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478B1 -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478B1
KR101525478B1 KR1020130107591A KR20130107591A KR101525478B1 KR 101525478 B1 KR101525478 B1 KR 101525478B1 KR 1020130107591 A KR1020130107591 A KR 1020130107591A KR 20130107591 A KR20130107591 A KR 20130107591A KR 101525478 B1 KR101525478 B1 KR 10152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hangover
alcoh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664A (ko
Inventor
이지연
이정민
박정희
박재현
우종수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7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4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6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1Inos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갈근 추출물, 마름 추출물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며, 이에 따라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낮출 수 있는바, 숙취해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갈근 추출물, 마름 추출물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알코올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술 소비량은 1인당 1주일에 소주 2병 정도인데, 전체 인구 중에서 술을 안 마시거나 적당하게 마시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상기 양의 2~3배 이상을 마시는 과음자는 상당수 존재한다. 음주자의 비중 및 음주 빈도를 볼 때, 과음자는 전체 음주자의 27.9%를 차지하며 음주 빈도가 1주일에 4회 이상을 차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문헌(제갈정, 한국인의 음주실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참조]. 과음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과음과 폭음에 의해 야기되는 사회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알코올은 지나치게 과량 섭취하게 될 경우 숙취현상이 나타난다. 숙취란, 술 등 알코올 음료를 자신의 대사 능력 이상으로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불쾌한 신체적 상태를 말한다. 숙취는 급성 알코올 중독과는 달리 생활에 직접적인 위험은 아니지만 종종 멀미와 두통 등의 현저한 불쾌감을 동반한다. 보통, 과음한 다음날이면 얼굴이나 눈이 붓고, 집중력 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다량의 또는 지속적인 알코올 유입시 지방간, 간경변증과 같은 여러 가지 간기능 장애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음주 후 숙취 증상의 원인으로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산물의 독성, 흡수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 등이 알려져 있다. 과음하는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면서 혈압이 저하되고 뇌로 공급되는 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두통을 일으키거나 구토, 현기증, 탈수로 인한 설사, 갈증, 호르몬의 변조 및 근육통 등이 야기된다(Swift & Davidson, 1998; Mezey, 1985; Helander & Tottmar, 1988).
과음을 계속하면 몸 여러 곳에 위해를 가하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장기가 간이다. 알코올 성분은 간에서 분해 처리되며 휴식할 틈도 없이 다량의 알코올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간세포가 손상을 받게 된다. 알코올은 g당 7 kcal라는 높은 열량을 내므로, 알코올 중독자는 배고픈 줄 모르고 식사를 거르는 수가 많은데 알코올이 내는 칼로리는 영양분이 되지 않으므로 음식을 먹지 않고 독주만 마시면 단백질이나 비타민과 같은 영양분의 결핍상태가 오기 쉽고 영양 결핍 상태는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알코올의 80~90% 정도는 간세포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분해되고 다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대사되어 아세테이트(acetate)를 형성한 후 이산화탄소와 물로 가수분해되어 체내에서 완전히 분해된다(Peters, 1982: Badawy et al., 2011; Joenje et al., 2011; Holmuhamedov et al., 2012).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의한 알코올 분해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3081937141-pat00001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에 의한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 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3081937141-pat00002
위와 같은 알코올의 대사과정 중 ADH와 ADLH의 활성도를 높이는 경우 알코올 분해과정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과정이 촉진되어 신속한 숙취해소가 가능하다.
