로 심하다, 3-심하지도 덜하지도 않다. 2-보통으로 덜하다, 1-대단히 덜하다).
구 분 척도 평균값
음주 30분 전 음주 30분 후
오심, 구토 1.24 1.2
메스꺼움 및 속쓰림 1.32 1.32
어지러움 1.2 1.2
두통 1.24 1.2
과도한 갈증 1.2 1.24
설사 및 구취 1.28 1.32
무기력함 1.44 1.4
상기 표 7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피실험자들의 전반적인 숙취증상의 해소 효과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나 상기 조성물이 실제로 숙취증상 해소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결과는 음주 30분 전 또는 음주 30분 후 음용의 결과 값에 유의적 차이가 없이 나타난 점에 비추어(p<0.001),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숙취해소 효능은 복용 시점에 비의존적으로 발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간 독성 해독에 미치는 영향 평가
실험예 4-1. 울금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글루타치온의 수용액의 함량별 영향 시험
울금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글루타치온의 함량별 수용액의 간 독성 해독에 미치는 영향를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 3 주령의 체중 180~200g Sprague-Dawley (NTacSam:SD)계 흰쥐 수컷 63마리를 사용하였다. 사육 및 사육기간 동안 온도는 22±2℃로 유지하였고 평균 체중이 유사하도록 2~3마리씩 분리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지에 넣어 2주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군당 3마리씩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21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구 분 실험 조건
정상군 올리브오일 투여
대조군 생리식염수+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비교군15 A 울금 추출물 수용액(0.5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B 울금 추출물 수용액(1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C 울금 추출물 수용액(1.5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D 울금 추출물 수용액(5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비교군16 A 헛개나무 추출물 수용액(0.02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B 헛개나무 추출물 수용액(0.04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C 헛개나무 추출물 수용액(0.06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D 헛개나무 추출물 수용액(0.08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비교군17 A 오리나무 추출물 수용액(0.5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B 오리나무 추출물 수용액(1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C 오리나무 추출물 수용액(1.5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D 오리나무 추출물 수용액(5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비교군18 A 글루타치온 수용액(0.01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B 글루타치온 수용액(0.05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C 글루타치온 수용액(0.1 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비교군19 A 밀크씨슬 수용액 투여(0.01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B 밀크씨슬 수용액 투여(0.03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C 밀크씨슬 수용액 투여(0.05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D 밀크씨슬 수용액 투여(0.1w/w%)+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투여
실험기간은 일주일이며 1일 1회씩 대조군은 생리식염수(0.9 w/v% NaCl) 5ml/체중 kg씩 경구투여하였고, 비교군 15~19는 각 시료를 표 8의 농도의 용액으로 조제하여 200ml/체중 kg씩 경구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은 간 독성 유발 시험 16시간 전부터 절식시켰다.
마지막 경구투여 후 3시간 후 정상군에 대하여 올리브 오일을 0.2ml/체중 100g 씩 복강 내 투여하였고, 대조군, 및 비교군 15-19에 대하여 CCl4와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0.2ml/체중 100g을 복강 내 주사하여 간 독성을 유발하였다. 간 독성 유발 48시간 후에 모든 군에 대하여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고 복부 대동맥에서 채혈하였다. 채혈한 후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취하였다. 혈청에서의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se aminotransferase) 활성도를 ALT와 AST assay kits(Sigma Chemical. Co., ST.Lowis, MO, USA)를 사용해 측정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 분 ALT(karmen/ml) AST(karmen/ml)
정상군 16.44 ± 1.88 145.36 ± 3.49
대조군 267.21 ± 2.06 470.53 ± 4.13
비교군15 A 247.33 ± 1.27 458.01 ± 4.03
B 241.73 ± 2.18 450.98 ± 3.49
C 237.36 ± 2.68 446.24 ± 4.81
D 214.62 ± 1.81 429.56 ± 4.65
비교군16 A 253.74 ± 1.24 466.12 ± 4.53
B 247.57 ± 1.15 451.69 ± 4.32
C 239.68 ± 1.88 448.89 ± 4.57
D 234.15 ± 1.56 437.99 ± 4.06
비교군17 A 251.12 ± 1.75 452.33 ± 3.89
B 247.87 ± 1.63 450.52 ± 4.21
C 240.88 ± 2.11 440.66 ± 4.64
D 217.27 ± 1.89 425.49 ± 4.52
비교군18 A 241.76 ± 2.04 449.02 ± 3.98
