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427B1 -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427B1
KR102005427B1 KR1020170180433A KR20170180433A KR102005427B1 KR 102005427 B1 KR102005427 B1 KR 102005427B1 KR 1020170180433 A KR1020170180433 A KR 1020170180433A KR 20170180433 A KR20170180433 A KR 20170180433A KR 102005427 B1 KR102005427 B1 KR 10200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kerel
extract
weight
concentrat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767A (ko
Inventor
백만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17018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4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4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코올성 간질환 완화 효과가 있으며 고등어에서 추출한 농축액을 소재로 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은 고등어와 증류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제 1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고등어추출액에 양파, 함초, 들깨, 생강, 대추, 갈근, 마늘, 배초향, 감귤피, 숙지황, 감초를 첨가하여 제 2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2고등어추출액을 농축하여 고등어 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고등어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고등어 농축 분말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에 액상과당, 감식초, 헛개나무추출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울금추출물분말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제조한 음료를 여과한 후 살균 및 포장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everage for relieving hangover containing mackerel extract}
본 발명은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코올성 간질환 완화 효과가 있으며 고등어에서 추출한 농축액을 소재로 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의 장기간 섭취는 간 조직의 병리학적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체내 영양소 흡수나 대사과정을 저해하여 영양결핍을 일으키며, 지방질 및 콜라겐의 집적을 이뤄 간 조직에 염증, 괴사, 섬유화를 일으키며 섭취 기간이 장기화 될수록 간염, 간 경화에 이르게 되어 간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초래한다는 학계 보고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음주문화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과음 또는 빈번한 음주로 유발되는 간 기능 장애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나타나는 여러 가지 간질환의 예방 및 치유는 중요한 연구과제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숙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음료수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고등어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커피박 추출물이 간 고등어의 저장성과 품질에 관한 연구, 건조 고등어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및 암세주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고등어 유래 항고혈압 Peptided의 분리 정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고등어를 활용한 숙취 해소, 간 기능성 향상에 관한 연구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268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은 고등어와 증류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제 1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고등어추출액에 양파, 함초, 들깨, 생강, 대추, 갈근, 마늘, 배초향, 감귤피, 숙지황, 감초를 첨가하여 제 2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2고등어추출액을 농축하여 고등어 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고등어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고등어 농축 분말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에 액상과당, 감식초, 헛개나무추출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울금추출물분말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제조한 음료를 여과한 후 살균 및 포장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은 알코올성 간질환 완화 및 알코올 섭취에 의한 간 손상 억제 효능이 있는 고등어 추출액을 보다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험 중 혈청생화학검사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험 중 SREBP-1c, FAS 단백질 발현 실험양에 대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험 중 간의 조직학적 관찰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험 중 혈중 에탄올 농도 측정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험 중 혈중 에탄올 농도 측정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험 중 혈중 알코올 탈수소 효소 효소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험 중 혈중 알코올 탈수소 효소 효소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내장과 꼬리를 제거 한 후 세척한 고등어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고등어와 증류수의 혼합비율은 고등어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0.2 내지 0.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등어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가 0.2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가열시 용매가 부족해져 점도가 높아짐으로 추출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0.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하기에서 실시될 농축 단계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제 1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 또는 추출기에 삽입한 후 가열하여 제 1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한다.
상기 제 1고등어추출액 제조시 가열은 110℃에서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온도가 110℃ 미만일 경우 추출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으며, 110℃를 초과할 경우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시간이 10시간 미만일 경우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10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추출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제 2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고등어추출액에 양파, 함초, 들깨, 생강, 대추, 갈근, 마늘, 배초향, 감귤피, 숙지황, 감초를 혼합한 제 1부재료를 첨가하여 제 2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고등어 농축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고등어추출액을 가열하여 고등어 농축액을 제조한다.
상기 고등어 농축액 제조시 가열은 110℃에서 1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온도가 110℃ 미만일 경우 추출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으며, 110℃를 초과할 경우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시간이 12시간 미만일 경우 제 1부재료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12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농축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상기 고등어 농축액 제조시 당도는 15 내지 30brix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도가 15brix 미만일 경우에는 농축이 충분하지 않아 용량 대비 유효성분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으며, 30brix를 초과할 경우에는 농축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에서는 고등어 농축 분말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등어 농축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분말화한다.