숙취해소를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콩나물국, 북어국 또는 조개국을 끓여 마시거나 꿀물을 마시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콩나물국의 콩나물에는 아스파라긴산이 함유되어 있고, 북어국에는 메티오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개국에는 타우린, 베타인, 아미노산, 헥산류가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전통적인 방법은 음식을 조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도 여러 숙취해소 음료가 출시되어 있다. A사의 제품에는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55 Brix) 1.0%, 글루타메이트(일본산, 미배아), 효모 추출물혼합분말(일본산, 글루타치온 5% 함유), 자리 추출물분말, 황기로터스 추출물 및 소량의 비타민 및 아미노산류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B사의 제품에는 액상추출차로서 오리나무, 마가목, 감초, 갈화, 갈근, 사인, 박 등의 천연재료가 함유되어 있으며, C사의 제품에는 울금 엑기스분말, 오리나무 추출분말, 상엽 추출분말, 양파 추출분말, 미배아 대두발효 추출액, 유산균발효다시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분말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도 일반적으로 숙취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원료로는 강황, 인진쑥, 구기자, 미나리, 민들레, 연잎 추출물, 감 농축액 등이 있고, 최근에는 황칠목 추출분말 등의 천연생약을 사용한 제품도 있다.
하지만, 이들 제품은 1회 섭취량 기준으로 고형분으로 환산할 때 상기 주원료의 함량이 1g을 넘지 않아 효과가 우수하지 않으며, 숙취 증상의 한 가지인 영양결핍을 해소할 수 있는 비타민 및 아미노산의 배합 비율도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칡(Pueraria thunbergiana)은 콩과 칡 속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서, 칡의 뿌리를 갈근이라 하여 주로 약용한다. 주요 효능으로서, 갈근은 알코올 중독, 해열작용, 경련완화작용, 이뇨작용, 식욕부진, 구토, 소갈병, 답답한 속, 기관지염, 방광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름(Trapa bispinosa ROXB.)은 물에 떠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길쭉한 줄기를 가지며 마디마다 깃털 모양으로 갈라진 물속뿌리(水中根)를 형성하여 떠다닌다. 마름은 물밤(water nut)이라고도 하며, 자양, 강장의 효능이 있어 신체가 허약한 사람에게는 좋은 영양제가 될 뿐만 아니라 해독과 지갈(止渴)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 헛개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헛개나무의 열매는 지구자, 뿌리는 지근, 나무껍질은 지구목피, 잎은 지구엽이라고 불리며, 알코올 중독(주취, 주독, 술독), 간장질환, 입안이 마르는 현상 및 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이뇨작용으로 해독 등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천연생약 원료들은 단독으로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조합의 효과 및 숙취해소를 위한 최적의 배합 비율 등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갈근 추출물, 마름 추출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조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들을 최적 함량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숙취해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근 추출물, 마름 추출물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며, 이에 따라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낮출 수 있는바, 숙취해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16종의 천연원료의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갈근 추출분말, 마름 추출분말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 중 하나의 원료의 배합 비율을 증가시켜 측정한 상대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조성물 및 시판중인 숙취해소 음료 5종에 대한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조성물을 랫트에게 투여한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조성물을 랫트에게 투여한 후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추출물"은 착즙액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액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이를 분말화한 것이다. 착즙액 등은 목적하는 원료를 그대로 또는 파쇄하거나 절단한 후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압착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물 등은 목적하는 원료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 과정에 의해 분리된 물질로서,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f) 부틸아세테이트, (g) 1,3-부틸렌글리콜, 또는 (h)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은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은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농축 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며,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추출물은 착즙액 또는 이의 농축물, 추출액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이의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갈근 추출물, 마름 추출물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갈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칡(Pueraria thunbergiana)의 뿌리를 절단, 마쇄, 착즙 및 여과하여 15~17 브릭스(brix)의 갈근즙 농축액을 얻고, 이를 분말화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된 갈근 추출물은 상기 갈근즙 농축액에 덱스트린을 첨가한 후, 이를 분말화하여 수득될 수 있다. 