B 229.44 ± 1.87 435.12 ± 4.54
C 222.36 ± 1.55 431.32 ± 4.16
비교군19 A 252.79 ± 1.88 458.07 ± 4.15
B 242.57 ± 2.69 445.83 ± 3.98
C 239.41 ± 1.46 440.04 ± 3.27
D 231.97 ± 1.55 433.57 ± 4.14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간 독성 해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울금 추출물 수용액의 경우 함량이 1%(w/w)를 초과하면 관능시 맛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헛개나무 추출물 수용액의 경우 함량이 증가하여도 활성도가 유의적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관능적으로 조화롭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리나무 추출물 수용액의 경우 함량이 증가할 수록 활성도는 증가하지만 침전현상이 심하고 불쾌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으며, 글루타치온 수용액의 경우 0.05% (w/w) 이상부터는 활성도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밀크씨슬 수용액의 경우 0.1%(w/w)를 초과하면 침전이 크게 발생하여 관능적으로 조화롭지 못하며 함량 0.03%(w/w) 이상부터는 활성도의 차이가 비슷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울금 추출물의 경우 1%(w/w) 이하,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0.1%(w/w)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2. 주 원료 각각, 각 원료의 혼합 수용액 및 실시예 1의 조성물 각각의 함량별 영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료 조성물, 상기 음료 조성물의 주원료인 울금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가시오가피 농축액,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GMT-ALC-5L), 밀크씨슬 추출물, 글루타치온 각각의 수용액, 및 울금추출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GMT-ALC-5L, 밀크씨슬 혼합 추출물 수용액을 각각 실험동물에 투여하여 주원료 각각 및 각 성분의 혼합 수용액과 상기 실시예 1의 음료의 간 기능 개선으로 인한 간 독성 해독에 미치는 영향를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 3주령의 체중 180~200g Sprague-Dawley (NTacSam:SD)계 흰쥐 수컷 90마리를 사용하였다. 사육 및 사육기간 동안 온도는 22±2℃로 유지하였고 평균 체중이 유사하도록 2~3마리씩 분리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지에 넣어 2주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군당 3마리씩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30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구 분 실험 조건
정상군 올리브오일 투여
대조군 생리식염수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0 울금 추출물 수용액(1.0w/w%) 투여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1 가시오가피 추출물 수용액(0.06 w/w%) 투여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2 헛개나무 추출물 수용액(0.04 w/w%) 투여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3 오리나무 추출물 수용액(1.2 w/w%) 투여+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4 글루타치온 수용액(0.03 w/w%) 투여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5 밀크씨슬 수용액 투여(0.05w/w%)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6 GMT-ALC-5L 수용액 투여(0.7w/w%)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7 울금추출물(1.0w/w%) 헛개나무추출물(0.04 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8 울금추출물(1.0w/w%) 오리나무추출물(1.2 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29 울금추출물(1.0w/w%) 글루타치온(0.03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0 울금추출물(1.0 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1 헛개나무추출물(0.04 w/w%) 오리나무추출물(1.2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2 헛개나무추출물(0.04 w/w%) 글루타치온(0.03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3 헛개나무추출물(0.04 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4 오리나무추출물(1.2w/w%) 글루타치온(0.03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5 오리나무추출물(1.2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6 글루타치온(0.03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7 울금추출물(1.0w/w%) 헛개나무추출물(0.04 w/w%) 오리나무추출물(1.2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8 울금추출물(1.0w/w%) 헛개나무추출물(0.04 w/w%) 글루타치온(0.03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39 울금추출물(1.0w/w%) 헛개나무추출물(0.04 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40 헛개나무추출물(0.17 w/v%) 오리나무추출물(1.2w/w%) 글루타치온(0.03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41 헛개나무추출물(0.17 w/v%) 오리나무추출물(1.2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42 오리나무추출물(1.2w/w%) 글루타치온(0.03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43 울금추출물(1.0w/w%) 헛개나무추출물(0.04 w/w%) 오리나무추출물(1.2w/w%) 글루타치온(0.03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44 울금추출물(1.0w/w%) 헛개나무추출물(0.04 w/w%) 오리나무추출물(1.2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45 헛개나무추출물(0.04 w/w%) 오리나무추출물(1.2w/w%) 글루타치온(0.03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비교군46 울금추출물(1.0w/w%) 헛개나무추출물(0.04 w/w%) 오리나무추출물(1.2w/w%) 글루타치온(0.03w/w%) 밀크씨슬(0.05w/w%)+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실험군 실시예 1의 음료 투여 + CCl4 및 올리브오일의 혼합물 투여