상기 스프레이 드라이어(분무건조기, spray dryer)란 원액을 순간에 입자로 하는 것이 가능한 건조 장치로, 원액을 건조 실내의 노즐 또는 디스크에 의해 미립화해, 단위 체적 근처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면서 연속해 열풍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순간적으로 건조 및 조립을 실시하여 입자를 제조한다.
상기 스프레이 드라이어는 열에 민감한 물질이어도 변질이 지극히 적고, 농축, 여과, 분쇄, 분급, 건조에 해당하는 많은 공정을 한번 실시하여 기타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된 건조 입자는 구형에 가까워 유동성이 뛰어나고, 식품 및 의약품 등에 사용하기에 물에 용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0)에서는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에 액상과당, 감식초, 헛개나무추출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울금추출물분말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에 액상과당, 감식초, 헛개나무추출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울금추출물분말, 정제수를 혼합한 후 일정 온도에서 고등어 농축 분말을 용해하여 음료를 제조한다.
상기 액상과당은 음료에 혼합되어, 단 맛을 부여하므로 음료의 전체적인 맛과 기호도를 높인다.
상기 감식초는 발효식품 식초로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고, 알콜 흡수 저해와 아세트알데히드 감소, 활성산소 감소 등의 기능을 한다.
상기 헛개나무추출농축액은 헛개나무를 열수추출하고 가열하여 농축한 것으로 알콜분해 효과가 있고 간 손상 예방, 독소 해소 등의 기능을 한다.
상기 배농축액은 배를 열수추출하고 가열하여 농축한 것으로 체내 알콜 흡수를 방해하고 소화를 돕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타우린은 간의 독소와 노폐물 배출을 촉진시켜 피로를 풀어주고 해독 작용을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울금추출물분말은 울금을 열수추출한 후 분말화 한 것으로 울금의 주성분인 커큐민이 소화를 돕고, 담즙분비를 활발하게 하여 지방소화작용을 도와 혈중 콜레스트롤 감소, 간 해독 작용의 기능을 한다.
상기 혼합 시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액상과당 16중량부, 감식초 2.5중량부, 헛개나무추출농축액 0.01 내지 0.05중량부, 배농축액 0.01 내지 0.05중량부, 타우린 0.01 내지 0.05중량부, 울금추출물분말 0.01 내지 0.05중량부, 정제수 70 내지 8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액상과당이 16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음료의 맛이 좋지 못해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고, 16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너무 달아지거나 당이 과도하게 첨가되어 오히려 거부감이 들 수 있다.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감식초가 2.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달고 신 맛과 알콜 흡수 저해 등의 기능성을 음료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음료의 맛을 해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추출농축액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알콜분해 효과 등의 기능성을 음료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0.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음료의 맛을 해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배농축액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배의 단 맛과 체내 알콜 흡수를 저해하는 기능성을 음료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0.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음료의 맛을 해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타우린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간의 독소와 노폐물 배출 효과의 기능성을 음료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0.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음료의 맛을 해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울금추출물분말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혈중 콜레스트롤 감소, 간 해독 작용의 기능성을 음료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0.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음료의 맛을 해칠 수 있다.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가 7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음료의 용매가 부족하거나 맛이 너무 진해질 수 있으며,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숙취 해소 음료의 효능 및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시에는 무수구연산, 혼합과일향, 홍삼농축액, 알라닌, DL-사과산, 니코틴산아미드, 복합황금추출물, 벌꿀향, 비타민 B1, 비타민 B2 중 선택적으로 더 혼합하여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시 20 내지 6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시 온도가 20℃ 미만일 경우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의 용해가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성이 저하되고, 60℃를 초과할 경우 내용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변질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0)에서는 상기 제조한 음료를 여과한 후 살균 및 포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한 음료를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여과한 다음 살균 및 포장하여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 여과는 면사필터를 사용하며, 상기 면사필터의 여과 입자 사이즈는 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즈가 1㎛ 미만일 경우 여과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고 100㎛를 초과할 경우 음용 시 이물감을 줄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료의 포장은 병 또는 팩(파우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의 알코올 분해능 및 지방간 개선효과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실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시험에 사용한 ICR mouse, 7주령 모델 (수컷)은 샘타코바이오코리아 (경기도 성남, 한국)로부터 분양받아 (주)동남의화학연구원 동물사 (동물시설등록증: 제 412호)에서 일주일간 검역과 순화사육을 거친 건강한 동물(각 군당 16마리씩 총 5군)로 사육환경을 온도 (26.11℃), 습도 (50.12%) 및 조명시간을 12시간으로 (07:00∼19:00) 설정하였다.