특히 10~15 브릭스의 갈근즙 농축액은 ADH 125.1% 및 ALDH 128.1%의 숙취개선 효과를 나타내는데 반해, 15~17 브릭스의 갈근즙 농축액은 ADH 143.9% 및 ALDH 168.1%이 숙취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갈급즙 농축액이 10~15 브릭스보다 15~17 브릭스에서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가 월등히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마름 추출물은 마름(Trapabispinosa ROXB.)의 열매에 5~15배수의 물을 넣고 50~121℃에서 2~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박이 제거된 10~20 브릭스(Brix)의 마름 농축액을 얻고 이를 분말화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된 마름 추출분말은 상기 마름농축액에 덱스트린을 첨가한 후, 이를 분말화하여 수득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사용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은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의 열매를 채취하여 물을 첨가한 후 고온에서 수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취하고 냉각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에 8배수의 물을 첨가한 후 추출기에서 95℃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고(1차 추출액), 다시 6배수의 물을 첨가한 후 추출기에서 9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고(2차 추출액), 이를 50℃ 이하로 냉각 및 여과한 후 55 브릭스로 진공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갈근 추출물, 마름 추출물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은 단독으로도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조합시 유의적으로 상승된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를 나타낸다. 천연원료의 경우 단독으로는 효과를 나타내더라도 조합시 서로의 효과를 방해하여 효과가 저하되거나 효과의 상승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에 따른 3종의 추출물은 서로 조합되어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므로, 숙취해소 효과가 뛰어나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갈근 추출물 0.5~2.0 중량%, 마름 추출물 0.05~1.0 중량%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2~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은 신속한 효과 및 영양공급을 위해 아미노산 또는 비타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또는 비타민의 예로는 타우린, 베타인, 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아미드, 이노시톨 또는 비타민 B군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미노산 또는 비타민은 전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타우린 0.1~2.5 중량%, 베타인 0.05~0.50 중량%, 아스코르브산 0.05~0.50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5~0.050 중량%, 이노시톨 0.01~0.10 중량% 및 비타민 B군 0.005~0.0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타우린은 소의 담즙 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며, 오징어와 낙지 등의 신경섬유에도 많이 존재한다. 타우린은 쓸개즙을 만드는 것 외에도 근골격계를 만들고 심혈관계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며, 피로 회복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시사상식사전, 2013, 박문각).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베타인은 흰색의 결정으로서 약간의 냄새와 단맛이 있으며, 명아주과 사탕무의 당밀을 분리 및 정제하여 얻어진다.베타인은 오징어, 문어, 새우 등의 근육에도 분포한다. 베타인의 주요 기능으로 혈압강하, 항혈당작용, 시력회복, 해독작용, 세포 복제 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을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며, 알코올로 인해 손상된 지방간을 치료하는 항지간작용 외에도 카르니틴(carnitine)을 생성하여 신장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두산백과사전)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비타민은 열량원은 아니지만 생리적 기능 조절에 절대적 작용을 하고 있어 부족하면 여러 가지 결핍증상을 나타낸다.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은 대표적인 항산화제로서 콜라겐 형성, 면역기능 향상, 철 흡수 촉진 등의 기능을 한다. 아스코르브산이 부족할 경우 괴혈병, 상처치유지연, 체중감소, 피로 등이 나타난다.