실험기간은 일주일이며 1일 1회씩 대조군은 생리식염수(0.9 w/v% NaCl) 5ml/체중 kg씩 경구투여하였고, 비교군20~46은 각 시료를 상기 표 10의 농도(실시예 1 제조 시 농도)의 용액으로 조제하여 200ml/체중 kg씩 경구투여하였고, 실험군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200ml/체중 kg씩 경구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은 간 독성 유발 시험 16시간 전부터 절식시켰다. 마지막 경구투여 후 3시간 후 정상군에 대하여 올리브 오일을 0.2ml/체중 100g 씩 복강 내 투여하였고, 대조군, 비교군20-46 및 실험군에 대하여 CCl4와 올리브오일의 혼합물(1:4v/v%) 0.2ml/체중 100g을 복강 내 주사하여 간 독성을 유발하였다. 간 독성 유발 48시간 후에 모든 군에 대하여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고 복부 대동맥에서 채혈하였다. 채혈한 후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취하였다. 혈청에서의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se aminotransferase) 활성도를 ALT와 AST assay kits(Sigma Chemical. Co., ST.Lowis, MO, USA)를 사용해 측정하여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ALT( karmen / ml ) AST( karmen / ml )
정상군 16.53 ± 0.25 143.47 ± 4.32
대조군 262.42 ± 1.38 469.85 ± 4.27
비교군 20 238.27 ± 2.47 444.28 ± 4.69
비교군 21 235.65 ± 2.61 449.34 ± 4.02
비교군 22 243.33 ± 2.34 449.67 ± 4.23
비교군 23 240.74 ± 2.99 442.29 ± 4.8
비교군 24 232.64 ± 2.47 434.53 ± 4.26
비교군 25 234.86 ± 2.55 439.84 ± 4.92
비교군 26 242.48 ± 2.09 450.31 ± 4.57
비교군 27 225.56 ± 2.72 430.37 ± 4.62
비교군 28 222.19 ± 1.98 435.54 ± 4.58
비교군 29 224.74 ± 2.35 429.18 ± 4.29
비교군 30 221.58 ± 2.69 434.66 ± 4.67
비교군 31 221.66 ± 2.41 438.27 ± 4.85
비교군 32 218.08 ± 2.33 434.59 ± 4.99
비교군 33 222.34 ± 2.85 435.38 ± 4.57
비교군 34 220.32 ± 2.56 433.13 ± 4.37
비교군 35 224.17 ± 2.15 432.97 ± 4.18
비교군 36 221.30 ± 2.86 430.86 ± 4.65
비교군 37 212.34 ± 2.14 415.22 ± 4.25
비교군 38 210.42 ± 2.36 419.79 ± 4.62
비교군 39 205.59 ± 2.97 421.29 ± 4.83
비교군 40 202.52 ± 2.55 418.95 ± 4.57
비교군 41 201.87 ± 2.27 416.38 ± 4.15
비교군 42 199.78 ± 2.68 414.86 ± 4.59
비교군 43 190.64 ± 2.32 399.69 ± 4.74
비교군 44 192.86 ± 2.24 400.65 ± 4.66
비교군 45 189.27 ± 2.56 398.49 ± 4.23
비교군 46 172.99 ± 2.57 372.84 ± 4.26
실험군 154.43 ± 2.84 336.58 ± 4.59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ALT 활성은 약 172 내지 243karmen/ml, AST 활성은 약 372 내지 450 karmen/ml 로 나타난 반면, 실험군의 경우, ALT 활성은 대조군의 최소값보다도 약 18 karmen/ml 정도 낮은 약 154 karmen/ml 로 나타났으며, AST 활성 또한 대조군의 최소값인 약 372 karmen/ml보다 약 36 karmen/ml 정도 낮은 약 336 karmen/ml 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ALT와 AST 활성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크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비교군과 실험군의 ALT와 AST 활성 차이가 현저하게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minotransferase(아미노기 전이효소)는 어떤 조직에나 존재하는 효소로서 AST는 심간, 간, 골격, 혈구 내에 주로 분포하고 80%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고, ALT는 주로 간에 분포하고 세포질에 존재한다. 간세포 손상 시 이 효소들의 혈중 유출이 용이하여 혈청 효소 활성치가 증가하게 되는데, 실험군의 aminotransferase의 수치(AST, ALT)가 대조군의 수치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것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이 간 독성의 우수한 해독작용을 보여주기 때문이며, 비교군 수치보다 실험군의 수치가 낮음은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기능을 가진 원료를 적절한 함량으로 혼합하여 간 기능 개선이 극대화 되어 탁월한 간 독성의 해독작용을 보여주기 때문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숙취해소 뿐만 아니라 간 기능성 개선에도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울금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오리나무 추출물 0.6 내지 1.8 중량부, 고형분이 55% 이상인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0.017 내지 0.06 중량부, 고형분이 85% 이상인 가시오가피 농축액 0.03 내지 0.09 중량부,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 0.4 내지 1.1중량부, 밀크씨슬 추출물 0.024 내지 0.1 중량부 및 글루타치온 0.015 내지 0.07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의 