각 군은 정상군 (N군), 알콜섭취군 (C군), 알콜섭취 및 본 발명의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100 mg/kg 투여군 (SA군), 알콜섭취 및 본 발명의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200 mg/kg 투여군 (SB군) 그리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알콜섭취 및 간 건강개선으로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제품인 밀크씨슬 120 mg/kg 투여군 (P군)으로 6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샘타코 BIOKOREA, 한국)를 하루 섭취량 25 g, 음수는 100 ㎖를 기준으로 하여 섭취시켰다. 본 연구는 (주)동남의화학연구원 동물실험위원회 (SEMI,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방침 및 법규에 따라 진행되었다. (윤리승인번호: SEMI-17-04)
(실험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밀크씨슬 (psyllium husk)은 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다)
ㄱ. 혈청생화학검사
Group ALT
(U/L)
AST
(U/L)
LDH
(IU/L)
Total cholesterol(mg/dL) Triglyceride
(mg/dL)
γ-GT
(mU/mL)
N 36.98±10.61 96.88±8.35 199.23±7.86 147.85±16.05 140.07±10.67 37.36±1.97
C 27.24±6.17 80.25±14.04 207.84±6.72 168.21±18.36 236.32±20.01 41.89±3.41
P 30.17±2.95 74.96±11.07 206.02±5.62 138.31±28.71 145.48±36.03 37.02±1.91
SA 27.34±5.61 71.44±18.31 207.84±2.55 137.02±12.49 130.20±31.70 38.44±2.40
SB 29.20±8.72 70.03±9.42 212.01±3.97 133.06±34.87 100.45±14.41 36.33±3.19
장기간 알코올 섭취는 유리 지방산 이동을 증가시켜 혈액순환계의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높이는 원인으로 이는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쳐 지방조직에서 지질분해 증가, 지방산 과잉생산을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간세포에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지방간으로 병변을 진행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표 1 및 도 1를 보면,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Triglyceride 농도는 에탄올 식이를 급여한 C군의 경우 N군에 비해 유의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밀크씨슬(silymarin 함유)을 투여한 P군과 시료군 (SA, SB)에서는 Triglyceride 농도가 유의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P군과 SB군에서 γ-GT 농도가 유의수준으로 감소·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tal cholesterol 농도 또한 C군이 N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SA군, SB군의 경우 Total cholesterol 농도가 유의수준으로 감소하였다.
6주간의 에탄올 식이 급여로 지방대사 및 γ-GT 수치에 영향을 미쳐 지방간을 유발하였고, 고등어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를 투여한 군(특히 SB군)의 경우 중성지방과 γ-GT에서 유의수준으로 조절되었으나 AST, ALT 농도는 정상범위내로 나타나 6주간 에탄올 식이 급여로 심각한 수준의 간 경변을 일으키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ㄴ. SREBP-1c, FAS 단백질 발현양
Sterol regularot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는 전반적인 lipogenesis로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 coA Carboxylase (ACC), stearoayl desaturase- 1 (SCD-1)와 같은 지방산의 생합성에 연관된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인자이다.
도 2는 각 군(6주간 급이 조건)의 간 조직의 SREBP-1c와 FAS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6주간 에탄올 식이로 인해 지방대사에 영향을 주는 SREBP-1c와 FAS의 단백질 발현양은 C군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등어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로 인해 SREBP-1c 단백질 발현양은 감소·조절되었다.