비타민 B군은 B1(thiamin), B2(riboflavin), 나이아신(niacin), B6, B12 등으로 분류된다. 비타민 B1은 열량 공급과 신경 체계의 올바른 기능에 필수적이며, 부족할 경우 각기증상(beriberi), 식욕부진, 피로감을 초래한다. 비타민 B2는 영양소로부터 단백질 분리에 관여하는데 부족할 경우 성장 저해, 구내염, 구각염, 설염, 눈부심 등의 증상을 초래한다. 비타민 B3(니코틴산)은 체내 산화환원 작용에 필수요소로서 부족할 경우 설염, 피부 및 점막손상 등을 초래한다. 비타민 B6는 단백질 대사 및 지방합성에 필요하며, 부족할 경우 두통, 구토, 빈혈 증상을 초래한다. 비타민 B12는 골수 내 혈액세포 성장에 필수적이며 부족할 경우 악성빈혈, 손발자각이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전술한 성분 외에도 식물 추출물, 감미제, 향미제, 안정제, 과즙, 식이섬유, 고결 방지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예를 들어, 구기자, 복분자 또는 과라나 추출물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감미제는 설탕, 결정과당, 물엿,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며, 이에 따라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낮출 수 있는바, 숙취해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액상(음료), 파우더 또는 겔(젤)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음료, 과자, 당과, 젤리, 아이스크림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료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후보 원료의 숙취 개선 효과 측정
숙취해소 후보 원료로서 하기 16종의 원료에 대하여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상대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1-1> 원료의 준비
글루메이트, 갈근 추출분말, 감초 추출농축액, 인진쑥 엑기스, 구기자 엑기스,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 울금 농축액, 마름 추출분말, 상백피 추출농축액, 오디 농축액, 녹차 엑기스분말, 미나리 추출정제분말, 감 시럽, 밀크씨슬 분말, 발효홍삼 농축액 및 산삼배양세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글루메이트, 감초 추출농축액, 인진쑥 엑기스, 구기자 엑기스,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 울금 농축액, 상백피 추출농축액, 오디 농축액, 감 시럽, 발효홍삼 농축액 및 산삼배양세포 추출물은 해당 원재료를 용매로 추출하여 여과한 후 이 액을 농축하여 액상 형태로 준비하였고, 갈근 추출분말, 마름 추출분말, 녹차 엑기스분말, 미나리 추출정제분말, 밀크씨슬 분말은 해당 원재료를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고 이를 분말화하여 준비하였다.
<1-2> ADH ALDH 상대 활성도 측정
정제수에 상기 각 원료를 0.3 중량%씩 용해시킨 후, Blandino의 방법(Bostian. Et al., 1978)과 Bostian의 방법(Bostian. Et al., 1978)에 기초한, UV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시험 가이드(식품의약품안전청, 2004년 3월)에 수록된 방법에 따라, 각각 ADH와 ALDH의 상대 활성도(in-vitro)를 측정하였다.
ADH 상대 활성도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동결 건조된 S9 랫트 간 균질액(MOLTOX Co., USA)을 0.1% 소혈청알부민 용액 8 mL에 녹인 후, 0.45 μm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효소원(enzyme source)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증류수 1.4 mL, 1.0 M tris-HCl 완충액(pH 8.8) 0.75 mL, 20 mM NAD+ 0.3 mL, 에탄올 0.3 mL 및 실시예 <1-1>에서 0.3%로 희석된 원료 0.1 mL을 상기 효소원 0.15 mL과 함께 큐벳에 넣고 36℃에서 5분간 전-배양한 후, 5분간 340 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원료의 ADH 활성을 원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활성에 대한 상대 활성(%)으로 계산하였다.