조성물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인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구연산, 비타민C, 비타민B6, 사과농축과즙, 결정과당, 프락토올리고당, 효소처리스테비오사이드로, 드링크향 및 벌꿀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구연산 0.3~0.8 중량부, 비타민C 0.01~0.02 중량부, 비타민B6 0.001~0.002 중량부, 고형분이 73% 이상인 사과농축과즙 0.8~2 중량부, 결정과당 1~5 중량부, 고형분이 75% 이상인 프락토올리고당 3~8 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오사이드 0.01~0.05 중량부, 드링크향 0.005~0.015 중량부 및 벌꿀향 0.01~0.04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10041455A 2011-05-02 2011-05-02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0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55A KR101301094B1 (ko) 2011-05-02 2011-05-02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55A KR101301094B1 (ko) 2011-05-02 2011-05-02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860A true KR20120123860A (ko) 2012-11-12
KR101301094B1 KR101301094B1 (ko) 2013-08-28

Family

ID=4750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455A KR101301094B1 (ko) 2011-05-02 2011-05-02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9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500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풀무원 아스파라거스, 울금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70011313A (ko) * 2015-07-22 2017-02-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19017603A3 (ko) * 2017-07-20 2019-03-07 주식회사 네츄럴 라이프 마름 추출물 및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1938A (ko) * 2017-09-29 2019-05-15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WO2019212202A1 (ko) * 2018-04-30 2019-11-07 동아제약 주식회사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20200004942A (ko) *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200092692A (ko) 2019-01-25 2020-08-04 안원희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20085638A (ko) * 2020-12-15 2022-06-22 (주)옵티마케어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17742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피코엔텍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83B1 (ko) 2020-02-27 2020-12-29 주식회사 보주방 숙취 해소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61B1 (ko) 2000-06-08 2003-01-10 주식회사 조선내츄럴 숙취해소용 건강차 제조방법
KR20010111557A (ko) * 2001-11-05 2001-12-19 박종수 간기능 개선 조성물
KR100853939B1 (ko) 2007-03-07 2008-08-25 유상훈 고추잎을 주원료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500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풀무원 아스파라거스, 울금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70011313A (ko) * 2015-07-22 2017-02-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19017603A3 (ko) * 2017-07-20 2019-03-07 주식회사 네츄럴 라이프 마름 추출물 및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1938A (ko) * 2017-09-29 2019-05-15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WO2019212202A1 (ko) * 2018-04-30 2019-11-07 동아제약 주식회사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20200004942A (ko) *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200092692A (ko) 2019-01-25 2020-08-04 안원희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20085638A (ko) * 2020-12-15 2022-06-22 (주)옵티마케어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17742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피코엔텍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094B1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902539B1 (ko) 전복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CN104287036B (zh) 一种中草药绿茶保健醋饮料及生产工艺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N104560576B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525478B1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20100003045A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20210063657A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859722B1 (ko) 배 퓨레를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96598A (zh) 一种复合黑菊芋运动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