이는 고등어에 풍부한 아미노산이 미토콘드리아 막의 malate-aspartate shuttle에서 oxaloacetate를 거쳐 malate로 되는 과정에서 NADH/NAD+비를 감소시켜 간조직의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SREBP-1c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고, SREBP-1c 단백질 발현 조절로 지방산 생합성을 조절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앞서 혈액 생화학검사를 통해 확인한 Triglyceride 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ㄷ. 간 조직학적 관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N군의 간 세포질에 축적된 지방구의 양이 적게 관찰되었으며 지방구 크기도 작았으나, 6주간 Lieber-DeCarli 에탄올 식이를 급여한 C군의 간 조직에서는 지방구의 크기가 급격히 늘어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P군 및 SB군에서 지방구의 크기와 지방구 양은 지방간을 유도한 C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6주간의 고등어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음료 투여로 혈중 Triglyceride 및 γ-GT 농도를 조절하였으며, 간 조직에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SREBP-1c단백질 발현양을 조절하여 간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ㄹ. 혈중 에탄올 농도
20% 에탄올 섭취 전 (0분)부터 섭취 후 180분까지 시간별 혈중 에탄올 농도 변화, 변화량에 대한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을 도 4 내지 5와 같이 측정하였다. 단, 해당 혈중 에탄올 농도 측정 실험에 대해서는 P군을 일반 시판되는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헛개나무 과병 추출물의 혈중 에탄올 농도 저하 효과는 입증된 바 있으며, 식약처에서는 알콜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성원료로 인정함)로 변경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탄올 투여 후 최고농도에 도달한 시간은 모든 실험 군에서 60분으로 나타났으며, 60분 이후 서서히 감소하여 180분에 이르면 알코올을 투여하기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일반적으로 에탄올은 경구투여한 후 약 30분 이내 섭취량의 60 ~ 90%가 몸속에 흡수되고 음주 후 약 60분에 이르면 최고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탄올을 경구투여한 뒤 60분 혈중 에탄올 농도를 살펴보면, 에탄올만 섭취한 Control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SA군과 SB군에서 혈중 에탄올 농도가 시료 농도 의존적으로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을 투여한 Positive control군은 22.95ng/mL로 혈중 낮은 에탄올 농도를 보였다.
한 시점에서의 농도차이만으로 시료가 에탄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고찰할 수가 없기 때문에 에탄올 혈중 변화량에 대한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을 통해 본 발명의 고등어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가 혈중 에탄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 5와 같이 살펴보았다. 에탄올만 투여한 Control군에서 AUC가 가장 높았으며, SB군에서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을 투여한 Positive control군 수준으로 AUC가 낮아져, 본 발명의 고등어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투여는 혈중 에탄올 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ㅁ. 혈중 알코올 탈수소 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 효소활성
알코올을 섭취하면 위 장관에서 단순 확산 (simple diffusion)에 의해 빠르게 흡수되어 주로 체내 수분에 분포하며, 혈액을 통해 간으로 이동된 알코올은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아세테이드 (acetate)로 순차적으로 산화된다. 생성된 아세테이트는 혈류로 분비되어 말초 조직에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최종 산화된다.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혈중 알코올 탈수소 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 는 알코올에서 알데히드로의 산화를 촉매 하는 효소이다.
본 실험은 20% 에탄올 경구투여 후 일정 시간 동안 관찰하여 혈중 알코올 탈수효소의 변화와 알코올 투여 30분 후 ADH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단, 해당 혈중 에탄올 농도 측정 실험에 대해서는 P군을 일반 시판되는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로 변경하였다.
도 6과 같이, 에탄올 투여 후 혈중 알코올 탈수소 효소인 ADH 효소활성은 30분에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이후 서서히 감소하여 180분에 이르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혈중 에탄올 농도 수준으로 급격한 변화수준은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ADH 효소활성은 300분에 이르면 정상화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도 7과 같이, 알코올 투여 30분 이후 ADH 효소활성은 앞서 혈중 에탄올 농도와 같이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을 투여한 Positive control에서 Control 대비하여 유의수준으로 ADH 효소활성이 높아졌으며, SB군에서 이와 같은 유의 수준을 보였다.