한편, ALDH 상대 활성도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ADH 상대 활성도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원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증류수 2.1 mL, 1.0M tris-HCl완충액(pH 8.0) 0.3 mL, 20 mM NAD+ 0.1 mL, 1.0 M 아세트알데하이드 0.1 mL, 3.0 M 염화칼륨 0.1 mL, 0.33 M 2-머캅토에탄올 0.1 mL 및 실시예 <1-1>에서 0.3%로 희석된 원료 0.1 mL을 상기 효소원 0.1 mL과 함께 큐벳에 넣고 36℃에서 5분간 전-배양한 후, 5분간 340 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원료의 ALDH 활성을 원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활성에 대한 상대 활성(%)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시험을 2회 반복하여 수행하고, 그 평균값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6종의 원료 중에 갈근 추출분말, 감초 추출농축액, 마름 추출분말, 녹차 엑기스분말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이 높은 상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후보 원료의 조합에 따른 숙취 개선 효과
실험예 1에서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된 4종의 원료, 갈근 추출분말, 감초 추출농축액, 마름 추출분말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의 조합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예 1에서 녹차 엑기스분말은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 결과는 좋았으나 색상 및 맛에 있어서 제품화에 적합하지 않아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를 위해 조성물 1 내지 4는 각 원료를 단독으로 사용하였고, 조성물 5 내지 14는 각 원료를 조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원료를 넣지 않은 정제수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물 1 내지 14에 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1 내지 14의 조성비 (단위: g)
갈근
추출분말
감초
추출액
마름
추출분말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
정제수
조성물 1 0.3 - - - 100 mL로 맞춤
조성물 2 - 0.3 - - 100 mL로 맞춤
조성물 3 - - 0.3 - 100 mL로 맞춤
조성물 4 - - - 0.3 100 mL로 맞춤
조성물 5 0.3 0.3 - - 100 mL로 맞춤
조성물 6 0.3 0.3 0.3 - 100 mL로 맞춤
조성물 7 0.3 0.3 - 0.3 100 mL로 맞춤
조성물 8 0.3 - 0.3 - 100 mL로 맞춤
조성물 9 0.3 - 0.3 0.3 100 mL로 맞춤
조성물 10 0.3 - - 0.3 100 mL로 맞춤
조성물 11 - 0.3 0.3 - 100 mL로 맞춤
조성물 12 - 0.3 0.3 0.3 100 mL로 맞춤
조성물 13 - 0.3 - 0.3 100 mL로 맞춤
조성물 14 - - 0.3 0.3 100 mL로 맞춤
조성물 1 내지 14의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
ADH (%) ALDH (%)
대조군 100.0% 100.0%
조성물 1 123.9% 128.4%
조성물 2 108.2% 107.0%
조성물 3 116.6% 128.9%
조성물 4 109.6% 115.5%
조성물 5 127.6% 126.9%
조성물 6 141.4% 150.9%
조성물 7 136.6% 145.3%
조성물 8 140.1% 155.8%
조성물 9 157.3% 172.1%
조성물 10 135.7% 148.2%
조성물 11 118.8% 131.9%
조성물 12 130.0% 145.1%
조성물 13 111.6% 118.7%
조성물 14 128.3% 143.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종의 원료를 조합한 경우 갈근 추출분말과 마름 추출분말의 조합(조성물 8)이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에 대해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3종의 원료를 조합한 경우, 갈근 추출분말, 마름 추출분말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의 조합(조성물 9)이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에 대해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단독으로도 숙취 개선 효과가 높고 조합시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갈근 추출분말, 마름 추출분말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을 유효 원료로 선택하였다.
실험예 3: 각 원료의 함량에 따른 숙취 개선 효과
실험예 2에서 선택된 3종의 원료의 함량별 숙취 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상기 3종의 원료들을 배합하되, 2종의 원료의 배합 비율은 고정한 채 나머지 1종의 원료의 배합 비율을 증량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일정량의 설탕을 넣은 후 물로 총 부피를 100 mL로 맞춰 교반하면서 용해성 및 기포발생 유무를 등을 검토하여 액상 형태의 생산 가능성 및 경제성을 검토하였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원료의 함량을 달리한 조성물의 조성비(단위: 중량%)
갈근 추출분말을 증가시킨 조성물 마름 추출분말을 증가시킨 조성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을 증가시킨 조성물
갈근 0.5 1.0 1.5 3.0 5.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마름 0.2 0.2 0.2 0.2 0.2 0.05 0.1 0.3 0.5 1.0 0.2 0.2 0.2 0.2 0.2
헛개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2 0.4 0.5 0.6 1.0
설탕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근 추출분말의 경우,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마름 추출분말은 0.1%까지는 함량 증가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배합 비율 증가에는 효소활성도 증가가 다소 느려졌다. 또한,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의 경우, 0.4%까지는 배합 비율 증가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배합 비율 증가에는 효소활성도 증가가 다소 느려졌다.
다만, 조제시 생산성을 감안할 때, 갈근 추출분말이 2.0%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농도가 진하고 교반 시간이 길어져 갈근 추출분말의 사용량은 0.5~2.0 중량% 사이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경제성 및 생산성을 감안할 때, 갈근 추출분말을 0.5~2.0 중량%, 마름 추출분말을 0.05~1.0 중량%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을 0.2~1.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숙취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비에 따라, 유효원료로서 갈근 추출분말, 마름 추출분말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개선용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갈근 추출분말의 경우, 칡뿌리를 세정하여 절단, 마쇄한 다음 착즙하여 전분을 제거한 칡즙 원료를 95℃에서 1시간 정도 가열 살균한 후 5 μm 필터로 여과하여 15 브릭스(brix)의 칡즙 농축액을 만들고, 상기 칡즙 농축액 약 83.5%와 덱스트린 16.5%를 혼합하여 35 브릭스 이상이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한 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갈근 추출분말은 칡 특유의 쓴맛이 제거되어 음료로서 사용에 문제가 없다.
한편, 상기 유효원료 외에, 숙취 증상의 한가지 증상인 영양소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타우린 0.1~2.5 중량% 및 베타인 0.05~0.5 중량%와 비타민의 보충을 위하여 아스코르브산 0.05~0.5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5~0.05 중량%, 이노시톨 0.01~0.1 중량% 및 비타민 B군 0.005~0.030 중량% 및 감미를 위하여 설탕 10 중량%를 첨가하고, 정제수로 100 mL을 맞추었다.
상기 원료들을 용해시킨 후 고온순간살균(HTST, 98℃ 30초내외) 처리를 하여 잔존 미생물을 살균시킨 뒤에 용기에 주입하였다.
원료명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갈근 추출분말 0.5 1.0 1.2 1.5 2.0
마름 추출분말 0.05 0.1 0.1 0.3 0.5
헛개나무열매 추출농축액 0.2 0.5 0.5 0.7 1.0
타우린 0.1 0.5 1.33 1.67 2.5
베타인 0.05 0.1 0.2 0.3 0.5
아스코르브산 0.05 0.15 0.17 0.2 0.5
니코틴산아미드 0.005 0.01 0.02 0.03 0.05
이노시톨 0.01 0.03 0.05 0.07 0.10
비타민 B군 0.005 0.01 0.015 0.02 0.03
기타 감미제 10 10 10 10 10
정제수 100 mL로 맞춤 100 mL로 맞춤 100 mL로 맞춤 100 mL로 맞춤 100 mL로 맞춤
단, 음료의 비중은 고려하지 않음
실험예 4: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의 ADH ALDH 상대 활성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서 음료 조성물의 숙취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예 3의 조성물과 시판중인 숙취해소 음료 5종에 대해 ADH 및 ALDH 상대 활성도 측정하였다.