이는 앞서 6주간 Lieber-decarli 에탄올 식이로 지방간 개선효과 유효성 평가 시, SB군에서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 합성을 조절하고 Triglyceride 및 γ-GT를 조절하여 지방간을 개선하는 것과 상응하는 결과였다.
따라서, Lieber-decarli 에탄올 식이로 지방간을 유도한 뒤 본 발명의 고등어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시료가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간을 개선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로 SB군이 Ethanol농도 조절 및 ADH 효소활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고등어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0.2 내지 0.3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을 110℃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 1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고등어추출액에 양파, 함초, 들깨, 생강, 대추, 갈근, 마늘, 배초향, 감귤피, 숙지황, 감초를 첨가하여 제 2고등어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2고등어추출액을 110℃에서 12시간 동안 농축하여 고등어 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고등어 농축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해 분말화하여 고등어 농축 분말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고등어 농축 분말에 액상과당, 감식초, 헛개나무추출농축액, 배농축액, 타우린, 울금추출물분말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제조한 음료를 여과한 후 살균 및 포장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4단계에서 고등어 농축액 제조시 당도는 15 내지 20brix이고,
    상기 제 6단계에서 음료 제조 시 고등어 농축 분말 1.5중량부에 대하여 액상과당 16중량부, 감식초 2.5중량부, 헛개나무추출농축액 0.01 내지 0.05중량부, 배농축액 0.01 내지 0.05중량부, 타우린 0.01 내지 0.05중량부, 울금추출물분말 0.01 내지 0.05중량부, 정제수 70 내지 80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제 6단계에서 음료 제조 시 무수구연산, 혼합과일향, 홍삼농축액, 알라닌, DL-사과산, 니코틴산아미드, 복합황금추출물, 벌꿀향, 비타민 B1, 비타민 B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80433A 2017-12-27 2017-12-27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KR102005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433A KR102005427B1 (ko) 2017-12-27 2017-12-27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433A KR102005427B1 (ko) 2017-12-27 2017-12-27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767A KR20190078767A (ko) 2019-07-05
KR102005427B1 true KR102005427B1 (ko) 2019-07-30

Family

ID=6722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433A KR102005427B1 (ko) 2017-12-27 2017-12-27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4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894B1 (ko) * 1997-11-14 2000-04-15 서권일 감식초함유음료조성물
KR20110082682A (ko) 2010-01-12 2011-07-20 에이치씨바이오텍 주식회사 꼬시래기를 이용한 숙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25478B1 (ko) * 2013-09-06 2015-06-03 한미약품 주식회사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1539146B1 (ko) * 2013-09-27 2015-07-29 상주시 감식초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101783704B1 (ko) * 2014-04-29 2017-11-20 에스엠생명공학(주) 고등어를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등어 가공품 비린내 잡아 중국 시장도 뚫었죠", 국제신문, (2015.09.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767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8106B (zh) 一种速溶生姜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973653A (zh) 一种速溶普洱茶颗粒的制备及其应用
Morgan et al. The potential of apple cider vinegar in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CN103125941A (zh) 五味子发酵物制品、五味子人参发酵物制品及其应用
KR101588378B1 (ko)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1525478B1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0767802B1 (ko) 감식초를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
JP2008253148A (ja) 冷え性改善機能を有する食品組成物
KR102005427B1 (ko) 고등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 제조방법
JP2010275288A (ja) 宿酔を予防及び改善する機能性組成物とこれを含む食品及び食品添加剤
CN104207277B (zh) 一种即饮橄榄油补充剂
JP2006182654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JP2008074735A (ja) リパーゼ阻害作用を有する組成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吸収抑制剤
CN104431073A (zh) 一种保健绿茶及其制备方法
CN111096344A (zh) 一种具有缓解酒精性肝损伤功能的夹心饼干及其制备方法
JP2007174974A (ja) 有用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Li et al. Investigation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Auricularia auricula pulp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strains and their effects on gut microbiota
JP2006265142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102268219B1 (ko) 생강, 무, 도라지 및 솔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상차 조성물
CN107699451A (zh) 一种具有防癌抗癌、增强机体抗病能力的保健药酒
KR100965961B1 (ko)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JPWO2007004570A1 (ja) 持久力向上および/または抗疲労作用を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