숙취해소 음료 중, A 제품은 황기로터스 추출분말, 자리 추출분말, 글루메이트 및 효모 추출물의 혼합 분말을 유효원료로 하고, B 제품은 인진쑥, 녹차잎, 갈근, 뽕잎, 여주 등을 함유한 식물발효 추출액, 미배아복합발효 추출액 및 강황 추출액을 유효원료로 하며, C 제품은 울금 엑기스분말, 오리나무 추출분말, 상엽추출분말, 미배아대두 발효추출액, 유산균발효다시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분말 및 과라나 추출분말을 유효원료로 하고, D 제품은 오리나무, 대추, 생강, 마가목, 감초, 갈화, 사인 및 박을 함유한 농축액을 유효원료로 하며, E 제품은 황칠목 추출분말을 유효원료로 한다. 한편, 대조군으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이 타사 제품에 비해 ADH 및 ALDH의 상대 활성도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 3의 조성물과 시판중인 숙취해소 음료 5종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동물시험을 실시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체중 200±20 g의 랫트에 실시예 3의 음료를 랫트 60 kg당 제품 용량의 2배에 해당하는 양을 계산하여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 알코올 1.5 g/kg 해당량을 경구 투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정제수를 1 mL씩 투여 후 이후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알코올 투여 후 1, 2, 4 및 6시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GC/MS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LC-MS를 이용하여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간마다 측정된 농도값을 이용하여 AUC, Cmax, Tmax 등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 동물종: SD 랫트 (n=군당 10마리)
- 알코올 투여용량: 1.5 g/kg
- 채혈시간: 1, 2, 4, 6시간 (시험물질 또는 정제수 투약 후, 30분 시점 알코올 투여)
- 측정값: AUC1-6(ug·hr/mL), Cmax(ug/mL), Tmax(hr)
혈중 알코올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고,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섭취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가 약 28% 이상 감소하여 숙취해소 능력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섭취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약 45% 이상 감소하여 숙취해소 능력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Claims (8)

  1.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갈근 추출물 0.5~2.0 중량%, 마름 추출물 0.05~1.0 중량%,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2~1.0 중량%, 타우린 0.1~2.5 중량%, 베타인 0.05~0.50 중량%, 아스코르브산 0.05~0.50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5~0.050 중량%, 이노시톨 0.01~0.10 중량% 및 비타민 B군 0.005~0.030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근 추출물이 15~17 브릭스의 갈근즙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료.
KR1020130107591A 2013-09-06 2013-09-06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152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91A KR101525478B1 (ko) 2013-09-06 2013-09-06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91A KR101525478B1 (ko) 2013-09-06 2013-09-06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664A KR20150028664A (ko) 2015-03-16
KR101525478B1 true KR101525478B1 (ko) 2015-06-03

Family

ID=5302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591A KR101525478B1 (ko) 2013-09-06 2013-09-06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57B1 (ko) * 2017-11-27 2019-11-19 제주황칠바이오테크(주) 황칠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음료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2005427B1 (ko) * 2017-12-27 2019-07-30 주식회사 에스엠에프앤비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KR102447255B1 (ko) 2020-06-02 2022-09-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페날레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642811B1 (ko) * 2021-01-18 2024-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콩비지 미세분말 기반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67B1 (ko) * 2006-06-28 2006-09-20 조일환 항숙취 조성물
KR101247927B1 (ko) * 2012-07-16 2013-03-26 보령제약 주식회사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67B1 (ko) * 2006-06-28 2006-09-20 조일환 항숙취 조성물
KR101247927B1 (ko) * 2012-07-16 2013-03-26 보령제약 주식회사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664A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2511888B (zh) 一种枇杷叶罗汉果饮料
AU2007252785A1 (en) Guava leaf extract powd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N101223988A (zh) 解酒护肝、健脾养胃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10269166A (zh) 一种解酒护肝组合物及饮品和饮品的制备方法
KR101525478B1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CN106376917A (zh) 一种从多方面调节情绪的保健食品或饮料配方
CN104256783A (zh) 一种山药枣杞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586656A (zh) 一种刺梨全果酒及其制备方法
KR20080073880A (ko) 박과 식초 조성물
CN110710626A (zh) 银耳燕窝复合悬浮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588378B1 (ko)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KR101060308B1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CN110710625A (zh) 银耳复合悬浮饮料及其制备方法
CN109287919A (zh) 一种赤豆薏仁草本膏的配方及制备方法
KR101700942B1 (ko) 스포츠 음료 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8125240B (zh) 一种降糖降脂组合物、降糖降脂饮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403262A (zh) 一款能够改善亚健康的玛咖茶植物饮品及其制备方法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5380267B (zh) 一种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CN103652198B (zh) 一种减肥茶及其茶包的制备方法
KR20190140738A (ko) 자양강장 물질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0560A (ko) 생마늘 식초 및 이 제조 방법
CN109287989A (zh) 一种黑加仑沙棘膏的配方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